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0728B1 - 웨어러블 장비를 이용한 방역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장비를 이용한 방역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0728B1
KR102360728B1 KR1020210111959A KR20210111959A KR102360728B1 KR 102360728 B1 KR102360728 B1 KR 102360728B1 KR 1020210111959 A KR1020210111959 A KR 1020210111959A KR 20210111959 A KR20210111959 A KR 20210111959A KR 102360728 B1 KR102360728 B1 KR 102360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body temperature
scann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1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하정
Original Assignee
최하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하정 filed Critical 최하정
Priority to KR1020210111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07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8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e.g. flu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08Temperature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arrangements for handling protocols designed for non-contact record carriers such as RFIDs NFCs, e.g. ISO/IEC 14443 and 18092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Phys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oxicology (AREA)
  • Psychia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게나 방문객이 많은 장소에 비치된 스캐너에 신체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장비를 태깅하면 개인 정보가 수집되고, 이슈 발생 시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추적할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온도 센서가 설치된 웨어러블 장비 이용하여 웨어러블 장비에 출력되는 바코드, 큐알 코드, RFID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코드를 스캐너에 태그하면 이용자의 개인 정보와 체온 정보가 동시에 수집되는 방역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공함에 있다. 또한, 방문 장소를 방문한 당시의 체온 정보만 수집되는 것이 아니라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로 수집된 복수 개의 체온 정보를 수집하여 이전에도 체온이 정상 범위 이내였는지 판단할 수 있으며, 웨어러블 장비에 GPS 센서를 탑재하여 확진자가 방문했을 경우, 이동 경로를 빠르게 파악하여 같은 장소에 같은 시간에 머물렀던 다른 이용자에게 신속하게 검사를 안내할 수 있다.

Description

웨어러블 장비를 이용한 방역 모니터링 시스템 {Prevention monitoring system using wearable equipment}
본 발명은 웨어러블 장비를 이용한 방역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게나 방문객이 많은 장소에 비치된 스캐너에 신체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장비를 태깅하면 개인 정보가 수집되고, 이슈 발생 시 수집된 정보를 기반으로 추적할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염력이 강한 바이러스가 유행함에 따라 이용자들이 이용하는 식당, 백화점, 마트 등에는 다양한 형태의 방명록과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계가 구비되어 있다. 방명록은 이용자가 직접 이름, 전화번호, 주소 등을 적는 방법, 이용자가 휴대 전화의 큐알 코드를 방문 장소에 비치된 스캐너에 스캔하는 방법 및 가게마다 정해진 전화번호로 이용자가 직접 전화를 걸어 방문 기록을 남기는 방법 등이 있다.
이때, 이용자의 체온은 직원이 체온계를 이용하여 직접 측정하거나 비치된 체온계에 이용자가 손목이나 이마 등을 갖다 대 체온을 측정한다. 측정 당시 체온이 기준 온도 이상이면 입장이 제한되고, 정상 온도라고 판단되면 점포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진행되고 있다.
이용자가 방문 기록을 직접 작성하는 경우는 이용자가 개인 정보를 거짓으로 작성하는 경우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전화를 거는 방법 또한 이용자가 전화를 걸지 않을 수도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직원이 직접 확인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큐알 코드를 스캔하는 방법은 큐알 코드를 먼저 스캔한 후, 체온을 측정해야 하기 때문에 한 점포에 여러 이용자가 입장할 경우 번거롭고 입장에 정체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체온은 방문 당시의 체온을 측정하기 때문에 이용자가 이전에는 고열이었으나 해열제를 먹고 방문했을 때는 직원이 이상 여부를 알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어 이용자 관리 및 추적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최근 사용자가 손목에 착용되어 건강에 관련된 정보를 수집하여 제공하는 스마트 밴드가 많이 사용되며, 스마트 밴드는 24시간 동안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동작을 파악하여 건강 관리에 용이하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스마트 밴드를 이용하여 이용자의 방문 기록과 체온 측정 단계를 단순화하고 동선 정보 수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6842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온도 센서가 설치된 웨어러블 장비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장비에 출력되는 바코드, 큐알 코드, RFID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코드를 스캐너에 태그하면 이용자의 개인 정보와 체온 정보가 동시에 수집되는 방역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방문 장소를 이용하는 당시의 체온 정보만 수집되는 것이 아니라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로 수집된 복수 개의 체온 정보를 수집하여 이전에도 체온이 정상 범위 이내였는지 판단할 수 있는 웨어러블 장비를 이용한 방역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아울러, 웨어러블 장비에 GPS 센서를 탑재하여 확진자가 방문했을 경우, 이동 경로를 빠르게 파악하여 같은 장소에 같은 시간에 머물렀던 다른 이용자에게 신속하게 검사를 안내할 수 있는 방역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웨어러블 장비를 이용한 방역 모니터링 시스템은, 이용자의 정보가 입력된 바코드, 큐알 코드, RFID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코드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 이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온도 센서,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이용자의 체온 정보 및 이용자의 개인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 이용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GPS 센서가 설치되며, 이용자가 신체에 착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웨어러블 장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바코드, 큐알 코드, RFID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코드를 스캔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이용자의 개인 정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체온 정보, 상기 GPS 센서로부터 수집된 위치 정보 및 수집된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정보가 수집되는 스캔부, 상기 스캔부로부터 수집된 상기 이용자 정보를 외부에 송신하는 스캐너 통신부 및 상기 스캐너 통신부로부터 상기 이용자 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이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이용자의 입장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가 설치되는 스캐너; 및 상기 스캐너 통신부로부터 송신된 이용자 정보를 수신받고 저장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는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이용자의 체온 정보가 저장되되,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이용자의 체온 정보가 삭제되지 않고 상기 저장부에 복수 개의 이용자 체온 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판단부는 상기 스캔부로부터 수집된 복수 개의 이용자 체온 정보 중 미리 설정된 온도 값보다 높은 체온 정보가 있는지 판단하며, 미리 설정된 값보다 높은 체온 정보가 있다고 판단될 경우, 이용자의 입장을 제한하는 알림 신호를 송신하고, 미리 설정된 값보다 높은 체온 정보가 없다고 판단될 경우, 이용자의 입장을 허용하는 알림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스캐너는 상기 스캐너와 일체로 설치되거나 별도로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 형태의 알림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장비는, 상기 온도 센서에서 측정된 체온 정보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 이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스캐너 통신부로부터 상기 이용자 정보를 수신받고, 외부로 송신하는 서버 통신부, 상기 서버 통신부로부터 상기 이용자 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이용자 정보가 저장되며, 선택된 이용자의 개인 정보가 검색되면 상기 선택된 이용자의 정보가 추출되는 데이터 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추출된 상기 선택된 이용자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선택된 이용자의 이동 경로가 추적되는 동선 추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선 추적부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추출된 상기 선택된 이용자의 정보에 포함된 위치 정보 및 수집된 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선택된 이용자의 이동 경로가 추적되며, 상기 이동 경로를 기반으로 상기 선택된 이용자가 방문한 장소를 동 시간대에 이용한 다른 이용자의 정보가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서 검색되고, 상기 선택된 이용자가 방문한 장소에 동 시간대에 방문한 다른 이용자의 단말기에 상기 서버 통신부가 알림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장비를 이용한 방역 모니터링 시스템의 방역 모니터링 방법은, 이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온도 센서가 구비되어 이용자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는 웨어러블 장비를 이용한 방역 모니터링 시스템의 방역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웨어러블 장비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바코드, 큐알 코드, RFID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코드가 스캐너에 태그되는 태그 단계; 상기 스캐너로부터 바코드, 큐알 코드, RFID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코드가 스캔되어 바코드, 큐알 코드, RFID에 입력된 이용자의 정보가 수집되는 스캔 단계; 상기 스캔 단계에서 수집된 이용자의 정보가 상기 스캐너의 판단부로 송신되는 판단부 송신 단계; 상기 판단부가 이용자의 정보를 수신받고, 이용자의 정보에 포함된 복수 개의 체온 정보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값을 비교하는 판단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판단 단계에서 복수 개의 체온 정보 중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값 이상인 체온 정보가 있다고 판단될 경우, 이용자의 입장을 제한하는 알림이 송신되며, 상기 스캐너에 일체로 설치되거나 스캐너에 별도로 설치된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 형태의 알림 장치를 통해 이용자의 입장을 제한하는 알림이 출력되는 입장 제한 단계;가 진행되고, 상기 판단 단계에서 복수 개의 체온 정보 중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값 이상인 체온 정보가 없다고 판단될 경우, 이용자의 입장을 허용하는 알림이 송신되며, 상기 스캐너에 일체로 설치되거나 스캐너에 별도로 설치된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 형태의 알림 장치를 통해 이용자의 입장을 허용하는 알림이 출력되는 입장 허용 단계;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모니터링 방법은, 상기 스1캔 단계에서 수집된 이용자의 정보가 관리 서버로 송신되는 서버 송신 단계; 및 상기 서버 송신 단계로부터 수신된 이용자의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저장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웨어러블 장비를 이용한 방역 모니터링 시스템은, 온도 센서가 설치된 웨어러블 장비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장비에 출력되는 바코드, 큐알 코드, RFID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코드를 스캐너에 태그하면 이용자의 개인 정보와 체온 정보가 동시에 수집되도록 해 이용자 및 직원의 동작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방문 장소를 이용하는 당시의 체온 정보만 수집되는 것이 아니라 미리 정해진 시간 단위로 수집된 복수 개의 체온 정보를 수집하여 이전에도 체온이 정상 범위 이내였는지 판단할 수 있으므로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
아울러, 웨어러블 장비에 GPS 센서를 탑재하여 확진자가 방문했을 경우, 이동 경로를 빠르게 파악하여 같은 장소에 같은 시간에 머물렀던 다른 이용자에게 신속하게 검사를 안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비를 이용한 방역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비를 이용한 방역 모니터링 시스템의 웨어러블 장비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비를 이용한 방역 모니터링 시스템의 스캐너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비를 이용한 방역 모니터링 시스템의 관리 서버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비를 이용한 방역 모니터링 시스템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비를 이용한 방역 모니터링 시스템의 모니터링 방법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비를 이용한 방역 모니터링 시스템의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비를 이용한 방역 모니터링 시스템의 모니터링 방법 순서도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비를 이용한 방역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역 모니터링 시스템은 웨어러블 장비(100), 스캐너(200), 관리 서버(300)로 구성된다.
먼저, 웨어러블 장비(100)는 이용자가 신체에 착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이용자의 신체와 접촉되어 이용자의 체온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형태면 이용자의 편의에 맞게 착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비(10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손목에 착용되는 형태인 것으로 한다. 손목에 착용되는 팔찌 형태로 형성되어 이용자의 체온 정보를 수집할 뿐만 아니라 시계 기능, 심박수 측정, 수면 시간 측정 등 스마트 밴드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스캐너(200)는 식당이나 백화점, 마트 등 이용자들이 방문하는 장소에 설치된다. 이용자가 해당 장소에 방문하여 웨어러블 장비(100)를 스캐너(200)에 태그하면 이용자의 개인 정보, 체온 정보 및 해당 장소에 방문한 시간 정보가 수집된다.
관리 서버(300)는 스캐너(200)에서 수집된 이용자의 개인 정보, 체온 정보 및 해당 장소에 방문한 시간 정보 등을 저장한다. 전염병의 확진자가 발생되었을 경우, 저장된 정보를 기반으로 확진자의 동선을 추적하고, 동 시간대에 같은 장소를 이용한 이용자들에게 검사를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웨어러블 장비(100), 스캐너(200), 관리 서버(300)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비를 이용한 방역 모니터링 시스템의 웨어러블 장비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웨어러블 장비(100)는 케이싱부(110), 디스플레이부(120), 온도 센서(130), 저장부(140), GPS 센서(150), 알림부(1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부(110)는 손목에 착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에 웨어러블 장비(100)를 구성하는 센서 및 부품이 수납되는 수납부(111)와 스트랩부(112)로 구성된다. 수납부(111)는 웨어러블 장비(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이 설치된다. 스트랩부(112)는 플렉서블 소재로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며, 손목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용자의 손목 둘레에 맞게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수납부(111)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바코드, 큐알 코드, RFID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코드가 출력된다. 스캔부(210)가 디스플레이부(120)에 출력된 바코드, 큐알 코드, RFID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코드를 스캔하면 이용자의 개인 정보 및 체온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항상 바코드, 큐알 코드, RFID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코드를 출력하고 있을 수도 있으며, 평소에는 시간이 표시되는 시계로 이용하다가 이용자가 미리 정해진 동작을 수행하면 바코드, 큐알 코드, RFID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코드가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온도 센서(130)는 수납부(111)에 설치되며, 이용자의 신체와 접촉되거나 가까이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이용자의 체온을 측정한다. 이때, 온도 센서(130)가 스트랩부(112)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스트랩부(112)는 이용자가 본 발명의 웨어러블 장비(100)를 벗거나 착용할 때마다 외력이 많이 작용하기 때문에 파손될 수 있으므로 수납부(111)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부(140)는 이용자의 개인 정보와 온도 센서(130)가 측정한 체온 정보를 저장한다. 개인 정보는 이름, 주소,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등으로 정보를 더 추가하거나 뺄 수도 있다. 체온 정보는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로 온도 센서(130)에서 측정된 체온 정보가 저장부(140)에 저장된다. 즉, 오후 1시에 측정된 체온 36.4도, 오후 2시에 측정된 체온 36.6도, 오후 3시에 측정된 체온 36.3도 등으로 저장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1시간 간격으로 체온 정보가 저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30분 간격, 45분 간격, 2시간 간격, 3시간 간격 등 최적의 저장 간격을 도출하여 선택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GPS 센서(150)는 이용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것으로 위치 정보 또한 저장부(140)에 저장되며, 바코드, 큐알 코드, RFID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코드를 스캔하였을 때 수집할 수도 있다.
알림부(160)는 온도 센서(130)에서 측정된 체온이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일 경우 이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여 전염병 감염 여부를 검사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웨어러블 장비(100)는 배터리가 내장되어 디스플레이부(120), 온도 센서(130), 저장부(140), GPS 센서(150), 알림부(160)에 전원을 공급하는 형태로, 내장된 배터리의 충전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 이하로 떨어질 경우, 알림부(160)가 이용자에게 충전이 필요하다는 알림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비를 이용한 방역 모니터링 시스템의 스캐너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캐너(200)는 스캔부(210), 스캐너 통신부(220), 판단부(230)를 포함한다.
스캔부(210)는 디스플레이부(120)에 출력된 바코드, 큐알 코드, RFID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코드를 스캔한다. 이용자들이 방문하는 장소에 설치되어 웨어러블 장비(100)를 스캔부(210) 근처에 갖다 대면 디스플레이부(120)에 출력된 바코드, 큐알 코드, RFID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코드를 스캔부(210)가 스캔하여 개인 정보, 체온 정보, 위치 정보 및 방문 시간 등을 수집한다.
스캐너 통신부(220)는 스캔부(210)에 의해 스캔되어 수집된 이용자의 개인 정보, 체온 정보, 위치 정보 및 방문 시간을 관리 서버(300)에 송신하여 관리 서버(300)에 수집된 정보가 저장되도록 한다.
판단부(230)는 이용자가 해당 방문 장소를 이용 가능한지, 불가능한지 판단 작업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웨어러블 장비(100)의 저장부(140)는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이용자의 체온 정보를 저장하고, 스캔부(210)에서 바코드, 큐알 코드, RFID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코드가 스캔되어 수집된 이용자의 체온 정보는 12시간, 24시간, 하루, 이틀 등 미리 정해진 일정 기간 동안 저장부(140)에 저장된 체온 정보가 모두 수집되므로 수집된 체온 정보 중 미리 설정된 값보다 높은 체온 정보가 있을 경우, 이용자의 방문을 제한할 수 있다.
종래의 경우에는 방문 당시의 체온만 측정하기 때문에 이용자가 해당 장소에 방문 전 열이 났으나 해열제를 먹은 후 방문할 경우에는 방문을 제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므로 전염병 확산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비를 이용한 방역 모니터링 시스템의 관리 서버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관리 서버(300)는 서버 통신부(310), 데이터 베이스(320), 동선 추적부(330)를 포함한다.
서버 통신부(310)는 스캔부(210)가 수집한 이용자의 개인 정보, 체온 정보, 위치 정보 및 방문 시간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스캐너 통신부(220)로부터 수신받으며, 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320)로 정보를 송신한다.
동선 추적부(330)는 전염병 확진자가 발생했을 경우, 해당 확진자의 동선을 추적하여 방문 장소를 파악하고, 방문 장소를 동 시간대에 이용한 다수의 이용자들에게 검사 안내 알림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비를 이용한 방역 모니터링 시스템의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자가 특정 장소를 방문하면 방문한 장소에 설치된 스캐너(200)에 웨어러블 장비(100)를 태그한다. 스캐너(200)의 스캔부(210)는 웨어러블 장비(100)의 디스플레이부(120)에 출력된 바코드, 큐알 코드, RFID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코드를 스캔하여 이용자의 정보를 수집한다. 스캐너 통신부(220)는 스캔부(210)로부터 수집된 이용자의 정보를 관리 서버(300)의 서버 통신부(310)로 송신한다. 서버 통신부(310)는 스캐너 통신부(220)로부터 송신된 이용자의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320)로 송신하여, 데이터 베이스(320)에 이용자의 정보가 저장되도록 한다.
스캐너(200)의 판단부(230)는 수집된 이용자의 정보 중 체온 정보를 수신받아 이용자가 해당 방문 장소를 이용 가능한지, 불가능한지 판단 작업을 수행한다. 웨어러블 장비(100)의 저장부(140)는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온도 센서(130)로부터 측정된 이용자의 체온 정보를 저장한다. 스캔부(210)에서 바코드, 큐알 코드, RFID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코드가 스캔되어 수집된 이용자의 체온 정보는 방문 당시 이용자의 체온 정보가 아니라 12시간, 24시간, 하루, 이틀 등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저장부(140)에 저장된 복수 개의 체온 정보가 모두 수집되므로 수집된 복수 개의 체온 정보 중 미리 설정된 값보다 높은 체온 정보가 있을 경우, 이용자의 방문을 제한할 수 있다.
하나의 예를 들어 보다 판단부(230)의 기능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12시에 온도 센서(130)로부터 측정되어 저장부(140)에 저장된 A 이용자의 체온 정보는 38도이다. 이후, A가 해열제를 먹었고, 13시에 온도 센서(130)로부터 측정되어 저장부(140)에 저장된 이용자의 체온 정보는 체온이 36.6도이다. 13시 10분에 이용자가 식당을 방문하여 스캔부(210)에 바코드, 큐알 코드, RFID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코드를 스캔하면 이용자의 개인 정보 및 미리 정해진 기간의 체온 정보가 모두 수집된다.
이때, 입장을 허용하는 체온을 37.5도 미만이라고 정해져 있을 때, 판단부(230)는 수집된 복수 개의 체온 정보 중 37.5도 이상인 체온 정보가 있는지 판단한다. A의 경우 12시에 측정된 체온 정보가 38도이기 때문에 입장 허용 기준 체온보다 높으므로 입장이 제한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A의 방문 시점인 13시 10분의 A의 체온을 측정하기 때문에 A가 계속 정상 체온이었는지, 해열제를 먹고 방문하였는지 판단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방역 모니터링 시스템은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저장된 모든 체온 정보를 기반으로 체온이 기간 내내 정상 범위 이내였는지, 정상 범위를 벗어난 적이 있었는지 판단하여 이용자의 방문을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비를 이용한 방역 모니터링 시스템의 모니터링 방법 순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역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은 먼저 웨어러블 장비(100)가 방문 장소에 미리 설치된 스캐너(200)에 태그되는 태그 단계(S100)가 진행된다. 이후, 스캐너(200)의 스캔부(210)는 태그 단계(S100)에서 웨어러블 장비(100)의 디스플레이부(120)에 출력되는 바코드, 큐알 코드, RFID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코드를 스캔하는 스캔 단계(S110)를 진행하며, 스캔 단계(S110)에서 이용자의 개인 정보, 체온 정보, 위치 정보 및 방문 시간 등을 포함하는 이용자의 정보가 수집된다.
이후, 스캔 단계(S110)에서 수집된 이용자의 정보를 관리 서버(300) 및 판단부(230)에 송신하는 판단부 송신 단계(S120) 및 서버 송신 단계(S130)가 진행된다. 이때, 판단부 송신 단계(S120)는 이용자의 체온 정보만 선택적으로 송신될 수 있으며, 서버 송신 단계(S130)는 스캔 단계(S110)에서 수집된 모든 이용자의 정보가 송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판단부 송신 단계(S120) 및 서버 송신 단계(S130)는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고, 둘 중 어느 하나가 먼저 진행될 수도 있다.
스캔 단계(S110)에서 수집되는 이용자의 체온 정보는 일정 시간마다 온도 센서(130)로부터 측정되어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저장부(140)에 저장된다. 스캔 단계(S110)에서 저장부(140)에 저장된 복수 개의 체온 정보가 모두 수집되며, 이는 관리 서버(300) 및 판단부(230)로 송신된다.
판단부 송신 단계(S120)는 스캔 단계(S110)에서 수집된 이용자의 정보 또는 체온 정보만 판단부(230)로 송신된다. 판단부 송신 단계(S130) 이후, 판단부(230)는 수신받은 복수 개의 체온 정보 중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온도 정보가 있는지 판단하는 판단 단계(S140)를 진행한다.
판단 단계(S140)에서 수신된 체온 정보 중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온도 정보가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별도로 설치되거나 스캐너(200)에 일체로 설치되는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 형태의 알림 장치(240)를 통해 이용자의 입장을 제한하는 알림이나 문구가 출력되는 입장 제한 단계(S150)가 진행되고, 수신된 체온 정보 중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온도 정보가 없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이용자의 입장을 허용하는 알림이나 문구가 출력되는 입장 허용 단계(S160)가 진행된다.
서버 송신 단계(S130)가 진행되어 관리 서버(300)의 서버 통신부(310)가 스캐너 통신부(220)로부터 이용자의 정보를 수신받고, 서버 통신부(310)는 스캐너 통신부(220)로부터 수신된 이용자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데이터 베이스(320)에 이용자의 정보를 송신하고 데이터 베이스(320)에 수신된 이용자의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 단계(S170)가 진행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비를 이용한 방역 모니터링 시스템의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염병의 확진자 B가 발생될 경우, B와 동 시간대에 같은 장소를 방문한 이용자들에게 검사 알림 문자를 송신하여 확진 여부를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종래의 경우, 작성된 방명록과 전화 통화 기록을 이용하여 동 시간대에 같은 장소를 방문한 이용자들에게 검사를 안내한다. 그러나, 방명록에 개인 정보를 거짓으로 작성하거나 전화 통화를 하지 않는 이용자들도 있기 때문에 이들에게는 검사를 안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경우, B라는 이용자가 전염병 확진 판정을 받았다고 가정한다. B의 개인 정보를 관리 서버(300)의 데이터 베이스(320)에 검색하면 데이터 베이스(320)에 저장된 B가 하나 이상의 방문 장소를 방문하여 수집된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이는 관리 서버(300)의 동선 추적부(330)로 송신된다. 동선 추적부(330)는 수집된 정보 중 위치 정보와 방문 시간을 기반으로 B의 이동 경로를 추적할 수 있기 때문에 B가 방문한 이동 경로에 소독 및 방역 처리 작업을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다.
또한, 각 장소에 대한 방문 시간을 기반으로 B의 방문 시간과 겹치는 시간에 해당 장소에 방문한 이용자들의 개인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320)에서 검색하고, 서버 통신부(310)가 B와 동 시간대에 같은 장소를 이용한 사람들의 휴대전화를 포함하는 단말기에 검사 안내 알림을 송신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장비를 이용한 방역 모니터링 시스템의 모니터링 방법 순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진자가 발생됐을 경우, 확진자의 개인 정보가 관리 서버(300)에 입력되고, 데이터 베이스(320)에 저장된 확진자의 방문 장소를 검색하여 추출하는 제1검색 단계(S200)가 진행된다. 제1검색 단계(S200)에서 추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문 장소는 동선 추적부(330)로 송신되고, 동선 추적부(330)는 특정 기간 내 확진자가 방문한 방문 장소의 위치 정보 및 방문한 시간을 기반으로 확진자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동선 추적 단계(S210)가 진행된다.
동선 추적 단계(S210)에서 형성된 이동 경로를 기반으로 확진자와 동 시간대에 같은 장소에 방문한 이용자를 데이터 베이스(320)에서 검색하는 제2검색 단계(S220)이 진행되고, 제2검색 단계(S220)에서 검색된 이용자들의 휴대전화와 같은 단말기에 전염병 감염 여부를 검사해 보라는 안내 알림을 송신하는 알림 송신 단계(S230)가 진행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역 모니터링 시스템은 개인 정보 및 체온 정보를 동시에 수집하여 전염병 증상을 숨기고 방문하는 이용자의 입장을 제한할 수 있으며, 추후 확진자가 발생됐을 경우 신속하고 정확하게 동 시간대 이용자들에게 검사 안내 알림을 송신할 수 있어 전염병의 확산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0 웨어러블 장비
110 케이싱부
111 수납부
112 스트랩부
120 디스플레이부
130 온도 센서
140 저장부
150 GPS 센서
160 알림부
200 스캐너
210 스캔부
220 스캐너 통신부
230 판단부
240 알림 장치
300 관리 서버
310 데이터베이스
320 서버 통신부
330 동선 추적부

Claims (11)

  1. 이용자의 정보가 입력된 바코드, 큐알 코드, RFID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코드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 이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온도 센서,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이용자의 체온 정보 및 이용자의 개인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 이용자의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GPS 센서가 설치되며, 이용자가 신체에 착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웨어러블 장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바코드, 큐알 코드, RFID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코드를 스캔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이용자의 개인 정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체온 정보, 상기 GPS 센서로부터 수집된 위치 정보 및 수집된 시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용자 정보가 수집되는 스캔부, 상기 스캔부로부터 수집된 상기 이용자 정보를 외부에 송신하는 스캐너 통신부 및 상기 스캐너 통신부로부터 상기 이용자 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이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이용자의 입장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가 설치되는 스캐너; 및
    상기 스캐너 통신부로부터 송신된 이용자 정보를 수신받고 저장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는,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상기 온도 센서로부터 측정된 이용자의 체온 정보가 저장되되,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이용자의 체온 정보가 삭제되지 않고 상기 저장부에 복수 개의 이용자 체온 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판단부는,
    상기 스캔부로부터 수집된 복수 개의 이용자 체온 정보 중 미리 설정된 온도 값보다 높은 체온 정보가 있는지 판단하며, 미리 설정된 값보다 높은 체온 정보가 있다고 판단될 경우, 이용자의 입장을 제한하는 알림 신호를 송신하고, 미리 설정된 값보다 높은 체온 정보가 없다고 판단될 경우, 이용자의 입장을 허용하는 알림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스캐너는,
    상기 스캐너와 일체로 설치되거나 별도로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 형태의 알림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장비를 이용한 방역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장비는,
    상기 온도 센서에서 측정된 체온 정보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 이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는 알림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장비를 이용한 방역 모니터링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스캐너 통신부로부터 상기 이용자 정보를 수신받고, 외부로 송신하는 서버 통신부,
    상기 서버 통신부로부터 상기 이용자 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이용자 정보가 저장되며, 선택된 이용자의 개인 정보가 검색되면 상기 선택된 이용자의 정보가 추출되는 데이터 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추출된 상기 선택된 이용자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선택된 이용자의 이동 경로가 추적되는 동선 추적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장비를 이용한 방역 모니터링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동선 추적부는,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추출된 상기 선택된 이용자의 정보에 포함된 위치 정보 및 수집된 시간을 기반으로 상기 선택된 이용자의 이동 경로가 추적되며,
    상기 이동 경로를 기반으로 상기 선택된 이용자가 방문한 장소를 동 시간대에 이용한 다른 이용자의 정보가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서 검색되고,
    상기 선택된 이용자가 방문한 장소에 동 시간대에 방문한 다른 이용자의 단말기에 상기 서버 통신부가 알림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장비를 이용한 방역 모니터링 시스템.
  8. 이용자의 신체에 착용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온도 센서가 구비되어 이용자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는 웨어러블 장비를 이용한 방역 모니터링 시스템의 방역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웨어러블 장비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바코드, 큐알 코드, RFID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코드가 스캐너에 태그되는 태그 단계;
    상기 스캐너로부터 바코드, 큐알 코드, RFID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코드가 스캔되어 바코드, 큐알 코드, RFID에 입력된 이용자의 정보가 수집되는 스캔 단계;
    상기 스캔 단계에서 수집된 이용자의 정보가 상기 스캐너의 판단부로 송신되는 판단부 송신 단계;
    상기 판단부가 이용자의 정보를 수신받고, 이용자의 정보에 포함된 복수 개의 체온 정보와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값을 비교하는 판단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판단 단계에서 복수 개의 체온 정보 중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값 이상인 체온 정보가 있다고 판단될 경우,
    이용자의 입장을 제한하는 알림이 송신되며, 상기 스캐너에 일체로 설치되거나 스캐너에 별도로 설치된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 형태의 알림 장치를 통해 이용자의 입장을 제한하는 알림이 출력되는 입장 제한 단계;가 진행되고,
    상기 판단 단계에서 복수 개의 체온 정보 중 미리 설정된 기준 온도 값 이상인 체온 정보가 없다고 판단될 경우,
    이용자의 입장을 허용하는 알림이 송신되며, 상기 스캐너에 일체로 설치되거나 스캐너에 별도로 설치된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 형태의 알림 장치를 통해 이용자의 입장을 허용하는 알림이 출력되는 입장 허용 단계;가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장비를 이용한 방역 모니터링 시스템의 방역 모니터링 방법.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방법은,
    상기 스캔 단계에서 수집된 이용자의 정보가 관리 서버로 송신되는 서버 송신 단계; 및
    상기 서버 송신 단계로부터 수신된 이용자의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저장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장비를 이용한 방역 모니터링 시스템의 방역 모니터링 방법.
  11. 삭제
KR1020210111959A 2021-08-24 2021-08-24 웨어러블 장비를 이용한 방역 모니터링 시스템 KR102360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959A KR102360728B1 (ko) 2021-08-24 2021-08-24 웨어러블 장비를 이용한 방역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1959A KR102360728B1 (ko) 2021-08-24 2021-08-24 웨어러블 장비를 이용한 방역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0728B1 true KR102360728B1 (ko) 2022-02-09

Family

ID=80266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1959A KR102360728B1 (ko) 2021-08-24 2021-08-24 웨어러블 장비를 이용한 방역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07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4559A (ko) 2022-10-19 2024-04-26 주식회사 홍익인간마인드 휴대용 체온측정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기반 신종감염병 대응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752A (ko) * 2007-05-17 2009-01-09 (주)유틸리온 센서 감응형 rfid 태그가 적용된 환자용 밴드를 이용한 환자의 실시간 관리 시스템
KR20210027074A (ko) * 2019-08-30 2021-03-10 주식회사 센스톤 Qr 코드를 이용한 방문자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268429B1 (ko) 2020-12-09 2021-06-22 이용호 스마트 밴드형 체온계를 이용한 실시간 체온측정 및 위치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질병 진단이 가능한 체온 정보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752A (ko) * 2007-05-17 2009-01-09 (주)유틸리온 센서 감응형 rfid 태그가 적용된 환자용 밴드를 이용한 환자의 실시간 관리 시스템
KR20210027074A (ko) * 2019-08-30 2021-03-10 주식회사 센스톤 Qr 코드를 이용한 방문자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268429B1 (ko) 2020-12-09 2021-06-22 이용호 스마트 밴드형 체온계를 이용한 실시간 체온측정 및 위치 데이터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질병 진단이 가능한 체온 정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4559A (ko) 2022-10-19 2024-04-26 주식회사 홍익인간마인드 휴대용 체온측정 장치를 이용한 데이터 기반 신종감염병 대응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4148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vely monitoring activities in a tracking environment
RU2336808C2 (ru) Система контроля биологической информации
CA2439002C (en) A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object association using a location tracking system
JP5347998B2 (ja) 携帯端末装置、携帯端末制御方法及び情報通信システム
US9881486B2 (en) Wearable device for automatic detection of emergency situations
US20140243700A1 (en) Wireless transmission of temperature data
US20060006999A1 (en) Monitoring people, objects, and information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US201202154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edical Diagnosis Using Geospatial Location Data Integrated with Biomedical Sensor Information
US20200250953A1 (en) Removal Detection of a Wearable Computer
US11663426B2 (en) Computer-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entity tracking and identification
KR102360728B1 (ko) 웨어러블 장비를 이용한 방역 모니터링 시스템
KR20180107969A (ko) 스마트콘돔을 이용한 성기능 검진시스템 및 그 서비스방법
US20220082456A1 (en) Personal Temperature Recording Device
JP2008250664A (ja) 看護必要度管理システム
KR101896978B1 (ko) 환자 안전을 위한 위치 측위 기반의 환자 안전관리 시스템
JP6026137B2 (ja) 医療診断支援システム及びリスク情報提供端末装置
KR102459002B1 (ko) 광대역 통신 기반의 IoT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및 장치
JP6613352B2 (ja) 生体情報送信装置
JP2009075914A (ja) スケジューリング装置
JP6404710B2 (ja) 看護支援端末装置、看護支援システム、ならびに、看護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031445A (ja) 事故、インシデントレポート分析システム
KR102502852B1 (ko)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
KR20130019527A (ko) 유아 주민등록증 및 이를 이용한 유아정보 관리방법
JP4613277B2 (ja) 看護事故警告システム
KR20220041258A (ko)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선제적 스마트 질병 관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