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5264B1 - 항균성 잉크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uv 경화성 잉크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균성 잉크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uv 경화성 잉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5264B1
KR102365264B1 KR1020200068823A KR20200068823A KR102365264B1 KR 102365264 B1 KR102365264 B1 KR 102365264B1 KR 1020200068823 A KR1020200068823 A KR 1020200068823A KR 20200068823 A KR20200068823 A KR 20200068823A KR 102365264 B1 KR102365264 B1 KR 102365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ink
additive
antibac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8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2140A (ko
Inventor
김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먼트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먼트디자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먼트디자인
Priority to KR1020200068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5264B1/ko
Publication of KR20210152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2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5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52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10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 C09D11/101Inks specially adapted for printing processes involving curing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e.g. with UV-curing following the prin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성 잉크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UV 경화성 잉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항균성 잉크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UV 경화성 잉크 조성물{ANTIBACTERIAL INK ADDITIVE AND UV CURABLE INK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항균성 잉크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UV 경화성 잉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프린터에 의한 프린팅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서 비접촉식 프린팅(non-impact printing) 방식과 접촉식 프린팅(impact printing) 방식이 있다. 이 중, 잉크젯 프린팅은 비접촉식 프린팅 방식의 하나로 접촉식 프린팅 방식에 비하여 소음이 적고 레이저 빔 프린터에 비하여 칼라 구현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잉크젯 프린팅 방식은 다시 두 가지 방식이 있는데, 연속 분사 잉크젯 (continuous stream) 방식과 드롭-온-디멘드(drop-on-demand:DOD)방식으로 구분된다. 연속 분사 잉크젯 방식은 잉크가 오리피스 또는 노즐에서 압력에 의해 연속적으로 분사된다. 분사된 잉크는 오리피스로부터 소정의 거리에 방울을 형성하면서 교란된다. 이 방울들은 분산되면서 디지털 데이터 신호에 맞게 전하를 띄고 전자기장을 통과하면서 각 방울의 궤도가 조절되어 재순환되거나 또는 기록 매체상의 소정 위치 상의 거터(gutter)로 향하게 된다. 드롭-온-디멘드 방식은 방울이 디지털 데이타 신호에 맞추어 오리피스에서 기록 매체상의 위치로 바로 분사된다. 기록 매체 상으로 분사되지 않는 방울은 형성되거나 방출되지 않는다.
드롭-온-디멘드 방식은 잉크 회복, 전하, 또는 편향을 요구하지 않으므로 연속 분사 방식에 비해서 훨씬 간단하다. 드롭-온-디멘드 잉크젯 방식에는 두 가지가 있으며, 열 잉크젯(thermal ink jet, 또는 버블 젯이라고도 함.) 방식과 압전식 잉크젯 (piezoelectric inkjet) 방식이다.
열 잉크젯 방식은 잉크를 가열하여 발생하는 버블의 팽창에서 발생하는 압력을 이용하여 분사한다. 열 잉크젯 방식은 높은 속력을 갖는 방울을 생산하고 노즐의 아주 근접한 간격을 허용한다. 이러한 열 잉크젯 방식의 도입으로 드롭-온-디멘드 방식은 연속 분사 방식에 비해 더 단순하고 저렴하면서 고속 프린팅 능력이 유지되는 프린터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반면, 압전식 잉크젯 방식은 전기에 의하여 역학적으로 방울에 변형을 일으키는 압전판을 이용하여 압력을 발생시켜 잉크를 분사한다. 이러한 압전식 잉크젯 방식은 압전판의 비교적 큰 크기가 노즐의 근접한 간격을 방해하고 이러한 압전판의 물리적 제한이 잉크 방울의 속력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낮은 방울 속도는 방울 속도 변화에 대한 내성을 심각하게 감소시키고, 또한 이것은 양질의 인쇄 품질을 제공하는 것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압전식 잉크젯 방식을 채용한 드롭-온-디멘드 방식은 프린팅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 또한 지적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잉크젯 프린터의 도트 사이즈가 작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고해상도에서 고품질인 인쇄물이 요구되고 있다. 보다 작은 도트 크기를 얻기 위해 잉크젯 프린터의 헤드가 보다 적은 노즐 개구부를 갖게 되는데, 이와 같은 노즐 개구부는 막히기 쉽고, 잉크젯 방울은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침전물 등에 의해 성능이 좌우된다. 잉크 배합물의 성분이 노즐의 막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알려진 사실이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통상 습윤제가 잉크젯용 잉크에 첨가되고 있다.
또한, 잉크젯 프린터용 잉크 조성물은 기본적으로 착색제(colorant), 용매 및 첨가제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를 잉크젯 프린터에 적용하여 칼라 인쇄에 응용하려면 잉크 조성물은 프린터에서 기대된 대로 제팅(jeting)되는 물성을 지녀야 하며, 제팅된 후 대상 매체에 잘 흡착 또는 흡수되어 기대된 대로의 화상을 나타내야 한다. 따라서, 잉크 조성물은 점도(viscosity), 표면장력(surface tension), 화상의 선명성(optical density, dot uniformity), 제팅 안정성(jetting stability), 건조시간(drying time), 번짐성(bleeding), 저장안정성(storage stability), 칼라 구현성(hue, lightness, saturation), 프린터 헤드 및 기록 매체와의 친화성, 내마찰 번짐(smear fastness), 화상의 내수성(water fastness) 등에서 적절한 성능을 나타내야 하므로 이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각종 첨가제가 혼합된다.
이 중, 잉크 조성물의 저장안정성을 구현시키기 위한 첨가제 중의 하나로서, 2-피롤리돈(2-pyrrolidone), N-메틸-2-피롤리돈(N-metyl-2-pyrrolidone), 1,3-디메틸-2-이미다졸 (1,3-dimethyl-2-imidazolidinone)과 같은 질소를 포함한 여러 가지 헤테로 고리 화합물을 이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미국특허 제5,108,503호 등). 여기 개시된 특허에 따라 첨가제로서 2-피롤리돈, N-메틸 피롤리돈, N-메틸-2-피롤리돈, 1,3-디메틸-2-이미다졸리디논과 같은 질소를 포함한 헤테로 고리 화합물을 이용하면, 저장안정성, 습윤성 및 건조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잉크젯 프린터용 잉크 조성물 중 착색제로 염료(dye)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잉크의 내수성과 내광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그 사용이 제한적이다.
반면, 착색제로서 안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염료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서 잉크의 내수성과 내광성이 우수하다. 이러한 염료 또는 안료를 착색제로서 포함하는 잉크 조성물은 박테리아 등의 생성으로 인하여 잉크 특성이 저하되고 장기간 저장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박테리아 등의 생성 및 성장을 억제하기 위하여 별도의 항균제를 첨가하는 방법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렇게 첨가되는 항균제의 독성으로 말미암아 인쇄물이 인체와 밀접하게 접촉하는 경우에는 사용하기 어렵다는 한계점이 존재하였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항균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항균성이 약해서 장기간 저장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고, 항균제와 상용성이 우수한 염료나 안료의 선정이 까다로워 최적의 색상 구현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미국특허 제5,108,503호
본 발명은 항균성 잉크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UV 경화성 잉크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항균 기능이 있는 천연 추출물을 잉크 조성물 중 습윤제 또는 저장안정제와 결합시켜서 항균성이 부여된 항균성 첨가제와 이를 포함하는 UV 경화성 잉크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성 첨가제와 이를 포함하는 UV 경화성잉크 조성물의 이용 분야는 예를 들면 도료, 페인트, 잉크 등이 있으며, 그 중에서도 프린터용 잉크 조성물, 특히 잉크젯 프린터용 잉크 조성물이 대표적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천연계 항균 물질, 가교제, 습윤제, 저장 안정제, 유기용매, 분산제, 점도 조절제 및 계면활성제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것을 포함하여 제조된, 항균성 잉크 첨가제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항균성 잉크 첨가제에 포함되는 천연계 항균 물질은 몰약(Commiphora myrrha Holmes), 유향나무(Boswellia Carterii), 스피루리나(Spirulina), 무궁화(Hibiscus syriacus) 및 탱자나무(Poncirus trifoliata)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것의 추출물을 포함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몰약(Commiphora myrrha Holmes) 20 중량부, 유향나무(Boswellia Carterii) 20 중량부, 스피루리나(Spirulina) 20 중량부, 무궁화(Hibiscus syriacus) 10 중량부 및 탱자나무(Poncirus trifoliata) 10 중량부를 혼합하고, 이를 70 내지 85%의 에탄올로 95℃에서 3 내지 4시간동안 열수 추출하여 제조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상기 천연물 유래의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60 내지 70%의 에탄올을 이용해 추출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출물의 추출공정은 냉침, 온침, 가열, 환류 및 초음파 추출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방법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이를 적절히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추출 또는 분획과정을 수행한 이후, 감압 여과 과정을 수행하거나 추가로 농축 및/또는 동결건조를 수행하여 농축하거나 용매를 제거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추출 후에 감압 농축하는 과정을 거쳐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하여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잉크 첨가제 외에 UV 경화제를 포함하여 제조된, 항균성 UV 경화성 잉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해 항균성 잉크 첨가제는 천연물로부터 유래한 것을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항균 활성 및 우수한 제제안전성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항균성 조성물은 천연물로부터 유래한 것을 포함함으로써 독성이 없으며, 인체에 적용하여도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아 그 활용도가 높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항균 활성을 갖는 천연물 유래의 추출물 제조
본 발명의 항균 활성을 갖는 잉크 첨가제를 제조하기에 앞서, 상기 첨가제의 제조에 필요한 천연물 유래의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먼저, 상기 천연물 유래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몰약(Commiphora myrrha Holmes), 유향나무(Boswellia Carterii), 스피루리나(Spirulina), 무궁화(Hibiscus syriacus) 및 탱자나무(Poncirus trifoliata)를 세척하고 물기를 제거하여 준비하고, 70 내지 85%의 에탄올을 이용하여 95℃에서 3 내지 4시간동안 열수 추출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천연물 유래 추출물은 몰약(Commiphora myrrha Holmes) 20 중량부, 유향나무(Boswellia Carterii) 20 중량부, 스피루리나(Spirulina) 20 중량부, 무궁화(Hibiscus syriacus) 10 중량부 및 탱자나무(Poncirus trifoliata) 10 중량부를 혼합하고, 이를 70 내지 85%의 에탄올로 95℃에서 3 내지 4시간동안 열수 추출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항균성 잉크 첨가제의 제조
실시예 1의 항균 활성을 갖는 천연물 유래의 추출물을 포함한 항균성 잉크 첨가제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항균성 잉크 첨가제는 상기 실시예 1의 추출물 외에도, 가교제, 습윤제, 저장 안정제, 유기용매, 분산제, 점도 조절제 및 계면활성제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것을 포함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구성성분 모두가 포함되어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실시예 1의 추출물의 물리적 및 화학적 안정성이 가교 재료의 내포에 의해 실질적으로 영향받지 않는 전제하에 공지의 임의의 가교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교제는 알릴 메타크릴레이트(ALMA); 디비닐벤젠(DVB); 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EGDA);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EGDMA); 1,3-부탄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BGDMA);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DEGDMA);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TRPGDA);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TMPTMA);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TMPTA) 및 이들의 조합물로부터 선택된 다작용성 (메트)아크릴레이트 가교 재료를 함유하는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DEGDMA)를 사용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습윤제는 알코올, 디올, 트리올, 폴리올,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것을 포함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을 사용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저장안정제는 치환된 또는 치환되지 않은 2-피롤리돈, N-메틸 피롤리돈, 피리딘, 이미다졸, 피페리딘, 2-피롤리디논, 1차 아민, 2차 아민, 3차 아민, 아마이드, 락톤, 및 락탐으로 구성된 함질소화합물 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치환된 함질소화합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가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아미노기, 아미디노기, 히드라진기, 히드라존기, 카르복실기와 그의 염, 술폰산기와 그의 염, 인산과 그의 염, C1 내지 C20의 알킬기, C1 내지 C20의 알케닐기, C1 내지 C20의 알키닐기, C1 내지 C20의 헤테로알킬기, C6 내지 C20의 아릴기, C6 내지 C20의 아릴알킬기, C6 내지 C20의 헤테로아릴기, 및 C6 내지 C20의 헤테로아릴알킬기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것으로 치환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치환되지 않은 피페리딘을 사용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유기용매는 메틸알콜, 에틸알콜, n-프로필알콜, 이소프로필알콜, n-부틸알콜, sec-부틸알콜, t-부틸알콜, 이소부틸알콜로 구성된 알콜계 용매;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디아세톤알콜로 구성된 케톤계 용매; 에틸아세테이트, 에틸락테이트로 구성된 에스테르계 용매;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1,2,4-부탄트리올, 1,5-펜탄디올, 1,2,6-헥산트리올, 헥실렌글리콜, 글리세롤, 글리세롤 에톡실레이트, 트리메틸프로판 에톡실레이트로 구성된 다가알콜계 용매; 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메틸 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에틸 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로 구성된 알킬 에테르계 용매; 2-피롤리돈, N-메틸 피롤리돈, N-메틸-2-피롤리돈으로 구성된 함질소 용매; 및 디메틸 술폭사이드, 테트라메틸렌술폰, 티오글리콜로 구성된 함황 용매;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선택된 화합물로 제조된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트리메틸프로판 에톡실레이트를 사용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분산제는 분자량이 작고 구조가 간단한 분산제 또는 구조가 복잡하고 분자량이 큰 분산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비교적 분자량이 작고 구조가 간단한 분산제는, 폴리비닐알콜 (PVA), 셀룰로오스계 폴리머(cellulosics), 에틸렌 옥사이드로 개질된 페놀계 폴리머(ethylene oxide modified phenols), 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 폴리머,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용액(TEGO, disperse 715W), 변성 폴리아크릴 수지 용액(TEGO, disperse 735W), 저분자 폴리카르복실릭산 폴리머의 알킬올 암모늄염 용액(BYK-Chemie, Disperbyk), 다기능성 폴리머의 알킬올 암모늄염 용액(BYK-Chemie, Disperbyk-181)이 있고, 구조가 복잡하고 분자량이 큰 분산제는 폴리에테르 실록산 공중합체(TEGO, Wet KL 245/Wet 260)와 같은 실록산 계열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AB 또는 BAB의 구조를 갖고 여기서 A는 치환된 또는 치환되지 않은 C1 내지 C30의 아크릴계 모노머(acrylic monomer)의 소수성 호모폴리머(homopolymer) 또는 코폴리머(copolymer)이고, B는 치환된 또는 치환되지 않은 C1 내지 C30의 아크릴계 모노머의 친수성 폴리머 또는 아크릴계 모노머의 코폴리머로 이루어진 친수성 폴리머인 AB 폴리머 또는 BAB 폴리머가 가능하다. AB 폴리머 또는 BAB 폴리머의 예를 들면, 아크릴산/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acrylic acid/ acrylate copolymer), 메타크릴산/메타크릴레이트 코폴리머(methacrylic acid/methacrylate copolymer), 아크릴산/폴리디알킬실록산/아크릴레이트 블락코폴리머 (acrylic acid/ polydialkylsiloxane/acrylate block copolymer)이 있고, 이러한 폴리머의 혼합물도 사용 가능하다. 단, 상기 나열한 것은 구조가 복잡하고 분자량이 큰 분산제의 예시일 뿐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는 분산제로서 프로필렌 옥사이드 폴리머를 사용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점도 조절제는 카세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이민, 폴리비닐알콜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을 사용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C1 내지 C1000인 알킬카르복실산의 염, C1 내지 C1000의 알킬술폰산의 염, C1 내지 C1000인 알킬술폰산 에스테르의 염, C1 내지 C1000인 알킬벤젠술폰산의 염으로 구성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알킬기가 C1 내지 C1000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알킬기가 C1 내지 C1000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이차 알콜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 블록 코폴리머,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로 구성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폴리옥시에틸렌 이차 알코올 에테르를 사용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항균성 잉크 첨가제는 실시예 1의 항균 활성을 갖는 천연물 유래 추출물 10 내지 30 중량부, 가교제 3 내지 10 중량부, 습윤제 1 내지 5 중량부, 저장 안정제 0.1 내지 3 중량부, 분산제 5 내지 10 중량부, 점도 조절제 0.1 내지 5 중량부, 계면활성제 0.1 내지 3 중량부 및 유기용매 50 내지 80 중량부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1의 추출물 25 중량부, 가교제 8 중량부, 습윤제 3 중량부, 저장 안정제 2 중량부, 분산제 5 중량부, 점도 조절제 1 중량부, 계면활성제 2 중량부 및 유기용매 7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실시예 1의 조성물이 상기 기재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점도 조절 및 발색에 영향을 줄 수 있고, 상기 기재된 범위에 미달하는 경우 충분한 항균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습윤제 및 저장 안정제가 상기 기재된 범위를 벗어나는 중량부만큼 포함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 항균 활성을 갖는 천연물 유래 추출물이 오히려 쉽게 산화되어 변질되는 바, 제조 과정에서 상기 수치범위를 엄수하여야 한다.
또한, 분산제는 상기 범위 내로 포함된 경우에만 안료가 엉기지 않게 해주는 분산효과가 충분히 발휘되며, 점도 조절제는 잉크젯에 의해 제팅(jeting)될 때 원활한 제팅이 가능하도록 점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범위에 속할 때 가장 효과가 우수하다.
실시예 3. 항균성 잉크 첨가제를 포함하는 UV 경화성 잉크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잉크 첨가제 및 UV 경화제를 포함하여 UV 경화성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UV 경화제는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20 내지 30 중량%,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20 내지 30중량%, 에틸아세테이트 10 내지 20 중량%, 부틸아세테이트 15 내지 25중량%, 첨가제 3 내지 5중량%, 자외선 경화 개시제 1 내지 5중량%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잉크 조성물은 잉크 전체 중량 대비 실시예 2의 첨가제가 1 내지 20 중량%, UV 경화제는 1 내지 10 중량%,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2의 첨가제가 10 중량%, UV 경화제는 5 중량% 첨가되어 제조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항균 효과 확인
본 발명의 잉크가 항균 효과를 나타내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잉크를 처리하고 생육저해환(clear zone)의 크기를 확인하는 페이퍼 디스크 검정(paper disk assay)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실험에 사용한 균주는 그람 양성균인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KACC 11240를 사용하였다. 균의 배양에는 최적배지(special peptone 0.5 g, agar 0.75 g, NaCl 0.25 g, yeast extract 0.25 g, beef extract 0.2 g 및 pyruvic acid 0.025 g)를 사용하고, 미호기성 조건을 유지하기 위해 10% CO2 인큐베이터(Memmert, Schwabach, Germany)에서 습도는 95% 이상으로 유지하며 배양하고, 아가 플레이트상에서 37℃로 48~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항균 활성 측정은 최적배지 플레이트에 바실러스균 배양액 100 μL를 분주하여 멸균 유리봉으로 도말한 다음, 멸균된 디스크 페이퍼(φ 8 mm)를 올리고 본 발명의 잉크 0.1, 0.5, 1, 2mL를 디스크 페이퍼에 흡수시켰으며, 대조구로는 멸균수를 흡수시킨 후 37℃의 미호기성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 한 다음, 디스크 주위의 저해환(clear zone) 생성 유무를 확인하고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저해환(clear zone)(mm)
대조구 0.1 mL 0.5 mL 1 mL 2 mL
바실러스 세레우스 KACC 11240 - 12.8±1.57
17.3±0.72 23.1±2.12 32.3±2.48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잉크에 농도의존적으로 항균 활성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4)

  1. 천연계 항균 물질, 가교제, 습윤제, 저장 안정제, 유기용매, 분산제, 점도 조절제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여 제조되고,
    상기 천연계 항균 물질은 몰약(Commiphora myrrha Holmes) 20 중량부, 유향나무(Boswellia Carterii) 20 중량부, 스피루리나(Spirulina) 20 중량부, 무궁화(Hibiscus syriacus) 10 중량부 및 탱자나무(Poncirus trifoliata) 10 중량부의 추출물을 포함하며,
    상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된 것인, 항균성 잉크 첨가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의 잉크 첨가제 및 UV 경화제를 포함하여 제조된, 항균성 UV 경화성 잉크 조성물.
KR1020200068823A 2020-06-08 2020-06-08 항균성 잉크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uv 경화성 잉크 조성물 KR102365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823A KR102365264B1 (ko) 2020-06-08 2020-06-08 항균성 잉크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uv 경화성 잉크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823A KR102365264B1 (ko) 2020-06-08 2020-06-08 항균성 잉크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uv 경화성 잉크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2140A KR20210152140A (ko) 2021-12-15
KR102365264B1 true KR102365264B1 (ko) 2022-02-22

Family

ID=78865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8823A KR102365264B1 (ko) 2020-06-08 2020-06-08 항균성 잉크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uv 경화성 잉크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526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7694B2 (ja) 1995-11-14 2001-07-11 株式会社東芝 高電圧電力変換装置の絶縁支柱固定構造
KR100860490B1 (ko) * 2008-04-02 2008-09-26 이상권 친환경적인 점자인쇄물의 제조방법 및 친환경적인점자인쇄물
JP2015523411A (ja) 2012-08-03 2015-08-13 チュンアン ユニバーシティー インダストリー−アカデミー コオペレーション ファウンデーション 天然物由来のフィロバシディウム抑制物質を含む抗菌用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08503A (en) 1991-04-16 1992-04-28 Hewlett-Packard Company Smear resistant inks for ink-jet printers
KR100287518B1 (ko) * 1999-01-11 2001-04-16 김선득 항균코팅 인쇄물
KR100513858B1 (ko) * 2002-07-03 2005-09-09 삼성전자주식회사 항균성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잉크 조성물
JP3187694U (ja) * 2013-09-10 2013-12-12 竹田印刷株式会社 クリアファイ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7694B2 (ja) 1995-11-14 2001-07-11 株式会社東芝 高電圧電力変換装置の絶縁支柱固定構造
KR100860490B1 (ko) * 2008-04-02 2008-09-26 이상권 친환경적인 점자인쇄물의 제조방법 및 친환경적인점자인쇄물
JP2015523411A (ja) 2012-08-03 2015-08-13 チュンアン ユニバーシティー インダストリー−アカデミー コオペレーション ファウンデーション 天然物由来のフィロバシディウム抑制物質を含む抗菌用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2140A (ko) 2021-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09421B2 (en) Inkjet recording method
US8500264B2 (en) Ink jet recording method
EP1715010B1 (en) Ink composition
US6475271B2 (en) Ink jet ink compositions and printing processes
US8324293B2 (en) Aqueous ink, ink jet recording method, ink cartridge, recording unit and ink jet recording apparatus
CN101132930B (zh) 塑料膜用的处理液、印刷底层液、墨液组合物和使用了这些的喷墨记录方法
JP6117016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油性インク組成物、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US6695900B2 (en) Aqueous ink composition
JP2017190369A (ja) 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組成物、及び記録方法
JP2017218472A (ja) 油性インク組成物
US20130300797A1 (en) Ink jet recording method, ink jet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ed matter
US6695898B2 (en) Aqueous ink composition
JP6003190B2 (ja) 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セット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4119325B2 (ja) 抗菌性添加剤及びかかる抗菌性添加剤を含むインク組成物
US8362107B2 (en) Ink set and record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2365264B1 (ko) 항균성 잉크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uv 경화성 잉크 조성물
JP5915885B2 (ja) インクセット、並びにこれ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記録物
KR100584599B1 (ko) 잉크 세트, 이를 구비한 잉크젯 기록 장치 및 이를 이용한화상 형성 방법
JP2005111666A (ja)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該ヘッドにおけるインクの配置方法
EP2230279A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igment dispersion, and aqueous ink for inkjet recording
JP6656448B1 (ja) インク組成物、それ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印刷物の製造方法
KR100513858B1 (ko) 항균성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잉크 조성물
JP5954452B2 (ja) ブラックインク組成物
JP2011178915A (ja) インクセッ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記録方法
JP2022185705A (ja) 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組成物、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