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4790B1 - 수 이송관용 수질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수 이송관용 수질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4790B1
KR102364790B1 KR1020210049109A KR20210049109A KR102364790B1 KR 102364790 B1 KR102364790 B1 KR 102364790B1 KR 1020210049109 A KR1020210049109 A KR 1020210049109A KR 20210049109 A KR20210049109 A KR 20210049109A KR 102364790 B1 KR102364790 B1 KR 102364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quality
transfer pipe
flow path
quality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9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한
Original Assignee
(주)아륙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륙전기 filed Critical (주)아륙전기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4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4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싱 오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 이송관용 수질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연결 단부에 둘레에 다수의 연결홀이 형성되는 제1 플랜지가 구비되는 제1 이송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이송관과 연결되고 제1 이송관과 연결되는 연결 단부에는 둘레에 다수의 연결홀이 형성된 제2 플랜지가 구비되는 제2 이송관을 포함하는 수 이송관과; 상기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의 사이에 배치되고, 중앙에는 물 통과홀이 형성되고 둘레에는 상기 연결홀들과 상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연결홀이 형성되며, 둘레의 상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외부가 개방된 수직 설치홈이 형성되고, 수직 설치홈의 하부에는 수 이송관을 통과하는 물의 유속을 감속시켜 통과시키는 감속 유로가 형성되는 링형 측정관과; 상기 수직 설치홈에 밀봉되게 삽입 고정되고 하부에는 상기 감속 유로를 통과하는 물에 침수되는 침수 수질 센싱부가 구비되는 수질 측정센서와; 상기 제1,2 플랜지의 사이에 링형 측정관이 배치된 상태에서 서로 일치하는 연결홀들에 각각이 관통 고정되는 다수의 연결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 이송관용 수질 측정장치{Water quality measuring device for water pipe}
본 발명은 수 이송관용 수질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센싱 오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 이송관용 수질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나 하수 또는 각종 물 등이 이송되는 물 이송관(이하, "수 이송관"이라 한다.)에는 수 이송관을 통과하는 물의 수질을 지속적으로 측정하는 수질 측정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수 이송관용 수질 측정장치는 수 이송관을 통과하는 물의 수질을 측정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종래의 수 이송관용 수질 측정장치는 수 이송관을 통과하는 물의 PH(수소이온농도), BOD(생물학적 산소요구량), COD(화학적 산소요구량), MLSS(탁도), DO(용존산소량), MPN(대장균군수), 전도도 등과 같이 수질 측정을 위한 측정값을 얻기 위한 수질 측정센서를 포함한다.
먼저, 도 8은 종래의 일 실시예의 수 이송관용 수질 측정장치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 실시예의 수 이송관용 수질 측정장치는 수 이송관(100)의 둘레를 관통하는 수직홀(101)과, 수직홀(101)의 내부에 관통 고정되고 침수 수질 센싱부(201)가 하부에 구비되어 침수 수질 센싱부(201)가 수 이송관(100)을 통과하는 물에 침수되는 수질 측정센서(200)를 포함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일 실시예의 수 이송관용 수질 측정장치는 수 이송관을 통과하는 물의 유속이 빨라 수질 측정센서에서 센싱 오류가 발생되어 수질 측정값의 오류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일 실시예의 수 이송관용 수질 측정장치는 수 이송관의 둘레에 관통홀을 가공하고 관통홀에 수직관을 용접이나 체결 등의 방법으로 고정함에 따라, 기존에 설치된 수 이송관에 수질 측정장치를 설치할 경우에는 수 이송관을 가공해야 함으로써 기존에 설치된 수 이송관에 수질 측정장치를 설치할 경우에는 많은 설치비용이 들게 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도 9은 종래의 다른 실시예의 수 이송관용 수질 측정장치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다른 실시예의 수 이송관용 수질 측정장치는 펌프를 포함하며 펌프에 설치되는 것이다. 즉 종래의 다른 실시예의 수질 측정장치는 일측에는 일측 단부에 플랜지 이음으로 제1 이송관(400)이 연결되는 물 유입관(30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타측 단부에 플랜지 이음으로 제2 이송관(500)이 연결되는 물 배출관(302)이 형성되는 펌프(300)와, 상기 펌프(300)의 물 유입관(301)의 상부에 관통되게 설치되는 수직홀(600)과, 상기 수직홀(600)의 내부에 관통 고정되고 침수 수질 센싱부(701)가 하부에 구비되어 침수 수질 센싱부(701)가 물 유입관(301)을 통과하는 물에 침수되는 수질 측정센서(700)를 포함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다른 실시예의 수 이송관용 수질 측정장치는 수 유입관을 통과하는 물의 유속이 빨라 수질 측정센서에서 센싱 오류가 발생되어 수질 측정값의 오류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다른 실시예의 수 이송관용 수질 측정장치는 펌프의 물 유입관의 상부에 수직으로 관통되게 구비됨에 따라, 기존에 수 이송관에 설치된 펌프에는 펌프의 유입관에 수질 측정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홀을 가공하여 펌프를 손상시켜야 함으로써 수질 측정장치의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35031호 "수질측정 시스템"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질 측정센서의 침수 수질 센싱부의 침수 부분의 물의 유속을 수 이송관을 통과하는 물의 유속보다 느리게 하여 수질 측정센서에서 센싱 오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 이송관용 수질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 이송관을 구성하는 이송관들 중 서로 연결되는 제1,2 이송관의 제1,2 플랜지의 사이에 수질 측정장치를 간단히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수 이송관용 수질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에 기 시공된 수 이송관을 구성하는 이송관들 중 서로 연결되는 제1,2 이송관의 제1,2 플랜지를 서로 분리하여 분리된 제1,2 플랜지의 사이에 수질 측정장치를 간단히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수 이송관용 수질 측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 이송관용 수질 측정장치는 연결 단부에 둘레에 다수의 연결홀이 형성되는 제1 플랜지가 구비되는 제1 이송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이송관과 연결되고 제1 이송관과 연결되는 연결 단부에는 둘레에 다수의 연결홀이 형성된 제2 플랜지가 구비되는 제2 이송관을 포함하는 수 이송관과; 상기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의 사이에 배치되고, 중앙에는 물 통과홀이 형성되고 둘레에는 상기 연결홀들과 상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연결홀이 형성되며, 둘레의 상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외부가 개방된 수직 설치홈이 형성되고, 수직 설치홈의 하부에는 수 이송관을 통과하는 물의 유속을 감속시켜 통과시키는 감속 유로가 형성되는 링형 측정관과; 상기 수직 설치홈에 밀봉되게 삽입 고정되고 하부에는 상기 감속 유로를 통과하는 물에 침수되는 침수 수질 센싱부가 구비되는 수질 측정센서와; 상기 제1,2 플랜지의 사이에 링형 측정관이 배치된 상태에서 서로 일치하는 연결홀들에 각각이 관통 고정되는 다수의 연결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수질 측정센서의 침수 수질 센싱부의 침수 부분을 통과하는 물의 유속을 수 이송관을 통과하는 물의 유속보다 느리게 하여 수질 측정센서에서 센싱 오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수질 측정값의 오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 이송관을 구성하는 이송관들 중 서로 연결되는 제1,2 이송관의 제1,2 플랜지의 사이에 수질 측정장치를 간단히 설치함으로써 설치시간 및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는 수질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에 기 시공된 수 이송관을 구성하는 이송관들 중 서로 연결되는 제1,2 이송관의 제1,2 플랜지를 서로 분리하여 분리된 제1,2 플랜지의 사이에 수질 측정장치를 간단히 설치함으로써, 기 시공된 수 이송관을 손상시키지 않으면 현장에서 조립 공정만을 통해 간단히 설치할 수 있는 수질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수질 측정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단면 구성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수질 측정장치를 구성하는 다른 실시예의 감속 유로를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단면 구성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수질 측정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단면 구성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수질 측정장치를 구성하는 다른 실시예의 감속 유로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단면 구성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b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7a는 도 6a의 정단면도.
도 7b는 도 6a의 측단면도.
도 8은 종래의 일 실시예의 수 이송관용 수질 측정장치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9은 종래의 다른 실시예의 수 이송관용 수질 측정장치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수질 측정장치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수 이송관용 수질 측정장치(이하, "제1 실시예의 수질 측정장치"라 한다.)는 수질 측정센서(3)의 침수 수질 센싱부(32)의 침수 부분을 통과하는 물의 유속을 수 이송관(1)을 통과하는 물의 유속보다 느리게 하여 수질 측정센서(3)에서 센싱 오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수 이송관(1), 링형 측정관(2), 수질 측정센서(3), 연결볼트(4)를 포함한다.
상기 수 이송관(1)은 내부에서 상수나 하수 또는 각종 물 등이 이송되는 것으로, 다른 이송관이 연결되는 연결 단부에는 둘레에 다수의 연결홀(H)이 형성되는 제1 플랜지(111)가 구비되는 제1 이송관(11)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이송관(11)과 연결되고 제1 이송관(11)과 연결되는 연결 단부에는 상기 제1 플랜지(111)에 연결되는 둘레에 다수의 연결홀(H)이 형성된 제2 플랜지(121)가 구비되는 제2 이송관(1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플랜지(111)와 제2 플랜지(121)는 제1,2 이송관(11)(12)의 연결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것으로, 제1,2 플랜지(111)(121)의 둘레에는 후술할 연결볼트(4)들이 관통될 수 있도록 둘레에 상기 연결홀(H)들이 서로 상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링형 측정관(2)은 제1 플랜지(111)와 제2 플랜지(121)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중앙에는 물 통과홀(21)이 형성되고 둘레에는 상기 제1,2 플랜지(111)(121)에 형성된 연결홀(H)들과 상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연결홀(H)이 형성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링형 측정관(2)의 둘레의 상부에는 후술할 수질 측정센서(3)를 설치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외부가 개방된 수직 설치홈(22)이 더 형성되고 수직 설치홈(22)의 하부에는 수 이송관(1)을 통과하는 물의 유속을 감속시켜 통과시키는 감속 유로(2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속 유로(23)는 수질을 측정하는 부분을 통과하는 물의 유속을 물 이송관을 통과하는 물의 유속보다 느리게 하여 수질 측정센서(3)에서 센싱 오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설치홈(22)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물 침수 측정부가 침수되는 침수 유로(231)와, 상기 침수 유로(231)의 일측에서 상기 링형 측정관(2)의 물 통과홀(21)의 물 유입측인 일측 상부에 연통되게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물 유입 감속유로(232)와, 상기 침수 유로(231)의 타측에서 상기 링형 측정관(2)의 물 통과홀(21)의 배출측인 타측 상부에 연통되게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물 배출 감속유로(2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질 측정센서(3)는 수 이송관을 통과하는 물의 PH(수소이온농도), BOD(생물학적 산소요구량), COD(화학적 산소요구량), MLSS(탁도), DO(용존산소량), MPN(대장균군수) 등과 같이 수질 측정을 위한 측정값을 얻기 위한 센서이다.
따라서 상기 수질 측정센서(3)는 링형 측정관(2)의 수직 설치홈(22)에 밀봉되게 삽입 고정되는 것으로, 하부에는 상기 감속 유로(23)를 통과하는 물에 침수되는 침수 수질 센싱부(32)가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질 측정센서(3)는 수직 설치홈(22)에 고정수단을 통해 삽입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질 측정센서(3)에는 물의 수질을 측정한 측정값을 디스플레이하는 공지된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또는 유선이나 무선의 통신에 의해 물의 수질을 측정한 측정값을 관리소 등에 구비된 제어컴퓨터로 전송하는 공지된 송신부(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침수 수질 센싱부(32)에서 수질을 센싱하여 수질 측정센서(3)에서 수질 센싱값을 얻는 구성은 이미 공지된 것으로, 수질 측정센서(3)에서 침수 수질 센싱부(32)에서 수질을 센싱하여 수질 센싱값을 얻는 구체적인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수직 설치홈(22)의 내측 둘레와 수질 측정센서(3)의 외측 둘레에 형성되어 수질 측정센서(3)가 밀봉되게 체결되는 밀봉 체결부(34)나, 또는 수직 설치홈(22)의 내측 둘레와 수질 측정센서(3)의 외측 둘레의 사이에 형성되어 수질 측정센서(3)를 밀봉되게 삽입 고정하는 밀봉 접착제층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첨부된 도면에서 밀봉 체결부(34)를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연결볼트(4)는 다수로 구비되는 것으로, 각각의 연결볼트(4)는 제1 이송관(11)의 제1 플랜지(111)와 제2 이송관(12)의 제2 플랜지(121)의 사이에 상기 링형 측정관(2)이 배치된 상태에서 서로 일치하는 연결홀(H)들에 각각이 관통 고정되어 제1,2 플랜지(111)(121)의 사이에 링형 측정관(2)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각각의 연결볼트(4)는 제1 플랜지(111)와 제2 이송관(12)의 제2 플랜지의 사이에 상기 링형 측정관(2)이 배치된 상태에서 서로 일치하는 연결홀(H)들에 나사축이 관통되고, 관통된 나사축에는 너트가 고정되어 제1,2 플랜지(111)(121)의 사이에 링형 측정관(2)을 고정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 실시예의 수질 측정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며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수질 측정장치를 신설 시공되는 수 이송관(1)에 설치할 경우에는, 수 이송관(1)을 구성하는 이송관 들 중 서로 연결되는 제1,2 이송관(11)(12)의 사이에 수질 측정센서(3)가 수직 설치홈(22)에 설치된 링형 측정관(2)을 배치시킨다.
다음 상기 제1,2 플랜지(111)(121)의 사이에 링형 측정관(2)이 배치된 상태에서 서로 일치하는 연결홀(H)들에 다수의 연결볼트(4)를 관통시켜 너트를 조이는 과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수질 측정장치를 신설 시공되는 수 이송관(1)에 간단하게 설치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 이송관(1)을 구성하는 이송관들 중 서로 연결되는 제1,2 이송관(11)(12)의 제1,2 플랜지(111)(121)의 사이에 연결볼트(4)들의 조립만으로 수질 측정장치를 간단히 설치함으로써 설치시간 및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는 수질 측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수질 측정장치를 기존에 기 시공된 수 이송관(1)에 설치할 경우에는, 먼저 기존에 시공된 수 이송관(1)을 구성하는 이송관 들 중 서로 연결되는 제1,2 이송관(11)(12)의 제1,2 플랜지(111)(121)를 연결볼트(4)를 풀어 서로 분리한다.
다음 서로 연결되는 제1,2 이송관(11)(12)의 사이에 수질 측정센서(3)가 수직 설치홈(22)에 설치된 링형 측정관(2)을 배치시킨다.
다음 상기 제1,2 플랜지(111)(121)의 사이에 링형 측정관(2)이 배치된 상태에서 서로 일치하는 연결홀(H)들에 다수의 연결볼트(4)를 관통시켜 너트를 조이는 과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수질 측정장치를 기존에 기 시공된 수 이송관(1)에 간단하게 설치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에 기 시공된 수 이송관(1)을 구성하는 이송관들 중 서로 연결되는 제1,2 이송관(11)(12)의 제1,2 플랜지(111)(121)를 서로 분리하여 분리된 제1,2 플랜지(111)(121)의 사이에 수질 측정장치를 간단히 설치함으로써, 기 시공된 수 이송관(1)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현장에서 조립 공정만을 통해 간단히 설치할 수 있는 수질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수질 측정장치를 통해 수질을 측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수질 측정장치가 수 이송관(1)에 설치된 상태에서 수 이송관(1)의 제1,2 이송관(11)(12)에 물이 통과되면, 제1,2 이송관(11)(12)을 통과하는 물의 일부는 링형 측정관(2)의 감속 유로(23)를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감속 유로(23)를 통과하는 물은 경사진 물 유입 감속유로(232)와 침수 유로(231) 및 경사진 물 배출 감속유로(233)를 통과하면서 물 유입 감속유로(232)와 물 배출 감속유로(233)의 경사에 의해 감속되면서 통과함으로써, 상기 침수 유로(231)를 통과하는 물의 유속은 제1,2 이송관(11)(12)을 통과하는 물의 유속보다 느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질 측정센서(3)의 침수 수질 센싱부(32)가 침수되어 수질을 측정하는 부분인 감속 유로(23)의 침수 유로(231)를 통과하는 물의 유속이 제1,2 이송관(11)(12)을 통과하는 물의 유속보다 느려지게 됨으로써, 빠른 물의 유속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수질 측정센서(3)의 센싱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수질 측정센서(3)의 침수 수질 센싱부(32)의 침수 부분인 침수 유로(231)를 통과하는 물의 유속을 제1,2 이송관(11)(12)을 통과하는 물의 유속보다 느리게 하여 수질 측정센서(3)에서 센싱 오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수질 측정값의 오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수질 측정장치를 구성하는 다른 실시예의 감속 유로(2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 설치홈(22)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물 침수 측정부가 침수되는 침수 유로(234)와, 상기 침수 유로(234)의 전방에서 상기 링형 측정관(2)의 물 통과홀(21)의 상부 전방에 연통되게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전방 물 감속유로(235)와, 상기 침수 유로(234)의 후방에서 상기 링형 측정관(2)의 물 통과홀(21)의 상부 후방에 연통되게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후방 물 감속유로(23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수질 측정장치를 구성하는 다른 실시예의 감속 유로(23)는, 제1,2 이송관(11)(12)으로 물이 통과되면, 제1,2 이송관(11)(12)을 통과하는 물의 일부는 링형 측정관(2)의 감속 유로(23)를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감속 유로(23)를 통과하는 물은 전,후방 물 감속유로(235)(236) 중 하나에서 유입되어 다른 하나를 통과하여 배출되고, 전,후방 물 감속유로(235)(236)를 통과할 때 전,후방 물 감속유로(235)(236)의 경사에 의해 감속됨으로써, 상기 침수 유로(234)를 통과하는 물의 유속은 제1,2 이송관(11)(12)을 통과하는 물의 유속보다 느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질 측정센서(3)의 침수 수질 센싱부(32)가 침수되어 수질을 측정하는 부분인 다른 실시예의 감속 유로(23)의 침수 유로(234)를 통과하는 물의 유속이 제1,2 이송관(11)(12)을 통과하는 물의 유속보다 느려지게 됨으로써 수질 측정센서(3)의 센싱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수질 측정장치를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수질 측정장치를 구성하는 다른 실시예의 감속 유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수 이송관용 수질 측정장치(이하, "제2 실시예의 수질 측정장치"라 한다.)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이송관(12)을 제외하고 상기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모두 포함함을 전제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수질 측정장치를 구성하는 제2 이송관(12)은 펌프(5)의 물 유입측에 형성된 펌프(5)의 연결 단부에 플랜지가 구비된 물 유입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수질 측정장치는 펌프(5)의 물 유입관으로 구성된 제2 이송관(12)의 제2 플랜지(121)와 펌프(5)의 물 유입관인 제2 이송관 연결되는 제1 이송관(11)의 제1 플랜지(111)의 사이에 배치되어 연결볼트(4)들의 연결을 통해 설치됨으로써, 신설로 시공되거나 기존에 기 시공된 펌프가 중간에 설치된 수 이송관(1)에서 펌프(5)에 수질 측정장치를 설치하지 않고도 펌프(5)의 물 유입측에 간단히 수질 측정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수질 측정장치는 신설로 시공되거나 기존에 기 시공된 펌프가 중간에 설치된 수 이송관(1)에서 펌프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펌프(5)의 물 유입측에 간단히 설치할 수 있는 수질 측정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첨부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펌프(5)의 물 유입관으로 구성된 제2 이송관(12)의 제2 플랜지(121)와 펌프(5)의 물 유입관인 제2 이송관 연결되는 제1 이송관(11)의 제1 플랜지(111)의 사이에 배치되어 연결볼트(4)들의 연결을 통해 설치되도록 링형 측정관(2a)에는 감속 유로(23a)가 형성됨에 있어서 상기 감속 유로(23a)는 스파이널 형태로 형성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링형 측정관(2a)에는 수질 측정센서(3)가 설치되며 수질 측정센서(3)는 감속 유로(23a)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감속 유로(23a)로 인입된 물의 유속을 저속으로 유속을 감소기켜 수질 측정센서(3)가 용이하게 센싱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첨부도면 도 5에서와 같이 센서(3)를 링형 측정관(2a)에 매립 형태로 설치할 수도 있으나 첨부도면 도 6a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3)를 링형 측정관(2a)의 외부에서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도 7a 내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속 유로(23)를 형성하는 전방 물 감속유로(235)와, 상기 침수 유로(234)의 후방에서 상기 링형 측정관(2)의 물 통과홀(21)의 상부 후방에 연통되게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후방 물 감속유로(236)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감속 유로(23)를 가상의 수직 중심선을 그엇을 때 후방으로 치우쳐 형성된다.
그 이유는 물이 물 통과홀(21)로 유입되었을 때 원형의 홀 최상단에 감속 유로(23)를 형성시키면 감속 유로(23) 내부에 물이 가득 체워질 때가지 센서(3)가 측정하는 시간이 오래 소요되지만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속 유로(23)의 입구 쪽과 출구쪽에 해당하는 물 감속유로(235)와 물 감속유로(236)를 수평중심선에 가까워지도록 형성시키면 물이 감속 유로(23) 내부로 유입이 빨라져 센싱 속도도 빨라지는 이점을 얻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수 이송관
11 : 제1 이송관
12 : 제2 이송관
2 : 링형 측정관
21 : 물 통과홀
22 : 수직 설치홈
23 : 감속 유로
3 : 수질 측정센서
32 : 침수 수질 센싱부
34 : 밀봉 체결부
4 : 연결볼트
5 : 펌프

Claims (6)

  1. 연결 단부에는 둘레에 다수의 연결홀이 형성되는 제1 플랜지가 구비되는 제1 이송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이송관과 연결되고 제1 이송관과 연결되는 연결 단부에는 둘레에 다수의 연결홀이 형성된 제2 플랜지가 구비되는 제2 이송관을 포함하는 수 이송관과;
    상기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의 사이에 배치되고, 중앙에는 물 통과홀이 형성되고 둘레에는 상기 연결홀들과 상응되는 위치에 다수의 연결홀이 형성되며, 둘레의 상부에는 수직 방향으로 외부가 개방된 수직 설치홈이 형성되고, 수직 설치홈의 하부에는 수 이송관을 통과하는 물의 유속을 감속시켜 통과시키는 감속 유로가 형성되는 링형 측정관과;
    상기 수직 설치홈에 밀봉되게 삽입 고정되고 하부에는 상기 감속 유로를 통과하는 물에 침수되는 침수 수질 센싱부가 구비되는 수질 측정센서와;
    상기 제1,2 플랜지의 사이에 링형 측정관이 배치된 상태에서 서로 일치하는 연결홀들에 각각이 관통 고정되는 다수의 연결볼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 이송관용 수질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관은
    펌프의 물 유입측에 형성된 펌프의 물 유입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 이송관용 수질 측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질 측정센서는 수직 설치홈에 고정수단을 통해 삽입 고정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수직 설치홈의 내측 둘레와 수질 측정센서의 외측 둘레에 형성되어 수질 측정센서가 밀봉되게 체결되는 밀봉 체결부나, 또는 수직 설치홈의 내측 둘레와 수질 측정센서의 외측 둘레의 사이에 형성되어 수질 측정센서를 밀봉되게 삽입 고정하는 밀봉 접착제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 이송관용 수질 측정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 유로는
    상기 수직 설치홈의 하부에 형성되어 물 침수 측정부가 침수되는 침수 유로와,
    상기 침수 유로의 일측에서 상기 링형 측정관의 물 통과홀의 물 유입측인 일측 상부에 연통되게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물 유입 감속유로와,
    상기 침수 유로의 타측에서 상기 링형 측정관의 물 통과홀의 배출측인 타측 상부에 연통되게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물 배출 감속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 이송관용 수질 측정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 유로는
    상기 수직 설치홈의 하부에 형성되어 물 침수 측정부가 침수되는 침수 유로와,
    상기 침수 유로의 전방에서 상기 링형 측정관의 물 통과홀의 상부 전방에 연통되게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전방 물 감속유로와,
    상기 침수 유로의 후방에서 상기 링형 측정관의 물 통과홀의 상부 후방에 연통되게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후방 물 감속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 이송관용 수질 측정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 유로가 수평중심선에 가까워지도록 형성시키면 물이 감속 유로 내부로 유입이 빨라져 센싱 속도도 빨라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 이송관용 수질 측정장치.
KR1020210049109A 2020-10-15 2021-04-15 수 이송관용 수질 측정장치 KR1023647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648 2020-10-15
KR20200133648 2020-10-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4790B1 true KR102364790B1 (ko) 2022-02-23

Family

ID=80495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9109A KR102364790B1 (ko) 2020-10-15 2021-04-15 수 이송관용 수질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47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05935B1 (ko) 2023-08-24 2024-09-11 (주)아륙전기 수질 측정이 용이한 수 이송관
KR102750030B1 (ko) 2023-08-24 2025-01-03 (주)아륙전기 유체 이송관용 수질 측정장치를 이용한 유체 관리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7620A (ja) * 1981-12-08 1983-06-10 Sanfuremu Akiyumu Kk 蒸気流量計
JPH08320329A (ja) * 1995-05-26 1996-12-03 Rinnai Corp 風速センサ
JP2004170113A (ja) * 2002-11-18 2004-06-17 Yamatake Corp 流体検出装置
KR20100123286A (ko) * 2009-05-15 2010-11-24 이효영 유류 배출 밸브용 인디게이터
KR101035031B1 (ko) 2003-05-29 2011-05-19 한국바이오시스템(주) 수질측정 시스템
KR101823132B1 (ko) * 2016-10-28 2018-01-30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티디에스 측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97620A (ja) * 1981-12-08 1983-06-10 Sanfuremu Akiyumu Kk 蒸気流量計
JPH08320329A (ja) * 1995-05-26 1996-12-03 Rinnai Corp 風速センサ
JP2004170113A (ja) * 2002-11-18 2004-06-17 Yamatake Corp 流体検出装置
KR101035031B1 (ko) 2003-05-29 2011-05-19 한국바이오시스템(주) 수질측정 시스템
KR20100123286A (ko) * 2009-05-15 2010-11-24 이효영 유류 배출 밸브용 인디게이터
KR101823132B1 (ko) * 2016-10-28 2018-01-30 대윤계기산업 주식회사 티디에스 측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05935B1 (ko) 2023-08-24 2024-09-11 (주)아륙전기 수질 측정이 용이한 수 이송관
KR102750030B1 (ko) 2023-08-24 2025-01-03 (주)아륙전기 유체 이송관용 수질 측정장치를 이용한 유체 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4790B1 (ko) 수 이송관용 수질 측정장치
US20240003724A1 (en) Flow sensor devices and systems
US11402248B2 (en) Flow sensor devices and systems
US11768092B2 (en) Flow sensor devices and systems
JP4910179B2 (ja) フローセンサ
CN107413214A (zh) 基于四元泵系统的缓冲液配置系统
JP2005010078A (ja) インライン型圧力センサ
JPH10170501A (ja) 水質測定装置及び水質測定方法
CN206793433U (zh) 基于四元泵系统的缓冲液配置系统
KR102705935B1 (ko) 수질 측정이 용이한 수 이송관
CN216594456U (zh) 一种一体化液路混合模块
KR101017869B1 (ko) 배수지 또는 수조에서의 수질 대표값 측정 시스템
US20210033590A1 (en) Method for determining a chemical intake capacity of a process medium in a measuring point and measuring point for determining a chemical intake capacity of a process medium
KR102750030B1 (ko) 유체 이송관용 수질 측정장치를 이용한 유체 관리시스템
Skrentner Instrumentation handbook for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plants
JP2001104689A (ja) 洗濯排水分別装置及び洗濯排水分別方法
CN217650963U (zh) 污水处理系统用精确加药的pH值调节装置
CN221649643U (zh) 一种水表
JPH06249735A (ja) 流体用センサ
JPH0725633Y2 (ja) ベンド流量計
CN216284509U (zh) 一种在线取样检测装置
EP0102458B1 (en) Device for measuring of concentration of a low molecular weight compound in a complex medium
CN209085669U (zh) 一种管道检测系统
RU2779481C1 (ru) Датчик для контроля герметичности затвора трубопроводной арматуры капельным и пузырьковым методом
JPH033973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2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1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6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2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2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