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3785B1 - 최적 진공 기술을 적용한 빌지수 처리 장치 및 동 장치를 구비한 선박 - Google Patents

최적 진공 기술을 적용한 빌지수 처리 장치 및 동 장치를 구비한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3785B1
KR102363785B1 KR1020200166309A KR20200166309A KR102363785B1 KR 102363785 B1 KR102363785 B1 KR 102363785B1 KR 1020200166309 A KR1020200166309 A KR 1020200166309A KR 20200166309 A KR20200166309 A KR 20200166309A KR 102363785 B1 KR102363785 B1 KR 102363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lge water
water
bilge
vacuum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6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희
최영환
윤종수
최소영
추교식
배재일
양기태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주식회사 유연이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주식회사 유연이앤이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6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37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3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3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6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02F1/043Deta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8Originating from marine vessels, ships and boats, e.g. bilge water or ballast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xic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최적 진공 기술을 적용한 빌지수 처리 장치는 선박의 오염된 빌지수가 모여 저장되는 빌지수 저장탱크, 빌지수 저장탱크의 빌지수가 분사 공급되되 빌지수의 가열 증발을 위한 히터를 구비하며 빌지수의 비점을 낮추기 위한 진공압력이 제공되는 진공챔버, 빌지수 저장탱크의 빌지수를 진공챔버로 공급하며 빌지수를 진공챔버로 가압 이송하는 빌지수 공급펌프와 빌지수 공급밸브를 구비한 빌지수 공급라인, 진공챔버에서 발생되는 빌지수의 슬러지가 저장되는 슬러지 탱크, 및 진공챔버와 슬러지 탱크를 연결하며 슬러지 배출밸브를 구비한 슬러지 배출라인을 포함함으로써, 2차 환경오염 방지 유지보수가 거의 필요하지 않고, 충분한 비용 절감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최적 진공 기술을 적용한 빌지수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최적 진공 기술을 적용한 빌지수 처리 장치 및 동 장치를 구비한 선박{BILGE WATER TREATMENT APPARATUS WITH OPTIMAL VACUUM TECHNOLOGY AND VESSEL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빌지수 처리 장치 및 동 장치를 구비한 선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박에서 발생되는 빌지수를 처리하기 위해 최적 진공 기술을 적용한 빌지수 처리 장치 및 동 장치를 구비한 선박에 관한 것이다.
선박의 운행시, 외판이나 파이프(pipe)를 통해 누설되는 물, 갑판에서 기름에 오염된 물, 또는 화물에서 나온 물 등과 같이, 기름을 포함하는 빌지수(bilge water)는 선박에 구비된 빌지 웰(Bilge Well)에 모인 후, 외부로 배출된다.
선내에서 기름으로 오염된 빌지수가 정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선박 외부(해수나 육지의 수로망)로 방출되면 해양 오염을 야기할 수 있어, 국가마다 환경법에 의해 이를 엄격하게 단속 관리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빌지 웰로 유입되는 빌지수는 유수분을 분리하는 빌지수 처리 장치를 통한 후 배출되는데, 일반적으로 필터링(filtering) 방식(80~90%) 또는 원심(centrifugal) 방식(10~20%)으로 처리된 후 배출되고 있다.
필터링 방식의 경우, 일정 시간이 지나면 필터링 효율이 급격히 감소하고, 주기적인 필터 교체, 잦은 고장 등으로 스페어 필터(spare filter)의 추가 비용 및 선원들의 작업량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고장의 경우 즉각적인 수리가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 환경법에서 규정한 15ppm 규정을 무시한 채 무단 배출되어 해양 환경을 오염시키고 있다.
종래 필터 타입의 빌지수 처리시스템은 필터의 잦은 고장으로 필터의 주기적인 교체로 인한 경제적인 손실 및 인력 손실에 따른 비용적인 측면에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원심분리기 타입은 기본적으로 고가이며 원심분리를 위해 고전력이 필요하며 유출수의 기름 함량을 개정 지침인 5ppm 이내로 적용하기 위해 추가적인 화학제를 첨가하여야 하고 필터 또한 적용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선박 내 시스템과 연계된 최적 진공 음압 기술을 이용한 처리효율의 향상성능의 향상에 따라 최소한의 슬러지 폐기물만 생성되므로 2차 환경오염 방지 유지보수가 거의 필요하지 않고, 최소한의 슬러지 폐기물만 생성되므로 충분한 비용 절감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최적 진공 기술을 적용한 빌지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최적 진공 기술을 적용한 빌지수 처리 장치는, 선박의 오염된 빌지수가 모여 저장되는 빌지수 저장탱크; 상기 빌지수 저장탱크의 빌지수가 분사 공급되되, 상기 빌지수의 가열 증발을 위한 히터를 구비하며, 상기 빌지수의 비점을 낮추기 위한 진공압력이 제공되는 진공챔버; 상기 빌지수 저장탱크의 빌지수를 상기 진공챔버로 공급하며, 상기 빌지수를 상기 진공챔버로 가압 이송하는 빌지수 공급펌프와 빌지수 공급밸브를 구비한 빌지수 공급라인; 상기 진공챔버에서 발생되는 상기 빌지수의 슬러지가 저장되는 슬러지 탱크; 및 상기 진공챔버와 상기 슬러지 탱크를 연결하며, 슬러지 배출밸브를 구비한 슬러지 배출라인;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진공챔버의 빌지수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냉각시키는 콜드트랩; 상기 진공챔버와 상기 콜드트랩을 연결하는 진공라인; 상기 콜드트랩의 수증기가 냉각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클린 드레인탱크; 및 상기 콜드트랩과 상기 클린 드레인탱크를 연결하며, 응축수 배출밸브를 구비한 응축수 배출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콜드트랩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콜드트랩과 상기 진공라인을 통해 상기 진공챔버에 진공압력을 제공하는 이젝터; 및 상기 클린 드레인탱크의 응축수를 상기 이젝터를 경유하여 상기 응축수 배출라인 측으로 가압 순환시켜 상기 이젝터에 의한 진공압력을 상기 진공챔버에 제공하는 제1 작동과, 상기 클린 드레인탱크의 응축수를 배출하는 제2 작동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클린 드레인라인을 구비한 응축수 순환 및 배출 선택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공챔버는 압력센서, 온도센서, 오일 함유량을 측정하는 오일농도 측정기 및 레벨게이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공챔버는 내부에 형성된 진공압력을 제거하는 벤트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빌지수 공급라인에는, 압력 수준에 따라 상기 빌지수 저장탱크에서 상기 빌지수 공급펌프로 빌지수의 유동을 단속하며, 상기 빌지수 저장탱크로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젝터는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에 벤추리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벤추리 통로의 하부에 흡입구가 형성됨으로써 가압된 응축수가 상기 벤추리 통로를 통과하면서 상기 흡입구에 진공압력을 형성하는 진공장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린 드레인라인은, 상기 이젝터에 의한 진공압력을 상기 진공챔버에 제공하는 상기 제1 작동과, 상기 클린 드레인탱크의 응축수를 배출하는 상기 제2 작동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공급 삼방밸브 및 클린 드레인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 삼방밸브와 상기 이젝터의 유입구를 연결하며, 이젝터 입력밸브를 구비한 이젝터 입력라인; 및 상기 이젝터의 흡입구와 상기 진공챔버를 연결하는 이젝터 흡입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수 순환 및 배출 선택수단의 제1 작동에서는, 상기 공급 삼방밸브의 상기 제1 방향 선택에 의해 상기 클린 드레인라인이 상기 이젝터의 유입구로 연결되되, 상기 응축수가 상기 클린 드레인펌프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이젝터의 유입구로 유입되어 유출구로 배출된 후, 상기 응축수 배출라인으로 합류되며, 상기 응축수 순환 및 배출 선택수단의 상기 제2 작동에서는, 상기 공급 삼방밸브의 제2 방향 선택에 의해 상기 응축수가 상기 클린 드레인펌프에 의해 가압되어 선외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 삼방밸브의 상기 제2 방향 선택에 의해 상기 클린 드레인라인에 연결되는 물 배출라인; 및 상기 물 배출라인에 연결되며, 선외로 배출되는 상기 응축수의 유분 오염정도를 측정 감시하는 모니터링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 배출라인에 연결되며, 상기 모니터링 장치에 의한 상기 응축수의 유분 오염정도가 기설정 값 이상이면, 상기 물 배출라인의 선외 배출을 차단하여 상기 응축수를 상기 빌지수 저장탱크로 재귀시키는 배출 삼방밸브를 구비한 저장탱크 리턴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축수의 유분 오염정도가 5ppm 미만이면 상기 배출 삼방밸브가 상기 응축수를 선외로 배출하도록 작동되며, 상기 응축수의 유분 오염정도가 5ppm 이상이면 상기 배출 삼방밸브가 상기 응축수를 상기 빌지수 저장탱크로 재귀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은, 전술한 최적 진공 기술을 적용한 빌지수 처리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은, 선박 내 시스템과 연계된 최적 진공 음압 기술을 이용한 처리효율의 향상성능의 향상에 따라 최소한의 슬러지 폐기물만 생성되므로 2차 환경오염 방지 유지보수가 거의 필요하지 않고, 최소한의 슬러지 폐기물만 생성되므로 충분한 비용 절감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최적 진공 기술을 적용한 친환경 빌지수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적 진공 기술을 적용한 빌지수 처리 장치의 계통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응축수 순환 및 배출 선택수단에서 제1 작동 상태도에 따른 응축수 이젝터 공급 순환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응축수 순환 및 배출 선택수단에서 제2 작동 상태에 따른 응축수 선외 배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응축수 순환 및 배출 선택수단에서 제2 작동 상태에 따른 응축수 재귀 순환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적 진공 기술을 적용한 빌지수 처리 장치의 계통도이며, 도 2는 도 1의 응축수 순환 및 배출 선택수단에서 제1 작동 상태도에 따른 응축수 이젝터 공급 순환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최적 진공 기술을 적용한 빌지수 처리 장치는, 선박의 오염된 빌지수가 모여 저장되는 빌지수 저장탱크(100), 빌지수 저장탱크(100)의 빌지수가 분사 공급되며 빌지수의 가열 증발을 위한 히터(109)를 구비하며 빌지수의 비점을 낮추기 위한 진공압력이 제공되는 진공챔버(110), 빌지수 저장탱크(100)의 빌지수를 진공챔버(110)로 공급하며 빌지수를 진공챔버(110)로 가압 이송하는 빌지수 공급펌프(121)와 빌지수 공급밸브(122)를 구비한 빌지수 공급라인(120), 진공챔버(110)에서 발생되는 빌지수의 슬러지가 저장되는 슬러지 탱크(130), 및 진공챔버(110)와 슬러지 탱크(130)를 연결하며 슬러지 배출밸브(132)를 구비한 슬러지 배출라인(131)을 포함한다.
상기 빌지수 저장탱크(100), 빌지수 공급라인(120), 진공챔버(110), 및 슬러지 배출라인(131)은, 빌지수를 저장 및 공급하고, 빌지수에서 열과 진공에 의해 빌지수에서 물과 유분을 분리하며, 물이 분리된 빌지수의 슬러지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진공챔버(110)의 내부 상면부에는 빌지수를 분사하는 분사부(111)가 마련된다. 이러한 분사부(111)는 빌지수를 미세하게 분사시키는 노즐로 마련될 수 있다.
진공챔버(110)에는 압력센서(112), 온도센서(113), 오일 함유량을 측정하는 오일농도 측정기(114), 및/또는 레벨게이지(115)가 설치된다.
이처럼 진공챔버(110)에 설치된 압력센서(112), 온도센서(113), 오일농도 측정기(114), 및/또는 레벨게이지(115)는, 내부 압력과 온도, 오일농도, 및 수위를 외부에서 알 수 있도록 측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진공챔버(110)는 내부에 형성된 진공압력을 제거하는 벤트밸브(117)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벤트밸브(117)는 진공챔버(110)의 진공압력을 조절하거나 해소하는 것으로서, 진공챔버(110)에 연결된 벤트라인(118)에 설치된다.
빌지수 공급라인(120)의 빌지수 공급밸브(122)는, 빌지수 공급펌프(121)와 진공챔버(11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빌지수 공급펌프(121)에서 진공챔버(110) 측으로 빌지수의 유동을 단속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빌지수 저장탱크(100)에 연결된 빌지수 공급라인(120)에는, 압력 수준에 따라 빌지수 저장탱크(100)에서 빌지수 공급펌프(121) 측으로 빌지수의 유동을 단속하며, 빌지수 저장탱크(100) 측으로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123)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는, 진공챔버(110)의 빌지수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냉각시키는 콜드트랩(140), 진공챔버(110)와 콜드트랩(140)을 연결하는 진공라인(145), 콜드트랩(140)의 수증기가 냉각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클린 드레인탱크(150), 및 콜드트랩(140)과 클린 드레인탱크(150)를 연결하며 응축수 배출밸브(152)를 구비한 응축수 배출라인(151)이 더 포함된다.
상기 콜드트랩(140), 진공라인(145), 클린 드레인탱크(150), 및 응축 배출라인은, 진공챔버(110)에서 공급된 수증기를 응축하며, 진공챔버(110)의 비점을 낮추는 진공압력을 제공하며, 진공발생을 위한 응축수를 저장 및 저장소 측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콜드트랩(140)에는 수증기의 유동 경로을 상하 유동으로 늘이면서, 수증기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격벽(141)들이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응축수 배출라인(151)의 응축수 배출밸브(152)는 진공챔버(110)에서 클린 드레인탱크(150) 측으로 응축수의 배출을 단속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는, 콜드트랩(140)의 상부에 연결되어 콜드트랩(140)과 진공라인(145)을 통해 진공챔버(110)에 진공압력을 제공하는 이젝터(160) 및 클린 드레인탱크(150)의 응축수를 이젝터(160)를 경유하여 응축수 배출라인(151) 측으로 가압 순환시키거나 응축수를 배출하는 클린 드레인라인(171)을 구비한 응축수 순환 및 배출 선택수단(170)이 더 포함된다.
이젝터(160)는 유입구(161)와 유출구(162) 사이에 벤추리 통로(163)가 형성되며, 벤추리 통로(163)의 하부에 흡입구(164)가 형성됨으로써 가압된 응축수가 벤추리 통로(163)를 통과하면서 흡입구(164)에 진공압력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물을 사용하는 진공장치이다.
클린 드레인라인(171)은 이젝터(160)에 의한 진공압력을 진공챔버(110)에 제공하는 제1 작동과 클린 드레인탱크(150)의 응축수를 배출하는 제2 작동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공급 삼방밸브(172)와 클린 드레인펌프(173)가 마련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는, 공급 삼방밸브(172)와 이젝터(160)의 유입구(161)를 연결하며 이젝터(160) 입력밸브를 구비한 이젝터 입력라인(174), 및 이젝터(160)의 흡입구(164)와 진공챔버(110)를 연결하는 이젝터 흡입라인(175)이 더 포함된다.
상기에서 응축수 순환 및 배출 선택수단(170)의 제1 작동에서는, 공급 삼방밸브(172)의 제1 방향 선택에 의해 클린 드레인라인(171)이 이젝터 입력라인(174)을 통해 이젝터(160)의 유입구(161)로 연결됨으로써 응축수가 클린 드레인펌프(173)에 의해 가압되어 이젝터(160)의 유입구(161)로 유입되어 유출구(162)로 배출된 후, 응축수 배출라인(151)으로 합류된다. 이때, 이젝터 입력라인(174)에 이젝터 입력밸브(178)를 구비함으로써, 응축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젝터(160)는 응축수가 통과함으로써 흡입구(164) 측에 진공압력을 발생시키며, 진공압력은 콜드트랩(140)을 경유하여 진공챔버(110)에 제공된다.
이젝터(160)에 응축수가 공급되는 동안, 콜드트랩(140)에서 수증기가 거의 응축수로 전환되는 상태이므로, 최소의 수증기만 흡입구(164) 측으로 흡입된다.
도 3은 도 1의 응축수 순환 및 배출 선택수단에서 제2 작동 상태에 따른 응축수 선외 배출도이며, 도 4는 도 1의 응축수 순환 및 배출 선택수단에서 제2 작동 상태에 따른 응축수 재귀 순환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응축수 순환 및 배출 선택수단(170)의 제2 작동에서는, 공급 삼방밸브(172)의 제2 방향 선택에 의해 응축수가 클린 드레인펌프(173)에 의해 가압되어 선외로 배출되며, 선외로 배출되는 응축수의 오염도가 높을 경우에는 빌지수 저장탱크(100)로 재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는, 공급 삼방밸브(172)의 제2 방향 선택에 의해 클린 드레인라인(171)에 연결되는 물 배출라인(176), 물 배출라인(176)에 연결되며 선외로 배출되는 응축수의 유분 오염정도를 측정 감시하는 모니터링 장치(177), 및 물 배출라인(176)의 응축수를 빌지수 저장탱크(100)로 재귀시키는 배출 삼방밸브(181)를 구비한 저장탱크 리턴라인(180)가 더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니터링 장치(177)에 의한 응축수의 유분 오염정도가 기설정 값 이상이면, 배출 삼방밸브(181)가 물 배출라인(176)과 저장탱크 리턴라인(180)을 연결함으로써 물 배출라인(176)의 선외 배출을 차단하여 해수 오염을 방지하고, 응축수를 빌지수 저장탱크(100)로 재귀시켜 다시 유수분 분리 과정을 거치게 만든다.
일예로, 응축수의 유분 오염정도가 5ppm 미만이면 배출 삼방밸브(181)가 응축수를 선외로 배출하도록 선외 측으로 작동되며, 응축수의 유분 오염정도가 5ppm 이상이면 배출 삼방밸브(181)가 응축수를 빌지수 저장탱크(100)로 재귀하도록 물 배출라인(176)을 저장탱크 리턴라인(180) 측으로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진공챔버(110)에 비점을 낮추기 위한 진공 음압 기술을 적용하여 최적의 진공도 및 비점을 제공함으로써 낮은 열량으로 최대한의 물을 빌지수에서 증발시켜 기존 유수분리기의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향후 강화될 환경 규제나 선주의 요구에 부합한 오염도 이하(5ppm)로 빌지수의 선외 배수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이어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빌지수 저장탱크 110: 진공챔버
111: 분사부 112: 압력센서
113: 온도센서 114: 오일농도 측정기
115: 레벨게이지 117: 벤트밸브
118: 벤트라인 120: 빌지수 공급라인
121: 빌지수 공급펌프 122: 빌지수 공급밸브
123: 체크밸브 130: 슬러지 탱크
131: 슬러지 배출라인 132: 슬러지 배출밸브
140: 콜드트랩 141: 냉각격벽
145: 진공라인 150: 클린 드레인탱크
151: 응축수 배출라인 152: 응축수 배출밸브
160: 이젝터 161: 유입구
162: 유출구 163: 벤추리 통로
164: 흡입구 170: 응축수 순환 및 배출 선택수단
171: 클린 드레인라인 172: 공급 삼방밸브
173: 클린 드레인펌프 174: 이젝터 입력라인
175: 이젝터 흡입라인 176: 물 배출라인
177: 모니터링 장치 178: 이젝터 입력밸브
180: 저장탱크 리턴라인 181: 배출 삼방밸브

Claims (14)

  1. 선박의 오염된 빌지수가 모여 저장되는 빌지수 저장탱크;
    상기 빌지수 저장탱크의 빌지수가 분사 공급되되, 상기 빌지수의 가열 증발을 위한 히터를 구비하며, 상기 빌지수의 비점을 낮추기 위한 진공압력이 제공되는 진공챔버;
    상기 빌지수 저장탱크의 빌지수를 상기 진공챔버로 공급하며, 상기 빌지수를 상기 진공챔버로 가압 이송하는 빌지수 공급펌프와 빌지수 공급밸브를 구비한 빌지수 공급라인;
    상기 진공챔버에서 발생되는 상기 빌지수의 슬러지가 저장되는 슬러지 탱크; 및
    상기 진공챔버와 상기 슬러지 탱크를 연결하며, 슬러지 배출밸브를 구비한 슬러지 배출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진공챔버의 빌지수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냉각시키는 콜드트랩;
    상기 진공챔버와 상기 콜드트랩을 연결하는 진공라인;
    상기 콜드트랩의 수증기가 냉각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클린 드레인탱크; 및
    상기 콜드트랩과 상기 클린 드레인탱크를 연결하며, 응축수 배출밸브를 구비한 응축수 배출라인; 을 더 포함하며,
    상기 콜드트랩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콜드트랩과 상기 진공라인을 통해 상기 진공챔버에 진공압력을 제공하는 이젝터; 및
    상기 클린 드레인탱크의 응축수를 상기 이젝터를 경유하여 상기 응축수 배출라인 측으로 가압 순환시켜 상기 이젝터에 의한 진공압력을 상기 진공챔버에 제공하는 제1 작동과, 상기 클린 드레인탱크의 응축수를 배출하는 제2 작동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클린 드레인라인을 구비한 응축수 순환 및 배출 선택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 진공 기술을 적용한 빌지수 처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챔버는 압력센서, 온도센서, 오일 함유량을 측정하는 오일농도 측정기 및 레벨게이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 진공 기술을 적용한 빌지수 처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챔버는 내부에 형성된 진공압력을 제거하는 벤트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 진공 기술을 적용한 빌지수 처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빌지수 공급라인에는, 압력 수준에 따라 상기 빌지수 저장탱크에서 상기 빌지수 공급펌프로 빌지수의 유동을 단속하며, 상기 빌지수 저장탱크로의 역류를 방지하는 체크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 진공 기술을 적용한 빌지수 처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는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에 벤추리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벤추리 통로의 하부에 흡입구가 형성됨으로써 가압된 응축수가 상기 벤추리 통로를 통과하면서 상기 흡입구에 진공압력을 형성하는 진공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 진공 기술을 적용한 빌지수 처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린 드레인라인은, 상기 이젝터에 의한 진공압력을 상기 진공챔버에 제공하는 상기 제1 작동과, 상기 클린 드레인탱크의 응축수를 배출하는 상기 제2 작동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공급 삼방밸브 및 클린 드레인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 진공 기술을 적용한 빌지수 처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삼방밸브와 상기 이젝터의 유입구를 연결하며, 이젝터 입력밸브를 구비한 이젝터 입력라인; 및
    상기 이젝터의 흡입구와 상기 진공챔버를 연결하는 이젝터 흡입라인;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 진공 기술을 적용한 빌지수 처리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순환 및 배출 선택수단의 상기 제1 작동에서는, 상기 공급 삼방밸브의 제1 방향 선택에 의해 상기 클린 드레인라인이 상기 이젝터의 유입구로 연결되되, 상기 응축수가 상기 클린 드레인펌프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이젝터의 유입구로 유입되어 유출구로 배출된 후, 상기 응축수 배출라인으로 합류되며,
    상기 응축수 순환 및 배출 선택수단의 상기 제2 작동에서는, 상기 공급 삼방밸브의 제2 방향 선택에 의해 상기 응축수가 상기 클린 드레인펌프에 의해 가압되어 선외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 진공 기술을 적용한 빌지수 처리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삼방밸브의 상기 제2 방향 선택에 의해 상기 클린 드레인라인에 연결되는 물 배출라인; 및
    상기 물 배출라인에 연결되며, 선외로 배출되는 상기 응축수의 유분 오염정도를 측정 감시하는 모니터링 장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 진공 기술을 적용한 빌지수 처리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물 배출라인에 연결되며, 상기 모니터링 장치에 의한 상기 응축수의 유분 오염정도가 기설정 값 이상이면, 상기 물 배출라인의 선외 배출을 차단하여 상기 응축수를 상기 빌지수 저장탱크로 재귀시키는 배출 삼방밸브를 구비한 저장탱크 리턴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 진공 기술을 적용한 빌지수 처리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의 유분 오염정도가 5ppm 미만이면 상기 배출 삼방밸브가 상기 응축수를 선외로 배출하도록 작동되며,
    상기 응축수의 유분 오염정도가 5ppm 이상이면 상기 배출 삼방밸브가 상기 응축수를 상기 빌지수 저장탱크로 재귀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 진공 기술을 적용한 빌지수 처리 장치.
  14. 제 1 항, 제 4 항, 제 5 항, 제 6 항, 제 7 항, 제 8 항, 제 9 항, 제 10 항, 제 11 항,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따른 최적 진공 기술을 적용한 빌지수 처리 장치를 구비한 선박.
KR1020200166309A 2020-12-02 2020-12-02 최적 진공 기술을 적용한 빌지수 처리 장치 및 동 장치를 구비한 선박 KR102363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309A KR102363785B1 (ko) 2020-12-02 2020-12-02 최적 진공 기술을 적용한 빌지수 처리 장치 및 동 장치를 구비한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309A KR102363785B1 (ko) 2020-12-02 2020-12-02 최적 진공 기술을 적용한 빌지수 처리 장치 및 동 장치를 구비한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3785B1 true KR102363785B1 (ko) 2022-02-17

Family

ID=80493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6309A KR102363785B1 (ko) 2020-12-02 2020-12-02 최적 진공 기술을 적용한 빌지수 처리 장치 및 동 장치를 구비한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378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73983A (ja) * 2013-10-04 2015-04-20 喜多 宏司 船舶の機関室ビルジ処理システム
KR101653666B1 (ko) * 2015-12-10 2016-09-02 (주) 테크로스 잠수형 펌프가 설치된 선박의 기관실 내 선박평형수 처리부를 갖는 선박평형수처리시스템
KR20160108966A (ko) * 2015-03-09 2016-09-21 엠티시 인터내셔날 주식회사 유화 형태 검출기가 구비된 빌지 워터 처리시스템 및 처리방법
KR20170049910A (ko) * 2015-10-29 2017-05-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평형수 시스템
KR101814794B1 (ko) * 2016-08-19 2018-02-02 (주) 지비에스테크놀러지 오존수 생성 수조 시스템
KR20190046535A (ko) * 2017-10-26 2019-05-07 (주)범용테크놀러지 진공증류식 폐액재생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73983A (ja) * 2013-10-04 2015-04-20 喜多 宏司 船舶の機関室ビルジ処理システム
KR20160108966A (ko) * 2015-03-09 2016-09-21 엠티시 인터내셔날 주식회사 유화 형태 검출기가 구비된 빌지 워터 처리시스템 및 처리방법
KR20170049910A (ko) * 2015-10-29 2017-05-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평형수 시스템
KR101653666B1 (ko) * 2015-12-10 2016-09-02 (주) 테크로스 잠수형 펌프가 설치된 선박의 기관실 내 선박평형수 처리부를 갖는 선박평형수처리시스템
KR101814794B1 (ko) * 2016-08-19 2018-02-02 (주) 지비에스테크놀러지 오존수 생성 수조 시스템
KR20190046535A (ko) * 2017-10-26 2019-05-07 (주)범용테크놀러지 진공증류식 폐액재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6065B1 (ko) 선박의 오일-오염 빌지수와 폐수의 정화 방법, 정화 장치 및 이를 장비한 선박
FI113463B (fi) Vesialuksen yhdistetty poistokaasun ja painolastiveden käsittelyjärjestely ja menetelmä vesialuksen painolastiveden käsittelemiseksi
WO2014088149A1 (ko) 선박용 배기 가스 정화장치
KR101662039B1 (ko) 원심분리시스템을 이용한 빌지수 정화처리 방법
KR102363785B1 (ko) 최적 진공 기술을 적용한 빌지수 처리 장치 및 동 장치를 구비한 선박
US8343310B2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DK2870108T3 (en) Plant and process for working up bottom water and sludge
CN109959017A (zh) 一种锅炉废液掺烧装置
EP1727730A1 (en) A method and a plant for purification of oil-contaminated bilge water and ship equipped with a plant for purification of blige water
KR20090010614A (ko) 액화 천연 가스 화물 운반선의 빌지 처리장치
KR102120777B1 (ko) 선박용 스크러버 세정수 공급 및 배출시스템
CN101668706A (zh) 用于处理压舱水的系统、过程和控制单元
KR200468286Y1 (ko) 복수의 연료유를 병행하여 사용하는 선박의 연료유 재사용 장치
US20180229821A1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anaging ballast water of ship,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180076746A (ko) 그레이워터 기화기가 설치된 오수처리시스템 및 이를 가지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KR19980046039A (ko) 선박의 밸러스트 시스템
CN105838411A (zh) 石油化工中乙烯装置急冷系统的辅助处理装置及处理方法
CN210340414U (zh) 一种舱底水系统油水自动分离柜
KR19980011069U (ko) 선박용 유수분리장치의 전처리장치
KR102276364B1 (ko)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포함하는 선박의 폐기물 처리시스템
KR102260200B1 (ko) 선박의 평형수 필터 우회 제어 방법
KR102276363B1 (ko)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포함하는 선박의 폐기물 처리시스템
KR101358306B1 (ko) 연료유 회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396265B1 (ko) 배유 기능을 구비한 헬리콥터 연료공급 시스템
Wiewióra et al. Integrated bilge water treat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