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4405B1 - 발향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 - Google Patents

발향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4405B1
KR102464405B1 KR1020200123539A KR20200123539A KR102464405B1 KR 102464405 B1 KR102464405 B1 KR 102464405B1 KR 1020200123539 A KR1020200123539 A KR 1020200123539A KR 20200123539 A KR20200123539 A KR 20200123539A KR 102464405 B1 KR102464405 B1 KR 102464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ousing
fragrance
unit
operatio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3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1260A (ko
Inventor
김재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지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지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지랩
Priority to KR1020200123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4405B1/ko
Publication of KR20220041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1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4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sterilising medi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5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odor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0Odou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66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발향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향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의 주변 공기의 환경 지표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센서부가 측정하는 상기 환경 지표를 기초로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제어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어부의 상기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주변 공기를 여과하는 공기청정부 및 상기 제어부의 상기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주변 공기 중으로 방향물질을 배출하는 방향물질 배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발향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AIR PURIFIER WITH DIFFUSING A FRAGRANCE}
본 발명은 발향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더 자세하게는, 공기 중의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하거나 악취를 유발하는 유기 화합물을 제거하여 공기를 정화하고, 정화된 공기에 방향물질을 배출하여 사용자에게 쾌적한 공기를 제공하는 발향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실내 생활 증가로, 주 생활 공간인 실내 공간 환경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실내 공간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사람들은 실내의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공기 청정기를 설치하거나 향기로운 방향제를 설치하는 경우가 많다.
종래에는 이러한 실내 환경 개선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공기 청정기의 공기 배출 통로에 향이 배출되는 고체 물질을 배치하거나 공기 청정을 수행하는 동시에 방향물질을 배출하는 공기 청정기가 개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에 개발된 공기 청정기능과 방향물질 배출이 동시에 수행되는 공기 청정기 또는 같은 공간에 설치된 공기 청정기와 방향제는 의도한 각각의 효과를 반감시키는 문제가 있다. 예컨대, 방향제에서 배출된 방향물질 미립자를 공기 청정기가 미세 먼지로 인식하여 제거함으로써 향기가 날라가거나 방향물질의 여과로 공기 청정기의 필터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KR 10-2122249 B1 (2020.06.11.)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기 중의 미세먼지 및 악취를 제거하는 공기 청정 기능과 방향물질을 배출하는 발향기능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공기 청정 및 발향이 가능하되, 확산되는 방향물질을 오염물질로 인식하여 공기 청정이 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발향이 효과가 반감되지 않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공기의 환경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센서의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실시간 공기질에 적합한 동작을 수행하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공기 청정 및 방향을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내용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향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의 주변 공기의 환경 지표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센서부가 측정하는 상기 환경 지표를 기초로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제어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어부의 상기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주변 공기를 여과하는 공기청정부; 및 상기 제어부의 상기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주변 공기 중으로 방향물질을 배출하는 방향물질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모드는, 상기 주변 공기를 여과하는 청정모드 및 상기 방향물질을 상기 주변 공기중으로 확산시키는 발향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청정모드는, 상기 주변 공기의 먼지 또는 악취를 제거하도록 상기 공기청정부의 팬을 이용하여 상기 주변 공기를 상기 하우징 내로 흡입하고, 흡입한 상기 주변 공기를 필터부를 거쳐 여과한 후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하는 동작모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향모드는, 상기 하우징 주변으로 배출된 상기 방향물질을 상기 공기청정부의 팬을 이용해 확산시키는 동작모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먼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먼지 지표가 미리 설정된 지표에 도달하면, 상기 동작모드를 상기 청정모드에서 상기 발향모드로 전환하거나 상기 발향모드에서 상기 청정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먼지 센서,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경 지표 중 먼지 지표가 상승하면 상기 청정모드를 상기 동작모드로 결정하되, 상기 환경 지표 중 상기 먼지 지표와 상기 습도 지표가 동시에 상승하면 상기 청정모드를 중지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하나 이상의 VOCs(Volatile Organic Compounds; 휘발성 유기 화합물)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VOCs 센서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냄새 또는 향기에 대한 냄새 지표를 수집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냄새 지표를 기초로 상기 동작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먼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먼지 지표가 미리 설정된 지표에 도달하면 상기 발향모드에서 상기 청정모드로 전환하되, 상기 센서부가 측정한 상기 냄새 지표가 상기 방향물질의 냄새 지표로 판단되면, 상기 동작모드를 상기 발향모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향모드로 동작한 시점으로부터의 시간 정보 및 상기 환경 지표를 기초로 상기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먼지 센서, 이산화탄소 센서 및 VOCs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물질 배출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고, 가압 공기를 생성하는 펌프; 상기 펌프에 연결되는 가압 공기 배출관; 및 내부에 상기 방향물질이 저장된 방향물질 캡슐로서, 상기 가압 공기 배출관에 유체연통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가압 공기와 함께 상기 방향물질을 혼합하여 배출하는 방향물질 캡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물질 캡슐은, 액체 상태인 상기 방향물질을 미립화하여 배출하는 벤추리부; 상기 가압 공기 배출관에 유체연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가압 공기를 상기 벤추리부로 안내하는 가스 공급관; 및 상기 방향물질이 상기 벤추리부로 이동하도록 상기 벤추리부로 연결되는 액체도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물질 캡슐은, 상부바디 및 하부바디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바디는, 상기 액체도관, 상기 벤추리부 및 미립화된 상기 방향물질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바디는, 상기 가스 공급관 및 상기 방향물질을 저장하는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방향물질 캡슐이 장착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부 중앙에 장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스 공급관은 상기 장착홀에 마련되어, 상기 방향물질 캡슐이 상기 장착홀에 장착시, 상기 방향물질 캡슐에 유체연통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청정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는 팬;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며 미세먼지 필터 또는 탈취 필터가 포함된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모드에 따라 팬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센서부가 측정한 상기 환경 지표를 외부기기로 송신하고,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동작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부 공기를 여과하고, 방향물질을 상기 외부 공기 중으로 배출하는 복수의 공기 청정기와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발향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의 주변 공기의 환경 지표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센서부가 측정하는 상기 환경 지표를 기초로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제어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어부의 상기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주변 공기를 여과하여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청정부; 및 상기 제어부의 상기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주변 공기 중으로 방향물질을 배출하는 방향물질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모드는, 상기 주변 공기를 여과하는 청정모드 및 상기 방향물질을 상기 주변 공기중으로 확산시키는 발향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동일 공간 내에 위치한 상기 공기 청정기를 인식하고, 상기 동일 공간에 위치한 것으로 인식된 상기 공기 청정기와 상기 동작모드가 동기화되도록 상기 동작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향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는, 공기 중의 미세먼지 및 악취를 제거하는 공기 청정기능과 방향물질을 배출하는 발향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청정 및 발향이 가능하되, 확산되는 방향물질을 오염물질로 인식하여 공기 청정 모드가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발향 효과 반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공기의 환경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센서의 환경 정보를 이용하여 실시간 공기질에 적합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청정 및 방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내용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향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향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향이 가능한 공기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물질 캡슐의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물질의 캡슐의 평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c는 도 5b의 원 C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향이 가능한 복수의 공기 청정기가 동일 공간에 위치하며 통신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나는 구성부들은 서로 다른 특징적인 기능들을 나타내기 위해 독립적으로 도시되는 것으로, 각 구성부들이 분리된 하드웨어나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단위로 이루어짐을 의미하지 않는다. 즉, 각 구성부는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구성부로 나열하여 기술되고, 각 구성부 중 적어도 두 개의 구성부가 합쳐져 하나의 구성부로 이루어지거나, 하나의 구성부가 복수 개의 구성부로 나뉘어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각 구성부의 통합된 실시예 및 분리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향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향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따른 발향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100; 이하, 공기 청정기)는 공기를 여과함으로써 공기 중의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하거나 악취를 유발하는 유기 화합물을 제거할 수 있으며, 정화된 공기에 방향물질을 배출하며 확산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쾌적한 공기와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0)는 하우징(110), 센서부(120), 제어부(130), 공기청정부(140) 및 방향물질 배출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청정기(100)는 통신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본 발명의 공기 청정기(100)를 구성하는 데 있어서, 모두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본 명세서상에서 설명되는 공기 청정기(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10)은 제1 하우징(111), 제2 하우징(112), 캡(11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11)에는 하우징(110) 외부의 공기가 하우징(110) 내부로 흡입되도록 복수의 공기홀(114)이 형성될 수 있다. 캡(113)에는 여과된 공기가 하우징(110)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115)가 형성될 수 있다.
센서부(120)는 하우징(110) 주변 공기의 환경 지표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우징(110)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센서부(120)가 측정한 환경 지표는 공기 청정기(100)의 동작모드 결정에 이용될 수 있거나,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외부기기인 사용자 디바이스에 전송될 수 있다.
센서부(120)는 온도 센서(121), 습도 센서(122), 먼지 센서(123), 이산화탄소 센서(124) 및 VOCs(Volatile Organic Compounds; 휘발성 유기 화합물) 센서(125)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경 지표는 사용자의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요소의 지표로서, 센서부(120)에 포함된 각종 센서의 종류에 따라 공기의 온도를 나타내는 온도 지표, 공기의 습도를 나타내는 습도 지표, 공기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나타내는 이산화탄소 지표, 공기의 먼지 농도를 나타내는 먼지 지표 또는 공기의 휘발성 유기 화합물 농도를 나타내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 지표를 포함할 수 있다.
먼지 센서(123)는 10μm 크기 수준의 미세먼지를 감지하는 PM10 센서, 2.5μm 크기 수준의 미세먼지를 감지하는 PM2.5 센서 및 1μm 크기 수준의 미세먼지를 감지하는 PM1.0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VOCs 센서(125)는 신소재 및 화학용품의 사용으로 인해 실내공기로 방출되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휘발성 유기 화합물은 악취를 유발하는 대표적인 물질로 실내의 공기 환경을 저해하는 주요 요소이다. VOCs 센서(125)는 다종의 유기 화합물을 감지할 수 있도록, 각각의 유기 화합물을 검출하는 센서가 복수개 포함될 수 있거나, 싱글 어레이(Single array)기반으로 하나의 센서가 마련될 수도 있다. 예컨대, 포름알데히드, 벤젠, 톨루엔, 자일렌, 에틸벤젠과 같은 휘발성 유기 화합물 각각을 검출하는 센서가 복수개 마련되거나, 하나의 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 청정기(100)는 미세먼지, VOCs,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등과 같은 사용자의 건강을 위협할 수 있는 복합 가스 또는 입자 오염물질을 검출하는 센서부(120)를 이용하여 유해물질을 검출하고, 상기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공기 청정을 수행하여 공기를 정화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하우징(110) 내부에 마련되며, 공기 청정기(100)의 동작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동작모드에 따라 공기 청정기(100)가 동작하도록 공기 청정기(10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기 환경 지표를 기초로 상기 동작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동작모드는 청정모드 및 발향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청정모드는 공기 청정기(100)가 공기 청정기(100)의 주변 공기를 여과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동작모드이며, 상기 발향모드는 공기 청정기(100)가 방향물질을 배출하고 상기 주변 공기 중으로 확산시키는 동작모드일 수 있다.
공기청정부(140)는 하우징(110) 내부에 마련되고, 제어부(130)가 결정한 상기 동작모드에 따라 공기 청정기(100)기의 주변 공기를 여과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서, 팬(141) 및 필터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청정부(140)는 팬(141)을 이용해 상기 주변 공기를 필터부(142)로 유동시키고, 필터부(142)에서 여과하여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필터부(142)는 헤파 필터(HEPA filter; High-efficiency particulate air), 나노 필터, 활성탄 휘발성 유기 화합물 흡수 필터(Activated Carbon & VOC absorber filter) 중에서 복수개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방향물질 배출부(150)는 제어부(130)가 결정한 상기 동작모드에 따라 공기 청정기(100)의 주변 공기 중으로 방향물질을 배출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서, 펌프(151), 가압 공기 배출관(152) 및 방향물질 캡슐(200)을 포함할 수 있다. 방향물질 캡슐(200)은 공기 청정기(100)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방향물질 배출부(150)는 방향물질 캡슐(200)이 공기 청정기(100)에 장착되면, 방향물질 캡슐(200)에 저장된 방향물질을 미립화하여 방향물질 캡슐(200)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통신부(160)는 외부기기와 연결되어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거나, 상기 외부기기로 센서부(120)가 측정한 상기 환경 지표를 전송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통신부(160)가 상기 외부기기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130)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동작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60)는 중앙서버나 근거리 통신으로 직접 다른 공기 청정기와 통신하며, 상기 환경 지표 및 현재의 작동모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통신부(160)를 통해 공유되는 상기 환경 지표에 따라 상기 다른 공기 청정기와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으며, 서로의 작동모드를 동기화하도록 작동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동작모드에 대해 더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0)는 상기 청정모드 또는 상기 발향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청정모드는, 공기 청정기(100)의 주변 공기에 포함된 먼지 또는 악취를 제거하도록 팬(141)을 이용하여 상기 주변 공기를 하우징(110) 내부로 흡입하고, 흡입한 상기 주변 공기를 필터부(142)를 거쳐 여과한 후 하우징(110)의 외부로 배출하는 동작모드일 수 있다. 상기 청정모드에서는 방향물질이 배출되지 않는다. 공기 청정기(100)는 상기 청정모드로 동작하여 공기 청정기(100)가 위치한 공간의 실내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및 악취를 제거하여 상기 실내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상기 발향모드는, 방향물질 캡슐(200)에 저장된 방향물질을 미립화시켜 하우징(110) 주변으로 배출하고, 배출된 방향물질이 더 멀리 확산되도록 팬(141)으로 바람을 일으키는 동작모드일 수 있다. 공기 청정기(100)는 상기 발향모드로 동작하여 공기 청정기(100)가 위치한 공간을 향으로 채움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공간에서 보다 편안하고 쾌적하게 생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기 동작모드에 따라 팬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30)는 공기 청정기(100)가 상기 청정모드일 때, 공기를 빠르게 정화하기 위해 팬(141)의 속도를 빠르게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공기 청정기(100)가 상기 발향모드일 때, 공기가 하우징(110)으로 흡입되지 않고, 방향물질이 바람을 타고 날라가도록 팬(141)의 속도를 천천히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센서부(120)가 측정하는 환경 지표에 따라 상기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130)는 먼지 지표에 따라 상기 동작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30)는 상기 먼지 지표가 미리 설정된 지표에 도달하면 상기 동작모드를 상기 청정모드에서 상기 발향모드로 전환하거나 상기 발향모드에 상기 청정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먼지 지표는 PM10 센서가 측정하는 PM10 농도, PM2.5센서가 측정하는 PM2.5 농도, PM1.0 센서가 측정하는 PM1.0 농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먼지 센서(123)가 측정한 주변 공기의 PM10 농도가 100㎍/㎥이면, 미리 설정된 지표인 30㎍/㎥보다 높으므로, 제어부(130)는 상기 동작모드를 상기 청정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공기청정부(140)가 동작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공기 청정기(100)가 상기 청정모드로 동작하는 도중, 먼지 센서(123)가 측정한 주변 공기의 PM10 농도가 미리 설정된 지표인 30㎍/㎥에 도달하면, 제어부(130)는 상기 동작모드를 상기 발향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기 동작모드가 상기 발향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방향물질 배출부(150)가 방향물질을 배출하는 제어신호와 상기 방향물질을 멀리 날려 보내도록 팬(141)이 동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기 청정기(100)가 상기 발향모드로 동작하는 도중 먼지 센서(123)가 측정한 먼지 지표가 미리 설정된 지표인 30㎍/㎥를 초과하면, 제어부(130)는 다시 상기 동작모드를 상기 청정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0)는 센서부(120)가 측정한 먼지 지표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동작모드를 전환함으로써, 사용자가 먼지 지표를 확인하여 수동으로 공기 청정기(100)를 제어할 필요가 없으며, 공기가 정화되면 자동으로 향을 배출하여 사용자에게 공기가 정화된 느낌을 더욱 확실히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부(130)는 하나 이상의 냄새 또는 향기에 대한 냄새 지표를 이용하여 상기 동작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30)는 공기 내에 포함된 악취 유발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VOCs 센서(125)가 측정하는 냄새 지표를 이용하여 상기 동작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냄새 지표는 VOCs 센서(125)가 측정하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농도일 수 있다. 예컨대, VOCs 센서(125)가 측정한 벤젠, 톨루엔, 벤젠, 페놀, 메르캅탄류 등 악취를 유발하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농도가 기준값을 초과하면, 제어부(130)는 공기 중에 악취를 유발하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동작모드를 상기 청정모드로 결정할 수 있다. 공기 청정기(100)가 청정모드로 동작하여 휘발성 유기 화합물 농도가 기준값 이하로 도달하면, 제어부(130)는 상기 동작모드를 상기 청정모드에서 상기 발향모드로 전환하여 공기를 더욱 쾌적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센서부(120)의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거짓 오염을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거짓 오염은 공기 중에 실제 오염물질이 없음에도 오염물질이 있는 것으로 인식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방향물질이 공기 중에 배출됨에 따라 미립화된 방향물질이 먼지 센서(123)에 검출되어 공기 중 먼지 농도가 급증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먼지 센서(123)가 측정한 급증한 먼지 지표로 인해 상기 동작모드를 상기 청정모드로 결정하면, 공기 중에 배출된 방향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이 경우, 발향의 효과가 반감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이와 같은 거짓 오염으로 인한 발향 효과 반감을 방지하기 위해, 센서부(120)의 각종 센서가 측정하는 환경 지표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거짓 오염을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30)가 거짓 오염을 인식하면, 공기 중에 오염 물질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동작모드를 상기 청정모드로 전환하지 않고, 상기 발향모드로 계속 유지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VOCs 센서(125)가 측정한 냄새 지표를 이용하여 공기 중의 냄새 또는 향기를 식별하고, 이를 기초로 거짓 오염을 인식하여 상기 동작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센서부(120)는 악취를 유발하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냄새 지표 또는 방향물질이 배출될 때의 냄새 지표를 수집하고, 제어부(130)는 수집된 냄새 지표의 데이터를 통해 거짓 오염을 인식할 수 있다. 예컨대, 공기 청정기(100)가 상기 발향모드로 동작하면, 공기 청정기(100) 주변 공기로 방향물질에 배출되므로 VOCs 센서(125)가 측정하는 냄새 지표는 상승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상기 냄새 지표가 이전에 수집된 방향물질의 냄새지표인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냄새 지표가 방향물질의 냄새 지표로 판단되면 제어부(130)는 상기 냄새 지표가 기준값을 초과하더라도 이를 거짓 오염으로 인식하여 상기 동작모드를 상기 발향모드로 유지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기 동작모드가 상기 발향모드로 동작한 시점으로부터의 시간 정보 및 센서부(120)가 측정한 환경 지표를 기초로 거짓 오염을 인식하여 상기 동작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공기 청정기(100)가 발향모드로 동작하면, 미립화된 방향물질로 인해 먼지 센서(123)가 측정하는 먼지 지표가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상기 발향모드로 동작한 시점으로부터 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시간이 기준값이하로 측정되면 상기 먼지 지표가 상승하는 것을 거짓 오염으로 인식하여 상기 동작모드를 상기 청정모드로 전환하지 않고 상기 발향모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방향물질의 냄새 지표를 확인하여, 이전에 수집된 방향물질의 냄새 지표로 판단되면 먼지 지표가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상황을 거짓 오염으로 인식하여 상기 동작모드를 상기 발향모드로 유지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방향물질 배출부(150)이 배출하는 향료가 오염 물질로 인식되어 제거되지 않도록 하여 발향의 효과가 반감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종래의 공기 청정기보다 지능적으로 동작하므로 사용자는 공기 청정의 효과와 발향의 효과를 동시에 누릴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먼지 지표 및 습도 지표를 이용하여 거짓 오염을 인식할 수 있다. 예컨대, 먼지 센서(123)가 측정한 먼지 지표가 미리 설정한 값을 초과하고 온도 센서(121) 및 습도 센서(122)를 이용한 측정한 습도 지표가 먼지 지표와 동시에 상승하면, 먼지 지표가 상승하는 상황을 거짓 오염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상기 동작모드가 상기 청정모드이면 상기 청정모드를 중지하거나, 상기 동작모드가 상기 청정모드로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먼지 지표와 습도 지표가 동시에 상승하는 경우, 가습기의 작동으로 인한 미립화된 물방울이 먼지 지표로 검출되는 경우가 많을 수 있어, 공기 청정기(100)가 상기 청정모드로 동작할 경우 필터부(142)의 수명이 짧아질 수 있다. 제어부(130)는 이를 거짓 오염으로 인식하여 필터부(142)의 수명 단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향이 가능한 공기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0)의 하우징(110)은 제1 하우징(111), 제2 하우징(112) 및 캡(113)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11) 및 제2 하우징(112)은 내부에 각각 제1 캐비티(111a) 및 제2 캐비티(112a)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하우징(111)에는 하우징(110)의 외부와의 공기 통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복수의 공기홀(114)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캐비티(111a)에는 필터부(142)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11)에 형성된 복수의 공기홀(114)로 유입된 공기는 제1 캐비티(111a)에 배치된 필터부(142)를 거쳐 여과된 후, 제2 캐비티(112a)로 진입할 수 있다. 제2 캐비티(112a)에는 공기를 강제로 유동시키는 팬(141), 팬(141)을 동작시키는 팬 모터(141a) 및, 도 1에 도시된 센서부(120)와 제어부(130), 통신부(160)가 구성되는 회로기판(300)이 배치될 수 있다. 캡(113)은 제2 하우징(112)의 상단에 결합되며, 제2 캐비티(112a)에 진입한 공기가 배출되도록 공기 배출구(115)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캡(113)에는 방향물질 캡슐(200)이 장착될 수 있도록 장착홀(116)이 형성될 수 있다. 장착홀(116)의 하부에는 펌프(151)와 연결되는 가압 공기 배출관(152)이 마련될 수 있다. 가압 공기 배출관(152)은 방향물질 캡슐(200)이 장착홀(116)에 장착되면, 방향물질 캡슐(200)으로 가압 공기를 공급하여 방향물질 캡슐(200)에 마련된 벤추리부를 통해 방향물질을 미립화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상기 가압공기는 펌프(151)를 통해 공급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물질 캡슐의 사시도이며,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물질의 캡슐의 평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5c는 도 5b의 원 C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향물질 캡슐(200)은 하우징(110)에 장착하여, 펌프(151)의 가압 공기를 이용해 저장된 방향물질을 상기 가압 공기와 함께 혼합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서, 상부 바디(210) 및 하부 바디(220)가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바디(210)는 벤추리부(211), 액체 도관(212) 및 방향물질 배출구(213)를 포함할 수 있고, 하부 바디(220)는 하부 바디 캐비티(221) 및 가스 공급관(222)을 포함할 수 이다.
하부 바디(220)는 중공인 가스 공급관(222)을 가지며, 내부에 하부 바디 캐비티(221)가 마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부 바디 캐비티(221)는 방향물질을 저장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며, 액체 도관(212)이 하부 바디 캐비티(221)와 연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가스 공급관(222)은 벤추리부(211)에 가압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서, 방향물질 캡슐(200)이 장착홀(116)에 장착될 때, 가압 공기 배출관(152)이 가스 공급관(222)에 삽입될 수 있다. 가압 공기 배출관(152)에서 공급되는 가압공기는 가스 공급관(222)을 통해 벤추리부(211)로 공급될 수 있다. 벤추리부(211)로 공급된 상기 가압공기는 벤추리부(211)의 제1관(211a), 제2관(211b), 제3관(211c)를 거쳐 벤추리관(211d)로 진입할 수 있다. 벤추리관(211d)의 일면에는 방향물질이 저장된 하부 바디 캐비티(221)와 연통되도록 액체 도관(212)이 연결될 수 있다. 액체 도관(212)은 벤추리부(211)에서 발생하는 벤추리 효과로 인해 하부 바디 캐비티(221)에 저장된 방향물질을 벤추리관(211d)로 흡입할 수 있다. 벤추리관(211d)로 흡입된 방향물질은 미립화되어 상기 가압가스와 함께 혼합되어 상부 바디 캐비티(210a)로 이동될 수 있고, 방향물질 배출구(213)를 통해 방향물질 캡슐(2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방향물질 배출구(213)에는 뚜껑(230)이 마련되어, 이물질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향이 가능한 복수의 공기 청정기가 동일 공간에 위치하며 통신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향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400a)는 서로 다른 복수의 공기 청정기(400b, 400c)와 서로 통신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서로 연결된 공기 청정기(400a, 400b, 400c)는 각각의 통신부를 통해 각각의 센서부가 측정한 환경 지표, 현재의 위치 정보 및 현재의 작동모드를 공유할 수 있다.
각각의 공기 청정기(400a, 400b, 400c)의 센서부는 상기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초음파 센서, IR센서, 임지 센서, 또는 카메라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센서부는 센싱된 이미지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주변환경정보, 예컨대, 공간의 크기 및 구조 정보를 분석하여 공간 내에서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각각의 공기 청정기(400a, 400b, 400c)는 서로 공유된 위치 정보를 기초로 동일 공간에 있는 것으로 인식하면, 각각의 공기 청정기(400a, 400b, 400c)의 제어부는 서로의 동작모드가 동기화 되도록 동작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반도체(ASIC)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DSPD)들, 프로그램어블 논리 디바이스(PLD)들, 필드 프로그램어블 게이트 어레이(FPGA)들, 프로세서들, 컨트롤러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여기서 제시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되거나 인코딩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 또는 인코딩된 명령들은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세서로 하여금 예컨대, 명령들이 실행될 때 방법을 수행하게끔 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하나의 장소로부터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이송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 모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기타 광학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기타 자기 저장 디바이스 또는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가능한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반송하거나 저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등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동작들 및 기능들을 지원하도록 동일한 디바이스 내에서 또는 개별 디바이스들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서 "~부"로 기재된 구성요소들, 유닛들, 모듈들, 컴포넌트들 등은 함께 또는 개별적이지만 상호 운용가능한 로직 디바이스들로서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들, 유닛들 등에 대한 서로 다른 특징들의 묘사는 서로 다른 기능적 실시예들을 강조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며, 이들이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실현되어야만 함을 필수적으로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하나 이상의 모듈들 또는 유닛들과 관련된 기능은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공통의 또는 개별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내에 통합될 수 있다.
특정한 순서로 동작들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동작들이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모든 도시된 동작이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이해되지 말아야 한다. 임의의 환경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이러한 구분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기술된 구성요소들이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발향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 110: 하우징
120: 센서부 130: 제어부
140: 공기청정부 150: 발향물질 배출부
160: 통신부 200: 방향물질 캡슐

Claims (16)

  1.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의 주변 공기의 환경 지표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센서부가 측정하는 상기 환경 지표를 기초로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제어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어부의 상기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주변 공기를 여과하는 공기청정부; 및
    상기 제어부의 상기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주변 공기 중으로 방향물질을 배출하는 방향물질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모드는, 상기 주변 공기를 여과하는 청정모드 및 상기 방향물질을 상기 주변 공기 중으로 확산시키는 발향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방향물질 배출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고, 가압 공기를 생성하는 펌프;
    상기 펌프에 연결되는 가압 공기 배출관; 및
    내부에 상기 방향물질이 저장된 방향물질 캡슐로서, 상기 가압 공기 배출관에 유체연통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가압 공기와 함께 상기 방향물질을 혼합하여 배출하는 방향물질 캡슐;을 포함하고,
    상기 방향물질 캡슐은,
    액체 상태인 상기 방향물질을 미립화하여 배출하는 벤추리부;
    상기 가압 공기 배출관에 유체연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가압 공기를 상기 벤추리부로 안내하는 가스 공급관; 및
    상기 방향물질이 상기 벤추리부로 이동하도록 상기 벤추리부로 연결되는 액체도관;을 포함하는 것인 발향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정모드는, 상기 주변 공기의 먼지 또는 악취를 제거하도록 상기 공기청정부의 팬을 이용하여 상기 주변 공기를 상기 하우징 내로 흡입하고, 흡입한 상기 주변 공기를 필터부를 거쳐 여과한 후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하는 것인 발향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향모드는, 상기 하우징 주변으로 배출된 상기 방향물질을 상기 공기청정부의 팬을 이용해 확산시키는 것인 발향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먼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먼지 지표가 미리 설정된 지표에 도달하면, 상기 동작모드를 상기 청정모드에서 상기 발향모드로 전환하거나 상기 발향모드에서 상기 청정모드로 전환하는 것인 발향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먼지 센서,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경 지표 중 먼지 지표가 상승하면 상기 청정모드를 상기 동작모드로 결정하되, 상기 환경 지표 중 상기 먼지 지표와 습도 지표가 동시에 상승하면 상기 청정모드를 중지하는 것으로 결정하는 것인 발향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하나 이상의 VOCs(Volatile Organic Compounds; 휘발성 유기 화합물)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VOCs 센서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냄새 또는 향기에 대한 냄새 지표를 수집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냄새 지표를 기초로 상기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것인 발향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먼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먼지 지표가 미리 설정된 지표에 도달하면 상기 발향모드에서 상기 청정모드로 전환하되, 상기 센서부가 측정한 상기 냄새 지표가 상기 방향물질의 냄새 지표로 판단되면, 상기 동작모드를 상기 발향모드로 유지하는 것인 발향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향모드로 동작한 시점으로부터의 시간 정보 및 상기 환경 지표를 기초로 상기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것인 발향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먼지 센서, 이산화탄소 센서 및 VOCs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발향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물질 캡슐은,
    상부바디 및 하부바디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바디는, 상기 액체도관, 상기 벤추리부 및 미립화된 상기 방향물질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바디는, 상기 가스 공급관 및 상기 방향물질을 저장하는 공간을 포함하는 것인 발향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방향물질 캡슐이 장착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부 중앙에 장착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스 공급관은 상기 장착홀에 마련되어, 상기 방향물질 캡슐이 상기 장착홀에 장착시, 상기 방향물질 캡슐에 유체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인 발향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청정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는 팬;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며 미세먼지 필터 또는 탈취 필터가 포함된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모드에 따라 팬의 속도를 제어하는 것인 발향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센서부가 측정한 상기 환경 지표를 외부기기로 송신하고, 상기 외부기기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것인 발향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
  16. 외부 공기를 여과하고, 방향물질을 상기 외부 공기 중으로 배출하는 복수의 공기 청정기와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발향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로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의 주변 공기의 환경 지표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센서부가 측정하는 상기 환경 지표를 기초로 동작모드를 결정하는 제어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어부의 상기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주변 공기를 여과하여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청정부; 및
    상기 제어부의 상기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주변 공기 중으로 방향물질을 배출하는 방향물질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모드는, 상기 주변 공기를 여과하는 청정모드 및 상기 방향물질을 상기 주변 공기중으로 확산시키는 발향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동일 공간 내에 위치한 상기 공기 청정기를 인식하고, 상기 동일 공간에 위치한 것으로 인식된 상기 공기 청정기와 상기 동작모드가 동기화되도록 상기 동작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방향물질 배출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고, 가압 공기를 생성하는 펌프;
    상기 펌프에 연결되는 가압 공기 배출관; 및
    내부에 상기 방향물질이 저장된 방향물질 캡슐로서, 상기 가압 공기 배출관에 유체연통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가압 공기와 함께 상기 방향물질을 혼합하여 배출하는 방향물질 캡슐;을 포함하고,
    상기 방향물질 캡슐은,
    액체 상태인 상기 방향물질을 미립화하여 배출하는 벤추리부;
    상기 가압 공기 배출관에 유체연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가압 공기를 상기 벤추리부로 안내하는 가스 공급관; 및
    상기 방향물질이 상기 벤추리부로 이동하도록 상기 벤추리부로 연결되는 액체도관;을 포함하는 것인 발향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
KR1020200123539A 2020-09-24 2020-09-24 발향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 KR102464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539A KR102464405B1 (ko) 2020-09-24 2020-09-24 발향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539A KR102464405B1 (ko) 2020-09-24 2020-09-24 발향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260A KR20220041260A (ko) 2022-04-01
KR102464405B1 true KR102464405B1 (ko) 2022-11-10

Family

ID=81183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3539A KR102464405B1 (ko) 2020-09-24 2020-09-24 발향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44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8365B1 (ko) * 2022-04-26 2023-01-13 남민정 공기청정 및 디퓨져 기능을 포함하는 실내 공기살균 장치
CN117685647B (zh) * 2023-12-12 2024-05-10 北京三五二环保科技有限公司 带加湿功能的空气净化器控制方法、系统、介质及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319B1 (ko) * 2018-03-15 2019-05-07 보다스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통합관리시스템 및 그것의 관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10627B2 (ja) * 1995-07-17 1999-06-23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空気清浄機
KR102122249B1 (ko) 2013-10-15 2020-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102100027B1 (ko) * 2018-03-05 2020-04-10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라돈의 유입을 억제하는 압축 공기를 이용한 공기 관리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319B1 (ko) * 2018-03-15 2019-05-07 보다스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통합관리시스템 및 그것의 관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260A (ko) 2022-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4405B1 (ko) 발향이 가능한 공기 청정기
KR102529619B1 (ko) 공기 여과 장치 및 시스템
US8375476B2 (en) Odor removal system
KR101691786B1 (ko) 방향제 분산 장치
KR101611029B1 (ko) 공기 청정기
US10596293B2 (en) Scent air purifier capable of replacing case thereof
MX2007006207A (es) Sistemas y metodos para proporcionar purificacion del aire en combinacion con aromatizacion.
KR100867110B1 (ko) 방향기능을 갖는 공기청정기
CN106338101A (zh) 用于净化室内空气的空气净化系统及其运行方法
KR200388322Y1 (ko) 방향제 겸용 차량용 공기청정기
KR20190063522A (ko) 습식 공기청정기
KR102073557B1 (ko) 필터 선택식 공기질 변환 장치
KR20210090578A (ko) 공기청정기
JP2004069157A (ja) 空気清浄機
KR20030086915A (ko) 오존을 이용한 공기청정 탈취 살균기
KR20190051577A (ko) 공기청정기
JP2008543521A (ja) 湿式フィルターシステムを備えた台所用アスピレータ及び空気清浄器
KR102453466B1 (ko) 가습과 아로마 테라피 기능이 구비된 공기청정기
JPH1085533A (ja) 空気清浄装置
KR20210094218A (ko) 방향제 겸용 차량용 공기청정기
KR100552949B1 (ko) 공기 청정기
KR200278594Y1 (ko) 수처리식 먼지집진기 및 이를 이용한 공기청정기
WO2022209405A1 (ja) 香り提供装置および香り脱臭方法
JPH1052619A (ja) 家庭用空気清浄機
CN211177340U (zh) 一种新风系统集成风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