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2181B1 - 트럭 적재함용 공구함 - Google Patents

트럭 적재함용 공구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2181B1
KR102362181B1 KR1020210038125A KR20210038125A KR102362181B1 KR 102362181 B1 KR102362181 B1 KR 102362181B1 KR 1020210038125 A KR1020210038125 A KR 1020210038125A KR 20210038125 A KR20210038125 A KR 20210038125A KR 102362181 B1 KR102362181 B1 KR 102362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truck
main body
open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8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인
Original Assignee
이기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인 filed Critical 이기인
Priority to KR1020210038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21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6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ools or spar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05D11/105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erpendicularly to the pivot axis
    • E05D11/1064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erpendicularly to the pivot axis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1Light tru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럭 적재함용 공구함에 관한 것으로서, 트럭의 적재함에 설치되며, 물품을 투입하도록 개방부가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측면에 결합되어, 트럭의 측면에서 상기 개방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개방부를 상기 본체의 상면에 경사지도록 형성하여 물품을 투입할 수 있는 입사각이 커지도록 하고, 상기 덮개의 폐쇄로 상기 개방부가 닫혔을 때, 상기 본체와 상기 덮개 전체의 외형이 직육면체의 형태를 이루도록 한 것, 본체의 개방부를 본체의 상면에 경사지도록 형성하는 바, 상면이 수평일 때의 개방부보다 사선으로 경사진 상면이 더 넓어 개방부를 넓힐 수 있고, 상면이 경사졌을 때의 개방부의 최대 입사각이 상면이 수평일 때의 개방부의 최대 입사각을 포함하여 더 넓어지므로, 수납해야 하는 공구의 각도 및 공구를 꺼내기 위한 손의 각도에 더 여유가 있어 트럭의 외부 측면에서 적재함의 공구를 쉽게 수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트럭 적재함용 공구함{The Tool Box for Truck Cargo Box}
본 발명은 트럭 적재함용 공구함에 관한 것으로서, 물품을 투입하는 개방부가 적재함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하여 트럭의 측면 외부에서 적재함을 오르지 않아도 공구함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개방부를 경사지도록 형성해 개방부가 수평하여 위치할 때보다 물품 투입이 가능한 입사각이 커지도록 하여, 넓고 경사진 개방부로부터 쉽게 물품을 넣고 꺼낼 수 있도록 하며, 덮개가 경사진 개방부를 폐쇄하였을 때, 전체 외형이 직육면체의 형태를 이루도록 해,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트럭 적재함용 공구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특히, 트럭 등 중소형 차량은 각종 공구나 청소용품 등의 물품을 상비하기 위해 공구함를 구비하는 바, 이러한 공구함은 대개의 경우 트럭 후방의 적재함에 위치시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 일 예로서,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20-0405885호의 "차량용 공구함의 개폐구조"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럭(100)의 적재함(102)에 덮개부(204)가 트럭(100)의 후미를 바라보도록 하여 운전석 방향에 밀착되도록 위치시켜, 적재함(102)의 운전석 방향 부분에 공구함(200)이 가로로 위치하도록 설치하였다.
위와 같이 설치된 공구함(200)을 개폐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사용자가 적재함(102)에 올라서 공구함(200) 앞까지 위치한 후에 덮개부(204)를 개폐하여야 하므로, 공구함(200)에서 공구나 다양한 기타 물품을 보관하거나 사용을 위해 꺼내야 할 때, 적재함(200)을 오르내려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20-0485052호의 "공구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럭(300)의 적재함(302)에 덮개부(404)가 트럭(300)의 측면을 바라보도록 설치되는데, 이와 같이 공구함(400)이 설치되면 트럭(300)의 적재함(302)에 오르지 않고도 트럭(300)의 측면에서 덮개부(404)를 개폐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에 필요한 물품을 바로 공구함(400)에서 꺼내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었다.
그러나, 위와 같은 공구함(400)은 덮개부(404)를 열었을 때, 물품이 적재되는 몸체의 개방부분 전체가 적재함(302)의 바닥과 수평하여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이러한 형태는, 지면으로부터 적재함(302) 까지의 높이와 공구함(400)의 벽면의 높이로 인해, 상당한 높이까지 손을 뻗어 물품을 꺼내거나 넣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키에 따라 팔을 억지로 뻗거나 까치발을 드는 등의 불편한 동작이 필요로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구함(400)이 적재함의 한쪽 측면에 편향되어 위치하고 덮개부(404)가 편향된 방향에만 위치하여, 물품의 수납을 트럭(300)의 한쪽 방향에서만 가능하게 되므로, 반대쪽 방향에서 작업중일 때는 트럭(300)을 반바퀴 돌아서 물품을 꺼내올 수 밖에 없어 비효율적인 동선이 강제되는 불편함이 있었고, 또한, 적재함(302)의 한쪽 측면에 위치하여 일부분의 공간을 차지하게 되므로, 공구함(400)을 제외한 적재함(302)의 공간이 사각형의 형태가 아니게 되어 적재함(302)에 물건을 실을 때 공간의 활용성이 떨어지게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KR 20-0485052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트럭 적재함용 공구함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적재함에 오르지 않고 적재함의 외부에서 공구함을 개폐하거나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트럭 적재함용 공구함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구함의 개방된 부분의 공간을 넓히고 입사각을 더 크게 함으로써, 트럭의 외부 측면에서 적재함의 공구함에 물품을 쉽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트럭 적재함용 공구함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구함의 덮개를 양측에서 개폐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동선을 낭비하지 않고 공구함에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트럭 적재함용 공구함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트럭 적재함용 공구함은, 트럭의 적재함에 설치되며, 물품을 투입하도록 개방부가 형성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측면에 결합되어, 트럭의 측면에서 상기 개방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개방부를 상기 본체의 상면에 경사지도록 형성하여 물품을 투입할 수 있는 입사각이 커지도록 하고, 상기 덮개의 폐쇄로 상기 개방부가 닫혔을 때, 상기 본체와 상기 덮개 전체의 외형이 직육면체의 형태를 이루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본체의 일측 모서리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에 상기 개방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본체의 일측 모서리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상면 전체에 상기 개방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면 양쪽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본체의 일측 모서리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에 각각 상기 개방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사면이 상기 트럭의 후방을 향하고, 상기 덮개는 상기 트럭의 후방에서 상기 개방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와 상기 덮개를 연결하여, 상기 덮개가 여닫이로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힌지수단은, 상기 상면에 고정결합되고, 중앙에 조절공간이 형성되는 지지구; 상기 덮개의 저면 일단에 한 쌍이 돌출형성되어, 그 사이에 상기 지지구가 끼워는 연결구; 상기 지지구를 관통하여 끼워지고, 상기 조절공간에서 관통방향으로 슬라이딩 조절가능하여, 상기 덮개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구와 상기 연결구를 연결하는 연결축; 및 상기 조절공간에서 상기 연결축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구와 상기 연결구의 연결이 완료되었을 때, 상기 연결축이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힌지수단은 상기 조절공간 내에 끼워지는 비틀림스프링을 더 구비하여, 상기 덮개가 열릴 때, 상기 비틀림스프링의 회전력으로 덮개가 열리도록 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와 상기 덮개 사이에 연결되어, 덮개가 열릴 때 자체 반발력으로 덮개가 자동으로 열리도록 하고, 덮개가 닫힐 때 완충되도록 하는 업소버;를 더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트럭 적재함용 공구함에 따르면, 공구함의 측면에 개방부와 덮개를 형성하고, 개방부가 적재함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바, 적재함의 측면에서 덮개를 개폐하고 물품을 수납할 수 있으므로, 적재함을 오르지 않고 공구함을 사용할 수 있어 번거롭게 적재함을 오르내리지 않고 쉽게 공구함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체의 개방부를 본체의 상면에 경사지도록 형성하는 바, 상면이 수평일 때의 개방부보다 사선으로 경사진 상면이 더 넓어 개방부를 넓힐 수 있고, 상면이 경사졌을 때의 개방부의 최대 입사각이 상면이 수평일 때의 개방부의 최대 입사각을 포함하여 더 넓어지므로, 수납해야 하는 물품의 각도 및 물품을 꺼내기 위한 손의 각도에 더 여유가 있어 트럭의 외부 측면에서 물품을 쉽게 수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개방부가 양 측면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는 바, 물품의 수납을 트럭의 양옆에서 선택적으로 할 수 있어, 작업위치와 가까운 방향의 개방부 쪽에서 물품을 수납할 수 있게 되므로, 동선을 낭비하지 않고 작업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개방부를 경사지도록 형성하면서도, 덮개를 덮어 개방부를 닫았을 때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갖도록 함으로써, 상부가 기울어진 본체의 형태와 관계없이 덮개를 닫았을 때의 미관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덮개와 본체를 연결하는 힌지수단은 덮개의 연결구에 연결축이 결합된 상태에서 본체에 고정결합된 지지구에 결합하면서도, 고정구로 연결축을 고정하는 바, 덮개에 일체 돌출된 지지구와 본체에 견고하게 고정결합된 연결구를 연결축이 견고하게 연결하여 덮개가 회전 가능하도록 하므로, 덮개와 본체의 조립이 간편하고, 장기간 사용하여도 연결축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으며, 힌지수단이 쉽게 파손되지 않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트럭 적재함용 공구함의 사용상태도.
도 2는 또 다른 종래의 트럭 적재함용 공구함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럭 적재함용 공구함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럭 적재함용 공구함의 개방부가 측방 일부분에 형성된 상태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럭 적재함용 공구함의 개방부가 측방 전체에 형성된 상태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럭 적재함용 공구함의 개방부가 양측에 형성된 상태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럭 적재함용 공구함의 개방부가 정면에 형성된 상태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럭 적재함용 공구함의 개방부로 넓어진 입사각을 이전과 비교한 모습을 도시한 부분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럭 적재함용 공구함의 힌지수단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럭 적재함용 공구함의 힌지수단을 확대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럭 적재함용 공구함을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트럭 적재함용 공구함은 도 3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본체(10) 및 덮개(20)가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는 트럭적 재함용 공구함(3)의 하부 몸체를 이루어 공구나 청소용품 등과 같은 다양한 물품이 적재되는 것으로서,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이 직사각형의 바닥이고 벽면이 바닥의 외곽에서 수직으로 올라와 물품이 적재될 내부를 이루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면은 적어도 일부분이 일측 모서리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면(11)으로 형성되고, 경사면(11)에 물품을 투입할 수 있도록 개방된 개방부(12)가 형성된다.
또한, 본체(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2)에서 트럭(1) 본체에 밀착되어 설치되며, 주변 벽면 중 넓은 면이 정면 및 후면이 되어 트럭(1)의 전방과 후방을 향하도록 하고, 좁은 면이 측면이 되어 트럭(1)의 측면을 향하도록 위치한다.
또한, 본체(10)는 상기했듯이 상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경사면(11)으로 형성되어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는데, 그 일 예로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측면 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11)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의 경사면(1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의 일측 측면 모서리와 이격진 일 지점에서 대향측 모서리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져서 측면쪽 일부분이 경사면(11)으로 형성되어 경사면(11)에 개방부(12)가 형성되도록 한 것이며, 이와 같이 측면 일부분에 경사면(11)을 형성할 때는 경사면(11)에만 개방부(12)를 형성할 수도 있지만, 경사면(11)과 수평면에 함께 개방부(12)를 형성하여, 물품을 투입하기 쉽도록 개방부(12)의 넓이를 넓힐 수 있다.
도 5의 경사면(1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일측 측면 모서리서부터 대향측 모서리까지 높이가 낮아져서 상면 전체가 경사면(11)으로 형성되며, 경사면(11) 전체에 개방부(12)가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도 6의 경사면(1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양쪽이 대칭되어 모서리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면(11,11')으로 형성되고, 양쪽의 경사면(11,11')에 각각 개방부(12,12')가 형성되며, 양쪽 측면의 개방부(12)로 인해 물품의 수납을 트럭(1)의 양옆에서 선택적으로 할 수 있어, 작업위치와 가까운 방향의 개방부 쪽에서 공구를 수납할 수 있게 되므로, 동선을 낭비하지 않고 작업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양쪽에 대칭되어 형성된 경사면(11,11')은, 상면의 중앙을 기준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거나, 경사의 시작부분이 겹쳐 상면의 중앙이 뾰족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경사면(11)의 방향의 또 다른 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정면 방향 즉, 트럭의 후방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할 수 있다.
도 7의 경사면(1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의 후방 모서리와 이격진 일 지점에서 전방 모서리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져서 전방쪽 일부분이 경사면(11)으로 형성되어 경사면(11)과 수평면을 포함한 상면 전체에 개방부(12)가 형성되도록 한 것이며, 개방부(12)는 경사면(11)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이 본체(10)의 상면에 경사면(11)을 형성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상면에 수평하도록 개방부(112)를 형성하였을 때 물품을 넣을 수 있는 입사각(r1)보다 경사져서 형성된 개방부(12)에 물품을 넣을 수 있는 입사각(r2)이 더 커지게 되고, 같은 넓이의 본체(10)를 비교해 볼 때 수평의 개방부(112)보다 경사진 개방부(112)의 넓이가 더 크게 되므로, 수납해야 하는 물품의 각도 및 물품을 꺼내기 위한 손의 각도에 더 여유가 있어, 트럭(1)의 측면에 개방부(12)가 형성되었을 때는 트럭(1)의 외부 측면에서 물품을 쉽게 수납할 수 있고, 트럭(1)의 후방을 향하여 개방부(12)가 형성되었을 때도 넓은 입사각(r2)으로 적재함(2)에서 물품을 쉽게 수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개방부(1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수단(30) 방향 보다 덮개(20)를 개방하는 방향의 넓이가 더 넓게 형성되어 물품을 더 넓은 범위에서 넣거나 꺼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덮개(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개방부(12)를 개폐하는 것으로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측면에 경사져서 개방부(12)가 형성되었을 때는, 개방부(12)의 경사진 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본체(10)의 측면 즉, 트럭(1)의 측면에서 덮개(20)를 개폐할 수 있도록 결합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정면에 경사져서 개방부(12)가 형성되었을 때는, 본체(10)의 정면 즉, 적재함(2)에서 덮개(20)를 개폐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또한, 덮개(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되어 개방부(12)를 닫았을 때, 본체(10)와 덮개(20) 전체의 외형이 직육면체의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이와 같이 개방부(12)가 다양한 위치 및 넓이를 가져도 트럭 적재함용 공구함(3)이 전체적으로 직육면체로 형성되도록 하면, 상부가 기울어진 본체(10)의 형태와 관계없이 덮개(20)를 닫았을 때 직육면체의 깔끔한 형상으로 인해 미관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한편, 트럭 적재함용 공구함(3)은 덮개(20)를 본체(10)에 결합하는 수단을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는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와 덮개(20)를 연결하여, 덮개(20)가 여닫이로 개폐 가능하도록 하여, 지지구(31), 연결구(32), 연결축(33) 및 고정구(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힌지수단(3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구(3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상면에 고정결합되어 연결된 덮개(20)를 본체(10)에 지지하는 것으로서, 하부가 본체(10)의 상면에 고정결합되고, 양측 단부가 돌출되어 상기 연결축(33)이 관통되어 삽입되도록 형성되며, 양측 단부의 사이 중앙에 조절공간(31a)이 형성되어 연결축(33)을 관통된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돌출된 길이를 조절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연결구(3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20)의 저면 일단에 한 쌍이 이격져서 돌출형성되어, 그 사이에 지지구(31)가 끼워져 결합되며, 지지구(31)에 관통된 연결축(33)이 지지구(31)에 결합되도록 홈(32a)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축(33)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구(31)에 연결구(32)를 연결하여 덮개(20)가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조절공간(31a)에서 지지구(31)를 관통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구(31)를 관통하여 결합되며, 연결구(32)에 결합될 때는 일측이 지지구(31)에서 돌출되고 타측이 지지구(31) 내에 돌출되지 않도록 위치하여 일단만 연결구(32)의 일측 홈(32a)에 비스듬히 삽입되고, 타측 홈(32a)과 수평을 맞춘 뒤 조절공간(31a)에서 조절하여 타측 홈(32a)에 삽입하면, 연결구(32)를 지지구(31)에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구(34)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공간(31a) 내에 위치하여 연결축에 결합되어, 연결축(33)이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으로서, 연결축(33)이 연결구(32)의 양쪽 홈(32a)에 삽입한 뒤, 연결축(33)이 더이상 슬라이딩되지 않도록 조절공간(31a)의 내부 양면에 결합되며, 연결축(33)에 스냅식으로 결합되어 탈착이 간편한 스냅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힌지수단(30)은 덮개(20)의 연결구(32)에 연결축(33)이 결합된 상태에서 본체(10)에 고정결합된 지지구(31)에 결합하면서도, 고정구(34)로 연결축(33)을 고정하는 바, 덮개(20)에 일체 돌출된 지지구(31)와 본체(10)에 견고하게 고정결합된 연결구(32)를 연결축(33)이 견고하게 연결하여 덮개(20)가 회전 가능하도록 하므로, 덮개(20)와 본체(10)의 조립이 간편하고, 장기간 사용하여도 연결축(33)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으며, 지지구(31) 및 연결축(33)이 견고하여 힌지수단(30)이 쉽게 파손되지 않게 된다.
또한, 힌지수단(3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축(33)에 끼워져 조절공간(31a)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비틀림스프링(35)을 더 구비할 수 있는데, 비틀림스프링(35)은 양단에 각각 덮개(20)에 고정되는 제1 단부(35a)와 지지구(31)에 고정되는 제2 단부(35b)가 형성되고, 덮개(20)가 닫힌 상태일 때, 비틀림스프링(35)이 비틀려 내포하고 있던 회전토크가 덮개(20)가 열리는 방향으로 반발력을 전달하여, 덮개(20)가 열릴 때 반발력에 의해 쉽게 열리도록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트럭 적재함용 공구함(3)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2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업소버(80)를 구비하면, 덮개(20)가 열릴 때 업소버(80) 자체의 반발력으로 덮개(20)가 자동으로 열리도록 할 수 있고, 덮개(20)가 닫힐 때 덮개(20)가 완충되도록 할수 있게 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20)를 닫았을 때 본체(10)와 잠글 수 있는 잠금장치(91)를 구비하면, 트럭(1)의 이동 중 충격에 의해 트럭 적재함용 공구함(3)이 열려 내용물이 내부에서 이탈할 수 있는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 트럭 2: 적재함
10: 본체 12: 개방부
20: 덮개

Claims (8)

  1. 트럭(1)의 적재함(2)에 설치되며, 물품을 투입하도록 개방부(12)가 형성된 본체(10); 및
    상기 본체(10)의 측면에 결합되어, 트럭(1)의 측면에서 상기 개방부(12)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덮개(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개방부(12)를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경사지도록 형성하여 물품을 투입할 수 있는 입사각(r2)이 커지도록 하고, 상기 덮개(20)의 폐쇄로 상기 개방부(12)가 닫혔을 때, 상기 본체(10)와 상기 덮개(20) 전체의 외형이 직육면체의 형태를 이루도록 하며,
    상기 본체(10)와 상기 덮개(20)를 연결하여, 상기 덮개(20)가 여닫이로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수단(30)을 더 구비하며,
    상기 힌지수단(30)은,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고정결합되고, 중앙에 조절공간(31a)이 형성되는 지지구(31);
    상기 덮개(20)의 저면 일단에 한 쌍이 돌출형성되어, 그 사이에 상기 지지구(31)가 끼워는 연결구(32);
    상기 지지구(31)를 관통하여 끼워지고, 상기 조절공간(31a)에서 관통방향으로 슬라이딩 조절가능하여, 상기 덮개(20)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구(31)와 상기 연결구(32)를 연결하는 연결축(33); 및
    상기 조절공간(31a)에서 상기 연결축(33)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구(31)와 상기 연결구(32)의 연결이 완료되었을 때, 상기 연결축(33)이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구(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축(33)은 상기 연결구(32)에 결합될 때 일측이 상기 지지구(31)에서 돌출되고 타측이 상기 지지구(31)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위치하여, 일단만 상기 연결구(32)의 일측 홈(32a)에 비스듬히 삽입되고 타단은 수평을 맞춘 뒤 상기 조절공간(31a)에서 조절하여 타측 홈(32a)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연결구(32)를 상기 지지구(31)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 적재함용 공구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상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본체(10)의 일측 모서리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면(11)으로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11)에 상기 개방부(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 적재함용 공구함.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상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본체(10)의 일측 모서리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면(11)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10)의 상면 전체에 상기 개방부(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 적재함용 공구함.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상면 양쪽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본체(10)의 일측 모서리로 갈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면(11,11')으로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11,11')에 각각 개방부(12,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 적재함용 공구함.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11)이 상기 트럭(1)의 후방을 향하고, 상기 덮개(20)는 상기 트럭(1)의 후방에서 상기 개방부(12)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 적재함용 공구함.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수단(30)은 상기 조절공간(31a) 내에 끼워지는 비틀림스프링(35)을 더 구비하여, 상기 덮개(20)가 열릴 때, 상기 비틀림스프링(35)의 회전력으로 덮개(20)가 열리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 적재함용 공구함.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와 상기 덮개(20) 사이에 연결되어, 덮개(20)가 열릴 때 자체 반발력으로 덮개(20)가 자동으로 열리도록 하고, 덮개(20)가 닫힐 때 완충되도록 하는 업소버(8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럭 적재함용 공구함.
KR1020210038125A 2021-03-24 2021-03-24 트럭 적재함용 공구함 KR102362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125A KR102362181B1 (ko) 2021-03-24 2021-03-24 트럭 적재함용 공구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8125A KR102362181B1 (ko) 2021-03-24 2021-03-24 트럭 적재함용 공구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2181B1 true KR102362181B1 (ko) 2022-02-14

Family

ID=80254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8125A KR102362181B1 (ko) 2021-03-24 2021-03-24 트럭 적재함용 공구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218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8414A (en) * 1991-12-23 1993-02-23 Ford Motor Company Pick-up truck with auxiliary load compartment
US5419476A (en) * 1993-07-26 1995-05-30 White; W. Wyatt Truck tool box locking door plate
KR960021776U (ko) * 1994-12-14 1996-07-20 김종백 자동차 트렁크용 정리함
KR200485052Y1 (ko) 2016-03-31 2017-11-23 김덕중 공구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88414A (en) * 1991-12-23 1993-02-23 Ford Motor Company Pick-up truck with auxiliary load compartment
US5419476A (en) * 1993-07-26 1995-05-30 White; W. Wyatt Truck tool box locking door plate
KR960021776U (ko) * 1994-12-14 1996-07-20 김종백 자동차 트렁크용 정리함
KR200485052Y1 (ko) 2016-03-31 2017-11-23 김덕중 공구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9704A (en) Collapsible locker box
US5979725A (en) Multi-compartment organizer for minivan
US9248566B2 (en) Tool housing case and subcase
US8348325B2 (en) Vehicle tailgate having pivoting secondary tailgate therein
US3904035A (en) Receptacle with hinged closure flaps
CA2398799A1 (en) Vehicle tailgate with storage capacity
US10434955B2 (en) Luggage compartment structure of vehicle
US10974656B2 (en) Pickup truck tailgate storage carrier and resting surface
US6170723B1 (en) Double opening lid for a storage box for a pick-up truck bed
KR102362181B1 (ko) 트럭 적재함용 공구함
KR200485052Y1 (ko) 공구함
CA2360607C (en) Storage tray for use with a tonneau cover assembly
US7059666B2 (en) Multi-access truck bed
KR101445314B1 (ko) 화물차량 적재함용 개폐형 천막프레임
US10737627B2 (en) Luggage room assembly mounted in vehicle
JP2006501093A (ja) 自動車の後部トランクに収納された物の保護装置
JP2531807Y2 (ja) 床下収納庫
JP3714067B2 (ja) 上開き扉付きケースの扉開閉装置
KR102324031B1 (ko) 택배 차량의 선반 확장 구조
JPH0439072Y2 (ko)
JP3239484B2 (ja) 収納ケース
WO2024129409A1 (en) Storage chest for a utility cart
JP2016521223A (ja) 特に自動車のテールゲートに取り付けるための容器
JP2002087169A (ja) 自動車用収納ボックス構造
JP2523904Y2 (ja) 昇降機能を備えた回転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