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3442B1 - 안경 케이스 - Google Patents

안경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3442B1
KR102363442B1 KR1020210107477A KR20210107477A KR102363442B1 KR 102363442 B1 KR102363442 B1 KR 102363442B1 KR 1020210107477 A KR1020210107477 A KR 1020210107477A KR 20210107477 A KR20210107477 A KR 20210107477A KR 102363442 B1 KR102363442 B1 KR 102363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achable
fixing
coupled
bel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7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문
Original Assignee
김태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문 filed Critical 김태문
Priority to KR1020210107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34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3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3442B1/ko
Priority to US17/819,596 priority patent/US1164782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02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 A45F5/021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to the bel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04Spectacle cases; Pince-nez ca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76Arrangement of fasteners with a snap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6Reinforcements for edges, corners, or other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18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7/0054Rigid or semi-rigid luggage comprising a plurality of hinged panels to be unfolded in one plane for access purpose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착용자의 벨트에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며 벨트와의 지지면적과 착용구조를 개선하여 본체부가 벨트로부터 쉽게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고, 본체부가 벨트에 안정된 착용상태를 유지하며 수납공간에 보관되는 안경 또는 수납 물품들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는 안경 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 케이스는 일측이 개구부를 갖고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수납공간의 일측에 결합되어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부가 구비된 본체부, 본체부의 외부 후면에서 미리 설정된 고정위치에 일측이 적어도 일부가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와 타측이 개폐구조로 본체부에 결합되는 착탈부를 갖고 본체부와의 결합으로 벨트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공간을 형성하는 고정 걸림부를 포함하며, 고정 걸림부는 벨트와 접하는 지지부분이 상광하협 또는 하광상협의 형상을 갖고 적어도 착탈부가 복수로 구비되어 복수의 지지공간을 형성한다.

Description

안경 케이스{GLASSES CASE}
본 발명은 사용자의 허리 벨트에 착용하는 안경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 케이스는 안경 또는 선글라스 등을 안전하게 보관하기 위한 것이다. 안경 케이스는 재질에 따라 여러 종류의 형태로 형성되며, 안경 또는 선글라스를 보관하기 위해 해당되는 크기에 대응하도록 제작되어 시판되고 있다.
최근에는 안경 케이스의 도난 내지 분실 등을 방지하도록 안경 케이스를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는 벨트 착용형 안경 케이스가 이용되고 있다. 벨트 착용형 안경 케이스는 고정형과 착탈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형은 벨트 착용 고리가 안경 케이스의 일면에 고정된 상태로 형성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착탈형은 벨크로 테이프 방식 또는 스냅버튼에 의해 착용자의 벨트에 착탈 가능하게 착용되는 구조이다. 그런데, 종래의 안경 케이스는 벨트와 접하며 고정되는 부분이 제한적이며, 견고한 지지가 어려워 안정된 착용의 유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관련 선행문헌으로, 한국등록실용 제476,816호는 "여권용 지갑"을 개시한다. 그런데, 한국등록실용 제476,816호는 착용자의 바지 외측에 결합유닛이 외부 노출되는 구조로 결합됨으로 인해 결합유닛이 용이하게 해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결합유닛과 벨트고리가 서로 간섭되어 결합유닛이 벨트에 지지된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재와 결합유닛이 폭이 좁은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벨트고리와의 간섭 또는 외력에 의해 고정부재와 결합유닛의 형상이 쉽게 변형되거나 말려지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한국등록실용 제476,816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착용자의 벨트에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며 벨트와의 지지면적과 착용구조를 개선하여 본체부가 벨트로부터 쉽게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고, 본체부가 벨트에 안정된 착용상태를 유지하며 수납공간에 보관되는 안경 또는 수납 물품들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는 안경 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 케이스는 일측이 개구부를 갖고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수납공간의 일측에 결합되어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부가 구비된 본체부, 본체부의 외부 후면에서 미리 설정된 고정위치에 일측이 적어도 일부가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와 타측이 개폐구조로 본체부에 결합되는 착탈부를 갖고 본체부와의 결합으로 벨트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공간을 형성하는 고정 걸림부를 포함하며, 고정 걸림부는 벨트와 접하는 지지부분이 상광하협 또는 하광상협의 형상을 갖고 적어도 착탈부가 복수로 구비되어 복수의 지지공간을 형성한다.
고정부와 착탈부는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는 본체부의 외부에서 미리 설정된 제1 고정위치에 결합되는 제1 고정부, 그리고 본체부의 외부에서 제1 고정부의 제1 고정위치에 대응하는 제2 고정위치에 결합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와 제2 고정부는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는 적어도 테두리 부분이 본체부에 재봉처리로 결합될 수 있다.
착탈부는 상광하협 또는 하광상협의 스트랩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착탈부는 테두리면에 구비되어 착탈부의 형상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부는 지그재그 형태의 스티치로 재봉처리되는 재봉 보강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착탈부는 제1 고정부와 연결되며, 미리 설정된 길이를 갖고 제1 착탈위치에 결합되는 제1 착탈부, 그리고 제2 고정부와 연결되며, 미리 설정된 길이를 갖고 제1 착탈부의 제1 착탈위치에 대응하는 제2 착탈위치에 결합되는 제2 착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와 착탈부는 메일버튼(male button)과 피메일버튼(female button)을 포함하는 버튼 결합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와 개폐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안경 케이스를 착용자의 벨트에 용이하고 안정되게 착탈 가능하도록 본체부와 벨트의 결합관계에서 지지면적과 착용구조를 개선하여 본체부가 벨트에 결합된 상태에서 본체부의 흔들림을 최소화함으로써 안정된 착용상태를 유지하며, 본체부 내부에 수납되는 안경 또는 수납물품들의 보관을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안경 케이스가 벨트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걸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고정부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고정 걸림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안경 케이스의 고정 걸림부와 본체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걸림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고정 걸림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걸림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걸림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안경 케이스가 벨트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걸림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3에서 고정부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 케이스(100)는 본체부(10), 고정 걸림부(110)를 포함하며 고정 걸림부(110)가 착탈 루프 형태로 형성되어 착용자의 허리에 착용되는 벨트(200)에 견고하고 용이하게 착탈되도록 벨트(200) 착용형 안경 케이스(100)로 구현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벨트(200)에 고정 걸림부(110)가 끼워진 상태로 결합 가능하고 본체부(10)의 내부에는 해당되는 안경 또는 선글라스 등의 물품이 수납될 수 있다.
본체부(10)는 일측이 개구부를 갖고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수납공간의 일측에 결합되어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부(12)가 구비된다. 본체부(10)는 직물, 편물 등과 같은 섬유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10)는 가죽, 인조가죽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0)의 내부에는 안경 또는 선글라스 등이 수납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된다. 본체부(10)와 개폐부(1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0)와 개폐부(12)는 피메일버튼(female button)과 메일버튼(male button)을 포함하는 버튼 결합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 결합구조는 스냅 버튼(12a, snap button)을 포함할 수 있다. 개폐부(12)는 필요에 따라 지퍼 등과 같이 본체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본체부(10)의 수납공간을 상단에서 간편하게 개폐할 수도 있다.
고정 걸림부(110)는 본체부(10)의 후면(14)에 구비되어 본체부(10)를 벨트(200)에 일부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고정 걸림부(110)의 재질은 섬유재질, 가죽류, 또는 유연성이 있는 합성수지 등과 같이 유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걸림부(110)의 재질적 특징을 통해 고정부(112)와 착탈부는 접힘 내지 펼침 등이 자유롭게 유지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바지 또는 치마를 포함한 하의에서 허리부에는 벨트(200)가 끼워지는 복수의 벨트고리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벨트고리에 끼워진 벨트(200)에는 고정 걸림부(110)를 매개로 본체부(10)가 고정될 수 있다.
고정 걸림부(110)는 본체부(10)의 외부 후면(14)에서 미리 설정된 고정위치에 일측이 적어도 일부가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112)와 타측이 개폐구조로 본체부(10)에 결합되는 착탈부를 갖고 본체부(10)와의 결합으로 벨트(200)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공간을 형성한다. 고정부(112)와 착탈부는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고정 걸림부(110)는 벨트(200)와 접하는 지지부분이 상광하협 또는 하광상협의 형상을 갖고 적어도 착탈부가 복수로 구비되어 복수의 지지공간을 형성한다. 즉, 고정부(112)의 넓이는 착탈부의 넓이보다 더 넓게 형성되어 본체부(10)에 고정 결합됨에 따라 본체부(10)가 벨트(2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본체부(10)의 흔들림을 최소화함으로써 보다 안정된 상태로 착탈부의 착탈 결합을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착탈부는 상부의 폭 보다 하부의 폭을 좁게 형성함으로써 착탈시 벨트(200)와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보다 용이하고 안전하게 착탈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고정부(112)가 본체부(10)의 상측에서 넓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착탈부가 고정부(112)보다 좁게 형성되어 고정부(112)의 하향 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벨트(200)를 감싸며 본체부(1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착탈부의 착탈 동작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착탈부가 본체부(10)에 일부 불완전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더라도 고정부(112)가 넓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착탈부의 비틀림 현상을 방지하며 착탈부가 고정부(112)에 결합된 형상을 비교적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착탈부가 고정부(112)에 결합된 형상을 계속 유지할 수 있으며 벨트(200)를 감싸는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착탈부의 안정된 형상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벨트(200)로부터 본체부(10)가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착탈부가 일반적인 스트랩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착탈부의 형상이 쉽게 변형되거나 작은 외력에도 쉽게 말려지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착탈부와 벨트고리가 서로 간섭되어 착탈부가 벨트(200)에 지지된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고정 걸림부(110)의 수량은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고정 걸림부(110)가 복수로 구비될 경우에는 고정부(112)와 착탈부는 본체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고정부(112)와 착탈부들은 하의에 구비된 벨트고리들과 간섭되지 않는 적절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112)는 본체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12)는 적어도 테두리 부분이 본체부(10)에 재봉처리(114)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고정부(112)는 본체부(10)와 접하는 면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할 수 있다. 고정부(112)는 적어도 상부 일부분이 재봉처리 또는 접착제 등을 통해 본체부(10)의 후면(14)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즉, 고정부(112)는 접착제 사용과 재봉처리를 겸용하여 본체부(10)와 더 견고한 결합을 유지할 수도 있다. 고정부(112)는 본체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스트랩(strap)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12)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정부(112)의 높이방향 길이(d)는 착탈부의 상부에서 높이방향 길이와 적어도 같거나 길게 구비될 수 있다.
본체부(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고정부(112)의 전체 길이는 착탈부의 전체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고정부(112)의 고정부분을 넓게 확대시킬 수 있다. 즉, 고정부(112)가 착탈부보다 더 길게 구비되어 본체부(1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112)의 상단에 착탈부의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하향으로 굴곡되는 결합구조로 연결됨에 따라 고정부(112)와 착탈부의 굴곡으로 본체부(10)로부터 착탈부가 이격된 간격이 형성되어 벨트(200)가 삽입되는 지지공간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112)의 상단은 고정부(112)가 본체부(10)에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된 단부를 말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12)와 착탈부가 연결되어 펼쳐진 상태에서는 고정부(112)의 하측이 착탈부의 일측에 바로 이어서 연결될 수 있다. 도 4에서 보여지는 고정부(112)의 면은 도 1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 본체부(10)에 결합시 접혀진 상태에서 본체부(10)와 접하는 면이 된다. 이러한 고정부(112)와 착탈부의 결합구조를 통해 고정부(112)가 본체부(10)에 고정 결합된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착탈부의 착탈 동작을 보다 견고하고 유연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112)의 상단에 착탈부의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하향으로 굴곡되는 결합구조로 연결됨에 따라 고정부(112)와 착탈부의 굴곡된 부분이 벨트(200)에 지지되는 기능을 하며, 본체부(10)로부터 착탈부가 이격되는 시작부분이 더 길고 넓게 형성되어 벨트(200)가 삽입되는 지지공간을 더 넓게 확보할 수 있다.
착탈부는 상광하협의 경사진 스트랩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착탈부는 본체부(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한 아래 방향으로 길게 구비되며, 일단이 고정부(112)에 고정되고 타단이 자유롭게 착탈되는 결합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착탈부는 상광하협의 경사진 스트랩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착탈부와 벨트고리에 간섭됨을 최소화하며 착탈부가 벨트(200)에 지지된 상태를 견고하고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착탈부는 테두리면에 구비되어 착탈부의 형상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부(1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강부(126)는 지그재그 형태의 스티치(stitch)로 재봉처리되는 재봉 보강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재봉 보강구조는 지그재그(Zig Zag) 소잉 머신(sewing machine)을 사용하여 바느질을 직선으로만 박음질하는 것이 아니라, 직선과 지그재그 방향으로 병행하면서 박음질하여 착탈부의 구조를 견고하게 보강할 수 있다. 착탈부의 테두리부에 스티칭의 재봉처리를 구현하여 착탈부를 더 견고하게 유지하며, 착탈부의 스트랩 형상이 꼬임(twist)을 방지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보강부(126)는 착탈부의 테두리 방향을 따라 보강용 와이어가 설치되는 와이어 보강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착탈부는 고정부(112)와는 달리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착탈부는 일측이 고정부(112)에 연결되고, 타측이 본체부(10)에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112)가 본체부(10)의 후면(14)에 고정되며 착탈부와 지지공간을 형성한 상태에서 벨트(200)가 지지공간에 위치되면 착탈부가 벨트(200)의 외면을 감싼 형태에서 단부에 구비된 착탈부재에 의해 착탈부가 본체부(10)와 결합됨으로써 본체부(10)를 벨트(200) 측에 착용되어 고정된 상태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다.
착탈부는 고정부(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에 연결되며, 미리 설정된 길이를 갖고 제1 착탈위치에 결합되는 제1 착탈부(120), 그리고 고정부(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타측에 연결되며, 미리 설정된 길이를 갖고 제1 착탈부(120)의 제1 착탈위치에 대응하는 제2 착탈위치에 결합되는 제2 착탈부(120a)를 포함할 수 있다. 착탈부재는 제1 착탈부(120)와 제2 착탈부(120a)의 단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착탈부재와 대응하는 본체부(10)의 위치에도 착탈부재와 대응하는 착탈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탈부재는 피메일버튼(122, female button)과 메일버튼(124, male button)을 포함하는 버튼 결합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버튼 결합구조는 착탈부의 단부에 구비된 착탈부재와 본체부(10)에 상호 대응되게 설치된 메일버튼과 피메일버튼을 포함한 스냅버튼(snap button)을 포함할 수 있다. 착탈부재를 스냅버튼으로 형성함으로써 용이하게 착탈부와 본체부(10)의 결합관계를 착탈시킬 수 있다. 한편, 착탈부재는 벨크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착탈부재는 자석결합구조, 버클 결합구조 등과 같이 다양한 결합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탈부재는 벨크로(Velcro)를 구비할 수 있다. 벨크로는 일측에 꺼끌꺼끌하게 형성된 제1 결합부를 구비하고 타측은 부드럽게 형성된 제2 결합부를 구비하여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를 서로 붙이거나 떨어지게 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 케이스(100)를 벨트(200)에 착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안경이 본체부(10)에 수납된 상태를 가정한다. 그리고 본체부(10)의 후면(14)에서 고정 걸림부(110)의 고정부(112)가 안정되게 고정 결합되고, 고정부(112)의 일측에서 착탈부가 본체부(10)에 결합되어 벨트(200)가 삽입 가능하도록 지지공간을 형성하는 상태를 가정한다. 본체부(10)의 후면(14)에서 착탈부와 본체부(10)의 결합상태를 해제시킨다. 벨트(200)를 지지공간에 위치시킨 후 착탈부를 본체부(10)와 결합상태로 유지시킨다. 이와 같이 착탈부의 지지공간에 벨트(200)를 위치시키고 착탈부의 착탈부재를 본체부(10)에 결합시킴으로써 본체부(10)는 벨트(200)에 안전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5는 고정 걸림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고정부(112a)는 적어도 테두리 부분의 상측과 측부가 본체부(10)에 재봉처리로 결합될 수 있다. 고정부(112a)는 본체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스트랩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12a)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정부(112a)의 높이방향 길이(d1)는 도 4의 높이방향 길이(d)와 적어도 같게 구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고정부(112a)의 하단에 착탈부의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하향으로 연결되는 결합구조로 연결됨에 따라 고정부(112a)와 착탈부의 굴곡으로 본체부(10)로부터 착탈부가 이격된 간격이 형성되어 벨트(200)가 삽입되는 지지공간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112a)의 하단은 고정부와 착탈부가 연결되는 부분을 말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12a)와 착탈부가 연결되어 펼쳐진 상태에서는 고정부(112a)의 하측이 착탈부의 일측에 바로 연결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12a)의 면은 실제 본체부(10)에 결합시 외부로 노출되는 면이 된다. 이러한 고정부(112a)와 착탈부의 결합구조를 통해 고정부(112a)를 본체부(10)에 보다 빠르게 고정 결합시킬 수 있으며, 고정부(112a)와 착탈부의 공유 연결부분을 자유롭게 유지함으로써 착탈부의 착탈 동작을 보다 유연하게 지지할 수 있다.
한편, 고정부는 본체부(10)의 내부와 외부에서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는 본체부(10)의 내부에서 미리 설정된 제1 고정위치에 결합되는 내측 고정부재, 그리고 본체부(10)의 외부에서 내측 고정부재의 제1 고정위치에 대응하는 제2 고정위치에 결합되는 외측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는 본체부(10)에 자석결합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는 본체부(10)에 박음질 결합으로 고정될 수도 있다. 그리고 고정부는 본체부(10)에 자석결합과 박음질 결합을 병행하여 고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의 테두리부는 본체부(10)와 박음질 결합으로 1차 고정되고, 고정부의 테두리부 내측부분은 본체부(10)와 자석결합으로 2차 고정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고정 걸림부(110)의 일측에 버튼 결합구조가 구비되어 복수의 착탈부를 본체부(10)의 후면(14)에 결합한다. 즉, 고정 걸림부(110)는 본체부(10)의 후면(14)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고정부와 고정부의 양측에 구비되어 본체부(10)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2개의 착탈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2개의 착탈부는 고정부를 통해 적어도 일측이 서로 연결되어 본체부(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2개의 착탈부는 서로 독립적으로 분리 이격되어 본체부(1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 케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안경 케이스의 고정 걸림부와 본체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걸림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고정 걸림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 케이스는 고정 걸림부의 형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 케이스와 차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 케이스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 케이스와 중복되는 내용의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고정 걸림부를 형성하는 2개의 고정부와 2개의 착탈부는 서로 독립적으로 분리 이격되어 본체부(1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2개의 고정부와 2개의 착탈부는 각각 서로 대응하는 고정부와 착탈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고정부는 본체부(10)의 외부에서 미리 설정된 제1 고정위치에 결합되는 제1 고정부(1120), 그리고 본체부(10)의 외부에서 제1 고정부(1120)의 제1 고정위치에 대응하는 제2 고정위치에 결합되는 제2 고정부(1120a)를 포함할 수 있다. 착탈부는 제1 고정부(1120)와 연결되며, 미리 설정된 길이를 갖고 제1 착탈위치에 결합되는 제1 착탈부(1200), 그리고 제2 고정부(1120a)와 연결되며, 미리 설정된 길이를 갖고 제1 착탈부(1200)의 제1 착탈위치에 대응하는 제2 착탈위치에 결합되는 제2 착탈부(120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1120)와 제2 고정부(1120a)는 각각 결합되는 제1 착탈부(1200)와 제2 착탈부(1200a)의 폭보다 더 넓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고정부(1120)와 제2 고정부(1120a)는 필요에 따라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착탈부는 테두리면에 구비되어 착탈부의 형상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부(1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착탈부재는 제1 착탈부(1200)와 제2 착탈부(1200a)의 단부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착탈부재는 피메일버튼(1220)과 메일버튼(1240)을 포함하는 버튼 결합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고정부는 적어도 테두리 부분의 상측과 측부가 본체부(10)에 재봉처리(1140)로 결합될 수 있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고정부는 본체부(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스트랩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8에서 고정부(1120, 1120a)의 높이방향 길이(d2)는 도 9에서 고정부(1122, 1122a)의 높이방향 길이(d3)와 적어도 같게 구비될 수 있다.
안경 케이스의 폭과 높이가 좁거나 굴곡이 있는 경우에도, 안경 케이스를 세로로 세워서 사용할 경우 2개의 착탈부가 각각 독립된 형태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고정부는 본체부(10)의 외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 일측의 제1 고정위치에 결합되는 제1 고정부, 그리고 본체부(10)의 외부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 타측의 제2 고정위치에 결합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착탈부는 제1 고정부와 연결되며, 미리 설정된 길이를 갖고 제1 착탈위치에 결합되는 제1 착탈부, 그리고 제2 고정부와 연결되며, 미리 설정된 길이를 갖고 제2 착탈위치에 결합되는 제2 착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착탈위치와 제2 착탈위치는 본체부(10)의 세로방향을 따라 중간부분 또는 중간부분에서 상측으로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착탈위치와 제2 착탈위치가 본체부(10)의 세로방향을 따라 중간부분 보다 상측에 위치됨에 따라 착탈부가 벨트고리에 간섭됨을 최소화하며 착탈부가 벨트(200)에 지지된 상태를 견고하고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고정 걸림부는 벨트(200)와 접하는 지지부분이 하광상협의 형상을 갖고 적어도 착탈부가 복수로 구비되어 복수의 지지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착탈부는 하광상협의 경사진 스트랩 형상으로 하부가 고정부를 통해 본체부(10)에 고정 지지되며, 상부가 착탈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고정부가 본체부에 고정되는 위치가 본체부(10)의 하부로 배치되고, 착탈부가 본체부에 결합되는 위치는 본체부(10)의 상부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고정부의 넓이는 착탈부의 넓이보다 더 넓게 형성되어 본체부(1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가 본체부(10)에 안정되게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착탈부의 착탈 동작을 보다 견고하고 유연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 걸림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 걸림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경 케이스에서 착탈부(120-1, 120a-1)가 하광상협의 구조로 본체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경 케이스에서 착탈부(1200-1, 1200a-1)가 하광상협의 구조로 본체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착탈부는 하부의 폭 보다 상부의 폭을 좁게 형성함으로써 착탈시 벨트(200)와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착탈부의 상부를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안전하고 신속하게 착탈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고정부가 본체부(10)의 하측에서 넓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착탈부가 고정부보다 좁게 형성되어 고정부의 상향 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벨트(200)를 감싸며 본체부(1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착탈부의 착탈 동작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안경 케이스 뿐만 아니라 휴대폰 케이스, 골프 거리 측정기 또는 골프 공을 보관하는 케이스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것도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 본체부 12 ; 개폐부
12a ; 스냅버튼 14 ; 후면
100 ; 안경 케이스 110 ; 고정 걸림부
112 ; 고정부 114 ; 재봉처리
120 ; 제1 착탈부 120a ; 제2 착탈부
122 ; 피메일버튼 124 ; 메일버튼
126 ; 보강부 200 ; 벨트
1120 ; 제1 고정부 1120a ; 제2 고정부
1140 ; 재봉처리

Claims (10)

  1. 일측이 개구부를 갖고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수납공간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부가 구비된 본체부, 그리고
    상기 본체부의 외부 후면에서 미리 설정된 고정위치에 일측이 적어도 일부가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와 타측이 개폐구조로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는 착탈부를 갖고 상기 본체부와의 결합으로 벨트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공간을 형성하는 고정 걸림부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걸림부는
    상기 벨트와 접하는 지지부분이 상광하협 또는 하광상협의 형상을 갖고 적어도 상기 착탈부가 복수로 구비되어 복수의 지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부에 고정 결합되는 상기 고정부의 넓이는 상기 착탈부의 넓이보다 더 넓게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가 상기 벨트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의 흔들림을 방지하며 상기 착탈부의 착탈 결합을 지지하는 안경 케이스.
  2. 제1항에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부에서 미리 설정된 제1 고정위치에 결합되는 제1 고정부, 그리고
    상기 본체부의 외부에서 상기 제1 고정부의 상기 제1 고정위치에 대응하는 제2 고정위치에 결합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는 안경 케이스.
  3. 제2항에서,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2 고정부는 일체로 구비되는 안경 케이스.
  4. 제2항에서,
    상기 착탈부는
    상기 제1 고정부와 연결되며, 미리 설정된 길이를 갖고 제1 착탈위치에 결합되는 제1 착탈부, 그리고
    상기 제2 고정부와 연결되며, 미리 설정된 길이를 갖고 상기 제1 착탈부의 상기 제1 착탈위치에 대응하는 제2 착탈위치에 결합되는 제2 착탈부를 포함하는 안경 케이스.
  5. 제4항에서,
    상기 착탈부는 테두리면에 구비되어 상기 착탈부의 형상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안경 케이스.
  6. 제5항에서,
    상기 보강부는 지그재그 형태의 스티치로 재봉처리되는 재봉 보강구조를 포함하는 안경 케이스.
  7. 제1항에서,
    상기 고정부는 적어도 테두리 부분이 상기 본체부에 재봉처리로 결합되는 안경 케이스.
  8. 제1항에서,
    상기 착탈부는 상광하협 또는 하광상협의 스트랩 형상으로 형성되는 안경 케이스.
  9. 제1항에서,
    상기 고정부와 상기 착탈부는 일체로 구비되는 안경 케이스.
  10. 제1항에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착탈부는 메일 버튼(male button)과 피메일 버튼(female button)을 포함하는 버튼 결합구조를 포함하는 안경 케이스.
KR1020210107477A 2021-08-13 2021-08-13 안경 케이스 KR102363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477A KR102363442B1 (ko) 2021-08-13 2021-08-13 안경 케이스
US17/819,596 US11647829B2 (en) 2021-08-13 2022-08-12 Carrying case with partially-detachable trapezoidally elongated belt loop por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477A KR102363442B1 (ko) 2021-08-13 2021-08-13 안경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3442B1 true KR102363442B1 (ko) 2022-02-14

Family

ID=80254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7477A KR102363442B1 (ko) 2021-08-13 2021-08-13 안경 케이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647829B2 (ko)
KR (1) KR1023634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47829B2 (en) 2021-08-13 2023-05-16 Tae Moon Kim Carrying case with partially-detachable trapezoidally elongated belt loop por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1676U (ko) * 1994-06-20 1996-01-19 칠성정밀 주식회사 철도차량용 리프팅잭 이동장치
JP2002272525A (ja) * 2001-03-16 2002-09-24 Iwatsu Electric Co Ltd 携帯機器のベルトハンガ
KR100476816B1 (ko) 1997-06-10 2005-03-17 크리 마이크로웨이브 인크. 트랜치 소스 콘택트를 갖는 측방 확산 mos 트랜지스터
KR20150001252U (ko) * 2013-09-17 2015-03-25 우성민 여권용 지갑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49293A (en) * 1935-10-04 1936-07-28 Clyde W Fink Pistol holster
US3212690A (en) * 1964-01-31 1965-10-19 James B Green Utility belt
US3583612A (en) * 1969-01-03 1971-06-08 Seventrees Ltd Inside the pants holster
US3938716A (en) * 1974-09-18 1976-02-17 Jackson W S Convertible back-pack pannier
US4303187A (en) * 1980-06-30 1981-12-01 Charles Berman Multiple pocket clothing accessory
US4356943A (en) * 1980-06-30 1982-11-02 Charles Berman Accessory for trousers and the like
US4467946A (en) * 1983-03-14 1984-08-28 Joann Brown Micrometer holder
US4496088A (en) * 1983-10-20 1985-01-29 Tuthill Frederick W Tool holder
US4917160A (en) * 1989-03-10 1990-04-17 Hart Diana L Storage bag
KR960001676Y1 (ko) 1993-10-26 1996-02-22 전영진 휴대용 핸드폰 케이스
US6003663A (en) * 1997-11-24 1999-12-21 Tec Vision, Inc. Eyeglass case
JP3019216B2 (ja) * 1998-01-20 2000-03-13 株式会社神奈川縫製商会 携帯電話機用ケース
US6182878B1 (en) * 2000-06-02 2001-02-06 Enrico Racca Carrier for cellular phone
WO2002004251A1 (en) * 2000-07-07 2002-01-17 Intelligent Designs 2000 Corp. Carrying case with selectively adjustable stand
US6568576B1 (en) * 2000-08-03 2003-05-27 Travel Caddy Inc, Cell phone pouch
US20070023471A1 (en) * 2005-07-28 2007-02-01 Nicolas Garcia Trowel holder
US20080127461A1 (en) 2006-04-25 2008-06-05 Linden Diana L Multiple purpose strap-pack system
US20090127304A1 (en) 2007-11-15 2009-05-21 Sami Uygur Multi-function adjustable carrying case
KR102363442B1 (ko) 2021-08-13 2022-02-14 김태문 안경 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1676U (ko) * 1994-06-20 1996-01-19 칠성정밀 주식회사 철도차량용 리프팅잭 이동장치
KR100476816B1 (ko) 1997-06-10 2005-03-17 크리 마이크로웨이브 인크. 트랜치 소스 콘택트를 갖는 측방 확산 mos 트랜지스터
JP2002272525A (ja) * 2001-03-16 2002-09-24 Iwatsu Electric Co Ltd 携帯機器のベルトハンガ
KR20150001252U (ko) * 2013-09-17 2015-03-25 우성민 여권용 지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47829B2 (en) 2021-08-13 2023-05-16 Tae Moon Kim Carrying case with partially-detachable trapezoidally elongated belt loop por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51476A1 (en) 2023-02-16
US11647829B2 (en) 202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9368B2 (en) Eyeglass holder
US5014846A (en) Protective cover for eyeglasses
CA2245489C (en) Device for hanging spectacles on garment
US760062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abling a briefcase to carry a supplemental bag
US3148812A (en) Belt holder for spectacles
KR101378170B1 (ko) 안경 및 기타 개인 물품 홀더
US7340804B2 (en) Strap assembly capable of rotational engagement with an objec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5816460A (en) Shoulder strap for securing a purse
US4896377A (en) Garment having an integral hanger for eyeglasses
US5366072A (en) Storage pouch and eyeglass neckstrap tensioning device
US6185748B1 (en) Billed cap with elasticized sunglass holder
KR102363442B1 (ko) 안경 케이스
RU2415619C2 (ru) Карман, снабженный закрепляющей деталью
US6376047B1 (en) Band body
US20040206791A1 (en) Backpack-shaped wrist pack
US11596215B2 (en) Method and tool for preventing sliding down of shoulder belt of shoulder bag, and shoulder bag
US20060283768A1 (en) Needlecraft tote carrier
JP6826271B2 (ja) 女性用衣服のベルト保持具及びそのベルト保持具の縫製方法
CN215423209U (zh) 眼镜固持器
US20240074526A1 (en) Belt-secured pocket device
JP3000406U (ja) ウエストポーチ付きデイパック
RU193529U1 (ru) Держатель для очков
US20220117382A1 (en) Detachable pendulum style tool carrier
JP2004065624A (ja) バッグ組立体
KR0118586Y1 (ko) 안경걸이가 형성된 의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