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5400B1 - 정전기를 이용한 청소로봇 - Google Patents

정전기를 이용한 청소로봇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5400B1
KR102365400B1 KR1020210026109A KR20210026109A KR102365400B1 KR 102365400 B1 KR102365400 B1 KR 102365400B1 KR 1020210026109 A KR1020210026109 A KR 1020210026109A KR 20210026109 A KR20210026109 A KR 20210026109A KR 102365400 B1 KR102365400 B1 KR 102365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portion
pattern
plate
diverging surface
static electri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6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호림
Original Assignee
최호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호림 filed Critical 최호림
Priority to KR1020210026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54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5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5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4Floor-sweeping machines,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40Cleaning implements actuated by electrostatic attraction; Devices for cleaning same; Magnetic clean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6Control of the cleaning action for autonomous devices; Automatic detection of the surface condition before, during or after cleaning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전기를 이용한 청소로봇에 관한 것으로서, 고가의 부직포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집진패드를 사용하지 않고 정전기를 통해 지면의 먼지 등의 이물질을 높은 효율로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교체 및 청소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정전기를 이용한 청소로봇{Cleaning robot using static electricity}
본 발명은 고가의 부직포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집진패드를 사용하지 않고 정전기를 통해 지면의 먼지 등의 이물질을 높은 효율로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교체 및 청소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정전기를 이용한 청소로봇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봇 청소기는, 사용자의 조작 없이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 내를 스스로 주행하면서 지면으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을 흡입함으로써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을 자동으로 청소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로봇 청소기는, 통상적으로 구동장치의 용량이 일정치 이상의 고가품으로 장착되고, 진공에 의한 흡입장치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나, 폭넓은 로봇 청소기의 보급을 위해 흡입장치가 생략되어 청소기 본체의 무게를 줄이고, 저가의 구동장치가 설치되는 소형 로봇 청소기가 대두되었다.
이러한 소형 로봇 청소기와 관련하여 최근에는 청소기 본체 저면에 설치되는 집진패드에 포집주가 형성됨으로서, 집진패드의 청소능력이 향상됨과 동시에 집진패드에 흡착된 이물질이 청소기 본체의 이동 중에 집진패드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소형 로봇 청소기가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6-0115107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6-0115107호의 경우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지는 고가인 상기 집진패드를 주기적으로 구매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6-0115107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고가의 부직포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집진패드를 사용하지 않고 정전기를 통해 지면의 먼지 등의 이물질을 높은 효율로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교체 및 청소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정전기를 이용한 청소로봇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를 주행시키는 주행부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정전기를 통해 지면의 이물질을 부착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를 이용한 청소로봇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중심부에 노출구가 형성되는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노출구와 연통되는 노출구가 중심부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판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노출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상부판의 상부에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상부판의 노출구와 상기 하부판의 노출구를 통해 상기 하부판의 하부 외부방향으로 노출되는 상기 주행부가 구비되는 헤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교류펄스출력부와; 상기 하부판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교류펄스출력부로부터 교류펄스를 전달받아 정전기를 발생시켜 지면의 이물질을 정전기력으로 부착하는 정전기 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판의 노출구 주변의 상기 상부판 부위에 복수의 가이드슬릿이 방사형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판의 노출구의 주변의 상기 하부판의 상부면 부위에 복수의 상기 가이드슬릿을 각각 수직관통하여 복수의 상기 가이드슬릿 주변의 상기 상부판의 상부면 부위에 걸림고정되는 복수의 걸림고정프레임이 방사형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복수의 상기 걸림고정프레임은 상기 하부판의 노출구 주변의 상기 하부판의 상부면 부위에 방사형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판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복수의 상기 가이드슬릿을 각각 수직관통하는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상단부에서 상기 수직판의 일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되어 복수의 상기 가이드슬릿 주변의 상기 상부판의 상부면 부위에 각각 안착된 상태로 걸림고정되는 수평걸림고정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복수의 상기 걸림고정프레임은 상기 하부판의 노출구 주변의 상기 하부판의 상부면 부위에 방사형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판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복수의 상기 가이드슬릿을 각각 수직관통하는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상단부에서 복수의 상기 가이드슬릿 주변의 상기 상부판의 상부면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복수의 상기 가이드슬릿 주변의 상기 상부판의 상부면에 밀착된 상태로 걸림고정되는 경사판과; 상기 경사판의 일측에서 헤드부의 일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는 보조경사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정전기 필름은 정전기를 발산하는 발산면과; 상기 발산면을 분할하는 패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패턴부는 상기 발산면에 상기 발산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복수의 산과 골이 반복형성되는 제 1패턴부와; 상기 제 1패턴부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 1패턴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발산면에 상기 제 1패턴부를 따라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제 1패턴부의 복수의 골 사이마다 수용되는 복수의 산이 반복형성되는 제 2패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패턴부는 상기 발산면에 상기 발산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발산면의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배치되는 복수의 제 1패턴부와; 복수의 상기 제 1패턴부 사이마다 위치하도록 상기 발산면에 상기 제 1패턴부를 따라 일정길이로 각각 연장되는 복수의 제 2패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패턴부는 상기 발산면에 상기 발산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복수의 산과 골이 반복형성되는 제 1패턴부와; 상기 제 1패턴부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 1패턴부의 외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발산면에 상기 제 1패턴부를 따라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복수의 골이 반복형성되는 제 2패턴부와; 상기 제 1패턴부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 1패턴부의 내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발산면에 상기 제 1패턴부를 따라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제 1패턴부의 골 사이마다 수용되는 복수의 산이 반복형성되는 제 3패턴부와; 상기 제 1패턴부 및 상기 제 2패턴부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 1패턴부와 상기 제 2패턴부 사이의 상기 발산면에 상기 제 1패턴부를 따라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제 2패턴부의 골 사이마다 수용되는 복수의 산 및 상기 제 1패턴부의 산 사이마다 수용되는 복수의 골이 반복형성되는 제 4패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패턴부는 상기 발산면에 상기 발산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복수의 산이 반복형성되는 제 1패턴부와; 상기 제 1패턴부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 1패턴부의 외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발산면에 제 1패턴부를 따라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복수의 골이 반복형성되는 제 2패턴부와; 상기 제 1패턴부 및 상기 제 2패턴부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 1패턴부와 상기 제 2패턴부 사이의 상기 발산면에 상기 제 1패턴부를 따라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제 2패턴부의 골 사이마다 수용되는 복수의 산 및 상기 제 1패턴부의 산 사이마다 수용되는 복수의 골이 반복형성되는 제 3패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패턴부는 상기 발산면에 상기 발산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복수의 요철부가 반복형성되는 제 1패턴부와; 상기 제 1패턴부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 1패턴부의 외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발산면에 제 1패턴부를 따라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복수의 요철부가 반복형성되는 제 2패턴부와; 상기 제 1패턴부 및 상기 제 2패턴부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 1패턴부와 상기 제 2패턴부 사이의 상기 발산면에 상기 제 1패턴부를 따라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제 1패턴부의 요철부의 홈과 상기 제 2패턴부의 요철부의 홈 사이마다 수용되는 복수의 돌출부가 반복형성되는 제 3패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고가의 부직포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집진패드를 사용하지 않고도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정전기를 통해 지면의 먼지 등의 이물질을 부착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를 통해 지면의 먼지 등의 이물질을 높은 효율로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본체의 상부판으로부터 하부판과 함께 이물질 제거부를 교체 또는 청소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정전기를 이용한 청소로봇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정전기를 이용한 청소로봇을 저면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복수의 걸림고정프레임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6은 복수의 걸림고정프레임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8은 패턴부의 제 1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9는 패턴부의 제 2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10은 패턴부의 제 3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11은 패턴부의 제 4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12는 패턴부의 제 5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정전기를 이용한 청소로봇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정전기를 이용한 청소로봇을 저면방향에서 바라본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정전기를 이용한 청소로봇은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본체(10), 주행부(20) 및 이물질 제거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상기 본체(10)는 일예로, 크게, 상부판(110), 하부판(120) 및 헤드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판(110)은 환형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환형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상부판(110)의 중심부에 노출구(1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판(120)은 환형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환형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하부판(120)의 중심부에 노출구(1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판(120)은 상기 상부판(110)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130)는 상기 상부판(110)의 노출구(111)와 연통되도록 상기 상부판(11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주행부(20)는 상기 본체(10)를 주행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본체(10)의 헤드부(130)의 내측에 구비되는 구동모터(210)에 의해 구름운동하는 바퀴부재(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6-0115107호를 통해 공지된 사항이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주행부(20)는 상기 상부판(110)의 노출구(111)와 상기 하부판(120)의 노출구(121)를 통해 상기 하부판(120)의 하부 외부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이물질 제거부(30)는 상기 본체(10)의 하부판(120)의 하부에 정전기를 통해 지면의 먼지 등의 이물질을 부착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예로, 크게, 전원공급부, 교류펄스출력부 및 정전기 필름(3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본체(10)의 헤드부(130)의 내부에 구비되는 배터리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교류펄스출력부 또한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본체(10)의 헤드부(13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교류펄스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정전기 필름(330)은 상기 하부판(120)의 하부에 환형형상으로 부착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정전기 필름(330)은 상기 교류펄스출력부가 출력하는 교류펄스를 전달받아 정전기를 발생시켜 지면의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정전기력으로 부착할 수 있다.
상기 교류펄스출력부가 상기 정전기 필름(330)에 전달하는 교류펄스의 주기는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 변경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교류펄스출력부는 상기 정전기 필름(330)에 정전기가 발생되도록 하기 위해 주기가 짧은 교류펄스를 일정시간 동안 전달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정전기 필름(330)에 정전기가 발생 및 상기 정전기 필름(330)에 발생되는 정전기력은 점진적으로 커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교류펄스출력부가 상기 정전기 필름(330)에 주기가 긴 교류펄스를 전달하므로서, 상기 정전기 필름(330)에서 발생되는 정전기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판(110)의 노출구(111) 주변의 상기 상부판(110) 부위에는 장방형의 복수의 가이드슬릿(112)이 방사형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복수의 걸림고정프레임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1의 A - A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판(120)의 노출구(121)의 주변의 상기 하부판(120)의 상부면 부위에는 복수의 상기 가이드슬릿(112)을 각각 수직관통하여 복수의 상기 가이드슬릿(112) 주변의 상기 상부판(110)의 상부면 부위에 걸림고정되는 복수의 걸림고정프레임(40)이 방사형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가이드슬릿(112)과 복수의 상기 걸림고정프레임(40)은 상기 헤드부(130)에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헤드부(13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본체(10)의 외관이 더욱 미려해질 수 있다.
복수의 상기 걸림고정프레임(40)은 일예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수직판(410)과 수평걸림고정판(4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판(410)은 상기 하부판(120)의 노출구(121) 주변의 상기 하부판(120)의 상부면 부위에 상기 하부판(12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판(410)은 상기 상부판(110)의 복수의 가이드슬릿(112)을 각각 수직관통할 수 있다.
상기 수평걸림고정판(420)은 상기 수직판(410)의 상단부에서 상기 수직판(410)의 일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하부판(12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복수의 상기 걸림고정프레임(40)은 상기 하부판(120)을 따라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수평걸림고정판(420)이 상기 상부판(110)의 복수의 가이드슬릿(112) 주변의 상기 상부판(110)의 상부면 부위에 각각 안착된 상태로 걸림고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하부판(12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 복수의 상기 걸림고정프레임(40)은 상기 하부판(120)을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수평걸림고정판(420)의 걸림고정상태가 해제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상부판(110)에서 상기 하부판(120)과 함께 상기 이물질 제거부(30)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도 6은 복수의 걸림고정프레임의 다른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결합단면도이다.
복수의 상기 걸림고정프레임(40)이 상기 가이드슬릿(112) 주변의 상기 상부판(110)의 상부면 부위에 보다 강하게 밀착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복수의 상기 걸림고정프레임(40)은 다른예로서,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수직판(410), 경사판(420) 및 보조경사판(4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판(420)은 상기 수직판(410)의 상단부에서 복수의 상기 가이드슬릿(112) 주변의 상기 상부판(410)의 상부면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복수의 상기 가이드슬릿(112) 주변의 상기 상부판(410)의 상부면에 밀착된 상태로 걸림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보조경사판(430)은 상기 경사판(420)의 일측에서 상기 헤드부(130)의 일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경사판(430)을 통해 상기 경사판(420)의 하부와 상기 하부판(120) 사이로 상기 가이드슬릿(112) 주변의 상기 상부판(110) 부위가 보다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다.
도 8은 패턴부의 제 1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정전기 필름(330)은 크게,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산면(331)과 패턴부(3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발산면(331)은 정전기를 발산할 수 있다.
상기 패턴부(332)는 상기 발산면(331)의 하부에 인쇄형성 등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되어 상기 발산면(331)을 분할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정전기 필름(330)이 정전기를 통해 먼지 등의 이물질에 가하는 인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부(332)는 상기 발산면(331)에 흐르는 전하의 경로를 변경시키기 위해 특히, 지그재그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턴부(332)는 탄소섬유 또는 상기 탄소섬유 보다 상대적으로 저가이면서 전도성이 우수한 탄소 페이스트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패턴부(332)는 제 1예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패턴부(332a)와 제 2패턴부(332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패턴부(332a)는 상기 발산면(331)에 상기 발산면(331)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패턴부(332a)에는 복수의 산(332a1)과 복수의 골(332a2)이 반복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패턴부(332b)는 상기 제 1패턴부(332a)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 1패턴부(332a)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발산면(331)에 상기 제 1패턴부(332)를 따라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패턴부(332b)에는 상기 제 1패턴부(332a)의 복수의 골(332a2) 사이마다 수용되는 복수의 산(332b1)이 반복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패턴부의 제 2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상기 패턴부(332)는 제 2예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제 1패턴부(332a)와 복수의 제 2패턴부(332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제 1패턴부(332a)는 상기 발산면(331)에 상기 발산면(331)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제 1패턴부(332a)는 상기 발산면(331)의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제 2패턴부(332b)는 복수의 상기 제 1패턴부(332a) 사이마다 위치하도록 상기 발산면(331)에 상기 제 1패턴부(332a)를 따라 일정길이로 각각 연장될 수 있다.
도 10은 패턴부의 제 3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상기 패턴부(332)는 제 3예로,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패턴부(332a), 제 2패턴부(332b), 제 3패턴부(332c) 및 제 4패턴부(332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패턴부(332a)는 상기 발산면(331)에 상기 발산면(331)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패턴부(332a)에는 복수의 산(332a1)과 복수의 골(332a2)이 반복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패턴부(332b)는 상기 제 1패턴부(332a)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 1패턴부(332a)의 외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발산면(331)에 상기 제 1패턴부(332a)를 따라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패턴부(332b)에는 복수의 골(332b2)이 반복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패턴부(332c)는 상기 제 1패턴부(332a)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 1패턴부(332a)의 내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발산면(331)에 상기 제 1패턴부(332a)를 따라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3패턴부(332c)에는 상기 제 1패턴부(332a)의 골(332a2) 사이마다 수용되는 복수의 산(332c1)이 반복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4패턴부(332d)는 상기 제 1패턴부(332a) 및 상기 제 2패턴부(332b)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 1패턴부(332a)와 상기 제 2패턴부(332b) 사이의 상기 발산면(331)에 상기 제 1패턴부(332a)를 따라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4패턴부(332d)에는 상기 제 2패턴부(332b)의 골(332b2) 사이마다 수용되는 복수의 산(332d1) 및 상기 제 1패턴부(332a)의 산(332a1) 사이마다 수용되는 복수의 골(332d2)이 반복형성될 수 있다.
도 11은 패턴부의 제 4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상기 패턴부(332)는 제 4예로,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패턴부(332a), 제 2패턴부(332b) 및 제 3패턴부(332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패턴부(332a)는 상기 발산면(331)에 상기 발산면(331)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패턴부(332a)는 상기 발산면(331)에 상기 발산면(331)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패턴부(332a)에는 복수의 산(332a1)이 반복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패턴부(332b)는 상기 제 1패턴부(332a)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 1패턴부(332a)의 외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발산면(331)에 상기 제 1패턴부(332a)를 따라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패턴부(332b)에는 복수의 골(332b2)이 반복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패턴부(332c)는 상기 제 1패턴부(332a) 및 상기 제 2패턴부(332b)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 1패턴부(332a)와 상기 제 2패턴부(332b) 사이의 상기 발산면(331)에 상기 제 1패턴부(332a)를 따라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3패턴부(332c)에는 상기 제 2패턴부(332b)의 골(332b2) 사이마다 수용되는 복수의 산(332c1) 및 상기 제 1패턴부(332a)의 산(332a1) 사이마다 수용되는 복수의 골(332c2)이 반복형성될 수 있다.
도 12는 패턴부의 제 5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상기 패턴부(332)는 제 5예로,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제 1패턴부(332a), 제 2패턴부(332b) 및 제 3패턴부(332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패턴부(332a)는 상기 발산면(331)에 상기 발산면(331)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패턴부(332a)의 외측가장자리에는 복수의 요철부(332a3)가 반복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패턴부(332b)는 상기 제 1패턴부(332a)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 1패턴부(332a)의 외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발산면(331)에 상기 제 1패턴부(332a)를 따라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패턴부(332b)의 내측가장자리에는 복수의 요철부(332b3)가 반복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패턴부(332c)는 상기 제 1패턴부(332a) 및 상기 제 2패턴부(332b)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 1패턴부(332a)와 상기 제 2패턴부(332b) 사이의 상기 발산면(331)에 상기 제 1패턴부(332a)를 따라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3패턴부(332c)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 1패턴부(332a)의 요철부(332a3)의 홈(332a31) 사이마다 수용되는 복수의 돌출부(332c1)가 반복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패턴부(332c)의 외측 가장자리에도 상기 제 2패턴부(332b)의 요철부(332b3)의 홈(332b31) 사이마다 수용되는 복수의 돌출부(332c1)가 반복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고가의 부직포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집진패드를 사용하지 않고도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정전기를 통해 지면의 먼지 등의 이물질을 부착제거하는 상기 이물질 제거부(30)를 통해 지면의 먼지 등의 이물질을 높은 효율로 제거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본체(10)의 상부판(110)으로부터 하부판(120)과 함께 이물질 제거부(30)를 교체 또는 청소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본체, 20; 주행부,
30; 이물질 제거부.

Claims (11)

  1. 중심부에 노출구가 형성되는 상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노출구와 연통되는 노출구가 중심부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판의 하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판과, 상기 상부판의 노출구와 연통되도록 상기 상부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헤드부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판의 노출구 주변의 상기 상부판 부위에 복수의 가이드슬릿이 방사형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판의 노출구의 주변의 상기 하부판의 상부면 부위에 복수의 상기 가이드슬릿을 각각 수직관통하여 복수의 상기 가이드슬릿 주변의 상기 상부판의 상부면 부위에 걸림고정되는 복수의 걸림고정프레임이 방사형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헤드부의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판의 노출구와 상기 하부판의 노출구를 통해 상기 하부판의 하부 외부방향으로 노출되어 상기 본체를 주행시키는 주행부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교류펄스출력부와, 상기 하부판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교류펄스출력부로부터 교류펄스를 전달받아 정전기를 발생시켜 지면의 이물질을 정전기력으로 부착하는 정전기 필름으로 구성되는 이물질 제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를 이용한 청소로봇.
  2. 제 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걸림고정프레임은 상기 하부판의 노출구 주변의 상기 하부판의 상부면 부위에 방사형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판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복수의 상기 가이드슬릿을 각각 수직관통하는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상단부에서 상기 수직판의 일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되어 복수의 상기 가이드슬릿 주변의 상기 상부판의 상부면 부위에 각각 안착된 상태로 걸림고정되는 수평걸림고정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를 이용한 청소로봇.
  3. 제 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걸림고정프레임은 상기 하부판의 노출구 주변의 상기 하부판의 상부면 부위에 방사형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판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복수의 상기 가이드슬릿을 각각 수직관통하는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의 상단부에서 복수의 상기 가이드슬릿 주변의 상기 상부판의 상부면 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어 복수의 상기 가이드슬릿 주변의 상기 상부판의 상부면에 밀착된 상태로 걸림고정되는 경사판과;
    상기 경사판의 일측에서 헤드부의 일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는 보조경사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를 이용한 청소로봇.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 필름은 정전기를 발산하는 발산면과;
    상기 발산면을 분할하는 패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를 이용한 청소로봇.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는 상기 발산면에 상기 발산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복수의 산과 골이 반복형성되는 제 1패턴부와;
    상기 제 1패턴부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 1패턴부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발산면에 상기 제 1패턴부를 따라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제 1패턴부의 복수의 골 사이마다 수용되는 복수의 산이 반복형성되는 제 2패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를 이용한 청소로봇.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는 상기 발산면에 상기 발산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발산면의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배치되는 복수의 제 1패턴부와;
    복수의 상기 제 1패턴부 사이마다 위치하도록 상기 발산면에 상기 제 1패턴부를 따라 일정길이로 각각 연장되는 복수의 제 2패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를 이용한 청소로봇.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는 상기 발산면에 상기 발산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복수의 산과 골이 반복형성되는 제 1패턴부와;
    상기 제 1패턴부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 1패턴부의 외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발산면에 상기 제 1패턴부를 따라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복수의 골이 반복형성되는 제 2패턴부와;
    상기 제 1패턴부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 1패턴부의 내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발산면에 상기 제 1패턴부를 따라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제 1패턴부의 골 사이마다 수용되는 복수의 산이 반복형성되는 제 3패턴부와;
    상기 제 1패턴부 및 상기 제 2패턴부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 1패턴부와 상기 제 2패턴부 사이의 상기 발산면에 상기 제 1패턴부를 따라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제 2패턴부의 골 사이마다 수용되는 복수의 산 및 상기 제 1패턴부의 산 사이마다 수용되는 복수의 골이 반복형성되는 제 4패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를 이용한 청소로봇.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는 상기 발산면에 상기 발산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복수의 산이 반복형성되는 제 1패턴부와;
    상기 제 1패턴부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 1패턴부의 외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발산면에 제 1패턴부를 따라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복수의 골이 반복형성되는 제 2패턴부와;
    상기 제 1패턴부 및 상기 제 2패턴부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 1패턴부와 상기 제 2패턴부 사이의 상기 발산면에 상기 제 1패턴부를 따라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제 2패턴부의 골 사이마다 수용되는 복수의 산 및 상기 제 1패턴부의 산 사이마다 수용되는 복수의 골이 반복형성되는 제 3패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를 이용한 청소로봇.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는 상기 발산면에 상기 발산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복수의 요철부가 반복형성되는 제 1패턴부와;
    상기 제 1패턴부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 1패턴부의 외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발산면에 제 1패턴부를 따라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복수의 요철부가 반복형성되는 제 2패턴부와;
    상기 제 1패턴부 및 상기 제 2패턴부와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제 1패턴부와 상기 제 2패턴부 사이의 상기 발산면에 상기 제 1패턴부를 따라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제 1패턴부의 요철부의 홈과 상기 제 2패턴부의 요철부의 홈 사이마다 수용되는 복수의 돌출부가 반복형성되는 제 3패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를 이용한 청소로봇.
  10. 삭제
  11. 삭제
KR1020210026109A 2021-02-26 2021-02-26 정전기를 이용한 청소로봇 KR102365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109A KR102365400B1 (ko) 2021-02-26 2021-02-26 정전기를 이용한 청소로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109A KR102365400B1 (ko) 2021-02-26 2021-02-26 정전기를 이용한 청소로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5400B1 true KR102365400B1 (ko) 2022-02-18

Family

ID=80495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6109A KR102365400B1 (ko) 2021-02-26 2021-02-26 정전기를 이용한 청소로봇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540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7807A (ko) * 2003-09-16 2005-03-21 주식회사 로보아이모요 청소 로봇
KR20060115107A (ko) 2005-05-04 2006-11-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소형 로봇 청소기
JP2014512947A (ja) * 2011-03-23 2014-05-29 エスアールアイ インターナショナル 能動式電気吸着清掃
JP2015518779A (ja) * 2012-06-11 2015-07-06 エスアールアイ インターナショナルSRI International 電気吸着表面クリーナ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7807A (ko) * 2003-09-16 2005-03-21 주식회사 로보아이모요 청소 로봇
KR20060115107A (ko) 2005-05-04 2006-11-0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소형 로봇 청소기
JP2014512947A (ja) * 2011-03-23 2014-05-29 エスアールアイ インターナショナル 能動式電気吸着清掃
JP2015518779A (ja) * 2012-06-11 2015-07-06 エスアールアイ インターナショナルSRI International 電気吸着表面クリーナ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32632B2 (en) Vacuum accessory tool
KR102155000B1 (ko) 로봇 청소기
US8720001B2 (en) Tool for a surface treating appliance
ES2672983T3 (es) Aspirador de suelos desnudos
US8533901B2 (en) Self-contained cleaning device for shoe soles
KR101845101B1 (ko) 드레서 디스크 세정용 브러시, 세정 장치 및 세정 방법
CN102908107A (zh) 自主式清洁装置
JPH03504686A (ja) エミッタ電極
JP6750541B2 (ja) 電気掃除機スタンド
RU2711159C1 (ru) Насадка пылесоса
CN111343892B (zh) 清扫机
KR20210055444A (ko) 청소기
KR101834225B1 (ko) 바퀴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2365400B1 (ko) 정전기를 이용한 청소로봇
US9049975B2 (en) Surface maintenance vehicle with quick release squeegee assembly
ES2193442T3 (es) Unidad separadora para aspiradores de baño liquido.
TWI798611B (zh) 清掃機
KR100660798B1 (ko) 정전기 브러쉬용 정전기 발생 및 집진홀더
RU2642346C2 (ru) Чистящий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полоуборочной машины и полоуборочная машина
KR200275793Y1 (ko) 전기집진기
JP6120264B2 (ja) 電気掃除機用床吸込具及び電気掃除機
JP2009225928A (ja) モップ塵埃吸引装置
JPH08164098A (ja) 掃除機用床ノズル
KR200393884Y1 (ko) 정전기 브러쉬용 정전기 발생 및 집진홀더
JP2003190054A (ja) 吸込口体及び電気掃除機本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