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1358B1 - 차량의 전자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전자제어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61358B1 KR102361358B1 KR1020170111736A KR20170111736A KR102361358B1 KR 102361358 B1 KR102361358 B1 KR 102361358B1 KR 1020170111736 A KR1020170111736 A KR 1020170111736A KR 20170111736 A KR20170111736 A KR 20170111736A KR 102361358 B1 KR102361358 B1 KR 1023613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or
- disposed
- housing
- wall
- substr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및 상기 기판에 연결되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네터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제1 소자부와, 상기 제1 소자부와 공간적으로 분리되는 제2 소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제1 소자부와 공간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2 소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커넥터는 제1 출력커넥터와 제1 입력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제2 출력커넥터와 제2 입력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는 제1 벽과 제2 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출력커넥터 및 상기 제2 출력커넥터는 상기 제1 벽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입력커넥터 및 상기 제2 입력커넥터는 상기 제2 벽에 배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실시예는 차량의 전자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전자제어장치가 탑재된다. 전자제어장치(ECU:electronic control unit)는 차량의 각종 장치를 제어한다. 전자제어장치는 하우징과 기판과 커넥터를 포함한다. 기판은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다. 기판에는 전기소자들이 실장된다. 커넥터는 기판과 각종 장치를 연결한다.
차량의 장치에는 12V와 48V의 전압이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제어장치의 기판에 구현된 회로도 전압별로 완전히 분리되어야 한다. 또한 커넥터도 전압별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커넥터의 개수가 늘어남에 따라, 하우징에서 커넥터의 배치 공간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실시예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 개의 커넥터의 배치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차량의 전자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삼는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 및 상기 기판에 연결되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네터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제1 소자부와, 상기 제1 소자부와 공간적으로 분리되는 제2 소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제1 소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2 소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커넥터는 제1 출력커넥터와 제1 입력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제2 출력커넥터와 제2 입력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는 제1 벽과 제2 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출력커넥터 및 상기 제2 출력커넥터는 상기 제1 벽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입력커넥터 및 상기 제2 입력커넥터는 상기 제2 벽에 배치되는 차량의 전자제어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벽과 상기 제2 벽을 지나는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기준선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기준선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커넥터는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에 배치되는 제1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제2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에 배치되는 제2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하우징과 각각 일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터미널의 단부 및 상기 제2 터미널의 단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향하여 절곡되어 배치되어 상기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벽 및 상기 제2 벽과 각각 연결되며, 서로 마주보고 배치되는 제3 벽과 제4 벽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제3 벽에 배치되는 제3 터미널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바닥면에 돌출되어 전자소자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안착구조를 포함하는 소자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자수용부는 상기 제3 벽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전자소자는 상기 제3 터미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판은 상기 전자소자 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3 터미널는 상기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방열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판의 상면에는 써멀 그리스가 도포되고, 상기 방열판은 돌출된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판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될 때, 상기 접촉부와 상기 써멀 그리스는 접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을 관통하는 통기홀과, 상기 통기홀 위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 압력에 따라 상기 통기홀을 개폐하는 멤브레인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소자부의 인가전압과, 상기 제2 소자부의 인가전압은 상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에서 12V와 48V에 연결되는 커넥터의 배치를 효과적으로 확보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과 커넥터의 터미널의 조립성이 우수한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캐패세터와 기판의 연결이 용이하며, 진동에 강한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전자제어장치의 분해도,
도 3은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기판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한 하우징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제2 커넥터의 제2 터미널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소자수용부와 제3 터미널을 도시한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9는 방열판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2에서 도시한 방열판의 측면도,
도 11은 도 2에서 도시한 방열판의 저면도이다.
도 12는 방열판의 접촉부와 써멀 그리스가 접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전자제어장치의 분해도,
도 3은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기판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한 하우징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제2 커넥터의 제2 터미널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소자수용부와 제3 터미널을 도시한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9는 방열판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2에서 도시한 방열판의 측면도,
도 11은 도 2에서 도시한 방열판의 저면도이다.
도 12는 방열판의 접촉부와 써멀 그리스가 접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전자제어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는 하우징(100)과 기판(200)과, 제1 커넥터(300)와 제2 커넥터(400)와 방열판(5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의 상부는 개방된 형태이다. 기판(200)은 하우징(100) 내부에 위치한다. 방열판(500)은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다. 제1 커넥터(300)와 제2 커넥터(400)는 각각 하우징에 배치된다.
도 3은 하우징 내부에 위치한 기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기판(200)은 하우징(100) 내부에 장착된다. 기판(200)이 하우징(100) 내부에 장착되었을 때, 기판(200)의 보이는 측을 기판(200)의 상면이라고 하고, 그 반대측을 하면이라 한다. 기판(200)의 하면에는 전자소자들이 실장될 수 있다.
기판(200)은 제1 소자부(210)와 제2 소자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소자부(210)는 복수 개의 전자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소자부(210)의 인가전압은 48V일 수 있다. 제2 소자부(220)는 복수 개의 전자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소자부(220)의 인가전압은 12V일 수 있다. 제1 소자부(210)와 제2 소자부(220)는 하나의 기판(200) 위에 실장되나 공간적으로 분리되며, 분리된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다만, 제1 소자부(210)와 제2 소자부(220)는 양 방향 통신을 위한 통신소자를 통해 연결될 수는 있다.
제1 소자부(210)는 제1 커넥터(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소자부(220)는 제2 커넥터(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기판(200)에는 복수 개의 커넥터 연결부(23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커넥터 연결부(230)는 제1 커넥터(300) 또는 제2 커넥터(400)와 연결되는 부분이다. 제1 커넥터 연결부(230)는 제1 커넥터(300) 또는 제2 커넥터(400)의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기판(200)은 제2 커넥터 연결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커넥터 연결부(240)는 하우징(100)에 장착되는 전자소자와 전기적 연결을 위한 것이다.
한편, 기판(200)의 상면에는 써멀 그리스(Thermal Grease)(250)가 도포될 수 있다. 써멀 그리스(250)는 기판(200)에 발생하는 열을 전달하는 유체 물질이다.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한 하우징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바닥면(110A)과, 제1 벽(110)과, 제2 벽(120)과, 제3 벽(130)과, 제4 벽(140)을 포함한다. 바닥면(100A)의 둘레를 따라 제1 벽(110)과, 제2 벽(120)과, 제3 벽(130)과, 제4 벽(140)이 배치되어 내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하우징(100)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100)은 내벽에 단턱부(100A)가 배치될 수 있다. 단턱부(100A)는 바닥면(110)에서 일정 높이에 배치되어 기판(200)이 안착되는 곳이다. 하우징(100)의 테두리 상단면에는 실링부재(150)가 배치될 수 있다. 실링부재(150)는 방열판(500)과 하우징(100) 사이에 배치되어, 하우징(100)의 수용공간을 밀폐한다.
도 5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의 제1 벽(110)과 제2 벽(120)은 마주보고 배치된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제3 벽(130)과 제4 벽(140)은 마주보고 배치된다.
제1 커넥터(300)는 제1 입력커넥터(310)와 제1 출력커넥터(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입력커넥터(310)를 통해 48V의 전원이 입력된다. 그리고 제1 출력커넥터(320)를 통해 모터 제어용 3상 전류가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제1 출력커넥터(310)는 제1 벽(110)에 배치되는 반면에 제1 출력커넥터(320)는 제2 벽(120)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입력커넥터(310)의 방향과 제1 출력커넥터(320)의 방향이 반대이다.
제2 커넥터(400)는 제2 입력커넥터(410)와 제2 출력커넥터(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입력커넥터(410)를 통해 12V의 전원 및 신호가 입력된다. 그리고 제2 출력커넥터(420)를 통해 모터에 공급되는 전원 및 센서 신호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제2 출력커넥터(410)는 제1 벽(110)에 배치되는 반면에 제2 출력커넥터(420)는 제2 벽(120)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입력커넥터(310)의 방향과 제2 출력커넥터(320)의 방향이 반대이다.
결과적으로, 제1 벽(110)에는 제1 입력커넥터(310)와 제2 입력커넥터(410)가 배치되고, 제2 벽(120)에는 제1 출력커넥터(320)와 제2 출력커넥터(320)가 배치된다. 제1 커넥터(300)와 제2 커넥터(400)에 있어서, 입력측 커넥터와 출력측 커넥터의 방향성이 상이하게 된다.
또한, 제1 벽(110)과 제2 벽(120)을 지나는 기준선(L)을 기준으로, 제1 커넥터(300)는 기준선(L)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2 커넥터(400)는 기준선(L)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기준선(L)을 기준으로 하는 제1 커넥터(300)의 위치와 제2 커넥터(400)의 위치는 도 4의 제1 소자부(210) 및 제2 소자부(220)의 전기적 연결을 고려한 것이다.
이렇게 제1 입력커넥터(310) 및 제2 입력커넥터(410)와, 제1 출력커넥터(320) 및 제2 출력커넥터(320)를 제1 벽(110)과 제2 벽(120)에 나누어 배치함으로써,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는, 한정된 하우징(100) 공간에서 제1 커넥터(300)와 제2 커넥터(400)의 배치 공간을 확보하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제1 커넥터(300)는 제1 몸체(300A)와 제1 터미널(30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미널(300B)은 제1 몸체(300A)에 배치된다. 제1 몸체(300A)는 하우징(100)의 내측과 외측을 걸쳐 배치된다. 제1 몸체(300A) 중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은 외부 케이블이 삽입되는 암형구조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몸체(300A) 중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돌출된 부분에는 제1 몸체(300A)의 외부로 노출된 제1 터미널(300B)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몸체(300A)는 하우징(100)과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제2 커넥터(400)는 제2 몸체(400A)와 제2 터미널(40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터미널(400B)은 제2 몸체(400A)에 배치된다. 제2 몸체(400A)는 하우징(100)의 내측과 외측을 걸쳐 배치된다. 제2 몸체(400A) 중 하우징(100)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은 외부 케이블이 삽입되는 암형구조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몸체(400A) 중 하우징(100)의 내측으로 돌출된 부분에는 제2 몸체(400A)의 외부로 노출된 제2 터미널(400B)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몸체(400A)는 하우징(100)과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도 6은 제2 커넥터의 제2 터미널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하우징(100)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2 터미널(400B)의 일측 단부는 하우징(100)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터미널(400B)의 타측 단부와 달리, 상향하여 절곡된 형상일 수 있다. 기판(200)이 하우징(100)에 장착될 때, 상측에서 하측으로 장착되기 때문에, 제1 커넥터 연결부(230)와 제2 터미널(400B)의 결합이 매우 용이하다. 제1 터미널(300B) 또한, 하우징(100)의 내측에 위치하는 일측 단부가 향하여 절곡된 형상이다. 따라서, 기판(200)과 제1 터미널(400B)과 제2 터미널(400B)을 연결함에 있어서, 한번에 조립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7은 소자수용부와 제3 터미널을 도시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하우징(100)의 바닥면(100A)에는 소자수용부(160)가 배치될 수 있다. 소자수용부(160)는 하우징(100)에 장착되는 전자소자(10)를 수용하는 곳이다. 하우징(100)의 한정된 수용공간에서, 크기가 커서 기판(200)에 실장하기 어려운 커패세터(capacitor)와 같은 전자소자(10)는 소자수용부(160)를 통해 하우징(10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소자수용부(160)는 격벽(161)과 지지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격벽(161)은 하우징(100)의 바닥면(100A)에서 돌출된다. 격벽(161)은 복수 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복수 개의 전자소자(1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지지부(162)는 격벽(161)에서 돌출되어, 전자소자(10)와 외면과 접촉하는 곳으로, 전자소자(10)가 원통형인 경우, 지지부(162)는 전자소자(10)의 외주면과 대응하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소자수용부(160)는 제3 벽(13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3 벽(130)에는 제3 터미널(170)이 배치될 수 있다. 제3 터미널(170)은 하우징(100)에 장착되는 전자소자(10)와 기판(2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제3 터미널(170)은 “L”자 형태로 절곡된 형태로, 제1 파트(171)와 제2 파트(1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트(171)는 하우징(100)의 바닥면(100A)에 위치한다. 제1 파트(171)의 단부는 전자소자(10)의 리드(11)와 접촉한다. 그리고 제2 파트(172)는 제3 벽(130)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향하여 직립된 형태이다. 제2 팥트(172)의 단부는 기판(200)의 제2 커넥터 연결부(240)와 연결된다. 제3 터미널(170)의 타측 단부 또한 상향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기판(200)이 하우징(100)에 장착될 때, 제3 터미널(170)과 기판(200)의 조립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제3 터미널(170)는 전자소자(10)가 소자수용부(160)에 수용되었을 때, 리드(11)의 위치에 정렬되도록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하우징(100)의 바닥면(100A)에서 돌출되는 보스부(181)를 포함한다. 보스부(181)에는 통기홀(180)이 배치된다. 통기홀(180)은 하우징(100)의 바닥면(100A)을 바닥면을 관통한다. 통기홀(180)을 통해 하우징(100)의 외부와 내부가 연통될 수 있다. 보스부(181)에는 멤브레인(190)이 안착될 수 있다. 멤브레인(190)은 하우징(100)의 내부 압력에 따라 통기홀(180)을 개폐한다. 이러한 통기홀(180)과 멤브레인(190)은 하우징(100)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도 9는 방열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방열판(500)은 제1 결합부(510)와 제2 결합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510)와 제2 결합(520)는 방열판(500)의 모서리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결합부(510)는 체결부재를 통해 하우징(도 2의 100)과 결합하는 부분이다. 제2 결합부(520)는 외부 구조물과 결합하는 부분이다.
방열판(500)은 접촉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530)는 기판(200)에 도포된 써멀 그리스(250)와 접촉하기 위한 곳이다.
도 10은 도 2에서 도시한 방열판의 측면도이고, 도 11은 도 2에서 도시한 방열판의 저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접촉부(530)는 방열판(500)의 상면에서 오목한 형태이며, 방열판(500)의 하면에서 볼록한 형태이다. 이러한 접촉부(530)의 위치는 방열판(500)이 하우징(100)에 결합되었을 때, 기판(200)의 써멀 그리스(250)의 위치와 대응된다.
방열판(500)의 상면에는 돌출부(540)를 통해 요철 패턴이 구현된다. 돌출부(540)는 접촉부(530)에도 구현된다. 이러한 돌출부(540)는 방열 면적을 넒히기 위한 것이다.
도 12는 방열판의 접촉부와 써멀 그리스가 접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방열판(500)이 하우징(도 2의 100)에 결합되었을 때, 방열판(500)은 기판(200)과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러나, 방열판(500)의 접촉부(530)는 기판(200)의 써멀 그리스(250)와 접촉한다. 기판(200)에서 발생한 열은 써멀 그리스(250)와 접촉부(530)를 통해 방열판(500)의 돌출부(540)를 통해 대기중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제어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전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이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하우징
110: 제1 벽
120: 제2 벽
130: 제3 벽
140: 제4 벽
150: 실링부재
160: 소자수용부
170: 제3 터미널
200: 기판
210: 제1 소자부
220: 제2 소자부
300: 제1 커넥터
310: 제1 입력커넥터
320: 제1 출력커넥터
400: 제2 커넥터
410: 제2 입력커넥터
420: 제2 출력커넥터
500: 방열판
530: 접촉부
110: 제1 벽
120: 제2 벽
130: 제3 벽
140: 제4 벽
150: 실링부재
160: 소자수용부
170: 제3 터미널
200: 기판
210: 제1 소자부
220: 제2 소자부
300: 제1 커넥터
310: 제1 입력커넥터
320: 제1 출력커넥터
400: 제2 커넥터
410: 제2 입력커넥터
420: 제2 출력커넥터
500: 방열판
530: 접촉부
Claims (11)
- 하우징;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기판;및
상기 기판에 연결되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은 제1 소자부와, 상기 제1 소자부와 공간적으로 분리되는 제2 소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제1 소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2 소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커넥터는 제1 출력커넥터와 제1 입력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제2 출력커넥터와 제2 입력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서로 마주보며 배치되는 제1 벽과 제2 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출력커넥터 및 상기 제2 출력커넥터는 상기 제1 벽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입력커넥터 및 상기 제2 입력커넥터는 상기 제2 벽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소자부의 인가전압이 상기 제2 소자부의 인가전압보다 크고,
상기 제1 입력커넥터 및 상기 제2 입력커넥터가 나란히 배치되며, 상기 제2 출력커넥터 및 상기 제2 출력커넥터가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제1 입력커넥터와 상기 제2 출력커넥터는 서로 마주보고 배치되고, 상기 제2 입력커넥터와 상기 제2 출력커넥터는 서로 마주보고 배치되고,
상기 제1 커넥터 또는 상기 제2 커넥터와 연결되는 제1 커넥터 연결부는 상기 제1 소자부와 상기 제2 소자부에 모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전자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커넥터 연결부는 상기 제1 소자부 및 상기 제2 소자부 중 상기 제1 소자부에만 배치되고,
상기 제2 커넥터 연결부는 상기 제1 벽 및 상기 제2 벽과 수직인 제3 벽을 따라 배치하고,
상기 기판의 상면에는 써멀 그리스가 도포되되, 상기 제1 소자부와 대응되는 상기 써멀 그리스의 영역이 상기 제2 소자부와 대응되는 상기 써멀 그리스의 영역보다 큰 차량의 전자제어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벽과 상기 제2 벽을 지나는 기준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기준선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기준선의 타측에 배치되는 차량의 전자제어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에 배치되는 제1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제2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에 배치되는 제2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하우징과 각각 일체인 차량의 전자제어장치.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미널의 단부 및 상기 제2 터미널의 단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며, 상향하여 절곡되어 배치되어 상기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차량의 전자제어장치.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벽 및 상기 제2 벽과 각각 연결되며, 서로 마주보고 배치되는 제3 벽과 제4 벽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3 벽에 배치되는 제3 터미널을 포함하는 차량의 전자제어장치.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바닥면에 돌출되어 전자소자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안착구조를 포함하는 소자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자수용부는 상기 제3 벽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 전자소자는 상기 제3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치되는 차량의 전자제어장치.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전자소자 위에 배치되며,
상기 제3 터미널은 상기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차량의 전자제어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방열판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전자제어장치.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상면에는 써멀 그리스가 도포되고,
상기 방열판은 돌출된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판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될 때, 상기 접촉부와 상기 써멀 그리스는 접촉하는 차량의 전자제어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을 관통하는 통기홀과, 상기 통기홀 위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 압력에 따라 상기 통기홀을 개폐하는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차량의 전자제어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자부의 인가전압과, 상기 제2 소자부의 인가전압은 상이한 차량의 전자제어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1736A KR102361358B1 (ko) | 2017-09-01 | 2017-09-01 | 차량의 전자제어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1736A KR102361358B1 (ko) | 2017-09-01 | 2017-09-01 | 차량의 전자제어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25274A KR20190025274A (ko) | 2019-03-11 |
KR102361358B1 true KR102361358B1 (ko) | 2022-02-10 |
Family
ID=65758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11736A KR102361358B1 (ko) | 2017-09-01 | 2017-09-01 | 차량의 전자제어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61358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37577A (ja) * | 2000-02-22 | 2001-08-31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 筐体の放熱構造 |
KR200438600Y1 (ko) * | 2006-10-26 | 2008-02-26 |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 |
JP2011129797A (ja) * | 2009-12-21 | 2011-06-30 |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 制御装置 |
JP2012069647A (ja) * | 2010-09-22 | 2012-04-05 |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 電子制御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97584A (ko) * | 2015-02-09 | 2016-08-18 | 주식회사 솔루엠 | 실장 기판 모듈 및 실장 기판 모듈 제조 방법 |
-
2017
- 2017-09-01 KR KR1020170111736A patent/KR10236135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37577A (ja) * | 2000-02-22 | 2001-08-31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 筐体の放熱構造 |
KR200438600Y1 (ko) * | 2006-10-26 | 2008-02-26 |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 차량용 핸즈프리 장치 |
JP2011129797A (ja) * | 2009-12-21 | 2011-06-30 |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 制御装置 |
JP2012069647A (ja) * | 2010-09-22 | 2012-04-05 |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 電子制御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25274A (ko) | 2019-03-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885353B2 (en) | Electrical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suitable for contacting with a connector | |
US20150303669A1 (en) | Electronic component unit and wire harness | |
US11063387B2 (en) | Connector having a sealing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connector support member and housing | |
CN111165081B (zh) | 电子控制单元 | |
CN112310730B (zh) | 连接器 | |
JP3180031U (ja) | ジャック | |
CN102991569A (zh) | 电动机控制装置 | |
US10966330B2 (en) | Control unit | |
US9231352B2 (en) | Module, and connection structure of module and mating connector | |
KR102361358B1 (ko) | 차량의 전자제어장치 | |
EP3609054A1 (en) | Motor | |
JPH01286755A (ja) | 車両用発電機 | |
US6512677B1 (en) | Electronic connection cover for a hydraulic component housing utilizing a sealed printed circuit board | |
KR101846199B1 (ko) | 가변형 커넥터를 구비한 전자 제어 장치 | |
TW201838271A (zh) | 桌台用插座 | |
TWI660549B (zh) | 桌台用插座 | |
AU2013338377B2 (en) | Electrical connection assembly | |
KR100489973B1 (ko) | 전기 접속기용 커넥터 | |
US20210267070A1 (en) | Electrical connection box | |
JP6205495B2 (ja) | 接続ユニット用に改善したベアリングを備えた電子装置、自動車用カメラシステム、および自動車 | |
JP2021002938A (ja) | 電力変換装置 | |
US20190074677A1 (en) |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 |
JP2015090941A (ja) | 制御ユニット | |
JPH08180846A (ja) | 電子機器における二次電池格納部構造 | |
JP2013070511A (ja) | 電源ボックス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