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4547B1 - 아코디언의 음향유닛 - Google Patents

아코디언의 음향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4547B1
KR102364547B1 KR1020200120825A KR20200120825A KR102364547B1 KR 102364547 B1 KR102364547 B1 KR 102364547B1 KR 1020200120825 A KR1020200120825 A KR 1020200120825A KR 20200120825 A KR20200120825 A KR 20200120825A KR 102364547 B1 KR102364547 B1 KR 102364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rdion
sound
lead block
wood
l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0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원
Original Assignee
이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원 filed Critical 이창원
Priority to KR1020200120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45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4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4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11/00Accordions, concertinas or the like; Keyboards theref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9/02Mouthpieces; Reeds; Ligatures
    • G10D9/035Reed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 G10D9/10Resonating bodies, e.g. tub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에 의한 흡음 및 흡습기능에 의해 악기의 연주과정에서의 잡음을 제거함과 동시에 습기에 의한 악기의 변형이나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아코디언의 음향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명챔버(34)가 형성된 목재재질의 우드바디(31) 상에 리드(40)가 구비된 금속재질의 리드블록(32)이 부착된 아코디언(10)의 음향유닛에 있어서; 상기 우드바디(31)와 리드블록(32)은 흡음 또는 흡습이 가능하도록 된 다공패드(33)가 개재된 상태로 상호 결합되되, 상기 다공패드(33)는 상기 공명챔버(34)에 대응된 위치에 관통공(50)이 형성된 일정 크기의 고무스펀지를 포함한 발포부재에 의해 제작된 아코디언의 음향유닛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아코디언의 음향유닛{Sound unit of an accordion}
본 발명은 아코디언의 음향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에 의한 흡음 및 흡습기능에 의해 악기의 연주과정에서의 잡음을 제거함과 동시에 습기에 의한 악기의 변형이나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아코디언의 음향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코디언은 벨로즈에 의해 공기압력을 조절하여 프리리드(free reed)를 진동시킴에 따라 음이 발생되는 악기로, 대개 휴대 가능한 박스형태로 구비되어 건반과 버튼을 누르면서 멜로디와 화음을 동시에 연주할 수 있는 건반악기의 일종으로, 이를 도시된 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아코디언(10)은 일정 크기로 된 본체케이스(11) 상에 벨로즈(12)가 결합되고, 본체케이스(11)의 양측에 손가락으로 연주할 수 있도록 된 건반(13)과 버튼(14)이 구비된 것으로, 이러한 아코디언(10)은 본체케이스(11)의 내부에 복수개의 음향유닛(도시되지 않음)이 내장 설치되어 건반(13)이나 버튼(14)을 누름에 따라 벨로즈(12)에 의한 공기압이 흡배출되어 소리가 발생되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음향유닛은 복수개의 공명챔버가 일렬로 형성된 목재로 된 우드바디 상에 알루미늄 재질로 된 리드블록이 장착된 것으로, 상기 리드블록 상에는 얇은 막형태로 형성되어 소리를 발생시키는 리드와 이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개폐되는 밸브막이 장착된 것이다.
이러한 우드바디의 공명챔버 측에 리드블록을 장착할 때에, 종래에는 통상의 캔들왁스를 일정 두께로 도포하여 상기 우드바디 상에 리드블록을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접착한 것이나, 목재의 특성상 다습한 여름철의 팽창과 건조한 겨울철의 수축이 반복되어 우드바디 상에 결합된 리드블록이 부분적으로 탈락되거나 틈새가 발생될 우려가 있는 것이다.
이에 의해 상기 리드블록의 떨림이나 틈새에 유출입되는 공기에 의한 비정상적인 소리가 발생되어 정상적인 악기의 소리 이외에 잡음이 발생될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잡음은 그 소리가 아무리 미세하더라도 섬세하게 음을 느끼고 표현하는 민감한 연주자에게는 매우 거슬리는 소리가 될 수 있음으로 인해, 악기에서의 잡음은 악기의 품질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것이다.
또한 계절적인 특성에 따라서는 캔들왁스 자체에 장치의 결합력 저하나 작동불량 등의 우려가 있는 것으로, 여름철에 고온다습한 기후적 특성에 따라 캔들왁스가 일부 녹아 리드블록 상에서 흘러내릴 수 있고, 이에 따라 리드블록 상에 구비된 밸브막이 달라붙어 밸브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악기의 음이 제대로 표현되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미국 특허공보 US7138573(2006. 11. 21)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구성간의 결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흡음 및 흡습이 가능한 부재에 의해 악기의 연주과정에서의 잡음을 제거함과 동시에 습기에 의한 악기의 변형이나 손상 등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아코디언의 음향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공명챔버(34)가 형성된 목재재질의 우드바디(31) 상에 리드(40)가 구비된 금속재질의 리드블록(32)이 부착된 아코디언(10)의 음향유닛에 있어서;
상기 우드바디(31)와 리드블록(32)은 흡음 또는 흡습이 가능하도록 된 다공패드(33)가 개재된 상태로 상호 결합되되, 상기 다공패드(33)는 상기 공명챔버(34)에 대응된 위치에 관통공(50)이 형성된 일정 크기의 고무스펀지를 포함한 발포부재에 의해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코디언의 음향유닛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리드블록(32)은 핀이나 나사를 포함한 고정구(60)에 의해 상기 우드바디(31) 상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코디언의 음향유닛이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우드바디(31)와 리드블록(32) 사이에 흡음 또는 흡습이 가능하도록 된 다공패드(33)가 개재된 상태로 결합됨에 따라, 목재재질로 된 우드바디(31)가 온도와 습도의 변화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되더라도 다공패드(33)의 자체적인 신축에 의해 리드블록(32)과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의해 리드블록(32)의 부분적인 탈락이나 틈새로 유출입되는 공기에 의한 잡음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다공패드(33)는 고무스펀지를 포함한 발포부재로 제작되어 자체적으로 습기를 흡수하여 우드바디(31)를 포함한 장치 자체를 습기로부터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주중에 발생될 수 있는 건반(13)이나 이에 연동되는 기구의 작동 등에서 발생될 수 있는 미세한 잡음과 이 잡음이 공명되는 것을 흡수하여 잡음제거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공패드(33)는 자체의 두께에 의해 우드바디(31) 상에 형성된 공명챔버(34)의 공간크기를 미세하게나마 확장시켜 종래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깊은 울림이 가능함에 따른 음질개선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우드바디(31) 상에 리드블록(32)을 결합할 때에, 핀이나 나사와 같은 고정구(60)를 사용하여 종래의 캔들왁스와 같은 접착제를 배제한 상태로 결합이 가능함에 따라, 여름철 등에 고온에 의해 접착제가 녹음에 따른 리드블록(32) 상에 밸브막(41)의 작동 등에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아코디언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향유닛(30)은 아코디언(10)의 본체케이스(11)에 복수개로 내장되는데, 통상의 아코디언(10)은 두개로 분할된 본체케이스(11a,11b)를 상호 개폐 가능하도록 구비한 상태에서 하나의 본체케이스(11a) 상에 벨로즈(12)를 장착하고, 다른 본체케이스(11b) 상에 건반보드(15)를 장착한 것으로, 상기 본체케이스(11b)의 내부에는 벨로즈(12)에 의한 가압공기가 통과되도록 통기공(17)이 형성된 차폐막(16)이 구비되는데, 본 발명의 음향유닛(30)은 상기 차폐막(16)의 일측에 통기공(17)에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음향유닛(30)은 대략 직사각 블록형태로 된 우드바디(31)의 측면에 복수개의 리드블록(32)이 일렬로 배치되도록 결합된 것으로, 이에 대한 세부적인 구성과 결합상태 등을 도 3과 도 4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향유닛(30)은 일정폭과 길이로 된 직사각 블록형태의 우드바디(31)가 구비되는데, 이 우드바디(31)는 목재를 재단하여 좌우 측면으로 개방되는 복수개의 공명챔버(34)가 일렬로 배열되도록 제작되는데, 이 공명챔버(34)는 음의 높낮이에 따라 그 크기를 달리하여 형성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우드바디(31)는 악기의 구성상의 좌우의 높이차가 발생되도록 제작되는데, 이러한 우드바디(31)를 본체케이스(11) 상에 용이하게 장착하기 위해 상기 우드바디(31)의 일단 상면에 타단과의 높이를 맞추기 위한 레벨블록(35)이 더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통상적인 구성이다.
이와 같은 우드바디(31) 상에는 측면상에 일정 크기의 다공패드(33)가 결합되는데, 이 다공패드(33)에는 상기 공명챔버(34)에 대응되도록 펀칭된 복수개의 관통공(50)이 형성되는 얇은 패드형태로 구비된 것으로, 이는 고무스펀지나 우레탄폼 등과 같은 발포부재로 제작되어 소리나 수분 등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는 다공체 구조에 의해 흡음 및 흡습기능을 갖도록 된 것이다.
이와 같은 다공패드(33) 상에는 상기 진공챔버(34)를 폐쇄할 수 있도록 된 사각단면의 리드블록(32)이 장착되는데, 이 리드블록(32)은 면상에 얇은 판막형태로 된 리드(40)와 밸브막(41)이 나란히 구비된 통상적인 것으로, 바닥면이 상기 다공패드(33)의 면상에 밀착된 상태로 접착되고, 상하단이 핀이나 나사 등과 같은 고정구(60)에 의해 고정 설치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드바디(31)는 대략 사다리꼴의 측단면 형태로 구비되어 양측면에 좌우로 구획된 공명챔버(34)가 형성되고, 이 공명챔버(34)의 하부에 본체케이스(11)의 통기공(17)에 연통되는 바닥공(36)이 형성된 것이며, 상기 리드블록(32)은 우드바디(31)의 공명챔버(34)를 커버하도록 결합되는데, 블록면 상에는 공명챔버(34)에 연통되는 블로잉홀(42)이 형성되고, 블로잉홀(42) 상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의 리드(40)가 장착되어 공기에 의한 떨림이 가능하도록 된 것이다.
또한 상기 다공패드(33)는 리드블록(32)을 우드바디(31) 상에 장착할 때에 우드바디(31)와 리브블록(32) 사이에 개재되는데, 이러한 다공패드(33)는 양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우드바디(31)와 리드블록(32) 상에 접촉된 상태로 예비결합하고, 추가적으로 핀이나 나사와 같은 고정구(60)에 의해 상기 리드블록(32)의 상하단을 우드바디(31) 상에 밀착시킨 상태로 고정설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고정구(60)는 우드바디(31) 상에 리드블록(32)을 고정시킬 수 있음에 따라, 종래처럼 캔들왁스와 같은 접착제 등을 두껍게 도포할 필요가 없어 리드블록(32)의 전면에 접착제가 녹아 흘러내릴 염려가 없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다공패드(33)는 전술된 바와 같은 발포부재로 구비되어 흡음과 흡습이 가능하고, 자체의 두께에 의해 상기 공명챔버(34)의 공간크기를 미세하게나마 확장시킬 수 있는데, 비록 다공패드(33)에 의해 확장되는 공명챔버(34)가 미세하더라도 사소한 음이나 울림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연주자에게는 풍부한 울림을 주는 연주느낌이나 음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아코디언 11: 본체케이스
12: 벨로즈 13: 건반
30: 음향유닛 31: 우드바디
32: 리드블록 33: 다공패드
34: 공명챔버 40: 리드
41: 밸브막 50: 관통공
60: 고정구

Claims (2)

  1. 공명챔버(34)가 형성된 목재재질의 우드바디(31) 상에 리드(40)가 구비된 금속재질의 리드블록(32)이 부착된 아코디언(10)의 음향유닛에 있어서;
    상기 우드바디(31)와 리드블록(32)은 흡음 또는 흡습이 가능하도록 된 다공패드(33)가 개재된 상태로 상호 결합되되, 상기 다공패드(33)는 상기 공명챔버(34)에 대응된 위치에 관통공(50)이 형성된 일정 크기의 고무스펀지를 포함한 발포부재에 의해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코디언의 음향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블록(32)은 핀이나 나사를 포함한 고정구(60)에 의해 상기 우드바디(31) 상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코디언의 음향유닛.
KR1020200120825A 2020-09-18 2020-09-18 아코디언의 음향유닛 KR102364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825A KR102364547B1 (ko) 2020-09-18 2020-09-18 아코디언의 음향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825A KR102364547B1 (ko) 2020-09-18 2020-09-18 아코디언의 음향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4547B1 true KR102364547B1 (ko) 2022-02-17

Family

ID=80493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0825A KR102364547B1 (ko) 2020-09-18 2020-09-18 아코디언의 음향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454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38573B2 (en) 2002-04-15 2006-11-21 Paul Facq Dual single reed module, particularly for instruments of the accordion type
WO2014111964A1 (en) * 2013-01-18 2014-07-24 Mancini Tonino Accordion with separate air supplies to reed blocks
WO2018202913A1 (de) * 2017-05-05 2018-11-08 Telegärtner Elektronik GmbH Elektronisches akkordeon
EP3401900A1 (en) * 2017-05-10 2018-11-14 Andrej Leban Accordion, preferably a diatonic button accord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38573B2 (en) 2002-04-15 2006-11-21 Paul Facq Dual single reed module, particularly for instruments of the accordion type
WO2014111964A1 (en) * 2013-01-18 2014-07-24 Mancini Tonino Accordion with separate air supplies to reed blocks
WO2018202913A1 (de) * 2017-05-05 2018-11-08 Telegärtner Elektronik GmbH Elektronisches akkordeon
EP3401900A1 (en) * 2017-05-10 2018-11-14 Andrej Leban Accordion, preferably a diatonic button accord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7564A (en) Noise damper
JP5218432B2 (ja) 静電容量型振動センサ
EP1977415B1 (en) Drumhead assembly with improved rebound
KR102364547B1 (ko) 아코디언의 음향유닛
US7013017B2 (en) Microphone capsule support
US2153357A (en) Acoustic damping material
JP2016058936A (ja) スピーカー装置
US3239028A (en) Sound reproduction system
TWI648728B (zh) 口風琴
US20150315783A1 (en) Soundproof room
KR20060027997A (ko) 바닥난방수단을 갖고 시공성과 안정성을 갖춘 뜬 바닥형바닥구조
CN211597295U (zh) 一种改进型隔音玻璃幕墙
KR101838718B1 (ko) 판진동형 흡음재
KR101454223B1 (ko) 베이스 드럼 뮤터
TWI400965B (zh) speaker
KR100772650B1 (ko) 음향 필터 패널 구조
JPS5850369Y2 (ja) 鍵盤吹奏楽器
Pomberger et al. Material-Dependent Sound and Vibration of a Harmonica Reed Block
JP2002210092A (ja) 遊技機および遊技機用スピーカシステム
CN111798817A (zh) 共振系统和包括共振系统的弦乐器
JPH02275235A (ja) 換気扇の防音装置
JPH0916163A (ja) 鍵盤吹奏楽器
JPH10240239A (ja) 電気弦楽器におけるピックアップ装置の取付構造
JP4473965B2 (ja) アンプ台
CN217214534U (zh) 一种键盘按键减震消音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