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2608B1 - 지역난방 방식 공동주택 난방 시스템의 점검방법 - Google Patents

지역난방 방식 공동주택 난방 시스템의 점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2608B1
KR102272608B1 KR1020190102154A KR20190102154A KR102272608B1 KR 102272608 B1 KR102272608 B1 KR 102272608B1 KR 1020190102154 A KR1020190102154 A KR 1020190102154A KR 20190102154 A KR20190102154 A KR 20190102154A KR 102272608 B1 KR102272608 B1 KR 102272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household
temperature
return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2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2866A (ko
Inventor
최광석
송진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림
주식회사 지스타허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림, 주식회사 지스타허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림
Priority to KR1020190102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2608B1/ko
Publication of KR202100228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28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2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2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24D19/1048Counting of energy consump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 작업자에 의한 점검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점검의 편의성, 정확성을 높임과 동시에 점검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지역난방 방식 공동주택 난방 시스템의 점검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역난방 방식 공동주택 난방 시스템의 점검방법은, 통합 제어부가 복수의 세대 각각에 대한 세대 식별번호를 입력받는 단계와, 통합 제어부가 복수의 세대 각각의 세대 유량조절밸브를 최대 개도량 또는 동일한 개도비율로 세팅하는 단계와, 통합 제어부가 복수의 세대 각각의 세대 난방 제어부를 제어하여 복수의 세대 각각의 난방 목표온도를 동일하게 세팅하는 단계와, 복수의 세대 각각에 설정된 유량의 온수를 설정된 시간 동안 공급하는 단계와, 사전 설정된 시간 경과 후, 통합 제어부가 복수의 세대 각각의 실내온도 검출기 및 환수온도 검출기로부터 실내온도와 환수온도를 취득하는 단계와, 통합 제어부가 복수의 세대 각각으로부터 취득한 실내온도를 난방 목표온도와 비교하고, 복수의 세대를 난방 목표온도에 도달한 세대와 난방 목표온도에 도달하지 못한 세대로 구분하여 난방 상태에 이상이 있는 세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역난방 방식 공동주택 난방 시스템의 점검방법{INSPECTION METHOD FOR DISTRICT HEATING TYPE HEATING SYSTEM OF APARTMENT BUILDINGS}
본 발명은 지역난방 방식 공동주택 난방 시스템의 점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의 시공 후, 공동주택 각 세대의 난방 상태를 보다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점검할 수 있는 지역난방 방식 공동주택 난방 시스템의 점검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역난방은 공동주택, 업무용, 상업용, 공공용 건물에 개별 열생산 시설을 설치하지 않고, 열병합 발전소 등 대규모 열생산 시설에서 생산된 열(중온수)을 대단위 주거 및 건물에 일괄적으로 공급하는 도시기반 시설이다. 이러한 지역난방 시스템은 크게 열생산 시설, 열수송 시설, 열사용 시설로 구분될 수 있다.
지역난방 방식을 이용하는 공동주택 난방 시스템의 경우, 열생산 시설에서 생산되는 열에너지를 열수송 시설을 통해 공급받아 열교환기를 통해 난방에 필요한 온수를 생산하며, 열교환기에서 가열된 온수를 펌프를 이용하여 공동주택의 각 세대별로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각 세대로 공급되는 온수는 각 세대에 열에너지를 전달하고 냉각된 후 환수관을 통해 다시 열교환기로 환수되어 가열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지역난방 방식의 공동주택 난방 시스템은 다른 난방 시스템과 비교하여 에너지 이용효율 향상에 의한 에너지 절감 효과가 있고, 연중 24시간 열을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며, 각 세대의 실내온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켜 건강하고 쾌적한 주거환경을 유지할 수 있으며, 오염 배출물질을 줄여 깨끗한 도시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지역난방 방식의 난방 시스템을 도입한 공동주택이 완공되어 입주를 앞둔 시점에서 시공 주체 또는 설비 업체들은 난방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를 점검하게 된다. 현재의 난방 시스템 점검은 작업자가 직접 각 세대별로 방문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즉, 많은 작업자들이 일일이 각 세대를 출입하여 각 세대의 난방 장치를 작동시키고, 실내온도를 측정하거나 시각적으로 이상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방식은 많은 인력이 필요하므로 인건비가 많이 소요되고, 작업자들의 부주의에 의한 시설물 파손 등의 문제점이 생기기 쉬우며, 작업자들이 세대를 무분별하게 출입함에 따른 보안 문제, 작업자들에 대한 단속 문제가 뒤따르게 된다. 또한, 종래의 점검방식은 작업자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작업자가 세대의 난방 이상 상태를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할 위험이 있고, 작업자의 주관적 판단이 개입될 수밖에 없어 객관적으로 정확한 상태 파악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963416호 (2019. 03. 29.)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종래 작업자에 의한 점검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점검의 편의성, 정확성을 높임과 동시에 점검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지역난방 방식 공동주택 난방 시스템의 점검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역난방 방식 공동주택 난방 시스템의 점검방법은, 온수의 공급을 위한 급수관과, 온수의 환수를 위한 환수관과, 상기 급수관 및 상기 환수관과 연결되어 세대의 난방 존에 배치되는 난방관과, 상기 환수관으로 환수되는 온수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환수온도 검출기와, 상기 환수관을 통해 환수되는 온수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세대 유량조절밸브와, 상기 난방 존의 실내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실내온도 검출기와, 상기 세대 유량조절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세대 제어부를 구비하고 복수의 세대에 설치되는 복수의 세대 난방 설비와, 상기 복수의 세대 난방 설비를 통합 제어하기 위한 통합 제어부를 포함하는 지역난방 방식 공동주택 난방 시스템의 점검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통합 제어부가 상기 복수의 세대 각각에 대한 세대 식별번호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통합 제어부가 상기 복수의 세대 각각의 세대 유량조절밸브를 최대 개도량 또는 동일한 개도비율로 세팅하는 단계; (c) 상기 통합 제어부가 상기 복수의 세대 각각의 세대 난방 제어부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세대 각각의 난방 목표온도를 동일하게 세팅하는 단계; (d) 상기 복수의 세대 각각에 설정된 유량의 온수를 설정된 시간 동안 공급하는 단계; (e) 설정된 시간 경과 후, 상기 통합 제어부가 상기 복수의 세대 각각의 실내온도 검출기 및 환수온도 검출기로부터 실내온도와 환수온도를 취득하는 단계; 및 (f) 상기 통합 제어부가, 상기 복수의 세대 각각으로부터 취득한 실내온도를 상기 난방 목표온도와 비교하고, 상기 복수의 세대를 상기 난방 목표온도에 도달한 세대와 상기 난방 목표온도에 도달하지 못한 세대로 구분하여 난방 상태에 이상이 있는 세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세대 각각으로부터 취득한 환수온도를 사전 설정된 환수 기준 온도 범위와 비교하고, 상기 복수의 세대 중 실내온도가 상기 난방 목표온도에 도달하지 못한 세대를 환수온도가 상기 환수 기준 온도 범위 내에 있는 세대와 환수온도가 상기 환수 기준 온도 범위 미만인 세대로 구분하여 각 세대의 난방 상태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통합 제어부는, 실내온도가 상기 난방 목표온도에 도달하지 못한 세대 중, 환수온도가 상기 환수 기준 온도 범위 내에 있는 세대를 환경적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환수온도가 상기 환수 기준 온도 범위 미만인 세대를 설비적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역난방 방식 공동주택 난방 시스템의 점검방법은, (g) 상기 통합 제어부가 상기 복수의 세대 중 이상이 있는 세대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의 개인 단말기에 송신하여 관리자가 이상이 있는 세대를 방문 점검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g) 단계 이후, 상기 (b) 단계 이후의 단계를 반복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세대는 상기 난방 존을 복수 개씩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세대 난방 설비는 상기 난방관과, 상기 환수온도 검출기와, 상기 실내온도 검출기를 각각 복수 개씩 구비하며,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통합 제어부가 상기 각 세대의 난방 존들 각각에 대한 세대별 난방 존 식별번호를 입력받고,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통합 제어부가 상기 각 세대의 실내온도 검출기들 및 환수온도 검출기들로부터 각 세대의 난방 존들 각각에 대한 실내온도와 환수온도를 취득하며,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통합 제어부가, 상기 각 세대의 난방 존들 각각으로부터 취득한 실내온도를 상기 난방 목표온도와 비교하고, 상기 각 세대의 난방 존들 각각을 상기 난방 목표온도에 도달한 난방 존과 상기 난방 목표온도에 도달하지 못한 난방 존으로 구분하여 난방 상태에 이상이 있는 난방 존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각 세대의 난방 존들 각각으로부터 취득한 환수온도를 사전 설정된 환수 기준 온도 범위와 비교하고, 상기 각 세대의 난방 존들 중 실내온도가 상기 난방 목표온도에 도달하지 못한 난방 존을 환수온도가 상기 환수 기준 온도 범위 내에 있는 난방 존과 환수온도가 상기 환수 기준 온도 범위 미만인 난방 존으로 구분하여 각 난방 존의 난방 상태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통합 제어부는, 실내온도가 상기 난방 목표온도에 도달하지 못한 난방 존 중에서, 환수온도가 상기 환수 기준 온도 범위 내에 있는 난방 존을 환경적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환수온도가 상기 환수 기준 온도 범위 미만에 있는 난방 존을 설비적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종래와 같이 작업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존하지 않고, 각 세대의 실내온도와 환수온도 등 객관적인 측정 데이터를 통해 각 세대의 난방 상태를 판단함으로써 점검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점검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으며, 점검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작업자들의 부주의에 의한 시설물 파손의 문제, 작업자들의 세대 출입에 따른 보안 문제, 작업자들에 대한 단속 문제 등 작업자가 직접 세대를 방문하는 종래의 점검방법에 따르는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역난방 방식 공동주택 난방 시스템의 점검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지역난방 방식의 공동주택 난방 시스템이 공동주택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지역난방 방식의 공동주택 난방 시스템의 일부분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지역난방 방식의 공동주택 난방 시스템의 세대 난방 설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역난방 방식 공동주택 난방 시스템의 점검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거나 단순화되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계없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역난방 방식 공동주택 난방 시스템의 점검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지역난방 방식의 공동주택 난방 시스템이 공동주택에 설치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지역난방 방식의 공동주택 난방 시스템의 일부분을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지역난방 방식의 공동주택 난방 시스템의 세대 난방 설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역난방 방식 공동주택 난방 시스템의 점검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역난방 방식 공동주택 난방 시스템의 점검방법은 지역난방 방식의 난방 시스템을 도입한 공동주택이 완공되어 입주를 앞둔 시점에서 난방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특히 공동주택을 구성하는 각 세대의 난방 상태가 정상인지, 이상이 있는지를 작업자에 의하지 않고 시스템적으로 점검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공동주택(100)은 건축물의 벽, 복도, 계단, 그 밖의 설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여러 세대가 공동으로 사용하면서 각 세대(120)마다 독립된 주거생활이 가능한 구조로 된 주택으로 정의되며, 이러한 공동주택에는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기숙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공동주택(100)은 외벽(110)으로 둘러싸이는 복수의 층에 복수의 세대(120)가 구비된 구조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시된 것과 같이, 지역난방 방식의 공동주택 난방 시스템은 공동주택(100)을 구성하는 복수의 세대(120)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세대 난방 설비(200)와, 복수의 세대 난방 설비(200)를 통합 제어하기 위한 통합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통합 제어부(300)는 관리자가 관리할 수 있도록 기계실(400)에 설치될 수 있다. 기계실(400)에는 통합 제어부(300) 이외에, 열생산 시설에서 공급되는 열에너지와 열교환하여 난방 온수를 가열하는 열교환기(450)와, 통합 제어부(300)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500)와,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550)와, 열교환기(450)에서 가열된 온수를 각 세대(120)로 압송시키기 위한 펌프(600)가 설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450)는 통상적인 지역난방 시스템과 같이 열생산 시설에서 공급되는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각 세대(120)를 순환하는 온수를 대략 45~50℃의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통합 제어부(300)는 통신부(500)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복수의 세대 난방 설비(200)와 통신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세대 난방 설비(200)는 열교환기(450)에서 가열된 온수를 공급받아 각 세대(120)를 난방할 수 있도록 각 세대(120)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각 세대(120)는 난방이 필요한 복수의 난방 존(125)을 구비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세대 난방 설비(200)는 온수를 해당 세대(120)에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210)과, 급수관(210)과 연결되는 급수 헤더(212)와, 급수 헤더(212)로부터 온수를 공급받는 복수의 난방관(214)과, 복수의 난방관(214)을 통과한 온수가 유입되는 환수 헤더(218)와, 환수 헤더(218)에 연결되는 환수관(216)과, 환수관(216)을 통과하는 온수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세대 유량조절밸브(220)와, 해당 세대(120)의 난방 제어를 위한 세대 난방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급수 헤더(212)는 급수관(210)을 통해 공급되는 온수를 복수의 난방관(214)으로 분배하고, 환수 헤더(218)는 복수의 난방관(214)을 통과한 온수를 모아 환수관(216)으로 배출시킨다.
복수의 난방관(214)은 각 세대(120)에 구비되는 복수의 난방 존(125)으로 온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각 난방 존(125)에 매설되며, 온수가 난방관(214)을 통해 유동함으로써 난방 존(125)에 대한 난방이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난방 존(125)은 각 세대(120)에 구비되는 방이나, 거실, 부엌 등이 될 수 있다. 각 난방 존(125)에는 실내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실내온도 검출기(222)가 설치된다. 실내온도 검출기(222)는 각 난방 존(125)의 실내온도를 검출하고, 검출 신호를 세대 난방 제어부(230)나 통합 제어부(300)로 전송할 수 있다.
급수 헤더(212)와 난방 존(125)의 사이에는 온수조절밸브(224)가 설치된다. 온수조절밸브(224)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조작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온수조절밸브(224)를 조작함으로써 난방관(214)을 통한 온수의 유동을 단속하거나, 난방관(214)으로 공급되는 온수의 유량을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난방 존(125)과 환수 헤더(218)의 사이에는 난방관 유량조절밸브(226)와 환수온도 검출기(228)가 설치된다. 난방관 유량조절밸브(226)는 난방관(214)을 통해 유동하는 온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난방관 유량조절밸브(226)는 세대 난방 제어부(230) 또는 통합 제어부(300)에 의해 제어되어 그 개도량이 조절될 수 있다. 난방관 유량조절밸브(226)의 개도량 조절에 따라 난방관(214)을 통해 각 난방 존(125)으로 공급되는 온수의 유량 조절이 가능하다. 즉, 난방관 유량조절밸브(226)의 개도량이 증가하면 난방관(214)을 따라 유동하는 온수의 유량이 증가하고, 난방관 유량조절밸브(226)의 개도량이 감소하면 난방관(214)을 통과하는 온수의 유량이 감소하게 된다. 세대 난방 제어부(230) 또는 통합 제어부(300)는 난방 존(125)의 난방 목표온도, 실내온도, 환수온도 등에 따라 난방관 유량조절밸브(226)를 제어함으로써, 난방 존(125)을 효율적으로 난방하는데 필요한 최적 유량의 온수가 해당 난방관(214)으로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환수온도 검출기(228)는 난방 존(125)을 난방하고 환수되는 온수의 온도를 검출하고, 그 검출 신호를 세대 난방 제어부(230)나 통합 제어부(300)로 전송할 수 있다.
세대 유량조절밸브(220)는 환수관(216)을 통해 환수되는 온수의 유량을 변화시킴으로써 해당 세대(120)로 공급되는 온수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세대 유량조절밸브(220)는 세대 난방 제어부(230) 또는 통합 제어부(300)에 의해 제어되어 그 개도량이 조절될 수 있다. 세대 유량조절밸브(220)의 개도량 조절에 따라 환수관(216)으로 환수되는 온수의 유량이 조절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각 세대(120)로 공급되는 온수의 유량 조절이 가능하다. 즉, 세대 유량조절밸브(220)의 개도량이 증가하면 세대(120)로 공급되는 온수의 유량이 증가하고, 세대 유량조절밸브(220)의 개도량이 감소하면 세대(120)로 공급되는 온수의 유량이 감소하게 된다. 세대 유량조절밸브(220)는 난방 부하, 실내온도, 환수온도, 온수의 압력 등에 따라 제어됨으로써, 세대(120)를 효율적으로 난방하는데 필요한 온수가 최적의 유량으로 해당 세대(120)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세대 난방 제어부(230)는 복수의 난방관 유량조절밸브(226) 및 세대 유량조절밸브(220)를 제어함으로써 해당 세대(120)의 난방 운전을 제어할 수 있다. 세대 난방 제어부(230)는 각 난방 존(125)에 설치되는 온도 조절기(232)와, 메인 조절기(234)를 포함한다.
온도 조절기(232)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난방 목표온도에 따라 해당 난방 존(125)의 실내온도가 난방 목표온도에 도달하도록 해당 난방 존(125)에 설치되는 난방관(214)에 대응하는 난방관 유량조절밸브(226)와 세대 유량조절밸브(220)를 제어할 수 있다. 온도 조절기(232)는 해당 난방 존(125)에 설치되는 실내온도 검출기(222)로부터 검출 신호를 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으며, 실내온도 검출기(222)가 검출한 실내온도가 난방 목표온도에 도달하면 난방관 유량조절밸브(226)나 세대 유량조절밸브(220)를 제어하여 해당 난방 존(125)으로 공급되는 온수의 유량을 감소시키거나, 공급 온수를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온도 조절기(232)는 실내온도 검출기(222)로부터 검출 신호를 전송받고 실내온도가 난방 목표온도 미만으로 떨어지면 난방관 유량조절밸브(226)나 세대 유량조절밸브(220)를 제어하여 해당 난방 존(125)으로 다시 온수가 공급되도록 하거나 공급되는 온수의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메인 조절기(234)는 난방 목표온도나, 실내온도, 환수온도 등에 따라 복수의 난방 존(125)을 효율적으로 난방하는데 필요한 최적 유량의 온수가 복수의 난방 존(125)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복수의 난방관 유량조절밸브(226)와 세대 유량조절밸브(220)를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다. 메인 조절기(234)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난방 목표온도에 따라 해당 난방 존(125)의 실내온도가 난방 목표온도에 도달하도록 해당 난방 존(125)에 설치되는 난방관(214)에 대응하는 난방관 유량조절밸브(226)와 세대 유량조절밸브(220)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메인 조절기(234)를 통해 특정 난방 존(125)에 대한 난방 목표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조절기(234)는 복수의 온도 조절기(232)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각 난방 존(125)의 실내온도가 난방 목표온도에 도달하도록 복수의 난방관 유량조절밸브(226)와 세대 유량조절밸브(220)를 제어할 수 있다.
통합 제어부(300)는 각 세대 난방 설비(200)의 세대 난방 제어부(230)와 통신하여 각 세대(120)의 난방 목표온도, 실내온도, 환수온도 등 난방 운전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제공받는다. 그리고 통합 제어부(300)는 복수의 세대 각각으로부터 취득한 실내온도를 사전 설정된 난방 목표온도와 비교하고, 복수의 세대 각각으로부터 취득한 환수온도를 사전 설정된 환수 기준 온도 범위와 비교함으로써, 각 세대의 난방 운전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각 세대의 난방 운전 상태를 점검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통합 제어부(300)는 세대 난방 제어부(230)와 통신하여 각 세대(120)의 난방관 유량조절밸브들(226)과 세대 유량조절밸브(220)를 원격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통합 제어부(300)는 통신부(500)를 통해 관리자의 개인 단말기(700)와 통신하여 오프라인 점검이나 관리를 위한 각종 정보를 개인 단말기(700)로 송신할 수 있다. 통합 제어부(300)가 개인 단말기(700)에 제공하는 정보로는 각 세대의 난방 운전 상태, 난방 운전에 이상이 있는 세대의 위치, 세대 내의 난방 운전에 이상이 있는 난방 존의 위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통합 제어부(300)에 의해 획득되는 이러한 정보는 디스플레이(55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역난방 방식 공동주택 난방 시스템의 점검방법은, 세대별 고유 식별번호 부여 단계(S11)와, 각 세대의 세대 유량조절밸브를 최대 개도량 또는 동일한 개도비율로 세팅하는 단계(S12)와, 각 세대의 난방 목표온도를 동일하게 세팅하는 단계(S13)와, 각 세대를 설정된 온수 유량으로 동일한 시간 동안 난방하는 단계(S14)와, 각 세대의 실내온도 및 환수온도를 취득하는 단계(S15)와, 각 세대의 실내온도 및 환수온도를 난방 목표온도 및 환수 기준 온도 범위와 비교하는 단계(S16)와, 각 세대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7)를 포함한다.
먼저, 세대별 고유 식별번호 부여 단계(S11)는 통합 제어부(300)가 복수의 세대(120) 각각에 대한 세대 식별번호를 입력받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통합 제어부(300)는 복수의 세대(120) 각각에 대한 세대 식별번호와 더불어, 각 세대(120)의 난방 존들(125) 각각에 대한 세대별 난방 존 식별번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각 세대의 세대 유량조절밸브를 최대 개도량 또는 동일한 개도비율로 세팅하는 단계(S12)는 통합 제어부(300)가 복수의 세대 각각의 세대 유량조절밸브(220)를 최대 개도량 또는 동일한 개도비율로 세팅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각 세대(120)의 세대 유량조절밸브(220)가 최대 개도량 또는 동일한 개도비율로 조절됨으로써, 각 세대(120)는 열교환기(450)로부터 공급되는 온수를 최대 유량 또는 동일한 비율의 유량으로 공급받을 수 있는 동일한 환경이 된다.
다음으로, 각 세대의 난방 목표온도를 동일하게 세팅하는 단계(S13)는 통합 제어부(300)가 복수의 세대(120) 각각의 세대 난방 제어부(230)를 제어하여 복수의 세대(120) 각각의 난방 목표온도를 동일하게 세팅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각 세대(120)에 구비되는 난방 존들(125) 각각의 난방 목표온도도 모두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각 세대를 설정된 온수 유량으로 동일한 시간 동안 난방하는 단계(S14)는 복수의 세대(120) 각각에 사전 설정된 유량의 온수를 사전 설정된 시간 동안 공급하여 각 세대(120)를 난방하는 단계이다. 예들 들어, 복수의 세대 각각이 동일한 면적을 가질 경우 복수의 세대 각각에 공급되는 유량은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복수의 세대가 다른 면적을 가질 경우에는 공동주택에 공급되는 전체 온수 공급 유량과 복수의 세대 각각의 면적비를 감안하여 복수의 세대 각각으로 공급되는 유량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세대(120)의 면적, 실내온도, 외기온도를 알고 난방 목표온도가 정해지면 사전 설정된 유량으로 세대(120)의 실내온도를 난방 목표온도까지 올리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기존 데이터로부터 추정될 수 있다. 따라서 이 단계에서, 난방 시점의 외기온도가 고려되어 적절한 난방 목표온도가 설정되고, 그에 따라 적절한 난방 시간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기온도가 10℃이고 난방 목표온도가 25℃라면, 각 세대에 온수를 설정된 유량으로 공급하여 난방 환경이 정상적인 세대를 난방 목표온도까지 난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3시간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외기온도가 영하 5℃인 경우, 난방 환경이 정상적인 세대를 난방 목표온도까지 난방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6시간으로 증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각 세대의 실내온도 및 환수온도를 취득하는 단계(S15)는 각 세대(120)를 설정된 시간 동안 난방한 후, 통합 제어부(300)가 복수의 세대(120) 각각의 실내온도 검출기(222) 및 환수온도 검출기(228)로부터 실내온도와 환수온도를 취득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각 세대(120)의 난방 존들(125) 각각의 실내온도와, 각 세대(120)의 난방 존들(125)에 각각 배치된 난방관(214)을 통과하여 환수되는 온수의 환수온도가 통합 제어부(300)에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각 세대의 실내온도 및 환수온도를 난방 목표온도 및 환수 기준 온도 범위와 비교하는 단계(S16)는 통합 제어부(300)가 복수의 세대(120) 각각으로부터 취득한 실내온도를 사전 설정된 난방 목표온도와 비교하고, 복수의 세대(120) 각각으로부터 취득한 환수온도를 사전 설정된 환수 기준 온도 범위와 비교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통합 제어부(300)는 각 세대(120)의 실내온도가 난방 목표온도에 도달하였는지 아니면 난방 목표온도 미만인지를 판단하고, 각 세대(120)를 난방하고 환수되는 온수의 환수온도가 환수 기준 온도 범위 내에 있는지 아니면 환수 기준 온도 미만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실내온도 및 환수온도는 각 세대(120)에 구비되는 복수의 난방 존(125) 각각의 실내온도 중 가장 낮은 실내온도, 복수의 난방 존(125) 각각의 실내온도를 평균한 온도, 복수의 난방 존(125) 각각의 실내온도 중 가장 높은 실내온도, 복수의 난방 존(125) 각각의 환수온도 중 가장 낮은 환수온도, 복수의 난방 존(125) 각각의 환수온도를 평균한 환수온도 환수온도, 복수의 난방 존(125) 각각의 환수온도 중 가장 높은 환수온도 등 각 세대(120)의 난방 상태를 비교할 수 있는 다양한 온도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각 세대의 실내온도 및 환수온도를 난방 목표온도 및 환수 기준 온도 범위와 비교하는 단계(S16)에서 통합 제어부(300)는 각 세대(120)에 구비되는 난방 존들(125) 각각의 실내온도가 난방 목표온도에 도달하였는지 아니면 난방 목표온도 미만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통합 제어부(300)는 각 세대(120)의 난방 존들(125)에 각각 배치된 난방관(214)을 통과한 온수의 환수온도가 환수 기준 온도 범위 내에 있는지 아니면 환수 기준 온도 미만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여기에서, 환수 기준 온도는 기존 데이터로부터 적절한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수 공급온도가 50℃인 경우, 환수 기준 온도는 30~35℃로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각 세대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7)는 통합 제어부(300)가 각 세대의 실내온도 및 환수온도를 난방 목표온도 및 환수 기준 온도 범위와 비교하는 단계(S16)의 결과 데이터로부터 각 세대(120)의 난방 상태가 정상인지 아니면 이상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통합 제어부(300)는 복수의 세대(120)를 난방 목표온도에 도달한 세대와 난방 목표온도에 도달하지 못한 세대로 구분함으로써 난방 상태에 이상이 있는 세대를 찾아낼 수 있다. 즉, 통합 제어부(300)는 사전 설정된 시간 동안 난방을 한 후에도 실내온도가 난방 목표온도에 도달하지 못한 세대를 난방 상태에 이상이 있는 세대로 판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통합 제어부(300)는 각 세대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7)에서 난방 목표온도에 도달하지 못한 세대 중 환수온도가 환수 기준 온도 범위 내에 있는 세대와 환수 기준 온도 범위 미만인 세대의 이상 상태를 다르게 판단할 수 있다. 즉, 통합 제어부(300)는 실내온도가 난방 목표온도 미만이면서 환수온도가 환수 기준 온도 범위 내에 있는 세대를 환경적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통합 제어부(300)는 실내온도가 난방 목표온도 미만이면서 환수온도가 환수 기준 온도 범위 미만인 세대를 설비적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여기에서, 환경적 이상은 각 세대의 세대 난방 설비(200)는 난방 운전에 문제가 없으나, 세대의 창문이나 문이 열려 있는 등 세대 난방 설비(200) 이외의 문제가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환경적 이상은 창문이나 문을 닫는 등의 조치를 통해 어렵지 않게 해결할 수 있는 이상 상태이다. 반면, 설비적 이상은 각 세대의 세대 난방 설비(200)에 문제가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세대 난방 설비(200)의 각종 밸브의 동작이 정상적이지 않거나, 난방관 이상으로 세대로 공급되는 온수가 정상적으로 유동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설비적 이상이 될 수 있다. 설비적 이상은 작업자가 세대 난방 설비(200)를 점검하고 수리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각 세대의 실내온도와 환수온도에 따른 난방 상태는 아래의 표와 같이 정리될 수 있다.
Figure 112019085711769-pat00001
본 실시예의 경우, 각각의 세대(120)는 복수의 난방 존(125)을 구비하며, 동일 세대라 하더라도 각 난방 존(125)의 난방 상태는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난방 존(125) 중 특정 난방 존(125)의 창문이 열려 있거나, 특정 난방 존(125)의 온수 유동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통합 제어부(300)는 각 세대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7)에서 각 세대(120)의 난방 존들(125)에 대한 각각의 실내온도와 환수온도에 따라 각 난방 존(125)에 대해서도 난방 상태를 정상 상태와, 환경적 이상 상태와, 설비적 이상 상태로 구분할 수 있다.
통합 제어부(300)는 각 세대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7)에서 각 세대(120)의 난방 상태를 판단한 후, 각 세대(120)의 난방 상태 정보를 디스플레이(550)에 출력하고, 관리자의 개인 단말기(700)에 송신할 수 있다. 통합 제어부(300)가 복수의 세대(120) 중 이상이 있는 세대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의 개인 단말기(700)에 송신함으로써, 관리자가 이상이 있는 세대를 확인하고 해당 세대에 대한 방문 점검을 할 수 있다. 즉, 관리자의 개인 단말기(700)로 난방 상태에 이상이 있는 세대에 대한 정보가 송신되면, 관리자가 이상이 있는 세대를 직접 방문하여 이상 상태에 따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관리자의 개인 단말기(700)로는 난방 상태에 이상이 있는 세대의 이상이 있는 난방 존에 대한 정보도 제공될 수 있으므로, 관리자가 해당 세대에 방문하여 이상이 있는 난방 존에 대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난방 상태에 이상이 있는 세대에 대한 관리자의 조치가 이루어진 후, 각 세대의 세대 유량조절밸브를 최대 개도량 또는 동일한 개도비율로 세팅하는 단계(S12)부터 각 세대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7)까지의 단계가 반복됨으로써, 난방 상태에 이상이 있는 세대를 빠짐없이 찾아내고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역난방 방식 공동주택 난방 시스템의 점검방법은 종래와 같이 작업자에 의한 판단에 의존하지 않고, 각 세대의 실내온도와 환수온도 등 객관적인 측정 데이터를 통해 각 세대의 난방 상태를 판단함으로써 점검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점검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으며, 점검에 따른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역난방 방식 공동주택 난방 시스템의 점검방법은 종래와 같이, 많은 작업자들이 각각의 세대로 직접 방문함에 따르는 문제, 즉 작업자들의 부주의에 의한 시설물 파손의 문제, 작업자들의 세대 출입에 따른 보안 문제, 작업자들에 대한 단속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에는 세대 난방 설비(200)의 세대 난방 제어부(230)가 각 난방 존(125)에 설치되는 온도 조절기(232)와, 복수의 온도 조절기(232)와 통신하는 메인 조절기(234)를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세대 난방 제어부는 이러한 구조 이외에, 사용자의 조작이나 통합 제어부(3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세대 난방 설비(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공동주택 110 : 외벽
120 : 세대 125 : 난방 존
200 : 세대 난방 설비 210 : 급수관
212 : 급수 헤더 214 : 난방관
216 : 환수관 218 : 환수 헤더
220 : 세대 유량조절밸브 222 : 실내온도 검출기
224 : 온수조절밸브 226 : 난방관 유량조절밸브
228 : 환수온도 검출기 230 : 세대 난방 제어부
232 : 온도 조절기 234 : 메인 조절기
300 : 통합 제어부 400 : 기계실
450 : 열교환기 500 : 통신부
550 : 디스플레이 600 : 펌프
700 : 개인 단말기

Claims (7)

  1. 온수의 공급을 위한 급수관과, 온수의 환수를 위한 환수관과, 상기 급수관 및 상기 환수관과 연결되어 세대의 난방 존에 배치되는 난방관과, 상기 환수관으로 환수되는 온수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환수온도 검출기와, 상기 환수관을 통해 환수되는 온수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세대 유량조절밸브와, 상기 난방 존의 실내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실내온도 검출기와, 상기 세대 유량조절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세대 제어부를 구비하고 복수의 세대에 설치되는 복수의 세대 난방 설비와, 상기 복수의 세대 난방 설비를 통합 제어하기 위한 통합 제어부를 포함하는 지역난방 방식 공동주택 난방 시스템의 점검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통합 제어부가 상기 복수의 세대 각각에 대한 세대 식별번호를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통합 제어부가 상기 복수의 세대 각각의 세대 유량조절밸브를 최대 개도량 또는 동일한 개도비율로 세팅하는 단계;
    (c) 상기 통합 제어부가 상기 복수의 세대 각각의 세대 난방 제어부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세대 각각의 난방 목표온도를 동일하게 세팅하는 단계;
    (d) 상기 복수의 세대 각각에 설정된 유량의 온수를 설정된 시간 동안 공급하는 단계;
    (e) 설정된 시간 경과 후, 상기 통합 제어부가 상기 복수의 세대 각각의 실내온도 검출기 및 환수온도 검출기로부터 실내온도와 환수온도를 취득하는 단계; 및
    (f) 상기 통합 제어부가, 상기 복수의 세대 각각으로부터 취득한 실내온도를 상기 난방 목표온도와 비교하고, 상기 복수의 세대를 상기 난방 목표온도에 도달한 세대와 상기 난방 목표온도에 도달하지 못한 세대로 구분하여 난방 상태에 이상이 있는 세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세대 각각으로부터 취득한 환수온도를 사전 설정된 환수 기준 온도 범위와 비교하고, 상기 복수의 세대 중 실내온도가 상기 난방 목표온도에 도달하지 못한 세대를 환수온도가 상기 환수 기준 온도 범위 내에 있는 세대와 환수온도가 상기 환수 기준 온도 범위 미만인 세대로 구분하여 각 세대의 난방 상태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난방 방식 공동주택 난방 시스템의 점검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통합 제어부는,
    실내온도가 상기 난방 목표온도에 도달하지 못한 세대 중, 환수온도가 상기 환수 기준 온도 범위 내에 있는 세대를 환경적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환수온도가 상기 환수 기준 온도 범위 미만인 세대를 설비적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난방 방식 공동주택 난방 시스템의 점검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g) 상기 통합 제어부가 상기 복수의 세대 중 이상이 있는 세대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의 개인 단말기에 송신하여 관리자가 이상이 있는 세대를 방문 점검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g) 단계 이후, 상기 (b) 단계 이후의 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난방 방식 공동주택 난방 시스템의 점검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세대는 상기 난방 존을 복수 개씩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세대 난방 설비는 상기 난방관과, 상기 환수온도 검출기와, 상기 실내온도 검출기를 각각 복수 개씩 구비하며,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통합 제어부가 상기 각 세대의 난방 존들 각각에 대한 세대별 난방 존 식별번호를 입력받고,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통합 제어부가 상기 각 세대의 실내온도 검출기들 및 환수온도 검출기들로부터 각 세대의 난방 존들 각각에 대한 실내온도와 환수온도를 취득하며,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통합 제어부가, 상기 각 세대의 난방 존들 각각으로부터 취득한 실내온도를 상기 난방 목표온도와 비교하고, 상기 각 세대의 난방 존들 각각을 상기 난방 목표온도에 도달한 난방 존과 상기 난방 목표온도에 도달하지 못한 난방 존으로 구분하여 난방 상태에 이상이 있는 난방 존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난방 방식 공동주택 난방 시스템의 점검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통합 제어부는,
    상기 각 세대의 난방 존들 각각으로부터 취득한 환수온도를 사전 설정된 환수 기준 온도 범위와 비교하고, 상기 각 세대의 난방 존들 중 실내온도가 상기 난방 목표온도에 도달하지 못한 난방 존을 환수온도가 상기 환수 기준 온도 범위 내에 있는 난방 존과 환수온도가 상기 환수 기준 온도 범위 미만인 난방 존으로 구분하여 각 난방 존의 난방 상태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난방 방식 공동주택 난방 시스템의 점검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통합 제어부는,
    실내온도가 상기 난방 목표온도에 도달하지 못한 난방 존 중에서, 환수온도가 상기 환수 기준 온도 범위 내에 있는 난방 존을 환경적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환수온도가 상기 환수 기준 온도 범위 미만에 있는 난방 존을 설비적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역난방 방식 공동주택 난방 시스템의 점검방법.
KR1020190102154A 2019-08-21 2019-08-21 지역난방 방식 공동주택 난방 시스템의 점검방법 KR102272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154A KR102272608B1 (ko) 2019-08-21 2019-08-21 지역난방 방식 공동주택 난방 시스템의 점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154A KR102272608B1 (ko) 2019-08-21 2019-08-21 지역난방 방식 공동주택 난방 시스템의 점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2866A KR20210022866A (ko) 2021-03-04
KR102272608B1 true KR102272608B1 (ko) 2021-07-08

Family

ID=75175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2154A KR102272608B1 (ko) 2019-08-21 2019-08-21 지역난방 방식 공동주택 난방 시스템의 점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260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687B1 (ko) * 2011-04-11 2012-04-09 김동용 다세대 주택의 난방 제어 시스템
KR101977175B1 (ko) * 2018-02-22 2019-05-10 주식회사 대림코퍼레이션 공동주택 시설물 통합 관리 방법, 세대출입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공동주택 통합 관리서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072B1 (ko) * 2012-08-16 2014-09-01 주식회사 한성시스코 자동제어 난방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963416B1 (ko) 2018-08-09 2019-03-29 안산도시개발(주) 지역난방 설비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687B1 (ko) * 2011-04-11 2012-04-09 김동용 다세대 주택의 난방 제어 시스템
KR101977175B1 (ko) * 2018-02-22 2019-05-10 주식회사 대림코퍼레이션 공동주택 시설물 통합 관리 방법, 세대출입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공동주택 통합 관리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2866A (ko)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4378B2 (en) Heat pump and air conditioning grading systems and methods
US11061376B2 (en) Methods and system for reducing energy use in buildings
CN106462917A (zh) 制冷剂管线阻塞的hvac系统远程监视和诊断
TWI559807B (zh) 多區域無線管理與通訊網路系統及其管理方法
US10352783B2 (en) Building envelope and interior grading systems and methods
KR101853325B1 (ko) 사물 인터넷을 이용한 자동제어 밸브 시스템
CN104765354A (zh) 一种传感器及执行元件的故障诊断方法、装置及系统
US9551495B2 (en) HVAC system grading systems and methods
Darwazeh et al. Virtual metering of heat supplied by zone-level perimeter heaters: An investigation with three inverse modelling approaches
Woolley et al. Why occupancy-responsive adaptive thermostats do not always save-and the limits for when they should
Cetin et al. Data-driven methodology for energy and peak load reduction of residential HVAC systems
KR102184297B1 (ko) 지역난방 방식 공동주택의 최적 난방 방법
KR102272608B1 (ko) 지역난방 방식 공동주택 난방 시스템의 점검방법
Djuric et al. Heating system performance estimation using optimization tool and BEMS data
KR102382811B1 (ko) 에너지 사용량이 표시되는 스마트 난방 분배 시스템
KR102035820B1 (ko) 건물의 운영특성에 따른 열적 동특성을 고려한 냉난방 통합제어방법
CN106471431B (zh) 加热、通风和/或空气调节系统和围护结构分级系统以及方法
KR101921536B1 (ko) 공기조화기 시스템
Şahin et al. Remote control‐based energy management for energy savings in a central heating system
KR102363441B1 (ko) TDR을 이용한 공동주택의 Flush-out 자동화 관리 방법
WO2022081704A1 (en) Electrical load validation for a smart space in a building
KR102310634B1 (ko) 최적 유량을 갖는 온수 난방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699002B1 (ko) 원격검침 시스템을 활용한 세대 온도조절기와 유량 조절 밸브의 작동확인 방법
WO2016189206A1 (en) Method for improving energy efficiency of heating systems in buildings
KR102260482B1 (ko) Ems가 적용되는 바닥 공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