KR102365471B1 - 공중선 추출 시스템 및 공중선 추출 방법 - Google Patents
공중선 추출 시스템 및 공중선 추출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65471B1 KR102365471B1 KR1020200126950A KR20200126950A KR102365471B1 KR 102365471 B1 KR102365471 B1 KR 102365471B1 KR 1020200126950 A KR1020200126950 A KR 1020200126950A KR 20200126950 A KR20200126950 A KR 20200126950A KR 102365471 B1 KR102365471 B1 KR 1023654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int cloud
- cloud data
- antenna
- target area
- candidat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65 information proces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00 visua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4—Three-dimensional objec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3—Clustering techniques
-
- G06T5/002—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70—Denoising; Smooth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10—Terrestrial scenes
- G06V20/176—Urban or other man-made struc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28—Range image; Depth image; 3D point clou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 Image Analysi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레이저 측거기에 의해 취득한 3차원 점군 데이터를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의 공중선 추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공중선 추출 시스템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대상 에어리어와 로컬 좌표계의 설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공중선 후보 점군 추출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대상 에어리어를 지면에 수직으로 슬라이스하는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예 1에 기초하는 효과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슬라이스 분할에 의한 공중선 후보 추출 결과의 점군을 나타내고, (b)는 공중선 모델 추정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9는 실시예 1을 적용하지 않은 경우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a)는 대상 에어리어를 잘라낸 점군을 나타내고, (b)는 공중선 모델 추정의 결과를 나타낸다.
도 10은 실시예 2의 인입선을 포함하는 3차원 점군 데이터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2의 인입선을 포함하는 3차원 점군을 위에서 내려다본 개념도이다.
102: 레이저 측거기
103: 레이저광
104: 도로
105: 전신주
106: 공중선
107: 수목
204: 도로의 점군
205: 전신주의 점군
206: 공중선의 점군
207: 수목의 점군
300: 처리 장치
301: 대상 에어리어 잘라내기부
302: 공중선 후보 추출부
303: 공중선 모델 추정부
304: 3차원 점군 데이터 파일
305: 설비 DB
306: 공중선 모델 파일
307: 디스플레이
308: 키보드·마우스
501: 대상 에어리어
502: 로컬 좌표계
701: 슬라이스면
801: 공중선 후보의 점군
802: 공중선 모델 추정의 결과
901: 대상 에어리어의 점군
902: 공중선 모델 추정의 결과
1001: 인입선의 점군
1002: 지선의 점군
1003: 건물의 점군
1101: 슬라이스면
Claims (11)
- 공중에 전신주를 통해 설치된 공중선과 수목을 포함하는 3차원 형상의 3차원 점군 데이터로부터, 상기 전신주의 좌표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공중선의 점군 데이터가 존재한다고 상정되는 영역을 대상 에어리어로서 잘라내는 대상 에어리어 잘라내기부와,
상기 대상 에어리어 내의 상기 3차원 점군 데이터 중에서 상기 공중선의 후보 점군 데이터를 추출하는 공중선 후보 추출부와,
추출된 상기 공중선의 후보 점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공중선의 모델을 추정하는 공중선 모델 추정부
를 가지며,
상기 공중선 후보 추출부는,
상기 대상 에어리어 내의 상기 3차원 점군 데이터를 일정 간격의 슬라이스면으로 분할하고,
상기 슬라이스면으로 분할된 영역을 클러스터링하여 복수의 클러스터를 생성하고,
복수의 상기 클러스터를 소정의 사이즈로 분류하여, 상기 공중선의 후보 점군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공중선 후보 추출부는,
지면에 수직이면서 한 쌍의 상기 전신주의 사이를 연결하는 선에 수직인 상기 슬라이스면으로 상기 대상 에어리어 내의 상기 3차원 점군 데이터를 분할하고,
상기 슬라이스면으로 분할된 상기 영역으로서 직육면체 영역을 거리로 클러스터링하여 복수의 상기 클러스터를 생성하고,
복수의 상기 클러스터를 상기 소정의 사이즈로서 외접 직사각형 사이즈로 분류하여, 상기 공중선의 후보 점군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선 추출 시스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선 후보 추출부는,
상기 외접 직사각형 사이즈가, 미리 정해진 치수 범위에 들어가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 결과, 상기 미리 정해진 치수 범위에 들어가는 경우에는, 상기 공중선의 후보 점군 데이터라고 판정하고,
상기 판정 결과, 상기 미리 정해진 치수 범위에 들어가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공중선의 후보 점군 데이터 이외의 점군 데이터라고 판정한다고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선 추출 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선 후보 추출부는,
상기 판정 결과, 상기 미리 정해진 치수 범위에 들어가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공중선의 후보 점군 데이터 이외의 상기 점군 데이터를 상기 수목의 점군 데이터라고 판정하고, 상기 수목의 점군 데이터를 상기 대상 에어리어 내의 상기 3차원 점군 데이터로부터 노이즈로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선 추출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선 모델 추정부에서 추정된 상기 공중선의 모델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선 추출 시스템. - 공중에 전신주를 통해 설치된 공중선과 수목을 포함하는 3차원 형상의 3차원 점군 데이터로부터, 상기 전신주의 좌표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공중선의 점군 데이터가 존재한다고 상정되는 영역을 대상 에어리어로서 잘라내는 대상 에어리어 잘라내기부와,
상기 대상 에어리어 내의 상기 3차원 점군 데이터 중에서 상기 공중선의 후보 점군 데이터를 추출하는 공중선 후보 추출부와,
추출된 상기 공중선의 후보 점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공중선의 모델을 추정하는 공중선 모델 추정부
를 가지며,
상기 공중선 후보 추출부는,
상기 대상 에어리어 내의 상기 3차원 점군 데이터로부터 상기 수목의 점군 데이터를 노이즈로서 제거하고, 상기 공중선의 후보 점군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공중선 후보 추출부는,
지면에 수직이면서 한 쌍의 상기 전신주의 사이를 연결하는 선에 수직인 슬라이스면으로 상기 대상 에어리어 내의 상기 3차원 점군 데이터를 분할하고,
상기 슬라이스면으로 분할된 영역으로서 직육면체 영역을 거리로 클러스터링하여 복수의 클러스터를 생성하고,
복수의 상기 클러스터를 소정의 사이즈로서 외접 직사각형 사이즈로 분류하여, 상기 공중선의 후보 점군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선 추출 시스템. - 공중에 전신주를 통해 설치된 공중선과 수목을 포함하는 3차원 형상의 3차원 점군 데이터를 취득하는 3차원 점군 데이터 취득 공정과,
상기 3차원 점군 데이터로부터, 상기 전신주의 좌표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공중선의 점군 데이터가 존재한다고 상정되는 영역을 대상 에어리어로서 잘라내는 대상 에어리어 잘라내기 공정과,
상기 대상 에어리어 내의 상기 3차원 점군 데이터 중에서 상기 공중선의 후보 점군 데이터를 추출하는 공중선 후보 추출 공정과,
추출된 상기 공중선의 후보 점군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공중선의 모델을 추정하는 공중선 모델 추정 공정
을 가지며,
상기 공중선 후보 추출 공정은,
상기 대상 에어리어 내의 상기 3차원 점군 데이터를 일정 간격의 슬라이스면으로 분할하고,
상기 슬라이스면으로 분할된 영역을 클러스터링하여 복수의 클러스터를 생성하고,
복수의 상기 클러스터를 소정의 사이즈로 분류하여, 상기 공중선의 후보 점군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공중선 후보 추출부는,
지면에 수직이면서 한 쌍의 상기 전신주의 사이를 연결하는 선에 수직인 상기 슬라이스면으로 상기 대상 에어리어 내의 상기 3차원 점군 데이터를 분할하고,
상기 슬라이스면으로 분할된 상기 영역으로서 직육면체 영역을 거리로 클러스터링하여 복수의 상기 클러스터를 생성하고,
복수의 상기 클러스터를 상기 소정의 사이즈로서 외접 직사각형 사이즈로 분류하여, 상기 공중선의 후보 점군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선 추출 방법. - 삭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선 후보 추출 공정은,
상기 외접 직사각형 사이즈가, 미리 정해진 치수 범위에 들어가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판정 결과, 상기 미리 정해진 치수 범위에 들어가는 경우에는, 상기 공중선의 후보 점군 데이터라고 판정하고,
상기 판정 결과, 상기 미리 정해진 치수 범위에 들어가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공중선의 후보 점군 데이터 이외의 점군 데이터라고 판정한다고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선 추출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선 후보 추출 공정은,
상기 판정 결과, 상기 미리 정해진 치수 범위에 들어가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공중선의 후보 점군 데이터 이외의 상기 점군 데이터를 상기 수목의 점군 데이터라고 판정하고, 상기 수목의 점군 데이터를 상기 대상 에어리어 내의 상기 3차원 점군 데이터로부터 노이즈로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선 추출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선 모델 공정에서 추정된 상기 공중선의 모델을 표시하는 표시 공정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선 추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9184232A JP7319886B2 (ja) | 2019-10-07 | 2019-10-07 | 空中線抽出システム及び空中線抽出方法 |
JPJP-P-2019-184232 | 2019-10-0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41505A KR20210041505A (ko) | 2021-04-15 |
KR102365471B1 true KR102365471B1 (ko) | 2022-02-21 |
Family
ID=75274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26950A KR102365471B1 (ko) | 2019-10-07 | 2020-09-29 | 공중선 추출 시스템 및 공중선 추출 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1295130B2 (ko) |
JP (1) | JP7319886B2 (ko) |
KR (1) | KR10236547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240792A1 (ja) * | 2020-05-29 | 2021-12-02 |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 データ更新方法、データ更新装置及びプログラム |
CN113269202B (zh) * | 2021-04-26 | 2023-11-03 | 南方电网数字电网研究院有限公司 | 一种提取门型电塔点云的方法 |
CN113238578B (zh) * | 2021-05-11 | 2022-12-16 | 上海电力大学 | 一种电力杆塔无人机巡检路线规划方法及系统 |
CN114022489A (zh) * | 2021-09-30 | 2022-02-08 | 北京市农林科学院信息技术研究中心 | 家畜点云双向断层区域分割方法及装置 |
US20250014271A1 (en) * | 2021-11-25 | 2025-01-09 |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 Device, method and program that create 3d models |
CN114638985A (zh) * | 2022-03-03 | 2022-06-17 | 北京中关村智连安全科学研究院有限公司 | 一种基于核心点卷积的电力杆塔点云分类分割模型构建方法 |
CN116758529B (zh) * | 2023-08-21 | 2023-11-14 |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广州供电局 | 线路识别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5001901A (ja) * | 2013-06-17 | 2015-01-05 |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 点群解析処理装置、点群解析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840477B2 (ja) * | 2011-12-17 | 2016-01-06 | 大日本除蟲菊株式会社 | アリ防除剤 |
JP6161071B2 (ja) * | 2013-10-15 | 2017-07-12 |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 設備状態検出方法およびその装置 |
JP6692320B2 (ja) | 2017-05-22 | 2020-05-13 |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 設備状態検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
US20200097618A1 (en) * | 2018-09-26 | 2020-03-26 | Dimitris Agouridis | Design engineering tools for visualizing existing utility lines within a land area and validating placement of new utility lines |
-
2019
- 2019-10-07 JP JP2019184232A patent/JP7319886B2/ja active Active
-
2020
- 2020-09-29 KR KR1020200126950A patent/KR10236547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0-09-29 US US17/036,674 patent/US11295130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5001901A (ja) * | 2013-06-17 | 2015-01-05 |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 点群解析処理装置、点群解析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7319886B2 (ja) | 2023-08-02 |
JP2021060776A (ja) | 2021-04-15 |
US20210103727A1 (en) | 2021-04-08 |
KR20210041505A (ko) | 2021-04-15 |
US11295130B2 (en) | 2022-04-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65471B1 (ko) | 공중선 추출 시스템 및 공중선 추출 방법 | |
KR102366062B1 (ko) | 공중선 추출 시스템 및 방법 | |
CN107230251B (zh) | 创建3d城市模型的方法和混合3d成像装置及存储介质 | |
CN105701478B (zh) | 杆状地物提取的方法和装置 | |
CN112132108A (zh) | 地面点云数据的提取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 |
CN106845324B (zh) | 路牌信息的处理方法和装置 | |
US9208555B1 (en) | Method for inspection of electrical equipment | |
CN110110678B (zh) | 道路边界的确定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 |
JP6736931B2 (ja) | 立体物検出方法及び立体物検出装置 | |
JP2017156179A (ja) | 設備状態検出方法および装置の設置方法 | |
WO2022226588A1 (en) |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model of a structure | |
CN111179428B (zh) | 一种基于锁定平面的地物制作方法和装置 | |
KR101079475B1 (ko) | 포인트 클라우드 필터링을 이용한 3차원 도시공간정보 구축 시스템 | |
CN111742242A (zh) | 点云处理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 |
CN114612869A (zh) | 一种路侧激光雷达与车载激光雷达信息融合方法 | |
JP2013008310A (ja) | 三次元地図作成装置およびその窓領域検出装置 | |
CN111191661A (zh) | 一种基于车载激光扫描数据的路灯要素提取方法和装置 | |
KR20130002244A (ko) | 도시공간정보모델의 등급정보에 따라 선택된 건물데이터를 이용하는 도시공간정보 생성 시스템 | |
KR101114904B1 (ko) | 도화원도와 항공 레이저 측량 데이터를 이용한 도시공간정보 구축 시스템 및 그 방법 | |
US20230243976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utility pole loading and/or clearance analyses | |
KR101016071B1 (ko) | 이동측량장치의 이동경로에 따른 스테레오 영상으로부터 벡터변환을 이용하여 대응영역을 추출하는 도시공간 영상처리장치 | |
McCulloch et al. | Utility pole extraction using vehicle-mounted LIDAR for dynamic line rating | |
KR100959246B1 (ko) | 스테레오 영상 및 gps 좌표를 이용하여 도시공간의 지리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 | |
KR20130002238A (ko) | 도화원도 데이터의 건물좌표변환을 통한 공간정보 구축 시스템 및 그 방법 | |
CN118982768A (zh) | 一种国土资源遥测数据管理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7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1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2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2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