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4707B1 - 상징수 수직이송식 오폐수 침전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상징수 수직이송식 오폐수 침전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4707B1
KR100824707B1 KR1020060095047A KR20060095047A KR100824707B1 KR 100824707 B1 KR100824707 B1 KR 100824707B1 KR 1020060095047 A KR1020060095047 A KR 1020060095047A KR 20060095047 A KR20060095047 A KR 20060095047A KR 100824707 B1 KR100824707 B1 KR 100824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ste
symbol
symbolic
waste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5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9237A (ko
Inventor
이훈구
임재경
백지경
김문국
김문일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095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4707B1/ko
Publication of KR20080029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9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4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4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44Discharge mechanisms for the classifie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1/04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 B01D21/06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with rotatin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징수 수직이송식 오폐수 침전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침전조 내부로 유입되는 오폐수에 의해 형성된 수면과 공기간에 발생하는 표면장력으로 미세하게 형성되는 상징수를 빨아올려 외부로 배출시키는 동시에 폐슬러지의 제거와 상징수의 배출이 일정한 속도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상징수 수직이송식 오폐수 침전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부에 경사면이 형성된 원통형의 침전조 내부로 폐슬러지를 제거하도록 회전축에 고정된 스크래퍼가 구비되는 오폐수 침전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로 유입된 오폐수의 상부측에 형성되는 상징수가 표면장력에 의해 수직으로 이송되어 취출되게 설치되는 상징수 취출수단과; 상기 침전조 내측으로 폐슬러지를 포함하는 오폐수가 유입되도록 구비되는 오폐수 유입부와; 상기 오폐수 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오폐수의 이송량을 조절하는 정량이송수단과; 하부로 침전된 폐슬러지를 배출하도록 상기 침전조의 경사면에 형성되는 폐슬러지 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표면장력에 의해 침전조 상단으로 분리된 상징수가 수직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침전조 상단에 설치되는 상징수 저장탱크 하부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취출관을 구비하고, 상기 침전조로 유입되는 오폐수의 유입량이 계산된 동력에 의해 조절되도록 정량이송수단이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수직으로 구비되는 상기 취출관에 의해서 수면에 얇게 형성되는 상징수를 표면장력으로 유출되게 하여 양질의 상징수을 얻는 동시에 상징수의 유출효율이 증대되는 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Figure R1020060095047
오폐수, 폐슬러지, 침전, 침전조, 웨어, 표면장력

Description

상징수 수직이송식 오폐수 침전처리 장치{Waste-water Sedimentation Processing Apparatus Having Vertical-feeding Decanter}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요부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취출관을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종래의 웨어가 장착된 침전처리 장치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침전조 11 : 스크레퍼
12 : 회전축 20 : 상징수 취출수단
21 : 취출관 22 : 상징수 저장탱크
23 : 상징수 배출관
30 : 오폐수 유입부 31 : 유입관
32 : 유입구 40 : 정량이송수단
41 : 정량펌프 50 : 폐슬러지 배출부
51 : 배출관 52 : 배출구
본 발명은 상징수 수직이송식 오폐수 침전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침전조 내부로 유입되는 오폐수에 의해 형성된 수면과 공기간에 발생하는 표면장력으로 미세하게 형성되는 상징수를 빨아올려 외부로 배출시키는 동시에 폐슬러지의 제거와 상징수의 배출이 일정한 속도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상징수 수직이송식 오폐수 침전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처리 과정은 수중의 오염된 물질을 미생물 또는 화학적인 산화, 환원반응에 의해서 안정화된 물질로 변화시키는 과정으로 폐수의 성상과 유기물, 영양물질을 다양한 방법으로 안정화시키는 기술이다.
상기와 같은 수처리 과정에서 상징수와 침전물의 분리는 처리과정이 복잡하거나 분리가 어려워 처리수질이 악화되는 경향이 있는데 폐수처리의 핵심은 충격식 또는 기계적 침전에 의해서 고형물과 상징수의 효과적인 분리를 중요하게 여기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수처리 과정은 일반적으로 펌프에 의해 상징수를 강제로 이송시키는 방법, 부상기구에 의한 상징수 분리방법, 싸이폰 원리에 의한 강제배출 방법이 개시되었고, 최근에는 유압에 의한 기계식으로 상하 유동 시키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펌프에 의해 상징수를 강제로 이송시키는 방법은 침전된 폐슬러지가 동시에 이송되거나 수면의 스컴(Scum; 부유물)이 동시에 배출되는 문제가 있으며, 부상기구에 의한 상징수 분리방법의 경우, 배출 배관 내에 포기과정에서 주입된 슬 러지가 동시에 배출되어 초기 배출수에 슬러지가 다량 포함되는 현상이 있었다.
또한, 싸이폰 원리에 의한 강제배출 방법은 고정된 지점에서 배출하므로 유입량이나 미생물의 상태에 따라서 다양하게 운전돼야 하는데 이에 대응하여 배출수량을 조절하는 것이 어려웠고, 유압에 의해 기계식으로 상하 유동하는 장치의 경우, 초기의 효율성은 높으나 비싼 제작비 및 가동시의 과다한 동력비가 문제되고 다양한 작동 메커니즘에 의해 작동되어 고장의 우려가 크고 유지보수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낮은 효율성과 고가이면서 대형 구조물 장치로 구성되어 적절한 효과를 유도하기 어려운 문제 때문에 종래에는 침전조의 내측에 웨어(weir)를 설치하여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고효율의 상징수 취출이 가능한 침전처리 장치가 개시되었으며, 웨어가 장착된 종래의 침전처리 장치를 도 5에 도시하여 이를 참고로 구성과 작동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도록 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에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에 회전축(120)과 연결되는 V자 형상의 스크래퍼(110)가 구비되는 원통형의 침전조(100)와, 상기 침전조(100)의 상부에 고정되어 오폐수를 유입시키는 원수관(130)과 연결되는 웨어(200)와, 상기 웨어(200)와 수평한 높이로 상기 침전조(100)의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웨어(200)의 상부로 형성되는 상징수가 취출되어 이송되는 상징수 배출부(300)와, 상기 침전조(100)의 하부에 구비되는 상기 스크래퍼(110)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경사면에 침전되어 고착된 폐슬러지를 이탈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는 상기 침전조 하부에 형성되는 배출구(400)로 구성된다
오폐수가 저장되어 중력에 의해 침전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기 침전조(100)에 상기 웨어(200)와 연결되는 상기 원수구(130)를 통해 오폐수를 유입시키면 상기 침전조(100) 상부로 분리된 밀도가 낮은 상징수와, 밀도가 높은 상기 오폐수가 밀도차에 의해서 상기 침전조(100)의 하부로 상기 오폐수가 이동된다.
이를 통하여 상기 상징수는 상기 침전조(100)와 웨어(200)의 상부로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웨어(200)는 이러한 상기 상징수와 오폐수의 밀도차에 의해서 발생되는 와류의 발생을 감소시켜 상기 와류로 인해 상기 상징수와 오폐수가 섞이지 않게 하며, 상기 침전조(100)와 웨어(200)의 상부로 분리된 상징수는 상기 상징수 배출부(300)로 낙하 되어 상기 침전조(100)의 외부로 상기 상징수를 배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침전조(100)의 하부에 침전되는 폐슬러지는 중력에 의해 상기 침전조 하부에 형성된 경사면으로 퇴적되게 되는데, 상기 스크래퍼(110)가 상기 회전축(12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경사면을 쓸어내면 상기 배출구(400)를 통하여 폐슬러지가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원통형의 웨어를 구비하는 경우 오폐수는 단순히 중력에 의한 침전이 이루어져 슬러지의 응축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슬러지의 침전효율이 낮아지게 되며, 상기 침전조의 중앙으로 원수가 편중되게 하강하여 침전조의 침강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와 상대적으로 가벼운 스컴이 상기 상징수의 표면으로 부상하여 상기 상징수 배출부로 함께 배출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에 따라, 한국등록특허 제378135호 ‘고효율 침전조’에는 상기 웨어의 구조를 하부 지름이 감소하는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하고 유입되는 원수가 수평으로 확산되도록 회전판을 상기 웨어의 하부와 이격되게 구비하여 침강이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등록특허 제620102호 ‘침전지의 부유물 제거장치’에는 상기 침전조의 상부에 상기 상징수의 수면과 평행하게 회전하는 부유물 제거수단을 구성하여 상기 상징수의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물이 제거되도록 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웨어로 원수가 유입되게 되면 밀도차에 의한 와류의 발생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게 되어 슬러지층의 불안정으로 유출되는 상징수의 수질이 좋지 않게 되며, 부분적으로 원수의 편중이 이루어져 슬러지층이 V자 형상으로 침강 되어 침강 효율 개선의 한계가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징수 배출시 낙하에 의해 공기가 유입되면서 상기 배출부에 조류가 발생하여 이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 및 운용비용의 발생이 초래되었으며, 부유물 제거로 인해 상징수층이 회전하게 되면서 불안정해져 슬러지층과 섞이게 되어 상징수의 수질이 악화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침전조 내부로 유입되는 오폐수에 의해 형성된 수면과 공기 사이에 발생하는 표면장력으로 미세하게 형성되는 상징수를 빨아올려 외부로 배출시키는 동시에 폐슬러지의 제거와 상징수의 배출이 일정한 속도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상징수 수직이송식 오폐수 침전처리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입되는 오폐수의 와류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 되면서 안정화된 상태를 유지하여 침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출되는 상징수의 표면에 부유물이 포함되어 배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에 경사면이 형성된 원통형의 침전조 내부로 폐슬러지를 제거하도록 회전축에 고정된 스크래퍼가 구비되는 오폐수 침전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로 유입된 오폐수의 상부측에 형성되는 상징수가 표면장력에 의해 수직으로 이송되어 취출되게 설치되는 상징수 취출수단과; 상기 침전조 내측으로 폐슬러지를 포함하는 오폐수가 유입되도록 구비되는 오폐수 유입부와; 상기 오폐수 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오폐수의 이송량을 조절하는 정량이송수단과; 하부로 침전된 폐슬러지를 배출하도록 상기 침전조의 경사면에 형성되는 폐슬러지 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징수 취출수단은 상기 침전조의 상부로 설치되어 수직으로 이송되는 상징수를 저장하는 상징수 저장탱크와,상기 상징수 저장탱크 하면과 수직으로 연통 되면서 상기 침전조 내측에 유입되는 오폐수의 수면과 접촉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취출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폐수 유입부는 상기 정량이송수단이 설치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이 상기 침전조와 연결되도록 상기 침전조에 형성되는 유입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정량이송수단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오폐수의 이송량을 조절하도록 상기 유입구 단부에 설치되는 정량펌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입구는 상기 침전조 하부의 경사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취출수 저장탱크는 외부로 상징수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측면과 연결되는 상징수 배출관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부에 경사면이 형성된 원통형의 침전조(10) 내부로 침강 되어 고착된 폐슬러지를 쓸어 제거하도록 회전축에 고정된 스크래퍼(11)가 구비되는 오폐수 침전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10)로 유입된 오폐수의 상부측으로 분리되는 상징수가 공기와의 표면장력에 의해 수직으로 이송되어 취출되게 설치되는 상징수 취출수단(20)과; 상기 침전조(10) 내측으로 폐슬러지를 포함하는 오폐수가 유입되도록 구비되는 오폐수 유입부(30)와; 상기 오폐수 유입부(30)를 통해 유입되는 오폐수의 이송량을 조절하는 정량이송수단(40)과; 하부로 침전된 폐슬러지를 배출하도록 상기 침전조(10)의 경사면에 형성되는 폐슬러지 배출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침전조(10)는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하부의 지름이 감소하는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개방된 하부에 상기 폐슬러지 배출부(50)가 연결되고 상기 오폐수를 유입하는 오폐수 유입부(30)가 일측에 연결되며, 유입된 오폐수를 저장한 채 침강시켜 상부측에는 상징수층이 분리되어 위치되게 하고 하부측에는 폐슬러지층이 분리되어 위치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침전조(10)의 경사면에는 상기 경사면과 대면 되도록 V자형태로 형성되는 스크래퍼(11)가 구비되는데, 상기 스크래퍼(11)는 상기 침전조(10)의 중심축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회전축(12)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12)의 회전에 따라 상기 침전조(10)의 경사면을 쓸게 되며, 그에 따라 상기 침전조의 경사면에 침강 되어 퇴적되어 있는 폐슬러지를 이탈시킴으로써 상기 폐슬러지가 상기 폐슬러지 배출부(50)를 통해 외부로의 배출이 용이하게 한다.
상기 상징수 취출수단(20)은 상기 침전조(10) 상부를 덮어 밀폐시키면서 유입되는 상징수를 저장하는 공간을 갖도록 형성된 상징수 저장탱크(22)와, 상기 상징수 저장탱크(22)의 하부와 연결되면서 상기 침전조(10)의 상징수층 수면과 접하는 다수의 취출관(21)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징수 저장탱크(22)가 상기 침전조(10)의 상부를 덮게 되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나 바람에 의해 수면이 출렁이는 것이 방지되게 되며, 그에 따라 외부로부터 상기 침전조(10) 내의 수면 상태가 고요하게 안정되게 되어 와류의 발생이 현저히 감소하게 된다.
상기 취출관(21)은 상기 상징수 저장탱크(22)와 연통 되는 것으로서, 상기 상징수 저장탱크(22)의 하면에 수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가는 관이며, 상기 취출관(21)은 다수가 상기 상징수 저장탱크(22)의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침전조(10)의 내측 상부로 삽입된다.
상기 취출관(21)은 상기 침전조(10)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상징수층과 접촉하면서 표면장력에 의해 상기 상징수층 상부의 얇게 형성되는 수면을 빨아올려 상기 상징수 저장탱크(22)로 유입시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오폐수가 상기 침전조(10)의 하부로부터 유입됨에 따라 자연적인 유체흐름이 상향류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상징수층은 상기 오폐수가 차오르면서 상기 취출관(21)에 접촉하게 되고, 상기 상징수층의 자연발생적인 표면장력에 의해 별도의 인위적인 장치나 동력의 필요없이 상기 취출관(21)으로 흡입되어 지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상징수 저장탱크(22)의 측면에는 상기 취출관(21)을 통해 유입되는 상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상징수 배출관(23)이 형성되며, 상기 상징수 배출관(23)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상기 상징수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폐수 유입부(30)는 유입관(31)과 유입구(32)로 구성되는데 상기 유입관(31)은 상기 침전조(10)의 외부에서 내부로 오폐수를 수송하는 관이며, 상기 유입구(32)는 상기 유입관(31)과 기밀한 상태로 연결되어 상기 유입관(31)으로 수송되는 오폐수가 상기 유입구(32)를 통과하여 상기 침전조(10)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침전조(10)에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입구(32)는 오폐수가 상기 침전조의 하부에서 유입되어 상부로 채워지도록 상기 침전조(10)의 경사면에 형성된다.
상기 정량이송수단(40)은 상기 유입관(31)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침전조(10) 내부로 유입되는 오폐수의 이송량을 조절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서는 특징적인 일 실시예로서 이송되는 오폐수를 정량적으로 이송시키고 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정량펌프(41)를 적용하였으며, 오폐수의 이송량을 조절할 수 있는 다른 수단을 적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량이송수단(40)은 상기 유입관(31)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오폐수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유입구(32)에 설치되는 것도 바람직하고 상기 유입관(31)의 양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작동되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폐슬러지 배출부(50)는 배출관(51)과 배출구(52)로 구성되며, 상기 배출관(51)은 상기 침전조(10)의 하부 중앙에 형성되는 배출구(52)와 연결되는 것으 로서, 상기 스크래퍼(11)의 회전에 의해 이탈되는 폐슬러지가 상기 배출구(52)를 통과해 상기 배출관(51)으로 유입되어 상기 침전조(10)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취출관을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취출관(21)은 상기 상징수 저장탱크(22)의 하면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하단부가 상기 침전조(10)의 상부로 분리되는 상징수층의 수면과 접촉하게 된다.
상기 상징수층에서도 수면에는 얇은 막을 이루는 양질의 상징수층이 형성되게 되는데 상기 취출관(21)이 수면과 접촉하면서 공기와 수면 간에 형성되는 표면장력에 의해 상기 상징수층의 수면은 상기 취출관(21)을 따라 상부로 이송되어 상기 상징수 저장탱크(22)에 저장되게 된다.
그리고. 유입관(31)에는 정량이송수단(40)이 설치되어 있어 상기 상징수가 상기 상징수 저장탱크(22)로 유입되는 유입량 및 배출구(52)를 통하여 배출되는 폐슬러지 배출량과 동일한 양의 오폐수가 상기 침전조(1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침전조(10)로 유입되는 오폐수는 상기 침전조(10)의 하부에서부터 유입이 이루어져 하부에서 상부로 채워지게 되는데, 이처럼 상부로 채워지면서 상기 오폐수의 폐슬러지는 중력에 의해 침강이 이루어져 상기 침전조(10)의 하부로 퇴적되게 된다.
이때, 오폐수가 상기 침전조(10)의 유입되면서 하부에서 상부로 차오르게 되면 오폐수의 유입으로 인한 와류의 발생이 방지 또는 현저하게 감소하게 되는 동시에 상기 폐슬러지가 침강 되면서 폐슬러지층도 하부에서 상부로 채워지게 되어 폐슬러지가 상기 침전조의 중심으로 편중되지 않고 수평으로 고르게 확산하게 되어 상기 폐슬러지층은 평판형으로 형성되게 된다.
즉, 상기 오폐수의 유입으로 인한 와류 발생의 방지 또는 감소와 더불어 편중되지 않는 상기 폐슬러지층의 형성으로 인하여 밀도차에 의해 상부로 분리되는 상징수층과 섞여 상징수가 불량해지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또한, 유입되는 상기 오폐수의 유입량 및 유입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상징수층의 수면은 안정화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취출관을 통한 상징수의 취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침전조(10)의 중심축을 관통하는 회전축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침전조의 경사면을 쓸어내도록 구비되는 스크래퍼에 의해서 퇴적된 상기 폐슬러지는 상기 경사면에서 이탈되어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안정화된 상태를 유지하는 상기 상징수층의 수면은 회전하는 상기 스크래퍼가 저속으로 운전되기 때문에 상기 스크래퍼의 회전에 의해 전달되는 영향이 미미하여 안정화된 상태를 지속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내부에 스크래퍼(11)가 구비되는 침전조(10)의 상부측에 다수의 취출관(21)이 하부면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상징수 저장탱크(22)를 설치하고, 상기 침전조 하부에 형성되는 경사면에 오폐수 유입부(30)를 형성하여 오폐수의 유입에 따른 와류의 발생이 감소되며, 수면의 상부가 밀폐됨에 따라 수면상태가 고요해져 안정화되어 지고, 폐슬러지층이 고르게 퍼져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지며, 상징수는 상기 취출관(21)을 통해 자연발생적인 표면장력과 오폐수 유입에 따른 상향류의 발생으로 수직이송되어 양질의 상징수를 얻는 동시에 상징수를 얻는 과정에서 와류의 발생이 감소 및 차단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오폐수 유입부(30)를 구성하는 유입관(31)에 오폐수를 정량으로 이송시키도록 작동되는 정량이송수단(40)을 구비하여 상징수가 취출되는 양에 비례하여 오폐수가 유입되게 함으로써 오폐수 침전처리 장치를 통한 상징수 유출이 원활하고 지속적인 효율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표면장력에 의해 침전조 상단으로 분리된 상징수가 수직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침전조 상단에 설치되는 상징수 저장탱크 하부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취출관을 구비하고, 상기 침전조로 유입되는 오폐수의 유입량이 계산된 동력에 의해 조절되도록 정량이송수단이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수직으로 구비되는 상기 취출관에 의해서 수면에 얇게 형성되는 상징수를 표면장력으로 유출되게 하여 양질의 상징수을 얻는 동시에 상징수의 유출효율이 증대되는 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입되는 오폐수의 와류 발생방지와 안정된 상태로 폐슬러지의 침강이 이루어지도록 오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상기 침전조의 하부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오폐수가 침전조의 하부에서부터 채워지면서 일정한 상승속도를 유지하여 폐슬러지층이 균일하게 형성되어 유입에 따른 와류의 발생이 감소하게 되고, 유입되는 오폐수가 안정된 상태에서 슬러지가 수평으로 고르게 확산하면서 원판형태로의 침강이 폐슬러지층에서 이루어져 침강 효율의 개선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출되는 상징수의 표면에 상징수의 부유물이 포함되어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징수 저장탱크의 측면에 상징수 배출관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부유물은 취출관을 통해 수직이송되는 상징수의 수면으로 떠오르게 되는 반면 상기 상징수 배출관을 통해 상기 상징수의 수면 하부의 상징수만이 배출되게 되어 양질의 상징수 배출이 용이해지는 동시에 상징수의 배출과정에서 낙하가 이루어지지 않아, 그에 따른 공기의 유입이 차단되게 되어 조류의 발생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6)

  1. 하부에 경사면이 형성된 원통형의 침전조(10) 내부로 폐슬러지를 제거하도록 회전축에 고정된 스크래퍼(11)가 구비되는 오폐수 침전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10)로 유입된 오폐수의 상부측에 형성되는 상징수가 표면장력에 의해 수직으로 이송되어 취출되게 설치되는 상징수 취출수단(20)과;
    상기 침전조(10) 내측으로 폐슬러지를 포함하는 오폐수가 유입되도록 구비되는 오폐수 유입부(30)와;
    상기 오폐수 유입부(30)를 통해 유입되는 오폐수의 이송량을 조절하는 정량이송수단(40)과;
    하부로 침전된 폐슬러지를 배출하도록 상기 침전조(10)의 경사면에 형성되는 폐슬러지 배출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징수 수직이송식 오폐수 침전처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징수 취출수단(20)은,
    상기 침전조(10)의 상부로 설치되어 수직으로 이송되는 상징수를 저장하는 상징수 저장탱크(22)와,
    상기 상징수 저장탱크(22) 하면과 수직으로 연통 되면서 상기 침전조(10) 내측에 유입되는 오폐수의 수면과 접촉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취출관(2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징수 수직이송식 오폐수 침전처리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오폐수 유입부(30)는,
    상기 정량이송수단(40)이 일측에 설치되는 유입관(31)과,
    상기 유입관(31)이 상기 침전조(10)와 연결되도록 상기 침전조(10)에 형성되는 유입구(3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징수 수직이송식 오폐수 침전처리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이송수단(40)은,
    상기 유입구(32)로 유입되는 오폐수의 이송량을 조절하도록 상기 유입구(32) 단부에 설치되는 정량펌프(4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징수 수직이송식 오폐수 침전처리 장치.
  5. 제 3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32)는,
    상기 침전조(10) 하부의 경사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징수 수직이송식 오폐수 침전처리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징수 저장탱크(22)는,
    외부로 상징수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측면과 연결되는 상징수 배출관(23)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침전처리 장치.
KR1020060095047A 2006-09-28 2006-09-28 상징수 수직이송식 오폐수 침전처리 장치 KR100824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5047A KR100824707B1 (ko) 2006-09-28 2006-09-28 상징수 수직이송식 오폐수 침전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5047A KR100824707B1 (ko) 2006-09-28 2006-09-28 상징수 수직이송식 오폐수 침전처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9237A KR20080029237A (ko) 2008-04-03
KR100824707B1 true KR100824707B1 (ko) 2008-04-24

Family

ID=39531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5047A KR100824707B1 (ko) 2006-09-28 2006-09-28 상징수 수직이송식 오폐수 침전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47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34350B (zh) * 2016-08-11 2018-11-13 贵州开磷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连续分离湿法磷酸固含量的沉降槽
CN109011727A (zh) * 2018-07-20 2018-12-18 惠州市第五污水处理有限公司 一种污水处理用周边传动吸刮泥机
KR102363445B1 (ko) * 2019-11-13 2022-02-16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슬러지 분리형 폐수 저장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37732U (ko) 1976-09-07 1978-04-03
JPH0824884A (ja) * 1994-07-20 1996-01-30 Esutemu:Kk 回分式処理槽における上澄水引抜装置
KR20050097190A (ko) * 2004-03-31 2005-10-07 (주)에코데이 고형물과 액상물질로 층분리된 오폐수로부터 액상물질을효과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37732U (ko) 1976-09-07 1978-04-03
JPH0824884A (ja) * 1994-07-20 1996-01-30 Esutemu:Kk 回分式処理槽における上澄水引抜装置
KR20050097190A (ko) * 2004-03-31 2005-10-07 (주)에코데이 고형물과 액상물질로 층분리된 오폐수로부터 액상물질을효과적으로 배출하기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9237A (ko) 2008-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36731B (zh) 自行凝集功能的长方形沉淀系统
KR100824707B1 (ko) 상징수 수직이송식 오폐수 침전처리 장치
CN101391824A (zh) 油田采出污水聚结浮沉处理装置
KR100955098B1 (ko) 초기우수의 인 제거용 처리장치
JP2016059912A (ja) 沈殿池
JP7423414B2 (ja) 担体分離装置、担体分離装置の運転方法、多段担体分離装置、および嫌気性処理装置
KR101053995B1 (ko) 유수분리기
KR100777132B1 (ko) 비중 분리 고속 침전조
US6921489B2 (en) Aerated grit chamber and method
KR100533523B1 (ko) 스컴 제거용 버퍼를 구비한 침전조
GB2374297A (en) Dynamic sedimentation system
KR100826971B1 (ko) 원수 정수장치
ES2962456T3 (es) Instalación para el tratamiento del agua por floculación lastrada y decantación integradas, y procedimiento correspondiente
KR20050009976A (ko) 응집 침전방법 및 장치
KR20030059010A (ko) 침사분리기
JP2012066233A (ja) 水槽内沈殿物の排除装置
KR101921637B1 (ko) 혐기소화조의 스컴 및 부유물질 제거장치
JP4758743B2 (ja) 液中の固形分分離除去装置
CN106396301A (zh) 一种油田污水站加微生物处理装置
CN210394103U (zh) 一种小型河湖疏浚及淤泥处理设备
KR102318251B1 (ko) 축산폐수 처리시설의 침전여과장치
KR100545746B1 (ko) 슬러지의 침전효율과 수처리효율이 우수한 개선된 구조의침전조
KR100986634B1 (ko) 오폐수 전처리장치
CN206308224U (zh) 一种油田污水站加微生物处理装置
KR200371017Y1 (ko) 오폐수 처리용 가압부상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