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1073B1 - 사업장 인력 관리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사업장 인력 관리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1073B1
KR102361073B1 KR1020210029296A KR20210029296A KR102361073B1 KR 102361073 B1 KR102361073 B1 KR 102361073B1 KR 1020210029296 A KR1020210029296 A KR 1020210029296A KR 20210029296 A KR20210029296 A KR 20210029296A KR 102361073 B1 KR102361073 B1 KR 102361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power
workplace
work area
work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9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영
Original Assignee
정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해영 filed Critical 정해영
Priority to KR1020210029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10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1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1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8Staff planning in a project enviro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업장 인력 관리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업장 인력 관리 방법은 사업장 인력 관리 장치가 사업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사업장 인력 관리 장치가 사업장 정보를 기반으로 사업장 인력 판단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사업장 정보는 사업장 관리를 위해 필요한 사업장 위치, 사업장 규모, 사업장 필요 업무, 업무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업장 인력 관리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Method for managing man power on place of business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본 발명은 사업장 인력 관리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업장 별로 적정한 인력을 공급하기 위한 사업장 인력 관리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온라인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 인력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다양한 산업에서 직접 고용을 하지 않고 특정 서비스 분야(예를 들어, 경비 업무, 청소 업무 등)에서는 외주업체와 계약을 하여 외주 업체를 통해 팀 단위 인력을 수급하는 경우가 많다.
인력 제공 서비스는 단순히 시간, 장소, 서비스 대상자의 연령 등 객관적인 기준 이외에도 서비스 인력의 자질, 서비스 인력과 서비스 대상자의 성격 매칭 등 주관적인 기준이 서비스의 질에 큰 영향을 준다. 기존의 시스템들은 서비스 인력의 자질을 평가하기 위한 적절한 시스템을 갖추지 못해, 서비스의 질이 담보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이뿐만 아니라 서비스 업장 별로 적정한 인원을 배치하고 인원을 적응적으로 변동시켜서 운영하는 것도 인력을 낭비없이 사용하는데 중요하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으로 사업장의 인력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업장 인력 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하여 사업장의 성격에 맞게 필요한 인력을 효과적으로 배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업장 내의 공간 상에서 인력 배치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고, 인력들의 유휴 시간을 판단하여 사업장 내에서 인력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업장 인력 관리 방법은 사업장 인력 관리 장치가 사업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업장 인력 관리 장치가 상기 사업장 정보를 기반으로 사업장 인력 판단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사업장 정보는 사업장 관리를 위해 필요한 사업장 위치, 사업장 규모, 사업장 필요 업무, 업무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업장 인력 관리 장치는 제1 업무 영역, 제2 업무 영역, 제3 업무 영역으로 분할한 업무 영역으로 인력을 배치하고, 상기 제1 업무 영역은 사업장에 인력을 배치시 라이선스를 가진 전문 인력 배치가 필요한 영역이고, 상기 제2 업무 영역은 상기 전문 인력 배치가 필요하지 않지만 교육을 수료한 인력의 배치가 필요한 영역이고, 상기 제3 업무 영역은 별도의 교육 없이 인력 배치가 가능한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업장 인력 관리 장치는 인력을 제1 인력, 제2 인력 및 제3 인력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1 인력은 상기 제1 업무 영역, 상기 제2 업무 영역 및 상기 제3 업무 영역에 대한 수행이 가능한 인력이고, 상기 제2 인력은 상기 제2 업무 영역 및 상기 제3 업무 영역에 대한 수행이 가능한 인력이고, 상기 제3 인력은 상기 제3 업무 영역에 대한 수행이 가능한 인력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업장 인력 관리를 수행하는 사업장 인력 관리 장치는 사업장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현된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와 동작 가능하게(operatively)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업장 정보를 기반으로 사업장 인력 판단을 수행하고, 상기 사업장 정보는 사업장 관리를 위해 필요한 사업장 위치, 사업장 규모, 사업장 필요 업무, 업무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업장 인력 관리 장치는 제1 업무 영역, 제2 업무 영역, 제3 업무 영역으로 분할한 업무 영역으로 인력을 배치하고, 상기 제1 업무 영역은 사업장에 인력을 배치시 라이선스를 가진 전문 인력 배치가 필요한 영역이고, 상기 제2 업무 영역은 상기 전문 인력 배치가 필요하지 않지만 교육을 수료한 인력의 배치가 필요한 영역이고, 상기 제3 업무 영역은 별도의 교육 없이 인력 배치가 가능한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업장 인력 관리 장치는 인력을 제1 인력, 제2 인력 및 제3 인력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1 인력은 상기 제1 업무 영역, 상기 제2 업무 영역 및 상기 제3 업무 영역에 대한 수행이 가능한 인력이고, 상기 제2 인력은 상기 제2 업무 영역 및 상기 제3 업무 영역에 대한 수행이 가능한 인력이고, 상기 제3 인력은 상기 제3 업무 영역에 대한 수행이 가능한 인력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업장 인력 관리가 효과적으로 수행되어 사업장의 성격에 맞게 필요한 인력이 효과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업장 내의 공간 상에서 인력 배치가 효과적으로 수행되고, 인력들의 유휴 시간을 판단하여 사업장 내에서 인력이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업장 인력 관리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업장 인력 판단부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인력 필요 확률을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력 할당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업장 인력 관리 장치의 인력수에 따른 추가 업무에 필요한 유휴시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력 위치별 배치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 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업장 인력 관리 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에서는 사업자의 인력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사업장 인력 관리 장치가 구체적으로 개시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업장 인력 관리 장치는 사업 판단부(110), 사업장 환경 판단부(120), 사업장 인력 판단부(130), 사업장 인력 수급부(140), 인력 데이터베이스(150) 및 프로세서(16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업 판단부(110)는 인력이 필요한 사업장을 사업 특성 별로 분리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업 판단부(110)는 식음료 서비스, 경비 서비스, 청소 서비스, 종합 서비스 등으로 입력된 사업장 정보를 기반으로 인력이 필요한 서비스를 분류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사업장 환경 판단부(120)는 사업장 환경을 판단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사업장 환경은 사업장 위치, 사업장 규모, 사업장에서 필요한 업무, 업무 시간 등과 같은 사업장 인력을 관리하기 위한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사업장 환경 판단은 사업 판단부(110)에 의해 분류된 사업을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다.
사업장 인력 판단부(130)는 사업장 환경을 기반으로 사업장에 필요한 인력 정보를 판단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사업장 별로 필요한 인력의 수, 인력의 성별, 인력별 능력 등을 고려하여 필요한 인력을 판단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사업장 인력 판단부(130)는 인력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된 인력 정보를 기반으로 사업장에 필요한 인력을 구성할 수 있다.
사업장 인력 수급부(140)는 판단된 사업장 인력을 기반으로 사업장 인력을 수급하기 위해 구현될수 있다. 현재 인력 데이터베이스(150)로 사업장 인력의 구성이 어려운 경우, 사업장 인력 수급부(140)는 추가적인 사업장 인력을 수급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인력 데이터베이스(150)는 사업장 인력을 수급하기 위한 인력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60)는 사업 판단부(110), 사업장 환경 판단부(120), 사업장 인력 판단부(130), 사업장 인력 수급부(140), 인력 데이터베이스(15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구현될 수 있다.
사업장 인력 관리 장치는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는 통신부와 동작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사업장 정보는 사업장 관리를 위해 필요한 사업장 위치, 사업장 규모, 사업장 필요 업무, 업무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업장 인력 판단부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에서는 사업장 인력 판단부가 사업장 환경에 따라 필요한 인력을 판단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업장 인력 판단부는 사업장에 인력을 배치시 라이선스를 가진 전문 인력 배치가 필요한 제1 업무 영역(210), 전문 인력 배치가 필요하지 않지만 교육이 필요한 제2 업무 영역(220), 전문 인력 배치가 필요하지 않고, 별도의 교육이 필요하지 않은 제3 영역 영역(230)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사업장 인력 판단부는 인원을 구분시 업무 별로 제1 인력(215), 제2 인력(225) 및 제3 인력(235)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제1 인력(215)은 제1 업무 영역(210), 제2 업무 영역(220) 및 제3 업무 영역(230)을 수행할 수 있는 인력일 수 있다.
제2 인력(225)은 제2 업무 영역(220) 및 제3 업무 영역(230)을 수행할 수 있는 인력일 수 있다.
제3 인력(235)은 제3 업무 영역(230)을 수행할 수 있는 인력일 수 있다.
제2 업무 영역(220)은 이미 교육을 받은 인원이고, 제3 인력(235)은 교육을 받은 이후에 제2 인력(225)으로 활용될 수 있는 인력일 수 있다.
업무 배치를 위해서는 제1 업무 영역(210)에는 우선적으로 제1 인력(215)을 배치할 수 있다. 만약, 제1 인력(215)이 모자라는 경우, 외부로부터 제1 인력(215)으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인력을 수급할 수 있다. 만약, 제1 인력(215)이 충분한 경우, 제1 인력(215) 중 일부는 다른 사업장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버퍼 인력으로 남겨두거나, 제2 인력(225)으로 활용할 수 있다.
제2 인력(225)과 제3 인력(235)은 제1 인력(215)과 다르게 그룹 단위로 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그룹 단위 운용 방법을 통해 추후 다른 사업장에서도 필요시 제2 인력(225)과 제3 인력(235)을 배치 가능하도록 버퍼 인력으로서 남겨두고 제3 인력(235)이 제2 인력(225)으로의 교육이 가능하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인력 풀 내에서 제2 인력(225)이 점차 늘어갈 수 있도록 인력 배치를 수행할 수 있다.
사업장 인력 판단부는 제2 인력(225), 제3 인력(235)에 대해 우선 순위를 설정하여 업무 배치를 수행할 수 있다.
우선, 제2 업무 영역(220) 및 제3 업무 영역(230)에 대한 수행이 가능한 제2 인력(225)이 그룹핑되어 복수의 인력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인력 그룹은 제3 인력(235)의 포함도 가능한데 제3 인력(235)이 포함되는지 여부에 따라 인력 그룹(제3 인력 포함)(250)과 인력 그룹(제3 인력 미포함)(26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인력 그룹(제3 인력 포함)(250)은 제3 인력(235)에 대한 교육의 필요시 제2 인력(225)과 함께 제3 인력(235)이 설정될 수 있는 그룹이고, 인력 그룹(제3 인력 미포함)(260)은 제3 인력(235)에 대한 교육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은 경우, 제2 인력(225)만으로 설정될 수 있는 그룹일 수 있다.
인력 그룹(제3 인력 포함)(250) 및 인력 그룹(제3 인력 미포함)(260)을 결정하는 것은 제2 인력 필요 확률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제2 인력 필요 확률은 추후 제2 인력이 필요할 확률로서 별도의 제2 인력의 수급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2 인력 필요 확률은 후술한다.
또한, 제2 인력 그룹(제3 인력 포함)(250)에 대해서 인력 그룹 상의 제2 인력과 제3 인력의 비율도 제2 인력 필요 확률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인력 필요 확률을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에서는 제2 인력 그룹(제3 인력 포함) 및 제2 인력 그룹(제3 인력 미포함)을 결정하고, 제2 인력 그룹(제3 인력 포함)에 대해서 제2 인력 그룹 상의 제2 인력과 제3 인력의 비율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인력 필요 확률(300)은 현재 업무 스케줄 및 예측 업무 스케줄을 고려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른 제2 인력이 현재 기준으로 추가적으로 필요한지에 대한 확률값일 수 있다.
제2 인력 필요 확률(300)은 업무를 위한 교육 기간, 업무 지역에 따라 각각 다르게 결정되어 운용될 수 있다.
제2 인력 필요 확률(300)은 현재 업무 스케줄 및 예측 업무 스케줄을 고려하여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월 후에 특정 지역의 새로운 업장에서 제2 인력이 필요하다면, 제2 인력 필요 확률(300)이 상대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
제2 인력 필요 확률(300)이 제1 임계 기간(310) 내에 제1 임계값(350) 이하인 경우, 제2 인력 그룹(제3 인력 미포함)을 기준으로 현재 업무 할당이 수행되고, 제2 인력 필요 확률(300)이 제1 임계 기간(310) 내에 제1 임계값(350) 초과인 경우, 제2 인력 그룹(제3 인력 포함)을 기준으로 현재 업무 할당이 수행될 수 있다.
제1 임계 기간(310)은 제2 인력 및/또는 제3 인력에 대한 인력 수급 기간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고, 제1 임계값(350)은 제2 인력 및/또는 제3 인력에 대한 인력 수급 가능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만약, 인력 수급 기간이 상대적으로 오래 걸릴수록 제1 임계 기간(310)이 상대적으로 짧아지고, 인력 수급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아질수록 제1 임계값(350)이 작아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인력 그룹(제3 인력 포함)은 제2 인력 그룹(제3 인력 미포함)보다 상대적으로 더 많은 인원수가 배정될 수 있고, 제2 인력 필요 확률이 높을수록 상대적으로 제3 인력의 수가 많도록 제2 인력 그룹(제3 인력 포함)이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미리 제3 인력에 대한 교육을 통해 제3 인력을 추후 제2 인력으로 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력 할당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에서는 한정된 인력으로 보다 효과적인 인력 할당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업장 내의 유휴 인력 자원을 판단하여 유휴 인력 자원을 활용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사업장 인력 관리 장치는 로컬 사업장의 인력별 유휴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유휴 시간은 인력이 수행하는 메인 업무에 대한 워킹 시간(휴식시간 포함)을 제외한 시간일 수 있다. 이러한 유휴 자원에 대한 판단을 통해 추가 인원의 고용없이도 사업장에 대한 관리가 가능하다.
사업장 인력 관리 장치는 인력별 업무에 필요 자원, 예를 들어 필요 업무 시간을 계산해 로컬 사업장 내의 인원에 대한 유휴 자원을 고려하여 업무 스케줄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업장 인력 관리 장치는 사업장에서 일하는 인원들의 유휴 시간 비율대로 추가 업무를 분배할 수 있다.
즉, 사업장 인력 관리 장치는 인력들의 업무를 분배하되, 인력들의 유휴 시간을 기준으로 유휴 시간에 수행 가능한 추가 업무를 인력들에게 추가로 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업장 인력 관리 장치에 등록된 인력 각각은 할당된 메인 업무를 위한 워킹 시간 및 워킹 시간에 관련된 휴식 시간을 제외한 업무 시간이 유휴 시간으로 판단되고, 유휴 시간을 고려하여 추가 업무를 제공하기 위한 업무 스케쥴을 결정할 수 있다.
사업장 인력 관리 장치는 현재 필요한 업무들에 필요한 업무 시간을 고려하여 유휴 시간 자원을 업무에 할당할 수 있다.
사업장 인력 관리 장치는 예상 업무 시간을 고려하여 인력들의 유휴 시간의 비율대로 업무를 분배할 수 있다. 또한, 사업장 인력 관리 장치는 메인 업무의 워킹 시간이 0H(0시간)로 떨어지지 않도록 워킹 시간과 유휴 시간을 실시간으로 연동하여 최적의 업무 분배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인력들은 최소한의 워킹 시간을 보장받으며, 유휴 시간에 추가적인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 업무를 위해 필요한 유휴 시간이 5H로 결정되고, 예상 업무 전환 시간을 고려한 인력들(인력1, 인력2, 인력3)의 유휴 시간이 각각 1H, 1H, 3H라면, 사업장 인력 관리 장치는 인력들의 유휴 시간 비율대로 각각 1H, 1H, 3H이 소요되는 시간만큼 추가 업무를 분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사업장 인력 관리 장치의 인력수에 따른 추가 업무에 필요한 유휴 시간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에서는 인력수 및 업무량에 따른 추가 업무에 필요한 유휴 시간 비율이 개략적으로 개시된다.
도 5를 참조하면, 특정 위치에서 추가 업무의 업무량이 증가할수록 추가 업무를 위해 필요한 유휴 시간 증가율은 점점 감소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가 업무의 업무양이 제1 임계값 이상이면 추가 업무에 복수의 인원이 할당되어 추가 업무가 수행되고, 결과적으로 추가 업무에 필요한 유휴 시간이 감소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추가 업무의 업무양이 제2 임계값 이상이면 별도의 인원을 추가 업무에 할당하여 추가 업무가 수행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유휴 시간 증가율은 점점 감소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5와 같은 유휴 시간 증가율은 인력의 수에 따라 보정될 수 있다. 반대로 추가 업무가 추가되었을 때, 어느 한 인력의 유휴 시간이 임계 시간 이하인 경우, 해당 인력을 제외한 나머지 인력에 추가 업무가 분배되고, 이에 따라 추가 업무에 필요한 유휴 시간이 증가될 수 있다.
사업장 인력 관리 장치는 현재 추가 업무에 할당가능한 인력의 수를 고려해 추가 업무를 분배할 수 있다.
또한, 추가 업무는 단일한 인원에 의해 수행되지 않아도 상관없는 제1 타입 업무와 단일한 인원에 의해 수행되어야 하는 제2 타입 업무로 구분될 수 있다. 사업장 인력 관리 장치는 추가 업무 분배시 인력의 유휴 시간 및 업무 타입을 고려하여 업무 분배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타입 업무에 대해서는 연속적인 유휴 시간의 확보가 가능한 인력으로 추가 업무가 분배될 수 있다. 제2 타입 업무에 대해서는 연속적인 유휴 시간의 확보가 가능하지 않은 인력으로도 추가 업무가 분배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추가 업무에 필요한 유휴 시간은 인력의 수가 증가할수록 감소한다. 따라서, 추가 업무 외에 또 다른 추가 업무가 추가될 경우, 사업장 인력 관리 장치는 추가 업무를 인력의 남은 유휴 시간 비율로 추가 분배할 수 있다. 사업장 인력 관리 장치는 유휴 시간이 중첩되는 경우, 해당 업무에 배치하여 추가 업무에 필요한 유휴 시간이 감소되도록 설정하고, 사업장 인력 관리 장치는 업무 타입에 따라 유휴 시간을 연속적으로 배치할지 여부에 대해서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추가 업무의 분배 후, 어느 인력의 유휴 시간이 임계 시간 이하가 되었다면, 사업장 인력 관리 장치는 추가 업무를 해당 인력을 제외한 나머지 인력의 유휴 시간 비율로 추가로 분배할 수 있다.
따라서, 사업장 인력 관리 장치는 개별 인력의 유휴 시간이 0H이 되지 않도록 워킹 시간를 보장하면서 추가 업무를 분배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력 위치별 배치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에서는 영역별 인력 배치 방법이 개시된다. 특정 영역 상에서 특정 인력을 기준으로 인력을 추가적으로 배치하기 위한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사업장 인력 관리 장치는 추가 업무 영역을 결정하기 위해 기존 인력의 업무 영역을 특정할 수 있다. 기존 인력의 기존 업무 영역은 기존 인력의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한 현재 업무 가능 범위일 수 있다. 사업장 인력 관리 장치는 추가적으로 인력을 배치하여야 하는 위치를 후보 업무 영역 중 기존 업무 영역이 겹치지 않는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추가 인력의 업무 위치는 순차적으로 1차 후보 업무 영역, ??, n차 후보 업무 영역의 한정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n차 후보 업무 영역은 추가 인력의 업무 위치에 따른 업무 가능 범위로서 1차 후보 업무 영역의 결정시 우선적으로 디폴트 범위로 설정될 수 있다.
1차 후보 업무 영역(610)은 1차 후보 업무 영역의 디폴트 범위가 기존 업무 영역과 겹치지 않도록 위치하되, 디폴트 범위 내의 업무 처리 대상의 수(또는 업무량)이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제2 임계값 이하가 되도록 하는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제1 임계값과 제2 임계값은 업무 처리 대상별 업무량에 따라 조정될 수 있는 값일 수 있다. 업무가 상대적으로 단순하고 빠르게 끝낼 수 있는 업무인 경우, 제1 임계값과 제2 임계값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임계값과 제2 임계값 사이의 간격은 해당 업무 영역에 배치 가능한 인력의 여유에 따라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1차 후보 업무 영역(610)은 서로 중첩될 수 있다. 복수의 1차 후보 업무 영역(610)의 결정 이후, 복수의 1 차 후보 업무 영역(610)의 디폴트 영역의 확장이 수행되어 적어도 하나의 2차 후보 업무 영역(620)이 결정될 수 있다. 복수의 1차 후보 업무 영역(610) 각각의 디폴트 영역을 확장하여 최대 영역까지 확장시 기존 업무 영역과 겹치는 1차 후보 업무 영역(610)은 우선적으로 제외되고 나머지 1차 후보 업무 영역(610)이 2차 후보 업무 영역(620)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업무 영역의 영역 확장을 수행시 단순히 동일한 비율로 확장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지역별 예상되는 업무량을 고려하여 서로 다른 비율로 확장될 수 있다.
2차 후보 업무 영역(620)의 결정 이후, 2차 후보 업무 영역(620)의 예측 업무량을 기반으로 3차 후보 업무 영역(630)이 결정될 수 있다. 예측 업무량은 업무 영역 내의 업무 처리 대상의 양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추가 인력의 업무 위치는 후보 업무 영역 중 기존 업무 영력과 겹치지 않되, 예측 업무량을 넘어가지 않는 영역으로 결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추가 인력의 업무 위치의 결정 이후, 후보 업무 영역을 기준으로 포함되지 못한 모서리의 영역까지 해당 추가 인력의 업무 영역으로 할당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추가 인력의 업무 영역은 실제 업무 데이터를 기준으로 적응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사업장 인력 관리 장치는 업무 영역을 업무양에 따라 제1 영역, 제2 영역, ??, 제n 영역으로 분류하고, 제1 영역 내지 제n 영역 내의 업무량을 결정할 수 있다. 제1 영역, 제2 영역, ??, 제n 영역은 업무 영역을 일정한 넓이 단위로 분리하는 영역일 수 있다.
제1 영역 내지 제n 영역에서 발생되는 업무량을 기준으로 인력별 업무량이 결정될 수 있고, 이를 고려하여 각 인력별 업무 영역이 일정 부분 조정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업무 수행 기준점 및 업무 수행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클러스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다 빠른 클러스터링을 위해 클러스터링을 수행시 클러스터의 개수 및 클러스터 최초 중심점이 업무 인원 수, 초기 업무 배치 위치를 기반으로 설정되어 인원별 업무 영역이 설정될 수 있다.
초기 업무 배치를 기준으로 업무 수행이 시뮬레이션되어 업무 수행을 기반으로 클러스터링될 클러스터 최초 중심점이 결정되어 보다 빠르게 클러스터링이 수행될 수 있다. 이뿐만 아니라, 업무의 시간 흐름에 따른 업무량이 변화되어 클러스터의 개수가 서로 다르게 결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군집화될 클러스터 개수도 서로 다르게 결정될 수 있다. 클러스터링의 수행에 따라 인원들의 업무 수행 기준점 및 업무 수행 영역이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초기 업무 단계에서는 클러스터가 3개가 설정되어 클러스터링되어 업무 영역 및 업무 수행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후기 업무 단계에서는 클러스터가 2개가 설정되어 클러스터링되어 업무 영역 및 업무 수행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유사한 업무 수행 지역 모델에 대한 데이터가 트레이닝되어 보다 빠르게 클러스터링이 수행되어 업무 수행 기준점 및 업무 수행 영역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구체적인 업무에 따라 절대적인 업무 수행 기준점 및 업무 수행 위치, 업무 수행 영역은 변화될 수 있으나, 인원 간의 상대적인 위치의 변화는 크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학습을 통해 본 발명에서는 클러스터링을 수행시 하나의 클러스터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다른 클러스터의 중심점을 예측하고, 예측된 클러스터의 중심점을 기반으로 클러스터링을 수행함으로써 보다 빠르게 업무 수행 기준점 및 업무 수행 영역이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넓은 영역 상에서의 인원의 배치 및 인원별 인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보다 작은 관리비용으로 최대한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사업장 인력 관리 방법은,
    사업장 인력 관리 장치가 사업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업장 인력 관리 장치가 상기 사업장 정보를 기반으로 사업장 인력 판단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사업장 정보는 사업장 관리를 위해 필요한 사업장 위치, 사업장 규모, 사업장 필요 업무, 업무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업장 인력 관리 장치는 제1 업무 영역, 제2 업무 영역, 제3 업무 영역으로 분할한 업무 영역 상의 인력의 배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업무 영역은 사업장에 인력을 배치시 라이선스를 가진 전문 인력 배치가 필요한 영역이고,
    상기 제2 업무 영역은 상기 전문 인력 배치가 필요하지 않지만 교육을 수료한 인력의 배치가 필요한 영역이고,
    상기 제3 업무 영역은 별도의 교육 없이 인력 배치가 가능한 영역이고,
    상기 사업장 인력 관리 장치는 인력을 제1 인력, 제2 인력 및 제3 인력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1 인력은 상기 제1 업무 영역, 상기 제2 업무 영역 및 상기 제3 업무 영역에 대한 수행이 가능한 인력이고,
    상기 제2 인력은 상기 제2 업무 영역 및 상기 제3 업무 영역에 대한 수행이 가능한 인력이고,
    상기 제3 인력은 상기 제3 업무 영역에 대한 수행이 가능한 인력이고,
    상기 제2 인력은 그룹핑되어 인력 그룹을 형성하고,
    상기 인력 그룹은 상기 제3 인력의 포함 여부에 따라 인력 그룹(제3 인력 포함)과 인력 그룹(제3 인력 미포함)으로 구분되고,
    상기 인력 그룹(제3 인력 포함) 및 상기 인력 그룹(제3 인력 미포함)은 제2 인력 필요 확률을 기반으로 결정되고,
    상기 인력 그룹(제3 인력 포함) 상의 상기 제2 인력과 상기 제3 인력의 비율은 상기 제2 인력 필요 확률을 기반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2 인력 필요 확률은 현재 업무 스케줄 및 예측 업무 스케줄을 고려하여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제2 인력 필요 확률이 제1 임계 기간 내에 제1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인력 그룹(제3 인력 미포함)을 기준으로 현재 업무 할당이 수행되고, 상기 제2 인력 필요 확률이 상기 제1 임계 기간 내에 상기 제1 임계값 초과인 경우, 상기 인력 그룹(제3 인력 포함)을 기준으로 현재 업무 할당이 수행되고,
    상기 제1 임계 기간은 상기 제2 인력 및 상기 제3 인력에 대한 인력 수급 기간을 고려하여 설정되고,
    상기 제1 임계값은 상기 제2 인력 및 상기 제3 인력에 대한 인력 수급 가능성을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업장 인력 관리 장치가 영역별 인력 배치를 통해 추가 인력의 업무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추가 인력의 상기 업무 위치는 1차 후보 업무 영역, 2차 후보 업무 영역 및 3차 후보 업무 영역을 기반으로 결정되고,
    상기 1차 후보 업무 영역은 상기 1차 후보 업무 영역의 디폴트 범위가 기존 업무 영역과 겹치지 않도록 위치하되, 상기 디폴트 범위 내의 업무 처리 대상의 수가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제2 임계값 이하가 되도록 하는 위치로 설정되고,
    상기 제1 임계값과 상기 제2 임계값은 업무 처리 대상별 업무량에 따라 조정되고,
    상기 2차 후보 업무 영역은 상기 1 차 후보 업무 영역의 상기 디폴트 범위의 확장을 기반으로 결정되고,
    상기 2차 후보 업무 영역은 복수의 1차 후보 업무 영역 각각의 디폴트 범위를 확장하여 최대 영역까지 확장시 기존 업무 영역과 겹치는 1차 후보 업무 영역을 우선적으로 제외한 나머지 1차 후보 업무 영역을 기반으로 결정되고,
    상기 3차 후보 업무 영역은 상기 2차 후보 업무 영역의 예측 업무량을 기반으로 결정되되, 실제 업무 데이터를 기준으로 적응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삭제
  4. 사업장 인력 관리를 수행하는 사업장 인력 관리 장치는,
    사업장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현된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와 동작 가능하게(operatively)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업장 정보를 기반으로 사업장 인력 판단을 수행하고,
    상기 사업장 정보는 사업장 관리를 위해 필요한 사업장 위치, 사업장 규모, 사업장 필요 업무, 업무 시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사업장 인력 관리 장치는 제1 업무 영역, 제2 업무 영역, 제3 업무 영역으로 분할한 업무 영역 상의 인력의 배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업무 영역은 사업장에 인력을 배치시 라이선스를 가진 전문 인력 배치가 필요한 영역이고,
    상기 제2 업무 영역은 상기 전문 인력 배치가 필요하지 않지만 교육을 수료한 인력의 배치가 필요한 영역이고,
    상기 제3 업무 영역은 별도의 교육 없이 인력 배치가 가능한 영역이고,
    상기 사업장 인력 관리 장치는 인력을 제1 인력, 제2 인력 및 제3 인력으로 구분하고,
    상기 제1 인력은 상기 제1 업무 영역, 상기 제2 업무 영역 및 상기 제3 업무 영역에 대한 수행이 가능한 인력이고,
    상기 제2 인력은 상기 제2 업무 영역 및 상기 제3 업무 영역에 대한 수행이 가능한 인력이고,
    상기 제3 인력은 상기 제3 업무 영역에 대한 수행이 가능한 인력이고,
    상기 제2 인력은 그룹핑되어 인력 그룹을 형성하고,
    상기 인력 그룹은 상기 제3 인력의 포함 여부에 따라 인력 그룹(제3 인력 포함)과 인력 그룹(제3 인력 미포함)으로 구분되고,
    상기 인력 그룹(제3 인력 포함) 및 상기 인력 그룹(제3 인력 미포함)은 제2 인력 필요 확률을 기반으로 결정되고,
    상기 인력 그룹(제3 인력 포함) 상의 상기 제2 인력과 상기 제3 인력의 비율은 상기 제2 인력 필요 확률을 기반으로 결정되고,
    상기 제2 인력 필요 확률은 현재 업무 스케줄 및 예측 업무 스케줄을 고려하여 현재 시점을 기준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제2 인력 필요 확률이 제1 임계 기간 내에 제1 임계값 이하인 경우, 상기 인력 그룹(제3 인력 미포함)을 기준으로 현재 업무 할당이 수행되고, 상기 제2 인력 필요 확률이 상기 제1 임계 기간 내에 상기 제1 임계값 초과인 경우, 상기 인력 그룹(제3 인력 포함)을 기준으로 현재 업무 할당이 수행되고,
    상기 제1 임계 기간은 상기 제2 인력 및 상기 제3 인력에 대한 인력 수급 기간을 고려하여 설정되고,
    상기 제1 임계값은 상기 제2 인력 및 상기 제3 인력에 대한 인력 수급 가능성을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업장 인력 관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업장 인력 관리 장치가 영역별 인력 배치를 통해 추가 인력의 업무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추가 인력의 상기 업무 위치는 1차 후보 업무 영역, 2차 후보 업무 영역 및 3차 후보 업무 영역을 기반으로 결정되고,
    상기 1차 후보 업무 영역은 상기 1차 후보 업무 영역의 디폴트 범위가 기존 업무 영역과 겹치지 않도록 위치하되, 상기 디폴트 범위 내의 업무 처리 대상의 수가 제1 임계값 이상이고, 제2 임계값 이하가 되도록 하는 위치로 설정되고,
    상기 제1 임계값과 상기 제2 임계값은 업무 처리 대상별 업무량에 따라 조정되고,
    상기 2차 후보 업무 영역은 상기 1 차 후보 업무 영역의 상기 디폴트 범위의 확장을 기반으로 결정되고,
    상기 2차 후보 업무 영역은 복수의 1차 후보 업무 영역 각각의 디폴트 범위를 확장하여 최대 영역까지 확장시 기존 업무 영역과 겹치는 1차 후보 업무 영역을 우선적으로 제외한 나머지 1차 후보 업무 영역을 기반으로 결정되고,
    상기 3차 후보 업무 영역은 상기 2차 후보 업무 영역의 예측 업무량을 기반으로 결정되되, 실제 업무 데이터를 기준으로 적응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업장 인력 관리 장치.
  6. 삭제
KR1020210029296A 2021-03-05 2021-03-05 사업장 인력 관리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KR102361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296A KR102361073B1 (ko) 2021-03-05 2021-03-05 사업장 인력 관리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296A KR102361073B1 (ko) 2021-03-05 2021-03-05 사업장 인력 관리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1073B1 true KR102361073B1 (ko) 2022-02-09

Family

ID=80265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9296A KR102361073B1 (ko) 2021-03-05 2021-03-05 사업장 인력 관리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107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90822A (ja) * 2019-05-20 2020-11-26 東京瓦斯株式会社 人員配置支援システム、人員配置支援方法および人員配置支援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190822A (ja) * 2019-05-20 2020-11-26 東京瓦斯株式会社 人員配置支援システム、人員配置支援方法および人員配置支援プログラ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36936A1 (zh) 在分布式系统中资源及任务的分配方法、装置及系统
US10460241B2 (en) Server and cloud computing resource optimization method thereof for cloud big data computing architecture
Dominic et al. Efficient dispatching rules for dynamic job shop scheduling
US9524296B2 (en) Managing events in a computing environment
CN101727357B (zh) 用于分配计算中心中资源的方法和装置
JPWO2007023726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
US201203034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dynamic allocation of resources
Kher Examination of worker assignment and dispatching rules for managing vital customer priorities in dual resource constrained job shop environments
Ingels et al. The impact of overtime as a time-based proactive scheduling and reactive allocation strategy on the robustness of a personnel shift roster
KR102425609B1 (ko) 인력 수요 예측을 기반으로 한 인력 제공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WO2020062047A1 (zh) 更新调度规则的方法、设备、系统、存储介质和终端
KR102361073B1 (ko) 사업장 인력 관리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JP6855960B2 (ja) 並列処理装置、および並列処理装置の保守方法
JP7177759B2 (ja) 作業人員割当システムおよび作業人員割当装置
US2016018863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usage of a database system resources by concurrent database users of a database system
CN113268331A (zh) 机器人调用方法、机器人调用装置、管理系统和存储介质
CN105786601A (zh) 文档录入的调度方法及其调度装置
JP2021041914A (ja) 航空機を着陸させるための滑走路出口の決定
CN110795151A (zh) 算子并发度调整方法、装置和设备
US11663538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scheduling reallocation
US11379267B1 (en) Automatic resource allocation design for satisfying service level goals of mixed workload queries in a database system
JP2006146530A (ja) スケジューリング支援システム
Zhang et al. A knowledge-based dynamic job-scheduling in low-volume/high-variety manufacturing
CN111798048A (zh) 任务分配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装置
JP2021096514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