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1608B1 - 수위 감지센서 모듈을 구비한 공기정화기 - Google Patents

수위 감지센서 모듈을 구비한 공기정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1608B1
KR102361608B1 KR1020200106837A KR20200106837A KR102361608B1 KR 102361608 B1 KR102361608 B1 KR 102361608B1 KR 1020200106837 A KR1020200106837 A KR 1020200106837A KR 20200106837 A KR20200106837 A KR 20200106837A KR 102361608 B1 KR102361608 B1 KR 1023616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vel
chemical
chemical liquid
ai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6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장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엔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엔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엔아이
Priority to KR1020200106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16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1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1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4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sterilising medi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007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for discrete indicating and meas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4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system st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위 감지센서 모듈을 구비한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으로, 약액이 저장된 약액통(154)과, 약액통(154)에 구비되어서 약액통(154)에 있는 약액의 고수위 신호와 저수위 신호를 컨트롤러(191)로 출력하는 약액 수위 감지센서(183)와, 중공홀이 관통형성되어 있는 바디(210)와, 약액통(154)의 약액이 휘산되어서 배출되는 통로인 배출관(151,15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약액통(154)과 약액 수위 감지센서(183)와 컨트롤러(191)와 배출관(151,152)은 바디(210)의 중공홀(211)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에 의하면 제품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수위 감지센서 모듈을 구비한 공기정화기{Air purifier with water level sensor module}
본 발명은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품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다양한 공기정화기가 개발되고 있다. 기본적으로 필터를 채택하고 이 필터를 이용하여 먼지, 오염물질, 악취 등을 필터링하여서 공기를 정화하는 방식이 대표적이다. 또한 자외선램프를 이용하여 살균, 소독하는 공기정화기도 개발되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음이온 발생 장치를 이용하여 무필터 방식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공기정화기의 경우 약액을 이용하여 직접 살균하는 방식은 아직 채택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문헌1: 등록특허공보 제10-0535940호(공고일: 2005.12.12.) 문헌2: 등록특허공보 제10-2144259호(공고일: 2020.08.1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수위 감지센서 모듈 및 그것을 구비한 공기정화기의 목적은,
첫째, 약액통에 의해서 약액을 이용하여 살균하되, 약액통의 약액의 수위를 1 개의 센서만으로도 저수위와 고수위를 구별하여 감지할 수 있도록 하며,
둘째, 3 개의 금속막대(금속핀)만으로도 약액의 저수위와 고수위를 구분하여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센서 제품의 제작 원가를 현격하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하며,
셋째, 1단계로 필터에 의해서 먼지, 오염물질 등을 필터링하고(1차 정화공기), 이렇게 1차 정화된 정화공기에 대하여 2단계로 살균하는 방식[혼합(하이브리드)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공기정화를 2 단계로 나누어서 정화하므로 공기의 정화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넷째, 1차 정화공기가 약액 카트리지를 통과되면서 약액 카트리지 자체에서 자동으로 1차적으로 살균할 수 있도록 하고[카트리지 통과에 의한 살균 작용], 약액을 곧바로 토출하는 방식이 아닌 약액 휘산 방식의 채택에 의해서 약액을 휘산하여서 강제 유입되지 못한 주변의 공기를 다시 2차적으로 살균할 수 있도록 하며[휘산에 의한 살균 작용],
다섯째, 약액 카트리지에 약액이 저장된 약액 공급 방식도 한방울씩 떨어뜨릴 수 있는 낙하 방식을 채택하여 수직으로 방울방울 떨어뜨릴 수 있도록 하여 모든 약액이 휘산할 수 있도록 하며 그리하여 공기 살균 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며,
여섯째, 공급되는 약액을 쉽고 편리하며 동시에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낙하 방식에 의해서 방울방울 떨어뜨리는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여서 낙하하는 모든 약액이 휘산할 수 있도록 하며,
일곱째, 약액 카트리지의 공급 및 교체를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며, 약액 카트리지에 의한 살균 및 휘산 작용이 더욱더 확실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며,
여덟째,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필터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아홉째, 베이스를 지지체에 착탈식으로 구비함으로써, 베이스를 쉽게 지지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고, 또한 베이스와 지지체의 사이에 구비되는 필터를 쉽고 편리하며 동시에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며,
열번째, 착탈너트의 조이고 푸는 간단한 동작으로 베이스를 지지체에 구비하거나 또는 분리할 수 있어서 베이스의 조립 및 분리를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도록 하며,
열한번째,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필터가 유격이나 유동 없이 안정적으로 구비될 수 있도록 하며,
열두번째, 제품의 조립 공수를 줄이고 조립 작업성을 좋아질 수 있도록 하며, 그리하여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며,
열세번째, 커버를 쉽고 편리하게 그리고 신속하게 바디에 부착하거나 탈거할 수 있도록 하며,
열네번째, 공기정화기가 전도된(넘어진) 경우 전체 동작을 정지함으로써 전기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열다섯번째, 휘산하는 제2 살균공기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수위 감지센서 모듈 및 그것을 구비한 공기정화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수위 감지센서 모듈은, 약액이 저장된 약액통과, 상기 약액통에 구비되어서, 상기 약액통에 있는 약액의 고수위 신호와 저수위 신호를 컨트롤러로 출력하는 약액 수위 감지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수위 감지센서 모듈을 구비한 공기정화기는, 상기 수위 감지센서 모듈과, 중공홀이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있는 바디와, 상기 약액통의 약액이 휘산되어서 배출되는 통로인 배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약액통과 약액 수위 감지센서와 컨트롤러와 배출관은 상기 바디의 중공홀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수위 감지센서 모듈을 구비한 공기정화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약액통에 의해서 약액을 이용하여 살균할 수 있고, 약액통의 약액의 수위를 1 개의 센서만으로도 약액의 저수위와 고수위를 구별하여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3 개의 금속막대(금속핀)만으로도 약액의 저수위와 고수위를 구분하여 감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센서 제품의 제작 원가를 현격하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1단계로 필터에 의해서 먼지, 오염물질 등을 필터링하고(1차 정화공기), 이렇게 1차 정화된 정화공기에 대하여 2단계로 살균하는 방식을 채택함으로써, 공기정화를 2 단계로 나누어서 정화하므로 정화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1차 정화공기가 약액 카트리지를 통과되면서 약액 카트리지 자체에서 자동으로 1차적으로 살균할 수 있고[카트리지 통과에 의한 살균 작용], 약액을 곧바로 토출하는 방식이 아닌 약액 휘산 방식의 채택에 의해서 약액을 휘산하여서 강제 유입되지 못한 주변의 공기를 다시 2차적으로 살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휘산에 의한 살균 작용].
다섯째, 약액 카트리지에 약액이 저장된 약액 공급 방식도 한방울씩 떨어뜨릴 수 있는 낙하 방식을 채택하여 수직으로 방울방울 떨어뜨릴 수 있도록 하여 모든 약액이 휘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그 결과 공기 살균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공급되는 약액을 쉽고 편리하며 동시에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낙하 방식에 의해서 방울방울 떨어뜨리는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여서 낙하하는 모든 약액이 휘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약액 카트리지의 공급 및 교체를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약액 카트리지에 의한 살균 및 휘산 작용이 더욱더 확실하게 수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덟째,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필터를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홉째, 베이스를 지지체에 착탈식으로 구비함으로써, 베이스를 쉽게 지지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고, 또한 베이스와 지지체의 사이에 구비되는 필터를 쉽고 편리하며 동시에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열번째, 착탈너트의 조이고 푸는 간단한 동작으로 베이스를 지지체에 구비하거나 또는 분리할 수 있어서 베이스의 조립 및 분리를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열한번째,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필터가 유격이나 유동 없이 안정적으로 구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열두번째, 제품의 조립 공수를 줄이고 조립 작업성을 좋아질 수 있고, 그 결과 생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열세번째, 1 개의 센서만으로도 저수위와 고수위를 구별하여 감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센서 제품의 제작 원가를 현격하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열네번째, 커버를 쉽고 편리하게 그리고 신속하게 바디에 부착하거나 탈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열다섯번째, 공기정화기가 전도된(넘어진) 경우 전체 동작을 정지함으로써 전기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열여섯번째, 휘산하는 제2 살균공기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A)에 있어서 커버(220)가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A)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A)의 주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A)의 주요부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A)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A)의 다른 각도에서의 일부 단면도 및 일부 절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A)에 있어서 약액 수위 감지센서(183)의 구성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A)의 주요부 블록 구성도이다.
다음은 본 발명인 공기정화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위 감지센서 모듈은, 외부의 공기를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살균하기 위한 약액이 저장된 약액통(154)과, 상기 약액통(154)에 구비되어서, 상기 약액통(154)에 있는 약액의 고수위 신호와 저수위 신호를 컨트롤러(191)로 출력하는 약액 수위 감지센서(18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저수위와 고수위를 구분하여서 감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고수위 신호"는 만수위에 근접하므로 더 이상 약액의 주입을 하지 말라는 정보를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저수위 신호"는 약액이 부족하므로 약액의 보충이 필요하다는 정보를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약액통(154)에 보관되어 있는 약액은 바이러스나 세균을 죽이는 살균 약액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위 감지센서 모듈은, 상기 약액 수위 감지센서(183)에 연결되는 컨트롤러(191)와, 상기 컨트롤러(191)로부터 저수위 경보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저수위 알림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컨트롤러(191)로부터 고수위 경보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고수위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수위 알림부(192)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위 감지센서 모듈은, 상기 약액 수위 감지센서(183)에는 하단이 상기 약액통(154)의 내부에 위치하는 도전성 재질의 한 쌍의 저수위용 금속핀(183a)과, 상기 한 쌍의 저수위용 금속핀(183a)보다 짧게 형성되고 하단이 상기 약액통(154)의 내부에 위치하는 도전성 재질의 고수위용 금속핀(183b)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약액 수위 감지센서(183)는 상기 약액통(154)에 있는 약액통(154)의 수위(L1)가 상기 한 쌍의 저수위용 금속핀(183a)보다 낮은 경우에는 저수위 감지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약액통(154)에 있는 약액의 수위(L2)가 상기 고수위용 금속핀(183b)보다 높은 경우에는 고수위 감지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컨트롤러(191)는, 상기 약액 수위 감지센서(183)로부터 저수위 감지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저수위 경보 제어신호를 수위 알림부(192)로 출력하고, 상기 약액 수위 감지센서(183)로부터 고수위 감지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고수위 경보 제어신호를 수위 알림부(192)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수위 알림부(192)는 상기 컨트롤러(191)로부터 저수위 경보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저수위 알림 정보를 출력(빛, 소리, 부저 등으로 출력)하고, 상기 컨트롤러(191)로부터 고수위 경보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고수위 알림 정보를 출력(빛, 소리, 부저 등으로 출력)한다.
종래에는 고수위 및 저수위 감지를 위해서는 센서 자체가 3 개 있어야 하지만, 본원발명의 경우에는 3 개의 금속막대인 금속핀(183a,183b)이 구비된 1개의 센서(183)만으로도 저수위와 고수위를 구별하여 감지할 수 있고, 그 결과 센서 제품의 제작 원가를 종래에 비하여 1/3 이하로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수위 알림부(192)는 예컨대 led 또는 스피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약액통(154)에는 약액이 저수위(L1)와 고수위(L2) 사이에서 공급되도록 할 수 있어서 원활한 휘산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위 감지센서 모듈은, 상기 한 쌍의 저수위용 금속핀(183a)은 높이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한 쌍의 저수위용 금속핀(183a)의 제작시에 모재를 별도로 재단하지 않고 동시에 재단할 수 있으므로 제작 작업성이 향상되어서 제작 비용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위 감지센서 모듈이 구비된 공기정화기(A)는, 상기의 수위 감지센서 모듈과, 중공홀(211)이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있는 바디(210)와, 상기 약액통(154)의 약액이 휘산되어서 배출되는 통로인 배출관(151,15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약액통(154)과 약액 수위 감지센서(183)와 컨트롤러(191)와 배출관(151,152)은 상기 바디(210)의 중공홀(211)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A)는, 상기 바디(210)의 중공홀(211)에 구비되어서 바닥(예컨대 공기정화기가 놓여지는 테이블 등의 바닥)에 재치되고, 외부공기(Ao)가 유입되는 유입홀(112a)이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110)와, 상기 바디(210)의 중공홀(211)에 구비되어서 상기 베이스(110)에 재치되고, 상기 유입홀(112a)로 유입된 외부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120)와, 상기 필터(120)의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필터(120)에 의해서 필터링된 1차 정화공기(A1)가 통과되는 제1 통과홀(132)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체(130)와, 상기 지지체(130)의 상면에 체결되고, 회전구동에 의해서 외부공기(Ao)를 유입홀(112a)을 통해서 강제로 유입시키고, 강제 유입된 외부공기(Ao)를 상기 필터(120) 및 지지체(130)의 제1 통과홀(132)을 통과시켜서 상방으로 강제 배출하는 송풍팬모듈(140)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관(151,152)은 상기 송풍팬모듈(140)의 상측에 체결되고, 상기 송풍팬모듈(140)의 동작에 의해서 상기 필터(120) 및 제1 통과홀(132)을 통과하여 정화된 공기(A1)를 상방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A)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151,152)의 외주면에 직교하여 수평방향으로 체결되는 마운팅플레이트(153)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약액통(154)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153)의 상면에 구비되어서 1차 정화공기(A1)에 있는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살균하기 위한 약액을 공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A)에 있어서, 상기 1차 정화공기(A1)가 통과되는 배출관(151,152)의 배출통로(151a,152a)에 위치되어서 상기 송풍팬모듈(140)을 통과한 1차 정화공기(A1)를 통과시키고 상기 약액통(154)에서 공급되는 약액을 머금고 있어서 통과되는 1차 정화공기(A1)를 살균하고, 동시에 약액이 통과되는 공기와 함께 휘산되어서 2차 살균공기(A2)로 만드는 약액 카트리지(163)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1 단계로 필터(120)에 의해서 먼지나 오염물질 악취 등을 1차적으로 필터링하고, 그 이후 1차 정화된 공기에 대해서만 약액 카트리지를 통과시켜서 2차로 살균하도록 하고 있어서 공기의 정화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즉, 1단계로 필터(120)에 의해서 먼지, 오염물질 등을 필터링하고(1차 정화공기), 이렇게 1차 정화된 정화공기(A1)에 대하여 2단계로 살균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서, 단계를 나누어서 정화하므로 정화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약액 카트리지(163)는 직물포, 부직포, 약솜, 거즈 중에서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낙하되어서 공급되는 약액을 머물 수 있도록 하면서도 1차 정화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A)에 있어서, 입구가 상기 약액통(154)과 연결되고 출구가 상기 약액 카트리지(163)의 직상방에 위치하여서, 상기 약액통(154)의 약액을 상기 약액 카트리지(163)로 공급하는 약액 공급호스(171)와, 상기 약액 공급호스(171)에 구비되어서 약액의 공급을 단속하는 전자밸브(17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자밸브(172)의 온오프 스위칭 동작에 의해서 상기 약액통(154)의 약액을 상기 약액 공급호스(171)를 통해서 상기 약액 카트리지(163)로 수직 낙하시켜서 일정량으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약액 카트리지(163)를 통과되면서 약액 카트리지 자체에서 자동으로 1차적으로 살균하고[카트리지 통과에 의한 살균 작용], 약액을 곧바로 토출하는 방식이 아닌 약액 휘산 방식의 채택에 의해서 약액을 휘산하여서 강제 유입되지 못한 주변의 공기를 다시 2차적으로 살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휘산에 의한 살균 작용].
그리고, 약액 카트리지(163)에 약액이 저장된 약액 공급 방식도 낙하 방식을 채택하여 수직으로 방울방울 떨어뜨리면 모든 약액이 휘산할 수 있어서, 공기 살균 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A)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191)는, 상기 전자밸브(172)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고, 또한 전자밸브(172)의 스위칭 온오프 제어에 의해서 약액 공급호스(171)를 통해서 약액 카트리지(163)로 떨어지는 약액의 양의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공급되는 약액의 쉽고 편리하며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고, 특히 낙하 방식에 의해서 방울방울 떨어뜨리도록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여서, 낙하하는 모든 약액이 휘산할 수 있어서, 공기 살균 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A)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151,152)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153)에 의해서 하측의 하부 배출관(151)과 상기 하부 배출관(151)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상부 배출관(152)으로 구획되고, 상기 하부 배출관(151)이 상기 송풍팬모듈(140)의 상측에 체결되며, 상기 하부 배출관(151)의 배출통로(151a)와 상부 배출관(152)의 배출통로(152a)는 당연히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배출관(151)에 연통되도록 하부 배출관(151)의 측방에 형성되어서 트레이(162)를 내삽시키기 위한 카세트(161)와, 일측[외측]이 상기 카세트(161)에 내삽되고 타측[내측]이 상기 하부 배출관(151)의 배출통로(151a)에 위치하는 트레이(162)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약액 카트리지(163)는 상기 트레이(162)의 타측에 재치되어서 상기 송풍팬모듈(140)을 통과한 1차 정화공기(A1)를 통과시키고, 상기 약액통(154)에서 공급되는 약액을 머금고 있어서 통과되는 1차 정화공기(A1)를 살균하고, 동시에 약액이 통과되는 공기와 함께 휘산되어서 2차 살균공기(A2)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약액 카트리지(163)의 공급 및 교체를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약액 카트리지(163)에 의한 살균 및 휘산 작용이 더욱더 확실하게 수행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A)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162)는, 상기 카세트(161)에 삽입되는 몸체부(162a)와, 상기 몸체부(162a)에서 배출통로 쪽으로 연장되어서 약액 카트리지(163)가 안착되는 안착부(162b)와, 상기 안착부(162b)의 바닥면에 관통 형성되어서 1차 정화공기(A1)가 상기 약액 카트리지(163)로 통과되도록 하는 제2 통과홀(162c)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약액 카트리지(163)는 상기 안착부(162b)에 안착되어서 상기 하부 배출관(151)의 배출통로(151a)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약액 카트리지(163)를 안정적으로 배출관(151,152)의 배출통로(151a,152a)에 안착 구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A)에 있어서, 상기 약액 공급호스(171)는, 상기 약액통(154)의 약액을 공급받도록 일단이 상기 약액통(154)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전자밸브(172)에 연결되는 인렛(inlet) 호스(171a)와, 일단이 상기 전자밸브(172)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약액 트레이(162)의 직상방에 위치하는 아웃렛 호스(171b)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배출관(151)에는 호스 통과홀(151c)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아웃렛 호스(171b)는 상기 호스 통과홀(151c)을 관통하여서 상기 약액 트레이(162)의 직상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A)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10)와 지지체(130)에 개재된 필터(120)는 상기 필터(120)의 하단이 베이스(110)의 상면에 밀착되고 상기 필터(120)의 상단이 지지체(130)의 하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110)와의 지지체(130)의 체결력에 의해서 상기 베이스(110)와 지지체(130)의 사이에서 고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에 의해서 필터(120)를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A)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10)는 상기 지지체(130)에 착탈식으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A)에 있어서, 상기 필터(120)는 중앙홀(120a)이 중앙에 형성된 원형관 형태이고, 상기 베이스(110)는, 상기 필터(120)의 하단이 밀착되고 중앙에는 바닥통공(111a)이 형성되어 있는 바닥부(111)와, 상기 바닥부(111)의 외주연에서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둘레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지지체(130)는, 상기 제1 통과홀(132)이 내부에 형성된 링 형태의 지지플레이트(131)와, 상기 바닥통공(111a)을 통과하여서 바닥부(111)의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 통과홀(132)의 중앙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하측에 제1 착탈수단(135a)이 형성되어 있는 착탈봉(135)과, 상기 착탈봉(135)이 지지체(130)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착탈봉(135)을 상기 지지플레이트(131)에 고정하는 지지살(13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110)의 바닥부(111)의 하방으로 돌출된 착탈봉(135)의 제1 착탈수단(135a)과 착탈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제2 착탈수단(181a)이 형성되어 있는 착탈부재(181)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착탈봉(135)이 상기 베이스(110)의 바닥부(111)의 아래로 돌출되는 경우, 상기 착탈부재(181)가 상기 돌출된 착탈봉(135)에 외삽되면서, 상기 베이스(110)의 바닥부(111)의 아래로 돌출된 상기 착탈봉(135)의 제1 착탈수단(135a)에 상기 착탈부재(181)의 제2 착탈수단(181a)이 착탈식으로 체결됨으로써, 상기 베이스(110)가 지지체(130)에 착탈식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A)에 있어서, 상기 제1 착탈수단(135a)은, 상기 착탈봉(135)의 하측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나사부(135a)이며, 상기 착탈부재(181)는, 상기 제1 나사부(135a)와 나합하도록 나사 체결하는 제2 나사부(181a)가 형성되어 있는 착탈너트(181)이며, 상기 제2 착탈수단(181a)은 상기 제2 나사부(181a)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A)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10)의 바닥부(111)의 아래에서 상기 장착공(11)에 내삽되어서 상기 베이스(110) 바닥부(111)의 아래로 돌출된 상기 착탈봉(135)에 상기 착탈너트(181)가 삽입되면서 상기 착탈너트(181)의 제2 나사부(181a)가 착탈봉(135)의 제1 나사부(135a)에 대해서 조이거나 풀어서 베이스(100)가 지지체(130)에 착탈식으로 구비되는 것이다.
베이스(110)를 지지체(130)에 착탈식으로 구비함으로써, 베이스(110)를 쉽게 지지체(130)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되고, 또한 베이스(110)와 지지체(130)의 사이에 구비되는 필터(120)를 쉽고 편리하며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착탈너트(181)의 조이고 푸는 간단한 동작으로 베이스(110)를 지지체(130)에 구비하거나 또는 분리할 수 있어서 베이스(110)의 조립 및 분리를 쉽고 빠르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착탈너트(181)의 체결에 의해서 필터(120)가 베이스(110)와 지지체(130) 사이에서 압착되어서 구비된다.
따라서 필터(120)가 유동 없이 견실하게 내장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홀(112a)에서 유입된 외부공기가 필터(120)의 측면을 통과하여 중앙홀(120a)을 통과하면서 필터링되어서 1차 정화공기(A1)가 중앙홀(120a)을 통해서 상방으로 유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A)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10)는, 상기 바닥통공(111a)의 가장자리에서 상방으로 돌출형성되어서 상기 착탈봉(135)이 상기 바닥통공(111a)으로 원활하게 진입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링(115)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착탈봉(135)은 상기 가이드링(115)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기 바닥통공(111a)을 통과하여서 상기 바닥부(111)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착탈봉(135)의 진입을 안내하여서(원활한 삽입) 지지체(130)를 베이스(110)에 쉽고 편리하게 결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A)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10)는 상기 바닥통공(111a)이 중앙에 위치하도록 상기 바닥부(111)에서 상방으로 디스크 형태로 단차지게 돌출 형성되어서 바닥부(111)에 재치되는 상기 필터(120)의 하단 내주연에 접촉되어서 필터(120)의 수평방향으의 유동을 잡아주는 내측림(113)을 더 포함하여서 구성되고, 상기 지지체(130)는, 상기 제1 통과홀(132)이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지지플레이트(131)에서 상방으로 단차지게 돌출 형성되어서 상기 필터(120)의 상단 외주연에 접촉되어서 필터(120)의 수평방향으로의 유동을 잡아주는 외측림(13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필터(120)의 수평방향으로의 유격을 잡아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A)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플레이트(153)에는 상기 전자밸브(172)를 끼움 고정하기 위한 끼움홀(153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자밸브(172)는 상기 하부 배출관(151)의 외부에서 상기 끼움홀(153a)에 끼워져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전자밸브(172)를 간단한 구성으로 쉽고 편리하게 조립할 수 있고, 또한 별도의 체결 부재를 채택하지 않더라도 조립할 수 있어서 조립 작업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A)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모듈(140)은, 상기 제1 통과홀(132)과 연통되어서 1차 정화공기(A1)를 통과시키는 중앙통공(141a)이 형성된 팬마운트(141)와, 상기 팬마운트(141)의 중앙통공(141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송풍팬(14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팬마운트(141)의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제2 체결공(141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2 체결공(141b)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지지플레이트(131)에는 복수의 제1 체결공(131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2 체결공(141b)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하부 배출관(151)에는 복수의 제3 체결공(151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체결공(131b), 제2 체결공(141b) 및 제3 체결공(151b)은 하나의 체결나사에 의해서 체결되어서 상기 지지체(130)와 송풍팬모듈(140)과 배출관(151,152)이 순차 적층되어서 동시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1 체결공(131b), 제2 체결공(141b) 및 제3 체결공(151b)이 하나의 체결나사에 의해서 체결되어서 지지체(130)와 송풍팬모듈(140)과 배출관(151,152)이 동시에 체결되므로, 제품의 조립 공수를 줄이고 조립 작업성을 좋아지는 이점이 있다.
상기 송풍팬(142)에는 모터(도면번호 미병기)가 일체로 구비됨은 물론이다.
상기 컨트롤러(191)는 상기 송풍팬(142)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A)에 있어서, 상기 필터(120)가 상기 베이스(110)와 지지체(130) 사이에 내장되어 있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필터 감지센서(193)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컨트롤러(191)는, 필터(120)가 없다고 판단한 경우, 즉, 상기 필터 감지센서(193)로부터 필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는 공기정화기(A)의 동작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컨트롤러(191)가 필터(120)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 즉, 상기 필터 감지센서(193)로부터 필터 내장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공기정화기(A)를 동작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정화기(A)를 동작한다"는 것은 송풍팬(142)과 전자밸브(172)와 약액 수위 감지센서(183)와 입력 및 표시부(261)와 전도 감지센서(195)와 수위 알림부(192)의 동작을 제어한다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A)에 있어서, 상기 필터 감지센서(193)는 상기 지지체(130)에 설치되어서, 상기 필터(120)의 상단과 접촉되면 이를 감지하여서 필터 감지신호를 컨트롤러(191)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간단한 접촉만으로도 필터(120)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A)에 있어서, 상기 필터 감지센서(193)는 리미트스위치로 구성되고, 상기 필터(120)의 상단과 필터 감지센서(193) 사이에 구비되어서, 필터(120)가 내장되는 경우 상기 필터 감지센서(193)의 접촉편(193a)를 타격하는 푸시부재(194)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210)는 상기 지지체(130)의 지지플레이트(131)의 상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바디(210)의 중공홀(211)에는 상기 송풍팬모듈(140), 배출관(151,152), 마운팅플레이트(153), 약액통(154), 약액 카트리지(163), 약액 공급호스(171) 및 전자밸브(172)를 포함하는 부품을 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A)에 있어서, 상기 약액통(154)으로 약액을 주입하기 위하여 약액통(154)의 상면에 약액통(154)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주입관(155)과, 약액이 주입관(155)으로 주입하기 위해서 상기 주입관(155)의 입구가 노출되도록 상기 바디(210)에는 주입관(155)의 입구가 있는 위치에 형성된 주입개구(212)와, 상기 트레이(162)가 카세트(161)로 출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바디(210)에는 카세트(161)가 있는 위치에 개방 형성된 출입개구(213)와, 상기 주입개구(212)와 출입개구(213)를 커버하도록 상기 바디(21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서 상기 바디(210)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커버(220)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커버(220)에 의해서 공기정화기(A)의 외관을 깔끔하게 할 수 있어서 미적 외관을 구현하여서 상품성을 높일 수 있으며, 또한 제품 전체를 분리할 필요가 없이 커버(220)만을 분리하여서 약액의 주입을 쉽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바디(210)는 아래는 넓고 위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형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디(210)와 커버(220)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A)에 있어서, 상기 커버(220)의 복수의 개소(예컨대 4 개소)에 부착되는 복수의 제1 자석(231)과, 상기 제1 자석(231)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바디(210)의 복수의 개소(예컨대 4 개소)에 부착되고, 상기 제1 자석(231)과 자기결합하기 위한 제2 자석(232)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제1 자석(231)과 제2 자석(232)의 자석식 결합에 의해서 상기 커버(220)는 착탈식으로 바디(210)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커버(220)를 쉽고 편리하게 그리고 신속하게 바디(210)에 부착하거나 탈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약액의 주입을 위해서는 커버(220)의 착탈이 필수이고, 이러한 약액의 주입은 자주 발생하게 되므로 교체 주기가 잦음에 따라서 커버의 착탈 동작도 빈번하게 발생하므로 커버(220)를 쉽고 편리하게 착탈할 수 있다는 점은 사용자의 입장에서 볼 때 매우 큰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A)에 있어서, 상기 주입개구(212)에 인접하여서 상기 바디(210)의 외주면에 내외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끼움공(214)과, 상기 주입개구(212)를 통해서 상기 주입관(155)의 입구를 막기 위한 마개(156)와, 상기 끼움공(214)을 통과하여서 구비되고, 일단이 상기 마개(156)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끼움공(214)보다 큰 반경을 갖는 스트링 헤드부(157a)가 타단에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마개(156)의 분실을 방지하기 위한 분실방지 스트링(157)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주입관(155)을 마개(156)로 막을 수도 있고, 또한 이 마개(156)의 분실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A)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10)의 바닥부(111)에 내장되어서 기울어지거나 넘어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링 형상의 웨이트(weight, 무게추)(185)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공기정화기를 안정적으로 세워서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A)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기(A)의 일개소(예컨대 바디의 일측, 또는 지지체(130)의 일측 등)에 구비되고, 공기정화기(A)가 넘어지거나 기울어지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전도 감지센서(195)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컨트롤러(191)는 상기 전도 감지센서(195)로부터 전도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공기정화기(A)의 동자글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공기정화기(A)가 전도된(넘어진) 경우 전체 동작을 정지함으로써 전기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약액이 액체이므로 회로 쇼트에 의한 전기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도 감지센서(195)는 예컨대 자이로센서, 충격감지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A)에 있어서, 하단이 상기 배출관(151,152)의 상단 구체적으로는 상부 배출관(152)의 상단에 연접하고, 상단이 상기 바디(210)의 상단에 연접하여서 상기 배출관(151,152) 구체적으로는 상부 배출관(152)으로부터 배출되는 2차 살균공기(A2)를 상방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기 위해서 위로 갈수록 넓어지도록(즉, 아래는 좁고 위는 넓은 형상) 내주면이 만곡 형성된 가이드관(240)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상기와 같은 2차 살균공기(A2)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A)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151,152)의 배출통로(152a)의 상단 구체적으로는 상부 배출관(152)의 배출통로(152a)의 상단에 배출통로(152a)로부터 간격(w1)을 두고 동심으로 배출통로(151a,152a)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지지판(251)과, 상기 지지판(251)을 지지하기 위해서 상기 지지판(251)과 배출통로(151a,152a)를 고정하도록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고정리브(252)와, 상기 지지판(251)에 체결되고, 상기 가이드관(240)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나팔관형의 배출로(H1)가 형성되도록 외주면이 상기 가이드관(240)의 내주면과 대응되어서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는 입력 및 표시부(261)이 구비되어 있는 조작 헤드부(260)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력 및 표시부(261)는 예컨대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A)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131)에는 복수(예컨대 4 개)의 끼움홀(131c)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디(210)의 내면 하측에는 상기 끼움홀(131c)에 끼워지도록 복수(예컨대 4 개)의 끼움핀(215)이 하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는 있으며, 상기 끼움핀(215)이 끼우홀(131c)에 끼움 고정되어서 상기 바디(210)가 지지플레이트(131)에 지지되어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A)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몸체부(162a)의 끝에는 취출돌기(162d)가 몸체부(162a)에 수직 단차지게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트레이(162)가 카세트(161)에 장입된 경우 취출돌기(162d)를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출입개구(213)의 상측에는 취출홈(213a)이 상측으로 요입 형성되어 있다.
미설명의 도면번호 (P1)은 인쇄회로기판(P1)으로서, 상기 컨트롤러(191)와 같은 전자부품을 실장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기정화기
Ao : 외부공기
A1 : 1차 정화공기 A2 : 2차 살균공기
110 : 베이스
111 : 바닥부 111a : 바닥통공
112 : 둘레부 112a : 유입홀
113 : 내측림 115 : 가이드링
120 : 필터 120a : 중앙홀
130 : 지지체
131 : 지지플레이트 131b : 제1 체결홀
131c : 끼움홀 132 : 제1 통과홀
133 : 외측림 134 : 지지살
135 : 착탈봉 135a : 제1 착탈수단(제1 나사부)
P1 : pcb기판
140 : 송풍팬모듈 141 : 팬마운트
141a : 중앙통공 142 : 송풍팬
151 : 하부 배출관 151a : 하부 배출관의 배출통로
151b : 제3 체결공
151c : 호스 통과홀
152 : 상부 배출관 152a : 상부 배출관의 배출통로
153 : 마운팅플레이트 153a : 끼움홀
154 : 약액통 155 : 주입관
156 : 마개 157 : 분실방지 스트링
157a : 스트링 헤드부
161 : 카세트
162 : 트레이 162a : 트레이의 몸체부
162b : 트레이의 안착부 162c : 트레이의 제2 통과홀
162d : 취출돌기
163 : 약액 카트리지
171 : 약액 공급호스
171a : 인렛 호스 171b : 아울렛 호스
172 : 전자밸브
181 : 착탈너트 181a : 제2 나사부(제2 착탈수단)
183 : 약액 수위 감지센서
183a : 저수위용 금속핀 183b : 고수위용 금속핀
185 : 웨이트
191 : 컨트롤러 192 : 수위 알림부
193 : 필터 감지센서 193a : 접촉편
194 : 푸시부재 195 : 전도 감지센서
210 : 바디부 211 : 중공홀
212 : 주입개구 213 : 출입개구
213a : 취출홈 214 : 끼움공
215 : 끼움핀
220 : 커버
231 : 제1 자석 232 : 제2 자석
240 : 가이드관
251 : 지지판 252 : 고정리브
H1 : 나팔관형의 배출로
260 : 조작 헤드부 261 : 입력 및 표시부

Claims (4)

  1. 약액이 저장되어 있는 약액통(154)과,
    상기 약액통(154)에 구비되어서, 상기 약액통(154)에 있는 약액의 고수위 신호와 저수위 신호를 컨트롤러(191)로 출력하는 약액 수위 감지센서(183)와,
    상기 약액 수위 감지센서(183)에 연결되는 컨트롤러(191)와,
    중공홀(211)이 길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있는 바디(210)와,
    상기 약액통(154)의 약액이 휘산되어서 배출되는 통로인 배출관(151,152)과,
    상기 약액통(154)과 약액 수위 감지센서(183)와 컨트롤러(191)와 배출관(151,152)은 상기 바디(210)의 중공홀(211)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바디(210)의 중공홀(211)에 구비되어서 바닥에 재치되고, 외부공기(Ao)가 유입되는 유입홀(112a)이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110)와,
    상기 바디(210)의 중공홀(211)에 구비되어서 상기 베이스(110)에 재치되고, 상기 유입홀(112a)로 유입된 외부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120)와,
    상기 필터(120)의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필터(120)에 의해서 필터링된 1차 정화공기(A1)가 통과되는 제1 통과홀(132)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체(130)와,
    상기 지지체(130)의 상면에 체결되고, 회전구동에 의해서 외부공기(Ao)를 유입홀(112a)을 통해서 강제로 유입시키고, 강제 유입된 외부공기(Ao)를 상기 필터(120) 및 지지체(130)의 제1 통과홀(132)을 통과시켜서 상방으로 강제 배출하는 송풍팬모듈(140)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배출관(151,152)은 상기 송풍팬모듈(140)의 상측에 체결되고, 상기 송풍팬모듈(140)의 동작에 의해서 상기 필터(120) 및 제1 통과홀(132)을 통과하여 정화된 공기(A1)를 상방으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며,
    상기 배출관(151,152)의 외주면에 직교하여 수평방향으로 체결되는 마운팅플레이트(153)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며,
    상기 약액통(154)은 상기 마운팅플레이트(153)의 상면에 구비되어서 1차 정화공기(A1)에 있는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살균하기 위한 약액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1차 정화공기(A1)가 통과되는 배출관(151,152)의 배출통로(151a,152a)에 위치되어서 상기 송풍팬모듈(140)을 통과한 1차 정화공기(A1)를 통과시키고 상기 약액통(154)에서 공급되는 약액을 머금고 있어서 통과되는 1차 정화공기(A1)를 살균하고, 동시에 약액이 통과되는 공기와 함께 휘산되어서 2차 살균공기(A2)로 만드는 약액 카트리지(163)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 감지센서 모듈을 구비한 공기정화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191)로부터 저수위 경보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저수위 알림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컨트롤러(191)로부터 고수위 경보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고수위 알림 정보를 출력하는 수위 알림부(192)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약액 수위 감지센서(183)에는, 하단이 상기 약액통(154)의 내부에 위치하는 도전성 재질의 한 쌍의 저수위용 금속핀(183a)과, 상기 한 쌍의 저수위용 금속핀(183a)보다 짧게 형성되고 하단이 상기 약액통(154)의 내부에 위치하는 도전성 재질의 고수위용 금속핀(183b)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약액 수위 감지센서(183)는, 상기 약액통(154)에 있는 약액의 수위(L1)가 상기 한 쌍의 저수위용 금속핀(183a)보다 낮은 경우에는 저수위 감지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약액통(154)에 있는 약액의 수위(L2)가 상기 고수위용 금속핀(183b)보다 높은 경우에는 고수위 감지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컨트롤러(191)는, 상기 약액 수위 감지센서(183)로부터 저수위 감지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저수위 경보 제어신호를 수위 알림부(192)로 출력하고, 상기 약액 수위 감지센서(183)로부터 고수위 감지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고수위 경보 제어신호를 수위 알림부(192)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 감지센서 모듈을 구비한 공기정화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저수위용 금속핀(183a)은 높이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 감지센서 모듈을 구비한 공기정화기.
  4. 삭제
KR1020200106837A 2020-08-25 2020-08-25 수위 감지센서 모듈을 구비한 공기정화기 KR1023616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837A KR102361608B1 (ko) 2020-08-25 2020-08-25 수위 감지센서 모듈을 구비한 공기정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6837A KR102361608B1 (ko) 2020-08-25 2020-08-25 수위 감지센서 모듈을 구비한 공기정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1608B1 true KR102361608B1 (ko) 2022-02-11

Family

ID=80266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6837A KR102361608B1 (ko) 2020-08-25 2020-08-25 수위 감지센서 모듈을 구비한 공기정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16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8365B1 (ko) * 2022-04-26 2023-01-13 남민정 공기청정 및 디퓨져 기능을 포함하는 실내 공기살균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3260A (ko) * 1996-06-21 1998-03-30 김광호 가습기의 수위감지장치
KR100535940B1 (ko) 2003-08-20 2005-12-12 (주)엔퓨텍 공기정화기
KR20060100606A (ko) * 2005-03-17 2006-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용 증기발생장치의 수위감지센서
KR20140083641A (ko) * 2012-12-26 2014-07-0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가습 공기청정기의 수위감지장치
JP5793734B2 (ja) * 2009-11-04 2015-10-14 野崎 淳夫 清浄フィルタ及びこれを用いた空気清浄装置並びに空気清浄維持システム
KR102027302B1 (ko) * 2019-01-18 2019-10-01 주식회사 이드엠 휴대용 공기 청정기
KR102144259B1 (ko) 2020-05-27 2020-08-12 이근원 소독 기능 공기정화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3260A (ko) * 1996-06-21 1998-03-30 김광호 가습기의 수위감지장치
KR100535940B1 (ko) 2003-08-20 2005-12-12 (주)엔퓨텍 공기정화기
KR20060100606A (ko) * 2005-03-17 2006-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용 증기발생장치의 수위감지센서
JP5793734B2 (ja) * 2009-11-04 2015-10-14 野崎 淳夫 清浄フィルタ及びこれを用いた空気清浄装置並びに空気清浄維持システム
KR20140083641A (ko) * 2012-12-26 2014-07-0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가습 공기청정기의 수위감지장치
KR102027302B1 (ko) * 2019-01-18 2019-10-01 주식회사 이드엠 휴대용 공기 청정기
KR102144259B1 (ko) 2020-05-27 2020-08-12 이근원 소독 기능 공기정화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8365B1 (ko) * 2022-04-26 2023-01-13 남민정 공기청정 및 디퓨져 기능을 포함하는 실내 공기살균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1027B1 (ko) 공기 청정기
CN104949213A (zh) 空气净化器
US20110084006A1 (en) Uv liquid storage and dispensing device
KR20180065164A (ko) 복합형 공기청정기
KR102361608B1 (ko) 수위 감지센서 모듈을 구비한 공기정화기
KR101286808B1 (ko) 이온 발생 장치 및 공기 청정 장치
KR102096044B1 (ko) 공기청정기
CN104949212A (zh) 空气净化器
JP2001519227A (ja) 水浄化分配装置
US11028565B2 (en) Fluid treatment and disposal system and methods of use
KR20160088688A (ko) 공기 청정기
KR102289453B1 (ko) 하이브리드형 공기정화기
JP2000329382A (ja) 空気清浄方法および空気清浄装置、並びに空気清浄装置における自動給水装置
KR102464405B1 (ko) 발향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
KR102032401B1 (ko) 공기청정기
KR200491008Y1 (ko) 실내 공기 정화장치
KR101551411B1 (ko) 현금 계수기용 정화장치
KR20200121222A (ko) 공기청정기
KR100798427B1 (ko) 손 소독기
KR100552949B1 (ko) 공기 청정기
KR102567970B1 (ko) 공기정화 살균기
KR102361031B1 (ko) 가습공기청정기
KR920005417Y1 (ko) 정수기의 작동제어장치
KR100571213B1 (ko) 공기청정기
KR102609845B1 (ko) 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