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3441B1 - TDR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Flush-out 자동화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TDR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Flush-out 자동화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3441B1
KR102363441B1 KR1020200125269A KR20200125269A KR102363441B1 KR 102363441 B1 KR102363441 B1 KR 102363441B1 KR 1020200125269 A KR1020200125269 A KR 1020200125269A KR 20200125269 A KR20200125269 A KR 20200125269A KR 102363441 B1 KR102363441 B1 KR 102363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ventilation
ventilation system
flush
apartment 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5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우
장재희
노정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filed Critical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Priority to KR1020200125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34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3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3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9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ensuring correct operation, e.g. by trial operation or configuration che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one central controller connected to several sub-cont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Ventil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플러쉬 아웃(Flush-out) 자동화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세대별 실내온도와 실외온도를 측정하여 온도저하율(Temperature difference ratio, TDR)을 계산하는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부가 상기 실내온도와 상기 실외온도를 통해 계산된 온도저하율을, 소정의 시간당 환기 횟수(air change per hour, ACH)로 환기 시스템을 가동하는 경우에 예측되는 온도저하율과 대소 비교하여, 환기량을 검증한다.

Description

TDR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Flush-out 자동화 관리 방법{FLUSH-OUT AUTOMATION MANAGEMENT METHOD OF APARTMENT HOUSE USING TDR}
본 발명은 온도저하율(Temperature difference ratio, TDR)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플러쉬 아웃 자동화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온도저하율을 이용하여 환기 시스템이 세대 내에서 충분하게 환기를 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상기 환기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공동주택의 플러쉬 아웃 자동화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는 건강과, 거주 환경에 대한 관심이 더욱 커지고 있고, 공동주택의 실내 공기질에 악영향을 주는 유해물질을 줄이는 방법에도 관심이 커지고 있다. 특히, 미세먼지, COVID-19와 같은 사회 현상에 의해, 실내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공동주택의 실내 공기질에 대한 중요성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렇게 공동주택의 실내 공기질에 대한 관심이 늘어가는 상황에서, 새로 지어진 공동주택에서는 포름알데히드, 라돈 등의 유해물질이 건축 자재들에서 발생되고 실내에 남게 되어 실내 공기질에 악영향을 미치므로, 이러한 유해물질을 줄이는 방법에 대해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정부에서도 건축물의 실내 공기질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고, 신축건물의 유해물질을 줄이기 위해, 건강친화형 주택 건설 기준을 제정하여 시행 중이다. 상기 건강친화형 주택 건설 기준에 따라 500 세대 이상의 공동주택에 입주민들이 입주하기 전에, 플러쉬 아웃 등의 환기 방법을 통해 환기는 의무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 따라서, 환기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건강친화형 주택 건설 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신선한 외기를 실내에 충분히 도입함으로써 실내 오염원을 실외로 방출하는 방법인 플러쉬 아웃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플러쉬 아웃은 세대 내의 전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일반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전열교환기를 이용하는 플러쉬 아웃에서는 현장 관리자가 각각의 세대를 방문하여 수동으로 전열교환기를 조작하여 ON/OFF 제어를 수행해야 한다. 그러나 일반 건축물 대비 세대수가 많은 공동주택의 경우 현장 관리자가 수동으로 전열교환기를 조작하면, 충분한 환기량으로 환기가 이루어 지는지, 그 환기량이 법규 기준을 충족시키는지 확인하는 것이 어려우며, 후속 관리자가 전열교환기를 강제적으로 조기 종료하면 충분한 환기량이 확보되었는지를 검증하는 것이 어렵다는 등의 한계가 있다.
또한, 현장 관리자가 수동으로 많은 세대들을 점검해야 하여 다수의 현장 관리자가 투입되어야 하고, 이에 따른 비용이 발생하므로, 수동으로 플러쉬 아웃을 수행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공기질을 플러쉬 아웃으로 관리하는 기존 방식의 한계를 개선하고자, 플러쉬 아웃의 성능을 검증할 수 있고, 현장 관리자의 업무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13569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플러쉬 아웃에 온도저하율을 이용하는 것을 도입하여, 공동주택의 플러쉬 아웃의 성능을 검증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플러쉬 아웃 자동화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장 관리자가 수동으로 전열교환기를 조작하여 플러쉬 아웃을 수행하던 기존의 방식을, 자동으로 전열교환기를 조작하여 플러쉬 아웃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개선시켜, 현장 관리자의 업무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플러쉬 아웃 자동화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일괄적으로 플러쉬 아웃을 수행하고, 환기량이 충분하지 못한 세대를 판단할 수 있고, 이러한 세대는 재운전 등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해당 세대에만 선별적으로 현장 관리자를 투입할 수 있어, 플러쉬 아웃 전체 시스템의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는 공동주택의 플러쉬 아웃 자동화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운전시 환기 시스템, 난방기의 오작동 및 현장 작업자에 의한 강제 중단에 관한 점검 기능을 추가할 수 있어 수동 관리 방식 대비 플러쉬 아웃(Flush-out) 및 베이크 아웃(Bake-out)의 성능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환경에 관련된 법규를 만족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관련 법규에는 100세대 이상 공동주택에서 환기 시스템이 의무적으로 설치되어야 하고, 환기 시스템의 환기량이 최소, 적정, 최대의 3단계에서 조절, 유지되어야 하며, 환기 시스템이 0.5회의 시간당 환기 횟수의 성능을 확보해야 하고, 건설업체가 휘발성 유기화합물, 포름알데히드, 라돈 등을 측정하여 고지할 의무가 있다고 되어있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법규들을 만족시키기 위한 것이다.
물론, 기타 이하 설명하는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부터 다른 발명의 목적이 도출될 수 있음은 당연하며 본 발명의 목적이 앞서 설명한 것으로 제한되어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플러쉬 아웃(Flush-out) 자동화 관리 시스템은, 세대별 실내온도와 실외온도를 측정하여 온도저하율(Temperature difference ratio, TDR)을 계산하는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부가 상기 실내온도와 상기 실외온도를 통해 계산된 온도저하율을, 소정의 시간당 환기 횟수(air change per hour, ACH)로 상기 공동주택 각 세대의 환기 시스템을 가동하는 경우에 예측되는 온도저하율과 대소 비교하여, 환기량을 검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플러쉬 아웃 자동화 관리 시스템은, 상기 공동주택의 세대 내에서 상기 실내온도와 상기 실외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계측기, 및 월패드(wall pad)가 상기 온도계측기로부터 상기 실내온도와 상기 실외온도를 수신하여 단지 서버를 통해 상기 실내온도와 상기 실외온도를 전달하면, 상기 실내온도와 상기 실외온도를 나타내는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플러쉬 아웃 자동화 관리 시스템은, 상기 관리부의 검증 결과에 따라 단지 서버 및 월패드를 통해 제어 신호를 상기 환기 시스템으로 전달하여 상기 환기 시스템을 원격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플러쉬 아웃 자동화 관리 시스템은, 상기 관리부가 상기 계산된 온도저하율이 상기 예측되는 온도저하율보다 큰 경우, 상기 모니터링부에 알림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플러쉬 아웃 자동화 관리 시스템은, 상기 관리부가 상기 계산된 온도저하율이 상기 예측되는 온도저하율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부에 이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플러쉬 아웃 자동화 관리 시스템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공동주택의 전 세대를 일괄적으로 제어하거나, 또는 일부 세대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플러쉬 아웃 자동화 관리 시스템은, 상기 계산된 온도저하율(TDRreal)이 다음의 식,
Figure 112020102697449-pat00001
으로 계산되고, 여기서, T1은 실온에서 상기 환기 시스템을 처음 가동할 때의 실내온도(℃)이고, T2는 실온에서 상기 환기 시스템을 가동하고, 2시간 후의 실내온도(℃)이고, Tout은 상기 환기 시스템을 가동하고 2시간 동안의 평균 실외온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플러쉬 아웃 자동화 관리 시스템은, 상기 예측되는 온도저하율(TDRpredicted)이 다음의 식,
Figure 112020102697449-pat00002
으로 계산되고, 여기서 ηT는 상기 환기 시스템의 현열 효율(%)이고, T1은 실온에서 상기 환기 시스템을 처음 가동할 때의 실내온도(℃)이고, Tout은 상기 환기 시스템을 가동하고 2시간 동안의 평균 실외온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플러쉬 아웃 자동화 관리 시스템에 의한 공동주택의 플러쉬 아웃 자동화 관리 방법은, 상기 시스템의 관리부가 세대별 실내온도와 실외온도를 측정하여 온도저하율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부가 상기 실내온도와 상기 실외온도를 통해 계산된 온도저하율을, 소정의 시간당 환기 횟수로 상기 공동주택 각 세대의 환기 시스템을 가동하는 경우에 예측되는 온도저하율과 대소 비교하여 환기량을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플러쉬 아웃 자동화 관리 방법은, 상기 시스템의 월패드가 온도계측기가 측정한 공동주택 세대 내의 상기 실내온도와 상기 실외온도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시스템이 모니터링부로 하여금 상기 월패드로부터 상기 실내온도와 상기 실외온도를 수신하여 나타내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플러쉬 아웃 자동화 관리 방법은, 상기 시스템의 제어부가 상기 관리부의 검증 결과에 따라 공동주택의 각 세대의 환기 시스템을 원격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플러쉬 아웃 자동화 관리 방법은, 상기 관리부가 상기 계산된 온도저하율이 상기 예측되는 온도저하율보다 큰 경우, 상기 모니터링부에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플러쉬 아웃 자동화 관리 방법은, 상기 관리부가 상기 계산된 온도저하율이 상기 예측되는 온도저하율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부에 이상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플러쉬 아웃 자동화 관리 방법은, 상기 계산된 온도저하율(TDRreal)이 다음의 식,
Figure 112020102697449-pat00003
으로 계산되고,
여기서, T1은 실온에서 상기 환기 시스템을 처음 가동할 때의 실내온도(℃)이고, T2는 실온에서 상기 환기 시스템을 가동하고, 2시간 후의 실내온도(℃)이고, Tout은 상기 환기 시스템을 가동하고 2시간 동안의 평균 실외온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플러쉬 아웃 자동화 관리 방법은, 상기 예측되는 온도저하율(TDRpredicted)이 다음의 식,
Figure 112020102697449-pat00004
으로 계산되고, 여기서 ηT는 상기 환기 시스템의 현열 효율(%)이고, T1은 실온에서 상기 환기 시스템을 처음 가동할 때의 실내온도(℃)이고, Tout은 상기 환기 시스템을 가동하고 2시간 동안의 평균 실외온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도저하율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플러쉬 아웃 자동화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공동주택 현장의 관리자 및 작업자가 수동적으로 플러쉬 아웃을 수행하던 기존의 방식에 비해 세대별 실내온도 및 실외온도의 정보를 이용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온도저하율을 계산함으로써, 해당 세대에 공동주택의 플러쉬 아웃 수행에 필요한 환기량이 제공되고 있음을 검증하여, 기존 방식 대비 플러쉬 아웃의 정확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온도저하율 예측 모델을 개발하여, 온도저하율에 따라 환기량을 검증할 수 있고, 환기 시스템 제어 로직 프로그램 및 플러쉬 아웃 및 베이크 아웃의 성능 예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환기 시스템을 제어하는 한편, 환기 시스템의 성능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장 관리자에 의해 플러쉬 아웃이 수동으로 수행되지 않고 자동으로 제어되므로, 현장 관리자의 실수에 의해 환기 시스템이 작동되지 않거나 비정상적으로 작동되거나, 충분하지 않은 환기량으로 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환기 관리의 정확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플러쉬 아웃이 시스템에 의해 일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신속하게 세대별 환기 관리를 수행할 수 있어 환기 관리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장 작업자 및 관리자의 수를 줄여 줄 수 있어 플러쉬 아웃을 수행함에 있어 필요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현장 관리자의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기 시스템을 일괄적으로 가동하여, 적정 풍량 운전을 모니터링하고, 현장 관리자에 의한 강제 중단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정상적으로 가동되지 않는 세대의 문제를 해결하여, 원격으로 플러쉬 아웃 및 베이크 아웃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장 작업자 및 관리자의 근무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주말이나 휴일에도 플러쉬 아웃의 수행이 가능하므로, 플러쉬 아웃의 후속 공정이 다른 작업과 충돌하거나, 다른 작업에 의해 방해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온도저하율 기반의 자동화 제어로직을 휴대용 기기에 적용하여 환기 시스템의 오작동 발생 여부를 공간의 제약 없이 확인이 가능하므로 현장 관리자는 신속하게 보수 조치를 이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실제 측정된 온도를 기초로 계산된 온도저하율과 미리 정해진 조건에서 예측된 온도저하율을 비교하여 환기량을 검증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미리 정해진 조건에서 환기 시스템을 가동할 때의 온도저하율보다 실제 측정되어 계산된 온도저하율이 크다면(실내와 실외온도의 큰 차가 있다는 것, 즉 환기가 제대로 안됨), 환기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환기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가동되지 않는 세대에 유지 보수, 재운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 세대에 대해서 일괄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ON/OFF 할 수 있으며, 일괄적으로 전 세대의 환기 시스템을 켤 수 있어 환기량을 신속하게 간편하게 환기량을 검증할 수 있고, 정상적으로 환기 시스템이 가동되고 있는 세대에 대해서는 입력된 가동 시간이 지나면 환기 시스템이 일괄적으로 자동 종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상적으로 환기 시스템이 작동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환기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가동되고 있지 않은 경우, 해당 세대의 환기 시스템이 재가동되도록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상적으로 환기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환기 시스템이 재가동되거나, 환기량이 조절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물론, 기타 이하 설명하는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부터 다른 발명의 효과가 도출될 수 있음은 당연하며 본 발명의 효과가 앞서 설명한 것으로 제한되어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온도저하율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플러쉬 아웃 자동화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관리부(300)가 온도저하율을 계산하여 환기량을 검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온도저하율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플러쉬 아웃 자동화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대상 세대의 열손실 계수의 산술평균 값을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대상 세대의 온도저하율의 산술평균 값을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열손실 계수 및 온도저하율의 산술평균 값을 계산하여, 환기 시스템(700)의 환기량을 검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온도저하율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플러쉬 아웃 자동화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온도저하율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플러쉬 아웃 자동화 관리 시스템은 온도계측기(100), 모니터링부(200), 관리부(300), 제어부(400), 월패드(500), 단지서버(600), 및 환기 시스템(70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온도저하율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플러쉬 아웃 자동화 관리 시스템은 플러쉬 아웃의 수동 관리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동주택의 플러쉬 아웃 자동화 관리 시스템은 공동주택의 실내/외 온도 정보를 조회하는 모니터링부(200), 온도를 기초로 온도저하율(Temperature Difference Ratio, TDR)을 이용하여 세대내 필요 환기량 확보에 관한 확인 검증 및 기계 환기 설비의 오작동에 따른 유지·보수의 필요 여부를 판단하는 관리부(300), 공동주택 전 세대의 환기시스템(700)을 원격 운전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온도계측기(100)는 공동주택의 세대 내에서 실내온도와 실외온도를 측정한다. 상기 온도계측기(100)는 각 세대 내에 구비되며, 공기온도 센서를 포함하고 있어, 각 세대의 실내온도와 실외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200)는 온도계측기(100)가 측정한 각 세대의 실내온도와 실외온도를 전달받아 표시한다. 따라서 각 세대의 온도는 모니터링부(200)에서 확인될 수 있다. 또한, 관리부(300)로부터 알림 신호를 전달받아 이를 표시한다. 현장 관리자는 모니터링부(200)의 알림 신호를 보고 오작동되거나, 미작동된 세대의 환기 시스템(700)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수리 등 환기 시스템(700)의 정상적인 가동을 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관리부(300)는 실내온도와 실외온도를 기초로 온도저하율을 계산한다. 또한, 관리부(300)는 소정의 시간당 환기 횟수(air change per hour, ACH, 외부공기에 의해 교체되는 실내공기의 체적 비율, 또는 1 시간당 실내공기의 교체회수)로 환기 시스템(700)을 가동하는 경우에 예측되는 온도저하율을 계산한다. 이때, 상기 관리부(300)는 실내온도와 실외온도를 통해 계산된 온도저하율을, 소정의 시간당 환기 횟수로 환기 시스템(700)을 가동하는 경우에 예측되는 온도저하율과 대소 비교하여 환기량을 검증한다.
제어부(400)는 공동주택의 각 세대의 환기 시스템(700)을 원격 운전한다. 상기 제어부(400)는 관리부(300)의 검증 결과에 따라 공동주택의 전 세대를 일괄적으로 제어하거나, 또는 일부 세대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400)는 환기 시스템(700)을 일괄적으로 가동한 후에, 상기 관리부(300)로부터 검증 결과를 수신하는데, 환기량이 충분하다고 검증된 세대에 대해서는 입력된 가동 시간이 지난 후에 환기 시스템(700)이 일괄적으로 종료되도록 제어하고, 환기량이 부족하다고 검증된 세대에 대해서는 각 세대의 환기 시스템(700)이 재가동되거나, 추가적으로 가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부(200), 상기 관리부(300) 및 상기 제어부(400)는 관제실 혹은 방재실에서 구비되거나, 휴대용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관리부(300)는 플러쉬 아웃 및 베이크 아웃의 성능을 예측하는 프로그램에 의해 환기량을 검증할 수 있다.
월패드(500)는 공동주택의 각 세대에 구비되고, 각 세대를 모니터링부(200) 및 제어부(400)와 연결된다. 상기 월패드(500)는 온도계측기(100)로부터 수신한 실내온도와 실외온도를 모니터링부(200)로 전달하고, 제어부(4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각 세대의 환기 시스템(700)으로 전달한다. 월패드(500)는 홈 네트워크 설비 시스템의 일부일 수 있다. 또한, 월패드(500)는 공동주택의 각 세대를 제어할 수 있는 임의의 제어단말기로 변경될 수 있다.
단지 서버(600)는 각 세대의 월패드(500)와 모니터링부(200) 및 제어부(400)를 연결한다.
환기 시스템(700)은 제어부(400)가 전송한 제어 신호를 월패드(500)를 통해 수신하여,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각 세대를 환기한다. 상기 환기 시스템(700)은 전열교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관리부(300)가 온도저하율을 계산하여 환기량을 검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온도저하율을 계산하여 환기량을 검증하는 방법은 세대별 실내/실외 온도 값을 이용하여 온도저하율 계산하는 단계(S210) 및 계산된 온도저하율(계산된 온도저하율, TDRreal)과 소정의 시간당 환기 횟수로 환기 시스템(700)을 가동하는 경우에 예측되는 온도저하율(예측되는 온도저하율, TDRpredicted)을 비교하는 단계(S220)를 포함한다.
즉, 상기 계산된 온도저하율은 본 발명의 환기 시스템(700)이 실제로 운전되는 중에 측정된 실내온도(T1, T2) 및 실외온도(Tout)를 기초로 계산된 것인 반면, 예측되는 온도저하율은 소정의 시간당 환기 횟수 조건 하에서 환기 시스템(700)을 가동하는 경우에 예상온도(Tpredicted)로부터 계산된 것이다.
계산된 온도저하율(TDRreal)과 소정의 시간당 환기 횟수로 환기 시스템(700)을 가동하는 경우에 예측되는 온도저하율(TDRpredicted)을 비교하는 단계(S220)에서는 상기 관리부(300)가 두가지 온도저하율을 대소 비교하여 환기량을 검증한다. 아래에서 수식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 수식 1은 계산된 온도저하율(TDRreal)을 계산하기 위한 식이다.
수식 1
Figure 112020102697449-pat00005
여기서, T1은 실온에서 환기 시스템(700)을 처음 가동할 때의 실내온도(℃)이고, T2는 실온에서 상기 환기 시스템(700)을 가동하고, 2시간 후의 실내온도(℃)이고, Tout은 상기 환기 시스템(700)을 가동하고 2시간 동안의 평균 실외온도(℃)이다.
즉, 상기 수식 1에서 계산된 온도저하율은 환기 시스템(700)을 처음 가동할 때의 실내/외 온도의 차이(분모) 대비 환기 시스템(700)을 2시간 가동한 후에 실내/외 온도의 차이(분자)의 비다. 따라서 상기 온도저하율이 크면, 환기 시스템(700)을 가동하여도 실내/외 온도 차이가 줄어들지 않았다는 의미이므로, 환기 시스템(700)에 의해 실내/외의 공기의 순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환기가 충분히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일정한 기준이 필요하다. 일정 풍량에 따른 온도저하율을 예측하는 모델이 개발되어, 이러한 예측하는 모델을 활용하여 온도 저하율을 통해 환기량을 검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풍량은 0.5 ACH로 공급될 수 있다.
하기의 수식 2를 통해 기준이 되는, 예측되는 온도저하율(TDRpredicted)을 계산할 수 있다.
수식 2
Figure 112020102697449-pat00006
여기서 ηT는 환기 시스템(700)의 현열 효율(%)이고, T1은 실온에서 상기 환기 시스템(700)을 처음 가동할 때의 실내온도(℃)이고, Tout은 상기 환기 시스템(700)을 가동하고 2시간 동안의 평균 실외온도(℃)이고, 여기서 현열 효율은 실내공기가 외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외부 공기가 실내로 들어오는데, 이과정에서 열교환이 일어나는 비율이다. 예컨대, 실내온도가 20℃이고, 실외온도가 0℃인 상태에서 열교환 효율이 100%라고 가정하면, 외기온도는 10℃로 실내로 유입하게 된다.
상기 수식 2는 수식 1에 수식 3을 대입하여 도출할 수 있다.
수식 1
Figure 112020102697449-pat00007
수식 3
Figure 112020102697449-pat00008
수식 1에 수식 3을 대입하여 수식 2를 유도하는 과정
Figure 112020102697449-pat00009
상기 수식 1에 T2 대신에 예상온도(Tpredicted)를 대입하면, 수식 2가 도출된다. 여기서 예상온도는 수식 3에 따라 계산되는데, 상기 예상온도는 소정의 시간당 환기 횟수로 상기 환기 시스템(700)을 가동하고 2시간 후의 실내온도(℃)로 예측되는 값이다.
상기 수식 3은 실온에서 0.5 ACH로 환기 시스템(700)을 가동하고 2시간 경과 후 예측되는 실내온도(Tpredicted, 예상온도)를 계산하는 식이다. 상기 식을 수식 1에 대입하면 수식 2가 도출된다.
상기 수식 3을 유도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20102697449-pat00010
여기서, 현실적으로 수식 2의 예상온도는 환기 시스템(700)을 통한 실외공기의 도입 이외에, 창호 및 벽체를 통한 전도 그리고 대류에 의한 열전달의 영향을 받는다. 상기 변수들은 건물의 형태, 열적 물성, 방위 등에 따라 변하므로, 실내온도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그러나, 2시간 동안 연속으로 실외공기가 도입되는 조건하에서 상기 열전달이 실내온도 상승에 미치는 영향은 작다고 가정되므로, 수식 3에서는 상기 열전달을 추가적으로 고려하지 않았다. 즉, 열전달이 예측식에서 고려되지 않았으나, 열전달은 예측되는 온도저하율(TDRpredicted)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환기량을 검증하기 위해 계산된 온도저하율(TDRreal)과 비교되어 환기량을 검증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온도센서에 의한 실측 온도(T1, T2, Tout)를 적용하여 계산된 TDR과 예상온도(Tpredicted)에 의한 TDR의 환기 성능 검증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112020102697449-pat00011
즉, 실제 측정된 온도 기반의 온도저하율은 예측되는 온도저하율과 유사값을 가지게 된다.
계산된 온도저하율과 예측되는 온도저하율은 대소 비교된다. 따라서, 계산된 온도저하율이 예측되는 온도저하율보다 작으면, 2시간 동안 실내/외의 온도 차이가 충분히 줄어든 것이므로 환기 시스템(700)의 환기량이 충분하다고 판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계산된 온도저하율과 예측되는 온도저하율을 비교하여, 계산된 온도저하율이 예측되는 온도저하율보다 작다면, 환기 시스템(700)의 환기 횟수가 기준 시간당 환기 횟수보다 크다고 볼 수 있고, 해당 세대는 충분히 환기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판단되는 것이다. 예측 온도저하율 대비 값이 높아질 경우 법적 요구 수준보다 환기 풍량 도입이 작아져, 환기 성능이 떨어짐을 의미한다.
여기서, 환기 시스템(700)의 환기량이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관리부(300)는 모니터링부(200)에 알림 신호를 전송하고, 제어부(400)에 이상 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모니터링부(200)를 통해 환기량이 부족한 세대가 파악될 수 있고, 상기 제어부(400)는 환기량이 부족한 세대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환기량이 부족하지 않은 세대는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온도저하율을 이용한 환기 성능 검증 로직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기계환기 시스템은 전체 세대를 일괄적으로 ON/OFF 제어하고, 이상 세대를 부분적으로 ON/OFF 제어한다. 최초 제어는 전세대 일괄 작동 모드로 운영되며, 관리부에서 전달된 신호를 바탕으로 정상작동(적정 풍량 확보 및 연속 작동) 세대는 입력 기간 동안 운전 후 자동 종료 되며, 비정상작동(풍량 미달 및 강제 중단) 세대는 알림 신호를 모니터링 부에 전송하고, 이를 토대로 시공 오류 조치 후 개별 제어를 통해 운영되며, 일정 시간 경과 후 자동 종료된다. 자동 종료 및 일괄 ON 방식은 관리자에 의해 전체 및 일부 세대에 대해 개별 ON/OFF 제어 방식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3은 온도저하율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플러쉬 아웃 자동화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온도저하율을 이용한 플러쉬 아웃 자동화 관리 방법에 있어서, 모니터링부(200)는 세대내의 공기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실내 온도와 외부 공기온도의 신호값을 월패드(500)로 전송하고, 전송된 온도 값을 관리부(300)로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 때 관리부(300)는 전달된 실내외 온도값을 이용하여 온도저하율을 자동 계산하며, 실제로 측정된 온도를 통해 계산된 온도저하율은 환기시스템 0.5ACH 가동시 예측되는 온도저하율 값과 비교하여 필요 환기량 확보에 관한 정확성을 검증한다. 또한 후속 작업자에 의한 기계환기 설비의 조기 종료시 강제 OFF 신호를 감지할 수 있으며, 오시공에 의한 환기시스템(700) 미작동에 대해서는 이상 신호를 인지하여 제어부(400)에 전송함으로써 해당 세대의 환기 시스템(700)에 대한 유지보수 및 재운전의 필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온도저하율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플러쉬 아웃 자동화 관리 방법에서, 제어부(400)는 일괄적으로 환기 시스템(700)을 가동한다(S310). 따라서 개별 세대를 방문하여 개별적으로 환기 시스템(700)을 작동하지 않는다. 상기 환기 시스템(700)을 가동하면서, 월패드(500)는 온도계측기(100)가 측정한 공동주택 세대 내의 실내온도와 실외온도를 수신한다(S320).
또한, 모니터링부(200)가 상기 월패드(500)로부터 실내온도와 실외온도를 수신하여 나타낸다(S330). 상기 모니터링부(200)를 통해서, 각 세대의 실내온도 및 실외온도를 파악할 수 있다.
환기 시스템(700)이 가동된지 2시간이 지났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40)는 환기 시스템(700)이 가동되고 2시간이 도과하였는지 판단한다.
환기 시스템(700)이 가동된 후 2시간이 경과하면, 관리부(300)가 세대별 실내온도와 실외온도를 통해 온도저하율을 계산하는 단계(S350)에서는 하기 수식 1을 통해서 계산된 온도저하율(TDRreal)을 계산하고,
Figure 112020102697449-pat00012
하기 수식 2을 통해서, 예측되는 온도저하율(TDRpredicted)을 계산한다.
Figure 112020102697449-pat00013
여기서, ηT는 환기 시스템(700)의 현열 효율(%), 실온에서 환기 시스템(700)을 처음 가동할 때의 실내온도(T1), 상기 환기 시스템(700)을 가동하고 2시간 동안의 평균 실외온도(Tout)이다.
관리부(300)가 환기량이 충분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60)에서는 계산된 온도저하율이 예측되는 온도저하율보다 크면, 환기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판단될 수 있다.
환기가 충분히 이루어졌다고 판단되는 세대(환기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한 세대)는 환기 시스템(700)이 입력 기간동안 운전 후 자동 종료된다(S370). 즉, 환기가 충분히 이루어진 세대에서는 제어부(400)가 일괄적으로 환기 시스템(700)을 종료시킨다.
환기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관리부(300)는 모니터링부(200)에 알림 신호를 전송하고(S380), 제어부(400)에 이상 신호를 전송한다(S390). 상기 모니터링부(200)를 통해 환기가 잘 이뤄지지 않는 세대를 파악할 수 있고(미도시), 제어부(400)를 통해 해당 세대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미도시). 따라서, 환기 시스템(700)이 가동되지 않거나, 환기 시스템(700)이 충분히 가동되지 않아 상기 환기 시스템(700)의 재운전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개별적으로 해당 세대의 환기 시스템(700)이 재가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대상 세대의 열손실 계수(Te)를 산출하여, 해당 세대의 그 자체의 열손실에 의한 온도변화는 배제하고, 환기 시스템(700)에 의한 온도저하율을 계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더욱 정확하게 해당 세대의 환기량을 검증할 수 있다. 도 4를 기초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대상 세대의 열손실 계수(Te)의 산술평균 값을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환기 시스템(700)을 작동하기 전에, 실내/외 온도를 측정한다(S410). 이는 해당 세대 자체의 열손실 계수를 측정하기 위함이다.
대상 세대의 열손실 계수를 산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S420).
해당 세대의 열손실량 Q는 외피를 통한 열관류 현상(고체벽을 통하여 그 한쪽에 있는 고온 유체로부터 다른 쪽에 있는 저온 유체로 열이 이동하는 현상)과 침기(실외공기가 실내로 들어오는 현상, Air Infiltration)에 의한 열손실을 더한 값이다.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20102697449-pat00014
여기서, U(외피 열관류율), A(외피 면적), 및 Cp(공기 비열)는 각 세대마다 고정되며, V(침기량)과 (To (실외온도)- Ti (실내온도))는 변수이다. 상기 식을 Ti로 정리하면,
Figure 112020102697449-pat00015
가 되고, 상기 식에서 침기량의 변화가 크지 않다면
Figure 112020102697449-pat00016
가 상수가 된다. 이 경우 주기적으로 실내/외 온도를 측정하면, 다음과 같은 식으로 시간에 따른 열손실 계수(Te)를 산출할 수 있다(여기서, n은 측정 횟수).
Figure 112020102697449-pat00017
상기 식에 따라 환기 시스템(700)의 가동 전에, 일정 온도를 측정하는 시간(t) 동안, 소정의 측정 주기로 열손실 계수를 산출한다(S430). 상기 시간(t)이 30분이 넘은 경우에 열손실 계수의 산술평균 값을 구한다(S440). 상기 측정 주기는 1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손실 계수의 산술평균 값을 적용하여 대상 세대 자체의 열손실에 의한 온도 변화를 배제할 수 있으므로, 환기 시스템(700) 그 자체에 의한 온도저하율에 근접한 값을 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환기량을 더욱 정확하게 검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기 시스템(700)을 작동한 후에, 주기적으로 온도저하율을 측정하여 대상 세대의 온도저하율의 산술평균 값을 구할 수 있다. 즉, 일정 주기 내에 온도저하율의 변화를 알 수 있고, 일정 주기의 온도저하율의 산술평균을 산출하여 환기량을 정확하게 검증할 수 있다.
도 5는 대상 세대의 온도저하율의 산술평균 값을 산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실내/외 온도를 측정하고(S510), 계산된 온도저하율은 다음의 수식을 통해 계산된다(S520).
Figure 112020102697449-pat00018
여기서, Tn은 n번 실내온도를 측정하였을 때 n번째 측정된 실내온도이고, Tn-1은 n-1번째 측정된 실내온도이고, Tout은 n번 실내온도를 측정하는 동안 실외온도의 평균이다. 상기 식에 따라 n번째 실내/외 온도의 차이와 n-1번째 실내/외 온도의 차이의 비(온도저하율)를 계산할 수 있다. 환기 시스템(700)에 의한 환기량은 일정한 경우에, 온도저하율이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온도를 측정하는 시간(t')이 60분을 넘은 경우에 온도저하율의 산술평균 값을 산출한다(S560).
도 6은 열손실 계수 및 온도저하율의 산술평균 값을 계산하여, 환기 시스템의 환기량을 검증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열손실 계수의 산술평균을 구하는 것과 온도저하율의 산술평균을 구하는 것이 순차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열손실 계수의 산술평균 값을 산출하는 단계의 t와 온도저하율의 산술평균 값을 산출하는 단계의 t'는 서로 다른 시간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열손실 계수를 측정하는 단계에서 열손실 계수의 산술평균 값이 계산되면, 온도를 측정하는 시간(t)은 30분이 지났지만, 온도저하율을 산출하는 단계에서 실내/외 온도를 측정하는 최초 단계의 시간(t')은 0이다.
온도저하율의 산술평균 값을 계산하는 단계(S720)는 온도를 측정하는 시간(t')이 60분을 지나서 진행되고, 평균 계산된 온도저하율(TDRreal)과 예측되는 온도저하율(TDRpredicted)을 비교하여 환기량을 검증하는 단계(S730)는 온도를 측정하는 시간(t')이 2시간이 지나고 나서 진행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또한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시스템이나 방법의 구성 요소와 단계들을 선택적으로 결합한 실시예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는 것은 당연하다.
100: 온도계측기
200: 모니터링부
300: 관리부
400: 제어부
500: 월패드
600: 단지 서버
700: 환기 시스템

Claims (15)

  1. 공동주택의 플러쉬 아웃(Flush-out) 자동화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세대별 실내온도와 실외온도를 측정하여 온도저하율(Temperature difference ratio, TDR)을 계산하는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부가 상기 실내온도와 상기 실외온도를 통해 계산된 온도저하율을, 소정의 시간당 환기 횟수(air change per hour, ACH)로 상기 공동주택 각 세대의 환기 시스템을 가동하는 경우에 예측되는 온도저하율과 대소 비교하여, 환기량을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플러쉬 아웃 자동화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주택의 세대 내에서 상기 실내온도와 상기 실외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계측기, 및
    월패드(wall pad)가 상기 온도계측기로부터 상기 실내온도와 상기 실외온도를 수신하여 단지 서버를 통해 상기 실내온도와 상기 실외온도를 전달하면, 상기 실내온도와 상기 실외온도를 나타내는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플러쉬 아웃 자동화 관리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의 검증 결과에 따라 단지 서버 및 월패드를 통해 제어 신호를 상기 환기 시스템으로 전달하여 상기 환기 시스템을 원격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플러쉬 아웃 자동화 관리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계산된 온도저하율이 상기 예측되는 온도저하율보다 큰 경우, 상기 모니터링부에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플러쉬 아웃 자동화 관리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계산된 온도저하율이 상기 예측되는 온도저하율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부에 이상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플러쉬 아웃 자동화 관리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동주택의 전 세대를 일괄적으로 제어하거나, 또는 일부 세대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플러쉬 아웃 자동화 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된 온도저하율(TDRreal)은 다음의 식,
    Figure 112020102697449-pat00019

    으로 계산되고,
    여기서, T1은 실온에서 상기 환기 시스템을 처음 가동할 때의 실내온도(℃)이고, T2는 실온에서 상기 환기 시스템을 가동하고, 2시간 후의 실내온도(℃)이고, Tout은 상기 환기 시스템을 가동하고 2시간 동안의 평균 실외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플러쉬 아웃 자동화 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되는 온도저하율(TDRpredicted)은 다음의 식,
    Figure 112020102697449-pat00020

    으로 계산되고,
    여기서 ηT는 상기 환기 시스템의 현열 효율(%)이고,
    T1은 실온에서 상기 환기 시스템을 처음 가동할 때의 실내온도(℃)이고,
    Tout은 상기 환기 시스템을 가동하고 2시간 동안의 평균 실외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플러쉬 아웃 자동화 관리 시스템.
  9. 공동주택의 플러쉬 아웃 자동화 관리 시스템에 의한 공동주택의 플러쉬 아웃 자동화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의 관리부가 세대별 실내온도와 실외온도를 측정하여 온도저하율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부가 상기 실내온도와 상기 실외온도를 통해 계산된 온도저하율을, 소정의 시간당 환기 횟수로 상기 공동주택 각 세대의 환기 시스템을 가동하는 경우에 예측되는 온도저하율과 대소 비교하여 환기량을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플러쉬 아웃 자동화 관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의 월패드가 온도계측기가 측정한 상기 공동주택 세대 내의 상기 실내온도와 상기 실외온도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시스템의 모니터링부가 상기 월패드로부터 상기 실내온도와 상기 실외온도를 수신하여 나타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플러쉬 아웃 자동화 관리 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의 제어부가 상기 관리부의 검증 결과에 따라 상기 환기 시스템을 원격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플러쉬 아웃 자동화 관리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계산된 온도저하율이 상기 예측되는 온도저하율보다 큰 경우, 상기 모니터링부에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플러쉬 아웃 자동화 관리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부는 상기 계산된 온도저하율이 상기 예측되는 온도저하율보다 큰 경우, 상기 제어부에 이상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플러쉬 아웃 자동화 관리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된 온도저하율(TDRreal)은 다음의 식,
    Figure 112020102697449-pat00021

    으로 계산되고,
    여기서, T1은 실온에서 상기 환기 시스템을 처음 가동할 때의 실내온도(℃)이고, T2는 실온에서 상기 환기 시스템을 가동하고, 2시간 후의 실내온도(℃)이고, Tout은 상기 환기 시스템을 가동하고 2시간 동안의 평균 실외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플러쉬 아웃 자동화 관리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되는 온도저하율(TDRpredicted)은 다음의 식,
    Figure 112020102697449-pat00022

    으로 계산되고,
    여기서 ηT는 상기 환기 시스템의 현열 효율(%)이고,
    T1은 실온에서 상기 환기 시스템을 처음 가동할 때의 실내온도(℃)이고,
    Tout은 상기 환기 시스템을 가동하고 2시간 동안의 평균 실외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플러쉬 아웃 자동화 관리 방법.
KR1020200125269A 2020-09-25 2020-09-25 TDR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Flush-out 자동화 관리 방법 KR102363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269A KR102363441B1 (ko) 2020-09-25 2020-09-25 TDR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Flush-out 자동화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269A KR102363441B1 (ko) 2020-09-25 2020-09-25 TDR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Flush-out 자동화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3441B1 true KR102363441B1 (ko) 2022-02-16

Family

ID=80474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5269A KR102363441B1 (ko) 2020-09-25 2020-09-25 TDR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Flush-out 자동화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34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4606B1 (ko) * 2023-03-31 2023-07-13 주식회사 에어콕 측정된 실내공기질을 기반으로 다수의 공기 관리 장치를 연동하여 자동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 실내공기질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0568A (ja) * 2005-08-01 2007-02-15 Nippon Sotodannetsu Sogo Kenkyusho:Kk 外断熱建物の換気方法及び外断熱建物
KR101334299B1 (ko) * 2012-07-24 2013-11-28 삼성물산 주식회사 과습방지 자동 환기시스템
KR101613569B1 (ko) 2014-06-02 2016-04-29 (주)정민 전열교환기를 이용한 환기장치와 그 환기장치를 이용한 환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0568A (ja) * 2005-08-01 2007-02-15 Nippon Sotodannetsu Sogo Kenkyusho:Kk 外断熱建物の換気方法及び外断熱建物
KR101334299B1 (ko) * 2012-07-24 2013-11-28 삼성물산 주식회사 과습방지 자동 환기시스템
KR101613569B1 (ko) 2014-06-02 2016-04-29 (주)정민 전열교환기를 이용한 환기장치와 그 환기장치를 이용한 환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4606B1 (ko) * 2023-03-31 2023-07-13 주식회사 에어콕 측정된 실내공기질을 기반으로 다수의 공기 관리 장치를 연동하여 자동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 실내공기질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3763B1 (ko) 건물 에너지 모델을 이용한 에너지 설비의 이상 검출 방법
KR102014278B1 (ko) 빌딩 내의 디바이스의 가상 수요 검사
US1049606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bile application for HVAC installation and diagnostics
US20110276288A1 (en) Apparatus for analysing an interior energy system
Bang et al. Novel real-time model-based fault detection method for automatic identification of abnormal energy performance in building ventilation units
CN106461294A (zh) 热泵和空气调节分级系统及方法
KR20170087412A (ko) 메인터넌스 지원 시스템 및 방법
CN105074344A (zh) Hvac系统远程监测和诊断
KR101589262B1 (ko) 건물 에너지 모델의 보정을 이용한 에너지 관리 방법
JP2009002651A (ja) 異常診断システム
KR20130049254A (ko) 쓰리디 모델링 기반의 지능형 빌딩통합 자동제어 및 에너지 목표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5180776B2 (ja) 住宅の計測管理システム
KR102363441B1 (ko) TDR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Flush-out 자동화 관리 방법
US20200309400A1 (en) Hvac monitoring method and apparatus
KR20100089594A (ko) 친환경 에너지 관리 방법
JP2009002650A (ja) 異常診断システム
Beizaee Measuring and modelling the energy demand reduction potential of using zonal space heating control in a UK home
US20230388146A1 (en) Electrical load validation for a smart space in a building
Mantesi et al. Deploying building simulation to enhance the experimental design of a full-scale empirical validation project
KR20230081540A (ko) 모드 전환이 가능한 세대단말기를 포함하는 스마트홈 시스템을 이용한 인증 방법
Song et al. Using a hybrid method to construct a computational efficient cooling coil model for an automated single-duct variable air volume system fault detection and diagnosis
EP3901711B1 (en) Remote maintenance
KR20230081538A (ko) 스마트홈 시스템을 이용한 건물 관리 방법
Zheng Development of a new methodology for evaluat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residential buildings
KR102272608B1 (ko) 지역난방 방식 공동주택 난방 시스템의 점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