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2146B1 - 모듈러유닛 - Google Patents

모듈러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2146B1
KR102362146B1 KR1020210073793A KR20210073793A KR102362146B1 KR 102362146 B1 KR102362146 B1 KR 102362146B1 KR 1020210073793 A KR1020210073793 A KR 1020210073793A KR 20210073793 A KR20210073793 A KR 20210073793A KR 102362146 B1 KR102362146 B1 KR 102362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ar unit
fastening
hole
plate
mod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3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봉호
이근우
정담이
송유진
이동섭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04B1/34861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particular arrangement of habitable rooms or their component parts; modular co-ordin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3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three-dimensional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45Load-supporting elements with reinforcement at the connection point other than the conn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모듈러유닛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은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기둥과, 상기 기둥과 수직하게 결합되는 보를 구비하는 모듈러부로서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다중 결합될 수 있는 모듈러부; 상기 기둥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부 관통홀이 형성되는 상단 플레이트; 상기 기둥의 하단에 고정되고 상기 상부 관통홀의 단면과 상이한 단면을 가지는 하부 관통홀이 형성되는 하단 플레이트; 길이 연장되어 상기 내부 공간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상부 관통홀 및 상기 하부 관통홀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체결봉을 구비하는 체결부재; 및 상기 체결봉과 이웃하는 다른 체결봉의 하단부가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상단 플레이트와 이웃하는 다른 하단 플레이트의 하부 관통홀에 삽입되는 제1 본체와, 상기 체결봉의 상단부가 하측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1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1 본체의 하단 테두리부에 걸림턱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본체의 단면과 상이한 단면을 가지고 상기 상부 관통홀에 삽입되는 제2 본체를 구비하는 이음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듈러유닛{MODULAR UNIT}
본 발명은 모듈러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다중 결합이 가능하여 모듈화된 건축물로 사용되는 모듈러유닛에 관한 것이다.
모듈러 건축물이란, 선택된 부지에서 시공되는 기존의 건축물과 달리, 공장에서 다수의 입방체로 구성되는 구조체 내부에 각종 내장재(창호 등), 각종 기계설비(욕실 및 주방 등) 및 전기 배선 등을 미리 시공하고 이를 현장에 운반 및 조립하여 완성하는 주택을 말한다.
이와 같은 모듈러 건출물은 건설 현장에 종사하는 기능 인력이 줄어들고 있는 실정에서도 생산성과 시공의 질을 높일 수 있고 쾌적하고 안전한 시공현장을 유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공사 기간 단축 및 시공비와 환경부하를 절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점 때문에 최근에는 건축 공사장의 현장 사무실이나, 임시 숙소, 주거용 건축물 및 학교의 증축 등의 용도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재해로 인한 주택피해를 입은 재해민들의 피해에 대한 복구 전까지 임시 거처로 사용되거나 주거의 이동이 많은 군의 병영 내에서도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모듈러 건축물은 대부분의 마감재가 미리 설치된 후 현장에서 조립되기 때문에, 모듈러 건축물에 사용되는 복수의 모듈러유닛들 사이의 결합을 빠른 시간 내에 쉽게 결합될 수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사람이 거주할 수 있는 공간이므로 안정성이 보장되도록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모듈러 유닛은 중량물로 구성되어 무게가 상당하여 모듈러 유닛을 정렬하여 결합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이와 같은 모듈러 유닛들은 내외부 벽체 등이 구성된 상태에서 현장에서 결합되므로, 결합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결합 및 해체 시 마감재가 손상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978320호(모듈러 건축물의 결합장치)
본 발명은 복수의 모듈러유닛을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용이하게 다중 결합 가능한 모듈러유닛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모듈러유닛을 다중 결합 시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는 모듈러유닛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모듈러유닛이 다중 결합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분리하거나 재결합할 수 있는 모듈러유닛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모듈러유닛의 결합을 위한 체결부재가 모듈러유닛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는 모듈러유닛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리프트부를 이용하여 결합될 위치까지 모듈러유닛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고, 모듈러유닛 운반 시 이용되는 리프트결합부가 견고하게 지지되는 모듈러유닛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최하단에 배치된 모듈러유닛을 지면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모듈러유닛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기둥과, 상기 기둥과 수직하게 결합되는 보를 구비하는 모듈러부로서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다중 결합될 수 있는 모듈러부; 상기 기둥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부 관통홀이 형성되는 상단 플레이트; 상기 기둥의 하단에 고정되고 상기 상부 관통홀의 단면과 상이한 단면을 가지는 하부 관통홀이 형성되는 하단 플레이트; 길이 연장되어 상기 내부 공간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상부 관통홀 및 상기 하부 관통홀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체결봉을 구비하는 체결부재; 및 상기 체결봉과 이웃하는 다른 체결봉의 하단부가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상단 플레이트와 이웃하는 다른 하단 플레이트의 하부 관통홀에 삽입되는 제1 본체와, 상기 체결봉의 상단부가 하측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1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1 본체의 하단 테두리부에 걸림턱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본체의 단면과 상이한 단면을 가지고 상기 상부 관통홀에 삽입되는 제2 본체를 구비하는 이음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모듈러부는 상기 기둥 및 상기 보에 결합되는 외벽을 더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모듈러부는 상기 외벽에 형성되는 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체결봉의 상단부의 단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체결봉의 상단면에는 하측으로 함몰되는 홈이 형성되되 상기 홈은 단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체결봉의 하단부의 단면적이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모듈러부가 수평 방향으로 다중 결합될 수 있도록 이웃한 복수의 상기 기둥의 상단 플레이트 상부면에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제2 본체가 각각 관통되는 복수의 연결홀부가 형성되는 연결판;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결판 상부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본체의 외측면을 감싸는 체결홀부가 형성되는 체결판;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상단 플레이트의 상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핀;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판에는 상기 가이드핀이 관통되는 제1 가이드핀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판에는 상기 가이드핀이 관통되는 제2 가이드핀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이드핀은 상단부의 단면적이 상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체결판에 배치되어 상기 이음부재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체결홀부는 상기 제1 본체가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는 제1 공간과, 상기 제1 공간과 연결된 제2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공간에는 상기 이음부재의 상기 제1 본체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쇠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본체에는 하단부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쇠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본체에는 하단부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일방향으로 경사진 복수의 제1 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쇠의 일측에는 상기 복수의 제1 톱니 사이에 삽입되도록 일측에 타방향으로 경사진 복수의 제2 톱니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회전방지부재는 상기 체결홀부의 내주면과 상기 제1 본체의 외주면 사이로 가압하는 탄성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기둥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체결봉이 관통하는 가이드홀부가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플레이트;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둘레부가 상기 기둥의 내주면에 접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이드홀부는 상기 상부 관통홀 및 상기 하부 관통홀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체결봉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단면적은 상기 기둥의 상기 내부 공간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내부 공간의 상기 기둥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홀부보다 크도록 상기 체결봉의 둘레에서 방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모듈러부를 들어올리기 위하여 상기 체결부재와 결합되는 리프트부와 연결되는 리프트결합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리프트결합부는 상기 체결부재와 결합되는 리프트결합부본체; 및 상기 리프트결합부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리프트부와 연결가능한 연결고리;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리프트결합부는 상기 체결부재에 관통하되 상기 상단 플레이트와 상기 리프트결합부본체의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기둥은 길이 연장되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 및 내부공간을 제1 내부공간 및 제2 내부공간으로 분할하도록 상기 한 쌍의 측벽 사이를 연결하는 격벽; 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기둥은 단면이 사각형인 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지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체결부재 중 가장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체결부재의 하단부와 결합되는 기초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기초부는 상기 지면상에 고정되고 상부면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기초부몸체; 및 상기 체결부재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기초부몸체의 상측에 형성되는 기초부 가이드홀; 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은 복수의 모듈러유닛을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용이하게 다중 결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은 복수의 모듈러유닛을 다중 결합 시 신속하게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은 복수의 모듈러유닛이 다중 결합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분리하거나 재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은 복수의 모듈러유닛의 결합을 위한 체결부재가 모듈러유닛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내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은 리프트부를 이용하여 결합될 위치까지 모듈러유닛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고, 모듈러유닛 운반 시 이용되는 리프트결합부가 견고하게 지지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은 본 발명은 최하단에 배치된 모듈러유닛을 지면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의 이음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A부분의 변형예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A부분의 변형예를 확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A부분의 변형예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의 이음부재의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의 이음부재의 변형예가 연결판 및 체결판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의 체결판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의 체결판의 변형예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의 체결부재가 이음부재의 변형예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의 체결부재가 이음부재의 변형예와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이 리프트부에 의하여 옮겨지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의 체결부재에 리프트결합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도 1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의 체결부재에 리프트결합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9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이 리프트부의 변형예에 의하여 옮겨지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에 리프트결합부의 변형예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의 C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1의 C부분을 확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1의 C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1의 B부분을 확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1의 B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의 기둥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표시된 복수의 모듈러유닛이 상하로 적층되는 방향을 수직 방향으로 규정하고, 복수의 모듈러유닛이 지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방향을 수평 방향으로 규정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의 이음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10)은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다중 결합이 가능하여 모듈화된 건축물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10)은 별도로 구비되는 결합용 부품없이 내장된 체결부재(200)를 이용하여 복수의 모듈러유닛(10)을 용이하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10)은 모듈러부(100), 체결부재(200) 및 이음부재(300)를 구비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러부(100)는 모듈러유닛(10)의 외부 프레임으로서 기둥(110), 보(120) 및 외벽(150)을 구비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110)은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배치되고 보(120)는 지면과 수평하게 되도록 기둥(110)의 상단과 하단에 접합된다.
이 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러부(100)는 4개의 기둥(110)이 모서리에 배치되고 8개의 보가 4개의 기둥(110)을 연결하는 입방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모듈러부(100)의 기둥(110)을 일직선 상에 배치하여 적층할 수 있으면 모듈러부(100)의 형상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150)은 한 쌍의 기둥(110)과 한 쌍의 보(120)에 둘러싸여 배치된다. 이에 때라, 모듈러부(100)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 이 때, 외벽(150)에는 개구부(160)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60)는 모듈러부(100)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둥(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공간(112)이 형성되고 길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면 실시예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3에서와 같이 기둥(110)은 H형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H형 기둥(110)은 길이 연장되고 서로 대향하도록 나란히 배치되는 한 쌍의 측벽(114)과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114)의 내측면 중앙을 연결하는 격벽(116)을 구비한다.
격벽(116)은 한 쌍의 측벽(114) 사이에 형성된 내부 공간(112)은 제1 내부 공간(112a)과 제2 내부 공간(112b)을 분할한다.
또한, 기둥(110)은 후술할 바와 같이, 단면이 사각형으로서 내부에 내부 공간(112) 통로와 같이 형성되는 각형강이거나(도 26 참조),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과 항 쌍의 측벽의 일측을 연결하는 격벽으로 형성되는 7자 형상일 수 있다.
이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110)은 상단부가 상측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10)의 상단 플레이트(130)는 기둥(110)의 상단에 고정되어 내부 공간(112)과 기둥(110)의 상측 공간을 구획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플레이트(130)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부 관통홀(131)이 형성된다. 이 때, 상부 관통홀(131)은 필요에 따라 제1 내부 공간(112a)과 제2 내부 공간(112b)이 각각 기둥(110)의 상측 공간과 소통 가능하도록 2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단 플레이트(130)가 기둥(110)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방식에는 제한이 없으며, 공지된 다양한 방식으로서 예를 들면, 용접 등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110)은 하단부가 하측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10)의 하단 플레이트(140)는 기둥(110)의 하단에 고정되어 제1 내부 공간(112a) 및 제2 내부 공간(112b)과 기둥(110)의 하측 공간을 구획한다.
하단 플레이트(140)에도 상단 플레이트(130)에 형성된 상부 관통홀(131)과 대향되도록 하부 관통홀(141)이 형성되며, 하부 관통홀(141)은 상부 관통홀(131)의 개수와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다만, 하부 관통홀(141)의 형상은 상부 관통홀(131)과 상이하게 형성되면 형상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이는 상부 관통홀(131)은 후술하는 이음부재(300)의 제1 본체(320)가 삽입되고, 하부 관통홀(141)은 제2 본체(330)가 삽입되므로, 제1 본체(320) 및 제2 본체(330) 각각의 형상에 맞추어 상부 관통홀(131) 및 하부 관통홀(141)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관통홀(131)과 하부 관통홀(141)의 형상은 원형으로 형성되되 상부 관통홀(131)의 크기가 하부 관통홀(141)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단 플레이트(130) 및 하단 플레이트(140)는 시중의 모듈러부(100)의 기둥(110)의 상하단에 상단 플레이트(130) 및 하단 플레이트(140)를 접합시켜 사용할 수 있어서 호환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10)은 기둥(110)의 내부 공간(112)에 가이드 플레이트(6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플레이트(600)는 내부 공간(112)에 수평 방향, 즉 기둥(11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다만, 가이드 플레이트(600)가 내부 공간(112)에 배치되는 위치와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가이드 플레이트(600)는 둘레부가 기둥(110)의 내주면에 접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플레이트(600)는 상단 플레이트(130)에 인접한 위치에 상단 플레이트(130)와 이격되어 배치되거나, 하단 플레이트(140)에 인접한 위치에 하단 플레이트(14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플레이트(600)에는 상부 관통홀(131)과 하부 관통홀(141)에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홀부(610)가 형성된다. 가이드홀부(610)는 후술하는 체결부재(200)가 관통하는 홀로서 체결부재(200)가 내부 공간(112)에서 특정 위치에 배치되도록 가이드한다.
체결부재(200)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가이드하기 위하여 가이드홀부(610)는 상부 관통홀(131) 및 하부 관통홀(141)보다 크기가 작게 형성된다.
가이드홀부(6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단 플레이트(130) 또는 하단 플레이트(140)가 인접하게 배치됨에 따라서, 모듈러부(100)를 적층할 때, 체결부재(200)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가 큰 오차로 움직이는 적을 방지하여 모듈러부(100) 적층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110)의 내부 공간(112)에는 체결부재(200)가 배치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200)는 체결봉(210)과 걸림판(220)을 구비한다.
이 때, 체결봉(210)은 상부 관통홀(131), 하부 관통홀(141) 및 가이드홀부(610)를 관통하여 기둥(110)의 내부 공간(112)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형성된다.
체결봉(210)의 양 단부에는 후술하는 이음부재(30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나사산(212)이 형성된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봉(210)의 상단의 끝부분은 단면이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체결봉(210)을 회전시킬 때에 단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공구를 이용하여 체결봉(210)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체결봉(210)의 상단면에는 하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다각형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공지된 공구를 사용하여 체결봉(210)을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봉(210)의 하단부는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는 체결봉(210)의 하단부를 후술하는 이음부재(300)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상술한 부분 외에 체결봉(210)의 단면의 형상에는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판(220)은 체결봉(210)의 외주면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 때, 걸림판(220)의 크기는 상술한 가이드 플레이트(600)에 형성된 가이드홀부(610)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를 통해, 걸림판(220)은 체결봉(210)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 시 가이드 플레이트(600)에 걸림판(220)이 걸려 체결봉(210)이 기둥(11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때, 걸림판(220)은 체결봉(210)이 상하로 소정의 길이만큼 움직일 수 있도록 가이드 플레이트(600)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판(2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나사산(212)에 결함됨으로써 체결봉(210)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체결봉(210)과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시공 시 필요에 따라 걸림판(22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봉(210)의 양단에는 이음부재(300)가 결합된다. 이음부재(300)는 상하로 이웃한 체결봉(210)을 서로 연결시킴으로써 모듈러부(100)의 기둥(110)을 상하방향으로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10)의 이음부재(300)는 제1 본체(320), 제2 본체(330) 및 결합부(310)를 구비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음부재(300)의 상부에는 연장 형성된 제1 본체(320)가 배치되고 제1 본체(320)의 상부면에는 제1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결합부(310)가 형성된다. 결합부(310)의 내주면에는 체결봉(210)의 양단부에 형성된 제1 나사산(212)에 나사 결합될 수 있는 제2 나사산(312)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봉(210)의 하단부는 제1 본체(320)의 상단면에 형성되는 결합부(310)에 삽입되어 나사 결함됨으로써 체결봉(210)과 이음부재(300)가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본체(320)는 하단 플레이트(140)에 형성되는 하부 관통홀(141)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부 관통홀(141)과 대응되는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본체(320)의 하부에는 제2 본체(330)에 연장 형성된다. 제2 본체(330)에도 제1 본체(320)와 마찬가지로 하부면에 길이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결합부(310)가 형성되며, 결합부(310)의 내주면에는 제2 나사산(312)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서, 제2 본체(330)에 형성된 결합부(310)에는 체결봉(210)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나사 결합됨으로써 이음부재(300)와 체결부재(200)가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체결봉(210) 및 이음부재(300)가 순차적으로 결합됨으로써 모듈러부(100)가 상하 방향으로 다층 적층되어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제2 본체(330)는 상단 플레이트(130)에 형성된 상부 관통홀(131)에 삽입되도록 상부 관통홀(131)의 형상과 대응되는 단면으로 형성된다.
이 때, 제2 본체(330)의 단면의 모양은 제1 본체(320)의 단면의 모양과 다르게 형성된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본체(320)는 원형 단면을 가지고, 제2 본체(330)는 제1 본체(320)의 단면보다 작은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본체(320)의 하부면 둘레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걸림턱(3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걸림턱(322)은 이음부재(300)가 상단 플레이트(130)에 형성된 상부 관통홀(131)을 관통하여 하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별도의 걸림방지부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걸림턱(322)을 이용하여 이음부재(30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경우에는 이음부재(300) 제조 시 버려지는 재료를 최소화하여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10)은 연결판(400), 체결판(500) 및 가이드핀(700)을 구비한다.
연결판(400)은 이음부재(300)의 제2 본체(330)가 관통할 수 있는 연결홀부(410)가 형성되는 판형으로 형성되고 상단 플레이트(130)의 상부에 적층된다.
이 때, 연결판(400)은 모듈러부(100)가 수평 방향으로 다중 결합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연결판(400)에 형성되는 연결홀부(410)는 복수개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서, 연결판(400)의 일부분은 일 모듈러부(100)의 기둥(110)의 상단 플레이트(130)의 상측에 배치되고, 연결판(400)의 다른 부분은 일 모듈러부(10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모듈러부(100)의 기둥(110)의 상단 플레이트(130)의 상측에 배치된다.
이 때, 복수의 연결홀부(410)는 연결판(400)의 일부분과 다른 부분에 각각 대칭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일 모듈러부(100)의 기둥(110)의 상단에 결합되는 이음부재(300)의 제2 본체(330)와 일 모듈러부(100)에 이웃한 다른 모듈러부(100)의 기둥(110)의 상단에 결합되는 다른 이음부재(300)의 제2 본체(330)가 하나의 연결판(400)에 각각 형성된 연결홀부(410)에 삽입됨으로써, 모듈러부(100)를 수평 방향으로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을 이용하여 복수의 모듈러부(100)를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연결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도 1의 A부분의 변형예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A부분의 변형예를 확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A부분의 변형예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의 이음부재의 변형예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의 이음부재의 변형예가 연결판 및 체결판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의 체결판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의 체결판의 변형예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의 체결부재가 이음부재의 변형예에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의 체결부재가 이음부재의 변형예와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10)은 체결판(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판(500)은 연결판(400)의 상부면에 배치된다. 다만, 체결판(500)은 반드시 연결판(400)의 상부면에만 배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모듈러부(100)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지 않고 수직 방향으로만 연결되는 경우에는 체결판(500)이 직접 상단 플레이트(130)의 상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체결판(500)에는 이음부재(300)의 제1 본체(320)가 관통할 수 있는 체결홀부(510)가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홀부(510)는 제1 본체(3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본체(320)의 단면 형성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체결판(500)은 이음부재(300)를 회전시켜 체결봉(210)에 결합 시 이음부재(300)의 위치를 고정하여 긴장력을 작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이음부재(300)가 관통할 수 있도록 체결홀부(510)는 연결판(400)의 연결홀부(410) 및 상단 플레이트(130)의 상부 관통홀(131)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이 서로 분리되어 있는 상단 플레이트(130), 연결판(400) 및 체결판(500)의 위치를 정렬하여 이음부재(300)가 관통하는 상부 관통홀(131), 연결홀부(410), 및 체결홀부(510)의 위치가 일정하게 정렬될 수 있도록 상단 플레이트(130)에는 가이드핀(700)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 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핀(700)이 돌출되는 위치에 대응하여 연결판(400)과 체결판(500)에는 각각 가이드핀(700)의 관통할 수 있는 제1 가이드핀홀부(420) 및 제2 가이드핀홀부(520)가 형성된다.
가이드핀(700), 제1 가이드핀홀부(420) 및 제2 가이드핀홀부(520)를 구비함으로써 시공자는 미세한 조절을 상단 플레이트(130)에 연결판(400), 체결판(500)을 쉽게 정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핀(700)의 길이는 상측으로 충분히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하단 플레이트(140)에도 가이드핀(700)이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핀(700)이 삽입될 수 있는 제3 가이드핀홀부(143)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핀(70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핀홀부(420), 제2 가이드핀홀부(520) 및 제3 가이드핀홀부(143)에 삽입을 가이드하도록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10)은 회전방지부재(8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방지부재(800)는 체결판(500)에 배치되며 이음부재(30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도 7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방지부재(800)는 걸림쇠(810) 및 탄성부재(820)를 구비한다.
걸림쇠(810)는 체결판(500)에 형성된 체결홀부(510) 내부의 일측에 배치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홀부(510)의 내부는 이음부재(300)의 제1 본체(320)가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는 제1 공간(512)과 제1 공간(512)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2 공간(514)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체결홀부(510)의 단면 형상은 일측이 돌출된 물방울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때, 걸림쇠(81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공간(514)에 배치된다.
걸림쇠(81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뾰족하게 돌출된 쐐기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때, 걸림쇠(810)의 뾰족한 측은 체결홀부(510)의 제1 공간(512)의 내주면과 제1 본체(320)의 외주면 사이 측으로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걸림쇠(810)의 뾰족한 측은 제1 본체(320)와 접촉에 의한 마찰력을 이용하여 이음부재(300)가 회전하는 방향(도 11에서의 반시계 방향)을 따라서 제1 공간(512)의 내주면과 제1 본체(320)의 외주면 사이 측으로 이동하여 제1 공간(512)의 내주면과 제1 본체(320)의 외주면 사이에 끼움 결합된다. 이에 따라서 이음부재(300)는 더 이상 도 7에서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게 된다.
반면, 이와 같은 상황에서 도 11에서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걸림쇠(810)는 제1 본체(320)의 외주면과 접촉에 의한 마찰력이 작용하면서 제1 공간(512)의 내주면과 제1 본체(320)의 외주면 사이에서 이탈하여 제2 공간(514)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음부재(30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이음부재(300)의 회전 가능 방향은 필요에 따라서 걸림쇠(810)의 형상을 대칭적으로 형성함으로써 반대 방향이 될 수 있다.
이 때, 걸림쇠(810)에 의하여 이음부재(300)의 회전을 보다 견고하게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10)의 제1 본체(320)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도 11에서와 같이 복수의 걸림홈(324a)이 일정한 간격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걸림홈(324a)의 일부에 삽입될 수 있는 돌기가 걸림쇠(810)의 제1 본체(320) 측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돌기(812a)가 걸림홈(324a)에 삽입됨으로써 제1 본체(3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 걸림쇠(810)가 보다 견고하게 제1 공간(512)의 내주면과 제1 본체(320)의 외주면 사이에 끼움 결합될 수 있으며, 제1 본체(3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 걸림홈(324a)에 삽입된 돌기(812a)에 의하여 보다 용이하게 걸림쇠(810)를 제1 공간(512)의 내주면과 제1 본체(320)의 외주면 사이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변형된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10)의 제1 본체(320)의 하단부 외주면에는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되 일측으로 기울어져 일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제1 톱니(324b)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에 대등되도록 걸림쇠(810)의 제1 본체(320) 측에는 일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제2 톱니(812b)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톱니(324b) 및 제2 톱니(812b)는 제1 본체(32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 톱니 형상에 서로 걸린 제1 톱니(324b) 및 제2 톱니(812b)에 의하여 걸림쇠(810)가 제1 공간(512)의 내주면과 제1 본체(320)의 외주면 사이로 끼움 결합된다.
반면, 제1 본체(3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에는 제1 톱니(324b)와 제2 톱니(812b)가 서로의 경사면을 따라서 움직여 서로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게 되고 제1 본체(320)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회전방지부재(800)의 걸림쇠(810)의 표면 형상과 제1 본체(320)의 외주면 형상에 대하여 상술한 실시예를 기재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본체(320)가 일방향으로 회전 시 걸림쇠(810)를 제1 공간(512)의 내주면과 제1 본체(320)의 외주면 사이로 보다 용이하게 끼울 수 있는 반면, 제1 본체(320)가 타방향으로 회전 시 걸림쇠(810)를 제1 공간(512)의 내주면과 제1 본체(320)의 외주면 사이로부터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다면 형상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쇠(810)의 뾰족한 부분의 반대 측에는 탄성부재(820)가 배치된다.
탄성부재(820)는 걸림쇠(810)를 제1 공간(512)의 내주면과 제1 본체(320)의 외주면 사이로 가압함으로써 걸림쇠(810)의 예상치 못한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특히, 제1 본체(32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걸림쇠(810)가 제1 공간(512)의 내주면과 제1 본체(320)의 외주면 사이로부터 이탈 과정에서 걸림쇠(810)가 제1 본체(320)를 따라 타방향의 제1 공간(512)의 내주면과 제1 본체(320)의 외주면 사이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을 통하여 상술한 회전방지부재(800)를 이용하여 체결봉(210)을 이음부재(300)에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된 상태에서, 시공자가 체결봉(21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회전방지부재(800)는 이음부재(300)의 회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다만, 체결봉(210)을 회전시켜 이음부재(300)의 제1 본체(320) 측 결합부(310)에 나사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이음부재(300)가 하측으로 가압됨으로써 걸림턱(322)이 연결판(400)의 연결홀부(410) 테두리부 상부면에 밀접 접촉된다. 이에 따라서, 마찰력이 발생하고 이음부재(300)가 고정된 상태로 체결봉(210)과 이음부재(300)를 나사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반면 도 14에 도시된 상태와 같이, 시공자가 체결봉(210)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회전방지부재(800)에 의하여 이음부재(300)의 회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이음부재(300)의 회전이 방지된 상태에서 체결봉(210)을 회전시켜 이음부재(300)의 제1 본체(320) 측 결합부(310)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걸림턱(322)과 연결판(400)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체결봉(210)과 이음부재(300)가 결합된 상태가 오랜 기간 유지됨에 따라서 결합력이 커져서 체결봉(210)을 회전 시 이음부재(300)가 체결봉(210)과 이음부재(300) 사이의 마찰력을 극복하고 체결봉(210)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 때, 회전방지부재(800)가 구비됨으로써 이음부재(300)의 회전을 방지하여 체결봉(210)과 이음부재(30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도 15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이 리프트부에 의하여 옮겨지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의 체결부재에 리프트결합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도 1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의 체결부재에 리프트결합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9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이 리프트부의 변형예에 의하여 옮겨지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에 리프트결합부의 변형예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10)은 리프트결합부(9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결합부(900)는 체결부재(200)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외부의 리프트부(20)와 연결된다. 이 때, 리프트부(20)는 무거운 모듈러유닛(10)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옮길 수 있는 리프트, 크레인 등이 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10)의 리프트결합부(900)는 리프트결합부본체(910), 연결고리(920) 및 지지부재(930)를 구비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결합부본체(910)는 체결부재(200)와 결합된다. 리프트결합부본체(910)는 하측에 결합홀이 형성되며 결합홀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나사산은 체결봉(21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제1 나사산(212)과 나사 결합된다.
리프트결합부본체(910)는 체결부재(200)와 결합되어 체결부재(200)가 기둥(110)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도 한다. 이 경우 리프트결합부본체(910)는 체결부재(200)가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며, 체결부재(200)의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는 걸림판(220)이 가이드 플레이트(600)에 결려 체결부재(200)가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다만, 걸림판(220)이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서 리프트결합부본체(910)를 체결부재(200)에 결합한 상태에서도 체결부재(200)가 소정의 길이만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리프트부(20)를 이용하여 모듈러유닛(10)을 운반하는 경우 모듈러유닛(10)이 견고하게 고정되지 못하여 흔들리거나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결합부본체(910)를 체결부재(200)에 결합하기 앞서 체결부재(200)가 상하로 움직일 것으로 예상되는 길이의 높이를 가지는 통형의 지지부재(930)가 먼저 체결부재(200)에 결합될 수 있다.
리프트부(20)는 리프트결합부본체(910)의 상측에 형성되는 연결고리(920)에 연결된다. 연결고리(920)는 리프트부(20)에 용이하게 결합되기 위하여 원형 고리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공지의 리프트부(20) 장비와 결합될 수 있다면 형태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10)의 리프트결합부(1200)의 변형예에서는 리프트결합부(1200)가 상단 플레이트(130)에 결합될 수 있다.
리프트결합부(1200)의 변형예는 리프트결합부본체(1210) 및 연결고리(1220)를 구비한다. 이 때, 리프트결합부본체(1210)는 상단 플레이트(130)에 형성되는 결합홀(132)에 삽입된다. 리프트결합부본체(1210)에는 나사산(1212)이 형성되며, 나사산(1212)은 결합홀(132)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된다.
상단 플레이트(130)에 고정된 리프트결합부(1200)의 변형예서는 리프트결합부본체(1210)의 상측에 형성되는 고리 형상의 연결고리(1220)에 외부의 리프트부(20)와 연결되어 모듈러유닛(10)을 옮길 수 있게 된다.
도 21은 도 1의 C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1의 C부분을 확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1의 C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부(20)에 의하여 옮겨진 복수의 모듈러유닛(10) 중 지면 상에 배치되는 최하부에 위치한 모듈러유닛(10)을 지면에 고정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10)은 기초부(1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부(1000)는 기초부몸체(1010) 및 기초부받침(1030)을 구비한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부몸체(1010)는 기둥(110)의 하단 플레이트(140)에 상부면이 직접 접촉된다. 이 때, 기초부몸체(1010)는 하단 플레이트(140)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기초부몸체(1010)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기초부상판(1012)과 기초부상판(1012)을 지지하기 위한 기초부측벽(1014)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기초부상판(1012)에는 체결부재(200)의 하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기초부 가이드홀(1020)이 형성된다. 이 때, 체결부재(200)의 하단부는 기초부 가이드홀(1020)에 삽입된 상태에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마감부재(1040)와 결합되어 기초부상판(1012)에 고정된다.
체결부재(200)의 하단부를 기초부상판(1012)에 고정시키는 상부 마감부재(1100)는 체결부재(200)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제1 나사산(212)에 나사 결합되는 부재로서 기초부 가이드홀(1020)보다 크게 형성된다.
기초부몸체(1010)의 하측에는 기초부몸체(1010)를 지지하는 판상의 기초부받침(1030)이 형성된다. 기초부받침(1030)은 기초부몸체(10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기초부받침(1030)은 지면에 직접 고정되면 지면에 고정되는 방식은 공지의 다양한 부품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J앵커 볼트를 이용하여 기초부받침(1030)을 지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24는 도 1의 B부분을 확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1의 B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10)은 상부 마감부재(11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마감부재(1100)는 최상층에 배치되는 모듈러유닛(10)의 체결부재(200)의 상단부를 상단 플레이트(13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체결부재(200)의 상단부가 상단 플레이트(130) 상부 관통홀(131) 및 연결판(400)의 연결홀부(410)를 관통하여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부 마감부재(1100)가 체결부재(200)가 상단부에 형성되는 제1 나사산(212)에 나사 결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부 마감부재(1100)가 나사 결합을 통하여 체결부재(200)를 상단 플레이트(130)에 고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시공 현장의 상황에 따라 상부 마감부재(1100)의 높이 조절하여 체결부재(200)를 보다 견고하게 상단 플레이트(130)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의 기둥(110')의 분해사시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의 기둥(11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각형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설명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과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110')은 내부가 상하 “‡향으로 관통되는 통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때, 기둥(110')의 상단 및 하단에는 상단 플레이트(130)와 하단 플레이트(140)가 접합된다.
기둥(110')의 내부 공간에는 가이드 플레이트(600')가 배치된다. 가이드 플레이트(600')에는 가이드홀부(610)가 형성되며 가이드홀부(610)로 체결봉(210)이 삽입된다. 이 때, 체결봉(210)에는 가이드 플레이트(600')가 하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걸림판(220)이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 플레이트(600')는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6에서와 같이 상측과 하측에 각각 하나씩 총 두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에 배치되는 가이드 플레이트(600')는 걸림판(220)이 결합됨에 따라서, 가이드 플레이트(600')가 상단 플레이트(130)에 걸려 체결부재(200)가 내부 공간의 상측 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부에 배치되는 가이드 플레이트(600')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봉(210)이 기둥(110')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특히, 기둥(110')의 내주면에 고정되지 않는 가이드 플레이트(600')는 상하로만 관통되어 있어서 기둥(110')의 내부 공간에 가이드 플레이트(600')를 설치하기 용이하지 않은 각형강인 경우에도 쉽게 이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때, 가이드 플레이트(600')의 단면적은 가이드 플레이트(600')가 각형강 기둥(110') 내부 공간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기둥(110')의 내부 공간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강의 기둥(110')의 경우 기둥(110')의 내면에 모서리부의 형상에 따라, 가이드 플레이트(600')의 네 꼭지점부가 가이드 플레이트(600')의 중심부 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 플레이트(600')의 테두리부와 형상이 기둥(110')의 내부 공간(112)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은 모듈형 건축물에만 적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기둥을 가진 구조체를 적층하여 결합할 필요가 있는 기술분야에서도 사용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모듈러유닛 400 연결판
20 리프트부 410 연결홀부
100 모듈러부 420 제1 가이드핀홀부
110 기둥 500 체결판
112 내부 공간 510 체결홀부
114 측벽 512 제1 공간
116 격벽 514 제2 공간
120 보 520 제2 가이드핀홀부
130 상단 플레이트 600 가이드 플레이트
131 상부 관통홀 610 가이드홀부
140 하단 플레이트 700 가이드핀
141 하부 관통홀 710 경사면
143 제3 가이드핀홀부 800 회전방지부재
150 외벽 810 걸림쇠
160 개구부 820 탄성부재
200 체결부재 900 리프트결합부
210 체결봉 910 리프트결합부본체
212 제1 나사산 920 연결고리
220 걸림판 1000 기초부
300 이음부재 1010 기초부몸체
310 결합부 1012 기초부상판
314 삽입가이드부 1014 기초부측벽
320 제1 본체 1020 기초부 가이드홀
322 걸림턱 1030 기초부받침
326 육각부분 1040 하부 마감부재
330 제2 본체 1100 상부 마감부재

Claims (28)

  1.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기둥과, 상기 기둥과 수직하게 결합되는 보를 구비하는 모듈러부로서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다중 결합될 수 있는 모듈러부;
    상기 기둥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부 관통홀이 형성되는 상단 플레이트;
    상기 기둥의 하단에 고정되고 상기 상부 관통홀의 단면과 상이한 단면을 가지는 하부 관통홀이 형성되는 하단 플레이트;
    길이 연장되어 상기 내부 공간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상부 관통홀 및 상기 하부 관통홀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체결봉을 구비하는 체결부재;
    상기 체결봉과 이웃하는 다른 체결봉의 하단부가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상단 플레이트와 이웃하는 다른 하단 플레이트의 하부 관통홀에 삽입되는 제1 본체와, 상기 체결봉의 상단부가 하측에 결합되도록 상기 제1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제1 본체의 하단 테두리부에 걸림턱이 형성되도록 상기 제1 본체의 단면과 상이한 단면을 가지고 상기 상부 관통홀에 삽입되는 제2 본체를 구비하는 이음부재;
    상기 상단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본체의 외측면을 감싸는 체결홀부가 형성되는 체결판; 및
    상기 체결판에 배치되어 상기 이음부재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재; 를 포함하는, 모듈러유닛.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부는 상기 기둥 및 상기 보에 결합되는 외벽을 더 포함하는, 모듈러유닛.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부는 상기 외벽에 형성되는 개구를 더 포함하는, 모듈러유닛.
  4. 제1 항 있어서,
    상기 체결봉의 상단부의 단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모듈러유닛.
  5. 제1 항 있어서,
    상기 체결봉의 상단면에는 하측으로 함몰되는 홈이 형성되되 상기 홈은 단면이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모듈러유닛.
  6. 제1 항 있어서,
    상기 체결봉의 하단부의 단면적이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모듈러유닛.
  7. 제1 항 있어서,
    상기 모듈러부가 수평 방향으로 다중 결합될 수 있도록 이웃한 복수의 상기 기둥의 상단 플레이트 상부면과 상기 체결판의 하부면 사이에 배치되고 복수의 상기 제2 본체가 각각 관통되는 복수의 연결홀부가 형성되는 연결판; 을 더 포함하는, 모듈러유닛.
  8. 삭제
  9. 제7 항 있어서,
    상기 상단 플레이트의 상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핀;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판에는 상기 가이드핀이 관통되는 제1 가이드핀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판에는 상기 가이드핀이 관통되는 제2 가이드핀홀부가 형성되는, 모듈러유닛.
  10. 제9 항 있어서,
    상기 가이드핀은 상단부의 단면적이 상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모듈러유닛.
  11. 삭제
  12. 제1 항 있어서,
    상기 체결홀부는 상기 제1 본체가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는 제1 공간과, 상기 제1 공간과 연결된 제2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공간에는 상기 이음부재의 상기 제1 본체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쇠가 구비되는, 모듈러유닛.
  13. 제12 항 있어서,
    상기 제1 본체에는 하단부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쇠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되는, 모듈러유닛.
  14. 제12 항 있어서,
    상기 제1 본체에는 하단부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일방향으로 경사진 복수의 제1 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쇠의 일측에는 상기 복수의 제1 톱니 사이에 삽입되도록 일측에 타방향으로 경사진 복수의 제2 톱니가 형성되는, 모듈러유닛.
  15. 제12 항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부재는
    상기 체결홀부의 내주면과 상기 제1 본체의 외주면 사이로 가압하는 탄성부재; 를 더 포함하는, 모듈러유닛.
  16. 제1 항 있어서,
    상기 기둥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체결봉이 관통하는 가이드홀부가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플레이트; 를 더 포함하는, 모듈러유닛.
  17. 제16 항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둘레부가 상기 기둥의 내주면에 접합되는, 모듈러 유닛.
  18. 제16 항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부는 상기 상부 관통홀 및 상기 하부 관통홀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체결봉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보다 크게 형성되는, 모듈러유닛.
  19.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단면적은 상기 기둥의 상기 내부 공간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는, 모듈러유닛.
  20.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내부 공간의 상기 기둥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모듈러유닛.
  21. 제16 항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홀부보다 크도록 상기 체결봉의 둘레에서 방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걸림판; 을 더 포함하는, 모듈러유닛.
  22. 제1 항 있어서,
    상기 모듈러부를 들어올리기 위하여 상기 체결부재와 결합되는 리프트부와 연결되는 리프트결합부; 를 더 포함하는, 모듈러유닛.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결합부는,
    상기 체결부재와 결합되는 리프트결합부본체; 및
    상기 리프트결합부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리프트부와 연결가능한 연결고리;를 포함하는, 모듈러유닛.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결합부는
    상기 체결부재에 관통하되 상기 상단 플레이트와 상기 리프트결합부본체의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모듈러유닛.
  25. 제1 항 있어서,
    상기 기둥은
    길이 연장되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 및
    내부공간을 제1 내부공간 및 제2 내부공간으로 분할하도록 상기 한 쌍의 측벽 사이를 연결하는 격벽; 을 포함하는, 모듈러유닛.
  26. 제1 항 있어서,
    상기 기둥은 단면이 사각형인 통형으로 형성되는, 모듈러유닛.
  27. 제1 항 있어서,
    지면상에 배치되고 상기 체결부재 중 가장 하측에 배치되는 상기 체결부재의 하단부와 결합되는 기초부; 를 더 포함하는, 모듈러유닛.
  28.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는
    상기 지면상에 고정되고 상부면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기초부몸체; 및
    상기 체결부재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기초부몸체의 상측에 형성되는 기초부 가이드홀; 을 포함하는, 모들러유닛.
KR1020210073793A 2020-12-24 2021-06-07 모듈러유닛 KR1023621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472 2020-12-24
KR20200183472 2020-12-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2146B1 true KR102362146B1 (ko) 2022-02-14

Family

ID=80253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3793A KR102362146B1 (ko) 2020-12-24 2021-06-07 모듈러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21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4807A1 (en) * 2022-05-18 2023-11-23 Prefabricated Design Systems, LLC Modular construction connection mechanism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4308U (ja) * 1991-08-07 1993-02-23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ユニツトボツクス
JPH0559768A (ja) * 1991-08-29 1993-03-09 Misawa Homes Co Ltd 住宅ユニツトの連結装置
JP2537937B2 (ja) * 1987-08-31 1996-09-25 ロック,レジャンルド,エー.ジェイ. 鉄骨建築物の緊締構造
JP2004270438A (ja) * 2003-02-17 2004-09-30 Sekisui Chem Co Ltd 吊り金具、これを用いた吊り上げ方法
JP5707418B2 (ja) * 2010-11-24 2015-04-30 ▲勧▼ 渡辺 コンテナ型ユニット建築の連結工法
KR101798537B1 (ko) * 2017-03-17 2017-11-16 신성구조이엔지 주식회사 레고형 pc하우스 시공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
KR101978320B1 (ko) 2017-06-12 2019-05-14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모듈러 건축물의 결합장치
KR102112600B1 (ko) * 2018-12-13 2020-05-19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내외장재 손상없이 체결이 가능한 건축모듈의 접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모듈 건축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7937B2 (ja) * 1987-08-31 1996-09-25 ロック,レジャンルド,エー.ジェイ. 鉄骨建築物の緊締構造
JPH0514308U (ja) * 1991-08-07 1993-02-23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ユニツトボツクス
JPH0559768A (ja) * 1991-08-29 1993-03-09 Misawa Homes Co Ltd 住宅ユニツトの連結装置
JP2004270438A (ja) * 2003-02-17 2004-09-30 Sekisui Chem Co Ltd 吊り金具、これを用いた吊り上げ方法
JP5707418B2 (ja) * 2010-11-24 2015-04-30 ▲勧▼ 渡辺 コンテナ型ユニット建築の連結工法
KR101798537B1 (ko) * 2017-03-17 2017-11-16 신성구조이엔지 주식회사 레고형 pc하우스 시공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
KR101978320B1 (ko) 2017-06-12 2019-05-14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모듈러 건축물의 결합장치
KR102112600B1 (ko) * 2018-12-13 2020-05-19 주식회사 포스코에이앤씨건축사사무소 내외장재 손상없이 체결이 가능한 건축모듈의 접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모듈 건축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24807A1 (en) * 2022-05-18 2023-11-23 Prefabricated Design Systems, LLC Modular construction connection mechanism
US11913218B2 (en) 2022-05-18 2024-02-27 Prefabricated Design Systems, LLC Modular construction connection mechanis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66384B1 (en) Screen support assembly with wide lateral support efficiency
US5065558A (en) Prefabricated modular building construction system
US20030172612A1 (en) Building frame structure
KR102362146B1 (ko) 모듈러유닛
KR102203584B1 (ko) 모듈러유닛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50055497A (ko) 소켓타입 접합부를 갖는 모듈러 유닛을 이용한 모듈러 유닛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US20210054613A1 (en) Variable container system
TWI751206B (zh) 束縛金屬材及結構骨架之束縛方法
TWI789366B (zh) 接合金屬材及板材的接合方法
JP6241967B2 (ja) アクセス構造物一体化アセンブリおよび一体化アクセス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使用する方法
JP2015229840A (ja) 組立式足場
US10458113B2 (en) Building assembly structure
JP5629147B2 (ja) ユニット式建物
JP7068917B2 (ja) 木造建築物用耐震金具の連結構造
KR101705336B1 (ko) 박스모듈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건축물
JP2015052200A (ja) 耐震補強構造体
JP2001254445A (ja) ユニット建物の上下接合構造
KR20220034429A (ko) 조립식 트러스용 슬라이드 방식 너트 홀더
JP6487806B2 (ja) 柱、柱の下部構造体との締結構造及び建物ユニット
KR102512134B1 (ko) 조립식 트러스
JP2015124551A (ja) 組立家屋の接続構造
KR102649999B1 (ko) 탄성구조체가 구비된 내진블럭을 이용한 건축물 시공구조체
JP2017101414A (ja) テンションロッドの取り付け構造
JP2023164165A (ja) 建築物および連結構造
JP7298157B2 (ja) 耐力壁の下端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