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4017B1 - 자동 곡물 세척기 - Google Patents

자동 곡물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4017B1
KR102364017B1 KR1020200005126A KR20200005126A KR102364017B1 KR 102364017 B1 KR102364017 B1 KR 102364017B1 KR 1020200005126 A KR1020200005126 A KR 1020200005126A KR 20200005126 A KR20200005126 A KR 20200005126A KR 102364017 B1 KR102364017 B1 KR 102364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grain
water supply
water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5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1889A (ko
Inventor
안덕찬
Original Assignee
안덕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덕찬 filed Critical 안덕찬
Priority to KR1020200005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4017B1/ko
Publication of KR20210091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1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4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4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4Devices for washing vegetabl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02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with means for agitating the liquid
    • B08B3/1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with means for agitating the liquid using prope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정된 회전 속도로 회전 가능한 회전모터, 회전모터에 결합되어 회전모터의 회전에 따라 수평 회전 가능한 세척기, 수신되는 상하제어 신호에 따라 회전모터 및 세척기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는 상하 이동기 및 상하 이동기로 상하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회전모터 및 세척기를 하측으로 이동시키고 회전모터로 회전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세척기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자동 곡물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 곡물 세척기{AUTOMATIC GRAIN CLEANING MACHINE}
본 발명은 자동 곡물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세척용기의 자동 인식과 인식된 곡물량에 따라 세척용기 내의 곡물의 세척 및 헹굼을 효율적으로 자동 처리할 수 있는 자동 곡물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곡물은 녹말로 구성되어 있고 맛이 담백하여 주식으로 널리 이용된다. 곡물에는 대표적으로 쌀, 밀, 보리 등이 있다. 쌀, 밀, 보리 등은 수분 함량이 적어 저장이 용이하고 조리시에 주로 쪄서 주식으로 섭취한다.
쪄서 섭취를 하기에, 곡물의 세척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작을 알갱이의 곡물에는 다양한 이물질이 부착될 수 있어 물을 이용하여 곡물 알갱이 각각을 세척한 후에 일정량의 물과 혼합하여 곡물을 쪄 주식으로 섭취한다.
식당과 같은 업소에는 곡물 세척기를 구비할 수 있다. 곡물 세척기에 일정량의 곡물과 물을 혼입하고 곡물 세척기의 회전에 따라 내부 곡물을 세척하고 세척된 곡물에 물을 제거한 후에 찜 용기에 세척된 곡물과 물을 다시 혼입하여 조리할 수 있다.
대용량의 곡물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알려진 전용 곡물 세척기의 사용이 바람직하나, 가정이나 소규모 식당에서는 사용에 한계가 존재한다. 즉, 가정이나 소규 식당에서는 소량의 곡물을 찌기에 곡물 세척기에 곡물의 투입, 세척 후 찜용기에 넣는 과정이 번거로운 면이 있다. 또한, 곡물량에 최적화하고 곡물의 특성을 반영하여 세척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기존의 곡물 세척기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자동 곡물 세척기가 필요하다.
공개특허 10-2019-0076082, 2019년07월02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곡물의 특성을 반영하여 세척과 헹굼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자동 곡물 세척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 인식되는 투입 곡물량에 따라 최적화된 급수량으로 세척과 여러 번의 헹굼을 수행하여 효과적인 곡물의 세척과 이후 조리할 수 있는 상태를 제공하는 자동 곡물 세척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곡물의 기존 용기의 인식에 따라 기존 용기에서 곡물의 세척과 여러 번의 헹굼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자동 곡물 세척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곡물 세척기는 지정된 회전 속도로 회전 가능한 회전모터, 회전모터에 결합되어 회전모터의 회전에 따라 수평 회전 가능한 세척기, 수신되는 상하제어 신호에 따라 회전모터 및 세척기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는 상하 이동기 및 상하 이동기로 상하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회전모터 및 세척기를 하측으로 이동시키고 회전모터로 회전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세척기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상기한 자동 곡물 세척기에 있어서, 자동 곡물 세척기 내로 삽입되는 곡물용기를 인식하는 용기 인식 센서, 제어모듈로부터 수신되는 급수제어 신호에 따라 세정수를 출력하는 급수 제어기 및 하측 방향으로 세정수를 곡물용기로 투입하는 급수관을 더 포함하고, 제어모듈은 용기 인식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곡물용기가 인식되는 경우 상하 이동기로 회전모터, 세척기, 급수관 및 급수 제어기를 곡물용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하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하제어 신호의 출력 후 급수 제어기로 급수관을 통해 세정수 투입을 위한 급수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한 자동 곡물 세척기에 있어서, 곡물용기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센서; 및 급수 제어기에서 출력되는 세정수량을 측정하는 플로우 미터;를 더 포함하고, 제어모듈은 무게 센서로부터의 무게 신호의 무게 값의 크기에 비례하는 급수관을 통해 투입될 세정수량을 결정하고 플로우 미터로부터 측정된 세정수량과 투입될 세정수량의 비교로 세정수 투입 후 투입 중단을 위한 급수제어 신호를 급수 제어기로 출력한다.
상기한 자동 곡물 세척기에 있어서, 제어모듈로부터 수신되는 배수제어 신호에 따라 곡물용기의 세정수를 자동 곡물 세척기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 펌프를 포함하고, 세척기는 하단에 복수의 세척 날개 및 복수의 세척 날개 사이에 위치하는 필터와 필터와 배수 펌프에 연결되는 배수관을 포함하고, 제어모듈은 급수 제어기로 급수관을 통해 세정수 투입을 위한 급수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지정된 제1 시간의 경과 후 배수 펌프로 세정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배수제어 신호에 따라, 곡물용기에 투입된 세정수는 곡물용기의 곡물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망을 가지는 필터와 배수관을 통해 자동 곡물 세척기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한 자동 곡물 세척기에 있어서, 제어모듈은, 지정된 제1 시간의 경과와 배수 펌프로 세정수의 배출 이후에, 급수관을 통해 세정수 투입을 위한 급수제어 신호의 출력과 지정된 제2 시간의 경과 후 배수 펌프로 세정수 배출을 위한 배수제어 신호의 출력을 복수 회 반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곡물 세척기는 곡물의 특성을 반영하여 세척과 헹굼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곡물 세척기는 자동 인식되는 투입 곡물량에 따라 최적화된 급수량으로 세척과 여러 번의 헹굼을 수행하여 효과적인 곡물의 세척과 이후 조리할 수 있는 상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곡물 세척기는 곡물의 기존 용기의 인식에 따라 기존 용기에서 곡물의 세척과 여러 번의 헹굼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자동 곡물 세척기의 예시적인 외형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자동 곡물 세척기의 예시적인 내부 구조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제어모듈의 구성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자동 곡물 세척을 위한 예시적인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자동 곡물 세척기(100)의 예시적인 외형을 표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곡물 세척기(100)는 곡물용기(109)의 곡물을 자동 세척할 수 있는 기기이다. 자동 곡물 세척기(100)는 곡물용기(109)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내부에 가지고 곡물용기(109) 내의 곡물을 세정수를 이용하여 반복하여 자동 세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자동 곡물 세척기(100)는 기구물(케이스(133))에 다수의 입력 버튼(103)을 구비하여 자동 곡물 세척기(100)의 상태나 동작을 설정하거나 제어할 수 있다. 하나의 입력 버튼(103)은 전원 온/오프 버튼일 수 있다. 전원 온/오프 버튼 입력에 따라, 자동 곡물 세척기(100)의 내부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입력 버튼(103)은 세척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빠른 세척 모드나 깔끔 세척 모드 설정을 입력 버튼(103)의 입력에 따라 설정 가능하다. 또 다른 하나의 입력 버튼(103)은 세척 곡물 종류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미, 현미 (또는 쌀), 보리, 밀 등의 세척 대상 곡물 종류를 입력 버튼(103)의 입력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자동 곡물 세척기(100)는 투입구(101)를 가지고 투입구(101)를 통해 곡물용기(109)를 내부 수용공간에 위치시킬 수 있고 세척이 완료된 곡물용기(109)를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자동 곡물 세척기(100)는 배수 포트(107)와 급수 포트(105)를 구비하고 자동 곡물 세척기(100)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수돗물 등)의 급수관을 급수 포트(105)에 결합하고 외부의 배수관을 배수 포트(107)에 결합하여 세정 후 곡물의 이물질, 부유물질 등을 포함하는 세정수를 배수 포트(107)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자동 곡물 세척기(100)는 내부 수용공간 하측에 원형의 안착홈이나 안착라인을 가지고 곡물용기(109)가 안착홈 등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곡물용기(109) 내의 곡물의 세척과 헹굼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자동 곡물 세척기(100)의 예시적인 내부 구조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자동 곡물 세척기(100)의 내부 단면도를 바람직하게 나타내고, 도 2를 참조하면 자동 곡물 세척기(100)는 케이스(133) 내부에 곡물을 자동 세척하기 위한 각종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자동 곡물 세척기(100)는 케이스(133), 투입구(101), 급수 포트(105), 배수 포트(107), 회전모터(111), 세척기(113), 상하 이동기(115), 이동 프레임(117), 용기 인식 센서(119), 무게 센서(121), 급수 제어기(123), 플로우 미터(125), 하나 이상의 급수관(127), 배수 펌프(129), 하나 이상의 배수관(131)을 포함(구비)한다. 이중 일부의 구성요소는 설계 예에 따라 자동 곡물 세척기(100)에서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요소가 자동 곡물 세척기(100)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2를 통해, 자동 곡물 세척기(100)를 살펴보면, 케이스(133)는 자동 곡물 세척기(100) 내의 각종 구성요소를 수용하고 보호한다. 케이스(133)는 플라스틱 및/또는 금속재로 구성되어 각종 구성요소를 외부와 격리시키고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케이스(133)는 기구물로 사출(성형)될 수 있다.
투입구(101)는 곡물을 담을 수 있는 곡물용기(109)를 케이스(133) 내부로 위치시키거나 케이스(133) 외부로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투입구(101)는 곡물용기(109)의 단면적 보다 넓은 직사각형 형상의 홀을 가지고 홀을 통해 곡물용기(109)가 내부에 안착하거나 세척 후 외부로 반출될 수 있다.
급수 포트(105)는 자동 곡물 세척기(100) 외부에 위치하는 급수관에 결합되기 위한 연결 단자이다. 급수 포트(105)는 예를 들어, 내부 또는 외부에 나사선 등을 구비하여 외부의 급수관의 대응하는 나사선 등과 결합하여 외부의 급수관을 통해 유입되는 세정수를 내부로 전달할 수 있다.
배수 포트(107)는 자동 곡물 세척기(100) 외부의 배수관에 결합되기 위한 연결 단자이다. 배수 포트(107)는 예를 들어, 내부 또는 외부에 나사선 등을 구비하여 외부의 배수관의 대응하는 나사선 등과 결합하여 외부의 배수관으로 세척후의 이물질 등을 내포한(함유한) 세정수를 외부로 전달(배출)할 수 있다.
회전모터(111)는 세척기(113)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이다. 회전모터(111)는 회전축, 회전축에 결합되는 회전기어를 포함하여 회전축과 회전기어를 지정된 회전 속도로 회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회전모터(111)는 회전축 및 회전기어를 분당 60회에서 180회 이내의 회전 속도로 자동 곡물 세척기(100)의 바닥면과 수평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모터(111)는 제어모듈(150)로부터 수신되는 회전제어 신호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가변적인 회전 속도로 회전 가능하다.
세척기(113)는 곡물용기(109) 내의 곡물을 세척 또는 헹구기 위한 기기이다. 세척기(113)는 회전모터(111)에 결합되어 회전모터(111)의 회전에 따라 수평 회전 가능하고 그에 따라 곡물용기(109) 내의 곡물을 세척하거나 곡물을 헹굴 수 있다.
세척기(113)는 회전모터(111)의 회전기어에 대응하고 회전기어와 맞물려 반대의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는 대응기어, 자동 곡물 세척기(100)의 바닥면으로 돌출되고 대응기어에 결합되어 대응기어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봉, 회전봉 하단에 수평 방향으로 회전봉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세척 날개(113-1)를 구비한다. 세척기(113)의 세척 날개(113-1)의 회전에 따라 곡물은 서로 마찰되고 그에 따라 곡물이 세척이 되거나 헹궈질 수 있다. 회전봉 중심으로부터 세척 날개(113-1)의 끝까지의 길이는 원통형의 곡물용기(109)의 반지름보다 작도로 바람직하게 구성된다.
세척기(113)는 회전봉 하단에 자동 곡물 세척기(100) 바닥면으로 돌출되고 복수의 세척 날개(113-1) 사이에 위치하는 필터(113-3)를 더 포함한다. 필터(113-3)는 그물 형상의 망을 가지고 망 내 각각의 관통홀의 크기는 곡물의 크기보다 작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필터(113-3) 망의 홀의 크기는 쌀, 보리, 밀 등의 입자보다 작은 1mm제곱 미만의 면적(크기)을 가질 수 있다.
세척기(113)는 회전봉 내부에 배수관(13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배수관(131)은 필터(113-3)로부터 유입되는 세척후의 세정수를 연결된 배수 펌프(129)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배수관(131)은 필터(113-3)와 배수 펌프(129)에 연결되어 세척이나 헹굼 후의 필터(113-3)에 의해 곡물 입자 이하의 이물질을 포함하는 세정수를 배수 펌프(129)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세척기(113)의 복수의 세척 날개(113-1), 필터(113-3) 및 회전봉은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척 날개(113-1), 필터(113-3) 및 회전봉은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 스틸(SUS)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용기 인식 센서(119)는 자동 곡물 세척기(100)의 케이스(133) 내에 삽입되는(위치하는) 곡물용기(109)를 인식한다. 용기 인식 센서(119)는 예를 들어,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를 포함하여 리미트 스위치 위의 곡물용기(109)의 바닥표면의 접촉에 따른 용기인식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용기 인식 센서(119)는 곡물용기(109)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여 측정된 무게 신호를 용기인식 신호로 출력할 수도 있다.
무게 센서(121)는 곡물용기(109)의 무게를 측정한다. 무게 센서(121)는 곡물용기(109)의 무게(weight)를 나타내는 무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용기 인식 센서(119)가 무게를 측정가능한 경우 무게 센서(121)는 생략될 수 있다.
급수 제어기(123)는 급수 포트(105)를 통해 유입되는 세정수의 출력을 제어한다. 급수 제어기(123)는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 등을 구비하여 제어모듈(150)로부터 수신되는 급수제어 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를 오픈 또는 닫아 유입되는 세정수를 내부의 곡물용기(109)로 출력하거나 출력되는 세정수를 차단할 수 있다.
플로우 미터(125)(flow meter)는 급수 제어기(123)에서 출력되는 세정수의 양을 측정(센싱)한다. 플로우 미터(125)는 급수 제어기(123)로부처 출력되는 세정수의 유속에 대응하고 비례하는 플로우미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급수관(127)은 자동 곡물 세척기(100)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세정수를 내부에 위치하는 곡물용기(109)로 투입 가능한 원통형 관이다. 하나의 급수관(127)(이하 '제1 급수관'이라고도 함)은 급수 포트(105)와 급수 제어기(123)에 연결되어 급수 포트(105)로부터의 세정수를 급수 제어기(123)로 출력하고 다른 하나의 급수관(127)(이하 '제2 급수관'이라고도 함)은 일단 끝이 급수 제어기(123)와 플로우 미터(125)에 연결되고 타단 끝이 오픈되어 급수 제어기(123)로부터의 세정수를 하측 방향의 곡물 용기로 배출할 수 있다.
배수 펌프(129)는 곡물용기(109) 내의 세정수를 자동 곡물 세척기(100) 외부로 배출한다. 배수 펌프(129)는 다이어프램 펌프(diaphragm pump)일 수 있다. 배수 펌프(129)는 제어모듈(150)로부터 배수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배수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세척기(113)의 필터(113-3)를 통해 이물질 등을 포함하는 세정수를 회전봉 내의 배수관(131)을 통해 흡입하고 흡입된 세정수를 연결되는 배수관(131)과 배수 포트(107)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배수관(131)은 세척이나 헹굼 후 부유 물질이나 이물질 등을 포함하는 세정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원통형 관이다. 하나의 배수관(131)(이하 '제1 배수관'이라고도 함)은 세척기(113)의 회전봉 내에 위치하여 필터(113-3)를 통해 망의 홀 크기 미만의 이물질 등을 포함하는 세정수를 배수 펌프(129) 측으로 배수 펌프(129)의 동작에 따라 배출한다. 다른 하나의 배수관(131)(이하 '제2 배수관'이라고 함)은 배수 펌프(129)와 배수 포트(107)에 연결되어 배수 펌프(129)로부터 배출되는 세정수를 배수 포트(107)를 통해 자동 곡물 세척기(100) 외부로 배출한다.
이동 프레임(117)은 상하로(자동 곡물 세척기(100)의 상하 수직방향) 이동되는 구성요소를 내부에 수용한다. 예를 들어, 이동 프레임(117)은 회전모터(111), 급수 제어기(123) 및 배수 펌프(129) 등을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고 상하 이동기(115)에 결합되어 상하 이동기(115)에 의한 상하 이동으로 지면(바닥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인 상측이나 하측으로 회전모터(111), 급수 제어기(123) 및 배수 펌프(129) 등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 프레임(117)은 금속재질이나 플라스틱 재질이나 그 조합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하 이동기(115)는 회전모터(111) 및 세척기(113)와 나아가 급수 제어기(123) 및 배수 펌프(129)를 상측 방향으로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하 이동기(115)는 이동 프레임(117)에 직접 결합되어 이동 프레임(117)을 상측이나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이동 프레임(117) 내의 회전모터(111), 급수 제어기(123) 및 배수 펌프(129) 등을 상하 이동시키고 회전모터(111)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세척기(113)를 동일한 상측이나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하 이동기(115)는 리니어 액추에이터(linear actuator)로 구성되어 제어모듈(150)로부터 수신되는 상하제어 신호에 따라 이동 프레임(117)을 상측이나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하 이동기(115)는 자동 곡물 세척기(100)의 크기나 용량에 따라 서로 다른 거리만큼 이동 프레임(117) 등을 상하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하 이동기(115)는 5~10 Cm 정도의 거리만큼 상측이나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하 이동기(115)에 의해 회전모터(111), 급수 제어기(123) 및 배수 펌프(129)가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배수관(131)과 급수관(127)도 상하 이동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제2 배수관(131)과 제1 급수관(127)은 상하 이동에 따른 변화 길이만큼 확장되거나 수축되도록 관이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2 배수관(131)과 제1 급수관(127)의 일부에는 상하 이동에 따라 상응하는 길이로 변화하는 주름관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제2 배수관(131)과 제1 급수관(127)은 중첩되고 서로 다른 직경의 적어도 2개의 관을 가지고 상하 이동에 따라 중첩되는 2개의 관이 확장(길이가 길어지거나)되거나 중첩될 수(길이가 줄 수) 있다.
제2 배수관(131)의 하나의 관의 끝단은 배수 포트(107) 측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관의 끝단은 배수 펌프(129) 측에 고정되고 각 관의 다른 끝단은 다른 관과 서로 중첩되어 상하 이동기(115)의 이동에 따라 위치가 변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자동 곡물 세척기(100)에 더 포함되는 제어모듈(150)(도 2의 도면에서 미표시)은 자동 곡물 세척기(100)를 제어한다. 제어모듈(150)은 프로세서, 마이컴, PLC, CPU, MPU, 중앙처리 장치, ASIC, FPGA 등으로 지칭되거나 나타내고 프로그램 시퀀스를 수행 가능한 구성요소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프로그램 시퀀스(프로그램의 코드나 프로그램화된 로직)에 따라 자동 곡물 세척기(100)를 제어한다.
제어모듈(150)은 각종 구성요소로부터 수신되는 상태 신호를 처리하고 상태 신호의 처리에 따라 제어 신호를 각종 구성요소로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어모듈(150)은 곡물용기(109)의 인식을 나타내는 용기인식 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하 이동기(115)로 상하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이동 프레임(117)에 결합된 회전모터(111)와 세척기(113)를 곡물용기(109) 방향의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이후, 제어모듈(150)은 회전모터(111)로 회전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회전모터(111)에 결합된 세척기(113)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켜 곡물용기(109)에 포함된(담겨져 있는) 곡물을 세척하거나 헹굴 수 있다.
제어모듈(150)의 구성과 그 제어는 도 3 및 도 4를 통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제어모듈(150)의 구성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모듈(150)은 자동 곡물 세척기(100) 내에 제어 보드의 형태로 구성되어 외부의 구성요소로부터 상태 신호를 수신하고 상태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외부의 구성요소로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어모듈(150)은 자동 곡물 세척기(100) 내부에 설치되어 다른 구성요소로부터의 각종 상태 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따른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3을 통해 제어모듈(150)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어모듈(150)은 메모리(151), 센서 인터페이스(153), 입력 인터페이스(155), 상하-이동기 인터페이스(157), 회전-모터 인터페이스(159), 급수-제어기 인터페이스(161), 배수-펌프 인터페이스(163) 및 제어부(165)를 포함한다. 설계 예에 따라, 제어모듈(150)은 포함된 일부 블록을 생략하거나 도시되지 않은 다른 블록을 제어모듈(150)이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을 통해, 제어모듈(150)을 상세히 살펴보면, 메모리(151)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여 각종 데이터와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151)는 제어부(165)에 의해 수행되는 세척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센서 인터페이스(153)는 자동 곡물 세척기(100) 내의 센서에서 센싱한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65)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센서 인터페이스(153)는 용기 인식 센서(119)에서 센싱된 용기인식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65)로 출력하고 무게 센서(121)에서 센싱된 무게 신호를 제어부(165)로 출력하고 플로우 미터(125)에서 센싱된 플로우미터 신호를 제어부(165)로 출력한다. 센서 인터페이스(153)는 유선의 신호라인을 통해 각각의 신호를 제어부(165)로 출력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55)는 입력 신호를 수신한다. 입력 인터페이스(155)는 케이스(133) 외부의 입력 버튼(103)으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65)로 출력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155)는 유선의 신호라인을 통해 입력 신호를 제어부(165)로 출력할 수 있다.
상하-이동기 인터페이스(157)는 제어부(165)로부터 상하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하제어 신호를 상하 이동기(115)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하-이동기 인터페이스(157)는 제어부(165)로부터 수신되는 3.3V 또는 5V 레벨의 상하제어 신호를 리니어 액추에이터를 제어하기 위한 12V 또는 24V 레벨의 교류 또는 직류의 상하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상하 이동기(115)로 출력한다. 상하-이동기 인터페이스(157)는 유선의 신호라인을 통해 변환된 상하제어 신호를 출력 가능하다.
회전-모터 인터페이스(159)는 제어부(165)로부터 회전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회전제어 신호를 회전모터(111)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회전-모터 인터페이스(159)는 제어부(165)로부터 수신되는 3.3V 또는 5V 레벨의 회전제어 신호를 회전모터(111)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12V 또는 24V 레벨의 교류 또는 직류의 회전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회전모터(111)로 출력한다. 회전-모터 인터페이스(159)는 유선의 신호라인을 통해 변환된 회전제어 신호를 출력 가능하다.
급수-제어기 인터페이스(161)는 제어부(165)로부터 급수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급수제어 신호를 급수 제어기(123)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급수-제어기 인터페이스(161)는 제어부(165)로부터 수신되는 3.3V 또는 5V 레벨의 급수제어 신호를 급수 제어기(123)의 제어를 위한 5V, 12V 또는 25V 레벨의 급수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급수 제어기(123)로 출력한다. 급수-제어기 인터페이스(161)는 유선의 신호라인을 통해 변환된 급수제어 신호를 출력 가능하다.
배수-펌프 인터페이스(163)는 제어부(165)로부터 배수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배수제어 신호를 급수 제어기(123)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배수-펌프 인터페이스(163)는 제어부(165)로부터 3.3V 또는 5V 레벨의 배수제어 신호를 배수 펌프(129)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12V 또는 24V 레벨의 교류 또는 직류의 배수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배수 펌프(129)로 출력한다. 배수-펌프 인터페이스(163)는 유선의 신호라인을 통해 변환된 배수제어 신호를 출력 가능하다.
제어부(165)는 입력 인터페이스(155)를 통해 입력 신호와 센서 인터페이스(153)를 통해 각종 센싱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 신호와 센싱 신호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여 자동 곡물 세척기(100)를 제어한다. 제어부(165)는 프로세서, 마이컴, PLC, CPU, MPU, 중앙처리 장치, ASIC, FPGA 등으로 지칭되거나 나타낸다. 제어부(165)는 메모리(151)의 세척제어 프로그램을 로딩하고 세척제어 프로그램의 수행에 따른 제어 시퀀스에 따라 각종 블록(구성요소)을 제어하여 곡물의 세척과 헹굼을 수행하고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65)에서 이루어지는 제어 흐름은 도 4를 통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4는 자동 곡물 세척을 위한 예시적인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제어 흐름은 자동 곡물 세척기(100)에 의해서 수행되고 바람직하게는 제어모듈(150)(의 제어부(165), 이하 '제어모듈'로 통칭함)에 의해 다른 블록을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먼저, 전원이 자동 곡물 세척기(100)에 공급됨에 따라 동작을 시작(S100)하고 자동 곡물 세척기(100)(의 제어모듈(150))는 투입구(101) 내부에서 곡물용기(109)를 검출(S101)한다.
제어모듈(150)은 용기 인식 센서(119)로부터 용기인식 신호를 수신하고 용기인식 신호의 값에 따라 곡물용기(109)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곡물용기(109)가 인식되는 경우, 제어모듈(150)은 무게 센서(121)로부터 무게 신호를 수신하고 무게 신호에 대응하는 무게 값을 결정할 수 있다. 결정되는 무게 값은 절대값(예를 들어, 그램(gram)값)으로 구성되거나 제어모듈(150)에 의해 내부에서 식별가능한 상대값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곡물용기(109)의 인식 및 무게 값의 결정에 따라, 제어모듈(150)은 무게 값으로부터 곡물용기(109)에 담겨있는(포함된) 곡물량을 결정하고 결정된 곡물량으로부터 급수관(127)을 통해 투입되고 세척에 이용될 세정수량과 헹굼에 이용될 세정수량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200그램(또는 제1 범위(예를 들어, 150그램에서 250그램))의 곡물량이 결정된 경우, 제어모듈(150)은 600mL의 세척량과 300mL의 헹굼량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400그램(또는 제3 범위(예를 들어, 350그램에서 450그램))의 곡물량이 결정된 경우, 제어모듈(150)은 800mL의 세척량과 600mL의 헹굼량을 결정할 수 있다. 세척량과 헹굼량은 곡물량에 대응하는 무게나 부피보다 적어도 크도록 설정되고 세척량은 헹굼량보다 크도록 설정된다.
이와 같이, 제어모듈(150)은 곡물용기(109)에 담겨 있는 곡물의 무게를 측정 가능한 무게 센서(121)로부터의 무게 신호 값의 크기에 비례하여 투입될 세정수량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모듈(150)은, 곡물용기(109)의 인식에 따라, 상하 이동기(115)로 결합되어 있는 이동 프레임(117)(의 회전모터(111), 세척기(113), 급수관(127)(제2 급수관(127)), 급수 제어기(123) 및 배수 펌프(129))을 하측으로(곡물용기(109) 측) 이동시키기 위한 상하제어 신호를 상하-이동기 인터페이스(157)를 통해 출력한다. 상하제어 신호를 통한 이동 프레임(117)의 이동에 따라, 세척기(113)(의 세척 날개(113-1))는 곡물용기(109) 내로 이동하고 제2 급수관(127)도 곡물용기(109)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상하제어 신호의 출력 후 지정된 시간의 경과함에 따라, 제어모듈(150)은 급수-제어기 인터페이스(161)를 통해 급수 제어기(123)로 제1 급수관(127) 및 제2 급수관(127)을 통해 세정수 투입을 가능케 하는 급수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곡물용기(109)에 세정수를 급수(S103)한다. 급수 제어기(123)는 제어모듈(150)로부터 수신된 급수제어 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를 오픈하여 급수관(127)으로 세정수를 배출할 수 있다.
제어모듈(150)은 센서 인터페이스(153)를 통해 플로우 미터(125)로부터 플로우미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플로우미터 신호에 따라 측정된 세정수량과 앞서 결정된 투입될 세정수량을 비교한다. 제어모듈(150)은, 측정된 세정수량이 투입될 세정수량(세척량)과 동일하거나 이상인 경우, 투입 중단을 위한 급수제어 신호를 급수-제어기 인터페이스(161)를 통해 급수 제어기(123)로 출력한다. 세정수의 급수에 따라, 세척기(113)(의 세척 날개(113-1))는 세정수로 혼합된 곡물 내의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어모듈(150)은, 세정수의 투입 중단 이후에, 곡물용기(109)에 담겨 있는 곡물을 세척(S105)한다. 여기서 곡물용기(109)는 상측이 오픈되고 바닥과 옆면이 막혀있는 원통 형상을 가지고 바닥과 옆면으로 수분이 빠져나가지 못하고 외부에서 열이나 압력에 따라 내부의 곡물을 찔 수 있는 찜용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곡물용기(109)는 전기밥솥 등에 내장되는 금속재 밥솥(내솥)일 수 있다.
곡물의 세척을 위해, 제어모듈(150)은 측정된 곡물량에 비례하는 시간동안 세척기(113)를 회전시킨다. 제어모듈(150)은 회전모터(111)를 구동하기 위한 회전제어 신호를 회전-모터 인터페이스(159)를 통해 출력하고 회전모터(111)는 이 신호에 따라 회전축과 회전기어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그에 따라 회전기어에 결합된 세척기(113)의 회전봉과 세척 날개(113-1)도 회전하여 세정수와 혼합된 곡물을 세척할 수 있다.
곡물량에 따라, 세척 시간은 달라지고 예를 들어, 곡물량이 200그램인 경우 1분의 세척 시간을 가질 수 있고 400그램의 경우 3분의 세척 시간을 가지고 600그램의 경우 5분의 세척 시간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어모듈(150)은 세척 시간 동안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지정된 회전속도(예를 들어, 1분에 60회 회전 등)로 회전모터(111)를 회전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모듈(150)은 세척 시간을 여러 시간구간으로 나누어 하나의 구간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모터(111)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다른 구간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모터(111)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모듈(150)은 내부에 타이머를 구비하여 설정된 세척 시간의 경과와 회전방향에 설정된 시간의 경과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150)은 인접하는 시간구간 각각에 서로 다른 회전 속도로 회전모터(11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지정된 세척 시간의 경과 이후에, 제어모듈(150)은 곡물용기(109) 내의 세정수를 탈수(S107)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모듈(150)은 회전모터(111)의 회전을 중단하기 위한 회전제어 신호를 회전-모터 인터페이스(159)를 통해 회전모터(111)로 출력하고 곡물용기(109) 내에 세척후 이물질, 오염물질, 부유물질 등을 함유한 세정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제어 신호를 배수-펌프 인터페이스(163)를 통해 배수 펌프(129)로 출력한다.
그에 따라, 다이어프램 펌프 등의 배수 펌프(129)는 작동하여 세척기(113)의 필터(113-3)를 통해 세정수를 흡입하고 배수관(131)을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 곡물용기(109)에 투입된 세정수는 곡물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망을 가지는 필터(113-3)와 배수관(131)을 통해 자동 곡물 세척기(100) 외부로 배출되고 세척후의 곡물은 필터(113-3) 망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곡물용기(109)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세척 과정(S103 내지 S107)의 진행 이후에, 제어모듈(150)은 복수 회에 걸쳐 반복적으로 헹굼 과정(S109 내지 S113)을 수행하고 지정된 횟수의 헹굼 과정의 완료 이후에 종료(S200)될 수 있다.
헹굼 과정의 반복 횟수는 세척 모드의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신호에 따라 빠른 세척 모드가 셋팅된 경우, 제어모듈(150)은 2회의 헹굼을 수행할 수 있다. 깔끔 세척 모드가 셋팅된 경우 제어모듈(150)은 빠른 세척 모드의 헹굼 횟수보다 많은 4회의 헹굼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또한), 헹굼 과정의 반복 횟수는 설정된 곡물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현미를 대상으로 한 헹굼 횟수는 백미보다 적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모듈(150)은 설정된 곡물 종류와 세척 모드의 조합으로 헹굼 횟수를 설정할 수 있다.
헹굼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어모듈(150)은 급수-제어기 인터페이스(161)를 통해 급수 제어기(123)로 제1 급수관(127) 및 제2 급수관(127)을 통해 세정수 투입을 가능케 하는 급수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곡물용기(109)에 세정수를 급수(S109)한다. 급수 제어기(123)는 제어모듈(150)로부터 수신된 급수제어 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를 오픈하여 급수관(127)으로 세정수를 배출할 수 있다.
제어모듈(150)은 센서 인터페이스(153)를 통해 플로우 미터(125)로부터 플로우미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플로우미터 신호에 따라 측정된 세정수량과 앞서 결정된 투입될 세정수량(헹굼량)을 비교한다. 제어모듈(150)은, 측정된 세정수량이 투입될 세정수량(헹굼량)과 동일하거나 이상인 경우, 투입 중단을 위한 급수제어 신호를 급수-제어기 인터페이스(161)를 통해 급수 제어기(123)로 출력한다. 세정수의 급수에 따라, 세척기(113)(의 세척 날개(113-1))는 헹굼용 세정수로 혼합된 곡물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어모듈(150)은, 세정수의 투입 중단 이후에, 곡물용기(109)에 담겨 있는 곡물을 헹군다(S111). 곡물을 헹구기 위해, 제어모듈(150)은 곡물량에 비례하는 시간동안 세척기(113)를 회전시킨다. 제어모듈(150)은 회전모터(111)를 구동하기 위한 회전제어 신호를 회전-모터 인터페이스(159)를 통해 출력하고 회전모터(111)는 이 신호에 따라 회전축과 회전기어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그에 따라 회전기어에 결합된 세척기(113)의 회전봉과 세척 날개(113-1)도 회전하여 세정수와 혼합된 곡물을 헹굴 수 있다.
곡물량에 따라, 헹굼 시간은 달라지고 예를 들어, 곡물량이 200그램인 경우 30초의 세척 시간을 가질 수 있고 400그램의 경우 40초의 세척 시간을 가지고 600그램의 경우 50초의 세척 시간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헹굼 시간은 세척 시간보다 적도록 구성되어 세정수 투입에 따라 곡물에 잔존하는 물질을 여러 번 반복적으로 부유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어모듈(150)은 헹굼 시간 동안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지정된 회전속도(예를 들어, 1분에 60회 회전 등)로 회전모터(111)를 회전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모듈(150)은 헹굼 시간을 여러 시간구간으로 나누어 하나의 구간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모터(111)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다른 구간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모터(111)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모듈(150)은 내부에 타이머를 구비하여 설정된 헹굼 시간의 경과와 회전 방향에 대응하는 시간의 경과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모듈(150)은 인접하는 시간구간 각각에 서로 다른 회전 속도로 회전모터(11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지정된 헹굼 시간의 경과 이후에, 제어모듈(150)은 곡물용기(109) 내의 세정수를 탈수(S113)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모듈(150)은 회전모터(111)의 회전을 중단하기 위한 회전제어 신호를 회전-모터 인터페이스(159)를 통해 회전모터(111)로 출력하고 곡물용기(109) 내에 헹굼후 부유물질 등을 함유한 세정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제어 신호를 배수-펌프 인터페이스(163)를 통해 배수 펌프(129)로 출력한다.
그에 따라, 배수 펌프(129)는 작동하여 세척기(113)의 필터(113-3)를 통해 세정수를 흡입하고 배수관(131)을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 곡물용기(109)에 투입된 세정수는 곡물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망을 가지는 필터(113-3)와 배수관(131)을 통해 자동 곡물 세척기(100) 외부로 배출되고 세척후의 곡물은 필터(113-3) 망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곡물용기(109) 내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세척 과정 이후에 제어모듈(150)은 급수관(127)을 통해 세정수 투입을 위한 급수제어 신호의 출력과 지정된 헹굼 시간의 경과 후 배수 펌프(129)로 세정수 배출을 위한 배수제어 신호의 출력을 복수 회 반복하여 세척 후 곡물의 녹말 성분에 따라 잔존하는 물질을 헹굼 과정을 통해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세척 과정과 복수 회에 걸친 헹굼 과정의 수행 완료 이후에 본 제어 흐름은 종료(S200)된다. 종료 과정에서 제어모듈(150)은 상하 이동기(115)로 결합되어 있는 이동 프레임(117)(의 회전모터(111), 세척기(113), 급수관(127)(제2 급수관(127)), 급수 제어기(123) 및 배수 펌프(129))을 상측으로 이동(원래의 높이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상하제어 신호를 상하-이동기 인터페이스(157)를 통해 출력한다. 이동 프레임(117)의 상측 이동에 따라, 회전모터(111), 세척기(113), 제2 급수관(127), 급수 제어기(123) 및 배스 펌프는 원래위 위치로 이동한다.
이상과 같은 제어 흐름을 통해, 기존의 찜용기를 사용하면서, 찜용기의 자동 인식과 자동 측정된 곡물량에 따라 효과적으로 곡물을 세척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자동 곡물 세척기
101 : 투입구 103 : 입력 버튼
105 : 급수 포트 107 : 배수 포트
109 : 곡물용기 111 : 회전모터
113 : 세척기
113-1 : 세척 날개 113-3 : 필터
115 : 상하 이동기
117 : 이동 프레임 119 : 용기 인식 센서
121 : 무게 센서 123 : 급수 제어기
125 : 플로우 미터 127 : 급수관
129 : 배수 펌프 131 : 배수관
133 : 케이스
150 : 제어모듈
151 : 메모리 153 : 센서 인터페이스
155 : 입력 인터페이스 157 : 상하-이동기 인터페이스
159 : 회전-모터 인터페이스 161 : 급수-제어기 인터페이스
163 : 배수-펌프 인터페이스 165 : 제어부

Claims (5)

  1. 상측이 오픈되고 바닥과 옆면이 막혀있는 형상의 금속재 곡물용기의 곡물을 자동 세척하는 자동 곡물 세척기로서,
    지정된 회전 속도로 회전 가능한 회전모터;
    세정수를 하측의 상기 곡물용기로 투입하는 제1 급수관 및 제2 급수관;
    상기 곡물용기 내로 투입된 세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 펌프;
    상기 회전모터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에 따라 수평 회전 가능한 세척기로서, 회전봉, 복수의 세척 날개, 상기 회전봉 하단에 상기 자동 곡물 세척기의 바닥면으로 돌출되고 상기 복수의 세척 날개 사이에 위치하는 필터 및 상기 배수 펌프와 상기 필터에 연결되어 상기 필터를 통해 상기 곡물용기의 세정수를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회전봉 내부에 위치하는 배수관을 포함하는 세척기;
    상기 회전모터 및 상기 배수 펌프를 내부에 수용하는 이동 프레임;
    상기 이동 프레임에 결합하여 수신되는 상하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회전모터 및 상기 배수 펌프를 내부에 수용하는 상기 이동 프레임과 상기 회전모터에 결합된 상기 세척기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하는 상하 이동기; 및
    상기 곡물용기의 곡물 세척과 후속하는 복수 회의 헹굼을 제어하는 제어모듈로서, 상기 상하제어 신호의 출력을 통해 상기 이동 프레임과 상기 세척기를 하측으로 이동시키고 결정된 세척용 세정수량의 세정수를 상기 제1 급수관 및 제2 급수관을 통해 하측의 상기 곡물용기로 공급하고 상기 회전모터로 회전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세척기를 회전시키고 이후 상기 필터와 상기 배수관 및 상기 배수 펌프를 통해 상기 곡물용기의 세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세척 과정을 제어하고 상기 세척 과정 이후에 상기 세척용 세정수량보다 작은 헹굼용 세정수량을 상기 제1 급수관 및 제2 급수관을 통해 하측의 상기 곡물용기로 공급하고 상기 회전모터로 회전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세척기를 회전시키고 이후 상기 필터와 상기 배수관 및 상기 배수 펌프를 통해 상기 곡물용기의 세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헹굼 과정을 복수 회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자동 곡물 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곡물 세척기 내로 삽입되는 곡물용기를 인식하는 용기 인식 센서; 및
    상기 제어모듈로부터 수신되는 급수제어 신호에 따라 세정수를 출력하는 급수 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용기 인식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곡물용기가 인식되는 경우 상기 상하 이동기로 상기 회전모터, 상기 세척기, 상기 급수관 및 상기 급수 제어기를 상기 곡물용기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상하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상하제어 신호의 출력 후 상기 급수 제어기로 상기 급수관을 통해 세정수 투입을 위한 급수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자동 곡물 세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용기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 센서; 및
    상기 급수 제어기에서 출력되는 세정수량을 측정하는 플로우 미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무게 센서로부터의 무게 신호의 무게 값의 크기에 비례하는 상기 급수관을 통해 투입될 세척용 세정수량 및 상기 세척용 세정수량보다 작은 헹굼용 세정수량을 결정하고 상기 플로우 미터로부터 측정된 세정수량과 상기 세정수량의 비교로 세정수 투입 후 투입 중단을 위한 급수제어 신호를 상기 급수 제어기로 출력하는,
    자동 곡물 세척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급수관은 상기 상하 이동기에 의해 상기 이동 프레임이 상하 이동에 따른 변화 길이만큼 확장되거나 수축되는 주름관을 가지거나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고 서로 중첩되는 2 개의 관을 가지고,
    상기 필터는 상기 곡물용기의 곡물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망을 가지는,
    자동 곡물 세척기.
  5. 삭제
KR1020200005126A 2020-01-15 2020-01-15 자동 곡물 세척기 KR102364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126A KR102364017B1 (ko) 2020-01-15 2020-01-15 자동 곡물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126A KR102364017B1 (ko) 2020-01-15 2020-01-15 자동 곡물 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1889A KR20210091889A (ko) 2021-07-23
KR102364017B1 true KR102364017B1 (ko) 2022-02-16

Family

ID=77155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5126A KR102364017B1 (ko) 2020-01-15 2020-01-15 자동 곡물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401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7838Y1 (ko) * 2003-03-11 2003-06-25 이완교 곡물 세척기
KR101344290B1 (ko) * 2011-11-21 2014-01-15 박팔태 곡물 자동 세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6735B1 (ko) 2017-12-21 2020-05-29 이찬호 곡물세척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7838Y1 (ko) * 2003-03-11 2003-06-25 이완교 곡물 세척기
KR101344290B1 (ko) * 2011-11-21 2014-01-15 박팔태 곡물 자동 세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1889A (ko) 2021-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81790B2 (en) Obstacle sensing spray arm for a dishwashing machine
CA2500030C (en) Dishwashing machine
US20070068562A1 (en) Multiple spray arm dishwas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CN107752942B (zh) 水槽洗碗机及其清洗果蔬时的进水控制方法
US20040079400A1 (en) Dishwasher having a variable speed circulation pump controlled responsive to sensed turbidity
US11478122B2 (en) Dishwash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7920711B (zh) 器皿洗涤机器清洁通知和原位稀释过程
CN108430298A (zh) 判定在用于洗涤和冲洗物品的器具运行中断间期是否向器具的集水槽中添加了处理用水
US10130238B2 (en) Turbidity sensor assembly including an integral water level indicator
EP2772175B1 (en) Dishwasher
KR102364017B1 (ko) 자동 곡물 세척기
TWI454240B (zh) Tableware cleaning machine
US8615833B2 (en) Method and washing machine provided with recirculation with controlled flow
KR101526956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346837B1 (ko) 자동 곡물세척 및 요리 장치
KR20060010361A (ko) 식기 세척기의 탁도 센서 장착 구조
CN114145684B (zh) 一种洗碗机的排水控制方法、系统及洗碗机
US10595703B2 (en)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process water is present in a circulation pump of an appliance for washing and rinsing goods, and appliance and computer program therewith
CN106998988B (zh) 用于流体检测的交替泵方向
US20220018055A1 (en) Fault detection for a water level detection system of a washing machine appliance
CN208573653U (zh) 水槽洗碗机
KR20070015710A (ko) 식기 세척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065697B1 (ko) 식기세척기의 에어 브레이크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급수제어방법
US11530505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 elevated drain for a washing machine appliance
KR101526957B1 (ko) 식기 세척기 및 그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