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1540A - 모드 전환이 가능한 세대단말기를 포함하는 스마트홈 시스템을 이용한 인증 방법 - Google Patents

모드 전환이 가능한 세대단말기를 포함하는 스마트홈 시스템을 이용한 인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1540A
KR20230081540A KR1020220002244A KR20220002244A KR20230081540A KR 20230081540 A KR20230081540 A KR 20230081540A KR 1020220002244 A KR1020220002244 A KR 1020220002244A KR 20220002244 A KR20220002244 A KR 20220002244A KR 20230081540 A KR20230081540 A KR 20230081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ehold
door lock
terminal
authenticati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2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현승
강성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림
Publication of KR20230081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15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다수의 세대를 포함하는 건물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단지에서의 시운전시 획득되는 시운전 데이터를 획득하는 스마트홈 시스템(1)을 이용한 인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홈 시스템(1)은, 인증 서버(110); 시운전모드 또는 입주모드가 입력되도록 구성된 모드 선택 모듈(206)을 포함하며, 상기 인증 서버(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홈네트워크 서버(200); 상기 모드 선택 모듈(206)에 의해 선택된 모드에 상응하여 작동되며, 상기 홈네트워크 서버(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세대단말기(300); 개폐 구동 모듈(331) 및 도어락 인증모듈(332)을 포함하며, 상기 세대단말기(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어락(330); 작업자의 식별자와, 작업자가 출입 가능한 세대의 식별자가 저장된 작업자 데이터베이스(111); 및 입자자의 식별자와, 입주자가 입주하는 세대의 식별자가 저장된 입주자 데이터베이스(121)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모드 전환이 가능한 세대단말기를 포함하는 스마트홈 시스템을 이용한 인증 방법{Authentication method using a Smart Home System Comprising a Household Terminal Capable of Mode Switching}
본 개시는 모드 전환이 가능한 세대단말기를 포함하는 스마트홈 시스템을 이용한 인증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시운전모드 및 입주모드가 선택 가능한 세대단말기를 이용한 각 모드에서의 인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시공 업체는 건물을 완공하면 일정한 기간 동안 시운전을 수행하여 건물 내 다양한 설비 및 자제를 자체 점검한다. 시운전 과정에서 설비나 자재의 하자가 확인되면, 시공 업체는 이를 수리하거나 교체한다. 이를 통해 건물의 안정성과 설비 자재의 이상 여부를 확인한 후, 비로소 입주자가 건물에 입주하며 생활하게 된다.
최근 대부분의 건물에는 센서나 계측기와 같은 다양한 정보 획득 기기가 구비되며, 시공사 또는 관리사는 건물 정보 자동화 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시스템을 통해 이러한 정보 획득 기기에서 획득되는 다양한 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건물의 주기에 따라 살펴보면, 시운전시 획득되는 정보와 입주 후 실제 입주자가 생활하면서 획득되는 정보로 구분할 수 있다. 이때, 전자를 "시운전 데이터"로, 후자를 "운전 데이터"로 지칭한다.
시운전 데이터와 운전 데이터는 수많은 정보를 포함한다. 설비 자재가 제 성능을 발휘하는지, 어떠한 세대에서 특정 설비 자재의 효과가 감소하는지, 등 시공사, 관리사, 또는 설비와 자재 개발사 입장에서는 참조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가 확보된다.
그러나 다양한 이유로 이러한 정보들이 적극적으로 사용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우선 확보되는 데이터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아파트와 같은 건물이라면 수백에서 수천에 이르는 세대가 있으며, 각 세대마다 많게는 100여여 개의 계측기 및 센서가 포함되는데, 여기서 정보들이 수집되더라도 분류하고 가공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또한, 수많은 데이터마다 변수도 다양하다. 특정 공조 기기는 남향 최상층의 100m2 세대에서 사용된 것이고, 동일한 공조 기기라도 동향 중간층이되 측벽에 면한 59m2 세대에서 사용된 것이라면 이들을 조합하는 것에도 많은 기술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건물에서 수많은 정보가 획득되더라도, 이러한 정보를 가공하고 분류하는 작업 자체가 어려우며, 관련된 주체마다 정보들을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이 다르다는 점에서, 시운전 데이터와 운전 데이터의 적극적 활용에 대한 기술은 아직 개발되지 못한 실정이다.
또한, 완공 후 시운전이 진행되는 동안, 입주 예정인 입주자가 무단으로 세대로 출입함으로써, 시운전 데이터의 정확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마찬가지로, 시운전이 완료된 후, 입주 시점 이전에 해당하는 공실 세대에 작업자가 무단으로 세대를 점유하거나, 세대 내 설비 자재가 도난당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KR 10-2021-0109290 A
(특허문헌 2) KR 10-1293148 B2
이에, 본 개시는 시운전 데이터와 운전 데이터를 가공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이고 일괄적으로 시운전 데이터 및 운전 데이터를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개시는 건물의 운전주기에 맞게 출입 가능한 단말기를 구분함으로써, 정확한 시운전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고 온전한 상태의 세대에 입주자가 입주할 수 있게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다수의 세대를 포함하는 건물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단지에서의 시운전시 획득되는 시운전 데이터를 획득하는 스마트홈 시스템(1)을 이용한 인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홈 시스템(1)은, 인증 서버(110); 시운전모드 또는 입주모드가 입력되도록 구성된 모드 선택 모듈(206)을 포함하며, 상기 인증 서버(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홈네트워크 서버(200); 상기 모드 선택 모듈(206)에 의해 선택된 모드에 상응하여 작동되며, 상기 홈네트워크 서버(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세대단말기(300); 개폐 구동 모듈(331) 및 도어락 인증모듈(332)을 포함하며, 상기 세대단말기(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어락(330); 작업자의 식별자와, 작업자가 출입 가능한 세대의 식별자가 저장된 작업자 데이터베이스(111); 및 입주자의 식별자와, 입주자가 입주하는 세대의 식별자가 저장된 입주자 데이터베이스(121)를 포함하고, (a01) 상기 인증 서버(110)가 서버 인증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홈네트워크 서버(200)를 통해 상기 세대단말기(300)에 전송하고, 상기 세대단말기(300)가 상기 도어락 인증모듈(332)에 상기 서버 인증번호를 전송하는 단계; (a02) 작업자용 단말기(11)가 상기 인증 서버(110)에 작업자용 단말기 인증번호를 요청하는 단계; (a03) 상기 인증 서버(110)가 상기 (a0-2) 단계에서 요청된 상기 작업자용 단말기(11)에서 작업자의 식별자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식별자와 상기 작업자 데이터베이스(111)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출입이 가능한 것으로 저장된 세대에 대한 작업자용 단말기 인증번호를 생성하여, 이를 상기 작업자용 단말기(11)에 전송하는 단계; (a1) 상기 모드 선택 모듈(206)에 의해 시운전모드가 입력되어, 상기 모드 선택 모듈(206)에 의해 시운전모드 선택정보가 생성되는 단계; (a2) 상기 시운전모드 선택정보가 상기 도어락(330)에 전송되는 단계; (a3) 상기 작업자용 단말기(11)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도어락(330)에 도어락 인증번호를 전송하는 단계; (a4) 상기 도어락(330)은 상기 서버 인증번호 및 상기 (a3) 단계에서 수신한 상기 도어락 인증번호를 비교함으로써 작업자 인증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a5) 작업자가 인증되면, 상기 개폐 구동 모듈(331)에 의해 상기 도어락(330)이 개방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그리고, (b1) 상기 모드 선택 모듈(206)에 의해 입주모드가 입력되어, 상기 모드 선택 모듈(206)에 의해 입주모드 선택정보가 생성되는 단계; (b2) 상기 입주모드 선택정보가 상기 도어락(330)에 전송되는 단계; (b3) 입주자용 단말기(12)에는 상기 입주자용 단말기(12)를 사용하는 입주자의 세대의 도어락을 개방할 수 있는 도어락 개방신호가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입주자용 단말기(12)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도어락 개방신호를 상기 도어락(330)에 전송하는 단계; (b4) 상기 도어락 인증모듈(332)이, 기 설정된 방법을 이용하여 수신한 상기 도어락 개방신호를 확인하여 상기 개폐 구동 모듈(331)에 의해 상기 도어락(330)을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의 상기 (b3) 단계는, (b31) 상기 입주자용 단말기(12)가 상기 인증 서버(110)에 도어락 개방신호를 요청하는 단계; 및 (b32) 상기 인증 서버(110)가 상기 (b31) 단계에서 요청한 입주자용 단말기(12)를 이용하여 입주자를 식별하고, 상기 입주자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식별된 입주자의 세대 및 도어락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도어락을 개방할 수 있는 도어락 개방신호를 상기 입주자용 단말기(12)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의상기 (b31) 단계는, (b311) 상기 입주자용 단말기(12)가 회원 가입 요청을 상기 인증 서버(110)에 전송할 때에 난수 코드를 발생하여 함께 전송하는 단계; 및 (b312) 상기 인증 서버(110)가 상기 전송된 난수 코드가 기 설정된 규칙에 의한 난수 코드로 확인된 경우, 회원 가입 요청을 승인하는 단계를 포함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의 상기 (b3) 단계는, (b33) 상기 작업자용 단말기(11)가 상기 인증 서버(110)에 서버 인증번호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인증 서버(110)에 의해 서버 인증번호가 생성되지 않는 단계; 및 (b34) 상기 작업자용 단말기(11)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도어락(330)에 도어락 인증번호의 전송을 시도하는 경우, 상기 작업자용 단말기(11)에 의해 상기 도어락 인증번호의 발송이 차단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의 상기 (b3) 단계에서, (b35) 상기 홈네트워크 서버(200)의 공실 세대 판단 모듈(207)이, 상기 입주자용 단말기(12)가 도어락 개방신호를 전송한 도어락(330)의 세대가 공실 세대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b36) 상기 (b35) 단계에서 공실 세대로 판단된 경우, 상기 (b4) 단계에서 상기 도어락(330)의 상기 개폐 구동 모듈(331)이 상기 도어락(330)을 개방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는 (a41) 상기 (a4) 단계 이후에, 시운전모드에서 상기 입주자용 단말기(12)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도어락(330)에 도어락 개방신호의 전송을 시도하는 경우, 상기 입주자용 단말기(12)에 의해 상기 도어락 개방신호의 발송이 차단되는 단계를 더 포함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의 상기 스마트홈 시스템은, 시운전명령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시공 관리사 서버(1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홈네트워크 서버(200)는, 공실 세대 또는 재실 세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공실 세대 판단 모듈(207)을 더 포함하고, (c1) 상기 모드 선택 모듈(206)에 의해 시운전모드가 입력되어, 상기 모드 선택 모듈(206)에 의해 시운전모드 선택정보가 생성되는 단계; (c2) 상기 시운전모드 선택정보가 상기 세대단말기(300)에 전송되는 단계; (c3) 상기 시공 관리사 서버(120)에 의해 생성된 상기 시운전명령이, 상기 홈네트워크 서버(200) 및 상기 세대단말기(300)를 통해, 상기 난방장치(322), 상기 환기장치(323) 및 상기 조명스위치(324)에 전달되는 단계; (c4) 상기 난방장치(322), 상기 환기장치(323) 및 상기 조명스위치(324)는 상기 시운전명령에 상응하도록 구동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그리고, (d01) 상기 모드 선택 모듈(206)에 의해 입주모드가 입력되어, 상기 모드 선택 모듈(206)에 의해 입주모드 선택정보가 생성되는 단계; (d02) 상기 입주모드 선택정보가 상기 세대단말기(300)에 전송되는 단계; (d1) 상기 공실 세대 판단 모듈(207)이 각각의 세대에 대하여 공실 세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2) 상기 (d1) 단계에서 공실 세대로 판단되고, 상기 세대단말기(300)가 상기 난방장치(322), 환기장치(323) 및 조명스위치(324) 중 하나 이상이 구동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홈네트워크 서버(200)에 알림을 전송하는 단계; (d3) 상기 (d1) 단계에서 재실 세대로 판단되고, 상기 세대단말기(300)가 상기 난방장치(322), 상기 환기장치(323) 및 상기 조명스위치(324) 중 하나 이상이 구동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세대단말기(300)에 의해 설비 자재 작동 정보가 생성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의 (d03) 입주모드에서, 상기 시운전명령이 상기 홈네트워크 서버(200)에 전송되는 경우, 상기 홈네트워크 서버(200)에 의해 상기 시운전명령의 상기 세대단말기(300)로의 전달이 차단되는 단계를 더 포함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는 (e1) 상기 공기질센서(311), 상기 실내온습도 센서(312) 및 상기 환수온도 센서(313) 각각에 의해 센싱된 정보가 상기 세대단말기(300)에 전송되는 단계; 및 (e2) 상기 설비 자재 작동 정보 및 상기 센싱된 정보가 세대단말기를 통해 상기 시공 관리사 서버(120)에 전달되는 단계를 더 포함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홈네트워크 서버에 구비되는 입출력 모드에 시운전 데이터 및 운전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이고 일괄적으로 시운전 데이터 및 운전 데이터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건물의 운전주기에 맞게 출입 가능한 단말기를 구분함으로써, 정확한 시운전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고 온전한 상태의 세대에 입주자가 입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홈 시스템의 개념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홈네트워크 서버 및 시공 관리사 서버의 연결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서 획득되는 데이터 및 단말기 접근가능 여부를 건물 운전주기에 따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대단말기의 시운전모드에서의 화면 예시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대단말기의 입주모드에서의 화면 예시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시운전모드에서의 작업자 인증 및 출입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입주자모드에서의 입주자 인증 및 출입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시운전모드에서의 시운전 데이터 수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홈 시스템을 이용한 건물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모듈이 시운전 모드에서 출력하는 화면의 예시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홈 시스템을 이용한 세대 결로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모듈에 출력되는 화면의 예시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서, "세대"는, 건물을 구성하는 다수의 단위 공간을 의미한다. 건물이 아파트인 경우 각 단위 주거지가 세대이며, 건물이 오피스인 경우 각 단위 사무실이 세대이다. 다수의 세대가 모여 건물이 된다.
또한, 본 개시에서, "단지"는, 하나 이상의 건물의 집합을 의미한다. 건물이 아파트인 경우 다수의 아파트 건물로 구성된 건물 집합이 단지이며, 건물이 오피스인 경우 단동 오피스 또는 다수의 동의 오피스 집합이 단지이다.
또한, 본 개시에서, "시공 관리사"는, 건물의 시공 업체 및 완공 후 관리 업체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즉, 시공 관리사는 건물을 시공하는 시공사일 수도 있으며 완공된 건물의 관리만을 수행하는 관리사일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설비 자재"는, 건물 내에 설치되는 다양한 설비와 그 외의 각종 자재 부품을 통칭하는 개념이다. 예컨대, 조명, 난방기기, 마감자재(수전, 벽지, 마루, 가구, 싱크), 세대단말기(월패드, 도어폰), 도어락, 전열교환기, 렌지 등 어떠한 설비 및 자재 부품도 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설비 자재의 "성능"은, 각 설비 자재가 수행할 수 있는 성질이나 기능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량적 수치로 산출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 설비 자재의 "수명주기"는, 각 설비 자재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성능기준을 만족하면서 그 기능을 수행하는 기간을 의미한다. 대부분의 설비 자재의 성능은 시간에 따라 감소되고, 이에 따라 소정의 기간이 경과하면 성능기준을 만족하지 못하게 되는데, 미리 정해진 일정한 성능기준을 벗어나는 시점까지의 기간을 수명주기로 지칭한다. 예컨대, 최초 성능에서 10% 이상 성능이 하락한 경우까지를 수명주기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입주"는, 건물이 완공되고 건물에서 사람이 거주하거나 생활할 준비가 완료되어, 해당 건물 내에서 사람이 생활하게 되는 것을 지칭한다. 건물이 아파트인 경우 입주자들이 새로이 이사를 와서 생활하게 되는 것이 입주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시운전"은, 건물이 완공된 이후 입주하기 이전 주로 시공사에서 해당 건물을 점검하기 위하여 시험 삼아 운전하는 것을 의미한다. 건물의 "운전"은 주로 각종 설비 자재의 성능 점검을 위한 가동(예컨대, 조명을 키고, 수전을 틀고, 공조기기를 작동시키는 행동)을 의미한다. 신축된 건물에서 입주 이전에 건물 내 유해 가스나 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실내 온도를 높이는 베이크아웃(bake out)은 이러한 시운전에 포함되는 개념이다.
또한, 본 개시에서, "입주자 사전 점검"은, 입주가 예정되어 있는 사람이 건물의 완공 후 입주 전 자신의 세대 내 각종 설비 자재 등의 하자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입주가 예정된 세대에 방문하여 행하는 입주자에 의한 자체 점검을 의미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 "설비 자재사"는 건물에 설치되는 설비 자재를 생산하거나 공급하는 업체를 의미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자"는 시공사, 관리사 및 입주자를 통칭하는 것이다.
또한, 본 개시에서, "시운전모드 선택정보"는 홈네트워크 서버에 의해 시운전모드가 선택되어 현재 건물이 시운전되고 있음을 알려주는 정보로서, 각 세대단말기에 전달되는 정보이다.
또한, 본 개시에서, "입주모드 선택정보"는 홈네트워크 서버에 의해 입주모드가 선택되어 현재 건물이 시운전되지 않음을 알려주는 정보로서, 각 세대단말기에 전달되는 정보이다.
또한, 본 개시에서, "공실 세대"는 시운전이 종료되고, 입주자에 의해 입주되지 않아 현재 점유되지 않은 세대를 의미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 "재실 세대"는 시운전이 종료되고, 입주자에 의해 입주되어 현재 점유되고 있는 세대를 의미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 예시적으로 사용되는 숫자 및 색상 등은, 이해를 돕기위한 예에 불과할 뿐이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함에 유의한다.
스마트홈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홈 시스템의 개념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홈네트워크 서버 및 시공 관리사 서버의 연결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른 스마트홈 시스템(1)은, 인증 서버(110), 시공 관리사 서버(120), 홈네트워크 서버(200) 및 세대단말기(30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인증 서버(110) 및 시공 관리사 서버(120)는 별도의 IDC(internet data center)에 위치한 것일 수 있고, 하나 이상의 홈네트워크 서버(200)가 연결될 수 있다.
인증 서버(110)는 작업자용 단말기(11) 또는 입주자용 단말기(12)로부터 인증 요청이 있는 경우, 해당 단말기(11,12)의 인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작업자용 단말기(11)는 작업자의 식별자가 미리 등록되어 있는 작업자 데이터베이스(111)와 협업한다. 마찬가지로, 입주자용 단말기(12)는 입주자의 식별자가 미리 등록되어 있는 입주자 데이터베이스(121)와 협업한다.
인증 서버(110)는 시운전모드에서, 작업자용 단말기 인증번호 및 서버 인증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인증 서버(110)는 입주모드에서 도어락 개방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관련하여, 도 6 및 도 7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시공 관리사 서버(120)는 시공 관리사가 하나 이상의 단지를 관리하기 위한 서버이다. 이를 위해 클라우드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시공 관리사 서버(120)는 교체 알림 모듈(123) 및 정보 거래 모듈(124)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각각의 모듈들의 기능은 도 9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시공 관리사 서버(120)에는 입주자 데이터베이스(121) 및 설비 자재 데이터베이스(122)가 구비될 수 있다.
입주자 데이터베이스(121)에는 시운전 데이터 및 운전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입주자 데이터베이스(121)에는 세대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세대 데이터는, 일 예시적으로 입주자 ID가 포함된다.
설비 자재 데이터베이스(122)에는 설비 자재에 대한 일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설비 자재에 대한 일반 정보는, 바람직하게는 표준수명, 성능기준 등을 포함한다. 설비 자재에 대한 일반 정보는, 설비 자재사가 최초로 제공하는 정보에 해당하며, 건물이 운전됨에 따라 시공 관리사에 의해 업데이트될 수 있다. 표준수명은 해당 설비 자재가 표준 성능을 발휘하면서 얼마나 사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이다. 성능기준은 표준수명 내에서 발휘되는 설비 자재의 일반 성능기준이다. 설비 자재의 성능이 성능기준보다 낮아진 경우, 수명주기가 다 한 것으로 여겨질 수 있다.
시공 관리사는 설비 자재사를 통하여 새로운 설비 자재에 대한 정보로서 설비 자재 데이터베이스(122)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비 자재사가 설비 자재사 단말기(미도시)를 이용하여 자신들이 생산하거나 판매하는 설비 자재에 대한 정보를 직접 설비 자재 데이터베이스(122)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시공 관리사 서버(120)는 홈네트워크 서버(200)와 정보 통신할 수 있다.
홈네트워크 서버(200)는 각 단지마다 구비되는 것으로, 단지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홈네트워크 서버(200)는 단지 내부에 구비된 공동시설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공동시설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공동시설은, 예컨대, 공동현관 로비폰, 엘리베이터, 단지내 CCTV, 주차관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동시설은, 웨더 스테이션(340)을 포함한다.
홈네트워크 서버(200)는 세대 데이터 관리 모듈(201), 설비 자재 정보 획득 모듈(202), 시운전 데이터 수집 모듈(203), 운전 데이터 수집 모듈(204), 통합 운전 데이터 수집 모듈(205), 모드 선택 모듈(206), 공실 세대 판단 모듈(207), 수명주기 연산 모듈(208), 결로 관리 모듈(209) 및 입출력 모듈(21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각각의 모듈의 기능들은 후술할 방법에서 설명한다.
홈네트워크 서버(200)는 게이트웨이(240)를 통하거나, 직접 유선 또는 무선으로 각 세대 내 기기들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홈네트워크 서버(200)는 각 세대 내 기기들과 세대단말기(300)를 통해 연결된다.
홈네트워크 서버(200)와 연결되는 각 세대 내 기기는, 복수의 센서 및 세대 내 설비 자재를 포함한다.
복수의 센서는, 공기질센서(311), 실내온습도 센서(312), 환수온도 센서(313) 및 계측기(314)를 포함한다. 복수의 센서는, 세대 내 설비 자재들로부터 확인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측정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측정된 데이터는 세대단말기(300)를 통해 홈네트워크 서버(200)에 전달된다.
세대 내 설비 자재는, 냉방장치(321), 난방장치(322), 환기장치(323) 및 조명스위치(324)를 포함한다. 세대 내 설비 자재는, 설비 자재 중에서도 세대 내에 구비되는 설비 자재에 해당한다. 세대 내 설비 자재는 세대단말기(3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세대단말기(300)는 각 세대에 하나씩 구비되며, 세대 내 설비 자재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세대단말기(300)는 도어락(330)과 연계되어 세대 도어 또는 공용 도어의 출입을 제어할 수 있다.
도어락(330)은 개폐 구동 모듈(331) 및 도어락 인증모듈(332)을 포함한다. 개폐 구동 모듈(331)은 개폐 구동 모듈(331)을 통해 세대 도어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도어락 인증모듈(332)은 작업자용 단말기(11)와 입주자용 단말기(12)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연결되며, 작업자용 단말기(11) 또는 입주자용 단말기(12)로부터 전송된 인증번호를 이용하여 작업자 또는 입주자를 인증한다. 관련하여, 도 5 내지 도 6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작업자용 단말기(11)는 작업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에 해당하며, 휴대전화, 패드, 노트북일 수 있다. 작업자용 단말기(11)는, 인증 서버(110)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용 단말기(11)는, 도어락(330)에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입주자용 단말기(12)는 입주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에 해당하며, 휴대전화, 패드, 노트북일 수 있다. 입주자용 단말기(12)는, 홈네트워크 서버(200)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도어락(330)과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시운전모드 및 입주모드의 설명
<시운전모드 및 입주모드의 개념 설명>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서 획득되는 데이터 및 단말기 접근가능 여부를 건물 운전주기에 따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각 모드에서의 획득되는 데이터 및 각 모드에서 접근 가능한 단말기의 종류를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주기 별로 살펴보면, 완공된 후, 시운전이 수행되고, 입주가 이루어진다. 이때, 시운전 기간이 종료된 후로부터 입주가 이루어지는 전 시점 사이에 입주자 사전점검이 이루어질 수 있다.
시운전 데이터는 시운전모드에서 건물이 운전되며 수집되는 데이터이며, 시운전 데이터 수집 모듈(203)에 의해 수집된다. 시운전 데이터는 입주자가 없는 상태에서의 건물 운전시 획득되므로(예컨대, 베이크아웃 동안) 데이터에 포함되는 변수가 거의 완벽하게 통제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일례로, 동일한 단지에서 건물 내 위치만 다른 세대에서 획득되는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최상층 세대에서는 최하층 세대에 비하여 난방 기기에 사용되는 에너지가 높다는 분석 등이 가능할 것이다.
운전 데이터는 입주모드 중에서도, 재실 세대가 운전되며 수집되는 데이터이며, 운전 데이터 수집 모듈(204)에 의해 수집된다. 입주모드 중에서도, 공실세대에서는 운전 데이터가 수집될 수 없다. 즉, 운전 데이터는 입주자가 세대 내에서 생활하면서 수집되는 데이터에 해당한다. 시운전 데이터와 달리, 운전 데이터에는 입주자 행동이라는 변수가 포함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세대별 직접 비교는 어렵다. 그러나, 운전 데이터는 해당 설비 자재를 사용자가 실제로 사용하는 상태에서 측정되기에 보다 현실적인 데이터라 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조명기기의 수명주기에 대한 데이터와 관련하여, 시운전 데이터에 따르면 수명이 10년이었으나 운전 데이터에 따르면 수명주기가 8년일 수 있다. 이때, 입주자의 입장에서는 해당 조명 기기의 수명주기가 8년인 것으로 체감될 것이다. 이러한 차이는, 해당 조명 기기를 사용하는 입주자의 행동 패턴이 반영된 결과이다.
이와 같이, 시운전 데이터와 운전 데이터는 각각 고유한 특징을 갖고 있으며, 이를 통합하여 통합 운전 데이터로 지칭한다. 통합 운전 데이터는, 통합 운전 데이터 수집 모듈(205)에 의해 수집될 수 있다.
다음은, 각 데이터를 구성하는 정보들을 설명한다.
시운전 데이터와 운전 데이터는 각각 단지 데이터, 세대 데이터 및 설비 자재 운용 데이터를 포함한다.
시운전 데이터와 운전 데이터는 모두 단지 데이터와 세대 데이터를 포함한다. 단지 데이터는, 해당 단지의 단지명과 지역을 포함한다. 세대 데이터는, 동호수, 지역, 일조량, 건물 내 위치, 주향, 베이(bay) 수 등을 포함한다. 이 외에도 단지 또는 세대의 특징에 관한 데이터는 어떠한 것이든 가능하다. 예컨대, 층수, 복층 여부, 발코니 크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세대 데이터는, 홈네트워크 서버(200)의 세대 데이터 관리 모듈(201)에 저장될 수 있다.
언급되는 세대 데이터의 정보들은 세대 내 설비 자재의 운용에 영향을 주는 것들이다. 예컨대, 지역에 따라 난방 설비 사용량이 달라질 것이며, 일조량에 따라 조명 설비 사용량이 달라질 것이다. 본 개시에 따라 시운전 데이터와 운전 데이터는 각 지역별, 각 일조량별, 각 건물 내 위치별 다양한 데이터 획득이 가능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어느 지역에서 얼마의 난방 설비가 사용되었고, 어느 세대 내 위치에서 조명 설비가 얼마나 사용되었는지 등의 데이터 확보가 가능하다.
특정 세대에 대해서는 단지 데이터와 세대 데이터는 시운전시 및 입주 후 운전시 변화가 없이 동일하다. 즉, 시운전 데이터와 운전 데이터에서 확인되는 단지 데이터와 세대 데이터는 동일할 것이다.
세대 데이터에는 입주자 ID가 포함되는데, 이 부분은 입주자가 변경될 때마다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어떤 세대에 이사를 온 새로운 입주자가 새로운 입주자 ID를 부여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단지 데이터 또는 세대 데이터에 공통 연관 데이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공통 연관 데이터에는, 시운전 또는 운전시 계절, 외기 온도나 습도와 같은 주변 환경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들은 단지 또는 세대 주변에 설치된 웨더 스테이션(340)을 통해 획득되거나 기상청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획득될 수도 있다.
설비 자재 운용 데이터는 특정 설비 및 자재에 대한 표준수명 및 성능기준을 포함한다. 또한, 시운전시 및 입주 후 운전시 실시간 또는 소정의 주기마다 확인되는 성능을 포함한다.
설비 및 자재가 교체되지 않는 한 표준수명은 시운전시와 입주 후 운전시 동일하다. 즉, 시운전 데이터와 운전 데이터에서 표준수명 정보는 동일할 것이다.
성능에 대한 부분은 시간에 따라 계속 변화할 것이다. 변화하는 정도는 시운전시와 입주 후 운전시 상이할 수 있다. 시운전시에는 다양한 변수가 엄격히 통제되어, 정확한 계획에 따라 특정 설비 자재를 온(on) 또는 오프(off)하여 운전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입주 후 운전시에는 입주자의 성향, 조작 여부 및 조작 빈도에 따라 입주자마다 온/오프되는 시점 등이 달라지는 등 변수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이다.
설비 자재에 대한 성능에 대한 데이터는 각 세대에서 측정되는 정보들을 토대로 연산된다. 이를 위해, 각 세대마다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센서에서 획득되는 정보들이 활용된다. 추가로, 설비 자재가 자체적으로 보유한 정보 처리 기기가 있는 경우 여기에서 획득된 정보가 활용될 수 있다. 예컨대, 난방 기기는 사용자가 조작하거나 현재 상태를 출력하는 정보 처리 기기를 내장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여기서 획득되는 정보들, 예를 들어 에러 코드가 설비 자재에 대한 성능에 대한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보일러 누수 발생 또는 물 보충 에러 코드가 반복적으로 수집된다면, 누수와 관련된 자재들(파이프, 배관 플랜지, 수위센서 등)의 수명주기를 낮추는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에러 코드가 수집되었다면 이에 따라 시공 관리사 또는 입주사가 보일러를 점검하고 수리하였을 것이므로, 이러한 점검 내역 및 수리 내역 역시 설비 자재 데이터베이스(122)에 누적 관리된다. 또한, 해당 부품을 수리한 것이 아니라 아예 부품 교체가 이루어졌다면, 새로운 부품이 적용된 것이므로 수명을 최초 기준값으로 환원시키게 될 수 있다.
홈네트워크 서버(200)의 수명주기 연산 모듈(208)은, 각 세대의 복수의 센서 또는 설비 자재의 정보 처리 기기로부터 획득되는 정보들을, 시운전 데이터 수집 모듈(203) 및 운전 데이터 수집 모듈(204)을 포함한 홈네트워크 서버(200)로부터 취합하며, 기 설정된 방식에 의해 설비 자재의 성능을 점검하고 수명주기를 연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설비 자재가 조명 기기인 경우, 조도 또는 광속 센서가 조도 또는 광속을 감지하여 정보를 획득하며, 또한 계측기(314)에 해당하는 전력량계가 소비 전력을 확인하여 정보를 획득한다. 획득된 정보는 홈네트워크 서버(200)의 수명주기 연산 모듈(208)에 전송되고, 여기에서 성능이 점검되고 수명주기가 연산된다.
다른 예를 들어, 설비 자재가 난방 기기인 경우, 실내온습도 센서(312)가 난방 시 세대 내 온도 변화를 측정하고(또는, 특정 온도에 이르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고), 환수온도 센서(313)가 바닥 난방 환수 온도를 측정하여 정보를 획득하며, 계측기(314)에 해당하는 전력량계가 소비 전력을 확인하여 정보를 획득하며, 또한 난방 기가 내 정보 처리 기기를 통해 에러 코드 등을 확인하여 정보를 획득한다. 마찬가지로, 획득된 정보는 홈네트워크 서버(200)의 수명주기 연산 모듈(208)에 전송되고, 여기에서 성능이 점검되고 수명주기가 연산된다.
한편, 이와 같이, 시운전 데이터와 운전 데이터가 동일한 양식을 갖기에, 통합 운전 데이터의 통합이 용이하다. 시운전 전후 입주자가 결정되면 입주자 ID 부분만 추가될 여지가 있으며, 그 외의 양식은 동일하다.
여기에 포함되는 설비 자재 운용 데이터도 동일한 양식을 갖는다. 설비 자재가 교체되더라도 각 설비 자재마다 확인이 필요한 표준수명의 양식 내지 단위는 동일하다. 예컨대, 조명의 경우 소비 전력(단위-와트), 조도 또는 광속(단위-루멘 또는 케이), 표준 수명(단위-시간) 등은 동일할 것이다. 다만, 성능 부분은 시간에 따라 계속 변화하므로 시간에 따라 누적하여 변화된 값을 기록한다.
설비 자재 운용 데이터 중 표준수명 및 성능기준은 시운전시 확보될 수도 있으나, 시운전 전에 또는 건물의 완공 전에 미리 확보될 수도 있다. 어떠한 설비 자재가 설치될 것인지에 대한 계획이 미리 작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시운전모드에서, 작업자용 단말기(11)의 도어락(330)으로의 접근이 허용된다. 이로 인해, 시운전 중에 설비 자재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작업자가 도어락(330)을 개방하여, 해당 설비 자재가 구비된 세대에 들어가 설비 자재를 수리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한편, 시운전모드에서, 입주자용 단말기(12)의 도어락(330)으로의 접근은 차단된다. 구체적으로, 입주자용 단말기(12)에 의해 도어락 개방신호의 발송이 차단될 수 있다. 도어락 개방신호란, 입주자용 단말기(12)에 저장되는 신호로서, 입주자용 단말기(12)를 사용하는 입주자가 세대의 도어락(330)을 개방할 수 있게 한다. 입주자용 단말기(12)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도어락 개방신호를 도어락(330)에 전송할 수 있는데, 시운전모드에서는 이러한 도어락 개방신호의 전송이 차단된다.
이는, 입주가 결정되지 않은 시점에서 입주자의 출입을 방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입주모드에서, 공실 세대 판단 모듈(207)에 의해 공실 세대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작업자용 단말기(11)의 도어락(330)으로의 접근이 차단된다. 구체적으로, 작업자용 단말기(11)가 인증 서버(110)에 작업자용 단말기 인증번호를 요청하더라도 작업자용 단말기 인증번호를 생성하지 않는다. 여기서, 작업자용 단말기 인증번호란, 작업자용 단말기(11)의 요청이 있는 경우, 인증 서버(110)가 생성하여 작업자용 단말기(11)에 전송하는 인증번호이다. 또한, 인증 서버(110)는 서버 인증번호를 생성하지 않는다. 여기서 서버 인증번호란, 인증 서버(110)가 생성하여 도어락 인증모듈(332)에 전달하는 인증번호이다. 즉, 입주모드에서 세대가 공실 세대인 경우, 작업자용 단말기(11)에 의한 인증번호 요청이 있더라도, 어떠한 인증번호도 생성되지 않는다.
시운전이 종료된 이후로부터 입주가 이루어지기 이전까지는, 세대는 공실로 유지되어야 한다. 입주모드에서 작업자용 단말기(11)의 도어락(330)으로의 접근이 차단됨으로써, 작업자가 공실 세대에 무단으로 들어와 공실 세대를 사용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입주모드에서, 공실 세대 판단 모듈(207)에 의해 공실 세대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입주자용 단말기(12)의 도어락(330)으로의 접근이 차단된다. 차단 방법은, 상기한 시운전모드에서의 차단 방법과 동일한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입주모드에서, 공실 세대인 경우 입주자용 단말기(12)의 도어락(330)으로의 접근이 차단됨으로써, 입주가 결정되지 않은 시점에서 입주자의 출입이 방지될 수 있다.
입주모드에서, 공실 세대 판단 모듈(207)에 의해 재실 세대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작업자용 단말기(11)의 도어락(330)으로의 접근이 차단된다. 차단 방법은, 상기한 입주모드에서, 공실 세대인 경우와 동일한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입주모드에서, 공실 세대 판단 모듈(207)에 의해 재실 세대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입주자용 단말기(12)의 도어락(330)으로의 접근이 허용된다. 구체적으로, 입주자용 단말기(12)에 의해 도어락(330)으로 도어락 개방신호가 전송되면, 도어락 인증모듈(332)은 도어락 개방신호를 확인하여, 도어락(330)을 개방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대단말기의 시운전모드에서의 화면 예시이다.
도 4의 (a)는 세대단말기(300)의 관리자 설정 메뉴를 표시한 것이다. 시운전모드 또는 입주모드 중 어느 모드도 선택되지 않는 경우(즉, 완공 이전의 초기상태의 세대단말기(300))라면, 관리자 설정 메뉴의 모드 설정 메뉴에서 시운전모드 또는 입주모드 중 어느 것도 체크되어 있지 않다.
홈네트워크 서버(200)의 모드 선택 모듈(206)에 시운전모드가 입력된 경우, 모드 선택 모듈(206)에 의해 시운전모드 선택정보가 생성된다. 시운전모드 선택정보가 단지 내 모든 세대단말기(300)에 전달되면, 단지 내 모든 세대에 구비되는 세대단말기(300)의 모드 관리자 설정 메뉴는, 도 4의 (a)의 상태로 일괄적으로 변경된다.
한편,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모드 선택 모듈(206)에 의해 시운전모드 선택 정보가 생성되지 않아도, 시공 관리사 직원 또는 작업자가 직접 각 세대를 방문하여, 세대단말기(300)를 통해 시운전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공 관리사 직원 또는 작업자가 직접 관리자 설정 메뉴의 모드 설정 메뉴에서 시운전모드를 체크한다. 이러한 경우, 직접 조작된 세대단말기(300)에서의 화면만이 도 4의 (a) 상태로 변경된다.
세대의 시운전모드의 관리자 설정 메뉴의 모드 설정 메뉴에서 시운전모드가 선택되도록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도 4의 (b)는 세대단말기(300)의 홈화면을 표시한 것이다. 시운전모드가 선택된 경우, 세대단말기(300)의 홈화면의 하단부에는 시운전모드라는 문자가 표시될 수 있다. 비단, 홈화면 뿐만 아니라, 설비 자재 제어 화면(미도시), 엘리베이터 호출 화면(미도시) 등에서도 하단에 시운전모드라는 문자가 표시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대단말기의 입주모드에서의 화면 예시이다.
도 5의 (a)는 세대단말기(300)의 관리자 설정 메뉴를 표시한 것이다. 홈네트워크 서버(200)의 모드 선택 모듈(206)에 입주모드가 입력된 경우, 모드 선택 모듈(206)에 의해 입주모드 선택정보가 생성된다. 입주모드 선택정보가 단지 내 모든 세대단말기(300)에 전달되면, 단지 내 모든 세대에 구비되는 세대단말기(300)의 모드 관리자 설정 메뉴는, 도 5의 (a)의 상태로 일괄적으로 변경된다.
한편,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시공 관리사 직원 또는 작업자가 직접 각 세대를 방문하여, 세대단말기(300)를 통해 입주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시공 관리사 직원 또는 작업자가 직접 관리자 설정 메뉴의 모드 설정 메뉴에서 입주모드를 체크한다. 이러한 경우, 직접 조작된 세대단말기(300)에서의 화면만이 도 5의 (a) 상태로 변경된다.
도 5의 (b)는 세대단말기의 홈화면을 표시한 것이다. 입주모드가 선택된 경우, 세대단말기(300)의 홈화면의 하단부에는 시운전모드라는 문자가 더 이상 표시되지 않는다. 비단, 홈화면 뿐만 아니라, 설비 자재 제어 화면(미도시), 엘리베이터 호출 화면(미도시) 등에서도 하단에 시운전모드라는 문자가 더 이상 표시되지 않는다.
한편, 도 4 내지 도 5의 세대단말기(300)의 화면은,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에 불과하며, 반드시 본 개시에 따른 세대단말기(300)가 도 4 내지 도 5에서의 화면과 동일할 필요는 없음에 유의한다.
<시운전모드 및 입주모드에서의 인증 및 출입방법>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시운전모드에서의 작업자 인증 및 출입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홈 시스템(1)을 이용한 시운전모드에서의 작업자 인증 및 출입 방법을 설명한다.
작업자용 단말기(11)에 의해 서버 인증번호가 생성된다. 생성된 서버 인증번호는, 인증 서버(110)로부터 홈네트워크 서버(200)로 전송된다. 홈네트워크 서버(200)는, 세대단말기(300)를 통해 도어락 인증모듈(332)에 서버 인증번호를 송신한다. 한편, 여기서 서버 인증번호는, 인증 서버(110)에 기 저장되어 있는 규칙에 의해 생성된 번호를 의미한다. 인증 서버(110)는 각 세대에 부여되며, 서버 인증번호와 후술할 도어락 인증번호를 비교함으로써, 작업자 인증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이후에, 작업자에 의해, 작업자용 단말기(11)로부터, 인증 서버(110)에 작업자용 단말기 인증번호가 요청된다. 인증 서버(110)는, 요청한 작업자용 단말기(11)에서 작업자 식별자(작업자 ID)를 확인한다. 이때, 인증 서버(110)는, 작업자 데이터베이스(111)와 협업하여 작업자 식별자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업자 데이터베이스(111)에는 작업자 식별자에 대응되는 출입 가능한 세대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예컨대, 작업자 A는, 101동 3,4라인에 출입가능하며, 이에 관한 정보가 작업자 데이터베이스(111)에 저장되어 있다. 인증 서버(110)는,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작업자용 단말기 인증번호를 생성한다.
생성된 작업자용 단말기 인증번호는, 작업자용 단말기(11)에 전송된다.
상기한 단계까지는, 모드 선택 모듈(206)에 시운전모드가 입력되기 전까지의 사전 준비 과정에 해당한다.
이후에, 모드 선택 모듈(206)에 시운전모드가 입력되면, 모드 선택 모듈(206)은 시운전모드 선택정보를 생성한다.
생성된 시운전모드 선택정보는, 세대단말기(300)를 통해 도어락 인증모듈(332)에 전송된다.
작업자용 단말기(11)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도어락(330)에 도어락 인증번호를 전송한다. 이때, 도어락 인증번호는, 인증 서버(110)로부터 수신한 작업자용 단말기 인증번호가 이용됨으로써, 작업자용 단말기(11)에 의해 생성되는 번호를 의미한다.
도어락 인증모듈(332)은, 인증 서버(110)에 의해 생성 및 전송된 서버 인증번호와, 작업자용 단말기(11)에 의해 생성 및 전송된 도어락 인증번호를 비교함으로써, 작업자 인증여부를 결정한다.
작업자가 인증되면, 도어락(330)의 개폐 구동 모듈(331)에 의해, 도어락(330)이 개방될 수 있다.
한편, 모드 선택 모듈(206)에 의해 시운전모드가 입력된 이후로부터는, 입주자용 단말기(12)의 도어락(330)으로의 접근이 차단된다. 구체적으로, 입주자용 단말기(12)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도어락(330)에 도어락 개방신호(도 7 참조)의 전송을 시도하는 경우, 입주자용 단말기(12)에 의해 도어락 개방신호의 발송이 차단된다. 바람직하게는, 입주자용 단말기(12)에 다운로드되어 있는 입주자용 출입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에 의해 근거리 통신을 통한 도어락 개방신호의 발송이 제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입주가 결정되지 않은 시점에서 마땅히 출입하여야 할 작업자가 아닌 사람의 출입이 방지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6에 따른 작업자의 인증 및 출입 방법으로 세대에 출입 가능하게 된 작업자는, 세대 내 설비 자재의 하자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적절하게 수리 및 교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입주자모드에서의 입주자 인증 및 출입 절차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홈 시스템(1)을 이용한 입주모드 중 재실 세대의 입주자 인증 및 출입 방법을 설명한다.
모드 선택 모듈(206)에 입주모드가 입력되면, 모드 선택 모듈(206)은 입주모드 선택정보를 생성한다.
생성된 입주모드 선택정보는 홈네트워크 서버(200)로부터, 세대단말기(300)를 통해 도어락 인증모듈(332)에 전송된다.
입주자는, 입주가 결정된 시점 이후에, 입주자용 단말기(12)를 통해 인증 서버(110)에 회원 가입 요청을 전송한다. 이때, 회원 가입 요청 시, 난수 코드가 발생하여 함께 전송된다. 인증 서버(110)는 수신한 난수 코드가 기 설정된 규칙에 의한 난수 코드임을 확인하면, 회원 가입 요청을 승인한다.
회원 가입이 승인된 이후, 입주자용 단말기(12)를 이용하여 인증 서버(110)에 도어락 개방신호가 요청된다. 인증 서버(110)는, 요청한 입주자용 단말기(12)에서 입주자 식별자(입주자 ID)를 확인한다. 이때, 인증 서버(110)는, 입주자 데이터베이스(121)와 협업하여 입주자 식별자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주자 데이터베이스(121)에는 입주자 식별자에 대응되는 출입 가능한 세대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예컨대, 입주자 B는, 101동 2104호에 입주 중 또는 입주 예정 중이며, 이에 관한 정보가 입주자 데이터베이스(121)에 저장되어 있다. 인증 서버(110)는,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도어락 개방신호를 생성한다.
생성된 도어락 개방신호는, 입주자용 단말기(12)에 전송된다.
이후에, 또는 이와 동시에, 입주자용 단말기(12)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도어락 개방신호를 도어락 인증모듈(332)에 전송한다.
도어락 인증모듈(332)은 수신한 도어락 개방신호를 기 설정된 방법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입주자가 확인되면, 도어락(330)의 개폐 구동 모듈(331)에 의해, 도어락(330)이 개방될 수 있다.
한편, 모드 선택 모듈(206)에 입주모드가 입력된 이후로부터는, 작업자용 단말기(11)의 도어락(330)으로의 접근이 차단된다. 구체적으로, 작업자용 단말기(11)가 인증 서버(110)에 서버 인증번호를 요청하는 경우에, 인증 서버(110)는 서버 인증번호를 생성하지 않는다. 설령, 인증 서버(110)가 서버 인증번호를 생성하였더라도, 홈네트워크 서버(200)는 생성된 서버 인증번호를 세대단말기(300)에 전달하지 않을 것이다.
또한, 작업자용 단말기(11)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도어락(330)에 도어락 인증번호(도 6 참조)의 전송을 시도하는 경우, 작업자용 단말기(11)에 의해 도어락 인증번호의 발송이 차단된다. 바람직하게는, 작업자용 단말기(11)에 다운로드되어 있는 작업자용 출입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근거리 통신을 통한 도어락 인증번호의 발송이 제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작업자용 단말기(11)가 도어락 인증번호를 도어락 인증모듈(332)에 전송하더라도, 도어락 인증모듈(332)은 입주자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개폐 구동 모듈(331)이 구동되지 않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시운전이 종료되어 더 이상 작업자가 세대로 출입할 필요가 없어진 경우, 작업자의 출입이 제한됨으로써 공실 세대의 설비 자재의 도난 사건, 공실 세대의 무허가 점유 등이 방지될 수 있고 및 재실 세대의 보안이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일련의 과정은, 입주모드가 입력된 상태에서도, 특히 공실 세대 판단 모듈(207)에 의해 재실 세대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를 상정한 것이다.
만약, 공실 세대 판단 모듈(207)에 의해 공실 세대인 것으로 판단된다면 작업자용 단말기(11)의 도어락(330)으로의 접근 및 입주자용 단말기(12)의 도어락(330)으로의 접근이 모두 차단될 것이다.
<시운전모드에서의 데이터 수집 방법>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시운전모드에서의 시운전 데이터 수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스마트홈 시스템(1)이 시운전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을, 세대단말기(300)를 중심으로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홈네트워크 서버(200)의 모드 선택 모듈(206)에 의해 시운전모드가 입력되면, 시운전모드 선택정보가 모드 선택 모듈(206)에 의해 생성되고, 세대단말기(300)에 전송된다.
이후, 시공 관리사 서버(120)에 의해 생성된 시운전명령이 홈네트워크 서버(200) 및 세대단말기(300)에 전달된다. 시운전명령은, 구체적으로, 베이크아웃, 난방 환수온도 확인, 조명 점등 확인, 도어락 확인, 결로확인 등과 관련된 것일 수 있다.
시운전명령은, 세대단말기(300)를 통해 세대 내 설비 자재에 전달된다. 여기서, 세대 내 설비 자재라 함은, 세대 내에 구비되는 설비 자재를 의미한다. 세대 내 설비 자재는, 냉방장치(321), 난방장치(322), 환기장치(323) 및 조명스위치(324)를 포함할 수 있다. 냉방장치(321), 난방장치(322), 환기장치(323) 및 조명스위치(324)는 수신한 시운전명령에 상응하도록 구동된다. 시운전명령에 상응하여 구동되는 설비 자재 작동 정보가 생성되어, 세대단말기(300)에 전송된다. 이때, 설비 자재 작동 정보라 함은, 각 설비 자재 내부에 구비되는 IC 칩 등에 의해 생성되는 정보로서, 각 설비 자재의 구동 시간 및 구동 횟수에 관한 정보를 의미한다.
시운전명령을 수신한 세대단말기(300)는 일정한 주기로 복수의 센서에 의해 센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센서는, 공기질센서(311), 실내온습도 센서(312), 환수온도 센서(313) 및 계측기(314)를 포함할 수 있다.
시운전명령을 수신한 세대단말기(300)는 일정한 주기로 도어락(330)에 의해 생성된 도어락 전원정보, 개폐여부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홈네트워크 서버(200)의 모드 선택 모듈(206)에 의해 입주모드가 입력되면, 입주모드 선택정보가 모드 선택 모듈(206)에 의해 생성되고, 세대단말기(300)에 전송된다. 이후에 또는 이와 동시에, 공실 세대 판단 모듈(207)이 각각의 세대에 대하여 공실 세대 여부를 판단한다.
공실 세대 판단 모듈(207)에 의해 공실 세대로 판단된 경우, 세대단말기(300)는 세대 내 설비 자재 중 하나 이상이 구동되는 것으로 판단하면, 홈네트워크 서버(200)에 알림을 전송한다. 공실이어야 하는 세대에서 비정상적으로 설비 자재가 구동되는 것은, 무단 침입자가 침입하여 있거나 설비 자재가 고장난 경우 등에 해당하여, 세대의 하자가 야기될 수 있다. 한편, 공실 세대인 경우 설비 자재가 구동된 사실이 홈네트워크 서버(200)에 의해 모니터링 됨으로써, 이러한 하자가 방지될 수 있고, 양호한 상태로 보전된 세대에 입주자가 입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공실 세대 판단 모듈(207)에 의해 재실 세대로 판단된 경우, 세대단말기(300)는 복수의 센서에 의해 생성된 센싱 정보 및 세대 내 설비 자재에 의해 생성된 설비 자재 작동 정보를 모두 수신 및 수집한다. 수집된 센싱 정보 및 설비 자재 구동 정보는 홈네트워크 서버(200)에 전달된다. 홈네트워크 서버(200)의 시운전 데이터 수집 모듈(203)은, 센싱 정보 및 설비 자재 구동 정보를 이용하여 시운전 데이터를 수집한다.
또한, 센싱 정보 및 설비 자재 구동 정보는 홈네트워크 서버(200)를 통해 시공 관리사 서버(120)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설비 자재 정보 획득 모듈(202)에 의해, 설비 자재 운용 데이터(설비 자재의 구동 정보 및 표준수명)가 수집 및 획득되고, 이러한 수집 및 획득된 정보는, 시공 관리사 서버(120)에 전달된다.
또한, 설비 자재 운용 데이터는 입출력 모듈(210)을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될 수 있다. 입출력 모듈(210)은 홈네트워크 서버(200)에 구비되는 출력기기로서, 시공사 또는 관리사가 보유한 휴대용 단말기, 노트북, PC 등일 수 있다. 입출력 모듈(210)에 출력되는 센싱 정보 및 설비 자재 구동 정보는, 각 세대별로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도 10 내지 도 14 참조). 한편, 시운전의 종류에 따른 입출력 모듈(210)에서의 화면 예시는, 도 11 내지 도 14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시공 관리사 서버(120)는, 수신한 수집 및 획득된 설비 자재 운용 데이터를 설비 자재 데이터베이스(122)에 업데이트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홈 시스템을 이용한 건물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홈 시스템(1)의 시운전시, 건물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설비 자재 정보 획득 모듈(202)에 의해, 건물에 설치된 각 세대의 설비 자재의 표준수명 및 성능기준이 설비 자재 운용 데이터로서 획득된다(S900). 획득된 설비 자재 운용 데이터는 설비 자재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된다.
이후, 모드 선택 모듈(206)에 의해 시운전모드가 입력되면, 건물이 시운전된다. 건물이 시운전되는 동안, 시운전 데이터 수집 모듈(203)이 시운전 데이터를 수집한다(S910). 구체적으로, 시운전 데이터는, 건물에 설치된 설비 자재로부터 성능 정보를 포함한다.
시운전 데이터 수집 모듈(203)이 수집된 성능 정보와 설비 자재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된 해당 설비 자재의 성능기준을 비교함으로써, 에러 코드가 결정될 수 있다(S920). 이때, 에러 코드가 결정된 설비 자재의 개수가 입출력 모듈(21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도 10a 및 도 10b 참조).
예컨대, 조명 기기에서 성능기준은 설비 자재 데이터베이스(122)에 기록된 5000K의 조도이며 기 설정된 범위는 5% 이내(즉, 4750K 이상인 경우 정상 판단)인데, 시운전시 점검 결과 4700K의 조도로 확인되었다면, 하자가 있는 것으로 결정한다. 하자로 결정된 경우, 에러 코드 데이터베이스(220)를 이용하여 에러 코드가 결정된다. 에러 코드 데이터베이스(220)에는 설비 자재의 종류, 설비 자재의 하자의 종류에 매칭되는 에러 코드가 각각 부여되어 있다.
수명주기 연산 모듈(208)은, 각 세대에서 수집된 에러 코드 및 [수학식 1]을 이용하여 하자발생율을 연산한다(S930).
Figure pat00001
구체적으로, 수명주기 연산 모듈(208)은, 설비 자재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된 어느 하나의 설비 자재의 총 개수를 확인한다. 이후에, S920 단계에서 에러 코드가 결정된 설비 자재의 총 개수에서 상기한 어느 하나의 설비 자재의 총 개수를 나눔으로써, 하자발생율이 연산된다.
예컨대, 1000 세대로 형성되는 단지의 각 세대에 LED 조명이 3개씩 배치되는 경우, LED 조명의 총 개수는 3000개이다. S920 단계에서 에러 코드가 결정된 LED의 총 개수가 30개인 경우, 하자발생율은 0.01이다.
이후에, 수명주기 연산 모듈(208)은 설비 자재 데이터베이스(122)에 저장된 표준수명을 확인하고, 표준수명, 하자발생율 및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수명주기를 연산한다(S940).
Figure pat00002
예컨대, 표준수명이 1000시간인 LED 조명의 수명주기는, 1000·(1-0.01) = 990시간인 것으로 연산될 수 있다.
수명주기 연산 모듈(208)은, 세대 데이터 및 설비 자재를 입력자료로 하고, 설비 자재에 대한 수명주기를 출력자료로 하여 인공지능 모델을 학습한다(S950). 여기서, 세대 데이터는, 지역, 일조량, 세대의 건물 내 위치, 주향 및 베이(bay)의 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학습된 모델에 새로운 세대 데이터가 입력되면, 세대 데이터에 대응되는 설비 자재에 대한 수명주기가 출력되고, 수명주기 연산 모듈(208)은, 출력된 수명주기가 경과한 경우, 해당 세대의 세대단말기(300)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S960).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관리 방법에 의하면, 실제 해당 제품의 품질을 하자발생율로 추정하고, 하자발생율은 인공지능에 의한 학습 모델에 의해 비교적 정확하게 연산되고, 이러한 하자발생율을 감안하여 수명주기를 연산하기에 선제적으로 교체함으로써 수명이 다 한 설비자재가 야기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과가 있다.
상기한 일련의 과정에서 수집된 시운전 데이터는, 정보 거래 모듈(124)에 의해 정보 거래사에게 매매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시공사 및 관리사는 이익을 취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출력 모듈이 시운전 모드에서 출력하는 화면의 예시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입출력 모듈(210)에 표시되는 화면에서 ①로 표시된 메뉴를 통해, 현장, 동 및 날짜를 선택할 수 있다. 현장은 시공사에서 시공한 건물 중 어느 한 건물(또는 단지)를 의미한다. 동은, 시공사에서 시공한 건물 중 특정 동을 의미한다. 현장, 동 및 날짜가 선택되면, ②로 표시된 메뉴에 해당 동의 모든 세대가 표시된다. 여기에는, 각 세대의 하자가 있는 설비 자재의 개수가 "불량: 2개"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10b를 참조하면, 어느 한 세대의 설비 자재의 종류에 따른 에러 코드를 시간 별로 표시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에러 코드의 발생 현황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건물의 베이크아웃(bakeout)이 수행될 때, 입출력 모듈이 출력하는 화면의 예시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입출력 모듈(210)에 표시되는 화면에서 ①로 표시된 메뉴를 통해, 현장, 동 및 날짜를 선택할 수 있다. 현장, 동 및 날짜가 선택되면, ②로 표시된 메뉴에 시작일시, 종료일시 및 해당 동의 모든 세대가 표시된다. 여기에는, 각 세대의 베이크아웃 현황이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든 세대의 시작일시에서의 실내 공기질 및 종료일시에서의 실내 공기질이 표시된다.
시작일시에서의 실내 공기질에서 종료일시에서의 실내 공기질을 뺀 값이 양수이고, 기 설정된 기준(도 11a에서는 20)보다 큰 경우, 해당 세대가 파란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시작일시에서의 실내 공기질에서 종료일시에서의 실내 공기질을 뺀 값이 양수이고, 기 설정된 기준보다 작은 경우, 해당 세대가 초록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시작일시에서의 실내 공기질에서 종료일시에서의 실내 공기질을 뺀 값이 음수이면, 해당 세대가 빨간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베이크아웃 중에 시작일시에서의 실내 공기질에서 종료일시에서의 실내 공기질을 뺀 값이 음수란 것은, 실내 공기질이 악화된 것을 의미한다. 베이크아웃이 수행되는 동안에는 창문이 개방되어 있어야 함에도, 빨간색으로 표시된 세대에서는 창문이 폐쇄되어 있는 상태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작업자가 직접 해당 세대에 방문하여 창문을 개방하거나, 환기장치(323)를 구동하여 환기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입출력 모듈(210)에 표시되는 화면에서 ③으로 표시된 메뉴를 통해 선택된 현장 및 동의 점검 이력이 표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점검 일자, 점검 이름, 점검 종류, 시작일시, 시작결과, 종료일시, 종료결과 및 진행상태가 테이블 형식으로 제공됨에 따라,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베이크아웃 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입출력 모듈(210)을 통해 특정 세대의 시간에 따른 베이크아웃 결과가 그래프 형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베이크아웃 결과는, 가스사용량, 난방장치에 구비된 전력량계에 의해 감지된 난방에너지, 실내공기질(도 11b에서는 VOCs),실내온도 및 실외온도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건물의 난방 환수온도 확인이 수행될 때, 입출력 모듈이 출력하는 화면의 예시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입출력 모듈(210)에 표시되는 화면에서 ①로 표시된 메뉴를 통해, 난방 환수온도와 관련된 정보를 엑셀 형식으로 다운받을 수 있다.
또한, 입출력 모듈(210)에 표시되는 화면에서 ②로 표시된 메뉴를 통해, 동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모듈(210)에 표시되는 화면에서 ③으로 표시된 메뉴를 통해, 전체 세대 중 이상 세대만 선택하여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모듈(210)에 표시되는 화면에서 ④로 표시된 메뉴를 통해, 난방 환수온도 확인에 따른 결과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난방 환수온도 확인에 따른 결과는, 이상 발생 세대 수, 점검 항목, 점검 대상, 점검 시간, 점검 대상의 평균 난방 사용량 및 점검 기준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또한, 입출력 모듈(210)에 표시되는 화면에서 ⑤로 표시된 메뉴를 통해 동의 각 라인별로, 온도 조절기의 시작 및 종료 온도, 난방 사용량과, 환수온도 센서(313)에 의해 감지되는 방 별 환수온도가 표시된다.
도 13은 조명 점등 확인이 수행될 때, 입출력 모듈이 출력하는 화면의 예시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입출력 모듈(210)에 표시되는 화면에서 ①로 표시된 메뉴를 통해, 조명이 꺼진 세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모듈(210)에 표시되는 화면에서 ②로 표시된 메뉴를 통해, 조명이 켜진 세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모듈(210)에 표시되는 화면에서 ③으로 표시된 메뉴를 통해, 각 세대의 조명 점등 개별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입출력 모듈(210)에 표시되는 화면에서 ④로 표시된 메뉴를 통해, 전체 단지에 대한 조명 점등 제어가 일괄적으로 가능하다. 예컨대, 전체 단지 실행 메뉴를 클릭할 경우, 전체 단지에서의 조명 기기가 꺼진다. 다시, 전체 단지 실행 메뉴를 클릭하면, 전체 단지에서의 조명 기기가 켜질 수 있다.
도 14는 도어락 확인이 수행될 때, 입출력 모듈이 출력하는 화면의 예시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입출력 모듈(210)에 표시되는 화면에서 각 라인별, 도어락(330)의 배터리정보, 문열림상태, 키값 설정 및 재실여부가 표시될 수 있다. 입출력 모듈(210)에 표시되는 화면을 참고하여, 작업자는 도어락(330)의 상태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고, 도어락(330)에 물리적인 충격 알림 또는 화재 알림 등이 추가적으로 더 표시될 수 있다.
결로 관리 방법
도 15 및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홈 시스템을 이용한 세대 결로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대 결로 관리 방법의 제반 절차를 설명한다. 본 개시에 따른 세대 결로 관리 방법은, 시운전모드 또는 입주모드의 공실 세대에 대해 수행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결로 관리 모듈(209)에 의해 생성된 세대결로 확인명령이 세대단말기(300)에게 전송된다(S1500). 이때, 결로 관리 모듈(209)에는, 세대 데이터 관리 모듈(201)에 저장된 세대 데이터가 전송된다(S1510). 여기서, 세대 데이터에는 지역, 일조량, 세대의 건물 내 위치, 주향 및 베이(bay)의 수를 포함할 수 있다.
세대단말기(300)는 실내온습도 센서(312)에 의해 감지된 실내환경 정보 및 웨더 스테이션으로부터 확인된 실외환경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수집한다(S1520). 여기서, 실내환경 정보는, 실내온도 및 실내습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외환경 정보는 실외온도, 실외습도, 일조량, 풍량 및 풍속을 포함할 수 있다.
세대단말기(300)에 의해 수집된 정보는 결로 관리 모듈(209)에 전송된다(S1530).
결로 관리 모듈(209)은, 수신한 정보들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방법에 따라 결로생성 여부를 판단한다(S1540, S1550). 판단 방법과 관련하여, 도 16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S1550 단계에서, 결로가 생성된 것으로 판단되면, 결로 관리 모듈(209)은 설비 자재 제어 명령을 생성한다(S1552). 설비 자재 제어 명령은 냉방장치 구동 명령, 난방장치구동 명령 및 환기장치 구동 명령을 포함한다
S1550 단계에서, 결로가 생성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결로 관리 모듈(209)은, 세대마다 기 설정된 다음 주기까지 대기한다(S1554).
S1552 단계에서 생성된 설비 자재 제어 명령은 세대단말기(300)에 전송된다(S1560).
세대단말기(300)는 수신한 설비 자재 제어 명령을 각각의 세대 내 설비 자재에 전달한다(S1570).
구체적으로, 냉방장치(321)에는 냉방장치 구동 명령을 전송한다(S1580). 또한, 난방장치(322)에는 난방장치 구동 명령을 전송한다(S1581). 또한, 환기장치(323)에는 환기장치 구동 명령을 전송한다(S1582).
예컨대, 냉방장치 구동 명령을 수신한 냉방장치(321)는, 바람직하게는 에어컨일 수 있다. 만약, 실내습도가 결로가 발생할 수 있는 습도기준보다 높은 것으로 판단되면, 에어컨의 제습기능이 구동됨으로써, 실내습도가 낮아질 수 있고, 이로 인해 결로 생성이 방지되거나 생성된 결로가 제거될 수 있다.
난방장치 구동 명령을 수신한 난방장치(322)는, 에어컨 또는 전열기일 수 있다. 에어컨 또는 전열기에 의해 실내온도가 상승하면, 실내 상대습도가 감소할 수 있다. 상대습도는 실제 수증기량을 포화 수증기량으로 나눔으로써 구해지는데, 온도가 상승할 경우 포화 수증기량이 상승하게 되므로, 상대습도가 감소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실내습도가 낮아질 수 있고, 이로 인해 결로 생성이 방지되거나 생성된 결로가 제거될 수 있다.
환기장치 구동명령을 수신한 환기장치(323)는, 화장실 환기팬, 주방 레인지 후드팬 및 각 방별 환기팬을 포함할 수 있다. 화장실 환기팬, 주방 레인지 후드팬 및 각 방별 환기팬 중 하나 이상이 구동되면 실내온도 및 실외온도의 차이가 감소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결로 생성이 방지되거나 생성된 결로가 제거될 수 있다.
냉방장치(321), 난방장치(322) 및 환기장치(323) 중 어느 하나 이상이 구동된 후, S1500 단계 내지 S1582 단계는 반복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결로 생성 여부의 구체적인 판단 방법 및 S1554 단계에서의 기 설정된 다음 주기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설명한다.
실내온습도 센서(312)에 의해 실내온도 및 실내습도가 감지된다(S1600).
웨더 스테이션(340)에 의해 실외환경 정보(실외온도, 실외습도, 일조량, 풍속, 풍량 등)가 수집된다(S1610).
이때, 실내온습도 센서(312)는, 실내의 거실 중앙, 세대단말기(300) 내부, 각 방 및 화장실, 주방 등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실외환경 정보는 웨더 스테이션(340)에 의해 수집되는 정보 대신, 기상청 데이터베이스(미도시)로부터 전달된 기상정보일 수 있다.
결로 관리 모듈(209)에 의해 실내온도와 실외온도의 차이가 제1 기준 이상인지 여부가 판단된다(S1620).
S1620 단계에서, 실내온도와 실외온도의 차이가 제1 기준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결로 관리 모듈(209)에 의해 실내습도와 제2 기준이 비교된다(S1630).
S1630 단계에서, 실내습도가 제2 기준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면, 결로 관리 모듈(209)은 결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S1640).
S1620 단계에서, 실내온도와 실외온도의 차이가 제1 기준(예컨대, 5 ℃)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거나, S1630 단계에서, 실내습도가 제2 기준(예컨대, 50 %)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면, 결로 관리 모듈(209)은 결로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S1650).
결로 관리 모듈(209)은, 세대 데이터를 고려하여 다수의 세대 중 일부 세대에 대해서 제1 주기마다 한 번씩 결로 생성 여부를 판단하고, 다수의 세대 중 다른 일부 세대에 대해서 제1 주기보다 짧은 제2 주기마다 한 번씩 결로 생성 여부를 판단한다(S1651). 여기서, 세대 데이터에는 지역, 일조량, 세대의 건물 내 위치, 주향 및 베이(bay)의 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다수의 세대 중 일부 세대(예컨대, 2104호)보다 다수의 세대 중 다른 일부 세대(예컨대, 104호)의 일조량이 적다면 다수의 세대 중 다른 일부 세대(104호)의 벽이나 창호에는 결로가 생성되는 빈도가 높을 것이다. 즉, 결로 관리 모듈(209)은, 다수의 세대 중 다른 일부 세대(104호)가 결로에 취약한 세대인 것으로 판단하고, 더 자주 모니터링함으로써 효율적인 결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S1640 단계에서 결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결로 관리 모듈(209)은 결로 발생 시각 및 발생 횟수를, 홈네트워크 서버(200)의 입출력 모듈(210)을 통해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1660).
예컨대, 도 17a를 참조하면, 입출력 모듈(210)에 표시되는 화면에서 ①로 표시된 메뉴를 통해, 현장, 동 및 기간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모듈(210)에 표시되는 화면에서 ②로 표시된 메뉴를 통해, 선택된 현장, 동 및 기간에 상응하는 각 세대의 온도차의 기준 초과 현황과 실내습도의 기준 초과 현황이 표시된다.
예컨대, 온도차 기준이 5 ℃인 경우, 선택된 기간 동안 실내온도와 실내습도의 온도차가 5 ℃를 초과하는 횟수가 표시된다. 또한, 습도기준이 50 %인 경우, 선택된 기간 동안 실내습도가 50%를 초과하는 횟수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도 17b를 참조하면, 선택된 현장, 동에 속하는 세대에 대해, 습도 그래프 및 온도 그래프가 더 표시될 수 있다. 습도 그래프의 가로축은 시간이고 세로 축은 실내습도에 해당한다. 습도 그래프에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실내습도와 습도 기준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온도 그래프의 가로축은 시간이고 세로 축은 실내온도와 실외온도의 온도차에 해당한다. 온도 그래프에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온도차와 온도차 기준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입출력 모듈(210)에 출력되는 그래프들을 참조하여, 직관적으로 결로 생성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S1660 단계 이후에, 혹은 동시에, 설비 자재의 구동 시간 및 구동 횟수가 입출력 모듈(210), 세대단말기(300) 또는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S1670).
구체적으로, 시운전모드 또는 입주모드의 공실 세대에서는, 설비 자재의 구동 시간 및 구동 횟수가 입출력 모듈(210), 세대단말기(300) 및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될 수 있다. 시운전모드 또는 입주모드의 공실 세대에서의 사용자 단말기는, 시공사 단말기(미도시), 관리사 단말기(미도시) 또는 작업자용 단말기(11)일 수 있다.
한편, 입주모드의 재실 세대에서는, 설비 자재의 구동 시간 및 구동 횟수가 입출력 모듈(210), 세대단말기(300) 및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될 수 있다. 입주모드의 재실 세대에서의 사용자 단말기는, 입주자용 단말기(12)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스마트홈 시스템
11: 작업자용 단말기
12: 입주자용 단말기
110: 인증 서버
111: 작업자 데이터베이스
120: 시공 관리사 서버
121: 입주자 데이터베이스
122: 설비 자재 데이터베이스
123: 교체 알림 모듈
124: 정보 거래 모듈
200: 홈네트워크 서버
201: 세대 데이터 관리 모듈
202: 설비 자재 정보 획득 모듈
203: 시운전 데이터 수집 모듈
204: 운전 데이터 수집 모듈
205: 통합 운전 데이터 수집 모듈
206: 모드 선택 모듈
207: 공실 세대 판단 모듈
208: 수명 연산 모듈
209: 결로 관리 모듈
210: 입출력 모듈
220: 에러 코드 데이터베이스
240: 게이트웨이
300: 세대단말기
311: 공기질센서
312: 실내온습도 센서
313: 환수온도 센서
314: 계측기
321: 냉방장치
322: 난방장치
323: 환기장치
324: 조명스위치
330: 도어락
331: 개폐 구동 모듈
332: 도어락 인증모듈
340: 웨더 스테이션

Claims (9)

  1. 다수의 세대를 포함하는 건물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단지에서의 시운전시 획득되는 시운전 데이터를 획득하는 스마트홈 시스템(1)을 이용한 인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홈 시스템(1)은,
    인증 서버(110);
    시운전모드 또는 입주모드가 입력되도록 구성된 모드 선택 모듈(206)을 포함하며, 상기 인증 서버(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홈네트워크 서버(200);
    상기 모드 선택 모듈(206)에 의해 선택된 모드에 상응하여 작동되며, 상기 홈네트워크 서버(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세대단말기(300);
    개폐 구동 모듈(331) 및 도어락 인증모듈(332)을 포함하며, 상기 세대단말기(3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어락(330);
    작업자의 식별자와, 작업자가 출입 가능한 세대의 식별자가 저장된 작업자 데이터베이스(111); 및
    입주자의 식별자와, 입주자가 입주하는 세대의 식별자가 저장된 입주자 데이터베이스(121)를 포함하고,
    (a01) 상기 인증 서버(110)가 서버 인증번호를 생성하여 상기 홈네트워크 서버(200)를 통해 상기 세대단말기(300)에 전송하고, 상기 세대단말기(300)가 상기 도어락 인증모듈(332)에 상기 서버 인증번호를 전송하는 단계;
    (a02) 작업자용 단말기(11)가 상기 인증 서버(110)에 작업자용 단말기 인증번호를 요청하는 단계;
    (a03) 상기 인증 서버(110)가 상기 (a0-2) 단계에서 요청된 상기 작업자용 단말기(11)에서 작업자의 식별자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식별자와 상기 작업자 데이터베이스(111)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출입이 가능한 것으로 저장된 세대에 대한 작업자용 단말기 인증번호를 생성하여, 이를 상기 작업자용 단말기(11)에 전송하는 단계;
    (a1) 상기 모드 선택 모듈(206)에 의해 시운전모드가 입력되어, 상기 모드 선택 모듈(206)에 의해 시운전모드 선택정보가 생성되는 단계;
    (a2) 상기 시운전모드 선택정보가 상기 도어락(330)에 전송되는 단계;
    (a3) 상기 작업자용 단말기(11)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도어락(330)에 도어락 인증번호를 전송하는 단계;
    (a4) 상기 도어락(330)은 상기 서버 인증번호 및 상기 (a3) 단계에서 수신한 상기 도어락 인증번호를 비교함으로써 작업자 인증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a5) 작업자가 인증되면, 상기 개폐 구동 모듈(331)에 의해 상기 도어락(330)이 개방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그리고,
    (b1) 상기 모드 선택 모듈(206)에 의해 입주모드가 입력되어, 상기 모드 선택 모듈(206)에 의해 입주모드 선택정보가 생성되는 단계;
    (b2) 상기 입주모드 선택정보가 상기 도어락(330)에 전송되는 단계;
    (b3) 입주자용 단말기(12)에는 상기 입주자용 단말기(12)를 사용하는 입주자의 세대의 도어락을 개방할 수 있는 도어락 개방신호가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입주자용 단말기(12)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도어락 개방신호를 상기 도어락(330)에 전송하는 단계;
    (b4) 상기 도어락 인증모듈(332)이, 기 설정된 방법을 이용하여 수신한 상기 도어락 개방신호를 확인하여 상기 개폐 구동 모듈(331)에 의해 상기 도어락(330)을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3) 단계는,
    (b31) 상기 입주자용 단말기(12)가 상기 인증 서버(110)에 도어락 개방신호를 요청하는 단계; 및
    (b32) 상기 인증 서버(110)가 상기 (b31) 단계에서 요청한 입주자용 단말기(12)를 이용하여 입주자를 식별하고, 상기 입주자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식별된 입주자의 세대 및 도어락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도어락을 개방할 수 있는 도어락 개방신호를 상기 입주자용 단말기(12)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b31) 단계는,
    (b311) 상기 입주자용 단말기(12)가 회원 가입 요청을 상기 인증 서버(110)에 전송할 때에 난수 코드를 발생하여 함께 전송하는 단계; 및
    (b312) 상기 인증 서버(110)가 상기 전송된 난수 코드가 기 설정된 규칙에 의한 난수 코드로 확인된 경우, 회원 가입 요청을 승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3) 단계는,
    (b33) 상기 작업자용 단말기(11)가 상기 인증 서버(110)에 서버 인증번호를 요청하는 경우, 상기 인증 서버(110)에 의해 서버 인증번호가 생성되지 않는 단계; 및
    (b34) 상기 작업자용 단말기(11)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도어락(330)에 도어락 인증번호의 전송을 시도하는 경우, 상기 작업자용 단말기(11)에 의해 상기 도어락 인증번호의 발송이 차단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3) 단계는,
    (b35) 상기 홈네트워크 서버(200)의 공실 세대 판단 모듈(207)이, 상기 입주자용 단말기(12)가 도어락 개방신호를 전송한 도어락(330)의 세대가 공실 세대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b36) 상기 (b35) 단계에서 공실 세대로 판단된 경우, 상기 (b4) 단계에서 상기 도어락(330)의 상기 개폐 구동 모듈(331)이 상기 도어락(330)을 개방하지 않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a41) 상기 (a4) 단계 이후에, 시운전모드에서 상기 입주자용 단말기(12)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도어락(330)에 도어락 개방신호의 전송을 시도하는 경우, 상기 입주자용 단말기(12)에 의해 상기 도어락 개방신호의 발송이 차단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홈 시스템은, 시운전명령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시공 관리사 서버(1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홈네트워크 서버(200)는, 공실 세대 또는 재실 세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된 공실 세대 판단 모듈(207)을 더 포함하고,
    (c1) 상기 모드 선택 모듈(206)에 의해 시운전모드가 입력되어, 상기 모드 선택 모듈(206)에 의해 시운전모드 선택정보가 생성되는 단계;
    (c2) 상기 시운전모드 선택정보가 상기 세대단말기(300)에 전송되는 단계;
    (c3) 상기 시공 관리사 서버(120)에 의해 생성된 상기 시운전명령이, 상기 홈네트워크 서버(200) 및 상기 세대단말기(300)를 통해, 난방장치(322), 환기장치(323) 및 조명스위치(324)에 전달되는 단계;
    (c4) 상기 난방장치(322), 상기 환기장치(323) 및 상기 조명스위치(324)는 상기 시운전명령에 상응하도록 구동되는 단계
    를 포함하고, 그리고,
    (d01) 상기 모드 선택 모듈(206)에 의해 입주모드가 입력되어, 상기 모드 선택 모듈(206)에 의해 입주모드 선택정보가 생성되는 단계;
    (d02) 상기 입주모드 선택정보가 상기 세대단말기(300)에 전송되는 단계;
    (d1) 상기 공실 세대 판단 모듈(207)이 각각의 세대에 대하여 공실 세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d2) 상기 (d1) 단계에서 공실 세대로 판단되고, 상기 세대단말기(300)가 상기 난방장치(322), 환기장치(323) 및 조명스위치(324) 중 하나 이상이 구동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홈네트워크 서버(200)에 알림을 전송하는 단계;
    (d3) 상기 (d1) 단계에서 재실 세대로 판단되고, 상기 세대단말기(300)가 상기 난방장치(322), 상기 환기장치(323) 및 상기 조명스위치(324) 중 하나 이상이 구동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세대단말기(300)에 의해 설비 자재 작동 정보가 생성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d03) 입주모드에서, 상기 시운전명령이 상기 홈네트워크 서버(200)에 전송되는 경우, 상기 홈네트워크 서버(200)에 의해 상기 시운전명령의 상기 세대단말기(300)로의 전달이 차단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e1) 공기질센서(311), 실내온습도 센서(312) 및 환수온도 센서(313) 각각에 의해 센싱된 정보가 상기 세대단말기(300)에 전송되는 단계; 및
    (e2) 상기 설비 자재 작동 정보 및 상기 센싱된 정보가 세대단말기를 통해 상기 시공 관리사 서버(120)에 전달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220002244A 2021-11-30 2022-01-06 모드 전환이 가능한 세대단말기를 포함하는 스마트홈 시스템을 이용한 인증 방법 KR202300815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8470 2021-11-30
KR20210168470 2021-11-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1540A true KR20230081540A (ko) 2023-06-07

Family

ID=86762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2244A KR20230081540A (ko) 2021-11-30 2022-01-06 모드 전환이 가능한 세대단말기를 포함하는 스마트홈 시스템을 이용한 인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154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21028A (zh) * 2023-09-22 2023-12-12 中山市狮盾电气有限公司 一种智能设备的配置方法及配置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21028A (zh) * 2023-09-22 2023-12-12 中山市狮盾电气有限公司 一种智能设备的配置方法及配置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ambley et al. Advanced sensors and controls for building applications: Market assessment and potential R&D pathways
JP6648087B2 (ja) 設備機器管理システム、空調機管理システム、通信条件調整方法
CN103597292B (zh) 用于建筑物的供暖、通风和空调hvac系统的监视系统和监视方法
EP3346674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CN105074344B (zh) Hvac系统远程监测和诊断
US8874497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environmental conditions of different entities
US10607478B1 (en) Building security system with false alarm reduction using hierarchical relationships
KR101890054B1 (ko) 메인터넌스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101977175B1 (ko) 공동주택 시설물 통합 관리 방법, 세대출입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공동주택 통합 관리서버
CN107787469A (zh) 具有控制系统中枢和远程传感器的多功能家庭控制系统
CN106575103A (zh) 基于控制线电流的加热、通风、空气调节系统模式检测
CN106461294A (zh) 热泵和空气调节分级系统及方法
KR20170121536A (ko) 사물인터넷 기반 지역난방 사용자 시설 모니터링 및 효율 개선 시스템
US20120310415A1 (en) Control panel for a control system and a control system
JP2006331372A (ja) エージェント装置、管理マネージャ装置および環境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
KR20130035577A (ko) 상황 인지 기반의 건물 에너지 소비 최적화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140316594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reducing safety risk and optimizing energy use
KR20130049254A (ko) 쓰리디 모델링 기반의 지능형 빌딩통합 자동제어 및 에너지 목표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81540A (ko) 모드 전환이 가능한 세대단말기를 포함하는 스마트홈 시스템을 이용한 인증 방법
US10503190B2 (en) Residential-area-energy-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using social network
KR102022010B1 (ko) Iot 기반 건물 및 시설물 통합 관리 플랫폼 장치 및 그 방법
KR20230081538A (ko) 스마트홈 시스템을 이용한 건물 관리 방법
KR20100089594A (ko) 친환경 에너지 관리 방법
KR20230081539A (ko) 스마트홈 시스템을 이용한 결로 관리 방법
KR102331117B1 (ko) 능동형 에너지 관리를 위한 소비 예측 절감 제어 시스템 및 소비 예측 절감 제어 프로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