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3298B1 -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3298B1
KR102363298B1 KR1020210086584A KR20210086584A KR102363298B1 KR 102363298 B1 KR102363298 B1 KR 102363298B1 KR 1020210086584 A KR1020210086584 A KR 1020210086584A KR 20210086584 A KR20210086584 A KR 20210086584A KR 102363298 B1 KR102363298 B1 KR 102363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mful air
loess
harmful
ai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6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석
정은기
정현주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86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32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3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3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3Ventilation in combination with air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68Other inorganic materials, e.g. ceram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 요리시 발생하는 유해공기를 흡입하여 배기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함에 있어 천연 황토 조성물을 이용하여 유해공기 내 유독성 물질을 흡착 및 분해하여 실내는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고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대기오염을 저감할 수 있는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은 천장에 고정되며 유해공기가 수집되는 공간인 유해공기 수집하우징(100);과 상기 유해공기 수집 하우징 주변부에 형성되어 유입된 유해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200);과 상기 흡입팬을 통해 유입되는 유해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덕트(3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AIR CLEANING SYSTEM INDOOR AIRPOLLUTANTS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YSTEM}
본 발명은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 요리시 발생하는 유해공기를 흡입하여 배기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함에 있어 천연 황토 조성물을 이용하여 유해공기 내 유독성 물질을 흡착 및 분해하여 실내는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고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대기오염을 저감할 수 있는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내 공기오염은 실내 내장재, 페인트, 접착제 등의 건축자재, 복사기와 프린터 등의 사무용품, 식재료를 튀기거나 굽는 과정에 발생하는 요리 매연 등에 의해 야기된다.
실외 공기오염보다 실내 공기오염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더 치명적일 수 있는데 실내에 머무는 시간이 더 길고 밀폐된 공간이라서 오염물질이 집중적으로 몸에 영향을 주고, 폐에 전달되는 과정이 짧기 때문이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실외보다 실내 오염 물질이 폐에 전달될 확률이 약 1000배 높다고 추정하고 있다. WHO 는 실내공기오염물질을 20% 줄이면 급성 기관지염 같은 호흡기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최소한 4~8% 감소한다 밝혔다.
이중 요리시 발생되는 매연은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에서 발암 가능 물질로 분류한 바 있다. 실제로 요리 시 발생하는 각종 요리 매연은 폐암 발병률을 높일 만큼 위험성이 높은데, 지난 십수년간 서울의 모 병원에서 폐암 수술을 한 여성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여성의 약 93%가 비흡연자임에도 폐암이 발병하였는데 폐암의 원인이 요리시 발생하는 미세먼지 및 발암물질에 의한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있다.
환경부는 실험주택, 공동주택 등을 대상으로 주방에서 음식을 조리할 때 발생하는 각종 유해물질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는데 그 결과 요리 시 미세먼지와 포름알데하이드, 일산화탄소, 이산화질소, 아크롤레인, 벤조피렌, 이산화탄소 등 오염물질이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포름알데하이드는 고농도 장기간 노출 시 두통·구토 등을 일으킬 수 있다. 일산화탄소는 무색·무취의 기체로, 폐로 들어가면 혈액 속 헤모글로빈에 달라 붙어 산소의 공급을 저해한다.
벤조피렌은 식재료가 불완전 연소될 때 생성되는 발암물질로, 인체에 축적되어 각종 암을 유발하며, 아크롤레인은 폐질환, 동맥경화, 뇌경색을 발생시키며, 세포에 활성산소를 증가시켜 각종 암의 발생 위험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기·생선 같은 단백질 식품이 탈 때는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 같은 발암 물질이 다량 생성되며, 요리할 때 식재료의 종류와 조리하는 방법에 따라 미세먼지 농도가 달라지기도 한다. 동절기를 가정하여 밀폐된 주방에서 요리 재료별 발생되는 미세먼지 함량(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PM2.5)의 합)을 측정하였을 때, 고등어 4,820㎍/㎥, 삼겹살 2,940 ㎍/㎥, 계란후라이 2,290 ㎍/㎥, 볶음밥 384 ㎍/㎥로 확인되었으며, 대기 미세먼지 농도등급 중 매우나쁨의 기준수치인 PM10 151 ㎍/㎥, PM2.5 76 ㎍/㎥ 비교하였을 때 요리시 실내환경은 발암물질 가스실이나 다름없다.
이에, 환경부는 주방에서 요리할 때 반드시 창문을 열고 주방 환풍기를 작동하는 등 환기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나, 추운 동절기나 미세먼지 및 황사가 유입되는 계절에는 창문을 여는 것이 쉽지 않다.
또한, 실내 공기청정기의 경우 요리시 사용할 경우 필터수명을 현저하게 단축시키기 때문에 요리 중에는 사용이 곤란한 한계가 있다.
종래 요리시 발생되는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기술로는 국내공개특허 제10-2020-0102315호에서는 다공 판에 촉매를 도금하거나 종이, 면 등의 섬유필터에 활성탄소가 도포되어 제조되는 기능성 필터를 벽에 설치하거나 수납장 하면에 배치하여 주방에서 요리를 조리할 때의 냄새와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1490985호(튀김기용 배출공기 정화장치)는 외부로 분리가 가능한 필터부가 내장되는 필터실을 제공함에 따라 튀김장치의 사용자가 직접 필터실의 내부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하고, 필터실에 내장된 필터부를 슬라이딩식으로 외부로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하여 필터부의 청소를 좀 더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튀김기용 배출공기 정화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한편, 황토는 석영, 규석, 장석, 운모, 방해석 등의 각종 암석들이 오랜 세월 열과 불에 의한 풍화작용의 거치면서 생성된 입자가 고운 흙으로, 습도조절 통기성, 흡수력, 해독력, 정화력, 항균력이 뛰어나며, 원적외선을 방출한다.
또한, 황토에는 흡수, 산화, 분해, 해독 정화 기능을 가진 카탈라제(katalase), 디페놀 옥시다아제(Diphenol Oxydase), 사카라제(Saccharase), 프로테아제(Protease) 등 다양한 효소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자는 실내 각종 오염원에서 방출되는 발암물질 및 유해공기를 흡입하여 배기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함에 있어 천연 황토 조성물을 이용하여 유해공기 내 유독성 물질을 흡착 및 분해하여 실내는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고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대기오염을 저감할 수 있는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을 개발하여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20-0102315호(요리를 조리할 때의 냄새와 미세먼지 제거장치) 국내등록특허 제10-1490985호(튀김기용 배출공기 정화장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 요리시 발생하는 유해공기를 흡입하여 배기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함에 있어 천연 황토 조성물을 이용하여 유해공기 내 유독성 물질을 흡착 및 분해하여 실내는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고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대기오염을 저감할 수 있는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의 제 1실시예는 천장에 고정되며 유해공기가 수집되는 공간인 유해공기 수집하우징(100);과 상기 유해공기 수집 하우징 주변부에 형성되어 유입된 유해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200);과 상기 흡입팬을 통해 유입되는 유해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덕트(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의 제 2실시예는 천장에 고정되며 유해공기가 수집되는 공간인 유해공기 수집하우징(100);과 상기 유해공기 수집 하우징 주변부에 형성되어 유입된 유해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200);과 상기 흡입팬을 통해 유입되는 유해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덕트(300);와 상기 배기덕트 내부에 배치되며, 황토 조성물을 포함하여 이동하는 유해공기 내 오염물질을 흡착 및 분해하는 황토 필터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황토 필터부(400)는 일측에 유입구, 타측에 배출구가 형성되는 관 형상의 필터 하우징;과 상기 필터 하우징의 중심축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부와 하부에 각각 다수개가 서로 다른 위치에 이격되어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돌출형 필터부;를 포함하여, 유입구를 통해 들어온 유해공기가 상기 돌출형 필터부에 의해 지그재그로 이동하며 배출구로 배출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의 시공바법의 제 1실시예는 천장에 고정되며 유해공기가 수집되는 공간인 수집하우징을 제조하는 유해공기 수집하우징 제조단계(S100);와 상기 유해공기 수집 하우징 주변부에 유입된 유해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을 배치하는 흡입팬 배치단계(S200);와 상기 흡입팬을 통해 유입되는 유해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덕트를 설치하는 배기덕트 설치단계(S300);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의 시공바법의 제 2실시예는 천장에 고정되며 유해공기가 수집되는 공간인 수집하우징을 제조하는 유해공기 수집하우징 제조단계(S100);와 상기 유해공기 수집 하우징 주변부에 유입된 유해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을 배치하는 흡입팬 배치단계(S200);와 상기 흡입팬을 통해 유입되는 유해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덕트를 설치하는 배기덕트 설치단계(S300);와 황토 조성물을 포함하여 이동하는 유해공기 내 오염물질을 흡착 및 분해하는 황토 필터부를 제조하는 황토 필터부 제조단계(S400);와 상기 배기덕트 내부에 황토 필터부를 배치하는 황토 필터부 배치단계(S500)를 포함한다.
상기 황토 필터부 제조단계(S400)에서는 일측에 유입구, 타측에 배출구가 형성되는 관 형상의 필터 하우징;과 상기 필터 하우징의 중심축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부와 하부에 각각 다수개가 서로 다른 위치에 이격되어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돌출형 필터부;를 포함하여 유입구를 통해 들어온 유해공기가 상기 돌출형 필터부에 의해 지그재그로 이동하며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하는 황토 필터부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에 의하면, 실내 요리시 발생하는 유해공기를 흡입하여 배기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함에 있어 천연 황토 조성물을 이용하여 유해공기 내 유독성 물질을 흡착 및 분해하여 실내는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고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대기오염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에 의하면, 필터 교체없이 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하여 경제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을 보여주는 (A)측단면도와 (B)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황토 필터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필터부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황토 흡수판을 형성되는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에 천장 경사 또는 경사판이 구비되는 예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에 유해공기 이동가이드가 형성되는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의 유해공기 이동가이드가 형성되는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황토 필터부 제조단계(S400)를 보여주는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유해공기 공기 정화배출 시스템을 단독주택에 적용한 사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용어 '유해공기'는 미세먼지(PM10), 초미세먼지(PM2.5), 극초미세먼지(PM1.0), 포름알데하이드, 일산화탄소, 이산화질소, 아크롤레인, 벤조피렌, 이산화탄소 등 인체에 유해한 유해성분 및 오염물질을 포함한 공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용어 '황토 조성물'은 '황토'를 포함하는 것이라면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에서 '황토 조성물' 이 적용되는 형태는 플라스틱, 금속, 목재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에 액상의 황토 조성물이 도포되거나, 반죽된 황토 조성물을 금형으로 성형, 압축 및 건조하여 구성을 형성하는 방법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에서 '황토 조성물' 이 적용되는 구성은 유해공기 수집하우징의 황토 흡수판, 황토 필터부의 필터 하우징, 황토필터망, 돌출형 필터부, 유해공기 이동가이드, 천장, 경사판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액상의 황토 조성물 도포하는 경우에는 천연 황토 코팅액을 도포할 수 있으며, 상기 천연 황토 코팅액은 가소수성 황토액에 천연 접착제 성분으로 밀가루, 옥수수가루, 감자가루 및 쌀가루 중 적어도 하나와 찹쌀가루를 2~1: 1 중량비로 혼합하여 60~100℃에서 가열함으로써, 소성 변형된 황토입자와 천연 접착제 성분이 균일하게 혼합하여 제조되며, 이때, 상기 천연 황토 코팅액은 은행잎에서 추출하여 얻은 플라보노이드 추출액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천연 황토 코팅액 100중량부 대비 30~70중량부 첨가될 수 있다. 상기 플라보노이드 추출액은 은행잎 중량 대비 5~10배의 물을 넣고 100~150℃의 온도에서 60~90분간 가열하여 수득된다. 상기 천연 접착제 성분은 가소수성 황토액 100중량부 대비 10~50중량부 첨가될 수 있다.
상기 가소수성 황토액은 황토를 물 1: 1.5~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황토물을 얻고, 상기 황토물에서 걸음채를 이용해 부유불순물을 제거하고, 2~3시간 정치하여 고형 불순물을 제거하여 정제 황토물을 얻은 다음, 상기 정제 황토물을 60~100℃에서 10분~20분 가열하여 상기 정제 황토물 내의 황토 입자를 순수 황토 알갱이로 소성변형하여 제조된 것이다.
반죽된 황토 조성물을 금형으로 성형, 압축 및 건조하여 시스템 구성을 제조하는 경우에 반죽된 황토 조성물은 상술된 천연 황토 코팅액 제조방법에서 가소수성 황토액, 천연 접착제 성분과 함께 닥나무죽을 추가로 더 혼합하여 가열하여 천연 황토 혼합제를 제조하고, 황토와 모래를 추가로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이때 닥나무죽은 가소수성 황토액 100중량부 대비 5 내지 30중량부 첨가될 수 있으며, 황토와 모래는 천연 황토 혼합제 100중량부 대비 50 내지 200중량부 혼합될 수 있으며, 황토와 모래의 비율을 1~3: 1 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첨가될 수 있다.
후술될 상기 필터 하우징(410), 돌출형 필터부(420), 황토 흡수판(120), 경사판(610)은 황토 조성물을 금형에 넣어 찍어내거나, 경량, 내식성, 내구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금속, 목재 또는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필터 하우징을 형성하고, 액상의 천연 황토 코팅액을 도포하여 황토 조성물 처리를 할 수 있다.
황토 필터망(412a)의 경우에도 황토 조성물을 금형에 넣어 찍어내거나 천연섬유, 합성섬유재의 메쉬망 또는 금속메쉬망에 액상의 천연 황토 코팅액을 분사처리를 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황토필터망은 1 내지 10mm 메쉬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유해공기 이동가이드, 천장, 경사판은 경량 및 내화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하고, 표면에 액상의 천연 황토 코팅액을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 요리시 발생하는 유해공기를 흡입하여 배기덕트를 통해 외부로 배출함에 있어 천연 황토 조성물을 이용하여 유해공기 내 유독성 물질을 흡착 및 분해하여 실내는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고 정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대기오염을 저감할 수 있는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을 보여주는 (A)측단면도와 (B)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은 천장에 고정되며 유해공기가 수집되는 공간인 유해공기 수집하우징(100)과 상기 유해공기 수집 하우징 주변부에 형성되어 유입된 유해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200)과 상기 흡입팬을 통해 유입되는 유해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덕트(300)를 포함한다.
상기 유해공기 수집하우징(100)은 유해공기가 수집되는 공간으로 천장에 고정되며, 주변부에 구비된 흡입팬에 의해 모인 유해공기가 분산되지 않도록 포집하는 수용공간이다.
상기 유해공기 수집하우징(100)은 철, 스테인레스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구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재질이라면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해공기 수집하우징(100)은 일면이 개구되어 'ㄷ' 자 기둥 형상을 갖는 지지부(110)를 포함하며, 개구된 부분을 통해 유해공기가 유입된다. 상기 지지부(110)의 상부면이 천장과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의 일측 말단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유입되는 유해공기가 재배출되지 않도록 포집하기 위한 돌출단(1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110)의 수직길이와 돌출단(111)의 높이비는 5: 1 내지 3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5: 2의 높이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해공기 수집하우징(100)은 돌출단(111)이 형성되지 않고, 일면이 개구된 'ㄷ' 형상의 지지부(110) 자체만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흡입팬(200)은 날개의 회전을 통해 실내에 부유하는 유해공기를 흡입하여 배기덕트(300)로 보내기 위한 것으로, 상기 흡입팬은 유해공기 수집하우징(100) 내 천장 또는 상기 유해공기 수집하우징의 개구된 부분 주변에 배치된다. 상기 흡입팬은 하나 이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은 상기 유해공기 수집하우징(100)의 개구부 또는 개구부 주변부에 보조 흡입팬을 더욱 구비하여 실내 부유하는 유해공기가 유해공기 수집하우징 내로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미도시).
상기 배기덕트(300)는 상기 흡입팬(200)과 연결되어 흡입팬에 의해 유입되는 유해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관으로, 주름관을 사용할 수 있으며, 내구성 및 내식성이 좋고, 경량 재질의 관이라면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을 보여주는 단면도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은 제 1실시예에 따른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에 황토 필터부(400)가 더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황토 필터부(400)는 상기 배기덕트(30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황토 필터부를 통과하는 유해공기 내 오염물질을 흡착 및 분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황토 필터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로, 상기 황토 필터부(400)는 일측에 유입구(411), 타측에 배출구(412)가 형성되는 관 형상의 필터 하우징(410)과 상기 필터 하우징의 중심축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부와 하부에 각각 다수개가 서로 다른 위치에 이격되어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돌출형 필터부(420)를 포함한다.
이로써 상기 황토 필터부(400)는 유입구(411)를 통해 들어온 유해공기가 상기 돌출형 필터부(420)에 의해 지그재그로 이동하며 돌출형 필터부와 접촉하면서 이동하고, 동시에 필터 하우징의 내면과도 접촉하며 이동하게 된다.
유해공기 내 포함된 오염물질은 돌출형 필터부 및 필터 하우징의 황토 성분에 의해 흡착시켜 정화된 유해공기가 배출구(412)로 배출되고, 돌출형 필터부 및 필터 하우징에 흡착된 오염물질은 황토 성분에 의해 분해된다.
상기 황토 필터부(400)는 상기 배기덕트 내에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 하우징(410)은 원통형, 사각통형 등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배기덕트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배기덕트의 직경 및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어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돌출형 필터부(420)는 상기 필터 하우징의 중심축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필터 하우징의 상부와 하부 각각 다수개가 서로 다른 위치에 이격되어 교차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돌출형 필터부(420)는 도 4(A)와 같이 필터 하우징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90°)으로 형성되거나, 도 4(B)와 같이 배출구 방향을 향하여 3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45°로 경사지도록 형성하여 유해공기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유해공기와의 접촉면적을 더욱 넓힐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 하우징(410)은 돌출형 필터부(420)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돌출형 필터부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고정핀(413)을 형성하고, 상기 돌출형 필터부(420)에 상기 고정핀에 대응되는 홈(미도시)을 마련하여 끼움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돌출형 필터부(420)가 경사진 형태를 가지는 경우에는 고정핀(413)의 각도는 돌출형 필터부의 중심축 각도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황토 필터부(400)는 필터 하우징 형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1/2 통형 금형에 황토 조성물을 투입하여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를 각각 찍어내는 필터 하우징 몸체 성형단계와 각각의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 내주면에 돌출형 필터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을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고정핀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된 돌출형 필터부를 금형으로 찍어내는 돌출형 필터부 성형단계와 상기 고정핀에 돌출형 필터부를 끼움결합하는 단계와 고정핀 및 돌출형 필터부가 구비된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통해 제조된다.
이때, 공정을 간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 하우징 몸체 성형단계에서 고정핀 형상을 갖는 1/2 통형 금형을 이용하여 필터 하우징 몸체와 고정핀을 동시에 성형하거나 고정핀 형성을 생략하고 돌출형 필터부가 형성된 1/2 통형 금형을 이용하여 동시에 돌출형 필터부가 형성된 몸체를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필터 하우징(410)의 배출구(412)에는 황토 필터망(412a)이 형성되어 유해공기 내 오염물질을 재차 흡착하고, 외부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벌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황토 필터망은 1 내지 10mm 메쉬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은 상기 유해공기 수집하우징의 내측에 황토 흡수판을 더욱 구비하여 상기 유해공기 수집하우징에 유입된 유해공기 내 오염물질을 흡착 및 분해하는 것은 물론이고 유해공기의 이동경로를 제어할 수 있다. 유해공기 수집하우징으로 유입된 유해공기 중 일부는 황토 흡수판에 흡착되어 제거되고, 일부는 흡입팬으로 유입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황토 흡수판을 형성되는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로, 상기 황토 흡수판은 도 5(A)와 같이 유해공기 수집하우징 내측면 전면을 따라 형성되거나, 도 5(B)와 같이 일부가 개구된 원형으로 형성되거나, 도 5(C)와 같이 상기 유해공기 수집하우징 지지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해공기 수집하우징의 돌출단 부분에는 곡면으로 내측으로 휘도록 형성되어 포집된 유해공기가 흡입팬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에 천장 경사 또는 경사판이 구비되는 예시를 보여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은 천장(600)에 경사를 주거나(도 6A에 도시), 천장에 별도의 경사판(610)을 설치하여(도 6B에 도시) 유해공기 발생지점(P)에서 유해공기 수집하우징(100)으로 유해공기가 보다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세하게는, 유해공기 발생지점(P)의 천장에서 유해공기 수집하우징(100)으로 갈수록 천장(600)의 높이 또는 경사판(610)의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유해공기 수집하우징(100)의 형성되는 천장(600) 및 경사판(610)의 높이는 유해공기 발생지점(P)의 천장 높이보다 5 내지 50 cm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에 유해공기 이동가이드가 형성되는 실시예를 보여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은 천장(600) 및 경사판(610)에 유해공기 이동가이드(500)를 더욱 구비하여 유해공기 발생지점(P)에서 유해공기 수집하우징(100)으로 유해공기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유해공기 이동가이드(500)는 편평한 천장 또는 경사진 천장 및 경사판(61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해공기 이동가이드(500)는 유해공기 발생지점(P)의 천장 및 경사판에서 유해공기 수집하우징(100)의 개구부까지 홈 형태의 유로(510)를 다수개 형성하여 유해공기가 홈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거나(도 7A에 도시), 다수개의 돌출부(520')를 형성하여 다수개의 돌출부 사이에 형성된 유로(520)를 따라 유해공기가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도 7B에 도시).
바람직하게는, 천장(600)에 유해공기 이동가이드(500)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다수개의 돌출부(520')를 형성하며, 천장 하부에 별도의 경사판(610)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홈 형태의 유로(510) 또는 돌출부(520')를 다수개 형성하여 유해공기 이동가이드(500)를 형성할 수 있다. 전통건물의 경우 대들보가 돌출부(520') 역할을 대신할 수 있으며, 대들보에 의해 형성된 유로를 통해 유해공기가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의 유해공기 이동가이드가 형성되는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면도로, 상기 유해공기 이동가이드는 유해공기 수집하우징에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되거나(도 8A에 도시), 유해공기 발생지점(P)의 천장에서 유해공기 수집하우징(100)을 향하도록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도 8B에 도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의 시공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의 시공방법은 천장에 고정되며 유해공기가 수집되는 공간인 수집하우징을 제조하는 유해공기 수집하우징 제조단계(S100)와 상기 유해공기 수집 하우징 주변부에 유입된 유해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을 배치하는 흡입팬 배치단계(S200)와 상기 흡입팬을 통해 유입되는 유해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덕트를 설치하는 배기덕트 설치단계(S300)를 포함한다.
상기 유해공기 수집하우징 제조단계(S100)에서는 천장에 고정되며 유해공기가 수집되는 공간인 수집하우징을 제조하게 되며, 상기 유해공기 수집하우징(100)은 유해공기가 수집되는 공간으로 천장에 고정되며, 주변부에 구비된 흡입팬에 의해 모인 유해공기가 분산되지 않도록 포집하는 수용공간이다.
상기 유해공기 수집하우징(100)은 철, 스테인레스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구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재질이라면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해공기 수집하우징(100)은 일면이 개구되어 'ㄷ' 자 기둥 형상을 갖는 지지부(110)를 포함하며, 개구된 부분을 통해 유해공기가 유입된다. 상기 지지부(110)의 상부면이 천장과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의 일측 말단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유입되는 유해공기가 재배출되지 않도록 포집하기 위한 돌출단(1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10)의 수직길이와 돌출단(111)의 높이비는 5: 1 내지 3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5: 2의 높이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해공기 수집하우징(100)은 돌출단(111)이 형성되지 않고, 일면이 개구된 'ㄷ' 형상의 지지부(110) 자체만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흡입팬 배치단계(S200)는 시공된 유해공기 수집 하우징의 주변부 또는 상기 유해공기 수집 하우징이 형성될 주변부에 유해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을 배치하는 단계이다.
상기 흡입팬(200)은 날개의 회전을 통해 실내에 부유하는 유해공기를 흡입하여 배기덕트(300)로 보내기 위한 것으로, 상기 흡입팬은 유해공기 수집하우징(100) 내 천장 또는 상기 유해공기 수집하우징의 개구된 부분 주변에 배치된다. 상기 흡입팬은 하나 이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의 시공방법은 상기 유해공기 수집하우징(100)의 개구부 또는 개구부 주변부에 보조 흡입팬을 더 구비하여 실내에 부유하는 유해공기가 유해공기 수집하우징 내로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미도시).
상기 배기덕트 설치단계(S300)는 상기 흡입팬을 통해 유입되는 유해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덕트를 설치하는 단계로, 상기 배기덕트(300)는 상기 흡입팬(200)과 연결되어 흡입팬에 의해 유입되는 유해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관으로, 주름관을 사용할 수 있으며, 내구성 및 내식성이 좋고, 경량 재질의 관이라면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의 시공방법은 제 1실시예에 따른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의 시공방법에 황토 필터부를 제조 및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황토 필터부 제조단계(S400)에서는 황토 조성물을 포함하여 이동하는 유해공기 내 오염물질을 흡착 및 분해하는 황토 필터부를 제조하게 된다.
상기 황토 필터부(400)는 일측에 유입구(411), 타측에 배출구(412)가 형성되는 관 형상의 필터 하우징(410)과 상기 필터 하우징의 중심축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부와 하부에 각각 다수개가 서로 다른 위치에 이격되어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돌출형 필터부(420)를 포함한다.
이로써 상기 황토 필터부(400)는 유입구(411)를 통해 들어온 유해공기가 상기 돌출형 필터부(420)에 의해 지그재그로 이동하며 돌출형 필터부와 접촉하면서 이동하고, 동시에 필터 하우징의 내면과도 접촉하며 이동하게 된다.
유해공기 내 포함된 오염물질은 돌출형 필터부 및 필터 하우징의 황토 성분에 의해 흡착시켜 정화된 유해공기가 배출구(412)로 배출되고, 돌출형 필터부 및 필터 하우징에 흡착된 오염물질은 황토 성분에 의해 분해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황토 필터부 제조단계(S400)를 보여주는 순서도로, (A) 필터 하우징 형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1/2 통형 금형에 황토 조성물을 투입하여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를 각각 찍어내는 필터 하우징 몸체 성형단계와 (B) 각각의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 내주면에 돌출형 필터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을 삽입하는 단계와 (미도시) 상기 고정핀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된 돌출형 필터부를 금형으로 찍어내는 돌출형 필터부 성형단계와 (C) 상기 고정핀에 돌출형 필터부를 끼움결합하는 단계와 (D) 고정핀 및 돌출형 필터부가 구비된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를 결합시키는 단계를 통해 제조된다.
이때, 공정을 간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 하우징 몸체 성형단계에서 고정핀 형상을 갖는 1/2 통형 금형을 이용하여 필터 하우징 몸체와 고정핀을 동시에 성형하거나 고정핀 형성을 생략하고 돌출형 필터부가 형성된 1/2 통형 금형을 이용하여 동시에 돌출형 필터부가 형성된 몸체를 성형할 수 있다.
상기 필터 하우징(410)은 원통형, 사각통형 등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배기덕트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배기덕트의 직경 및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어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돌출형 필터부(420)는 상기 필터 하우징의 중심축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필터 하우징의 상부와 하부 각각 다수개가 서로 다른 위치에 이격되어 교차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돌출형 필터부(420)는 도 4(A)와 같이 필터 하우징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90°)으로 형성되거나, 도 4(B)와 같이 배출구 방향을 향하여 3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45°로 경사지도록 형성하여 유해공기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고, 유해공기와의 접촉면적을 더욱 넓힐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 하우징(410)은 돌출형 필터부(420)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돌출형 필터부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고정핀(413)을 형성하고, 상기 돌출형 필터부(420)에 상기 고정핀에 대응되는 홈(미도시)을 마련하여 끼움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돌출형 필터부(420)가 경사진 형태를 가지는 경우에는 고정핀(413)의 각도는 돌출형 필터부의 중심축 각도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하우징(410)의 배출구(412)에는 황토 필터망(412a)이 형성되어 유해공기 내 오염물질을 재차 흡착하고, 외부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벌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황토 필터망은 1 내지 10mm 메쉬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황토 필터망은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를 결합하여 필터 하우징 형상을 형성한 후 배출구에 고정 및 결합시킨다.
황토 필터부 배치단계(S500)에서는 상기 배기덕트 내부에 황토 필터부를 배치한다. 상기 황토 필터부(400)는 상기 배기덕트 내에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의 시공방법은 상기 유해공기 수집하우징의 내측에 황토 흡수판을 더욱 구비하여 상기 유해공기 수집하우징에 유입된 유해공기 내 오염물질을 흡착 및 분해하는 것은 물론이고 유해공기의 이동경로를 제어할 수 있다. 유해공기 수집하우징으로 유입된 유해공기 중 일부는 황토 흡수판에 흡착되어 제거되고, 일부는 흡입팬으로 유입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황토 흡수판을 형성되는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로, 상기 황토 흡수판은 도 5(A)유해공기 수집하우징 내측면 전면을 따라 형성되거나 도 5(B)일부가 개구된 원형으로 형성되거나 도 5(C)상기 유해공기 수집하우징 지지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해공기 수집하우징의 돌출단 부분에는 곡면으로 내측으로 휘도록 형성되어 포집된 유해공기가 흡입팬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의 천장 경사 또는 경사판이 구비되는 예시를 보여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은 천장(600)에 경사를 주거나, 천장에 별도의 경사판(610)을 설치하여 유해공기 발생지점(P)에서 유해공기 수집하우징(100)으로 유해공기가 보다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세하게는, 유해공기 발생지점(P)의 천장에서 유해공기 수집하우징(100)으로 갈수록 천장(600)의 높이 또는 경사판(610)의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유해공기 수집하우징(100)의 형성되는 천장(600) 및 경사판(610)의 높이는 유해공기 발생지점(P)의 천장 높이보다 5 내지 50 cm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의 유해공기 이동가이드가 형성되는 실시예를 보여준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은 천장(600) 및 경사판(610)에 유해공기 이동가이드(500)를 더욱 구비하여 유해공기 발생지점(P)에서 유해공기 수집하우징(100)으로 유해공기의 이동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유해공기 이동가이드(500)는 편평한 천장 또는 경사진 천장 및 경사판(61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해공기 이동가이드(500)는 도 7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유해공기 발생지점(P)의 천장에서 유해공기 수집하우징(100)의 개구부까지 홈 형태의 유로(510)를 다수개 형성하여 유해공기가 홈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거나, 다수개의 돌출부(520')를 형성하여 다수개의 돌출부 사이에 형성된 유로(520)를 따라 유해공기가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장(600)에 유해공기 이동가이드(500)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다수개의 돌출부(520')를 형성하며, 천장 하부에 별도의 경사판(610)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홈 형태의 유로(510) 또는 돌출부(520')를 다수개 형성하여 유해공기 이동가이드(500)를 형성할 수 있다. 전통건물의 경우 대들보가 돌출부(520') 역할을 대신할 수 있으며, 대들보에 의해 형성된 유로를 통해 유해공기가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해공기 이동가이드는 유해공기 수집하우징에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되거나(도 8A에 도시), 유해공기 발생지점(P)의 천장에서 유해공기 수집하우징(100)을 향하도록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도 8B에 도시).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의 설치 장소는 주방, 거실, 화장실, 사무실, 복사실, 작업실, 베란다 등 유해공기가 발생 및 유입되는 곳이라면 한정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주방 또는 주방 주변부 천장에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다음에서 구체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이것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 유해공기 공기 정화배출 시스템을 단독주택에 적용한 사진을 보여준다.
황토 필터 구조물, 황토 필터부의 필터 하우징, 황토 필터망, 돌출형필터부는 반죽된 황토 조성물을 금형에 넣어 성형-압축-건조하여 제조하였다.
구미시 소재지의 단독주택에 도 10과 같이 따른 실내 유해공기 공기 정화배출 시스템을 구비하고, 측정 조건 및 위치에 따른 요리시 발생 미세먼지 총 함량 및 유해물질(포름알데하이드, 이산화탄소) 함량을 측정하였다.
하기의 표 1은 공기 정화배출 시스템 구성조건에 따른 실험설계를 보여준다.
황토필터부 황토 흡수판
실시예 1 없음 없음
실시예 1-1 없음 있음
실시예 2 2개 있음 없음
실시예 2-1 2개 있음 있음
실시예 2-2 3개 있음 있음
비교예 1 환기처리×
비교예 2 후드만 작동, 일반 배기시설
미세먼지 함량은 식용유를 바른 고등어를 강불에서 굽기 시작한 10분 후에 측정하였다. 이때, 사용된 식용유와 고등어의 중량은 모든 실험 조건에서 동일하게 유지하였다.
이때, 미세먼지 총 함량은 미세먼지(PM10), 초미세먼지(PM2.5), 극초미세먼지(PM1.0)의 합이며, 미세먼지 측정 단위는 ㎍/㎥이다.
하기의 표 2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2의 총 미세먼지 함량을 보여준다.
흡입팬 거실 외부 배기덕트 앞
실시예 1 6174 108 5741
실시예 1-1 5877 91 5104
실시예 2 5611 70 4928
실시예 2-1 5404 56 4567
실시예 2-2 4781 42 2570
하기의 표 3은 비교예 1, 비교예 2의 총 미세먼지 함량을 보여준다.
후드앞 거실 외부 배기덕트 앞
비교예 1 8746 6874 -
비교예 2 7984 5971 6140
그 결과, 환기처리를 하지 않은 경우(비교예 1), 미세먼지 함량이 8736 ㎍/㎥ 까지 치솟았고, 거실에는 6874 ㎍/㎥로 측정되었으며, 일반 배기시설 및 후드를 작동시킨 경우(비교예 2) 환기처리를 하지 않은 경우(비교예 1) 대비 미세먼지함량을 다소 낮출 수 있었으나, 거실로 유입 및 외부로 배출되는 미세먼지 함량이 여전히 높은 함량으로 측정되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비교예 1, 2 대비 뚜렷하게 미세먼지 수치가 낮게 측정되었으며, 유해공기 수집 하우징 내 황토 흡수판이 배치되는 경우, 황토 필터부의 수가 증가될 수록 미세먼지 함량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기의 표 4는 포름알데하이드(㎍/㎥)와 이산화탄소(ppm)의 농도를 측정한 것이다.
후드앞 흡입팬 거실 외부
HCHO CO2 HCHO CO2 HCHO CO2 HCHO CO2
실시예 1 56 801 153 1508 29 487 11 214
실시예 2-2 57 754 151 598 16 401 7 198
비교예 1 - - - - 61 841 - -
비교예 2 55 791 - - 33 614 41 607
그 결과, 비교예 1, 2 대비 실시예 1, 실시예 2-2의 포름알데하이드 및 이산화탄소 농도가 낮게 나타나 유해 물질 제거능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유해공기 수집하우징
110 : 지지부
111 : 돌출단
120 : 황토 흡수판
200 : 흡입팬
300 : 배기덕트
400 : 황토 필터부
410 : 필터 하우징
411 : 유입구
412 : 배출구
412a: 황토필터망
413 : 고정핀
420 : 돌출형 필터부
500 : 유해공기 이동가이드
510 : 홈 형태의 유로
520 : 돌출부 사이에 형성된 유로
520' : 돌출부
600 : 천장
610 : 경사판

Claims (6)

  1. 삭제
  2.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에 있어서,
    천장에 고정되며 유해공기가 수집되는 공간인 유해공기 수집하우징(100);과
    상기 유해공기 수집 하우징 주변부에 형성되어 유입된 유해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200);과
    상기 흡입팬을 통해 유입되는 유해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덕트(300);와
    상기 배기덕트 내부에 배치되며, 황토 조성물을 포함하여 이동하는 유해공기 내 오염물질을 흡착 및 분해하는 황토 필터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유해공기 수집하우징(100)은
    일면이 개구되어 'ㄷ'자 기둥 형상을 갖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의 일측 말단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단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의 수직길이와 돌출단의 높이비는 5: 1 내지 3으로 형성되고, 내측면을 따라 황토 흡수판이 구비되되, 돌출단 부분에는 곡면으로 내측으로 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시스템은
    유해공기 발생지점의 천장에서 상기 유해공기 수집하우징으로 갈수록 천장의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하고, 유해공기 발생지점 천장에서 유해공기 수집하우징을 따라 유해공기 이동가이드를 형성하여 유해공기의 이동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 필터부(400)는
    일측에 유입구, 타측에 배출구가 형성되는 관 형상의 필터 하우징;과
    상기 필터 하우징의 중심축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부와 하부에 각각 다수개가 서로 다른 위치에 이격되어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돌출형 필터부;를 포함하여
    유입구를 통해 들어온 유해공기가 상기 돌출형 필터부에 의해 지그재그로 이동하며 배출구로 배출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
  4. 삭제
  5.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천장에 고정되며 유해공기가 수집되는 공간인 수집하우징을 제조하는 유해공기 수집하우징 제조단계(S100);와
    상기 유해공기 수집 하우징 주변부에 유입된 유해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을 배치하는 흡입팬 배치단계(S200);와
    상기 흡입팬을 통해 유입되는 유해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덕트를 설치하는 배기덕트 설치단계(S300);와
    황토 조성물을 포함하여 이동하는 유해공기 내 오염물질을 흡착 및 분해하는 황토 필터부를 제조하는 황토 필터부 제조단계(S400);와
    상기 배기덕트 내부에 황토 필터부를 배치하는 황토 필터부 배치단계(S500)를 포함하며,
    상기 유해공기 수집하우징 제조단계(S100)에서
    유해공기 수집하우징은 일면이 개구되어 'ㄷ'자 기둥 형상을 갖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의 일측 말단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단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의 수직길이와 돌출단의 높이비는 5: 1 내지 3으로 형성되고, 내측면을 따라 황토 흡수판이 구비되되, 돌출단 부분에는 곡면으로 내측으로 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시스템은
    유해공기 발생지점의 천장에서 상기 유해공기 수집하우징으로 갈수록 천장의 높이가 높아지도록 형성하고, 유해공기 발생지점 천장에서 유해공기 수집하우징을 따라 유해공기 이동가이드를 형성하여 유해공기의 이동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의 시공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 필터부 제조단계(S400)에서는
    일측에 유입구, 타측에 배출구가 형성되는 관 형상의 필터 하우징;과
    상기 필터 하우징의 중심축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부와 하부에 각각 다수개가 서로 다른 위치에 이격되어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돌출형 필터부;를 포함하여 유입구를 통해 들어온 유해공기가 상기 돌출형 필터부에 의해 지그재그로 이동하며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하는 황토 필터부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의 시공방법.
KR1020210086584A 2021-07-01 2021-07-01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363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584A KR102363298B1 (ko) 2021-07-01 2021-07-01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584A KR102363298B1 (ko) 2021-07-01 2021-07-01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3298B1 true KR102363298B1 (ko) 2022-02-14

Family

ID=80254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6584A KR102363298B1 (ko) 2021-07-01 2021-07-01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329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8594B1 (ko) 2022-07-28 2023-01-12 이석훈 조리장 내 조리흄 유해방지 안전 시스템
KR102488597B1 (ko) 2022-07-28 2023-01-13 이석훈 조리장 내 조리흄 유해방지 저소음 환기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440Y1 (ko) * 2003-02-26 2003-05-27 주식회사 엑타 주방용 환기설비시스템
KR101490985B1 (ko) 2014-08-21 2015-02-06 방은미 튀김기용 배출공기 정화장치
KR20150086921A (ko) * 2014-01-21 2015-07-29 조영서 악취 제거방법 및 그 장치
KR20200025371A (ko) * 2018-08-30 2020-03-10 (주)바이오테라 덕트 유해 배출가스 저감장치
KR20200102315A (ko) 2019-02-21 2020-08-31 엄재풍 요리를 조리할 때의 냄새와 미세먼지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440Y1 (ko) * 2003-02-26 2003-05-27 주식회사 엑타 주방용 환기설비시스템
KR20150086921A (ko) * 2014-01-21 2015-07-29 조영서 악취 제거방법 및 그 장치
KR101490985B1 (ko) 2014-08-21 2015-02-06 방은미 튀김기용 배출공기 정화장치
KR20200025371A (ko) * 2018-08-30 2020-03-10 (주)바이오테라 덕트 유해 배출가스 저감장치
KR20200102315A (ko) 2019-02-21 2020-08-31 엄재풍 요리를 조리할 때의 냄새와 미세먼지 제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8594B1 (ko) 2022-07-28 2023-01-12 이석훈 조리장 내 조리흄 유해방지 안전 시스템
KR102488597B1 (ko) 2022-07-28 2023-01-13 이석훈 조리장 내 조리흄 유해방지 저소음 환기 시스템
KR102524785B1 (ko) 2022-07-28 2023-04-24 이석훈 급기 및 배기기능을 갖는 조리장 내 조리흄 유해방지 저소음 환기 시스템
KR102547186B1 (ko) 2022-07-28 2023-06-22 이석훈 공기배출량 조절기능을 갖는 조리장 내 조리흄 유해방지 안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50758B (zh) 一种利用热分解法去除室内污染的多功能空气净化装置
KR102363298B1 (ko) 실내 유해공기 정화배출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60891B1 (ko) 벽체관통형 선택적 청정공기 공급장치
KR200418456Y1 (ko) 주방용 공기청정후드
JP4008905B2 (ja) 換気兼用空気清浄器
KR100789954B1 (ko) 엘리베이터용 공기 살균 및 정화 시스템
CN106287879A (zh) 一种无烟锅
CN204063327U (zh) 水洗消毒空气净化机
CN205842813U (zh) 一种无烟锅
JP2019076524A (ja) 室内環境保全システム
CN205360859U (zh) 一种室内除甲醛空气净化器
JPH10241455A (ja) 空気清浄機能付き照明装置
CN1166895C (zh) 处理烹调油烟、异味气体和其它有害物质的装置及方法
CN104344438B (zh) 一种多功能一体式油烟机
CN205536223U (zh) 一种利用热分解法去除室内污染的多功能空气净化装置
KR100564648B1 (ko) 공기청정기능이 구비된 재순환레인지후드
KR101431508B1 (ko) 자동 공기순환 덕트장치
Bahobail Sick building syndromes and their effects on homes within Riyadh city
JP6636291B2 (ja) 空気浄化装置
KR102127414B1 (ko) 대기오염물질 포집형 후드집진장치
CN205383665U (zh) 一种厨房空气净化装置
CN206593233U (zh) 一种室内空气污染净化装置
KR20190143842A (ko) 이동식 제연기
KR200367508Y1 (ko) 고기구이기의 제연 정화장치
CN209213952U (zh) 一种集成化厨房油烟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