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3445B1 - 슬러지 분리형 폐수 저장조 - Google Patents

슬러지 분리형 폐수 저장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3445B1
KR102363445B1 KR1020190144858A KR20190144858A KR102363445B1 KR 102363445 B1 KR102363445 B1 KR 102363445B1 KR 1020190144858 A KR1020190144858 A KR 1020190144858A KR 20190144858 A KR20190144858 A KR 20190144858A KR 102363445 B1 KR102363445 B1 KR 102363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sludge
storage tank
buoy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4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7990A (ko
Inventor
최석호
한규철
이철우
박용해
박성주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4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3445B1/ko
Publication of KR20210057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7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3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3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9Settling tanks provided with contact surfaces, e.g. baffles, particles
    • B01D21/0042Baffles or guide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1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using floccula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1/04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 B01D21/06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with rotatin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organic material
    • C02F1/56Macromolecular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폐수를 저장하기 위한 폐수 저장조에 있어서, 폐수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로 유입된 폐수에서 슬러지(sludge)를 분리하기 위한 슬러지 분리부;와, 상기 슬러지 분리부에 의해 슬러지가 분리된 폐수가 배출되는 배출부;와, 상기 배출부로부터 폐수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펌프; 및 상기 슬러지 분리부 내에 설치되어 폐수를 고탁도와 저탁도로 분리하는 배플(baffle);을 포함하는, 폐수 저장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폐수 저장조 내에서 슬러지 침전 및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으로써 낮은 탁도의 수질을 폐수 처리 시스템으로 이송시킬 수 있어, 에너지 소모량을 줄일 수 있으며 폐수 처리설비의 용량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슬러지 분리형 폐수 저장조{SLUDGE SEPARATION TYPE WASTE WATER STORAGE TANK}
본 발명은 폐수를 처리 시스템으로 보내기 전에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폐수 저장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슬러지 분리가 가능한 슬러지 분리형 폐수 저장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의 폐수 저장조(1)가 도시되고 있다. 폐수 저장조(1)는 폐수를 처리 시스템에 일정한 유량으로 보내기 위해 폐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곳이다. 폐수 저장조(1)에는 공정에서 발생하는 역세 폐수(backwashed waste water), 약품 세정액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저장조(1)의 일측에서 폐수가 유입되며, 저장조(1)의 하부에는 하부 침전을 억제하고 수질을 최대한 균일하게 하기 위해 에어레이션(aeration) 장치(2)가 구비되고 있다. 저장조(1)의 타측에는 이송펌프(3)가 연결되어 저장조(1)에 저장된 폐수가 처리 시스템으로 이송될 수 있다.
하지만, 에어레이션(aeration)을 위해 별도의 에어 블로워(air blower)가 필요하고, 이에 따라 에너지 소모량이 높은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폐수를 처리 시스템으로 보내기 전에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폐수 저장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슬러지 분리가 가능한 슬러지 분리형 폐수 저장조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폐수를 저장하기 위한 폐수 저장조에 있어서, 폐수가 유입되는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로 유입된 폐수에서 슬러지(sludge)를 분리하기 위한 슬러지 분리부;와, 상기 슬러지 분리부에 의해 슬러지가 분리된 폐수가 배출되는 배출부;와, 상기 배출부로부터 폐수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펌프; 및 상기 슬러지 분리부 내에 설치되어 폐수를 고탁도와 저탁도로 분리하는 배플(baffle);을 포함하는, 폐수 저장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배플은 상기 슬러지 분리부 내에 수위에 따라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배플은 최대로 부상될 수 있는 높이가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배플의 양단부는 각각 제1 추에 연결된 제1 부표에 결합되며, 상기 배플의 중간부는 제4 부표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배플의 일단부가 결합된 상기 제1 부표와 나란하게 제2 추에 연결된 제2 부표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부표와 상기 제2 부표 사이에는 제3 추에 연결된 제3 부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추의 무게는 상기 제1 부표의 부력보다 크고, 상기 제2 추의 무게는 상기 제2 부표의 부력보다 크며, 상기 제3 추의 무게는 상기 제3 부표의 부력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유입부를 통해 슬러지 응집을 위한 폴리머(polymer)가 주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슬러지 분리부의 바닥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슬러지 분리부에서 분리된 슬러지를 이송하기 위한 슬러지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슬러지 분리부의 하부에는 스크래퍼(scraper)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배플의 상부에 있는 저탁도의 폐수가 상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슬러지 분리부 내 상등수부터 상기 이송펌프로 이송되도록 부표가 장착된 배출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배플의 최대 부상 높이는 상기 슬러지 분리부의 최대 높이의 50%를 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부표와 상기 제1 추를 연결하는 끈의 길이는 상기 제2 부표와 상기 제2 추를 연결하는 끈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슬러지 분리부는 일측에서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바닥면과, 타측에서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바닥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바닥면과 제2 바닥면이 만나는 지점에 슬러지 배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스크래퍼는 상기 슬러지 분리부 내에서 회전하는 원형 스크래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배출구의 일측은 상기 슬러지 분리부의 상측을 향해 열려 있고, 상기 배출구의 타측은 상기 배출부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배출구는 플렉서블한 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배출구는 길이 조절 가능한 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폐수 저장조 내에서 슬러지 침전 및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으로써 낮은 탁도의 수질을 폐수 처리 시스템으로 이송시킬 수 있어, 에너지 소모량을 줄일 수 있으며 폐수 처리설비의 용량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폐수 저장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수 저장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보다 저장조의 수위가 높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보다 저장조의 수위가 낮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에서 배플(baffle)의 설치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슬러지 분리형 폐수 저장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선,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폐수 저장조(100)를 살펴보도록 한다. 폐수 저장조(100)는 폐수를 처리 시스템에 일정한 유량으로 보내기 위해 폐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곳이다. 폐수 저장조(100)에는 공정에서 발생하는 역세 폐수(backwashed waste water), 약품 세정액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폐수 저장조(100)는 폐수가 유입되는 유입부(110)와, 상기 유입부(110)로 유입된 폐수에서 슬러지(sludge)를 분리하기 위한 슬러지 분리부(120)와, 상기 슬러지 분리부(120)에 의해 슬러지가 분리된 폐수가 배출되는 배출부(130)를 포함한다. 유입부(110), 슬러지 분리부(120) 및 배출부(130)는 폐수 저장조(100)를 형성하는 하나의 탱크에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 서로 연통되도록 각각 다른 탱크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유입부(110)를 통해 폐수 저장조(100)로 폐수가 유입된다. 예를 들어, 상기 유입부(110)를 통해 공정의 배출설비에서 역세 폐수가 유입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배출설비에서 폐수가 유입될 수도 있으며, 다수 개의 배출설비에서 동시에 폐수가 유입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폐수 저장조(100)의 수위는 상황에 따라 낮거나 높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폐수와 함께 상기 유입부(110)를 통해 슬러지 응집을 위한 폴리머(polymer)가 주입될 수 있다. 폴리머에 의해 슬러지의 응집이 향상되며 침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유입부(110)를 통해 유입되는 폐수는 슬러지 분리부(120)에 모이며, 이때 상기 슬러지 분리부(120) 내에는 폐수를 고탁도와 저탁도로 분리하기 위한 배플(baffle; 200)이 설치된다. 배플(200)은 유동 방향을 제한하면서 필터(filter) 형식으로 걸러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배플(200)의 하부에는 슬러지가 함유된 고탁도의 폐수가 존재하며, 배플(200)의 상부에는 상대적으로 저탁도의 폐수가 존재하게 된다. 이를 위해, 배플(200)은 부력에 의해 부상될 수 있으면서 여과가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져야 한다.
일반적으로 배출설비에서는 농도가 높은 폐수가 나오다가 점점 농도가 낮은 폐수가 나오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배플(200)의 하부로 농도가 높은 폐수가 들어가게 된다. 배플(200)은 물은 통과 가능한 반면 고형물질은 통과할 수 없기 때문에, 배플(200) 하부의 슬러지가 상부로 이동하지 않는다.
상기 배플(200)은 상기 슬러지 분리부(120) 내에서 수위에 따라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배플(200)의 양단부와 중간부는 각각 제1 부표(241) 및 제4 부표(244)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수위에 따라 부표의 높이가 조절되며 배플(200)의 높이 또한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배플(200)이 최대로 부상될 수 있는 높이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각각의 제1 부표(241)에는 제1 추(221)가 연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4 부표(244)는 수위에 따라 자유롭게 부상할 수 있는 반면, 상기 제1 부표(241)는 제1 추(221)에 의해 최대 제1 부표(241)와 제1 추(221)를 연결하는 끈의 길이만큼 부상 가능하며, 그 이상으로는 수위가 높아지더라도 부상하지 못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 추(221)의 무게는 상기 제1 부표(241)의 부력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배플(200)의 폭이 일정길이로 정해져 있으므로 제1 부표(241)가 더 이상 부상되지 않으면 배플(200)과 제4 부표(244) 또한 일정 높이에서 더 이상 부상될 수 없으며, 최대 높이에 유지된다. 예를 들어, 배플(200)의 최대 높이가 슬러지 분리부(120)의 최대 높이의 50%를 넘지 않도록, 바람직하게는 30~40%를 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1 부표(241)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배플(200)의 일단부가 결합된 상기 제1 부표(241)와 나란하게 제2 추(222)에 연결된 제2 부표(242)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부표(241)와 상기 제2 부표(242) 사이에는 제3 추(223)에 연결된 제3 부표(243)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추(222)의 무게는 상기 제2 부표(242)의 부력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3 추(223)의 무게는 상기 제3 부표(253)의 부력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부표(242)는 제1 부표(241)와 마찬가지로 제2 추(222)에 의해 최대 제2 부표(242)와 제2 추(222)를 연결하는 끈의 길이만큼 부상 가능하며, 그 이상으로는 수위가 높아지더라도 부상하지 못한다. 제1 부표(241)와 제1 추(221)를 연결하는 끈의 길이는 제2 부표(242)와 제2 추(222)를 연결하는 끈의 길이와 동일하다.
반면에, 상기 제3 추(223)는 제3 부표(243)의 부력에 따라 함께 부상할 수 있으며, 제1 부표(241)와 제2 부표(242)의 최대 부상높이보다 수위가 높아질 시 제3 부표(243)의 부력에 의해 상부로 이동하며 제1 부표(241)와 제2 부표(242)의 위치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3 추(223)는 제1 부표(241)와 제2 부표(242) 사이에 배치되므로 제1 부표(241)와 제2 부표(242)의 최대 부상높이 이상으로는 이동할 수 없다.
여기서, 부표는 발포보온재를 PVC 파이프 안에 충진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부표와 추를 연결하는 끈은 PE 로프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예로, 슬러지 분리부(120)의 탱크가 높이 65cm에 해당할 경우, 제1 부표(241)와 제1 추(221)를 연결하는 끈의 길이는 20cm, 제3 부표(243)와 제3 추(223)를 연결하는 끈의 길이는 11cm, 배플(200)의 폭은 20cm일 수 있다. 제4 부표(244)의 지름은 61.1mm, 제1 내지 제3 부표(241, 242, 243) 및 제3 추(223)의 지름은 34.7mm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배플(200)에 의해 폐수의 탁도가 분리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슬러지 분리부(120)의 하부에는 슬러지를 배출하기 위한 슬러지 배출부(400)가 형성된다. 상기 슬러지 배출부(400)에는 슬러지를 외부로, 예를 들어 원심분리기(decanter)로 이송하기 위한 슬러지 펌프(420)가 연결된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슬러지 분리부(120)의 바닥면은 슬러지가 효과적으로 침전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실시 예에서는 슬러지 분리부의 제1 바닥면(122a)은 일측에서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슬러지 분리부의 제2 바닥면(122b) 타측에서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슬러지 배출부(400)가 상기 제1 바닥면(122a)과 제2 바닥면(122b)이 만나는 지점에 형성되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바닥면(122a)과 제2 바닥면(122b)이 서로 만나는 지점을 향해 아래로 기울어짐에 따라 슬러지가 슬러지 배출부(400)를 향해 효과적으로 침전될 수 있다.
더욱이,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슬러지 분리부(120)의 하부에는 스크래퍼(scraper; 3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크래퍼(300)는 슬러지 분리부(120)의 하부에 침전된 슬러지를 중앙으로 모아 슬러지 배출부(400)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스크래퍼(300)는 탱크의 형상에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형 스크래퍼 또는 일자(bar)형 스크래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형 스크래퍼가 상기 슬러지 분리부(120) 내에서 회전하며 응집된 슬러지를 중앙으로 모아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상기 배출부(130)에는 폐수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펌프(140)가 연결되어 폐수를 외부로, 예를 들어 폐수 처리 시스템으로 이송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배플(200)의 상부에 있는 저탁도의 폐수가 이송펌프(14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슬러지 분리부(120) 내 상등수부터 상기 이송펌프(140)로 이송되도록 부표가 장착된 배출구(50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배출구(500)는 슬러지 분리부(120) 내에 배치되며, 부표가 장착됨에 따라 부력에 의해 수위에 따라 이동하며 슬러지 분리부(120) 내 상등수가 먼저 배출부(130)로 이동하여 이송펌프(14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배출구(500)의 일측은 슬러지 분리부(120) 내 상등수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슬러지 분리부(120)의 상측을 향해 열려 있고, 타측은 배출부(130)에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500)에는 부표가 장착되어 수위에 따라 배출구(500)의 최대 높이가 변화되므로 배출구(500)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이룬다. 예를 들어, 상기 배출구(500)는 플렉서블한 파이프 또는 길이 조절 가능한 파이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구(500)가 원형으로 감긴 플렉서블한 파이프로 도시되고 있다.
도 3 및 4에는 폐수 저장조(100) 내의 수위에 따른 배플(200)과 배출구(500)의 위치가 도시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에 도시된 저장조(100)보다 수위가 높아지게 되면 배플(200)은 일정 높이 이상으로 부상하지 않고 위치가 고정되며, 배출구(500)는 부표에 의해 수위에 해당하는 만큼 부상되어 슬러지 분리부(120) 내 상등수부터 배출시킨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에 도시된 저장조(100)보다 수위가 낮아지게 되면 배플(200)과 배출구(500)의 위치 또한 수위에 해당하는 만큼 낮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폐수 저장조(100)에서는, 유입부(110)를 통해 유입된 폐수가 슬러지 분리부(120) 내의 배플(200)에 의해 고탁도의 폐수와 저탁도의 폐수로 분리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배플(200)의 하부에서는 폴리머, 스크래퍼(300) 등에 의해 슬러지의 응집 및 침전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슬러지 배출부(400)를 통해 슬러지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고, 배플(200)의 상부에서는 상대적으로 저탁도의 폐수가 배출부(130)를 통해 폐수 처리 시스템으로 보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폐수 저장조(100) 내에서 슬러지 침전 및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짐으로써 낮은 탁도의 수질을 폐수 처리 시스템으로 이송시킬 수 있어, 에너지 소모량을 줄일 수 있으며 폐수 처리설비의 용량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른 비용 절감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폐수 저장조 110: 유입부
120: 슬러지 분리부 122a, 122b: 바닥면
130: 배출부 140: 이송펌프
200: 배플 221, 222, 223: 추
241, 242, 243, 244: 부표 300: 스크래퍼
400: 슬러지 배출부 420: 슬러지 펌프
500: 배출구

Claims (20)

  1. 폐수를 저장하기 위한 폐수 저장조에 있어서,
    폐수가 유입되는 유입부;
    상기 유입부로 유입된 폐수에서 슬러지(sludge)를 분리하기 위한 슬러지 분리부;
    상기 슬러지 분리부에 의해 슬러지가 분리된 폐수가 배출되는 배출부;
    상기 배출부로부터 폐수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펌프; 및
    상기 슬러지 분리부 내에 설치되어 폐수를 고탁도와 저탁도로 분리하는 배플(baffle);을 포함하며,
    상기 배플은 상기 슬러지 분리부 내에 수위에 따라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배플은 최대로 부상될 수 있는 높이가 제한되며,
    상기 배플의 양단부는 각각 제1 추에 연결된 제1 부표에 결합되며, 상기 배플의 중간부는 제4 부표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저장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의 일단부가 결합된 상기 제1 부표와 나란하게 제2 추에 연결된 제2 부표가 구비되며, 상기 제1 부표와 상기 제2 부표 사이에는 제3 추에 연결된 제3 부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저장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추의 무게는 상기 제1 부표의 부력보다 크고, 상기 제2 추의 무게는 상기 제2 부표의 부력보다 크며, 상기 제3 추의 무게는 상기 제3 부표의 부력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저장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부를 통해 슬러지 응집을 위한 폴리머(polymer)가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저장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분리부의 바닥면은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저장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분리부에서 분리된 슬러지를 이송하기 위한 슬러지 펌프;를 더 포함하는, 폐수 저장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분리부의 하부에는 스크래퍼(scraper)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저장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의 상부에 있는 저탁도의 폐수가 상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저장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분리부 내 상등수부터 상기 이송펌프로 이송되도록 부표가 장착된 배출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저장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의 최대 부상 높이는 상기 슬러지 분리부의 최대 높이의 50%를 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저장조.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표와 상기 제1 추를 연결하는 끈의 길이는 상기 제2 부표와 상기 제2 추를 연결하는 끈의 길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저장조.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분리부는 일측에서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바닥면과, 타측에서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바닥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저장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닥면과 제2 바닥면이 만나는 지점에 슬러지 배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저장조.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래퍼는 상기 슬러지 분리부 내에서 회전하는 원형 스크래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저장조.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의 일측은 상기 슬러지 분리부의 상측을 향해 열려 있고, 상기 배출구의 타측은 상기 배출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저장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플렉서블한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저장조.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길이 조절 가능한 파이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저장조.
KR1020190144858A 2019-11-13 2019-11-13 슬러지 분리형 폐수 저장조 KR102363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858A KR102363445B1 (ko) 2019-11-13 2019-11-13 슬러지 분리형 폐수 저장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858A KR102363445B1 (ko) 2019-11-13 2019-11-13 슬러지 분리형 폐수 저장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990A KR20210057990A (ko) 2021-05-24
KR102363445B1 true KR102363445B1 (ko) 2022-02-16

Family

ID=76152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858A KR102363445B1 (ko) 2019-11-13 2019-11-13 슬러지 분리형 폐수 저장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344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0655Y1 (ko) * 2004-01-16 2004-05-13 (주)워러모드 중·소형의 연속회분식반응조용 상징수배출장치
KR100941938B1 (ko) * 2009-09-15 2010-02-11 (주)효성엔바이로 혼화응집설비를 갖춘 슬러지 수집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707B1 (ko) * 2006-09-28 2008-04-2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징수 수직이송식 오폐수 침전처리 장치
KR20110049624A (ko) * 2010-03-12 2011-05-12 주식회사 지오웍스 에코침전조를 구비한 폐수처리시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0655Y1 (ko) * 2004-01-16 2004-05-13 (주)워러모드 중·소형의 연속회분식반응조용 상징수배출장치
KR100941938B1 (ko) * 2009-09-15 2010-02-11 (주)효성엔바이로 혼화응집설비를 갖춘 슬러지 수집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990A (ko) 2021-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74696C (fi) Anordning och foerfarande foer rening av icke-klarnat vatten.
CN102574031A (zh) 具有多孔过滤介质的高速过滤装置及其反冲洗方法
US10640942B2 (en) Skimming and separation device
US9587651B2 (en) Valveless siphon decanter and methods of use
ES2258792T3 (es) Clarificador de flotacion por aire disuelto de tres zonas con rendimiento mejorado.
US4011162A (en) Pivotable fluid diverter for recirculation system
WO2014181583A1 (ja) 海水淡水化装置及びその方法
JP6381412B2 (ja) 海水淡水化装置及びその方法
KR101664356B1 (ko) 오폐수 처리를 위한 연속식 여과 장치 및 연속식 여과 방법
KR100298064B1 (ko) 용존공기부상식 수처리장치
CN108622997A (zh) 承压式净化装置
KR100955909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757205B1 (ko) 선회 상향류식 수처리 여과장치
KR102363445B1 (ko) 슬러지 분리형 폐수 저장조
JP2016059912A (ja) 沈殿池
US6428698B1 (en) Coagulation precipitator
KR101921655B1 (ko) 수위조절이 가능한 부유식 배출구와 선회접촉조를 이용한 원형 가압부상장치
GB2374297A (en) Dynamic sedimentation system
US11229861B2 (en) Sludge harvester improvements
GB1564785A (en) Transfer of fluidic material from seetling tanks
US1864866A (en) Water treating and storage apparatus
JP2003265905A (ja) 凝集沈殿装置
JP2002001011A (ja) 凝集沈殿処理装置
KR20130005504U (ko) 초고속 여과기능과 미세여재의 회수기능을 구비한 여과장치
JP2766881B2 (ja) 水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