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5467B1 - 열전도성 고분자 복합재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방열복합소재 - Google Patents

열전도성 고분자 복합재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방열복합소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5467B1
KR102365467B1 KR1020190163887A KR20190163887A KR102365467B1 KR 102365467 B1 KR102365467 B1 KR 102365467B1 KR 1020190163887 A KR1020190163887 A KR 1020190163887A KR 20190163887 A KR20190163887 A KR 20190163887A KR 102365467 B1 KR102365467 B1 KR 1023654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ally conductive
acid
carbon material
graphite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3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3257A (ko
Inventor
박영수
한웅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탄소산업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탄소산업진흥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탄소산업진흥원
Priority to KR1020190163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5467B1/ko
Publication of KR20210073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3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54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54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08J3/226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using a polymer as a 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0Making granules by moulding the material, i.e. treating it in the molten s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08J3/09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organic liquids
    • C08J3/091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organic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constitution of the organic liquid
    • C08J3/095Oxygen 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1Carbon nano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2Graphene or derivatives, e.g. graph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6Carbon nanorods, nanowires, nanoplatelets or nano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1Conductive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전도성 고분자 복합재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방열복합소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열전도성 고분자 복합재의 제조방법은 열전도성 탄소소재 분말을 포화 지방산 및 C1 내지 C4의 알코올로 이루어진 혼합용매에 혼합한 혼합액을 습식용 펠렛타이저에 넣고 그래뉼 타입의 마스터배치로 수득한 후 상기 그래뉼 타입의 마스터배치와 열가소성수지를 혼합하고 압출기를 통해 얻어진 압출성형물을 팰렛화한 열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를 제공함으로써, 열전도성 탄소소재를 분말상으로 혼합시 분말의 날림으로 인한 공정상 문제와 낮은 분산성을 개선하고, 나아가 상기 열전도성 탄소소재를 고함량으로 포함하여 우수한 열전도성을 가지는 방열복합소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열전도성 고분자 복합재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방열복합소재{MANUFACTURING METHOD OF THERMALLY POLYMERIC COMPOSITE AND COMPOSITE FOR HEAT SINK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열전도성 고분자 복합재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방열복합소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열전도성 탄소소재 분말을 포화 지방산 및 C1 내지 C4의 알코올로 이루어진 혼합용매에 혼합한 혼합액을 습식용 펠렛타이저에 넣고 그래뉼 타입의 열전도성 탄소소재 마스터배치로 수득하고, 상기 그래뉼 타입의 열전도성 탄소소재 마스터배치와 열가소성수지를 혼합하고 압출기를 통해 얻어진 압출성형물을 팰렛화하여 열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를 제공함으로써, 열전도성 탄소소재를 분말상으로 혼합시 분말의 날림으로 인한 공정상 문제점과 혼합공정에서의 높은 점도를 갖는 열전도성 고분자의 탄소소재에 대한 낮은 젖음성 문제를 개선하여 열가소성수지에 열전도성을 효율적으로 부여할 수 있는 열전도성 고분자 복합재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방열복합소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제품 및 자동차 부품에는 사용중에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하여 히트싱크(Heat sink)와 같은 방열재가 사용되고 있다.
방열특성을 갖는 방열재는 LED조명기구, 산업용 인버터, 전기자동차, 로봇기기, 태양광 발전 등 전기전자 부품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 전자제품 기술이 발전하면서 전자제품의 고집적화, 고밀도화, 고성능화에 의하여 사용 중에 발생하는 전자제품 자체의 발열량이 증가됨에 따라 증가된 발열량을 효과적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열전도도가 높은 소재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방열재는 전자제품의 소형화, 경량화, 최소공간화, 휴대가능성화 추구에 의해 열을 방출하기 위한 공간이 더욱 작아져 전자제품이 사용 중에 발생된 열에 의해 그 성능이 현저하게 저하되거나 고장 날 수 있다는 점에서 방열 소재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열가소성수지에 열전도성을 부여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일반적으로 열가소성수지는 열전도도가 낮기 때문에 열전도성이 높은 탄소재료, 금속분말, 세라믹 분말 등의 필러를 첨가하거나 복합화하여 열전도성을 구현하도록 한다. 이때, 열전도도가 높은 필러는 고함량으로 첨가되어야 하고, 완성된 열가소성수지 복합재는 열이 한쪽에서 다른 한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열전달 경로를 만들어야 한다. 따라서, 열전도성 필러의 함량과 열가소성수지 복합재의 열전도성과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러나 열가소성수지는 대체로 용융온도(melting point) 이상의 온도에서도 점도가 높아 수만에서 수백만의 점도를 가지고 있어, 열전도성 필러에 대한 낮은 젖음성으로 인하여 고분자와 열전도성 필러 사이에 열전도성이 낮은 기포 등이 남아 있어 열가소성 고분자수지의 열전도성 증가를 방해하는 문제점을 갖는다. 열전도성 필러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방해하는 기포가 증가하여 고함량의 열전도성 필러를 첨가 또는 복합화에도 비교적 낮은 열전도성을 갖는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 열전도성이 높은 탄소재료로서 대표적인 탄소나노튜브는 종래 다른 소재 대비 매우 우수한 전기적, 기계적, 화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전자, 전기제품, 고기능 복합체 등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낮은 밀도 및 수십 마이크로의 분말 형태로 인해 처리과정에서의 흩날림으로 인한 인체 유해성 및 전기 제품의 오작동을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혼합하고자 하는 펠렛 및 분말 형태의 고분자와의 큰 겉보기 밀도 차이로 인한 분산의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특히, 공정상 탄소나노튜브의 흩날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처리, 계면활성제 처리로 보완하고 있으나,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나노튜브 용액의 필터링 건조 등의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원래 합성된 탄소나노튜브에 비해 3차원 고밀도화에 의한 재분산성이 현격하게 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 일례로, 특허문헌 1에는 '나노카본액 조성물, 나노카본 수지 조성물, 나노카본 고형체, 나노카본 수지체 및 이들의 제조방법'에서는 탄소나노튜브를 액상에 분산, 건조 후, 수지 및 금속을 넣어 펠렛을 제조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으며, 특허문헌 2에는 계면활성제와 수성라텍스(수용성전구체)를 처리하여 분산을 하는 방법 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탄소나노튜브를 분산 또는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액이 탄소나노튜브 대비 10배에서 100배의 용액을 사용함에 따라, 탄소나노튜브의 필터 및 건조 등의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함과 더불어 사용된 용액을 후처리해야 하는 등의 단점이 있다.
열전도성이 높은 또 다른 탄소재료로서 흑연은 겉보기 밀도가 크기에 따라서 크게 달라지며, 펠렛 형태의 고분자 수지와의 혼합 시 상대적으로 큰 부피를 차지하여, 혼합에 있어 큰 어려움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고분자수지를 동결분쇄 등을 통하여 미분화하여 분말끼리 섞는 방법 또는 흑연을 고분자수지와 유사한 형태로 혼합하는 방법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열가소성수지에 열전도성을 부여하기 위한 종래 방법들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노력한 결과, 고분자수지와 유사한 형태인 그래뉼 타입의 열전도성 탄소소재 마스터배치로 제조하고 별도의 분쇄공정없이 열가소성수지와 혼합하고 그로부터 얻어진 압출성형물을 펠렛화하여 열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를 제공함으로써, 종래 분말의 날림으로 인한 공정문제를 해소하고 우수한 작업성을 제공하고, 종래 분말 형태로 제조된 복합재 대비, 대등하거나 그 이상의 우수한 열전도도, 전기전도도 및 인장강도를 보이므로 방열복합소재로서 유용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특허 제1084977호 (2011.11.23 공고)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06-0006002호 (2006.01.18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열가소성수지에 열전도성을 효율적으로 부여한, 열전도성 고분자 복합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로 이루어진 방열복합소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열전도성 탄소소재 분말을 포화 지방산 및 C1 내지 C4의 알코올로 이루어진 혼합용매에 혼합한 혼합액을 습식용 펠렛타이저에 넣고 그래뉼 타입의 열전도성 탄소소재 마스터배치를 수득하고, 상기 그래뉼 타입의 열전도성 탄소소재 마스터배치 30 내지 60중량% 및 열가소성수지 40 내지 70중량%를 혼합하고 압출기를 통해 압출성형물을 팰렛화한, 열전도성 고분자 복합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열전도성 탄소소재는 흑연, 팽창흑연,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및 탄소나노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탄소소재를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 포화 지방산은 부티릭산(butyric acid), 카포릭산(caproic acid), 카프리릭산(caprylic acid), 카프릭산(capric acid), 라우릭산(lauric acid), 미리스틱산(myristic acid), 팔미틱산(palmitic acid) 및 스테아르산(stear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그래뉼 타입의 열전도성 탄소소재 마스터배치는 열전도성 탄소소재가 80중량% 이상 과량 포함될 수 있으며, 그래뉼 타입의 열전도성 탄소소재 마스터배치의 입자크기는 1 내지 10㎜의 직경을 가지는 형태로 수득된다.
상기 열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로 바람직하게는 흑연-폴리아미드 복합재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열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로 이루어진 방열복합소재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의 탄소소재가 포함된 열전도성 고분자 복합재가 우수한 열전도도, 전기전도도 및 인장강도 물성을 충족하므로 이를 이용한 방열복합소재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그래뉼 타입의 열전도성 탄소소재 마스터배치로 제조하여 별도의 분쇄공정없이 열가소성수지와 혼합하고 그로부터 얻어진 압출성형물을 펠렛화한, 열전도성 고분자 복합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열전도성 탄소소재 마스터배치는 상기 열전도성 탄소소재를 과량 포함시킬 수 있고, 사출가능한 그래뉼 타입의 입자크기로 수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종래 열전도성 탄소소재를 분말상으로 혼합 시 분말의 날림으로 인한 공정상 문제점과 혼합공정에서의 높은 점도를 갖는 열전도성 고분자의 탄소소재에 대한 낮은 젖음성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래뉼 타입의 열전도성 탄소소재 마스터배치를 고분자 복합재 제조공정에 적용할 때, 별도의 분쇄공정없이 열가소성수지와 혼합하고 압출성형물을 팰렛화하여 제공함으로써, 성형성이 용이하고, 생산성이 높아 가격경쟁력이 우수하고, 열전도도가 향상되어 방열특성이 우수한 방열복합소재를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그래뉼 타입의 열전도성 탄소소재 마스터배치를 촬영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1) 열전도성 탄소소재 분말을 포화 지방산 및 C1 내지 C4의 알코올로 이루어진 혼합용매에 혼합한 혼합액을 습식용 펠렛타이저에 넣고 그래뉼 타입의 열전도성 탄소소재 마스터배치를 수득하고,
2) 상기 그래뉼 타입의 열전도성 탄소소재 마스터배치 30 내지 60중량% 및 열가소성수지 40 내지 70중량%를 혼합하고 압출기를 통해 얻어진 압출성형물을 팰렛화한, 열전도성 고분자 복합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1) 단계에서 열전도성 탄소소재는 흑연, 팽창흑연,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및 탄소나노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탄소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바람직한 일례로서 흑연을 사용하여 설명하고 있다.
1) 단계에서 사용된 포화 지방산은 부티릭산(butyric acid), 카포릭산(caproic acid), 카프리릭산(caprylic acid), 카프릭산(capric acid), 라우릭산(lauric acid), 미리스틱산(myristic acid), 팔미틱산(palmitic acid) 및 스테아르산(stear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테아르산(stearic acid)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할 것이다.
또한, C1 내지 C4의 알코올 중에서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사용한다.
상기 1) 단계는 그래뉼 타입의 열전도성 탄소소재 마스터배치를 수득하는 단계로서, 포화 지방산의 녹는점 이상으로 가열 및 알코올을 첨가하여, 포화 지방산이 최대한 용해하도록 하며, 여기에 열전도성 탄소소재 분말을 혼합하여, 액상 펠렛타이저로 펠렛화시켜 냉각 및 알코올 증발을 통하여 탄소소재-지방산 마스터배치를 얻거나, 열전도성 탄소소재가 혼합 용해된 포화 지방산의 혼합물을 차가운 물에 서서히 떨어뜨리면서 휘저어주면, 혼합물로부터 열전도성 탄소소재가 혼합된 포화 지방산이 고형화되면서 상분리가 된다. 이러한 공정의 반복과정을 거쳐 상분리된 결정부분을 회수하여 그래뉼 타입의 열전도성 탄소소재 마스터배치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포화 지방산에서의 친유성 부분은 열전도성 탄소소재와의 상용성으로 인하여 쉽게 탄소소재를 감싸게 되어 포화 지방산과 열전도성 탄소소재와의 밀착성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스크류 압출기에서의 열가소성수지와 방열 필러 마스터배치와의 혼합공정에 있어서, 포화 지방산은 재용융되어 낮은 점도를 이루어 열전도성 탄소소재와 고분자수지와의 계면에 위치하여 낮은 열전도도를 가지는 공기의 침투를 방해함으로써, 고분자 복합재의 열전도성을 높이는 효과를 나타낸다[표 2].
도 1은 본 발명의 그래뉼 타입의 열전도성 탄소소재 마스터배치를 촬영한 사진이고, 그래뉼 타입의 열전도성 탄소소재 마스터배치의 입자크기는 1 내지 10mm의 직경을 가지는 형태로 수득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mm의 직경을 가지는 형태로 수득된다.
상기 입자크기를 가지는 그래뉼 타입의 열전도성 탄소소재 마스터배치를 제공함으로써, 분말 혼합 공정에 적용할 때, 별도의 분쇄공정없이 수행할 수 있어, 공정 생략으로 인한 가격경쟁력을 높일 수 있고 분말 작업시 작업자의 건강 및 시설 등의 문제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상기 단계 1)로 수득된 그래뉼 타입의 열전도성 탄소소재 마스터배치는 열전도성 탄소소재를 80중량% 이상의 과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계 2)는 단계 1)에서 수득된 그래뉼 타입의 열전도성 탄소소재 마스터배치 30 내지 60중량% 및 열가소성수지 40 내지 70중량%를 혼합하고 압출기를 통해 얻어진 압출성형물을 펠렛화하여 열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를 제공한다.
상기 그래뉼 타입의 열전도성 탄소소재 마스터배치 함량이 30중량% 미만이면, 고분자 복합재의 열전도성 향상 효과가 미흡하고, 반면에 60중량%를 초과하면, 충격 및 인장 등의 고분자 복합재의 기계적 물성이 하락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에서 사용된 열가소성수지는 PP(polypropylene), PA6(Polyamide6),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BT(poly-butylene-terephthalate), PA66(Polyamide66) 등을 포함하고,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 PC(polycarbonate), PA(polyamide)의 경우도 적용할 수 있다.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바람직한 일례로서 폴리아미드를 사용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흑연-폴리아미드 복합재를 제공한다.
특히, 흑연은 겉보기 밀도가 크기에 따라서 크게 달라지며, 펠렛 형태의 고분자 수지와의 혼합 시 상대적으로 큰 부피를 차지하여, 혼합에 있어 큰 어려움이 지적된 소재이다.
이에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통해, 흑연 분말을 그래뉼 타입의 흑연 마스터배치로 제조한 후 이를 열가소성수지와 혼합하고 압출기를 통해 얻어진 압출성형물을 팰렛화함으로써 흑연-폴리아미드 복합재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그래뉼 타입의 열전도성 탄소소재 마스터배치를 사용함으로써, 복합재 제조공정에 별도의 분쇄공정없이 적용할 수 있어, 생산성을 높이며 그에 따라 가격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래뉼 타입의 열전도성 탄소소재 마스터배치와 열가소성수지를 혼합한 압출성형물을 팰렛화하여 사출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용이한 성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압출 이후 열이 식으면서 열가소성수지가 수분을 흡수하기 때문에 수분이 높아지면 사출성형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압출 성형 직후 수분을 흡수하여 함수율이 높아져 있기 때문에, 압출 성형된 팰렛을 제습 건조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의 열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로 이루어진 방열복합소재를 제공한다.
상기의 열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는 종래 분말 형태로 제조된 복합재 대비, 대등하거나 그 이상의 우수한 열전도도, 전기전도도 및 인장강도를 보이므로[표 1 참조] 방열복합소재로서 유용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흑연-폴리아미드 복합재 펠렛 제조
단계 1: 흑연 마스터배치의 제조
먼저 스테아르산 90g을 에탄올 450g에 녹인 다음, 이 용액에 100㎛ 흑연 분말 810g을 넣어 혼합하였다. 용액 대비 고형분 성분이 많아, 고점도 믹서(Kneader & mixer)를 이용하여 혼합하였다. 상기 흑연-스테아르산-에탄올 혼합물을 습식용 펠렛타이져에 넣고 그래뉼 타입의 흑연 마스터배치를 제조한 후 50℃에서 12시간 건조하였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3번 반복하였다.
단계 2: 흑연-폴리아미드 복합재 펠렛 제조
이축 스크류 압출기로 혼합하기 전에 먼저, 10L 플라스틱 통에 폴리아미드(Nylon 6) 700g(70중량%)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흑연 마스터배치 300g(30중량%)을 넣고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트윈 스크류 압출기를 이용하여 200∼260℃ 온도 범위에서 혼합 및 압출, 수냉각, 절단하여 흑연-폴리아미드 복합재 펠렛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흑연-폴리아미드 복합재를 건조한 후, 사출성형기를 이용하여 200∼260℃ 온도 범위에서 사출 성형하여 복합재 시편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2> 흑연-폴리아미드 복합재 펠렛 제조
이축 스크류 압출기로 혼합하기 전에 먼저, 10L 플라스틱 통에 폴리아미드(Nylon 6) 600g(60중량%)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흑연 마스터배치 400g(40중량%)을 넣고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트윈 스크류 압출기를 이용하여 200∼260℃ 온도 범위에서 혼합 및 압출, 수냉각, 절단하여 흑연-폴리아미드 복합재 펠렛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흑연-폴리아미드 복합재를 건조한 후, 사출성형기를 이용하여 200∼260℃ 온도 범위에서 사출 성형하여 복합재 시편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3> 흑연-폴리아미드 복합재 펠렛 제조
이축 스크류 압출기로 혼합하기 전에 먼저, 10L 플라스틱 통에 폴리아미드(Nylon 6) 500g(50중량%)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흑연 마스터배치 500g(50중량%)을 넣고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트윈 스크류 압출기를 이용하여 200∼260℃ 온도 범위에서 혼합하고, 압출, 수냉각, 절단하여 흑연-폴리아미드 복합재 펠렛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흑연-폴리아미드 복합재를 건조한 후, 사출성형기를 이용하여 200∼260℃ 온도 범위에서 사출 성형하여 복합재 시편을 제작하였다.
<실시예 4> 흑연-폴리아미드 복합재 펠렛 제조
이축 스크류 압출기로 혼합하기 전에 먼저, 10L 플라스틱 통에 폴리아미드(Nylon 6) 400g(40중량%)과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흑연 마스터배치 600g(60중량%)을 넣고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트윈 스크류 압출기를 이용하여 200∼260℃ 온도 범위에서 혼합하고, 압출, 수냉각, 절단하여 흑연-폴리아미드 복합재 펠렛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흑연-폴리아미드 복합재를 건조한 후, 사출성형기를 이용하여 200∼260℃ 온도 범위에서 사출 성형하여 복합재 시편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1>
폴리아미드(Nylon 6) 고분자 수지는 흑연과 혼합하기 전에 먼저 액화질소로 냉각한 동결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여 분말을 수득하였다. 상기 분쇄된 폴리아미드 분말 700g(70중량%)과 100㎛ 흑연 분말 300g(30중량%)을 고점도 믹서(Kneader & mixer)를 이용하여 혼합하였다. 이후 흑연 분말과 폴리아미드 분말을 혼합하고 트윈 스크류 압출기를 이용하여 200∼260℃ 온도범위에서 혼합하고, 압출, 수냉각, 절단하여 흑연-폴리아미드 복합재 펠렛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흑연-폴리아미드 복합재 펠렛을 건조한 후, 사출성형기를 이용하여 200∼260℃ 온도 범위에서 사출 성형하여 복합재 시편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2>
폴리아미드(Nylon 6) 고분자 수지는 흑연과 혼합하기 전에 먼저 액화질소로 냉각한 동결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여 분말을 수득하였다. 상기 분쇄된 폴리아미드 분말 600g(60중량%)과 100㎛ 흑연 분말 400g(40중량%)을 고점도 믹서(Kneader & mixer)를 이용하여 혼합하였다. 이후 흑연 분말과 폴리아미드 분말을 혼합하고 트윈 스크류 압출기를 이용하여 200∼260℃ 온도범위에서 혼합하고, 압출, 수냉각, 절단하여 흑연-폴리아미드 복합재 펠렛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흑연-폴리아미드 복합재 펠렛을 건조한 후, 사출성형기를 이용하여 200∼260℃ 온도 범위에서 사출 성형하여 복합재 시편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3>
폴리아미드(Nylon 6) 고분자 수지는 흑연과 혼합하기 전에 먼저 액화질소로 냉각한 동결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여 분말을 수득하였다. 상기 분쇄된 폴리아미드 분말 500g(50중량%)과 100㎛ 흑연 분말 500g(50중량%)을 고점도 믹서(Kneader & mixer)를 이용하여 혼합하였다. 이후 흑연 분말과 폴리아미드 분말을 혼합하고 트윈 스크류 압출기를 이용하여 200∼260℃ 온도범위에서 혼합하고, 압출, 수냉각, 절단하여 흑연-폴리아미드 복합재 펠렛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흑연-폴리아미드 복합재 펠렛을 건조한 후, 사출성형기를 이용하여 200∼260℃ 온도 범위에서 사출 성형하여 복합재 시편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4>
폴리아미드(Nylon 6) 고분자 수지는 흑연과 혼합하기 전에 먼저 액화질소로 냉각한 동결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하여 분말을 수득하였다. 상기 분쇄된 폴리아미드 분말 400g(40중량%)과 100㎛ 흑연 분말 600g(60중량%)을 고점도 믹서(Kneader & mixer)를 이용하여 혼합하였다. 이후 흑연 분말과 폴리아미드 분말을 혼합하고 트윈 스크류 압출기를 이용하여 200∼260℃ 온도범위에서 혼합하고, 압출, 수냉각, 절단하여 흑연-폴리아미드 복합재 펠렛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흑연-폴리아미드 복합재 펠렛을 건조한 후, 사출성형기를 이용하여 200∼260℃ 온도 범위에서 사출 성형하여 복합재 시편을 제작하였다.
<실험예 1> 물성평가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1∼4에서 제조된 흑연이 함유된 고분자 복합재 펠렛을 사출성형기를 이용하여 시험편으로 사출 성형한다.
상기 사출성형된 시험편의 열전도도, 전기전도도 및 인장강도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Figure 112019127602619-pat00001
상기 표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4에서 제조된 방열복합소재는 통상 분말형태로 적용된 비교예 1∼4의 복합재 대비, 열전도도 전기전도도 및 인장강도가 대등 이상의 물성을 보였다.
이러한 물성결과는 고분자 복합재 제조 시 통상 분말 형태가 아닌, 그래뉼 타입의 흑연 마스터배치를 사용함에 따라 작업성이 우수하고, 복합재 제조공정에 별도의 분쇄공정없이 적용할 수 있어, 생산성을 높이며, 그에 따라 가격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그래뉼 타입의 흑연 마스터배치는 별도의 분쇄공정없이 중합공정상에서 사출가능한 수준으로 입자크기로 확보할 수 있어 성형성이 용이하다.
<실험예 2> 물성평가
상기 실시예 3의 흑연-폴리아미드 복합재에서, 흑연의 크기(직경) 및 함량에 따른 흑연과 열가소성수지 사이의 열계면 면적(㎟)을 실험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이때, 흑연-폴리아미드 복합재는 부피 1㎤를 갖는다.
Figure 112019127602619-pat00002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흑연의 직경이 작아질수록, 그리고 흑연 함량이 증가할수록, 열계면 면적이 현저히 증가하는 결과를 확임함으로써, 흑연의 직경과 그 함량이 열계면 면적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열전도성 고분자 복합재, 구체적으로 흑연-폴리아미드 복합재의 경우, 열전달을 하는 흑연과 폴리아미드 사이의 계면에서의 높은 열전달이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스크류 압출기에서의 고분자수지와 열전도성 탄소소재 마스터배치와의 혼합공정에서, 포화 지방산은 재용융되어 낮은 점도를 이루어 흑연-폴리아미드와의 계면에 위치하게 되므로, 낮은 열전도도를 가지는 공기의 침투를 방해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고분자 복합재의 열전도성을 높이는 효과를 달성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7)

  1. 열전도성 탄소소재 분말을 포화 지방산 및 C1 내지 C4의 알코올로 이루어진 혼합용매에 혼합한 혼합액을 습식용 펠렛타이저에 넣고 그래뉼 타입의 열전도성 탄소소재 마스터배치를 수득하고,
    상기 그래뉼 타입의 열전도성 탄소소재 마스터배치 50 내지 60중량% 및 열가소성수지 40 내지 50중량%를 혼합하고 압출기를 통해 압출성형물을 팰렛화하고,
    상기 열전도성 탄소소재 분말이 흑연, 팽창흑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탄소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성 고분자 복합재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화 지방산이 부티릭산(butyric acid), 카포릭산(caproic acid), 카프리릭산(caprylic acid), 카프릭산(capric acid), 라우릭산(lauric acid), 미리스틱산(myristic acid), 팔미틱산(palmitic acid) 및 스테아르산(stear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성 고분자 복합재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뉼 타입의 마스터배치에 전도성 탄소소재가 80중량% 이상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성 고분자 복합재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뉼 타입의 마스터배치가 1 내지 10mm의 직경을 가지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성 고분자 복합재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성 고분자 복합재가 흑연-폴리아미드 복합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도성 고분자 복합재의 제조방법.
  7.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열전도성 고분자 복합재로 이루어진 방열복합소재.
KR1020190163887A 2019-12-10 2019-12-10 열전도성 고분자 복합재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방열복합소재 KR1023654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3887A KR102365467B1 (ko) 2019-12-10 2019-12-10 열전도성 고분자 복합재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방열복합소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3887A KR102365467B1 (ko) 2019-12-10 2019-12-10 열전도성 고분자 복합재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방열복합소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257A KR20210073257A (ko) 2021-06-18
KR102365467B1 true KR102365467B1 (ko) 2022-02-18

Family

ID=76623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3887A KR102365467B1 (ko) 2019-12-10 2019-12-10 열전도성 고분자 복합재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방열복합소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54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4507083A (ja) 2021-12-22 2024-02-16 コリア インスティテュート オブ セラミック エンジニアリング アンド テクノロジー 放熱素材、これを含む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30151430A (ko) 2022-10-20 2023-11-01 한국세라믹기술원 방열 소재,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N115418076B (zh) * 2022-09-13 2024-04-16 江苏合和阖新材料科技有限公司 高导复合材料散热制品及其冷/热压成型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72159A1 (en) 2003-02-13 2004-08-26 Stichting Dutch Polymer Institute Reinforced polymer
KR101084977B1 (ko) 2010-04-16 2011-11-23 (주)월드튜브 나노카본액 조성물, 나노카본 수지 조성물, 나노카본 고형체, 나노카본 수지체 및 이들의 제조방법
US8961834B2 (en) * 2011-03-23 2015-02-24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Carbon nanotube masterbatch, preparation thereof, and use in forming electrically conductive thermoplastic composition
US20150073088A1 (en) * 2013-09-06 2015-03-12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Composite of filler and polymer resi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20190053666A (ko) * 2017-11-10 2019-05-20 주식회사 서연이화 탄소소재 복합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257A (ko) 2021-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5467B1 (ko) 열전도성 고분자 복합재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방열복합소재
US11365336B2 (en) Polymer-polymer fiber composite for high thermal conductivity
JP6021946B2 (ja) カーボンナノ素材のペレットの製造方法
US8048341B2 (en) Nanocarbon-reinforced polymer composite and method of making
CN103146024B (zh) 多孔石墨烯/聚合物复合结构、其制备方法及应用
KR101211134B1 (ko) 탄소나노소재/고분자 복합소재의 제조방법
CN107603211B (zh) 一种高流动高韧性导热尼龙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JP6527010B2 (ja) 熱伝導性樹脂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muallim et al. Thermally conductive polymer nanocomposites for filament-based additive manufacturing
KR101781374B1 (ko) 방열 및 전자파 차폐 특성이 우수한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WO2019079471A1 (en) FILAMENT BASED ON A THERMOCONDUCTIVE POLYMER
US20060247352A1 (en) EMI shielding material
KR20120077647A (ko) 고분자/탄소나노튜브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45746A (ko) 3d 프린터용 고방열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CN115216130A (zh) 高导电、高平整度且低微气孔的碳纳米管改性聚碳酸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制品
WO2006025555A1 (en) Electrically conductive composites with resin and vgcf, production process, and use thereof
KR101791125B1 (ko) 기계적 물성 및 열전도성이 우수한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621595B1 (ko) 열가소성 전자파 차폐 조성물, 탄소소재 강화된 복합체의 제조방법 및 플라스틱 사출 성형품
CN112080062A (zh) 一种采用弹性体为载体的石墨烯多功能母粒及其制备方法
KR20130036114A (ko) 탄소나노튜브 강화된 폴리프로필렌 제조방법
CN111393744A (zh) 具有抗菌导电性的tpe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384315B1 (ko) 열가소성수지 기반 열전도성 마스터배치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방열복합소재
US20060135655A1 (en) Method for improving filler dispersal and reducing tensile modulus in a thermally conductive polymer composition
KR102213536B1 (ko) 방열 및 전자파 차폐 특성이 우수한 장섬유 강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JP2783427B2 (ja) 炭素繊維/熱可塑性樹脂コンパウ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