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2309B1 - 수산가공물 탈유기 - Google Patents

수산가공물 탈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2309B1
KR102362309B1 KR1020190157612A KR20190157612A KR102362309B1 KR 102362309 B1 KR102362309 B1 KR 102362309B1 KR 1020190157612 A KR1020190157612 A KR 1020190157612A KR 20190157612 A KR20190157612 A KR 20190157612A KR 102362309 B1 KR102362309 B1 KR 102362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suction belt
steam
hot air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7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7715A (ko
Inventor
박진우
Original Assignee
(주)새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새라 filed Critical (주)새라
Priority to KR1020190157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2309B1/ko
Publication of KR20210067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7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70Comminuted, e.g. emulsified, fish products; Processed products therefrom such as pastes, reformed or compress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산가공물 탈유기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상부구동롤러에 감겨 무한궤도로 회전 이송되는 상부흡착벨트와, 상기 상부구동롤러 중 어느 하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흡착벨트를 압착함으로써 기름을 제거하는 상부압착롤러를 포함하는 상부유닛과, 복수개의 하부구동롤러에 감겨 무한궤도로 회전 이송되는 하부흡착벨트와, 상기 하부구동롤러 중 어느 하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흡착벨트를 압착함으로써 기름을 제거하는 하부압착롤러를 포함하는 하부유닛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흡착벨트와 하부흡착벨트 사이로 유입된 수산가공물이 이송되면서 탈유되는 수산가공물 탈유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압착롤러와 하부압착롤러의 일측에는 압착된 상기상부흡착벨트와 하부흡착벨트에 남은 기름을 스팀으로 세척하는 상부스팀세척수단과 하부스팀세척수단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스팀세척수단의 일측에는 스팀세척된 상기 상부흡착벨트와 하부흡착벨트에 열풍을 불어 건조하는 상부열풍건조수단과 하부열풍건조수단이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산가공물 탈유기{Oil extractor}
본 발명은 탈유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어묵과 같이 기름에 튀긴 수산가공물로부터 기름을 제거할 수 있는 수산가공물 탈유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수산물 가공식품을 기름에 튀겨 조리하고 제조하는 것이 매우 많다.
특히, 어묵은 재료를 반죽한 후 특정 모양으로 성형한 후 기름 튀기기 때문에 기름을 제거(탈유)한 후 포장, 판매한다.
이를 위해 공장에서 기름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탈유기가 이용된다.
기존에는 어묵과 같은 수산가공물의 기름을 제거하기 위해 상하로 마주하는 탈유벨트 사이에 튀김이 완료된 수산가공물을 투입하여 탈유벨트에서 기름을 흡수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탈유벨트는 펠트나 부직포와 같이 소재로 이루어져 수산가공물과 밀착되면서 기름을 흡수한 후 별도의 압착롤러에서 압착되면서 기름을 짜내고, 짜낸 기름은 다시 재활용하였다.
아래는 종래 탈유기의 일반적인 구조를 나타낸다. 도 1은 종래 어묵탈유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프레임(1)의 상단에 기름받이(2)가 설치되고, 상기 기름받이(2)의 상측에 설치된 이송컨베이어(3)의 일측 상하에 한 쌍의 탈유벨트(4)(4')가 설치되며, 상기 탈유벨트(4)(4')를 회동시키는 구동롤러(5)(5')의 외측에 착유롤러(6)(6')가 각각 설치되어, 이송컨베이어(3)에 의해 이송된 어묵(10)이 상측 탈유벨트(4')와 하측 탈유벨트(4) 사이에서 압착 이송되면서 어묵(10) 표면에 묻어 있는 기름을 탈리하는 통상의 어묵 탈유기에 있어서, 상기 착유롤러(6)(6')의 양측 원주면에 소정깊이의 요홈(7)이 환설되어, 탈유벨트(4)(4')에 흡착된 기름이 착유롤러(6)(6')에 의해 착출될 때 비산되지 않고 자연스럽게 기름받이(2)로 흘러내려가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어묵탈유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탈유기의 경우 탈유벨트가 흡수한 기름은 착유롤러에 의해 착출한 후 버리거나 재활용하는데, 장시간 작동시 탈유벨트가 흡수한 기름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아 실제 어묵을 압착할 때 기름제거 성능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그리고 재활용하는 기름은 위생상 좋지 못하고 찌꺼기가 포함되어 있어 재활용하려면 이를 다시 필터링해야 하는 번거로움도 발생한다.
또 탈유벨트에도 기름뿐 아니라 찌꺼기나 불순물이 잔류하게 되어 탈유시 수산가공물에 다시 묻게 되어 매우 비위생적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름을 진공흡착하는 방식이 제안되었으나 이 역시 기름 흡착시 찌꺼기가 함께 흡착되어 기계가 고장나거나 파손되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했다.
또한, 한번 설치한 탈유벨트는 장시간 사용해야 하므로 펠트나 부직포를 여러겹 적층하여 매우 두껍게 사용하고 길이도 매우 길었다.(두께 10 ~ 20T)
이로 인해 기계 자체가 무거워지고 압착롤러는 무거운 탈유벨트를 지지해야 하므로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할 수 밖에 없었고, 탈유벨트를 교환하는 것도 매우 힘들었다.
뿐만 아니라 두꺼운 탈유벨트로부터 기름을 압착하기 위해서는 압착롤러가 금속재질로 이루어져야 하고 압착에 큰 힘이 필요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05511(2005.7.26.)"어묵 탈유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23712(2006.9.6.)"어묵탈유기용 기름흡입롤러장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96575(2005.9.15.)"유탕식품용 탈유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7-0114091(2007.11.29.)"어묵 탈유기"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을 제공함에 있다.
첫째, 압착롤러로 기름이 최대한 제거된 흡착벨트를 스팀으로 세척하고 열풍으로 건조함으로써 흡착벨트를 초기화할 수 있는 수산가공물 탈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기존에 비해 얇고 가벼우며 연결부가 구비된 흡착벨트가 구비된 수산가공물 탈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셋째, 수산가공물에 밀착되는 흡착벨트를 가압하여 탈유율, 흡유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메쉬벨트 및 플렉시블롤러로 구성되는 보강컨베이어가 더 구비된 구조를 가지는 수산가공물 탈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산가공물 탈유기는, 복수개의 상부구동롤러에 감겨 무한궤도로 회전 이송되는 상부흡착벨트와, 상기 상부구동롤러 중 어느 하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흡착벨트를 압착함으로써 기름을 제거하는 상부압착롤러를 포함하는 상부유닛과, 복수개의 하부구동롤러에 감겨 무한궤도로 회전 이송되는 하부흡착벨트와, 상기 하부구동롤러 중 어느 하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흡착벨트를 압착함으로써 기름을 제거하는 하부압착롤러를 포함하는 하부유닛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흡착벨트와 하부흡착벨트 사이로 유입된 수산가공물이 이송되면서 탈유되는 수산가공물 탈유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압착롤러와 하부압착롤러의 일측에는 압착된 상기상부흡착벨트와 하부흡착벨트에 남은 기름을 스팀으로 세척하는 상부스팀세척수단과 하부스팀세척수단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스팀세척수단의 일측에는 스팀세척된 상기 상부흡착벨트와 하부흡착벨트에 열풍을 불어 건조하는 상부열풍건조수단과 하부열풍건조수단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스팀세척수단은, 일측으로 상기 상부흡착벨트가 인입되고 타측으로 인출되며 하부에 토출구가 형성된 세척하우징과, 상기 세척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통과하는 상기 상부흡착벨트에 스팀을 분사하는 분사구와, 상기 상부흡착벨트를 유도하는 복수개의 세척가이드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열풍건조수단은, 일측으로 상기 상부흡착벨트가 인입되고 열풍이 유입되는 열풍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으로 상기 상부흡착벨트가 인출되며 열풍이 배출되는 열풍배출구가 형성되는 건조하우징과, 상기 건조하우징의 내부를 상기 상부흡착벨트가 지그재그로 통과하도록 일측과 타측에 교대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복수개의 건조가이드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상부흡착벨트와 하부흡착벨트가 마주하는 각 내측에는, 유연한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고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플렉시블롤러와, 메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렉시블롤러에 감겨 회전 이송되는 메쉬벨트로 구성되는 상부보강컨베이어와 하부보강컨베이어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보강컨베이어와 하부보강컨베이어의 일측에는, 상기 메쉬벨트를 가압하여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조절롤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압착롤러와 하부압착롤러는, 금속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볍고 탄성이 큰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지속적인 세척과 건조가 이루어지므로 흡착벨트가 거의 초기화되어 지속적인 사용에도 동일한 흡유율, 탈유율을 유지할 수 있고, 흡착벨트가 청결한 상태로 흡착이 이루어지므로 매우 위생적이다. 그래서 흡착벨트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둘째, 흡착벨트의 두께를 종전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더불어 금속재질의 압착롤러를 사용할 필요가 없이 가벼운 합성수지 재질의 압착롤러를 사용하므로 장비의 전체적인 중량을 크게 줄이고 단가를 절감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흡착벨트 압착을 위해 큰힘이 요구되지 않아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셋째, 보강컨베이어가 더 구비되므로 수산가공물 흡착시 흡착벨트가 수산가공물에 더욱 밀착되므로 흡유율 및 탈유율이 크게 향상된다.
도 1은 종래 어묵탈유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수산가공물 탈유기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상부유닛의 상세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상부유닛의 후방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스팀세척수단과 열풍건조수단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보강컨베이어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면을 참조한 설명은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수산가공물 탈유기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여기서, A는 수산가공물의 진입을 나타내고, B는 수산가공물의 진출을 나타낸다. 그리고 점선화살표는 흡착벨트의 이송방향을 지시한다.
본 발명은 크게 상부유닛(100)과 하부유닛(200)으로 이루어지는데, 상부유닛(100)과 하부유닛(200)은 동일한 형상과 구조를 가지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상호 대칭을 이루며 마주하도록 구성된다.
즉, 어묵과 같은 수산가공물이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어 상부유닛(100)과 하부유닛(200)의 사이로 진입되고, 이송되면서 흡착 및 탈유공정이 연속적으로 수행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유닛(100)과 하부유닛(200)의 구조가 동일하거나 대동소이하므로 이하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유닛(100)을 기준으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상부유닛(100)은 크게, 상부구동롤러(110), 상부흡착벨트(120), 상부압착롤러(130), 상부스팀세척수단(140), 상부열풍건조수단(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 3, 4를 함께 참조하여 상기 상부구동롤러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상부유닛의 상세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상부유닛의 후방사시도이다.
상기 상부구동롤러(110)는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를 위해 대략 사각판 형상의 상부프레임(170) 한 쌍이 구비되고, 각 상부프레임(170)에 상기 상부구동롤러(110)가 배치된다.
후술하는 상기 상부흡착벨트(120)가 무한궤도를 이루며 회전, 이송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프레임(170)의 가장자리를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최소한 상기 상부프레임(170)의 네 모서리 측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구동롤러(110)는 4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추가로 더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구동롤러(110) 중 어느 하나는 별도의 상부구동모터(18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부흡착벨트(12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상부흡착벨트(120)는 상기 상부구동롤러(110)의 외측을 둘러 감기고 상기 상부구동롤러(110)의 회전에 의해 마치 컨베이어와 같이 무한궤도로 회전 이송된다.
상기 상부흡착벨트(120)는 펠트나 부직포와 같이 기름을 흡수, 흡착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흡착벨트(120)는 종전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종래에는 대략 10 ~ 20T 정도의 두께로 이루어져 기름을 흡착했으나, 본 발명에서는 10T 이하의 두께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수산가공물로부터 한번 정도 기름을 충분히 흡착할 수 있는 정도의 두께만 되면 가능하다. 왜냐하면, 1회 흡착 후 즉시 세척 및 건조가 이루어지므로 새것과 같은 상태에서 다시 흡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더 얇은 소재를 여러 겹 적층한 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 비해 얇은 두께로 인해 상기 상부흡착벨트(120)의 중량이 가벼워지므로 탈유기 자체의 중량도 줄어들고 상기 상부흡착벨트(120)의 교환도 매우 용이하다.
또 상기 상부흡착벨트(120)에 연결부(121)가 구비되어 교환시 연결부(121)를 해제하는 방식으로 교환이 가능하다. 이러한 상기 연결부(121)는 지퍼방식, 벨크로 접착방식 등 기존 연결방식 사용하거나 현장에서 미싱으로 결합시키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부압착롤러(13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상부압착롤러(130)는 기름이 흡착된 상기 상부흡착벨트(120)를 가압하여 기름을 압착, 제거 및 회수하는 구성이다.
상기 상부압착롤러(130)는 제1압착롤러(131)와 제2압착롤러(132)의 한 쌍이 서로 밀착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압착롤러(131)는 상기 상부구동모터(180)에 직접 연동되어 회전하고 상기 제2압착롤러(132)는 상기 제1압착롤러(131)와 상부구동기어(181)로 연동되어 회전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1압착롤러(131)에 결합된 상부구동기어(181)는 상부전달기어(182)에 연동되고, 상기 상부전달기어(182)는 상술한 상부구동롤러(110) 중 어느 하나와 상부구동벨트(183)로 연동되게 함으로써 상기 상부구동롤러(110)가 회전 구동되게 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한 것은 상기 상부압착롤러(130)의 재질은 금속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벼우며 탄성이 큰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특히, 상기 상부압착롤러(130)는 합성수지 중에 우레탄을 사용할 수 있다.
종래와 달리 본 발명의 경우 상부흡착벨트(120)가 얇기 때문에 압착시 큰 힘이 필요하지 않다. 그래서 상기 상부압착롤러(130)는 합성수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압착롤러의 중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이는 앞서 흡착벨트의 중량이 줄어든 것과 마찬가지로 장비의 중량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상부스팀세척수단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스팀세척수단과 열풍건조수단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상부스팀세척수단(140)은 상기 상부압착롤러(13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압착롤러(130)를 통과한 상기 상부흡착벨트(120)를 수용, 밀폐하면서 내부로 인입된 상기 상부흡착벨트(120)에 스팀을 분사하여 고온으로 세척하는 수단이다.
왜냐하면, 상기 상부흡착벨트(120)는 상부압착롤러(130)에 의해 강하게 압착되더라도 기름이 완전히 제거되지 못하므로 일부 남아 있는 유분을 고온의 스팀으로 완전히 제거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팀세척수단은 세척하우징(141), 분사노즐구(142), 세척가이드롤러(14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세척하우징(141)은 장방형의 박스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어떠한 형태도 가능하다.
상기 세척하우징(141)의 일측에는 상기 상부흡착벨트(120)가 인입될 수 있고 타측으로 인출될 수 있는 입구 및 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척하우징(141)의 하부에는 스팀에 의해 세척된 물과 기름의 혼합물이 배출될 수 있는 토출구(14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구(142)는 스팀을 분사하는 것으로서 상기 세척하우징(141)의 내부에 하나 이상 구비되어 인입되어 상기 세척하우징(141)을 통과하는 상기 상부흡착벨트(120)를 향해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구(142)의 형상은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하우징(141)의 중앙을 가로질러 파이프 형상을 이루며 통과하는 상기 상부흡착벨트(12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사노즐구(142)에서 스팀을 하향 분사하면 상기 상부흡착벨트(120)를 세척하고 세척된 물과 기름은 상기 토출구(141a)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척가이드롤러(143)는 상기 세척하우징(141)의 내부를 가로질러 상기 상부흡착벨트(120)와 수직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세척가이드롤러(143)는 복수개가 상기 분사노즐구(142)를 중심으로 양측에 배열되어 상기 상부흡착벨트(120)를 상기 분사노즐구(142)의 하측으로 유도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흡착벨트(120)가 팽팽하게 펼쳐지도록 텐션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부열풍건조수단(15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상부열풍건조수단(150)은 상기 스팀세척수단()에 의해 스팀 세척된 상기 상부흡착벨트(120)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해 열풍을 공급하는 수단이다.
이것은 상기 스팀 세척된 상기 상부흡착벨트(120)는 젖은 상태이므로 그대로 탈유공정을 수행할 수 없다. 그래서 열풍으로 건조시키면 매우 상기 상부흡착벨트(120)는 초기화 상태가 되어 탈유율, 흡유율이 처음과 거의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풍건조수단()은 건조하우징(151)과 건조가이드롤러(152)를 포함해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건조하우징(151)도 장방형의 박스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어떠한 형태도 가능하다.
상기 건조하우징(151)의 일측에는 상기 세척하우징(141)에서 인출된 상기 상부흡착벨트(120)가 인입될 수 있고 타측으로는 인출될 수 있는 입구 및 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건조하우징(151)의 일측에는 열풍이 유입되는 열풍유입구(151a)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열풍이 배출되는 열풍배출구(151b)가 형성된다.
또 상기 건조하우징(151)은 별도의 도어가 형성되어 개폐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건조가이드롤러(152)는 상기 상부흡착벨트(120)가 최대한 열풍과 접촉면적이 증가하도록 상기 건조하우징(151) 내부에 복수개가 배열된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가이드롤러(152)는 일측에 상하로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되고, 타측에도 상하로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양측에 교대로 배치되어 상기 상부흡착벨트(120)가 상기 건조하우징(151) 내부를 지그재그로 통과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흡착벨트(120)는 가능한 상기 건조하우징(151) 내에서 오래 머물게 되고 그 시간 동안 열풍에 의해 건조가 급속히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상기 건조가이드롤러(152)의 배치는 도시된 바와 다르게 배열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부유닛(100)의 하부에 상부보강컨베이어(16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상부보강컨베이어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상부보강컨베이어(160)는 무한궤도로 구동되는 상기 상부흡착벨트(120)의 탄성을 보강하여 진입되는 수산가공물과 더 밀착되게 함으로써 탈유율, 흡유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에 해당한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보강컨베이어(160)는 상기 상부흡착벨트(120)의 하부 내측에 수평으로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보강컨베이어(160)는 플렉시블롤러(161)와 메쉬벨트(16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플렉시블롤러(161)는 유연한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고 복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수평 배열된다. 이때, 상기 플렉시블롤러(161)는 상기 상부흡착벨트(120)를 구동하는 상기 상부구동모터(180)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전달기어(182)와 상기 플렉시블롤러(161)는 상부구동벨트(183)에 의해 연동되어 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그러나 별도의 모터를 사용하여 구동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플렉시블롤러(161)의 외측으로는 메쉬벨트(162)가 감겨 회전이송된다.
상기 메쉬벨트(162)는 그물망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테프론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메쉬벨트(162)를 흡착하는 목적이 아니라 텐션에 의해 상기 상부흡착벨트(120)를 가압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흡착벨트(120)는 종래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기 때문에 수산가공물의 표면에 강하게 밀착되기 힘들 수 있다. 그래서 상기 메쉬벨트(162)는 상기 플렉시블롤러(161)에 감겨 강한 텐션을 가지고 회전하면서 상기 상부흡착벨트(120)를 강하게 눌러 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흡착벨트(120)는 수산가공물의 표면에 강하게 밀착되어 흡유율, 탈유율이 크게 상승된다.
또 상기 플렉시블롤러(161)가 매우 유연하고 탄력적이기 때문에 수산가공물을 가압하더라도 손상이 없이 가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메쉬벨트(162)의 텐션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상부보강컨베이어(160)의 중앙 상측에 텐션조절롤러(163)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텐션조절롤러(163)는 높이 조절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메쉬벨트(162)를 가압함으로써 텐션을 상승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유닛(200)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상기 하부유닛(200)은 크게, 하부구동롤러(210), 하부흡착벨트(220), 하부압착롤러(230), 하부스팀세척수단(240), 하부열풍건조수단(250) 및 하부보강컨베이어(2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유닛(200)의 각 구성은 상기 상부유닛(100)의 각 구성과 대응, 대칭되고 세부구조도 대동소이하다. 다만, 상기 하부유닛(200)은 상기 상부유닛(100)을 뒤집어 서로 상하로 접촉하는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하부구동롤러(210), 하부흡착벨트(220), 하부압착롤러(230), 하부스팀세척수단(240), 하부열풍건조수단(250) 및 하부보강컨베이어(260)는 각각 상기 상부구동롤러(110), 상부흡착벨트(120), 상부압착롤러(130), 상부스팀세척수단(140), 상부열풍건조수단(150) 및 하부보강컨베이어(260)와 대동소이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압착롤러(230)의 제1압착롤러(231)와 제2압착롤러(232)는 상기 상부압착롤러(130)의 제1압착롤러(131)와 제2압착롤러(132)와 동일하다.
또 상기 하부보강컨베이어(260)의 플렉시블롤러(261)와 메쉬벨트(262)도 상기 상부보강컨베이어(160)의 플렉시블롤러(161)와 메쉬벨트(162)와 동일하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기름에 튀겨 가공된 수산가공물(어묵 등)을 컨베이어로 상기 상부유닛(100)의 상부흡착벨트(120)와 상기 하부유닛(200)의 하부흡착벨트(220) 사이로 진입시킨다.
진입된 수산가공물은 상부흡착벨트(120)와 하부흡착벨트(220) 사이에서 상호 밀착된 상태로 이송되면서 기름이 상기 상부흡착벨트(120)와 하부흡착벨트(220)로 흡착된다.
기름이 제거된 수산가공물은 타측으로 진출되고, 흡유된 상기 상부흡착벨트(120)와 하부흡착벨트(220)는 각각 이송되어 상기 상부압착롤러(130)와 하부압착롤러(230)로 진입한다.
즉, 상기 상부흡착벨트(120)는 상기 제1압착롤러(131)와 제2압착롤러(132) 사이에 진입되면서 압착되어 기름이 압출된 후 상기 토출구(141a)로 배출되어 재활용 가능하다.
상기 하부흡착벨트(220)도 동일한 압착 공정을 거친다.
상기 상부압착롤러(130)와 하부압착롤러(230)를 거친 상기 상부흡착벨트(120)와 하부흡착벨트(220)는 각각 상기 상부스팀세척수단(140)과 하부스팀세척수단(240)을 통과하면서 스팀으로 세척되고 다시 상기 상부열풍건조수단(150)과 하부열풍건조수단(250)을 통과하면서 열풍에 의해 건조된다.
건조된 상부흡착벨트(120)와 하부흡착벨트(220)는 다시 진입되는 수산가공물로부터 흡유 및 탈유공정을 반복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상부유닛
110 : 상부구동롤러
120 : 상부흡착벨트 121 : 연결부
130 : 상부압착롤러 131 : 제1압착롤러
132 : 제2압착롤러
140 : 상부스팀세척수단 141 : 세척하우징
141a : 토출구 142 : 분사노즐구
143 : 세척가이드롤러
150 : 상부열풍건조수단 151 : 건조하우징
151a : 열풍유입구 151b : 열풍배출구
152 : 건조가이드롤러
160 : 상부보강컨베이어 161 : 플렉시블롤러
162 : 메쉬벨트 163 : 텐션조절롤러
170 : 상부프레임
180 : 상부구동모터 181 : 상부구동기어
182 : 상부전달기어 183 : 상부구동벨트
200 : 하부유닛
210 : 하부구동롤러 220 : 하부흡착벨트
230 : 하부압착롤러 231 : 제1압착롤러
232 : 제2압착롤러
240 : 하부스팀세척수단
250 : 하부열풍건조수단
260 : 하부보강컨베이어 261 : 플렉시블롤러
262 : 메쉬벨트
270 : 하부프레임

Claims (6)

  1. 복수개의 상부구동롤러에 감겨 무한궤도로 회전 이송되는 상부흡착벨트; 상기 상부구동롤러 중 어느 하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흡착벨트를 압착함으로써 기름을 제거하는 상부압착롤러를 포함하는 상부유닛; 복수개의 하부구동롤러에 감겨 무한궤도로 회전 이송되는 하부흡착벨트; 상기 하부구동롤러 중 어느 하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흡착벨트를 압착함으로써 기름을 제거하는 하부압착롤러를 포함하는 하부유닛; 상기 상부압착롤러와 하부압착롤러의 일측에 구비되어 압착된 상기상부흡착벨트와 하부흡착벨트에 남은 기름을 스팀으로 세척하는 상부스팀세척수단; 및 하부스팀세척수단; 상기 상부스팀세척수단과 하부스팀세척수단의 일측에 각각 구비되어 스팀세척된 상기 상부흡착벨트와 하부흡착벨트에 열풍을 불어 건조하는 상부열풍건조수단; 및 하부열풍건조수단;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흡착벨트와 하부흡착벨트 사이로 유입된 수산가공물이 이송되면서 탈유되는 수산가공물 탈유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스팀세척수단은,
    일측으로 상기 상부흡착벨트가 인입되고 타측으로 인출되며 하부에 토출구가 형성된 세척하우징과, 상기 세척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통과하는 상기 상부흡착벨트에 스팀을 분사하는 분사노즐구와, 상기 상부흡착벨트를 유도하는 복수개의 세척가이드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분사노즐구는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세척하우징을 가로질러 상기 상부흡착벨트의 상측에 배치되어 스팀을 하향 분사하고,
    상기 상부열풍건조수단은,
    일측으로 상기 상부흡착벨트가 인입되고 열풍이 유입되는 열풍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으로 상기 상부흡착벨트가 인출되며 열풍이 배출되는 열풍배출구가 형성되는 건조하우징과, 상기 건조하우징의 내부를 상기 상부흡착벨트가 지그재그로 통과하도록 일측과 타측에 교대로 이격되어 배열되는 복수개의 건조가이드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상부흡착벨트와 하부흡착벨트가 마주하는 각 내측에는 유연한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고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플렉시블롤러와, 메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렉시블롤러에 감겨 회전 이송되는 메쉬벨트로 구성되는 상부보강컨베이어와 하부보강컨베이어가 더 구비되되,
    상기 상부보강컨베이어와 하부보강컨베이어의 일측에는 상기 메쉬벨트를 가압하여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조절롤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가공물 탈유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압착롤러와 하부압착롤러는,
    금속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볍고 탄성이 큰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산가공물 탈유기.
KR1020190157612A 2019-11-29 2019-11-29 수산가공물 탈유기 KR102362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612A KR102362309B1 (ko) 2019-11-29 2019-11-29 수산가공물 탈유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612A KR102362309B1 (ko) 2019-11-29 2019-11-29 수산가공물 탈유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715A KR20210067715A (ko) 2021-06-08
KR102362309B1 true KR102362309B1 (ko) 2022-02-16

Family

ID=76399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7612A KR102362309B1 (ko) 2019-11-29 2019-11-29 수산가공물 탈유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230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078B1 (ko) * 2006-05-26 2007-10-17 조봉창 어묵 탈유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6137A (ja) * 1994-01-26 1995-08-08 Bridgestone Corp 搬送ベルトのクリーニング装置
KR100505511B1 (ko) 2005-04-28 2005-08-03 이무우 어묵 탈유기
KR200396575Y1 (ko) 2005-06-17 2005-09-27 김동석 유탕식품용 탈유장치
KR100623712B1 (ko) 2005-07-04 2006-09-13 예인해 어묵탈유기용 기름흡입롤러장치
KR20070114091A (ko) 2007-10-19 2007-11-29 주식회사 청하기계 어묵 탈유기
KR101057800B1 (ko) * 2009-09-17 2011-08-19 주식회사 청하기계 탈유 및 탈수장치
KR101317769B1 (ko) * 2011-05-09 2013-10-15 서강인 열풍을 이용한 탈유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8078B1 (ko) * 2006-05-26 2007-10-17 조봉창 어묵 탈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715A (ko) 202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775284U (zh) 一种面料清洗机
CN206316067U (zh) 一种茶叶清洗机
KR20130065347A (ko) 김 건조용 발장 처리장치
CN105381971A (zh) 鸭蛋清洗筛选风干设备
KR102143204B1 (ko) 멸치자숙용 발 세척장치
CN111921970B (zh) 鸭毛处理装置
KR102362309B1 (ko) 수산가공물 탈유기
KR101539364B1 (ko) 어구 세척 장치
CN111530614A (zh) 一种带有研磨机构的中药材磨粉烘干设备
CN208321494U (zh) 一种用于绿茶叶加工的茶叶洗涤筛干装置
WO2024082570A1 (zh) 一种畜牧业养殖用牧草加工处理设备
CN205741592U (zh) 一种用于布料的清洗干燥消毒装置
JP4669325B2 (ja) マット真空洗浄機
WO2020250172A2 (en) Machine and method for continuous, open-width washing of fabrics
CN216582335U (zh) 一种可得然胶生产用卸料装置
CN215236300U (zh) 一种塑料制品清洗装置
CN215713931U (zh) 一种纺织布用湿润箱
KR20130044283A (ko) 판형 자재상의 홀칩과 이물을 제거하는 세정장치
CN108095136B (zh) 一种生花生脱皮的工艺
KR101057800B1 (ko) 탈유 및 탈수장치
KR100523165B1 (ko) 건설 폐기물의 골재 세척용 콘베이어 구조
CN206799941U (zh) 一种针织布用清洁装置
CN219556248U (zh) 一种农产品清洗设备
US1118547A (en) Fruit-drying machine.
CN210474787U (zh) 一种枸杞的清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