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0336B1 - 식기 세척기의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의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0336B1
KR102360336B1 KR1020190080047A KR20190080047A KR102360336B1 KR 102360336 B1 KR102360336 B1 KR 102360336B1 KR 1020190080047 A KR1020190080047 A KR 1020190080047A KR 20190080047 A KR20190080047 A KR 20190080047A KR 102360336 B1 KR102360336 B1 KR 102360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
curved
loading
dishes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0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4131A (ko
Inventor
고명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0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0336B1/ko
Priority to EP20183643.4A priority patent/EP3766402A1/en
Priority to AU2020204432A priority patent/AU2020204432B2/en
Priority to US16/919,417 priority patent/US11406244B2/en
Publication of KR20210004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4131A/ko
Priority to KR1020220011188A priority patent/KR1025411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1Baskets, e.g. for conveyor-type, in-sink type or hood-type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2Cutlery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3Racks ; Baskets with fold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4Arrangements for changing the height of racks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세척 공간을 형성하는 세척조와, 세척조 내부에 인출가능하게 구비되며 식기가 수납되는 수납부과, 수납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부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수납부는 식기가 적재되는 적재공간을 형성하는 외곽 리브와, 외곽 리브 내측에 형성되며 식기가 적재되는 적재면을 포함하며 적재면은 외곽 리브의 일방향으로 연장 배치되는 다수의 하부 리브 및 하부 리브에 대하여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며 하부 리브 보다 높은 위치로 형성되는 상부 리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식기 세척기의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RACK FOR DISHWASHER AND DISHWASH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납부에 및 이를 이용한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 세척기는 수납된 식기에 세척수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세척한 후, 건조시키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식기 세척기는 식기가 수납되는 터브 내부에 세척수가 고압으로 분사되고, 분사되는 세척수가 식기에 닿아서 식기 표면에 묻어있는 음식물 찌꺼기 등의 이물이 세척되도록 작동한다.
이러한 식기 세척기는 세척수에 포함된 음식물 찌꺼기를 필터에 의해 걸러내어 사용된 세척수를 다시 재활용할 수 있고, 세척수에 세제를 풀어 공급함으로써, 음식물 찌꺼기가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최근에는 히터에 의해 세척수의 온도를 높이거나, 스팀을 발생시켜 세척 수행의 효율을 높이는 식기 세척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며 식기의 세척공간을 형성하는 세척조와, 세척조의 전방에 위치하여 세척조를 개폐하는 도어와, 세척조의 하부에 마련되어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공급, 집수, 순환, 배수하는 구동부와, 구동부에 의해 공급되는 세척수를 식기로 분사하는 하부/상부/탑 분사부와, 세척조의 내부 하부/상부/탑 분사부사이에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며 식기의 종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재될 수 있는 제 하부/상부/탑 수납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각 수납부는 각각 하부에 다수의 이동 롤러를 구비하고 있으며 세척조의 내측에 구비되는 별도의 가이드 레일에 의해 안내되어 인출 및 수납가능하게 마련된
한편, 상술한 하부 수납부는 하부 분사부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비교적 큰 사이즈의 식기가 안착되며, 상부 수납부는 상부 분사부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비교적 작은 사이즈의 식기가 안착되고, 탑 수납부는 탑 분사부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식기보다 작은 사이즈의 식사 도구(예를 들어 수저, 나이프 등) 및 요리 도구(예를 들어 국자, 거품기 등)가 안착된다.
한편, 사용자가 식기 세척기를 이용하여 식기 등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식기 세척기의 도어를 열고 세척조 내부의 수납부 중 하나를 밖으로 인출하고, 인출된 수납부에 식기를 수납하고, 인출된 수납부를 식기 세척기의 세척조 내부로 밀어 넣은 후, 도어를 닫아 식기를 수납한다.
이후, 식기 세척기를 작동시키면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상부/하부/탑 분사부로 세척수가 개별 또는 동시 공급되면서 하부/상부/탑 수납부에 적재된 식기의 세척 및 건조가 진행된다.
여기서, 탑 수납부의 경우 비교적 크기가 작은 식기(예를 들어 식사 도구 등)의 적재 및 세척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식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매우 좁은 형태의 격자형 베이스를 갖고 있다.
이러한, 탑 수납부의 격자형 베이스의 경우 식기를 세척한 세척수가 잔류하게 되며, 격자형 베이스에 잔류하는 세척수의 경우 하부에 위치하는 상부/하부 수납부에 낙하하여 식기의 건조 상태가 불완전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상부/탑 수납부에 잔류하는 세척수가 하부에 위치하는 다른 수납부에 적재된 식기에 낙하되어 건조상태가 불량해 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납부에 잔류하는 세척수를 원활히 배수할 수 있는 수납부의 설계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식기 수납부의 배수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식기가 적재되는 수납부의 형상을 변경한 식기 세척기(미국 공개특허번호 제2004/0031508호, 2004.2.19 공개,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가 공개되었다.
여기서, 특허문헌 1의 수납부는 다수의 리브가 교차되는 형태로 형성되며, 각각의 리브의 배수성 및 건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각 리브의 상부를 길이방향 양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여 리브로 떨어지는 물방울이 리브의 하부 또는 수납부의 하부로 쉽게 흘러내리게 하였다.
하지만, 특허문헌 1의 경우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리브의 교차점에서 세척수가 원활히 배수되지 않고 잔류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리브가 교차되는 지점에 있어 리브가 동일한 높이로 교차되어 인접하는 리브 사이에 세척수가 잔류할 수 있는 면적이 커지게 되어 세척수가 원활히 배수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미국 공개특허번호 제2004/0031508호, 2004.2.19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식기 세척기의 식기 세척시 수납부의 배수성능을 향상시켜 식기의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식기 세척기의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식기 세척기의 수납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수납부 자체에 세척수가 잔류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의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식기 세척기의 수납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수납부에 적재되는 식기와 수납부 사이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여 식기와 수납부 사이에 세척수가 잔류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의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식기 세척기의 적재부에 있어 적재공간을 형성하도록 교차되는 다수의 리브들의 교차 높이를 다르게 하여 리브의 교차지점에서 세척수가 잔류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식기 세척기의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식기 세척기의 적재부에 있어 적재공간을 형성하도록 교차되는 다수의 리브들의 형상을 개선하여 리브에 잔류하는 세척수가 보다 원활하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한 식기 세척기의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수납부는 식기가 적재되는 적재공간을 형성하는 외곽 리브와, 외곽 리브 내측에 형성되며 식기가 적재되는 적재면을 포함하며, 적재면은 외곽 리브의 일방향으로 연장 배치되는 다수의 하부 리브 및 하부 리브에 대하여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며 하부 리브 보다 높은 위치로 형성되는 상부 리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납부는 하부 리브와 상부 리브가 서로 다른 높이로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하부 리브와 상부 리브의 높이 차이에 의해 각 리브 사이의 교차점에 잔류세척수의 물방울이 응집력에 의해 맺힐 수 있는 면적을 축소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리브와 상부 리브의 형성 높이를 다르게 함으로써 세척수의 물방울이 동일 높이에서 응집력을 형성할 수 있는 면적을 줄여 하부 리브와 상부 리브의 교차지점에서 세척수의 물방울이 쉽게 탈락될 수 있다.
한편, 하부 리브는 상부를 형성하며, 양측이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상부 경사부 및 상부 경사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양측 하부가 중심측으로 만곡되는 만곡면이 형성되는 하부 만곡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부 경사부 및 하부 만곡부는 상부에서 낙하하는 세척수가 상부 경사부의 경사면 및 하부 만곡부의 만곡면을 따라 흘러내리도록 하여 세척수의 배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하부 리브의 하부 만곡부로 흘러내리는 세척수는 하부 만곡부의 만곡면 형상에 의해 하부 리브의 하부로 쉽게 흘러내림과 동시에 하부 리브의 연장방향을 따라 길게 확산되면서 표면적이 증가되어 보다 빠르게 건조될 수 있다.
또한, 상부 리브는 하부 만곡부의 하부에 교차되며, 양측이 하향되어 만곡되는 만곡면이 형성되는 상부 만곡부 및 상부 만곡부 하부에 위치하며 양측 하부가 중심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하부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부 만곡부 및 하부 경사부는 상부에서 낙하하는 세척수가 상부 만곡부의 만곡면 및 하부 경사부의 경사면을 따라 흘러내리도록 하여 세척수의 배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하부 리브의 하부 만곡부 및 상부 리브의 상부 만곡부의 경우 볼록한 형태의 만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 평면형태의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만곡부 및 상부 만곡부가 곡면으로 형성될 경우 각 리브의 단면적을 증가시켜 각 리브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각 만곡부를 따라 흘러내리는 세척수가 흘러내리는 각도를 변화시켜 세척수가 보다 원활히 흘러내리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 만곡부 및 상부 만곡부의 경우 각 리브의 중심부에서 하부 또는 상부로 연장됨에 따라 만곡 형상에 의해 세척수가 흘러내리는 각도가 변화하게 되며 이러한 각 만곡부의 각도변화는 리브와 세척수 사이의 부착력을 변화시켜 세척수가 보다 빠르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외곽 리브에 연결되는 상부 리브 또는 하부 리브 사이에는 적재공간을 중심으로 하여 만곡되는 리브 연결부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리브 연결부는 상부 리브 또는 하부 리브의 상면에 형성되며 적재공간을 중심으로 하여 만곡되는 상측 만곡부를 구비하며, 상측 만곡부는 하부 리브의 상부에 잔류하는 세척수가 만곡면을 따라 하부 리브의 상부 경사부로 흘러 내리도록 하여 세척수의 배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 리브 또는 하부 리브의 하면에 형성되며 적재공간을 중심으로 하여 만곡되는 하측 만곡부가 더 형성되며, 하측 만곡부는 하부 리브와 외곽 리브 사이에 잔류하는 세척수가 하부 리브의 하부 만곡부로 흘러 내리도록 하여 세척수의 배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한편, 상부 리브 중 적어도 하나는 상부 리브 보다 더 높은 높이로 형성되는 가이드 리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가이드 리브는 식기들 중 비교적 크기가 큰 식기가 상부 리브의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동 및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리브 중 적어도 하나는 상면에 다수의 홈이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요철부가 형성되는 지지리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지지리브는 적재되는 식기들 중 비교적 크기가 작은 식기가 상부 리브의 형성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 및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리브 중 적어도 하나는 상면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다수의 분리돌기가 형성되는 분리리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분리 리브는 수저, 젓가락 등과 같은 식기가 겹치지 않도록 적재함과 동시에 식기들의 이동 및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외과 리브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구획하는 중앙분리 리브를 더 구비하며, 중앙분리 리브에 의해 구획되는 일측 공간에 외각 리브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한쌍의 지지 링크에 의해 매달린 상태로 결합되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변공간 적재부 및 외곽 리브에 구비되어 가변공간 적재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가변공간 적재부는 각 슬라이드 돌기가 삽입되고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는 전방 경사 슬롯 및 후방 경사 슬롯이 구비되며, 승강부는 외곽 리브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승강 레버, 외곽 리브의 내측에서 전방 경사 슬롯 및 후방 경사 슬롯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연장부의 단부에서 각 경사 슬롯에 삽입되는 전방 슬라이드 돌기 및 후방 슬라이드 돌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적재되는 식기의 형상 크기에 따라 식기의 적재공간을 가변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세척 공간을 형성하는 세척조와, 세척조 내부에 인출가능하게 구비되며 식기가 수납되는 수납부과, 수납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부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수납부는 식기가 적재되는 적재공간을 형성하는 외곽 리브; 외곽 리브 내측에 형성되며 식기가 적재되는 적재면;을 포함하는 수납부에 있어서, 적재면은 외곽 리브의 일방향으로 연장 배치되는 다수의 하부 리브, 및 하부 리브에 대하여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며 하부 리브 보다 높은 위치로 형성되는 상부 리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납부는 하부 리브와 상부 리브가 서로 다른 높이로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하부 리브와 상부 리브의 높이 차이에 의해 각 리브 사이의 교차점에 잔류세척수의 물방울이 응집력에 의해 맺힐 수 있는 면적을 축소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리브와 상부 리브의 형성 높이를 다르게 함으로써 세척수의 물방울이 동일 높이에서 응집력을 형성할 수 있는 면적을 줄여 하부 리브와 상부 리브의 교차지점에서 세척수의 물방울이 쉽게 탈락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리브는 상부를 형성하며, 양측이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상부 경사부 및 상부 경사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양측 하부가 중심측으로 만곡되는 만곡면이 형성되는 하부 만곡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부 경사부 및 하부 만곡부는 상부에서 낙하하는 세척수가 상부 경사부의 경사면 및 하부 만곡부의 만곡면을 따라 흘러 내리도록 하여 세척수의 배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 리브는 하부 만곡부의 하부에 교차되며, 양측이 하향되어 만곡되는 만곡면이 형성되는 상부 만곡부 및 상부 만곡부 하부에 위치하며 양측 하부가 중심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하부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부 만곡부 및 하부 경사부는 상부에서 낙하하는 세척수가 상부 만곡부의 만곡면 및 하부 경사부의 경사면을 따라 흘러 내리도록 하여 세척수의 배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세척기에 따르면 식기 세척기에서의 세척을 위하여 식기를 적재할 때 적재되는 식기의 형상 크기에 따라 식기의 적재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세척기에 따르면, 식기 세척기의 식기 세척시 수납부의 배수성능을 향상시켜 식기의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세척기에 따르면, 식기 세척기의 수납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수납부 자체에 세척수가 잔류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세척기에 따르면, 식기 세척기의 수납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수납부에 적재되는 식기와 수납부 사이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하여 식기와 수납부 사이에 세척수가 잔류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내부 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서 제 3수납부의 제 1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제 3수납부의 제 1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적재면의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을 타나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B-B'선을 타나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C-C'선을 타나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서 제 3수납부의 제 2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제 3수납부의 제 2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각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에 정의된 각각의 명칭들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 될 수 있다.
먼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내부 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1 내지 조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100)는 외형을 하는 케이스(120)와, 케이스(120)의 내부에 설치되며 식기가 세척되는 세척 공간을 형성하며 전면이 개방되는 세척조(130)와, 세척조(130)의 개방면을 개폐하는 도어(122)와, 세척조(130)의 하부에 위치하며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공급, 집수, 순환, 배수하는 구동부(140)와, 세척조(13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식기가 안착되는 다수의 수납부(150, 160, 200)와, 각 수납부(150, 160, 200)에 각각 인접하여 설치되며 식기의 세척을 위한 세척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부(132, 133, 134)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술한 식기 세척기(100)의 구조 중 세척조(130), 구동부(140), 각 분사부의 경우 종래 기술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에 의해 구현 될 수 있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다수의 수납부(150, 160, 200)는 세척조(130)의 내부에서 세척조(130)의 개방측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각 수납부는 세척조(130)의 하부에 위치하며 비교적 큰 식기가 수납되는 제 1수납부(150)와, 제 1수납부(150) 상측에 위치하고 교적 작은 사이즈의 식기가 수납되는 제 2수납부(160)와, 세척조(130)의 상부에 위치하고 식기 등이 수납되는 제 3수납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분사부(132, 133, 134)는 각 수납부(150, 160, 200)에 수납된 식기 등에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각 분사부(132, 133, 134)는 세척조(130)의 하부에 위치하여 제 1수납부(150)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하부 분사부(134)와, 제 1수납부(150)와 제 2수납부(160) 사이에 위치하며 제 1, 2수납부(150, 160)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상부 분사부(133)와, 세척조(130)의 상부에 위치하며 제 3수납부(200) 또는 제 2수납부(160)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탑 분사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세척조(130)의 양측벽에는 제 1, 2, 3수납부(150, 160, 200)의 인출 및 투입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미도시)이 구비되며, 가이드 레일은 제 1수납부(150)의 인출 및 투입을 안내하기 위한 단순 레일 형태의 고정 가이드 레일(미도시) 및 제 2, 3수납부(160, 200)의 인출 및 수납을 안내하며 제 2, 3수납부(160, 200)의 인출에 따라 인출 거리가 증가되는 신축 가이드 레일(미도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어(122)는 상술한 세척조(130)의 전면에 형성된 개방면을 개폐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도어(122)는 통상적으로 개방면 하부에 도어(122)의 개폐를 위한 힌지부(미도시)가 구비되며 힌지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도어(122)가 개방된다.
여기서, 도어(122)의 외측면에는 도어(122)를 개방하기 위한 손잡이(124) 및 식기 세척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패널(123)이 구비된다. 도어(122)의 내측면은 도어(122)의 폐쇄시 세척조(130)의 일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도어(122)의 개방시 제 1수납부(150)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면을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도어(122)가 개방될 경우 도어(122)의 안착면은 제 1수납부(150)가 안내되는 가이드 레일에 연장되는 수평면 상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원 발명은 제 3수납부(200) 및 이를 이용하는 식기 세척기(100) 에 관련되는 것으로 식기 세척기(100) 의 일반적인 구성 및 제 1, 2수납부(150, 160)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주요부인 제 3수납부(200)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서 제 3수납부의 제 1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제 3수납부의 제 1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 3수납부(200)는 내측에 고정된 적재공간을 갖는 고정공간 적재부(230) 및 가변되는 적재공간을 갖는 가변공간 적재부(240)를 구비한다.
여기서 고정공간 적재부(230)의 경우 제 3수납부(200)의 적재되는 일반적인 크기의 식기가 적재되는 것이며, 가변공간 적재부(240)의 경우 고정공간 적재부(230)에 적재될 수 있는 크기의 식기 또는 제 1, 2수납부(150, 160)에 적재될 경우 제 1, 2수납부(150, 160)의 적재공간을 낭비하거나, 고정공간 적재부(230)에 적재되기 어려운 크기의 식기를 선택적으로 적재 가능하다.
이러한 제 3수납부(200)는 고정공간 적재부(230) 또는 가변공간 적재부(240)의 외곽을 형성하는 외곽 리브(210)와, 외곽 리브(210) 내측에 구비되는 고정공간 적재부(230) 및 가변공간 적재부(240)를 구획하는 중앙 분리 리브(220)와, 가변공간 적재부(240)를 승강시켜 적재공간을 가변시키는 승강부(250)와, 제 3수납부(200)가 세척조(130)에서 인출 가능하도록 신축 가이드레일에 지지되는 이동 롤러부(260)를 구비한다.
여기서, 외곽 리브(210)는 제 3수납부(200)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세척조(130)의 내측 크기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며, 제 3수납부(200)의 강도 유지를 위하여 내부가 빈 함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외곽 리브(210)의 전방부에는 제 3수납부(200)를 수납 및 인출하기 위한 손잡이(212)가 형성된다. 또한, 일측 하부에는 후술할 가변공간 적재부(240)의 전방 지지 링크(248a) 및 후방 지지 링크(248b)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전방 링크 회동부(214a) 및 제 1후방 링크 회동부(214b)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 1전방 링크 회동부(214a) 및 제 1후방 링크 회동부(214b)는 가변공간 적재부(240)의 설명시 상세히 하도록 한다.
한편, 외곽 리브(210)의 양측 후방에는 세척조(130)에 구비되는 신축 가이드 레일에 지지되는 이동 롤러부(260)가 구비되고, 이동 롤러부(260)는 신축 가이드 레일의 상부에 지지되는 상부 이동 롤러(262)와 신축 가이드 레일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이동 롤러(264)를 구비한다.
상기 중앙 분리 리브(220)는 외곽 리브(210)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의 중앙부를 구획하여 일측은 가변공간 적재부(240)로 사용하고, 타측은 고정공간 적재부(230)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중앙 분리 리브(220)의 외곽 리브(210)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을 제 3수납부(200)의 인출 방향 또는 인출 방향에 직교한 방향으로 구획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중앙 분리 리브(220)가 외곽 리브(21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을 제 3수납부(200)의 인출방향으로 연장되어 구획하는 것을 일예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중앙 분리 리브의 하부에는 외곽 리브의 제 1전방 링크 회동부(214a) 및 제 1후방 링크 회동부(214b)에 대향되는 위치로 제 2전방 링크 회동부(222a) 및 제 2후방 링크 회동부(222b)가 형성된다. 가변공간 적재부(240)는 제 1전방 링크 회동부(214a) 및 제 1후방 링크 회동부(214b)와 제 2전방 링크 회동부(222a) 및 제 2후방 링크 회동부(222b)사이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전방 지지 링크(248a) 및 후방 지지 링크(248b)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고정공간 적재부(230)는 중앙 분리 리브(220)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 중 타측(또는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공간 적재부(230)는 외곽 리브(210)와 중앙 분리 리브(220) 사이의 하면에 식기가 안착될 수 있도록 고정 적재면(300a)이 형성된다.
상기 가변공간 적재부(240)는 중앙 분리 리브(220)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 중 일측(또는 타측)에 외곽 리브(210) 및 중앙 분리 리브(220)와 분리되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가변공간 적재부(240)는 식기가 적재되는 면을 형성하는 가변 적재면(300b)과, 가변 적재면(300b)의 외측면에서 돌출되어 식기가 적재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가이드 리브(241)와, 외곽 리브(210)의 제 1전방/제 1후방 링크 회동부(214a, 214b)와 제 2전방/제 2후방 링크 회동부(222a, 222b)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가변 적재면(300b)의 하부를 지지하는 전방 지지 링크(248a) 및 후방 지지 링크(248b)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고정공간 적재부(230)의 고정 적재면(300a) 및 가변공간 적재부(240)의 가변 적재면(300b)은 다수의 하부 리브(310) 및 다수의 상부 리브(320)가 교차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아래에서 별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가변 적재면(300b)의 하면에는 전방 지지 링크(248a) 및 후방 지지 링크(248b)가 삽입되기 위한 전방 링크 삽입 슬롯(247a) 및 후방 링크 삽입 슬롯(247b)이 형성되고, 가변공간 적재부(240)는 전방 지지 링크(248a) 및 후방 지지 링크(248b)에 의해 진자 운동이 가능한 형태로 지지된다.
즉, 가변공간 적재부는 전방 지지 링크(248a) 및 후방 지지 링크(248b)가 수평에 가까워 질수록 가변 적재면(300b)의 위치가 상승하게 되고, 전방 지지 링크(248a) 및 후방 지지 링크(248b)가 수직에 가까워 질수록 가변 적재면(300b)의 위치가 하강하게 되어 가변공간 적재부(240)의 적재공간이 가변될 수 있다.
또한, 가변공간 적재부(240)의 가이드 리브(241) 일측에는 소정의 경사로 나라하게 기울어진 전방 경사 슬롯(245a) 및 후방 경사 슬롯(245b)이 형성된다. 전방 경사 슬롯(245a) 및 후방 경사 슬롯(245b)은 후술할 승강부(250)에 결합되어 승강부(250)의 이동에 따라 슬라이드 되어 가변공간 적재부(240)를 승강시킨다.
한편, 전방 경사 슬롯(245a) 및 후방 경사 슬롯(245b)의 하단부에는 승강부(250)에 거치되기 위한 전방 거치홈(246a) 및 후방 거치홈(246b)이 형성된다. 전방 경사 슬롯(245a), 후방 경사 슬롯(245b), 전방 거치홈(246a), 후방 거치홈(246b)에 대해서는 승강부(250)의 설명시 상세히 하도록 한다.
상기 승강부(250)는 제 3수납부(200)의 가변공간 적재부(240)를 외곽 리브(210) 및 중앙 분리 리브(220)에 대하여 승강시켜 가변공간 적재부(240)의 적재공간(구체적으로는 적재 깊이)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승강부(250)는 사용자가 승강부(250)를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 레버(252)와, 승강 레버(252)에서 가변공간 적재부(240)의 전방 경사 슬롯(245a)으로 연장되는 전방 연장부(254a), 승강 레버(252)에서 가변공간 적재부(240)의 후방 경사 슬롯(245b)으로 연장되는 후방 연장부(254b), 전방 연장부(254a)에서 돌출되어 전방 경사 슬롯(245a)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전방 슬라이드 돌기(255a) 및 후방 연장부(254b)에서 돌출되어 후방 경사 슬롯(245b)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후방 슬라이드 돌기(255b)가 구비된다.
여기서, 승강 레버(252), 전방/후방 연장부(254a, 254b), 전방/후방 슬라이드 돌기(255a, 255b)는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각 구성부가 분리될 수 있도록 별도의 구성부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승강부(250)는 외곽 리브(210)의 강도 보강을 위하여 형성되는 외곽 리브(210)의 내측 공간에 위치하며 승강 레버(252)는 외곽 리브(210)를 관통하여 외곽 리브(210)의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전방 연장부(254a)의 경우 외곽 리브(210)의 내측 공간에서 전방 경사 슬롯(245a)측으로 연장되며 전방 연장부(254a)의 단부에는 전방 경사 슬롯(245a)에 삽입되는 전방 슬라이드 돌기(255a)가 형성된다.
또한, 후방 연장부(254b)의 경우 외곽 리브(210)의 내측 공간에서 후방 경사 슬롯(245b)측으로 연장되며 후방 연장부(254b)의 단부에는 후방 경사 슬롯(245b)에 삽입되는 후방 슬라이드 돌기(255b)가 형성된다.
한편, 가변공간 적재부(240)에 형성되는 전방 경사 슬롯(245a) 및 후방 경사 슬롯(245b)은 승강부(250)의 이동방향을 따라 상향되는 경사로 형성되며, 전방 경사 슬롯(245a) 및 후방 경사 슬롯(245b)의 하단부에는 전방 슬라이드 돌기(255a) 및 후방 슬라이드 돌기(255b)가 거치될 수 있는 전방 거치홈(246a) 및 후방 거치홈(246b)이 각각 형성된다.
이에 따라 승강부(250)가 제 3수납부(200)의 전방측으로 이동될 경우 승강부(250)의 전방 슬라이드 돌기(255a) 및 후방 슬라이드 돌기(255b)는 가변공간 적재부(240)의 전방 거치홈(246a) 및 후방 거치홈(246b)을 거치하여 가변공간 적재부(240)가 상승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하고, 승강부(250)가 제 3수납부(200)의 후방측으로 이동될 경우 전방 슬라이드 돌기(255a) 및 후방 슬라이드 돌기(255b)가 전방 거치홈(246a) 및 후방 거치홈(246b)에서 이탈되어 전방 경사 슬롯(245a) 및 후방 경사 슬롯(245b)을 따라 이동된다.
이에 전방 슬라이드 돌기(255a) 및 후방 슬라이드 돌기(255b)가 이동됨에 따라 가변공간 적재부(240)의 전방 경사 슬롯(245a) 및 후방 경사 슬롯(245b)이 가압되어 가변공간 적재부(240)가 승강부(250), 외곽 리브(210), 중앙 분리 리브(220)에 대하여 하강되면서 가변공간 적재부의 적재 깊이가 깊어져 적재공간을 확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외곽 리브(210), 중앙 분리 리브(220) 및 고정공간 적재부(230)의 경우 사출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중앙 분리 리브(220) 및 고정공간 적재부(230)는 생략될 수 있다. 즉, 제 3수납부(200)를 형성하는 외곽 리브(210)의 내측 공간 전체를 가변공간 적재부(240)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고정공간 적재부(230)에 형성되는 고정 적재면(300a) 및 가변공간 적재부(240)에 형성되는 가변 적재면(300b)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고정 적재면(300a) 및 가변 적재면(300b)의 경우 서로 교차되는 다수의 리브(310, 320)들에 의해 형성되며, 각 리브(310, 320)들 사이에는 각각 세척수가 배수되기 위한 다수의 연통홀(370)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 적재면(300a) 및 가변 적재면(300b)의 경우 매우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는 고정공간 적재부(230)에 형성되는 고정 적재면(300a)을 대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하지만 가변공간 적재부(240)의 가변 적재면(300b)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가변 적재면(300b)이 고정 적재면(300a)을 형성하는 구성을 포함한다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적재면의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선을 타나낸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B-B'선을 타나낸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5의 C-C'선을 타나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적재면(300a)은 고정공간 적재부(230)의 일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하부 리브(310)들과, 하부 리브(310)들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하부 리브(310)들에 대하여 다른 높이로 위치되는 다수의 상부 리브(320)들을 구비한다. 여기서, 서로 교차되어 배치되는 하부 리브(310)들과 상부 리브(320)들 사이에는 세척수가 배수되기 위한 다수의 연통홀(370)이 형성된다.
여기서, 하부 리브(310)와 상부 리브(320)의 경우 서로 다른 높이로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하부 리브(310)와 상부 리브(320)의 높이 차이는 각 리브(310, 320) 사이의 교차점에 잔류세척수의 물방울이 응집력에 의해 맺힐 수 있는 면적을 축소하기 위한 것이다.
즉, 하부 리브(310)와 상부 리브(320)의 형성 높이를 다르게 하여 교차됨으로써 세척수의 물방울이 동일 높이에서 응집력을 형성할 수 있는 면적을 줄임으로써 하부 리브(310)와 상부 리브(320)의 교차지점에서 세척수의 물방울이 쉽게 탈락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부 리브(310)와 상부 리브(320)가 동일한 높이로 교차될 경우 각 리브(310, 320)의 하부를 따라 흐르는 세척수는 각 리브(310, 320)가 교차되는 모서리 부분과, 하부 지점에서 표면장력에 의해 구형의 물방울로 맺히게 된다. 여기서, 각 리브(310, 320)의 교차지점 하부에 맺히는 구형의 물방울의 경우 표면적이 가장 작은 형태로 세척수의 건조에 가장 좋지 않은 형태일 수 있다.
한편, 하부 리브(310)와 상부 리브(320)가 서로 다른 높이로 교차하게 될 경우 상부 리브(320)의 하부를 따라 흐르는 세척수는 자중에 의해 하부 리브(310)의 하부로 흐르게 되며, 하부 리브(310)의 하부로 흐르는 세척수는 하부 리브(310)의 연장 길이 방향으로 길게 퍼지는 형태로 맺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부 리브(310)의 하면을 따라 세척수 물방울이 길게 퍼지는 형태로 맺히게 될 경우 구형의 물방물보다 표면적이 증가되어 구형의 물방울보다 세척수의 건조가 유리할 수 있다.
한편, 다수의 상부 리브(320)들 중에 적어도 하나 이상은 식기의 세척시 또는 제 3수납부(200)의 인입 및 인출시 고정 적재면(300a)에 안착된 식기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 리브와 다른 형상을 갖는 가이드 리브(340), 지지리브(350) 또는 분리 리브(360)가 선택적으로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리브(340)는 고정 적재면(300a)에 안착되는 식기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 리브(320)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 리브(340)는 식기가 상부 리브(320)의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동 및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리브(340)의 경우 고정 적재면(300a)에 적재되는 식기들 중 비교적 크기가 큰 식기들의 이동 및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리브(350)는 가이드 리브(340)와 마찬가지로 고정 적재면(300a)에 안착되는 식기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상면에 다수의 홈이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요철부(352)가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리브(350)의 요철부(352)는 식기가 상부 리브의 형성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 및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리브의 요철부의 경우 고정 적재면(300a)에 적재되는 식기들 중 비교적 크기가 작은 식기들의 이동 및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분리 리브(360)는 고정 적재면(300a)에 안착되는 식기들 중 수저, 젓가락 등과 같이 막대형상의 식기를 분산 적재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상면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다수의 분리돌기(362)가 형성된다. 이러한 분리 리브(360)의 분리돌기(362)는 수저, 젓가락 등과 같은 식기가 분리돌기(362) 사이에 삽입되어 적재됨으로써 수저, 젓가락 등과 같은 식기가 겹치지 않도록 적재함과 동시에 식기들의 이동 및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은 가이드 리브(340), 지지리브(350), 분리 리브(360)의 경우 상부 리브(320)의 상면 형상만을 수정하여 상부 리브(3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르게는 상부 리브(320)와 별도로 상부 리브(320)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별도의 리브에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하부 리브(31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리브(310)는 상부 리브(320)의 하부에 배치되며, 하부 리브(310)의 상부가 상부 리브(320)의 하부와 일부 중첩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하부 리브(310)는 소정의 폭(TW)과 높이(LT)를 갖는 바(bar)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하부 리브(310)의 폭(TW)은 높이(LT) 보다 좁은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하부 리브(310)의 높이(LT)와 폭(TW)의 차이에 의해 하부 리브(310)의 상부에서 배수되는 세척수가 쉽게 배수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리브(310)의 높이(LT)는 3.5~5.5mm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4.5mm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리브(310)의 폭(TW)은 1.5~3.5mm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2.5mm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리브(310)는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 경사부(312)과, 하부를 형성하는 하부 만곡부(31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부 경사부(312)은 하부 리브(310)의 길이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이 하향되는 한쌍의 상부 경사부(312)으로 형성되며, 각 상부 경사부(312)은 소정의 각도(TA)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 경사부(312)은 약 1.2mm의 높이(TT1)로 형성되며, 상부 경사부(312)의 각도(TA)는 35~55도 사이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45도 각도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경사부(312)의 각도가 크게 형성 될수록 상부 경사부(312)의 경사면과 세척수 사이의 부착력이 작아지며, 이에 따라 세척수의 물방울이 보다 쉽게 흘러내릴 수 있다. 하지만 상부 경사부(312)의 각도를 과도하게 크게 형성할 경우 하부 리브(310)의 강도가 약해질 수 있으므로 45도 정도의 각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하부 만곡부(314)는 상부 경사부(312)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부 경사부(312)의 양측에서 하부 리브(310)의 하부 중심으로 만곡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하부 만곡부(314)은 약 3.3mm의 높이(LT1)로 형성되며, 하부 만곡부(314)은 약 9.5mm의 반지름(LR)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경사부(312) 및 하부 만곡부(314)의 높이(TT1, LT1) 및 반지름(LR)은 하부 리브(310)의 크기에 비례하여 가변될 수 있으며 그 수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대략적인 비율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부 경사부(312) 및 하부 만곡부(314)는 상부에서 낙하하는 세척수가 상부 경사부(312)의 경사면 및 하부 만곡부(314)의 만곡면을 따라 흘러 내리도록 하여 세척수의 배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상부 리브(32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리브(320)는 하부 리브(310)의 성부에 배치되며, 상부 리브(320)의 하부가 하부 리브(310)의 상부와 일부 중첩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 리브(320)는 소정의 폭(LW)과 높이(TT)를 갖는 바(bar)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부 리브(320)의 폭(LW)은 높이(TT)보다 좁은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 리브(320)의 높이(TT)와 폭(LW)의 차이에 의해 상부 리브(320)의 상부에서 배수되는 세척수가 쉽게 배수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리브(320)의 높이(TT)는 3.5~5.5mm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4.5mm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리브(320)의 폭(LW)은 1.5~3.5mm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약 2.5mm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부 리브(320)는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 만곡부(322)와, 하부를 형성하는 하부 경사부(324)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부 만곡부(322)는 하부 경사부(324)의 상부에 형성되며, 하부 경사부(324)의 양측에서 하부 리브(310)의 상부 중심으로 만곡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 만곡부(322)는 약 3.3mm의 높이(TT2)로 형성되며, 하부 만곡부(314)는 약 9.5mm의 반지름(TR)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경사부(324)는 하부 리브(310)의 길이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이 상향되는 한쌍의 하부 경사부(324)로 형성되며, 각 하부 경사부(324)는 소정의 각도(LA)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하부 경사부(324)는 약 1.2mm의 높이(LT2)로 형성되며, 하부 경사부(324)의 각도(LA)는 35~55도 사이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45도 각도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경사부(324)의 각도가 크게 형성 될수록 하부 경사부(324)의 경사면과 세척수 사이의 부착력이 작아지며, 이에 따라 세척수의 물방울이 보다 쉽게 흘러내릴 수 있다. 하지만 하부 경사부(324)의 각도를 과도하게 크게 형성할 경우 상부 리브(320)의 강도가 약해질 수 있으므로 45도 정도의 각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하부 경사부(324) 및 상부 만곡부(322)의 높이 및 반지름은 상부 리브(320)의 크기에 비례하여 가변될 수 있으며 그 수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대략적인 비율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부 만곡부(322) 및 하부 경사부(324)는 상부에서 낙하하는 세척수가 상부 만곡부(322)의 만곡면 및 하부 경사부(324)의 경사면을 따라 흘러 내리도록 하여 세척수의 배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하부 리브(310)와 상부 리브(320)는 하부 리브(310)의 상부와 상부 리브(320)의 하부가 서로 중첩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중첩되는 상부 리브(320)와 하부 리브(310)는 상부 리브(320)의 상부 만곡부(322)와 하부 경사부(324)의 접선과, 하부 리브(310)의 상부 경사부(312)와 하부 만곡부(314)의 접선이 일치되도록 중첩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리브(310)의 하부 만곡부(314) 및 상부 리브(320)의 상부 만곡부(322)의 경우 볼록한 형태의 만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 평면형태의 경사면(미도시)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르게는 하부 리브(310)의 상부 경사부(312) 및 상부 리브(320)의 하부 경사부(324)의 경우 평면 형태의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 만곡형태의 만곡면(미도시)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부 리브(310)가 상부 경사부(312)와 하부 만곡부(314)으로 형성되고 상부 리브(320)가 상부 만곡부(322)와 하부 경사부(324)로 형성되는 것을 각각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하부 리브(310)와 상부 리브(320)의 상부 및 하부가 모두 경사면으로 형성되거나 모두 만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하부 만곡부(314) 및 상부 만곡부(322)가 곡면으로 형성될 경우 각 리브(310, 320)의 단면적을 증가시켜 각 리브(310, 320)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 만곡부(314, 324)를 따라 흘러내리는 세척수가 흘러내리는 각도를 변화시켜 세척수가 보다 원활히 흘러내리도록 할 수 있다.
즉, 하부 만곡부(314) 및 상부 만곡부(322)의 경우 각 리브(310, 320)의 중심부에서 하부 또는 상부로 연장됨에 따라 만곡 형상에 의해 세척수가 흘러내리는 각도가 변화하게 되며 이러한 각 만곡부(314, 324)의 각도변화는 각 리브(310, 320)와 세척수 사이의 부착력 및 표면장력을 변화시켜 각 리브(310, 320)의 세척수가 보다 빠르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8은 하부 리브(310)(또는 상부 리브(320))와 외곽 리브(210)(또는 중앙분리 리브(360))와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하부 리브(310)(또는 상부 리브(320))와 외곽 리브(210)(또는 중앙분리 리브(360))와의 연결상태의 경우 동일한 형태에 의해 연결되는 것으로, 하부 리브(310)와 외곽 리브(210)의 연결 상태를 일예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리브(310)와 외곽 리브(210) 사이에는 리브 연결부(330)가 형성된다. 리브 연결부(330)는 하부 리브(310)와 외곽 리브(210) 사이에 만곡부를 형성하여 하부 리브(310)와 외곽 리브(210) 사이에 세척수가 잔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리브 연결부(330)는 외곽 리브(210)에 인접하는 하부 리브(310)에 상측 만곡부(332)와 하측 만곡부(334)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측 만곡부(332)와 하측 만곡부(334)는 고정 적재면(300a)의 적재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고정 적재면(300a)의 내측을 중심으로 하는 만곡면을 형성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상측 만곡부(332)는 하부 리브(310)의 상부에 잔류하는 세척수가 만곡면을 따라 하부 리브(310)의 상부 경사부(312)로 흘러내리도록 하여 세척수의 배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하측 만곡부(334)는 하부 리브(310)와 외곽 리브(210) 사이에 잔류하는 세척수가 하부 리브(310)의 하부 만곡부로 흘러 내리도록 하여 세척수의 배수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 구비된 수납부의 작동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각각의 요소들은 상술한 설명과 도면을 참조하여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수납부의 작동을 설명함에 있어 상술한 도 3 및 도 4를 이용하여 가변공간 적재부의 초기 상태인 제 1사용 상태를 설명하고, 도 9 및 도 10을 이용하여 가변공간 적재부의 가변 상태인 제 2사용 상태를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에서 제 3수납부의 제 2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제 3수납부의 제 2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한편, 사용자가 식기 세척기(100)를 이용하여 식기 등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식기 세척기(100) 의 도어(122)를 열고 세척조(130) 내부의 제 1수납부(150), 제 2수납부(160), 제 3수납부(200)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밖으로 인출하여 인출된 수납부에 식기를 적재하고, 식기가 적재된 수납부를 식기 세척기(100) 의 세척조(130) 내부로 밀어 넣은 후, 도어(122)를 닫아 식기를 수납한다.
이후, 식기 세척기(100)를 작동시키면 구동부(140)의 동작에 따라 상부 분사부(133), 하부 분사부(134), 탑 분사부로 세척수가 개별 또는 동시 공급되면서 각 수납부(150, 160, 200)에 적재된 식기의 세척, 헹굼, 건조가 진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식기의 세척, 헹굼, 건조의 경우 일반적인 식기 세척기(100) 의 동작과 매우 유사함으로 상세한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은 식기 세척기(100) 의 작동에 앞서 각 수납부에 식기를 수납하여야 하며, 식기의 수납을 위해서는 특정 수납부의 인출이 필연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제 1수납부(150)의 경우 세척조(130)의 내측 양면 하부에 구비되는 고정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어 이동되며 인출시 개방된 도어(122)의 안착면에 안착되고, 도어(122)의 안착면(125)에 안착된 상태에서 식기의 수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 2수납부(160) 및 제 3수납부(200)의 경우 세척조(130)의 내측 양면에 구비되는 신축 가이드 레일에 의해 인출이 안내되어 인출 거리가 조절되며 신축 가이드 레일에 지지된 상태에서 식기의 적재가 이루어진다.
한편, 제 3수납부(200)의 경우 비교적 작은 크기의 식기가 수납되는 것으로, 제 3수납부(200)의 일측에 구비된 가변공간 적재부(240) 및 타측에 구비된 고정공간 적재부에 식기를 적재할 수 있다.
여기서, 가변공간 적재부(240)의 경우 제 1사용 상태로 도 3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곽 리브(210) 또는 중앙 분리 리브(220)에 대하여 가변공간 적재부(240)가 상승된 상태로 위치하여 식기가 적재된다.
이때 가변공간 적재부(240)는 승강부(250)에 의해 하강이 제한된다. 즉, 승강부(250)가 제 3수납부(200)의 전방측으로 이동되어 있으면 승강부(250)의 전방 연장부(254a)에 구비된 전방 슬라이드 돌기(255a) 및 후방 연장부(254b)에 구비된 후방 슬라이드 돌기(255b)가 각각 가변공간 적재부(240)의 전방 경사 슬롯(245a)에 형성된 전방 거치홈(246a) 및 후방 경사 슬롯(245b)에 형성된 후방 거치홈(246b)을 지지하여 가변공간 적재부(240)의 위치가 제한된다.
한편, 고정공간 적재부(230) 및 위치가 상승된 가변공간 적재부(240)에 적재될 식기의 크기가 고정공간 적재부(230) 및 위치가 상승된 가변공간 적재부(240)의 적재공간보다 클 경우 가변공간 적재부(240)를 하강시켜 가변공간 적재부(240)의 적재공간을 확장하여 식기를 적재할 수 있다.
도 9,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변공간 적재부(240)의 적재공간 확장은 사용자가 승강부(250)의 승강 레버(252)를 제 3수납부(200)의 후방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승강부(250)의 전방 연장부(254a) 및 후방 연장부(254b)가 승강 레버(252)와 같이 제 3수납부(200)의 후방으로 이동된다.
이에 전방 연장부(254a) 및 후방 연장부(254b)에 형성된 전방 슬라이드 돌기(255a)와 후방 슬라이드 돌기(255b)가 가변공간 적재부(240)의 전방 거치홈(246a) 및 후방 거치홈(246b)에서 이탈되어 전방 경사 슬롯(245a) 및 후방 경사 슬롯(245b)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된다.
한편, 가변공간 적재부(240)는 승강부(250)의 전방 슬라이드 돌기(255a) 및 후방 슬라이드 돌기(255b)에 의해 제한되던 지지상태가 해제되고, 전방 슬라이드 돌기(255a) 및 후방 슬라이드 돌기(255b)가 삽입된 전방 경사 슬롯(245a) 및 후방 경사 슬롯(245b)에 안내되어 자중에 의해 하강되면서 가변공간 적재부(240)의 적재공간을 확장할 수 있다.
이때, 승강부(250)의 이동에 따라 하강되는 가변공간 적재부(240)는 가변공간 적재부(240)의 하면을 지지하는 전방 지지 링크(248a) 및 후방 지지 링크(248b)에 의해 진자 운동을 하며 전방 지지 링크(248a) 및 후방 지지 링크(248b)에 의해 매달린 형태로 적재공간을 확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제 3수납부(200)에서 식기의 세척이 이루어진 세척수는 고정공간 적재부(230)의 고정 적재면(300a) 및 가변공간 적재부(240)의 가변 적재면(300b)으로 낙하되며, 고정 적재면(300a) 및 가변 적재면(300b)을 형성하는 하부 리브(310)와 상부 리브(320)를 통해 각 리브(310, 320)에 의해 형성되는 연통홀(370)로 배수된다.
여기서, 각 적재면(300a, 300b)에 적재되는 식기의 경우 상부 리브(320)의 상부 만곡부(322)의 상단에 지지되어 있어 식기와 상부 리브(320) 사이에 세척수가 잔류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상부 리브(320)로 낙하된 세척수는 상부 리브(320)의 상부 만곡부(322)의 만곡면을 따라 흘러 하부 경사부(324)로 흘러내린다. 여기서, 하부 경사부(324)로 흘러내린 세척수는 하부 경사부(324)의 경사면을 따라 흘러 상부 리브(320)의 길이 방향으로 표면장력에 의해 확산되거나, 자중에 의해 하부 경사부(324)의 하부로 낙하된다.
한편, 하부 경사부(324)의 하부에서 표면장력에 의해 확산되는 세척수는 확산됨에 따라 보다 넓은 표면적을 형성하여 보다 쉽게 건조될 수 있으며, 하부 경사부(324)에서 낙하되는 세척수는 다른 세척수들과 같이 배수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리브(310)로 낙하된 세척수는 하부 리브(310)의 상부 경사부(312)의 경사면을 따라 흘러 하부 만곡부(314)로 흘러내린다. 여기서, 하부 만곡부(314)로 흘러내린 세척수는 하부 만곡부(314)의 만곡면을 따라 흘러 하부 리브(310)의 길이 방향으로 표면장력에 의해 확산되거나, 자중에 의해 하부 만곡부(314)의 하부로 낙하된다.
한편, 하부 만곡부(314)의 하부에서 표면장력에 의해 확산되는 세척수는 확산됨에 따라 보다 넓은 표면적을 형성하여 보다 쉽게 건조될 수 있으며, 하부 만곡부(314)에서 낙하되는 세척수는 다른 세척수들과 같이 배수될 수 있다.
한편, 하부 리브(310)와 상부 리브(320) 사이의 교차점에 낙하 및 잔류하는 세척수는 각 리브(310, 320)의 교차 형상에 의해 상부 리브(320)에서 하부 리브(310)로 흘러내려 수납부(200)의 하부로 낙하되어 배수되거나 하부 리브(310)의 하부에서 확산되어 건조될 수 있다.
즉, 하부 리브(310)와 상부 리브(320) 사이의 교차점에 낙하 및 잔류하는 세척수는 상부 리브(320)의 상부 만곡부(322) 및 하부 경사부(324)을 따라 상부 리브(320)의 하측으로 흘러내리며, 상부 리브(320)의 하측으로 흘러내린 세척수는 하부 리브(310)의 상부 경사부(312) 및 하부 만곡부(314)로 흘러내릴 수 있다.
여기서, 상부 리브(320)와 하부 리브(310)가 만나는 교차점의 경우 상부 만곡부(322)/하부 경사부(324)과 상부 경사부(312)/하부 만곡부(314)가 서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교차됨으로 세척수가 표면 장력에 의해 잔류할 수 있는 면적이 축소된다.
즉, 상부 리브(320)와 하부 리브(310)의 교차점의 경우 상부 리브(320)의 하부와 하부 리브(310)의 상부 일부만이 교차되록 형성되어 있어, 상부 리브(320)와 하부 리브(310)가 동일한 높이 교차될 때 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다.
따라서, 상부 리브(320)와 하부 리브(310)의 교차점으로 흘러내리거나 잔류하는 세척수는 세척수의 표면장력이 작용할 수 있는 면적이 축소되어 상부 리브(320)와 하부 리브(310)의 교차점에서 보다 쉽게 탈락되어 배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납부에 따르며, 식기를 적재할 때 적재되는 식기의 형상 크기에 따라 식기의 적재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세척기에 따르면, 식기 세척기의 식기 세척시 수납부의 배수성능을 향상시켜 식기의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100: 세척기 120: 케이스
130: 세척조 140: 구동부
150: 제 1수납부 160: 제 2수납부
200: 제 3수납부 210: 외곽 리브
220; 중앙 분리 리브 230: 고정공간 적재부
240: 가변공간 적재부 250: 승강부
300a: 고정 적재면 300b: 가변 적재면
310: 하부 리브 312: 상부 경사부
314: 하부 만곡부 320: 상부 리브
322: 상부 만곡부 324: 하부 경사부
330: 리브 연결부 340: 가이드 리브
350: 지지 리브 360: 분리 리브
370: 연통홀

Claims (20)

  1. 식기가 적재되는 적재공간을 형성하는 외곽 리브;
    상기 외곽 리브 내측에 형성되며 식기가 적재되는 적재면;을 포함하는 수납부에 있어서,
    상기 적재면은
    상기 외곽 리브의 일방향으로 연장 배치되는 다수의 하부 리브, 및
    상기 하부 리브에 대하여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며 상기 하부 리브 보다 높은 위치로 형성되는 상부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리브는
    상부를 형성하며, 양측이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상부 경사부, 및
    상기 상부 경사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양측 하부가 중심측으로 만곡되는 만곡면이 형성되는 하부 만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리브는
    상부를 형성하며, 양측이 하향되어 만곡되는 만곡면이 형성되는 상부 만곡부, 및
    상기 상부 만곡부 하부에 위치하며 양측 하부가 중심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하부 경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 경사부는 상기 하부 리브의 상기 상부 경사부 또는 하부 만곡부 중 어느 하나와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수납부.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만곡부의 높이는 상기 상부 경사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수납부.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만곡부의 높이는 상기 하부 경사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수납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리브의 상기 상부 만곡부와 상기 하부 경사부에 의해 형성되는 접선과, 상기 하부 리브의 상기 상부 경사부와 상기 하부 만곡부에 의해 형성되는 접선은 동일 높이로 형성도록 상기 상부 리브와 상기 하부 리브가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수납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 리브에 연결되는 상기 상부 리브 또는 상기 하부 리브 사이에는 상기 적재공간을 중심으로 하여 만곡되는 리브 연결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수납부.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 연결부는
    상기 상부 리브 또는 상기 하부 리브의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적재공간을 중심으로 하여 만곡되는 상측 만곡부, 및
    상기 상부 리브 또는 상기 하부 리브의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적재공간을 중심으로 하여 만곡되는 하측 만곡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수납부.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리브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상부 리브 보다 더 높은 높이로 형성되는 가이드 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수납부.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리브 중 적어도 하나는 상면에 다수의 홈이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요철부가 형성되는 지지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수납부.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리브 중 적어도 하나는 상면에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다수의 분리돌기가 형성되는 분리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수납부.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 리브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을 구획하는 중앙분리 리브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수납부.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분리 리브에 의해 구획되는 일측 공간에 상기 외곽 리브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한쌍의 지지 링크에 의해 매달린 상태로 결합되어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가변공간 적재부, 및
    상기 외곽 리브에 구비되어 가변공간 적재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수납부.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공간 적재부는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는 전방 경사 슬롯 및 후방 경사 슬롯이 구비되며,
    상기 승강부는
    상기 외곽 리브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승강 레버,
    상기 외곽 리브의 내측에서 상기 전방 경사 슬롯 및 상기 후방 경사 슬롯으로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서 상기 각 경사 슬롯에 삽입되는 전방 슬라이드 돌기 및 후방 슬라이드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수납부.
  15. 삭제
  16. 삭제
  17. 세척 공간을 형성하는 세척조와, 상기 세척조 내부에 인출가능하게 구비되며 식기가 수납되는 수납부과, 상기 수납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부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식기가 적재되는 적재공간을 형성하는 외곽 리브;
    상기 외곽 리브 내에 형성되며 식기가 적재되는 적재면;을 포함하는 수납부에 있어서,
    상기 적재면은
    상기 외곽 리브의 일방향으로 연장 배치되는 다수의 하부 리브, 및
    상기 하부 리브에 대하여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며 상기 하부 리브 보다 높은 위치로 형성되는 상부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리브는
    상부를 형성하며, 양측이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상부 경사부, 및
    상기 상부 경사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양측 하부가 중심측으로 만곡되는 만곡면이 형성되는 하부 만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리브는
    상부를 형성하며, 양측이 하향되어 만곡되는 만곡면이 형성되는 상부 만곡부, 및
    상기 상부 만곡부 하부에 위치하며 양측 하부가 중심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하부 경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 경사부는 상기 하부 리브의 상기 상부 경사부 또는 하부 만곡부 중 어느 하나와 교차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8. 삭제
  19. 삭제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리브의 상기 상부 만곡부와 상기 하부 경사부에 의해 형성되는 접선과, 상기 하부 리브의 상기 상부 경사부와 상기 하부 만곡부에 의해 형성되는 접선은 동일 높이로 형성도록 상기 상부 리브와 상기 하부 리브가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KR1020190080047A 2019-07-03 2019-07-03 식기 세척기의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KR102360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047A KR102360336B1 (ko) 2019-07-03 2019-07-03 식기 세척기의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EP20183643.4A EP3766402A1 (en) 2019-07-03 2020-07-02 Rack for dishwasher and dishwasher having the same
AU2020204432A AU2020204432B2 (en) 2019-07-03 2020-07-02 Rack for dishwasher and dishwasher having the same
US16/919,417 US11406244B2 (en) 2019-07-03 2020-07-02 Rack for dishwasher and dishwasher having the same
KR1020220011188A KR102541186B1 (ko) 2019-07-03 2022-01-26 식기 세척기의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047A KR102360336B1 (ko) 2019-07-03 2019-07-03 식기 세척기의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1188A Division KR102541186B1 (ko) 2019-07-03 2022-01-26 식기 세척기의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131A KR20210004131A (ko) 2021-01-13
KR102360336B1 true KR102360336B1 (ko) 2022-02-09

Family

ID=7145211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0047A KR102360336B1 (ko) 2019-07-03 2019-07-03 식기 세척기의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KR1020220011188A KR102541186B1 (ko) 2019-07-03 2022-01-26 식기 세척기의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1188A KR102541186B1 (ko) 2019-07-03 2022-01-26 식기 세척기의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406244B2 (ko)
EP (1) EP3766402A1 (ko)
KR (2) KR102360336B1 (ko)
AU (1) AU2020204432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0134B1 (ko) * 2018-11-13 2023-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랙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식기세척기
DE102021114073A1 (de) 2021-05-31 2022-12-01 DRADURA Holding GmbH & Co. KG Einbauelement, Geschirrspülkorb und Geschirrspülmaschine
DE102021122275A1 (de) 2021-08-27 2023-03-02 Georg Gosheger Aufnahmeanordnung zur Aufnahme von chirurgischen Instrumenten und betreffendes Herstellungsverfahren
KR20230067345A (ko) * 2021-11-09 2023-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US11826005B2 (en) 2022-03-29 2023-11-28 Midea Group Co., Ltd. Exhibiting a dishwasher rack to the user
US11969132B2 (en) 2022-03-29 2024-04-30 Midea Group Co., Ltd. Exhibiting a dishwasher rack to the use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7145A (en) * 1978-07-17 1979-06-05 The Maytag Company Silverware basket construction
US4192432A (en) * 1978-07-17 1980-03-11 The Maytag Company Sidewall construction for silverware basket
DE3721689A1 (de) * 1987-07-01 1989-01-12 Miele & Cie Besteckkorb fuer eine geschirrspuelmaschine
US5881906A (en) * 1997-12-05 1999-03-16 Whirlpool Corporation Wall construction for a silverware basket
KR100777459B1 (ko) 2002-10-07 2007-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위성방송 수신기의 예약 녹화 방법
US7455066B2 (en) * 2005-03-29 2008-11-25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utensil rack and utensil basket therefor
CN201005658Y (zh) * 2007-01-13 2008-01-16 美的集团有限公司 洗碗机的刀叉篮
PL2220989T3 (pl) * 2009-02-23 2016-05-31 Bonferraro Spa Przytrzymująca naczynia wkładka do kosza do zmywarek
KR102413326B1 (ko) * 2015-08-18 2022-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KR102349085B1 (ko) 2017-12-28 2022-01-07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Opw 사이드 커튼 에어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06244B2 (en) 2022-08-09
AU2020204432B2 (en) 2022-02-10
EP3766402A1 (en) 2021-01-20
US20210000325A1 (en) 2021-01-07
KR102541186B1 (ko) 2023-06-13
KR20210004131A (ko) 2021-01-13
AU2020204432A1 (en) 2021-01-21
KR20220017970A (ko) 2022-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0336B1 (ko) 식기 세척기의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KR102413326B1 (ko)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US4192432A (en) Sidewall construction for silverware basket
KR102393509B1 (ko)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KR20150080384A (ko) 랙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식기세척기
KR20070039548A (ko) 식기세척기 내에 날붙이류를 장착하기 위한 장치
ITPN950031U1 (it) Cestello portaposate per lavastoviglie
JP5974284B2 (ja) 食器洗い機
KR20230067345A (ko) 식기세척기
KR101477889B1 (ko) 식기 세척기
EP1123684A2 (en) Dishwasher with additional washing tank
KR102378131B1 (ko) 보조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KR102396039B1 (ko)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KR20170021599A (ko)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KR20230032764A (ko) 식기세척기
KR101844220B1 (ko) 식기세척기
CN209315785U (zh) 装载篮和家用电器
KR200405509Y1 (ko) 손빨래 세탁대
KR101117843B1 (ko) 식기 세척기의 랙롤러 가이드부 물빠짐 구조
KR20170021600A (ko) 식기 세척기
KR20170027082A (ko) 보조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CN113633109A (zh) 用于酒杯存放的酒柜
KR20230032374A (ko) 식기세척기
KR101286440B1 (ko) 식기 세척기의 식기 랙 구조
KR200305196Y1 (ko) 세탁용 씽크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