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2852B1 -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 - Google Patents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2852B1
KR102502852B1 KR1020200155910A KR20200155910A KR102502852B1 KR 102502852 B1 KR102502852 B1 KR 102502852B1 KR 1020200155910 A KR1020200155910 A KR 1020200155910A KR 20200155910 A KR20200155910 A KR 20200155910A KR 102502852 B1 KR102502852 B1 KR 102502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nfectious disease
infection
big data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5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8767A (ko
Inventor
이재만
Original Assignee
이재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만 filed Critical 이재만
Priority to KR1020200155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2852B1/ko
Publication of KR20220068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8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2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2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8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e.g. flu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5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simulation or modelling of medical disorder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1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upporting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e.g. for weather forecasting or climate sim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Pat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감염병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역학조사 과정에서 개인정보가 노출되는 부작용이 있었던 종래기술의 감염병 예방시스템 및 방법들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스마트폰과 같은 개인 휴대용 단말기에 내장된 GPS 정보와 이동통신 기지국 정보 및 감염병에 관련된 각종 정보를 포함하여 구축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AI를 이용한 정보분석을 통해 감염자의 신상이나 감염장소와 시간 및 이동동선 등의 개인정보를 공개하지 않고도 감염 가능성이 높은 밀접 접촉자 및 감염 의심자들을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데 더하여, 감염 가능성을 수치화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일정 수준 이상이면 정부나 방역기관에 통보하여 관리하도록 하고, 특정 수치 이하에서는 전용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통하여 개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개인정보의 노출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감염의 위험 정도에 따라 정부기관 및 개별적인 관리가 각각 가능하도록 이원화 하여 방역당국의 업무량을 감소시키고 방역작업의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Infectious disease prevention system that minimizes personal information exposure using AI analysis of big data}
본 발명은 감염병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종래, 대규모 감염병이 발생할 경우 감염자의 신상정보 및 이에 기반한 동선추적을 통해 접촉자 및 감염 의심자들을 찾아내고, 발견된 접촉자 및 감염 의심자들에 대한 격리 및 진단검사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감염병의 확산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추적과정에서 각 개인의 신상이나 이동경로 등과 같은 개인정보가 노출되어 이들의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고, 또한, 감염자의 동선공개로 인해 해당 동선에 포함된 업체나 자영업자들이 영업에 피해를 보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던 종래기술의 감염병 대응시스템 및 방법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인의 신상이나 동선공개와 같은 개인정보의 노출을 최소화하면서도 감염병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예를 들면, 스마트폰과 같은 개인 휴대용 단말기에 내장된 GPS 정보 및 해당 GPS의 이동에 대한 데이터와, 이동통신 기지국 정보 및 감염병에 관련된 각종 정보를 포함하여 감염병 예방을 위한 빅데이터를 미리 구축하여 두고, 이러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감염병 발생시 AI를 이용한 빅데이터 정보분석을 통해 감염 가능성이 높은 밀접 접촉자 및 감염 의심자들을 정확하게 판별하여 통보하는 것에 의해 진단검사 등의 관리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GPS의 일련번호만으로 감염자의 특정 및 역학조사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별도의 역학조사를 통해 감염자의 신상이나 감염장소와 시간 및 이동동선 등과 같은 개인정보를 파악할 필요가 없고, 그것에 의해, 개인정보의 노출을 최소화하면서 감염병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개인정보에 기반한 동선추적에 의존하지 않고 GPS 일련번호만으로 감염자 및 감염 가능성이 높은 접촉자를 선별할 수 있는 데 더하여, 접촉자나 감염 의심자의 감염 가능성을 수치화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일정 수준 이상이면 해당 접촉자나 감염 의심자들을 정부나 방역기관에서 관리하도록 통보하여 의무검사를 받도록 하고, 특정 수치 이하에서는 해당 접촉자나 감염 의심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개인용 단말기에 설치된 전용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통하여 진단검사를 권유하는 등으로 개별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감염자의 신분이나 동선 등과 같은 개인정보의 노출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감염의 위험 정도에 따라 정부기관 및 개별적인 관리가 각각 가능하도록 이원화 하여 방역당국의 업무량을 감소시키고 방역작업의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코로나 19(Covid-19)가 전세계적으로 유행함으로 인해,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코로나 19(Covid-19)와 같은 감염병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즉, 예를 들면, 우리나라의 경우는 확진자에 대한 역학조사를 통해 동선을 추적하여 밀접 접촉자 및 감염 의심자를 신속하게 찾아내고, 단순 의심자의 경우에도 진단검사를 실시하여 감염자를 찾아내고 격리 및 치료하는 것으로 감염병의 확산을 비교적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있다.
또한, 외국의 경우에는, 대부분 이른바 "락다운(lockdown)"'을 통해 사람간의 접촉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것으로 감염병의 확산을 방지하고자 하고 있으나, 이와 같이 강력한 조치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 비해 감염병의 확산 방지에 큰 효과를 거두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아직까지도 코로나 19(Covid-19)에 대한 치료제 및 백신의 개발은 언제일지 요원한 실정이며, 현재에도 전세계적으로 코로나 19(Covid-19) 확진자는 줄어들지 않고 있다.
이에, 최근에는, 코로나 19(Covid-19)에 대한 치료제 및 백신에 대한 요구과 함께, 감염병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거나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감염병 예방 기술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코로나 19(Covid-19)와 같은 감염병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종래기술의 예로는, 예를 들면,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96443호에 제시된 바와 같은 "QR코드를 이용한 코로나19 동선 파악 취득 장치"가 있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96443호는, 스마트폰과,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받고 QR 코드를 생성하는 생성창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카메라에서 촬영된 생성창의 QR 코드를 인식하는 QR 인식기, QR 인식기의 QR 코드에 입력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QR정보 저장기를 포함하여, QR 코드를 용이하게 취득하고 보관을 용이하는 것에 의해 기존의 수기를 이용한 접촉자 및 동선추적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QR 코드를 이용한 코로나 19 동선파악 취득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감염병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종래기술의 다른 예로는, 예를 들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73847호에 제시된 바와 같은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병원내 환자동선 및 접촉자 추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이 있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73847호는, 관리서버를 통해 설정된 지역 또는 병원 내로 출입하는 모든 사람의 개인정보를 등록시킨 후 사물인터넷 기반의 BLE ID 카드를 제공하는 제 1 과정, 제 1 과정 후에 BLE ID 카드가 설정된 지역이나 병원 내에서 자신의 위치를 측위하여 고유인식정보와 함께 동선정보로 구성하여 외부로 전송함과 함께 주변 모든 접촉자를 설정된 단계별 기준에 따라 위치정보를 측위하여 저장한 후 그 접촉자의 접촉자 정보를 외부로 방송하고 방송된 정보들을 관리서버가 수집하는 제 2 과정, 제 2 과정후에 관리서버가 BLE ID 카드로부터 수집된 병원 내로 이동하는 모든 사람들에 대한 동선정보와 모든 접촉자 정보를 분석하고 감염환자와 접촉한 접촉자 정보를 추적 관리하는 제 3 과정을 포함하여, 병원 내로 이동하는 환자를 포함한 모든 사람들에게 BLE ID 카드를 소유하게 하고 해당 BLE ID 카드에서 위치 및 상호 접촉신호들을 관리서버로 전송하여 빅데이터로 분석함으로써, 병원 내의 감염환자의 동선과 그 접촉자에 대한 추적관리를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감염자 관리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병원내 환자동선 및 접촉자 추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감염병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하여 여러 가지 기술내용이 제시된 바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내용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즉, 최근의 코로나 19(covid-19) 대응사례와 같이, 대규모 감염병이 발생할 경우 더 이상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감염자를 신속하게 찾아내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헌들에 제시된 바와 같이, 역학조사를 통해 감염자의 이동 동선을 파악하여 가족이나 직장동료 등과 같이 밀접 접촉자 및 감염 의심자를 찾아내고, 그들에 대한 진단검사를 통해 확진자로 판정될 경우 즉각적인 격리 및 치료를 실시하고, 다시 새로운 확진자에 대한 역학조사를 통해 밀접 접촉자 및 감염 의심자를 찾아내는 과정을 반복하여야 한다.
따라서 감염병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는, 감염자에 대한 관리뿐만 아니라 신속하고 정확한 역학조사를 통하여 추가적인 감염자의 발생을 막는 것이 매우 중요하나, 상기한 바와 같이 역학조사에 기반한 종래의 감염병 대응방식은 조사과정에서 개인의 신상 및 이동 동선과 같은 개인정보가 노출 및 공개되는 부작용이 있는 것이었다.
더 상세하게는, 역학조사 과정에서 확진자나 감염 의심자의 신상이 공개되어 사회적으로 비난을 받거나 직장에서 부당한 대우를 받게 되는 경우도 있고, 확진자나 감염 의심자의 동선에 해당하는 업체나 자영업자들이 매출에 타격을 입는 등의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더욱이, 경우에 따라서는, 이러한 개인 신상이나 동선 공개의 부작용을 우려하여 신속함과 정확성이 중요한 역학조사에 협조하지 않아 시간이 지체되거나, 심지어는 역학조사시에 거짓으로 정보를 제공하여 국가적인 방역활동에 지장을 줄뿐만 아니라 사회 및 경제적으로까지 큰 손실을 초래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역학조사에 기반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 및 방법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는, 개인의 신상이나 동선공개와 같은 개인정보의 노출을 최소화하면서도 감염병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새로운 구성의 감염병 예방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아직까지 그러한 요구를 모두 만족시키는 장치나 방법은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1.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96443호 (2020.08.12.)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73847호 (2018.06.27.)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감염병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역학조사 과정에서 개인의 신상이나 이동경로 등과 같은 개인정보가 노출되어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하고, 동선공개로 인해 해당 동선에 포함된 업체나 자영업자들이 피해를 보게 되는 등의 부작용이 있었던 종래기술의 역학조사에 기반한 감염병 예방시스템 및 방법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인의 신상이나 동선공개와 같은 개인정보의 노출을 최소화하면서도 감염병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스마트폰과 같은 개인 휴대용 단말기에 내장된 GPS 정보 및 해당 GPS의 이동에 대한 데이터와, 이동통신 기지국 정보 및 감염병에 관련된 각종 정보를 포함하여 감염병 예방을 위한 빅데이터를 미리 구축하여 두고, 이러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감염병 발생시 AI를 이용한 빅데이터 정보분석을 통해 감염 가능성이 높은 밀접 접촉자 및 감염 의심자들을 정확하게 판별하여 통보하는 것에 의해 진단검사 등의 관리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GPS의 일련번호만으로 감염자의 특정 및 역학조사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별도의 역학조사를 통해 감염자의 신상이나 감염장소와 시간 및 이동동선 등과 같은 개인정보를 파악할 필요가 없고, 그것에 의해, 개인정보의 노출을 최소화하면서 감염병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이 개인정보에 기반한 동선추적에 의존하지 않고 GPS 일련번호만으로 감염자 및 감염 가능성이 높은 접촉자를 선별할 수 있는 데 더하여, 접촉자나 감염 의심자의 감염 가능성을 수치화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일정 수준 이상이면 해당 접촉자나 감염 의심자들을 정부나 방역기관에서 관리하도록 통보하여 의무검사를 받도록 하고, 특정 수치 이하에서는 해당 접촉자나 감염 의심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개인용 단말기에 설치된 전용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통하여 진단검사를 권유하는 등으로 개별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감염자의 신분이나 동선 등과 같은 개인정보의 노출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감염의 위험 정도에 따라 정부기관 및 개별적인 관리가 각각 가능하도록 이원화 하여 방역당국의 업무량을 감소시키고 방역작업의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 및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에 있어서, GPS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위치확인기능과, 상기 서버 및 다른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통신기능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구동할 수 있는 정보처리기능이 구비되어 각각의 개인이 휴대하여 사용 가능한 개인 휴대용 단말기로 이루어지는 사용자 단말기; 및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주고받도록 구성되며, 감염병에 대한 정보 및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집하여 감염자의 특정과 추적 및 감염병 예방을 위한 빅데이터를 미리 생성하여 두고, 감염병 발생시 상기 빅데이터의 내용에 근거하여 감염자 및 감염 가능성이 높은 감염 위험자를 판별하고 동선을 추적하며,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감염 위험도를 측정하여 감염병 관리기관 및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알림을 보내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서버는,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내장된 GPS의 일련번호 정보와 해당 기기의 사자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를 특정하기 위한 사용자정보 및 상기 GPS의 이동에 관한 정보와, 이동통신 기지국 정보와,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송되는 각종 정보 및 감염병의 분류체계에 따른 감염병 정보와 감염자 및 접촉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DB) 형태로 저장하는 것에 의해 감염자의 특정과 추적 및 감염병 예방을 위한 빅데이터를 구축하여 두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빅데이터는, 상기 서버의 외부에서 별도로 구축되고, 상기 서버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서버는, 상기 빅데이터의 내용을 참조하여, 감염자 발생시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내장된 GPS의 일련번호 정보와 해당 기기의 사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감염자를 특정하며, 상기 빅데이터의 내용을 참조하여,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GPS의 이동에 관련된 정보와 이동통신 기지국 정보를 이용하여 AI를 통해 분석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감염 예측일로부터 격리시까지 감염자의 이동경로를 추적하고,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타인과의 접촉 여부를 판단하여 접촉자의 감염 가능성을 산출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신상정보 및 개인정보를 별도로 수집하지 않고 GPS의 일련번호만으로 감염자의 특정 및 역학조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서버는, 감염병의 종류와 전염범위, 속도 및 방식에 따라 감염병의 위험도를 점수화하여 나타내는 감염병 확산지수, 감염자와 접촉자간의 거리를 점수화하여 나타내는 거리지수, 감염자와 접촉자가 접촉한 장소에 대한 공간 폐쇄성을 점수화하여 나타내는 공간지수, 감염자와 접촉자의 접촉시간을 점수화하여 나타내는 시간지수 및 감염자와 접촉자의 접촉형태를 점수화하여 나타내는 방식지수를 이용하여 상기 접촉자의 감염 가능성을 산출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버는, 상기 접촉자의 감염 가능성이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인 경우는 정부나 감염병 관리기관에 통보하여 직접 관리하도록 하고, 상기 접촉자의 감염 가능성이 미리 정해진 기준 미만이면 해당 접촉자의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진단검사를 권유하는 알림을 보내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정부 및 감염병 관리기관의 업무량을 감소하여 방역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서버는, 각각의 사용자에 대하여 감염 가능성을 산출하고,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본인의 감염 가능성을 표시하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한 시스템은, 미리 정해진 동작범위(coverage)를 가지고 상기 동작범위 내에 존재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서버 사이에서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계서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에 기재된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을 이용한 감염병 예방방법에 있어서, 상기 감염병 예방 시스템의 서버에서,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에 내장된 GPS의 일련번호 정보와 해당 기기의 사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를 특정하기 위한 사용자정보 및 상기 GPS의 이동에 관한 정보와, 이동통신 기지국 정보와,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송되는 각종 정보 및 감염병의 분류체계에 따른 감염병 정보와 감염자 및 접촉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DB) 형태로 저장하는 것에 의해 감염자의 특정과 추적 및 감염병 예방을 위한 빅데이터를 구축하여 두는 처리가 수행되는 빅데이터 구축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감염자 발생시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내장된 GPS의 일련번호 정보와 해당 기기의 사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감염자를 특정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감염자 특정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GPS의 이동에 관련된 정보와 이동통신 기지국 정보를 이용하여 AI를 통해 분석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감염 예측일로부터 격리시까지 감염자의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추적단계; 상기 서버에서,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상기 감염자의 이동경로에서 타인과의 접촉 여부를 판단하고 접촉자의 감염 가능성을 산출하는 감염 가능성 산출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접촉자의 감염 가능성이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인 경우는 정부나 감염병 관리기관에 통보하여 직접 관리하도록 하고, 상기 접촉자의 감염 가능성이 미리 정해진 기준 미만이면 해당 접촉자의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진단검사를 권유하는 알림을 보내는 처리가 수행되는 감염병 관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병 예방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한 방법은, 상기 서버에서, 각각의 사용자에 대하여 감염 가능성을 산출하고,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본인의 감염 가능성을 표시하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자율관리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면, 스마트폰과 같은 개인 휴대용 단말기에 내장된 GPS 정보 및 해당 GPS의 이동에 대한 데이터와, 이동통신사 기지국 정보 및 감염병에 관련된 각종 정보를 포함하여 감염병 예방을 위한 빅데이터를 미리 구축하여 두고, 이러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감염병 발생시 AI를 이용한 빅데이터 정보분석을 통해 감염 가능성이 높은 밀접 접촉자 및 감염 의심자들을 정확하게 판별하여 통보하는 것에 의해 진단검사 등의 관리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됨으로써, GPS의 일련번호만으로 감염자의 특정 및 역학조사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별도의 역학조사를 통해 감염자의 신상이나 감염장소와 시간 및 이동동선 등과 같은 개인정보를 파악할 필요가 없고, 그것에 의해, 개인정보의 노출을 최소화하면서 감염병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별도의 역학조사를 통해 감염자의 신상이나 감염장소와 시간 및 이동동선 등과 같은 개인정보를 파악할 필요가 없으므로 개인정보의 노출을 최소화하면서 감염병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됨으로써, 감염병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역학조사 과정에서 개인의 신상이나 이동경로 등과 같은 개인정보가 노출되어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하고, 동선공개로 인해 해당 동선에 포함된 업체나 자영업자들이 피해를 보게 되는 등의 부작용이 있었던 종래기술의 역학조사에 기반한 감염병 예방시스템 및 방법들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개인정보에 기반한 동선추적에 의존하지 않고 GPS 일련번호만으로 감염자 및 감염 가능성이 높은 접촉자를 선별할 수 있는 데 더하여, 접촉자나 감염 의심자의 감염 가능성을 수치화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일정 수준 이상이면 해당 접촉자나 감염 의심자들을 정부나 방역기관에서 관리하도록 통보하여 의무검사를 받도록 하고, 특정 수치 이하에서는 해당 접촉자나 감염 의심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개인용 단말기에 설치된 전용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통하여 진단검사를 권유하는 등으로 개별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됨으로써, 감염자의 신분이나 동선 등과 같은 개인정보의 노출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감염의 위험 정도에 따라 정부기관 및 개별적인 관리가 각각 가능하도록 이원화 하여 방역당국의 업무량을 감소시키고 방역작업의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의 구체적인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을 이용한 감염병 예방방법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 및 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이하에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의 내용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에 유념해야 한다.
또한,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 있어서, 종래기술의 내용과 동일 또는 유사하거나 당업자의 수준에서 용이하게 이해하고 실시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부분에 대하여는, 설명을 간략히 하기 위해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념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감염병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역학조사 과정에서 개인의 신상이나 이동경로 등과 같은 개인정보가 노출되어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하고, 동선공개로 인해 해당 동선에 포함된 업체나 자영업자들이 피해를 보게 되는 등의 부작용이 있었었던 종래기술의 역학조사에 기반한 감염병 예방시스템 및 방법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인의 신상이나 동선공개와 같은 개인정보의 노출을 최소화하면서도 감염병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스마트폰과 같은 개인 휴대용 단말기에 내장된 GPS 정보 및 해당 GPS의 이동에 대한 데이터와, 이동통신사 기지국 정보 및 감염병에 관련된 각종 정보를 포함하여 감염병 예방을 위한 빅데이터를 미리 구축하여 두고, 이러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감염병 발생시 AI를 이용한 빅데이터 정보분석을 통해 감염 가능성이 높은 밀접 접촉자 및 감염 의심자들을 정확하게 판별하여 통보하는 것에 의해 진단검사 등의 관리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GPS의 일련번호만으로 감염자의 특정 및 역학조사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별도의 역학조사를 통해 감염자의 신상이나 감염장소와 시간 및 이동동선 등과 같은 개인정보를 파악할 필요가 없고, 그것에 의해, 개인정보의 노출을 최소화하면서 감염병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개인정보에 기반한 동선추적에 의존하지 않고 GPS 일련번호만으로 감염자 및 감염 가능성이 높은 접촉자를 선별할 수 있는 데 더하여, 접촉자나 감염 의심자의 감염 가능성을 수치화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일정 수준 이상이면 해당 접촉자나 감염 의심자들을 정부나 방역기관에서 관리하도록 통보하여 의무검사를 받도록 하고, 특정 수치 이하에서는 해당 접촉자나 감염 의심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개인용 단말기에 설치된 전용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통하여 진단검사를 권유하는 등으로 개별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감염자의 신분이나 동선 등과 같은 개인정보의 노출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감염의 위험 정도에 따라 정부기관 및 개별적인 관리가 각각 가능하도록 이원화 하여 방역당국의 업무량을 감소시키고 방역작업의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계속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 및 방법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이하에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감염병의 예로서 코로나 19(covid-19)가 발생한 경우를 예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코로나 19(covid-19)에만 적용 가능한 것이 아니며, 즉, 본 발명은 감염병의 종류나 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수정 및 변경하여 적용이 가능한 것임에 유념해야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더 상세하게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10)은, 크게 나누어, 각각의 개인이 휴대하여 사용 가능한 사용자 단말기(11)와,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11)와 통신을 주고받는 서버(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사용자 단말기(11)는, 예를 들면, GPS 등과 같이, 해당 기기의 사용자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위치확인 기능과, 서버(12) 및 다른 단말기와 이동통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하여 통신이 가능한 통신기능 및 특정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구동할 수 있는 정보처리기능이 구비되어 개인이 휴대 가능한 정보처리 단말기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구성의 예로서, 바람직하게는, 각 개인의 스마트폰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사용자 단말기(11)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사용자 단말기(11)가 각 개인의 스마트폰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구성되는 경우를 예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경우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즉,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각각의 기능을 충족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한 제약 없이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다른 형태의 단말기도 적용 가능한 것임에 유념해야 한다.
또한, 상기한 서버(12)는, 예를 들면, 각각의 스마트폰에 내장된 GPS의 일련번호 정보와 해당 기기의 사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를 특정하기 위한 사용자정보 및 해당 GPS값의 이동에 관한 정보와, 이동통신사가 보유하고 있는 기지국 정보와, 각 사용자의 스마트폰, 즉, 사용자 단말기(11)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송되는 각종 정보 및 감염병에 대한 각종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DB) 형태로 저장하는 것에 의해 감염병 예방을 위한 빅데이터를 미리 구축하여 두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감염병 발생시 기 구축된 빅데이터의 내용을 참조하여 AI 분석을 통해 감염자 및 감염 가능성이 높은 감염 위험자를 판별하고 동선을 추적하며,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감염 위험도를 측정하여 알림을 보내는 등의 감염병 예방 및 확산방지를 위한 일련의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빅데이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서버(12)에서 생성되어 해당 서버(12) 내에 저장되어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서버(12)의 외부에서 별도로 빅데이터가 구축되고 서버(12)와 유,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예를 들면, 정부나 질병관리청 등과 같은 방역기관에서 공공용도의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다른 기관이나 민간업체 등에서 허가를 받고 또는 자유롭게 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등의 구성이 가능하며,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데이터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빅데이터에 포함되는 감염병에 대한 정보에는, 예를 들면, 질병관리본부의 감염병 분류체계에 따른 감염병 정보와, 감염 정도에 대한 정보, 감염자 및 접촉자에 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감염병 예방을 위한 빅데이터의 구체적인 내용은 감염병의 종류나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임에 유념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부터,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내장된 GPS의 일련번호 정보와 해당 기기의 사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감염자 발생시 역학조사를 통해 신상정보와 같은 개인정보를 별도로 수집하지 않고도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GPS 일련번호만으로 감염자의 특정이 가능해진다.
아울러, 각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내장된 GPS의 이동에 대한 정보와 이동통신 기지국 정보를 이용하여, AI를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감염 예측일로부터 격리시까지 감염자의 동선을 파악하고 타인과의 접촉 여부 및 밀도를 추적할 수 있으므로, 개인정보의 노출을 최소화하면서 신속하고 정확한 역학조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이, 감염자의 이동경로를 통해 식사, 운동, 걷기, 운전, 업무 등과 같은 감염자의 행동을 파악하고, 각각의 과정에서 접촉자의 여부 및 감염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해, 밀접 접촉자 및 감염 의심자에게 진단검사를 권유하는 알림을 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감염 가능성을 계산하고, 예를 들면, 위험도가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는 정부나 감염병 관리기관에 통보하고 의무검사를 받도록 하여 정부기관이 직접 관리하도록 하고, 위험도가 일정 수준 미만이면 해당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진단검사를 권유하는 알림을 보내는 등으로 자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정부 및 감염병 관리기관의 업무량을 감소하여 방역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사용자별로 계산된 감염 가능성을 각각의 사용자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개별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본인의 감염 가능성을 수시로 확인 가능하므로, 감염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을 해소하는 동시에, 자율적인 감염병 예방 및 관리가 가능해진다.
계속해서, 도 2를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1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10)의 구체적인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10)은, 먼저,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감염병 예방을 위한 빅데이터를 미리 구축하여 두고, 감염병이 유행하여 감염자가 발생하면, 기 구축된 빅데이터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참조하여,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단말기(11)에 내장된 GPS 일련번호 정보와 해당 기기의 사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감염자를 특정하고,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11)의 GPS의 이동에 관련된 정보와 이동통신 기지국 정보 및 이동통신사의 위치정보 등과 같은 각종 빅데이터 정보를 이용하여, 감염병의 전파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예상되는 예측일로부터 격리시까지 해당 감염자의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처리가 서버(12)를 통해 수행된다.
아울러, 서버(12)에서는, 감염자의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것과 함께 빅데이터에 포함된 각각의 사용자들의 이동경로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타인과의 접촉 여부 및 접촉자를 특정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각각의 접촉자에 대한 감염 가능성을 산출하는 처리가 수행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GPS 일련번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특정하고, 해당 GPS의 이동에 관련된 정보 및 이동통신사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이동경로를 추적하면서 접촉자를 확인하고 감염 가능성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역학조사 방식과 같이 대면조사를 통해 감염자의 신상이나 동선 등과 같은 개인정보를 별도로 수집하지 않고도 신속하고 정확한 역학조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또한, 서버(12)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감염자의 동선 추적중 접촉자가 확인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은 처리를 통해 각각의 접촉자에 대한 감염 가능성을 판단하고, 감염 위험도에 따라 정부나 감염병 관리기관에서 직접 관리해야할 감염 의심자와 자율적인 관리가 가능한 단순 접촉자로 분류하는 처리가 수행된다.
즉, 특정 접촉자의 감염 가능성이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인 경우는 정부나 감염병 관리기관에 통보하여 의무검사를 통해 직접 관리하도록 하고, 접촉자의 감염 가능성이 미리 정해진 기준 미만이면 해당 접촉자의 사용자 단말기(11)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진단검사를 권유하는 알림을 보내도록 구성됨으로써, 정부 및 감염병 관리기관의 업무량을 감소하고 방역작업의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한 서버(12)는, 각각의 사용자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또는, 사용자의 요청이 수신될때마다 사용자의 감염 가능성을 산출하고, 각각의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11)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본인의 감염 가능성을, 예를 들면, 퍼센트(%)와 같이, 시각적으로 알기 쉽게 표시하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각각의 개인에 대하여 자율적인 감염병 예방 및 관리가 가능해지고, 그것에 의해, 정부 및 감염병 관리기관의 업무량 감소와 방역작업의 효율 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11)에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예를 들면, 문자메시지(SMS, MMS) 등과 같이, 다른 알림수단을 통하여 알림을 보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감염 가능성을 산출하는 처리과정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더 상세하게는, 감염자와 접촉자의 감염 가능성을 산출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감염병의 종류와 전염범위 및 속도에 따라 미리 정해진 감염병 확산지수와, 감염자의 대인접촉에 따른 위험도를 수치화하기 위한 감염자의 대인접촉 지수를 이용하여 감염 가능성을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감염병 확산지수는 감염병의 전염범위와 속도 및 방식에 대한 차별적 대응을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질병관리본부의 감염병 분류체계에 따라 등급에 따른 점수를 설정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감염자의 대인접촉 지수는, 감염자와 접촉자간의 거리, 접촉장소의 공간 폐쇄성, 접촉시간, 접촉방식에 따라 각각 미리 정해진 거리지수, 공간지수, 시간지수 및 방식지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먼저, 거리지수는 감염자와 접촉자간의 거리(예 ; 1m, 2m, 3m 등)를 점수화하여 나타내는 것이며, 공간지수는 감염자와 접촉자가 접촉한 장소에 대한 공간 폐쇄성(예 ; 밀폐 10평 이하 에어컨 유, 밀폐 10평 이하, 밀폐 30평 이하, 밀폐 100평 이하, 밀폐 100평 이상, 밀폐되지 않은 공간 등)을 점수화하여 나타내는 것이고, 시간지수는 감염자와 접촉자의 접촉시간(예 ; 1분 미만, 5분 미만, 30분 미만, 1시간 미만, 1시간 이상 등)을 점수화하여 나타내는 것이며, 방식지수는 감염자와 접촉자의 접촉형태(예 ; 같은 공간에서 식사, 같은 공간에서 대화, 거리를 1m 이상 두고 지나침, 거리가 1m 이하로 지나침 등)를 점수화하여 나타내는 것이다.
아울러, 감염 가능성에 대한 계산은, 상기한 각각의 지수를 모두 곱하여 얻어진 값을 최대점수로 하고, 이러한 최대점수를 기준으로 일정 비율 이상 또는 이하에 따라 각각의 대응단계를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현재 유행중인 감염병의 확산지수가 7인 경우 감염 가능성의 최대점수는 7×10×10×10×10 = 70,000이고, 이것이 해당 감염병의 감염 가능성에 대한 최대점수(100%의 기준점수)가 되며, 이러한 최대점수를 기준으로, 예를 들면, 특정 접촉자의 점수가 50%(35,000점) 이상인 경우 정부의 감염병 관리기관을 통한 통보 및 의무검사를 시행하도록 하고, 30%(21,000점) 이상인 경우는 정부의 감염병 관리기관을 통한 통보 및 무료검사를 시행하며, 30%(21,000점) 미만의 경우는 정부의 감염병 관리기관에 통보하지 않고 자율관리를 시행하도록 하고, 이때,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경우는 본인의 감염 가능성을 알 수 있도록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1)에 감염 위험도를 표시하고 무료검사가 가능함을 알리며, 10%(3,000점) 이상일 경우 어플리케이션 설치자에 대하여 무료검사가 가능함을 알리는 등의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표 1]은 상기한 바와 같은 감염병 확산지수, 거리지수, 공간지수, 시간지수 및 방식지수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예를 나타낸 것이다.
[표 1]
Figure 112020124539921-pat00001
즉, [표 1]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 예를 들면, 감염병 확산지수가 7이고, 특정 접촉자가 감염자와 85m2의 밀폐된 공간에서 1시간 동안 1.5m 거리에서 마주보지 않고 떨어진 자리에서 식사를 한 경우를 가정하면, 이때의 거리지수, 공간지수, 시간지수 및 방식지수는 모두 각각 8이고, 따라서 감염 가능성 점수는 7×8×8×8×8 = 28,672점이 되며, 이는 기준점수(70,000) 대비 50%(35,000) 미만이고 30%(21,000점) 이상이므로, 의무검사 및 직접관리 대상이 되지는 않으나, 정부의 감염병 관리기관에 통보하는 검사대상이 된다.
여기서, 상기한 [표 1]에 나타낸 내용은 상기한 각각의 지수들의 설정값에 대한 하나의 예일 뿐으로, 본 발명은 반드시 이하의 [표 1]에 제시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에 유념해야 한다.
또한, 감염자의 역추적 방법은, 감염자 발생시 검사를 통하여 감염자의 전파 가능 일자를 계산하고, 확인된 일자에 대한 GPS 이동정보및 이동통신사의 위치 데이터를 통하여 활동을 분석하며, 이때, 예를 들면, 차량이동 0점, 자전거 이용 1점, 도보 2점, 식사 9점 등과 같이 위험도에 따라 10개의 단계로 분류하고, 접촉시간과 접촉거리 등을 계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계산에 의해 감염 가능자를 판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후, 판별된 감염 가능자의 감염 가능성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이 의무검사, 검사권유, 검사가능의 3단계 조치를 수행하고,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2차, 3차 감염자 및 감염 의심자를 찾아내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일련의 절차에서 감염 가능성이 누구를 통해 어디에서 발생되었는지 공개되지 않으므로 개인정보 노출의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은 감염 가능성 산출과정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감염 가능성 산출방법의 처리과정에 대한 하나의 예시를 나타낸 것일뿐, 본 발명은 반드시 상기한 실시예에 제시된 내용으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님에 유념해야 한다.
즉, 상기에 제시된 감염 가능성 산출과정에 있어서, 향후 연구가 지속되어 전문가들에 의해 보다 효과적인 기준이나 방법이 제시된다면 해당 내용을 이용하여 감염 가능성을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등,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하여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10)을 구현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상기한 구성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즉,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1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1)와 서버(12) 사이에서 통신을 중계하는 중간서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의 다른 구성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3에 나타낸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30)의 구성에 있어서, 먼저, 사용자 단말기(31)와 메인서버(32)는 기본적으로 도 1을 참조하여 상기한 사용자 단말기(11) 및 서버(12)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으나, 사용자 단말기(31)와 메인서버(32)가 서로 직접 통신을 하는 것이 아니라 중간서버(33)를 통하여 통신을 주고받도록 구성되는 점이 다르다.
즉, 중간서버(33)는 사용자 단말기(31)와 메인서버(32) 사이에서 통신을 중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자신의 할당영역(coverage)에 존재하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31)로부터 각종 정보를 메인서버(32)로 송신하고, 메인서버(32)로부터 수신된 각종 명령이나 정보를 해당 사용자 단말기(31)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31)와 메인서버(32) 사이에 중간서버(33)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넓은 지역에 대하여도 중간서버(33)를 추가하는 것으로 전체적인 시스템의 커버리지를 용이하게 확장할 수 있다.
또한, 중간서버(33)에서 메인서버(32)의 처리작업을 일정 부분 분담하도록 구성한다면, 메인서버(32)의 처리부하를 감소하여 전체적인 시스템의 처리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방법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을 이용한 감염병 예방방법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을 이용한 감염병 예방방법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을 이용한 감염병 예방방법은, 먼저, 감염자의 특정과 추적 및 감염병 예방을 위한 빅데이터를 생성하는 빅데이터 구축단계(S41)와, 구축된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감염자 발생시 감염자를 특정하는 감염자 특정단계(S42)와,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AI를 통해 분석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감염자의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추적단계(S43)와,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감염자의 이동경로에서 타인과의 접촉 여부를 판단하고 접촉자의 감염 가능성을 산출하는 감염 가능성 산출단계(S44) 및 접촉자의 감염 가능성이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인 경우는 정부나 감염병 관리기관에 통보하여 직접 관리하도록 하고, 상기 접촉자의 감염 가능성이 미리 정해진 기준 미만이면 해당 접촉자의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진단검사를 권유하는 알림을 보내는 처리가 수행되는 감염병 관리단계(S4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한 빅데이터 구축단계(S41)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11)에 내장된 GPS의 일련번호 정보와 해당 기기의 사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를 특정하기 위한 사용자정보 및 해당 GPS값의 이동에 관한 정보와, 이동통신 기지국 정보와,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11)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송되는 각종 정보 및 감염병의 분류체계에 따른 감염병 정보와 감염자 및 접촉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DB) 형태로 저장하는 것에 의해 감염병 예방을 위한 빅데이터를 평상시에 미리 구축하여 두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감염병 발생시 기 구축된 빅데이터의 내용을 참조하여 AI 분석을 통해 감염자 및 감염 가능성이 높은 감염 위험자를 판별하고 동선을 추적하며,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감염 위험도를 측정하여 알림을 보내는 등의 감염병 예방 및 확산방지를 위한 일련의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한 빅데이터 구축단계(S41)는, 서버의 외부에서 별도로 빅데이터가 구축되고,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서버와 빅데이터가 연결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감염자 특정단계(S42)는, 감염자 발생시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에 내장된 GPS의 일련번호 정보와 해당 기기의 사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감염자를 특정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한 추적단계(S43)는,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의 GPS의 이동에 관련된 정보와 이동통신 기지국 정보를 이용하여 AI를 통해 분석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감염 예측일로부터 격리시까지 감염자의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한 감염 가능성 산출단계(S44)는, 감염병의 종류와 전염범위 및 속도에 따라 미리 정해진 감염병 확산지수와, 감염자와 접촉자간의 거리, 접촉장소의 공간 폐쇄성, 접촉시간, 접촉방식에 따라 각각 미리 정해진 거리지수, 공간지수, 접촉시간지수 및 접촉방식지수를 이용하여 접촉자의 감염 가능성을 산출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감염병 관리단계(S45)는, 사용자 단말기에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서버에서 문자메시지(SMS, MMS)를 통하여 알림을 보내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을 이용한 감염병 예방방법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각각의 사용자에 대하여 감염 가능성을 산출하고,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본인의 감염 가능성을 표시하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자율관리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감염병 예방방법을 구현할 수 있으며, 그것에 의해, 감염병 발생시 GPS 일련번호만으로 감염자를 특정하고 동선을 추적하여 접촉자 및 감염 의심자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역학조사가 필요 없게 되고 개인정보 노출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 및 방법을 구현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면, 스마트폰과 같은 개인 휴대용 단말기에 내장된 GPS 정보 및 해당 GPS의 이동에 대한 데이터와, 이동통신 기지국 정보 및 감염병에 관련된 각종 정보를 포함하여 감염병 예방을 위한 빅데이터를 미리 구축하여 두고, 이러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감염병 발생시 AI를 이용한 빅데이터 정보분석을 통해 감염 가능성이 높은 밀접 접촉자 및 감염 의심자들을 정확하게 판별하여 통보하는 것에 의해 진단검사 등의 관리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됨으로써, GPS의 일련번호만으로 감염자의 특정 및 역학조사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별도의 역학조사를 통해 감염자의 신상이나 감염장소와 시간 및 이동동선 등과 같은 개인정보를 파악할 필요가 없고, 그것에 의해, 개인정보의 노출을 최소화하면서 감염병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별도의 역학조사를 통해 감염자의 신상이나 감염장소와 시간 및 이동동선 등과 같은 개인정보를 파악할 필요가 없으므로 개인정보의 노출을 최소화하면서 감염병의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됨으로써, 감염병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역학조사 과정에서 개인의 신상이나 이동경로 등과 같은 개인정보가 노출되어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하고, 동선공개로 인해 해당 동선에 포함된 업체나 자영업자들이 피해를 보게 되는 등의 부작용이 있었던 종래기술의 역학조사에 기반한 감염병 예방시스템 및 방법들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이 개인정보에 기반한 동선추적에 의존하지 않고 GPS 일련번호만으로 감염자 및 감염 가능성이 높은 접촉자를 선별할 수 있는 데 더하여, 접촉자나 감염 의심자의 감염 가능성을 수치화하여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일정 수준 이상이면 해당 접촉자나 감염 의심자들을 정부나 방역기관에서 관리하도록 통보하여 의무검사를 받도록 하고, 특정 수치 이하에서는 해당 접촉자나 감염 의심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개인용 단말기에 설치된 전용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통하여 진단검사를 권유하는 등으로 개별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됨으로써, 감염자의 신분이나 동선 등과 같은 개인정보의 노출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감염의 위험 정도에 따라 정부기관 및 개별적인 관리가 각각 가능하도록 이원화 하여 방역당국의 업무량을 감소시키고 방역작업의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 및 방법의 상세한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설계상의 필요 및 기타 다양한 요인에 따라 여러 가지 수정, 변경, 결합 및 대체 등이 가능한 것임은 당연한 일이라 하겠다.
10. 감염병 예방 시스템 11. 사용자 단말기
12. 서버 30. 감염병 예방 시스템
31. 사용자 단말기 32. 메인서버
33. 중간서버

Claims (10)

  1.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에 있어서,
    GPS를 포함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위치확인기능과, 서버 및 다른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통신기능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구동할 수 있는 정보처리기능이 구비되어 각각의 개인이 휴대하여 사용 가능한 개인 휴대용 단말기로 이루어지는 사용자 단말기; 및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을 주고받도록 구성되며, 감염병에 대한 정보 및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수집하여 감염자의 특정과 추적 및 감염병 예방을 위한 빅데이터를 미리 생성하여 두고, 감염병 발생시 상기 빅데이터의 내용에 근거하여 감염자 및 감염 가능성이 높은 감염 위험자를 판별하고 동선을 추적하며,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접촉자의 감염 가능성을 산출하고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감염 위험도를 측정하여 감염병 관리기관 및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알림을 보내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이루어지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서버는,
    감염병의 종류와 전염범위, 속도 및 방식에 따라 감염병의 위험도를 점수화하여 나타내는 감염병 확산지수, 감염자와 접촉자간의 거리를 점수화하여 나타내는 거리지수, 감염자와 접촉자가 접촉한 장소에 대한 공간 폐쇄성을 점수화하여 나타내는 공간지수, 감염자와 접촉자의 접촉시간을 점수화하여 나타내는 시간지수 및 감염자와 접촉자의 접촉형태를 점수화하여 나타내는 방식지수를 이용하여 상기 접촉자의 감염 가능성을 산출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내장된 GPS의 일련번호 정보와 해당 기기의 사자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를 특정하기 위한 사용자정보 및 상기 GPS의 이동에 관한 정보와, 이동통신 기지국 정보와,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송되는 각종 정보 및 감염병의 분류체계에 따른 감염병 정보와 감염자 및 접촉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DB) 형태로 저장하는 것에 의해 감염자의 특정과 추적 및 감염병 예방을 위한 빅데이터를 구축하여 두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빅데이터는,
    상기 서버의 외부에서 별도로 구축되고, 상기 서버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빅데이터의 내용을 참조하여, 감염자 발생시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내장된 GPS의 일련번호 정보와 해당 기기의 사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감염자를 특정하며, 상기 빅데이터의 내용을 참조하여,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GPS의 이동에 관련된 정보와 이동통신 기지국 정보를 이용하여 AI를 통해 분석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감염 예측일로부터 격리시까지 감염자의 이동경로를 추적하고,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타인과의 접촉 여부를 판단하여 접촉자의 감염 가능성을 산출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신상정보 및 개인정보를 별도로 수집하지 않고 GPS의 일련번호만으로 감염자의 특정 및 역학조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
  5. 삭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접촉자의 감염 가능성이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인 경우는 정부나 감염병 관리기관에 통보하여 직접 관리하도록 하고, 상기 접촉자의 감염 가능성이 미리 정해진 기준 미만이면 해당 접촉자의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진단검사를 권유하는 알림을 보내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정부 및 감염병 관리기관의 업무량을 감소하여 방역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각각의 사용자에 대하여 감염 가능성을 산출하고,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본인의 감염 가능성을 표시하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동작범위(coverage)를 가지고 상기 동작범위 내에 존재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상기 서버 사이에서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계서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
  9.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4항, 청구항 6항 내지 청구항 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을 이용한 감염병 예방방법에 있어서,
    상기 감염병 예방 시스템의 서버에서,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에 내장된 GPS의 일련번호 정보와 해당 기기의 사자 정보에 근거하여 사용자를 특정하기 위한 사용자정보 및 상기 GPS의 이동에 관한 정보와, 이동통신 기지국 정보와,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송되는 각종 정보 및 감염병의 분류체계에 따른 감염병 정보와 감염자 및 접촉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각종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DB) 형태로 저장하는 것에 의해 감염자의 특정과 추적 및 감염병 예방을 위한 빅데이터를 구축하여 두는 처리가 수행되는 빅데이터 구축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감염자 발생시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내장된 GPS의 일련번호 정보와 해당 기기의 사용자 정보에 근거하여 감염자를 특정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감염자 특정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각각의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GPS의 이동에 관련된 정보와 이동통신 기지국 정보를 이용하여 AI를 통해 분석을 수행하는 것에 의해 감염 예측일로부터 격리시까지 감염자의 이동경로를 추적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추적단계;
    상기 서버에서,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상기 감염자의 이동경로에서 타인과의 접촉 여부를 판단하고 접촉자의 감염 가능성을 산출하는 감염 가능성 산출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접촉자의 감염 가능성이 미리 정해진 기준 이상인 경우는 정부나 감염병 관리기관에 통보하여 직접 관리하도록 하고, 상기 접촉자의 감염 가능성이 미리 정해진 기준 미만이면 해당 접촉자의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진단검사를 권유하는 알림을 보내는 처리가 수행되는 감염병 관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병 예방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서, 각각의 사용자에 대하여 감염 가능성을 산출하고,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본인의 감염 가능성을 표시하도록 하는 처리가 수행되는 자율관리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염병 예방방법.
KR1020200155910A 2020-11-19 2020-11-19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 KR102502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910A KR102502852B1 (ko) 2020-11-19 2020-11-19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910A KR102502852B1 (ko) 2020-11-19 2020-11-19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767A KR20220068767A (ko) 2022-05-26
KR102502852B1 true KR102502852B1 (ko) 2023-02-24

Family

ID=81808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5910A KR102502852B1 (ko) 2020-11-19 2020-11-19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285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98717A (ja) * 2011-03-18 2012-10-18 Fujitsu Ltd 感染通知方法及び感染通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3847B1 (ko) * 2016-07-21 2018-07-04 (주)인프라칩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병원내 환자동선 및 접촉자 추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96443A (ko) 2020-07-25 2020-08-12 강소영 Qr코드를 이용한 코로나19 동선 파악 취득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98717A (ja) * 2011-03-18 2012-10-18 Fujitsu Ltd 感染通知方法及び感染通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767A (ko) 2022-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hayvat et al. Recognizing suspect and predicting the spread of contagion based on mobile phone location data (counteract): a system of identifying covid-19 infectious and hazardous sites, detecting disease outbreaks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edge computing, and artificial intelligence
US91417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and controlling epidemics
JP7422308B2 (ja) 情報提供方法、サーバ、音声認識装置、及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US11818639B2 (en) Emergency location analysis system
Sareen et al. IoT-based cloud framework to control Ebola virus outbreak
Maccari et al. Do we need a contact tracing app?
KR20170053145A (ko) 전염병 예방과 확산 방지를 위한 전염병 추적 관리 시스템
KR102166627B1 (ko) 안전플랫폼을 활용한 위치기반의 감염질병 접촉자 판별 및 알림 서비스 제공방법
CN114153343B (zh) 一种健康码显示方法及电子设备
EP3051511B1 (en) Mobile terminal device, call-to-action system, call-to-action method, call-to-action program, and safety verification system
CN105740615A (zh) 利用手机轨迹追踪传染源和预测传染病流行趋势的方法
CN112185582A (zh) 一种基于主动报送数据的传染病防控方法和系统
US1087850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utilizing telematics data
CN105453069A (zh) 情景众包响应系统
KR102232485B1 (ko) 분산형 동선 추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JP2013222305A (ja) 緊急時情報管理システム
JP2024023949A (ja) 情報提供方法、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マルチデバイス
CN112002431A (zh) 一种利用电磁信号发现特定用户的密切接触者的方法及系统
WO202208747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lligent and privacy-centric contact tracing
Agarwal et al. Infection risk score: Identifying the risk of infection propagation based on human contact
Hsaini et al. Contact-tracing approaches to fight COVID-19 pandemic: limits and ethical challenges
KR102502852B1 (ko) 빅데이터의 ai 분석을 통해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한 감염병 예방 시스템
Rafikasari Formulating Indonesia’s Covid-19 Policy based on South Korea’s Experience
KR102216060B1 (ko) 가상 데이터를 이용한 감염병 의심대상자 모니터링 검증 시스템
KR20200067654A (ko) 실종사고 초동대응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