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4222B1 - Worktable - Google Patents

Workt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4222B1
KR102364222B1 KR1020150062272A KR20150062272A KR102364222B1 KR 102364222 B1 KR102364222 B1 KR 102364222B1 KR 1020150062272 A KR1020150062272 A KR 1020150062272A KR 20150062272 A KR20150062272 A KR 20150062272A KR 102364222 B1 KR102364222 B1 KR 102364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base frame
suction block
work tabl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22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30337A (en
Inventor
김동술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2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4222B1/en
Publication of KR20160130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033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4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422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8Work-clamping means other than mechanically-actuated
    • B23Q3/088Work-clamping means other than mechanically-actuated using vacuu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7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3K26/702Auxiliary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61Welding 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압력차를 이용하여 가공 대상물을 고정 및 지지하는 작업 테이블로서, 서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1 흡입공이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가공 대상물에 접촉하는 접촉면을 가지며, 상기 접촉면에는 상기 복수의 제1 흡입공 중 적어도 일부의 제1 흡입공에 유체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흡입공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흡입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흡입 블록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자기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work table for fixing and supporting a processing object using a pressure difference, the base fram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rst suction ho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t least one second suction hole detachably coupled to the base frame and having a contac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object to be processed, the contact surface having at least one second suction hole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suction hole of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first suction holes formed, at least one suction block; includes, wherein the at least one suction block may be coupled to the base frame by a magnetic force.

Description

작업 테이블{Worktable}worktable {Worktabl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작업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work table.

가공 대상물에 대한 가공 작업, 예를 들어, 레이저를 이용한 절단 작업을 진행할 때, 가공 대상물을 고정 및 지지하는 작업 테이블이 중요할 수 있다. 왜냐하면, 작업 테이블에 형성된 가공 라인의 유무에 따라 가공 품질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When performing a processing operation on a processing object, for example, a cutting operation using a laser, a work table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processing object may be important. This is because the machining quality varies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machining line formed on the work table.

따라서, 가공 대상물의 형태 및/또는 크기가 달라질 경우, 해당 가공 대상물에 필요한 가공 라인이 변경되어야 하기 때문에, 그에 맞는 새로운 작업 테이블로 교체가 진행된다. Accordingly, when the shape and/or size of the object to be processed is changed, the processing line required for the object to be processed needs to be changed, and thus a new work table suitable for it is replaced.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새로운 작업 테이블로 교체하지 않고도, 다양한 형태 및 크기를 가지는 가공 대상물에 적용 가능한 작업 테이블을 제공한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work table applicable to processing objects having various shapes and sizes without replacing the work table with a new work tab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은, A work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압력차를 이용하여 가공 대상물을 고정 및 지지하는 것으로서,As fixing and supporting the object to be processed using the pressure difference,

서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1 흡입공이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 및a base frame having a plurality of first suction ho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가공 대상물에 접촉하는 접촉면을 가지며, 상기 접촉면에는 상기 복수의 제1 흡입공 중 적어도 일부의 제1 흡입공에 유체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흡입공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흡입 블록;을 포함하며,I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ase frame, has a contac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object to be processed, and at least one second suction hole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suction hole of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first suction holes is formed on the contact surface , at least one suction block; includes,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흡입 블록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자기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The at least one suction block may be coupled to the base frame by a magnetic forc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입 블록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는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suction block and the base frame may include an electromagnet.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입 블록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 중 어느 하나는 전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 블록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 중 다른 하나는 금속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ny one of the suction block and the base frame may include an electromagnet, and the other one of the suction block and the base frame may include a metal membe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입 블록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하는 결합 부분과, 상기 가공 대상물을 접촉 및 지지하는 지지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uction block may include a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base frame, and a support portion for contacting and supporting the object to be process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흡입공은 복수 개이며, 상기 흡입 블록은, 상기 제1 흡입공에 연결 가능한 제1 연결 유로와, 상기 제1 연결 유로로부터 분기되며 상기 복수 개의 상기 제2 흡입공에 연결된 복수 개의 제2 연결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second suction hole is plural, and the suction block includes a first connection flow path connectable to the first suction hole, and branched from the first connection flow path, and the plurality of second suction holes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passages connected to the ball.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유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결합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연결 유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지지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on passage may be formed in the coupling portion,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may be formed in the support por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흡입 블록을 향해 돌출된 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 블록의 상기 결합 부분은 상기 돌기부가 삽입 가능한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ase frame may include a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suction block, and the coupling portion of the suction block may include an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the protrusion is insertabl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에는, 상기 제2 흡입공과 유체 연통된 구멍을 가지며 탄성 변형이 가능한 누설 방지 패드가 배치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 leak prevention pad having a hole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suction hole and elastically deformable may be disposed in the insertion part.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단면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insertion portion may be a trapezoidal shap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입 블록은 복수 개이며, 상기 복수 개의 흡입 블록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인접한 흡입 블록들이 서로 이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uction block is plural, and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suction blocks, adjacent suction block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입 블록의 형상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달라짐에 따라, 상기 인접한 흡입 블록들 사이의 이격 거리가 달라질 수 있다.In an embodiment, as at least one of a shape and a position of the suction block is changed,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adjacent suction blocks may vary.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흡입공 중 일부는 상기 흡입 블록이 결합되며, 상기 흡입 블록의 상기 제2 흡입공이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제1 흡입공 중 나머지는 가공 대상물에 흡입력을 제공하지 못하도록 폐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uction block is coupled to some of the plurality of first suction holes, the second suction holes of the suction block are connected, and the remainder of the plurality of first suction holes applies a suction force to the object to be processed. It may be closed so that it cannot be provid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은, A work tab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압력차를 이용하여 가공 대상물을 고정 및 지지하는 것으로서,As fixing and supporting the object to be processed using the pressure difference,

서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1 흡입공이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a base frame having a plurality of first suction ho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가공 대상물에 접촉하는 접촉면을 가지며, 상기 접촉면에는 상기 제1 흡입공에 유체 연통되는 복수 개의 제2 흡입공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흡입 블록;을 포함하며,At least one suction block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ase frame, has a contac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processing object, and the contact surface has a plurality of second suction holes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suction hole; and ,

상기 흡입 블록은, 상기 제1 흡입공에 연결된 제1 연결 유로와, 상기 제1 연결 유로로부터 분기되며 상기 복수 개의 상기 제2 흡입공에 연결된 복수 개의 제2 연결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ction block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passage connected to the first suction hole,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passages branched from the first connection passage and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cond suction holes.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입 블록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는 전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suction block and the base frame may include an electromagnet.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입 블록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하는 결합 부분과, 상기 가공 대상물을 접촉 및 지지하는 지지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uction block may include a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base frame, and a support portion for contacting and supporting the object to be processed.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유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결합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연결 유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지지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on passage may be formed in the coupling portion,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may be formed in the support portion.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흡입 블록을 향해 돌출된 돌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 블록의 상기 결합 부분은 상기 돌기부가 삽입 가능한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ase frame may include a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suction block, and the coupling portion of the suction block may include an insertion portion into which the protrusion is insertabl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에는, 상기 제2 흡입공과 유체 연통된 구멍을 가지며 탄성 변형이 가능한 누설 방지 패드가 배치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a leak prevention pad having a hole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suction hole and elastically deformable may be disposed in the insertion part.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단면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insertion portion may be a trapezoidal shap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흡입 블록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인접한 흡입 블록들이 서로 이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suction blocks, adjacent suction block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이러한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측면이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어떠한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의 조합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These general and specific aspects may be embodied using a system, method, computer program, or combination of any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본 실시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은, 새로운 작업 테이블로 교체하지 않고도, 다양한 형태 및 크기를 가지는 가공 대상물에 적용될 수 있다.The work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applied to objects to be processed having various shapes and sizes without replacing them with a new work table.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작업 테이블의 분리 사시도의 일 예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작업 테이블의 분리 단면도의 일 예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작업 테이블의 일부 단면도의 일 예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의 사용 태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의 사용 태양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의 흡입 블록의 형상이 변형된 예를 설명한 것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ork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n example of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ork table according to FIG. 1 .
3 is an example of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work table according to FIG. 1 ;
4 is an example of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work table according to FIG. 1 .
5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use aspect of the work tab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use aspect of the work tab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7 and 8 illustrate an example in which the shape of the suction block of the work tab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modified.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Eff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wh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not in a limiting sense.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In the following examples,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means that the features or compon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re present, and the possibility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will be added is not excluded in advance.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when it is said that a part such as a film, region, or component is on or on another part, not only when it is directly on the other part, but also another film, region, component, etc. is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ing cases where there i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1)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work tab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작업 테이블(1) 상에는 가공 대상물(T)이 배치될 수 있다. 작업 테이블(1)은 압력차를 이용하여 가공 대상물(T)을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 테이블(1)에 형성된 복수의 제2 흡입공(OP2)은 소정의 음압(negative pressure)을 제공하며, 그에 따라 압력 차이에 의해 가공 대상물(T)이 작업 테이블(1)에 진공 흡착된다.Referring to FIG. 1 , a processing object T may be disposed on the work table 1 . The work table 1 may use a pressure difference to fix and support the object T to be processed.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second suction holes OP2 formed in the work table 1 provide a predetermined negative pressure, and accordingly, the workpiece T is moved to the work table 1 by the pressure difference. vacuum adsorbed.

이와 같이, 가공 대상물(T)이 작업 테이블(1)에 진공 흡착된 상태에서, 가공 대상물(T)에 대한 가공 작업이 진행된다. 예를 들어, 가공 대상물(T)에 대하여 작업 테이블(1)에 마련된 가공 라인(L)을 따라 레이저 가공이 진행될 수 있다. 가공 대상물(T)은 가공 라인(L)을 따라 절단될 수 있다.In this way, in a state in which the object T is vacuum-adsorbed to the work table 1 , the processing operation for the object T is performed. For example, laser processing may be performed along the processing line L provided on the work table 1 with respect to the object T to be processed. The object to be processed (T) may be cut along the processing line (L).

도 2는 도 1에 따른 작업 테이블(1)의 분리 사시도의 일 예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작업 테이블(1)의 분리 단면도의 일 예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작업 테이블(1)의 일부 단면도의 일 예이다.FIG. 2 is an example of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ork table 1 according to FIG. 1 . 3 is an example of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working table 1 according to FIG. 1 . 4 is an example of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working table 1 according to FIG. 1 .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작업 테이블(1)은 베이스 프레임(1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 개의 흡입 블록(20)을 포함할 수 있다.2 to 4 , the work table 1 may include a base frame 10 and a plurality of suction blocks 20 detachably coupled to the base frame 10 .

베이스 프레임(10)에는 서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1 흡입공(OP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흡입공(OP1)은 음압을 제공하는 흡입 유로(P)에 연결될 수 있다. 인접한 제1 흡입공(OP1) 사이의 간격은 일정할 수 있다.A plurality of first suction holes OP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may be formed in the base frame 10 . The first suction hole OP1 may be connected to the suction flow path P providing negative pressure. The interval between the adjacent first suction holes OP1 may be constant.

베이스 프레임(10)은 흡입 블록(20)이 삽입될 수 있는 내부 공간(11)과, 내부 공간(11)을 둘러싸는 벽(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공간(11)에는 흡입 블록(20)을 향해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110)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돌출부(110)의 형상들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돌출부(110) 각각의 단면 형상은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The base frame 10 may include an inner space 11 into which the suction block 20 can be inserted, and a wall 12 surrounding the inner space 11 . A plurality of protrusions 110 protruding toward the suction block 20 may be disposed in the inner space 11 . The shapes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10 may be identical to each other. For example, a cross-sectional shap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10 may be a trapezoidal shape.

복수의 돌출부(110)는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인접한 돌출부들(110) 사이의 이격 거리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돌출부(110)의 단부에는 제1 흡입공(OP1)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10)의 내부에는 제1 흡입공(OP1)에 연결된 흡입 유로(P)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1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adjacent protrusions 110 may be the same. A first suction hole OP1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protrusion 110 . A portion of the suction passage P connected to the first suction hole OP1 may be disposed inside the protrusion 110 .

흡입 블록(20)은 베이스 프레임(10)에 자기력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suction block 2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base frame 10 by magnetic force.

예를 들어, 전자석(212)에 의해 선택적으로 발생되는 자기력에 의해, 흡입 블록(20)은 베이스 프레임(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흡입 블록(20) 및 베이스 프레임(10) 중 어느 하나에는 전자석(212)이 배치되며, 흡입 블록(20) 및 베이스 프레임(10) 중 다른 하나에는 금속 부재(120)가 배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by the magnetic force selectively generated by the electromagnet 212 , the suction block 2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base frame 10 . The electromagnet 212 may be disposed on any one of the suction block 20 and the base frame 10 , and the metal member 120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of the suction block 20 and the base frame 10 .

일 예로서, 흡입 블록(20)에는 전자석(212)이 배치되며, 베이스 프레임(10)에는 금속 부재(120)가 배치될 수 있다. 전자석(212)은 흡입 블록(20)의 결합 부분(21)에 배치되며, 금속 부재(120)는 베이스 프레임(10)에서 결합 부분(21)에 대향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electromagnet 212 may be disposed on the suction block 20 , and the metal member 120 may be disposed on the base frame 10 . The electromagnet 212 may be disposed on the coupling portion 21 of the suction block 20 , and the metal member 120 may be disposed on a portion opposite to the coupling portion 21 of the base frame 10 .

전자석(212)에 전류가 공급되면, 전자석(212)에 자기력이 발생한다. 흡입 블록(20)의 전자석(212)과 베이스 프레임(10)의 금속 부재(120)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여, 흡입 블록(20)과 베이스 프레임(10)의 위치가 고정된다. When a current is supplied to the electromagnet 212 , a magnetic force is generated in the electromagnet 212 . An attractive force acts between the electromagnet 212 of the suction block 20 and the metal member 120 of the base frame 10 , so that the positions of the suction block 20 and the base frame 10 are fixed.

반면, 전자석(212)에 전류 공급이 차단되면, 전자석(212)에 발생된 자기력이 소멸된다. 그에 따라, 흡입 블록(20)과 베이스 프레임(10)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자는 흡입 블록(20)을 베이스 프레임(10)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upply of current to the electromagnet 212 is cut off,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in the electromagnet 212 is extinguished. Accordingly, since no attractive force acts between the suction block 20 and the base frame 10 , the operator can easily separate the suction block 20 from the base frame 10 .

흡입 블록(20)에는, 전자석(212)의 온/오프를 설정하는 버튼(213)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버튼(213)을 이용하여 전자석(212)을 온/오프시킴으로써, 흡입 블록(20)의 분리 또는 결합이 용이할 수 있다.A button 213 for setting on/off of the electromagnet 212 may be installed in the suction block 20 . Accordingly, by using the button 213 to turn on/off the electromagnet 212 by the operator, the separation or coupling of the suction block 20 may be easy.

흡입 블록(20)은, 베이스 프레임(10)과 결합되는 결합 부분(21)과, 가공 대상물(T)을 접촉 및 지지하는 지지 부분(22)을 포함한다. The suction block 20 includes a coupling portion 21 coupled to the base frame 10 , and a support portion 22 for contacting and supporting the object T to be processed.

결합 부분(21)은 베이스 프레임(10)의 돌출부(110)가 삽입되는 삽입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210)는 돌출부(11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110)의 단면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경우, 삽입부(210)의 단면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coupling part 21 may include an insertion part 210 into which the protrusion 110 of the base frame 10 is inserted. The insertion part 21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rotrusion part 110 . For example, whe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protrusion 110 has a trapezoidal shap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insertion part 210 may have a trapezoidal shape.

삽입부(210)에는, 누설 방지 패드(211)가 배치될 수 있다. 누설 방지 패드(211)는 유체가 흐를 수 있는 구멍을 가지며, 탄성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누설 방지 패드(211)의 구멍은 제2 흡입공(OP2)과 유체 연통된다. 누설 방지 패드(211)를 이용하여, 베이스 프레임(10)과 흡입 블록(20)을 유체 연통시키면서도 이들 사이에 누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 leak prevention pad 211 may be disposed in the insertion part 210 . The leak prevention pad 211 may have a hole through which a fluid may flow, and may be elastically deformable. The hole of the leak prevention pad 211 is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suction hole OP2 . By using the leak prevention pad 211, while the base frame 10 and the suction block 20 are in fluid communic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leakage between them.

지지 부분(22)은 가공 대상물(T)에 접촉하는 접촉면(220)을 포함한다. 접촉면(220)에는 제2 흡입공(OP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흡입공(OP2)은 베이스 프레임(10)의 제1 흡입공(OP1)에 유체 연통될 수 있다.The support portion 22 includes a contact surface 220 that is in contact with the workpiece T. A second suction hole OP2 may be formed in the contact surface 220 . The second suction hole OP2 may be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suction hole OP1 of the base frame 10 .

제2 흡입공(OP2)은 복수 개일 수 있다. 흡입 블록(20)은 제1 흡입공(OP1)에 연결된 제1 연결 유로(P1)와, 제1 연결 유로(P1)로부터 분기되며 복수 개의 제2 흡입공(OP2)에 연결된 복수 개의 제2 연결 유로(P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 유로(P1)의 적어도 일부는 결합 부분(21)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연결 유로(P2)의 적어도 일부는 지지 부분(22)에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부분(22)의 크기가 결합 부분(21)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The second suction hole OP2 may be plural. The suction block 20 has a first connection flow path P1 connected to the first suction hole OP1,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s branched from the first connection flow path P1 and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cond suction holes OP2. A flow path P2 may be included.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on passage P1 may be formed in the coupling portion 21 ,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P2 may be formed in the support portion 22 . The size of the support portion 22 may b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coupling portion 21 .

흡입 블록(20)은 복수 개일 수 있다. 복수 개의 흡입 블록(20) 중 적어도 일부는, 인접한 흡입 블록(20)이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흡입 블록들(20) 사이에 이격된 부분은 작업 테이블(1)의 가공 라인(L)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suction block 20 may be plural.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suction blocks 20, adjacent suction blocks 2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portion spaced apart between the suction blocks 20 as described above may be used as a processing line L of the work table 1 .

베이스 프레임(10)의 복수의 돌출부(110) 중 일부는 흡입 블록(20)의 삽입부(210)에 삽입되며, 나머지는 흡입 블록(20)의 삽입부(210)에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Some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10 of the base frame 10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210 of the suction block 20 , and the rest may not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210 of the suction block 20 .

흡입 블록(20)의 삽입부(210)에 삽입되지 않은 돌출부(110)는 가공 라인(L)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삽입부(210)에 삽입되지 않은 나머지 돌출부(110)의 제1 흡입공(OP1)은 폐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무 마개(130)에 의해 제1 흡입공(OP1)이 폐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압력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otrusion 110 that is not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210 of the suction block 20 may be disposed below the processing line L. The first suction hole OP1 of the remaining protrusion 110 that is not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210 may be closed. For example, the first suction hole OP1 may be closed by the rubber stopper 130 . Through this, unnecessary pressure loss can be prevented.

이하에서는, 실시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1)의 사용 태양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usage aspect of the work table 1 which concerns on an Example is demonstrated.

실시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1)은, 상술한 것처럼, 흡입 블록(20)을 베이스 프레임(10)으로부터 분리 또는 베이스 프레임(10)에 결합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그에 따라, 작업자는 작업 테이블(1)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도, 흡입 블록(20)의 위치를 바꾸거나 흡입 블록(20)을 다른 형상을 가지는 흡입 블록(20)으로 교체할 수 있다. 그에 따라, 가공 대상물(T)마다 새로운 작업 테이블(1)을 사용하지 않고도, 다양한 가공 대상물(T)을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다.Working tabl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it is easy to separate the suction block 20 from the base frame 10 or to couple it to the base frame 10 . Accordingly, the operator can change the position of the suction block 20 or replace the suction block 20 with the suction block 20 having a different shape without replacing the entire work table 1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asily process various objects T without using a new work table 1 for each object T.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1)의 사용 태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작업자는 흡입 블록(20)의 일부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그에 따라, 인접한 흡입 블록(20)들 사이의 간격을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접한 흡입 블록(20)들의 지지 부분(22)들 사이의 간격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작업 테이블(1)의 가공 라인(L1)을 증가시킬 수 있다.5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 usage aspect of the work tabl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Referring to FIG. 5 , the operator may move the position of a portion of the suction block 20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spacing between the adjacent suction blocks (20).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pacing between the supporting portions 22 of adjacent suction blocks 20 .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rocessing line L1 of the work table 1 .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1)의 사용 태양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작업자는 흡입 블록(20)을 새로운 흡입 블록(20a, 20b)으로 교체할 수 있다. 교체된 새로운 흡입 블록(20a, 20b)은 흡입 블록(20)과 크기 및 형상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 블록(20a)은 흡입 블록(20a)에 결합되는 삽입부(210)의 개수 및 제2 흡입공(OP2)의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흡입 블록(20b)은 지지 부분(22b)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 블록(20b)의 지지 부분(22b)은 도 4의 흡입 블록(20)의 지지 부분(22)보다 크기가 작을 수 있다. 그에 따라, 흡입 블록들(20a, 20b) 사이의 간격이 커져, 작업 테이블(1)의 가공 라인(L2)을 증가시킬 수 있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a usage aspect of the work table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Referring to FIG. 6 , the operator may replace the suction block 20 with new suction blocks 20a and 20b. The replaced new suction blocks 20a and 20b may differ from the suction block 20 in at least one of a size and a shape. For example, in the suction block 20a, the number of insertion parts 210 coupled to the suction block 20a and the number of the second suction holes OP2 may vary. In addition, the suction block 20b may have a different size of the supporting portion 22b. For example, the supporting portion 22b of the suction block 20b may be smaller in size than the supporting portion 22 of the suction block 20 of FIG. 4 . Accordingly, the distance between the suction blocks 20a, 20b is increased, so that the processing line L2 of the work table 1 can be increased.

이 외에도, 작업 테이블(1)의 흡입 블록(2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작업 테이블(1)의 가공 라인(L)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흡입 블록(20c)의 지지 부분(22c)의 형상이 직사각형이거나, 도 8과 같이 흡입 블록(20d)의 지지 부분(22d)의 형상은 모서리 중 일부가 모따기된 형상일 수 있다. 그에 따라, 가공 라인(L3, L4)이 달라질 수 있다.In addition to this, the shape of the suction block 20 of the work table 1 may be variously modified. Accordingly, the processing line L of the work table 1 may be variously deformed. For example, the shape of the supporting portion 22c of the suction block 20c as shown in FIG. 7 is a rectangle, or the shape of the supporting portion 22d of the suction block 20d as shown in FIG. 8 is a shape in which some of the corners are chamfered. can be Accordingly, the processing lines L3 and L4 may be different.

한편,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베이스 프레임(10)에 복수 개의 흡입 블록(20)이 결합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베이스 프레임(10)에 결합되는 흡입 블록(2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도면상 도시하지 않았지만, 한 개의 흡입 블록(20)이 결합될 수도 있다. Meanwhi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description has been focused on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suction blocks 20 are coupled to the base frame 10 . However, the number of suction blocks 20 coupled to the base frame 10 is not limited thereto, 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one suction block 20 may be coupled thereto.

한편,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which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will understand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 : 작업 테이블 10 : 베이스 프레임
11 : 내부 공간 12 : 벽
110 : 돌출부 120 : 금속 부재
130 : 고무 마개 20, 20a, 20b, 20c, 20d : 흡입 블록
21 : 결합 부분 22 : 지지 부분
210 : 삽입부 211 : 누설 방지 패드
212 : 전자석 213 : 버튼
220 : 접촉면 OP1 : 제1 흡입공
OP2 : 제2 흡입공 P : 흡입 유로
P1 : 제1 연결 유로 P2 : 제2 연결 유로
L, L1, L2, L3, L4 : 가공 라인
1: work table 10: base frame
11: interior space 12: wall
110: protrusion 120: metal member
130: rubber stopper 20, 20a, 20b, 20c, 20d: suction block
21: coupling part 22: support part
210: insertion part 211: leak prevention pad
212: electromagnet 213: button
220: contact surface OP1: first suction hole
OP2 : Second suction hole P : Suction flow path
P1: first connection passage P2: second connection passage
L, L1, L2, L3, L4: processing line

Claims (20)

압력차를 이용하여 가공 대상물을 고정 및 지지하는 작업 테이블로서,
서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1 흡입공이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가공 대상물에 접촉하는 접촉면을 가지며, 상기 접촉면에는 상기 복수의 제1 흡입공 중 적어도 일부의 제1 흡입공에 유체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흡입공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흡입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흡입 블록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자기력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제1 흡입공 중 일부는 상기 흡입 블록이 결합되며, 상기 흡입 블록의 상기 제2 흡입공이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제1 흡입공 중 나머지는 가공 대상물에 흡입력을 제공하지 못하도록 폐쇄되는, 작업 테이블.
A work table for fixing and supporting a processing object using a pressure difference, comprising:
a base frame having a plurality of first suction ho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ase frame, has a contac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object to be processed, and at least one second suction hole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suction hole of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first suction holes is formed on the contact surface , at least one suction block; includes,
The at least one suction block is coupled to the base frame by a magnetic force,
The suction block is coupled to some of the plurality of first suction holes, and the second suction hole of the suction block is coupled,
The rest of the plurality of first suction holes are closed so as not to provide a suction force to the workpiece, the work t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블록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작업 테이블.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of the suction block and the base frame comprises an electromagne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블록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 중 어느 하나는 전자석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 블록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 중 다른 하나는 금속 부재를 포함하는, 작업 테이블.
3. The method of claim 2,
Any one of the suction block and the base frame comprises an electromagnet,
and the other of the suction block and the base frame comprises a metal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블록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하는 결합 부분과, 상기 가공 대상물을 접촉 및 지지하는 지지 부분을 포함하는, 작업 테이블.
According to claim 1,
The suction block is
A work table comprising: a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base frame; and a support portion for contacting and supporting the object to be process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흡입공은 복수 개이며,
상기 흡입 블록은, 상기 제1 흡입공에 연결 가능한 제1 연결 유로와, 상기 제1 연결 유로로부터 분기되며 상기 복수 개의 상기 제2 흡입공에 연결된 복수 개의 제2 연결 유로를 포함하는, 작업 테이블.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econd suction hole is a plurality,
The suction block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assage connectable to the first suction hole,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passages branched from the first connection passage and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cond suction hol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유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결합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연결 유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지지 부분에 형성된, 작업 테이블.
6. The method of claim 5,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on passage is formed in the coupling portion,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is formed in the support por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흡입 블록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 블록의 상기 결합 부분은 상기 돌출부가 삽입 가능한 삽입부를 포함하는, 작업 테이블.
5. The method of claim 4,
The base frame includes a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suction block,
and the engaging portion of the suction block includes an insert into which the protrusion is insertab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에는 상기 제2 흡입공과 유체 연통된 구멍을 가지며 탄성 변형이 가능한 누설 방지 패드가 배치된, 작업 테이블.
8. The method of claim 7,
The insertion part has a hole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suction hole and an elastically deformable leak prevention pad is disposed, the work tab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단면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인, 작업 테이블.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insert is a trapezoidal shape, the work t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블록은 복수 개이며,
상기 복수 개의 흡입 블록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인접한 흡입 블록들이 서로 이격된, 작업 테이블.
According to claim 1,
The suction block is plural,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suction blocks, adjacent suction block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work tabl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블록의 형상 및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달라짐에 따라, 상기 인접한 흡입 블록들 사이의 이격 거리가 달라지는, 작업 테이블.
11. The method of claim 10,
As at least one of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suction block is changed,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adjacent suction blocks is changed.
삭제delete 압력차를 이용하여 가공 대상물을 고정 및 지지하는 작업 테이블로서,
서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1 흡입공이 형성된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가공 대상물에 접촉하는 접촉면을 가지며, 상기 접촉면에는 상기 제1 흡입공에 유체 연통되는 복수 개의 제2 흡입공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흡입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 블록은, 상기 제1 흡입공에 연결된 제1 연결 유로와, 상기 제1 연결 유로로부터 분기되며 상기 복수 개의 상기 제2 흡입공에 연결된 복수 개의 제2 연결 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 블록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하는 결합 부분과, 상기 가공 대상물을 접촉 및 지지하는 지지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흡입 블록을 향해 돌출되며, 단부에 상기 제1 흡입공이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 블록의 상기 결합 부분은 상기 돌출부가 삽입 가능한 삽입부를 포함하는, 작업 테이블.
A work table for fixing and supporting a processing object using a pressure difference, comprising:
a base frame having a plurality of first suction ho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least one suction block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ase frame, has a contac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processing object, and the contact surface has a plurality of second suction holes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suction hole; and ,
The suction block includes a first connection passage connected to the first suction hole, and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passages branched from the first connection passage and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cond suction holes,
The suction block includes a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base frame, and a support portion for contacting and supporting the processing object,
The base frame protrudes toward the suction block, and includes a protrusion having the first suction hole formed at an end thereof,
and the engaging portion of the suction block includes an insert into which the protrusion is insertabl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블록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작업 테이블.
14. The method of claim 13,
at least one of the suction block and the base frame comprises an electromagnet.
삭제delet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유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결합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연결 유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지지 부분에 형성된, 작업 테이블.
14. The method of claim 13,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on passage is formed in the coupling portion,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connection passage is formed in the support portion.
삭제delet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에는 상기 제2 흡입공과 유체 연통된 구멍을 가지며 탄성 변형이 가능한 누설 방지 패드가 배치된, 작업 테이블.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insertion part has a hole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suction hole and an elastically deformable leak prevention pad is disposed, the work tabl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단면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인, 작업 테이블.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insert is a trapezoidal shape, the work tabl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흡입 블록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인접한 흡입 블록들이 서로 이격된, 작업 테이블.
14. The method of claim 13,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suction blocks, adjacent suction block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work table.
KR1020150062272A 2015-05-01 2015-05-01 Worktable KR1023642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272A KR102364222B1 (en) 2015-05-01 2015-05-01 Workt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272A KR102364222B1 (en) 2015-05-01 2015-05-01 Workta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0337A KR20160130337A (en) 2016-11-11
KR102364222B1 true KR102364222B1 (en) 2022-02-18

Family

ID=57527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2272A KR102364222B1 (en) 2015-05-01 2015-05-01 Workt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422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073B1 (en) * 2019-02-13 2020-11-17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ixel Type Vacuum fixture
KR102158341B1 (en) * 2020-07-09 2020-09-22 (주) 예승이엔지 Work table for cell laser cutting
KR102382815B1 (en) * 2021-01-29 2022-04-08 박정희 Laser Cutting Apparatus Having Hybrid Clamping System for Manufacturing Magnetic and Non-Magnetic Materials
KR20220132708A (en) * 2021-03-23 2022-10-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Work table for cutting proces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472B1 (en) * 2007-02-16 2008-04-02 주식회사 미성포리테크 Ultraviolet adhesion for key pad assembly ji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64258B1 (en) * 2002-10-25 2004-07-20 Brian Akre Positionable vacuum clamp system
KR20110005473U (en) * 2009-11-26 2011-06-01 세크론 주식회사 Vacuum chuck table of sawing apparatus of semiconductor device supplying cooling wa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472B1 (en) * 2007-02-16 2008-04-02 주식회사 미성포리테크 Ultraviolet adhesion for key pad assembly ji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0337A (en) 2016-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4222B1 (en) Worktable
JP5851598B2 (en) Cutting device holder
US10130997B2 (en) Main shaft device and machine tool provided with same
JP2016009701A (en) Component crimping device
KR20140025277A (en) Fluid coating apparatus
JP2009125821A (en) Clamping device
KR101814863B1 (en) Notching mold
US20180015582A1 (en) Method of operating a cutting system, and collar assembly and collar member therefor
JP2018079545A (en) Loading table having adsorption function
JP2008080413A (en) Workpiece mounting tool and method for processing workpiece
KR101840981B1 (en) Printed circuit board cutting device using CNC lathe
KR20180134292A (en) Chuck table
KR200470580Y1 (en) Pin plant device
JP5936929B2 (en) Nozzle stocker
JP6579930B2 (en) Processing equipment
JP2010179390A (en) Clamp device and clamp method for flat thin plate-like work
KR101965072B1 (en) Cnc lathe device
JP5058022B2 (en) Floating chuck device and floating chuck unit
JP7295366B2 (en) Suction jig
CN112654150B (en) Manufacturing method of circuit board and circuit board structure manufactured by same
KR20160107801A (en) Vacuum table
GB2593515A (en) Tooling Vacuum unit
KR101655993B1 (en) Base for a mask welding apparatus and base assembly for a mask wel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a mask welding apparatus
JP2016043376A (en) Aligning jig and aligning method
KR20170129408A (en) Gripping arm for an automatic tool chan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