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5452B1 - 배선작업물용 작업대 - Google Patents

배선작업물용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5452B1
KR102365452B1 KR1020210085803A KR20210085803A KR102365452B1 KR 102365452 B1 KR102365452 B1 KR 102365452B1 KR 1020210085803 A KR1020210085803 A KR 1020210085803A KR 20210085803 A KR20210085803 A KR 20210085803A KR 102365452 B1 KR102365452 B1 KR 102365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wiring
support frames
fram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5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대섭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티에스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티에스이엔지 filed Critical 유한회사 티에스이엔지
Priority to KR1020210085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54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5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5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3/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assembly, or maintenance of boards or switch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rkshop Equipment, Work Benches, Supports, Or Storag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하고자 하는 작업물을 바닥에 대하여 직립된 자세로 거치지지하여 작업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간편신속하게 작업을 하도록 되어 작업성을 향상시키도록;
배선작업물의 배선틀을 고정 지지하여 조립작업을 수행하도록 된 배선작업물용 작업대에 있어서;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배치되는 수평고정바와; 각각의 상단이 상기 수평고정바에 고정되며 하단이 바닥에 지지되어 바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구비되며 각각 서로 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는 수직지지프레임들; 및 고정지지프레임들과; 상기 고정지지프레임들에 대하여 수직상 간격을 가지면서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고정되고 전면에 상기 배선틀이 고정되는 작업지지프레임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배선작업물용 작업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배선작업물용 작업대{Workbench for wiring work}
본 발명은, 전기배전반이나 자동제어반 등과 같이 내부에 각종 배선이 시설되는 배선작업물을 제작할 때, 작업물에 대한 배선작업을 편안하고 안정된 정자세로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배선작업효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작업자의 건강을 도모하도록 되어 사용품질을 향상시키도록 된배선작업물용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작업하고자 하는 작업물을 바닥에 대하여 직립된 자세로 거치지지하여 작업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간편신속하게 작업을 하도록 되어 작업성을 향상시키도록 된 배선작업물용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작업물을 임의로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되어,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하도록 된 배선작업물용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전기배전반이나 자동제어반 등과 같이 내부에 각종 배선이 시설되는 배선작업물을 조립 및 제조하고자 할 경우에는, 작업물의 형태를 형성하는 틀구조물(frame)에 배선(케이블), 전기전자요소 등과 같은 각종 구성품을 조립하여 제조하게 된다.
이때, 상기 틀구조물은, 바닥에 대하여 소정높이를 가지면서 배치되는 작업상판이 구비된 테이블형 작업대에 안치한 후, 조립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비교적 부피가 큰 전기배전반이나 자동제어반 등과 같은 대형작업물들은, 주로 바닥에 깔아놓고 작업자가 일일히 조립작업을 수행하게 됨에 따라, 작업자가 정자세로 조립작업을 수행하지 못함에 따라, 작업효율 및 작업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들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바닥에 대하여 작업물을 소정 높이로 지지배치한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각종 작업대들이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중 하나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9-0024202호(명칭: 기판 조립 테이블/2009.03.20.)가 있으며,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베이스; 및 기판을 고정시키며, 상기 베이스 상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축으로 연결되는 기판 고정 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 고정 프레임의 외측과 상기 베이스 일부 부위를 체결하여 상기 기판 고정 프레임을 상기 베이스 상에서 수평 상태로 고정시키는 수평 잠금장치;를 포함하는 조립 테이블이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6-0024027호(명칭: 와이어 하네스 조립용 테이블/2006.09.06.)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바닥에 지지되고 나란하게 한 쌍 배열되는 가로 프레임과, 상기 가로 프레임 각각의 상부로 연장 형성되는 세로 프레임과, 상기 세로 프레임에 연결되며 조립을 위한 와이어 하네스를 정렬하는 상판을 구비하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세로 프레임의 둘레와 상부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세로 프레임에 대해 상기 상부 프레임의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는 각도조절부재와, 상기 세로 프레임의 상단과 상부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프레임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낮이조절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립용 테이블이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3-0016243호(명칭: 부품 조립용 다중 작업대/2003.05.26.)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지그를 얹어 놓는 테이블틀 후방에 핀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한 후방지지각과, 상기 테이 블의 전방을 지지하는 관체지지각의 내경에 삽입하여 핀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한 조절대와 상기 조절대의 상방에 판체를 연결하여 판체에 작업판을 현수하도록하고상기 관체지지각 외경에 연결구를 삽입하여 이 연결구에 후방지지각에 핀으로 연결한 경사조절대를 끼워서되는 다중 작업대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2-0004742호(명칭: 용기 조립용 작업대/2002.02.18.)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상단에 토출구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개구부가 형성된 용기의 개구부에 하부캡을 고정 결합하는 용기조립용 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는 테이블과, 이 테이블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노즐과, 이 에어노즐에 연접설치되어 용기를 근접시키면 이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에어노즐에 설치된 개폐밸브와, 상기 테이블의 상면 타측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의 개구부에 씌워진 하부캡을 프레싱하여 결합하는 프레스기구와, 상기 센서에 의해 용기가 근접되는 것이 감지되면 에어를 토출시키도록 상기 개폐밸브를 개방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립용 작업대가 기재되어 있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9-0024202호(2009.03.20.)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6-0024027호(2006.09.06.)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3-0016243호(2003.05.26.)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2-0004742호(2002.02.18.)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작업대들은, 전기배전반이나 자동제어반 등과 같은 비교적 부피가 큰 배선작업물을 조립하여 제작할 때, 작업물을 바닥에 대하여 수직상으로 배치하기 힘들어 범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작업하고자 하는 작업물에 대한 제한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작업물을 임의로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지 못함에 따라, 작업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게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비교적 부피가 큰 전기배전반이나 자동제어반 등과 같이 내부에 각종 배선이 시설되는 배선작업물을 제작할 때, 작업물에 대한 배선작업을 편안하고 안정된 정자세로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배선작업효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작업자의 건강을 도모하도록 되어 사용품질을 향상시키도록 된 배선작업물용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교적 부피가 큰 작업물을 바닥에 대하여 직립된 자세로 거치지지하여 작업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간편신속하게 작업을 하도록 되어 작업성을 향상시키도록 된 배선작업물용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교적 부피가 큰 작업물을 임의로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되어,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하도록 된 배선작업물용 작업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배선작업물용 작업대는, 배선작업물의 배선틀을 고정 지지하여 조립작업을 수행하도록 된 배선작업물용 작업대에 있어서;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배치되는 수평고정바와; 각각의 상단이 상기 수평고정바에 고정되며 하단이 바닥에 지지되어 바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구비되며 각각 서로 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는 수직지지프레임들; 및 고정지지프레임들과; 상기 고정지지프레임들에 대하여 수직상 간격을 가지면서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고정되고 전면에 상기 배선틀이 고정되는 작업지지프레임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지지프레임들과 상기 고정지지프레임들은, 상기 수평고정바에서 하측방향으로 서로 경사지지각도(A)를 가지면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업지지프레임들의 전면에는, 상기 배선틀이 고정된 베이스플레이트가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업지지프레임들의 전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가 직선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레일홈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는, 상기 수평레일홈에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결속볼트를 통해 결속되는 고정피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배선작업물용 작업대는, 비교적 부피가 큰 전기배전반이나 자동제어반 등과 같이 내부에 각종 배선이 시설되는 배선작업물을 제작할 때, 배선틀이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가 각각 작업지지프레임들의 수평레일홈들에 수평상 직선이동가능하게 결속되어 바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치됨에 따라, 작업자가 앉거나 선 상태에서 배선작업을 편안하고 안정된 정자세로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배선작업효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작업자의 건강을 도모하도록 되어 사용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즉, 작업물을 바닥에 대하여 직립된 자세로 거치지지하여 작업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간편신속하게 작업을 하도록 되어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배선작업물용 작업대를 보인 개략 분리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배선작업물용 작업대를 보인 개략 결합 사시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배선작업물용 작업대를 보인 개략 결합 단면 예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배선작업물용 작업대를 구성하는 수직지지프레임들의 결속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배선작업물용 작업대를 구성하는 고정지지프레임들 및 작업지지프레임들의 다른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배선작업물용 작업대를 구성하는 수직지지프레임들과 연결프레임의 다른 결속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1 및 도 12, 본 실시 예에 의한 배선작업물용 작업대를 구성하는 수직지지프레임들 및 고정지지프레임들의 다양한 조립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3 및 도 1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배선작업물용 작업대를 구성하는 작업지지프레임들 및 베이스플레이트의 작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배선작업물용 작업대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배선작업물용 작업대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배선작업물용 작업대(1)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배선작업물용 작업대(1)는, 비교적 부피가 큰 전기배전반이나 자동제어반 등과 같이 내부에 각종 배선이 시설되는 배선작업물을 제작할 때, 상기 배선작업물을 구성하는 배선틀(100)을 고정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하는 것에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배선틀(100)을 바닥에 대하여 소정 높이로 고정지지하여 작업자가 보도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배선 및 조립작업을 수행하는 것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배선작업물용 작업대(1)는,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배치되는 수평고정바(2)와; 각각의 상단이 상기 수평고정바(2)에 고정되며 하단이 바닥에 지지되어 바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구비되며 각각 서로 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는 수직지지프레임(3)들; 및 고정지지프레임(4)들과; 상기 고정지지프레임(4)들에 대하여 수직상 간격을 가지면서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고정되고 전면에 상기 배선틀(100)이 고정되는 작업지지프레임(5)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수평고정바(2)를 꼭지점으로 하여 상기 수직지지프레임(3)들 및 고정지지프레임(4)들이 바닥에 대하여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지지되어 전체적으로 삼각형상으로 시설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지지프레임(4)들의 전면에 상기 작업지지프레임(5)들이 수평적으로 결속된 후, 상기 작업지지프레임(5)들의 전면에 상기 배선틀(100)을 고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배선틀(100)이 바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치됨에 따라, 작업자가 앉거나 선 상태에서 배선 및 조립작업을 편안하고 안정된 정자세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배선 및 조립 작업효율을 향상시킴은 물론, 작업자의 건강을 도모하여 사용품질이 향상된다.
이때, 상기 고정지지프레임(4)들이 상기 작업지지프레임(5)들에 의해 수평상으로 연결되면서 결합되어,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수평고정바(2)는, 길이를 가지는 '관(管;pipe)' 형상으로 이루어져, 가벼우면서 구조적 강도를 크게 하도록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수직지지프레임(3)들 및 상기 고정지지프레임(4)들 및 상기 작업지지프레임(5)들은, 2개1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그 갯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수직지지프레임(3)들 및 상기 고정지지프레임(4)들의 각각의 상단에는, 상기 수평고정바(2)가 관통되면서 결속되는 '관(管;pipe)' 형상의 결합관(6)이 각각 구비되어, 각각의 상기 결합관(6)들을 통해 상기 수평고정바(2)에 상기 수직지지프레임(3)들 및 상기 고정지지프레임(4)들이 끼움결속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수평고정바(2)에 상기 수직지지프레임(3)들 및 상기 고정지지프레임(4)들이 무단으로 회동하지 않을 정도의 마찰력을 형성하면서 끼움결속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배선작업물용 작업대(1)에서, 상기 수직지지프레임(3)들과 상기 고정지지프레임(4)들은, 상기 수평고정바(2)에서 하측방향으로 서로 경사지지각도(A)를 가지면서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직지지프레임(3)들과 상기 고정지지프레임(4)들이 경사지지각도(A)를 가지면서 시설되어, 전체적으로 상기 수평고정바(2)를 꼭지점으로 하여 상기 수직지지프레임(3)들 및 고정지지프레임(4)들이 바닥에 대하여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지지되어 전체적으로 삼각형상으로 시설될 수 있으며; 상기 경사지지각도(A)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배선작업물용 작업대(1)에서, 상기 수직지지프레임(3)들은, 길이를 가지며 상단에 상기 결합관(6)이 구비되며 '관(管;pipe)' 형상의 수직지지관(31)과; 상기 수직지지관(31)의 하단개구를 통해 내부로 진입하면서 끼움결합하는 '관(管;pipe)' 형상의 길이조절관(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수직지지관(31)에 대하여 상기 길이조절관(32)의 끼움결속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상기 수직지지프레임(3)의 전체길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1 및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지지각도(A)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조절하도록 되어, 상기 작업지지프레임(5)에 지지배치되는 상기 배선틀(100)의 바닥에 대한 수직상 경사각도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도록 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취향에 따라, 적합하게 맞춤되게 배치시설하도록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에서 수직지지관(31)에는,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가지면서 배열되는 다수의 조절공(311)들이 형성되고; 상기 길이조절관(32)에는, 상기 조절공(311)을 관통하면서 탄성적으로 걸림고정되어 상기 수직지지관(31)에 상기 길이조절관(32)을 고정하는 고정부재(33)들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수직지지프레임(3)들의 선택 조절된 길이를 유지하도록 될 수 있다.
상기에서 고정부재(33)는, 상기 조절공(311)을 관통하면서 상기 길이조절관(32)에 볼트체결되는 '고정볼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9 및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길이조절관(32)에 탄성적으로 지지되면서 외부로 돌출구비되는 '탄성고정돌부'(331)들로 이루어져, 상기 탄성고정돌부(331)들이 상기 조절공(311)을 관통하면서 끼움결속하도록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배선작업물용 작업대(1)는, 상기 수직지지프레임(3)들을 수평적으로 연결하면서 결속시키어 이격된 간격을 유지하도록 된 연결프레임(34);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연결프레임(34)을 통해 상기 수직지지프레임(3)들을 수평적으로 결합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연결프레임(34)은, '고정볼트'로 이루어지는 상기 고정부재(33)를 통해 상기 수직지지관(31)에 결속될 수 있으며; 도 9 및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고정돌부(331)들이 각각 관통하면서 억지끼움결합되는 결속공(341)들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결속공(341)들과 상기 탄성고정돌부(331)들의 억지 끼움결합을 통해 상기 연결프레임(34)과 상기 수직지지프레임(3)들을 조립하도록 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배선작업물용 작업대(1)에서, 상기 고정지지프레임(4)들의 전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상기 작업지지프레임(5)들의 각각의 단부들이 결속고정되는 고정브라켓(42)들이 각각 탈부착되면서 결속되는 수직레일홈(41)들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고정지지프레임(4)들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상기 작업지지프레임(5)들이 결합되도록 될 수 있다.
즉, 고정지지프레임(4)들에서 상기 고정브라켓(42)들의 위치를 각각 선택적으로 조절한 상태에서 각각 고정하여, 상기 작업지지프레임(5)들의 수직상 간격을 선택적으로 조절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하고자 하는 배선틀(100)의 크기에 따라, 상기 작업지지프레임(5)들의 수직상 간격을 적합하게 맞춤되게 형성하도록 될 수 있어, 사용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에서 고정브라켓(42)들은, 상기 수직레일홈(41)에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결속볼트(52)를 통해 볼트체결되는 고정피스(53)를 통해 상기 고정지지프레임(4)들에 각각 고정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수직레일홈(41) 및 상기 고정피스(53)의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배선작업물용 작업대(1)는, 상기 작업지지프레임(5)들의 전면에 선택적으로 결속되며 상기 배선틀(100)이 전면에 고정된 '판(板;plate)' 형상의 베이스플레이트(101);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1)가 상기 작업지지프레임(5)들에 결합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배선틀(100)을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1)에 체결고정하여 바닥에 대하여 직립된 상태로 시설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1)에 상기 배선틀(100)의 크기 및 형상에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고정하도록 될 수 있어, 작업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에서 작업지지프레임(5)들의 전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1)가 직선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레일홈(51)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1)는, 상기 수평레일홈(51)에 직선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고정피스(53)가 상기 수평레일홈(51)에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결속볼트(52)를 통해 볼트체결되어 결합하도록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3 및 도 1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1)를 상기 작업지지프레임(5)상에서 수평적으로 선택적 이동을 통해 위치를 조절하면서 배선 및 조립작업을 수행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배선틀(100)을 임의적으로 수평적 이동을 시키도록 되어,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배선작업물용 작업대(1)는, 비교적 부피가 큰 전기배전반이나 자동제어반 등과 같이 내부에 각종 배선이 시설되는 상기 배선작업물을 제작할 때, 상기 배선틀(100)이 고정되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1)가 각각 상기 작업지지프레임(5)들의 수평레일홈(51)들에 수평상 직선이동가능하게 결속되어 바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수평적으로 임의 배치하여 작업자가 간편하고 편리하게 배선 및 조립작업을 수행하도록 되는 것을 기술적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배선작업물용 작업대
100 : 배선틀 101 : 베이스플레이트
2 : 수평고정바 3 : 수직지지프레임
31 : 수직지지관 311 : 조절공
32 : 길이조절관 33 : 고정부재
331 : 탄성고정돌부 34 : 연결프레임
341 : 결속공 4 : 고정지지프레임
41 : 수직레일홈 42 : 고정브라켓
5 : 작업지지프레임 51 : 수평레일홈
52 : 결속볼트 53 : 고정피스
6 : 결합관 A : 경사지지각도

Claims (4)

  1.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배치되는 수평고정바(2)와; 각각의 상단이 상기 수평고정바(2)에 고정되며 하단이 바닥에 지지되어 바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구비되며 각각 서로 간격을 가지면서 상기 수평고정바(2)에서 하측방향으로 서로 경사지지각도(A)를 가지면서 결합되는 수직지지프레임(3)들; 및 고정지지프레임(4)들과; 전면에 길이방향으로 배선작업물의 배선틀(100)이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101)가 결합되며 상기 고정지지프레임(4)들에 대하여 수직상 간격을 가지면서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면서 각각의 결속볼트들을 통해 각각 결속되는 각각의 고정피스들이 각각 구비되는 작업지지프레임(5)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배선틀(100)을 고정 지지하면서 조립작업을 수행하도록 된 배선작업물용 작업대(1)에 있어서;
    상기 작업지지프레임(5)들의 전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1)가 직선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레일홈(51)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1)는,
    고정피스(53)가 상기 수평레일홈(51)에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결속볼트(52)를 통해 볼트체결되어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작업물용 작업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10085803A 2021-06-30 2021-06-30 배선작업물용 작업대 KR102365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803A KR102365452B1 (ko) 2021-06-30 2021-06-30 배선작업물용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803A KR102365452B1 (ko) 2021-06-30 2021-06-30 배선작업물용 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5452B1 true KR102365452B1 (ko) 2022-02-23

Family

ID=80495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803A KR102365452B1 (ko) 2021-06-30 2021-06-30 배선작업물용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545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1114Y1 (ko) * 2006-09-06 2006-11-14 경신공업 주식회사 와이어 하네스 조립용 테이블
KR20090024202A (ko) 2006-06-29 2009-03-06 로디아 오퍼레이션스 정제된 히드로퀴논의 제조 및 그의 형성 방법
KR20100105264A (ko) * 2009-03-20 2010-09-29 주식회사바텍 기판 조립 테이블
US20130062823A1 (en) * 2010-03-03 2013-03-14 Mark Lockyer Boyd Workbench
US20210107133A1 (en) * 2019-10-10 2021-04-15 Perfect Site LLC Work suppor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4202A (ko) 2006-06-29 2009-03-06 로디아 오퍼레이션스 정제된 히드로퀴논의 제조 및 그의 형성 방법
KR200431114Y1 (ko) * 2006-09-06 2006-11-14 경신공업 주식회사 와이어 하네스 조립용 테이블
KR20100105264A (ko) * 2009-03-20 2010-09-29 주식회사바텍 기판 조립 테이블
US20130062823A1 (en) * 2010-03-03 2013-03-14 Mark Lockyer Boyd Workbench
US20210107133A1 (en) * 2019-10-10 2021-04-15 Perfect Site LLC Work suppor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81915A1 (en) Expandable multi-display support apparatus
KR200485619Y1 (ko) 접이식 벽걸이선반
KR102365452B1 (ko) 배선작업물용 작업대
PL165703B1 (pl) Zestaw elementów do tworzenia biurowego stolu roboczego PL
CN1984583A (zh) 带有同步机构的椅子
KR101315230B1 (ko) 차량용 범퍼나 바디 도색시 거치하는 거치대 구조
EP0105276A1 (en) Production stand, especially for assembly work
JP2000253953A (ja) ワークステーション
CN103307419A (zh) 一种用于工程机械驾驶室内安装触摸屏的可调式支架
KR200460998Y1 (ko) 천장도배용 벽지거치장치
CN108086625B (zh) 一种用于安装在框架上的框架调节组件及其操作方法
CN106002875A (zh) 环网柜用装配工装
CN215432170U (zh) 焊钳控制箱
CN212776602U (zh) 可移动式工作推车
CN106287142A (zh) 新型控制台显示屏安装架
JP6762095B2 (ja) 什器システム
KR20150003850U (ko) 생명줄 고정장치
JP6449686B2 (ja) 自動収納ベンチ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自動収納ベンチ
JP7188978B2 (ja) 天板昇降式什器
KR20220156185A (ko) 족장 조립체 및 그 설치방법
CN218776387U (zh) 一种角铁夹持工装
CN220172777U (zh) 房建用电缆临时支架
JP4518816B2 (ja) 連結テーブル
CN219673782U (zh) 一种工业键鼠折叠多轴调整显示器支架
JP3684402B2 (ja) ビーム取付式家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