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7082A - 보조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보조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7082A
KR20170027082A KR1020150123558A KR20150123558A KR20170027082A KR 20170027082 A KR20170027082 A KR 20170027082A KR 1020150123558 A KR1020150123558 A KR 1020150123558A KR 20150123558 A KR20150123558 A KR 20150123558A KR 20170027082 A KR20170027082 A KR 20170027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lid
mounting
auxiliary storage
dishwa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3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3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7082A/ko
Publication of KR20170027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70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1Baskets, e.g. for conveyor-type, in-sink type or hood-type machine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 공간을 형성하는 세척조와, 상기 세척조 내부에 인출가능하게 구비되며 식기가 수납되는 수납부과, 상기 수납부에 적재되는 보조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 및 상기 보조 수납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부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보조 수납부는 식기가 적재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함체 형상의 본체와, 상기 식기가 삽입되어 거치되는 수납면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 상부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체결됨에 따라 상기 수납면의 높이가 가변되는 덮개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보조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AUXILIARY BASKET FOR DISHWASHER AND DISHWASH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기 세척기에 인출 및 수납 가능하게 구비되며 수납된 식기를 보다 손쉽게 정리할 수 있도록 한 보조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 세척기는 수납된 식기에 세척수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세척한 후, 건조시키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식기 세척기는 식기가 수납되는 터브 내부에 세척수가 고압으로 분사되고, 분사되는 세척수가 식기에 닿아서 식기 표면에 묻어있는 음식물 찌꺼기 등의 이물이 세척되도록 작동한다.
이러한 식기 세척기는 세척수에 포함된 음식물 찌꺼기를 필터에 의해 걸러내어 사용된 세척수를 다시 재활용할 수 있고, 세척수에 세제를 풀어 공급함으로써, 음식물 찌꺼기가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최근에는 히터에 의해 세척수의 온도를 높이거나, 스팀을 발생시켜 세척 수행의 효율을 높이는 식기 세척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며 식기의 세척공간을 형성하는 세척조와, 세척조의 전방에 위치하여 세척조를 개폐하는 도어와, 세척조의 하부에 마련되어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공급, 집수, 순환, 배수하는 구동부와, 구동부에 의해 공급되는 세척수를 식기로 분사하는 하부/상부/탑 분사부와, 세척조의 내부 하부/상부/탑 분사부사이에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며 식기의 종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재될 수 있는 제 하부/상부/탑 수납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각 수납부는 각각 하부에 다수의 이동 롤러를 구비하고 있으며 세척조의 내측에 구비되는 별도의 가이드 레일에 의해 안내되어 인출 및 수납가능하게 마련된다.
한편, 상술한 하부 수납부는 하부 분사부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비교적 큰 사이즈의 식기가 안착되며, 상부 수납부는 상부 분사부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비교적 작은 사이즈의 식기가 안착되고, 탑 수납부는 탑 분사부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식기보다 작은 사이즈의 식사 도구(예를 들어 수저, 나이프 등) 및 요리 도구(예를 들어 국자, 거품기 등)가 안착된다.
또한, 하부 수납부 또는 상부 수납부에는 탑 수납부에 수납되지 못한 식기(예를 들러 숟가락, 젓가락 등)를 별도로 수납하기 위한 보조 수납부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식기 세척기를 이용하여 식기 등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식기 세척기의 도어를 열고 세척조 내부의 수납부 중 하나를 밖으로 인출하고, 인출된 수납부에 식기를 수납하고, 인출된 수납부를 식기 세척기의 세척조 내부로 밀어 넣은 후, 도어를 닫아 식기를 수납한다.
또한, 보조 수납부의 경우 숟가락과 같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식기를 기립된 상태로 삽입하고, 식기가 삽입된 보조 수납부를 하부 수납부 또는 상부 수납부에 적재한다.
이후, 식기 세척기를 작동시키면 구동부의 동작에 따라 상부/하부/탑 분사부 및 보조 수납부로 세척수가 개별 또는 동시 공급되면서 하부/상부/탑 수납부 및 보조 수납부에 적재된 식기의 세척이 진행된다.
한편, 보조 수납부에는 식사용 숟가락, 포크 등의 식기가 수납되어 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종래 기술에 따는 보조 수납부의 경우 단순히 숟가락, 포크 등의 식기를 거꾸로 뒤집은 상태로 보조 수납부에 수납하고 보조 수납부를 하부 또는 상부 수납부에 적재하여 식기의 세척을 진행한다.
하지만, 숟가락, 포크 등의 식기의 경우 그 길이가 매우 다양하며, 보조 수납부에 수납될 때 식기의 하부가 지지되어 식기의 세척부위가 각기 다른 높이를 갖게 되어 원활한 세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기술에 따른 보조 수납부의 경우 식기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식기의 높이가 식기의 길이에 따라 다르게 위치하여 세척 효과를 떨어뜨릴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식기 세척기에서의 세척을 위하여 숟가락, 포크 등의 식기를 적재할 때 적재되는 식기의 세척부위를 일정한 위치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식기의 세척 효과를 증대 시킬 수 있는 보조 수납부 및 식기 세척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부는 식기가 적재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식기가 수납되는 수납면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 상부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체결됨에 따라 상기 수납면의 높이가 가변되는 덮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와 상기 덮개의 수납면의 간격을 제한하는 장착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덮개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덮개의 장착위치를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본체의 상부가 확장되어 상기 본체의 내측에 상기 덮개가 안착되는 안착단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덮개가 안착되는 안착리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덮개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에 상기 덮개가 장착될 때 상기 본체에 거치되어 상기 덮개의 장착 위치를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덮개에 하부가 확장되어 상기 본체의 상단부에 거치되는 확장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덮개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본체에 거치되는 거치리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는 다수의 연통홀이 형성되는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덮개는 상기 수납면에 식기가 삽입되어 거치되는 다수의 삽입홀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는 상부에 상기 덮개가 안착되는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는 외주면 상부에 상기 장착부에 결합되는 상부 장착부와, 외주면 하부에 상기 장착부에 결합되는 하부 장착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는 상기 수납면의 외주면에서 연장되는 리브 및 상기 리브의 중앙부에서 연장 돌출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장착부는 상기 걸림턱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 장착부는 상기 걸림턱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턱은 상기 수납면에 대하여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는 세척 공간을 형성하는 세척조와, 상기 세척조 내부에 인출가능하게 구비되며 식기가 수납되는 수납부과, 상기 수납부에 적재되는 보조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 및 상기 보조 수납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부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보조 수납부는 식기가 적재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함체 형상의 본체와, 상기 식기가 삽입되어 거치되는 수납면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 상부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체결됨에 따라 상기 수납면의 높이가 가변되는 덮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덮개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본체와 상기 덮개의 수납면의 간격을 제한하는 장착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는 상면에 식기가 삽입되는 다수의 삽입홀이 형성되는 수납면이 구비되고, 상기 수납면 외주면 하부에 상기 본체에 정방향으로 장착되기 위한 하부 장착부 및 상기 수납면 외주면 상부에 상기 본체에 역방향으로 장착되기 위한 상부 장착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세척기에 따르면 식기 세척기에서의 세척을 위하여 숟가락, 포크 등의 식기를 적재할 때 적재되는 식기의 세척부위를 일정한 위치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식기의 세척 효과를 증대 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내부 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보조 수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보조 수납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보조 수납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보조 수납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보조 수납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보조 수납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보조 수납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보조 수납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4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보조 수납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보조 수납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7 내지 도 18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보조 수납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각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에 정의된 각각의 명칭들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될 수 있다.
먼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의 내부 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1 내지 조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기 세척기(100)는 외형을 하는 케이스(120)와, 케이스(120)의 내부에 설치되며 식기가 세척되는 세척 공간을 형성하며 전면이 개방되는 세척조(130)와, 세척조(130)의 개방면을 개폐하는 도어(122)와, 세척조(130)의 하부에 위치하며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를 공급, 집수, 순환, 배수하는 구동부(140)와, 세척조(13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식기가 안착되는 다수의 수납부(150, 160, 170)와, 숟가락, 포크 등과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갖는 식기가 별도 수납되고 특정 수납부(150, 170)에 선택적으로 적재되는 보조 수납부(200)와, 각 수납부(150, 160, 170)에 각각 인접하여 설치되며 식기의 세척을 위한 세척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부(132, 133, 134)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술한 식기 세척기(100)의 구조 중 세척조(130), 구동부(140), 각 분사부의 경우 종래 기술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조에 의해 구현 될 수 있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다수의 수납부(150, 160, 170)는 세척조(130)의 내부에서 세척조(130)의 개방측으로 인출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각 수납부는 세척조(130)의 하부에 위치하며 비교적 큰 식기가 수납되는 제 1수납부(150)와, 제 1수납부(150) 상측에 위치하고 교적 작은 사이즈의 식기가 수납되는 제 2수납부(160)와, 세척조(130)의 상부에 위치하고 식기 등이 수납되는 제 3수납부(170)를 포함한다.
그리고 다수의 분사부(132, 133, 134)는 각 수납부(150, 160, 170)에 수납된 식기 등에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각 분사부(132, 133, 134)는 세척조(130)의 하부에 위치하여 제 1수납부(150)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하부 분사부(134)와, 제 1수납부(150)와 제 2수납부(160) 사이에 위치하며 제 1, 2수납부(150, 160)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상부 분사부(133)와, 세척조(130)의 상부에 위치하며 제 3수납부(170) 또는 제 2수납부(160)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탑 분사부(132)를 포함한다.
한편, 세척조(130)의 양측벽에는 제 1, 2, 3수납부(150, 160, 170)의 인출 및 투입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미도시)이 구비되며, 가이드 레일은 제 1수납부(150)의 인출 및 투입을 안내하기 위한 단순 레일 형태의 고정 가이드 레일(미도시) 및 제 2, 3수납부(160, 170)의 인출 및 수납을 안내하며 제 2, 3수납부(160, 170)의 인출에 따라 인출 거리가 증가되는 신축 가이드 레일(미도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어(122)는 상술한 세척조(130)의 전면에 형성된 개방면을 개폐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도어(122)는 통상적으로 개방면 하부에 도어(122)의 개폐를 위한 힌지부(미도시)가 구비되며 힌지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도어(122)가 개방된다.
여기서, 도어(122)의 외측면에는 도어(122)를 개방하기 위한 손잡이(124) 및 식기 세척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패널(123)이 구비된다. 도어(122)의 내측면은 도어(122)의 폐쇄시 세척조(130)의 일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도어(122)의 개방시 제 1수납부(150)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면을 형성한다. 이를 위하여 도어(122)가 개방될 경우 도어(122)의 안착면은 제 1수납부(150)가 안내되는 가이드 레일에 연장되는 수평면 상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원 발명은 제 1, 2, 3수납부(150, 160. 170)와 별도로 숟가락, 포크 등의 식기를 수납하여 제 1수납부(150) 또는 제 2수납부(160)에 적재되는 보조 수납부(200)에 과한 것이다. 따라서 식기 세척기(100) 의 일반적인 구성 및 제 1, 2, 3수납부(150, 160, 170)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보조 수납부(200)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보조 수납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보조 수납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보조 수납부(200)는 제 1수납부(150) 또는 제 2수납부(150)에 안착되는 함체 형상의 본체(210)와, 본체(210)의 상면에 결합되며 본체(210)에 수납되는 식기의 수납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덮개(220)를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에 보조 수납부(200)에 수납되는 식기는 주로 숟가락, 포크 등과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같으며 후술할 덮개(220)의 삽입홀(222)에 삽입되는 손잡이(handle)와 삽입홀(222)에 거치될 수 있는 머리(예를 들어 숟가락의 볼(Bowl) 또는 술잎)를 갖는 식기 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보조 수납부(200)에 숟가락에 적재되는 것을 일예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하지만 숟가락은 보조 수납부(200)에 적재되는 식기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덮개(220)의 삽입홀(222)에 거치될 수 있는 식기의 경우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본체(210)는 상면이 개방되는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에는 덮개(220)가 안착되는 장착부(212)가 형성된다.
한편, 본체(210)의 각 측면에는 식기 세척기(100)의 세척수과 공급되거나 식기(이하 '숟가락'이라 칭함)의 세척수가 배수되기 위한 다수의 연통홀(216)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유입된 세척수가 배수되기 위한 다수의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된다. 또한, 본체(210)의 개방된 상측에는 덮개(220)가 안착되어 결합되는 장착부(212)가 형성된다.
여기서, 본체(210)의 각 측면은 다수의 연통홀(216)에 의해 격자구조(Lattice structure) 또는 벌집구조(Honey Comb)로 형성되며, 다수의 연통홀(216)에 의해 식기 세척기(100)의 각 분사부(132, 133, 134)에서 분사되는 세척수가 본체(210)로 원활하게 공급됨과 동시에 본체(210)로 유입되어 숟가락을 세척한 세척수가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다.
또한, 본체(210)의 하면에 형성되는 관통홀은 본체(210)의 측면에 형성되는 연통홀(216)보다는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210)의 하면의 경우 덮개(220)를 관통하여 수납되는 숟가락의 하단이 지지될 수 있으므로 연통홀(216) 보다는 작은 크기의 관통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장착부(212)는 덮개(22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리브(223)의 외주면에 대응되어 형성되며, 본체(210)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각 측면에 대하여 소정 간격 확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착부(212)의 내측 하부에는 덮개(220)가 삽입되는 깊이를 조절하기 위한 걸림턱(2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220)는 덮개(220)를 관통하여 본체(210)에 지지되는 숟가락의 길이에 따라 상면이 노출되거나 하면이 노출되도록 선택적으로 본체(2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장착부(212)에 장착된다.
이러한 덮개(220)는 숟가락의 손잡이가 삽입되고, 숟가락의 머리가 거치되는 다수의 삽입홀(222)이 형성되는 수납면(221)과, 수납면(221)의 외주면에서 수납면(221)의 일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223)를 구비한다.
여기서, 수납면(221)에 형성되는 다수의 삽입홀(222)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크기로 형성되며, 각각의 삽입홀(222)에는 하나 이상의 식기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수납면(221)의 상면 또는 하면으로는 각각의 삽입홀(222)에 삽입된 숟가락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 돌기(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리브(223)의 외주면의 중간부에는 덮개(220)의 본체(210) 상면 장착시 본체(210) 상면에 지지되도록 수납면(221)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는 걸림턱(226)이 형성된다.
여기서, 걸림턱(226)의 하측은 덮개(220)가 본체(210)의 장착부(212)에 정상 상태로 결합될 때 본체(210)의 장착부(212)에 결합되는 하부 장착부(225)가 형성되고, 걸림턱(226)의 상측은 덮개(220)가 본체(210)의 장착부(212)에 뒤집어진 상태로 결합될 때 본체(210)의 장착부(212)에 결합되는 상부 장착부(224)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부 장착부(224) 및 하부 장착부(225)는 본체(210)에 형성되는 장착부(212)의 내주면에 삽입될 수 있도록 본체(210)의 장착부(212) 내측면에 대응되는 외주면을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덮개(220)의 경우 보조 수납부(200)에 수납되는 숟가락의 종류/길이에 따라 본체(210)의 상면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보조 수납부(200)에 수납되는 숟가락의 길이가 길 경우 덮개(220)의 상면이 외측으로 향하도록 본체(210)에 결합되거나, 보조 수납부(200)에 수납되는 숟가락의 길이가 짧을 경우 덮개(220)의 하면이 외측으로 향하도록 본체(210)에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기 세척기(100)에 구비된 보조 수납부(200)의 설치 상태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각각의 요소들은 상술한 설명과 도면을 참조하여 이해하여야 한다.
먼저, 사용자가 식기 세척기(100)를 이용하여 식기 등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식기 세척기(100) 의 도어(122)를 열고 세척조(130) 내부의 제 1수납부(150), 제 2수납부(160), 제 3수납부(170)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밖으로 인출하여 인출된 수납부에 식기를 적재하고, 식기가 적재된 수납부를 식기 세척기(100) 의 세척조(130) 내부로 밀어 넣은 후, 도어(122)를 닫아 식기를 수납한다.
이후, 식기 세척기(100)를 작동시키면 구동부(140)의 동작에 따라 상부 분사부(133), 하부 분사부(134), 탑 분사부로 세척수가 개별 또는 동시 공급되면서 각 수납부(150, 160, 170)에 적재된 식기의 세척, 헹굼, 건조가 진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식기의 세척, 헹굼, 건조의 경우 일반적인 식기 세척기(100) 의 동작과 매우 유사함으로 상세한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은 식기 세척기(100) 의 작동에 앞서 각 수납부(150, 160, 170)에 식기를 수납하여야 하며, 식기의 수납을 위해서는 특정 수납부의 인출 및 수납이 필연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제 1수납부(150)의 경우 세척조(130)의 내측 양면 하부에 구비되는 고정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어 이동되며 인출시 개방된 도어(122)의 안착면에 안착되고, 도어(122)의 안착면(125)에 안착된 상태에서 식기의 수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 2수납부(160) 및 제 3수납부(170)의 경우 세척조(130)의 내측 양면에 구비되는 신축 가이드 레일에 의해 인출이 안내되어 인출 거리가 조절되며 신축 가이드 레일에 지지된 상태에서 식기의 적재가 이루어진다.
한편, 보조 수납부(200)의 경우 제 1, 2, 3수납부(150, 160, 170)와 별도로 사용자에 의해 식기(예를 들어 숟가락, 포크 등)가 수납된 상태에서 제 1수납부(150) 또는 제 2수납부(170)에 안착되어 사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보조 수납부(200)의 식기 수납을 숟가락을 일예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보조 수납부의 제 1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보조 수납부의 제 2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보조 수납부(200)는 수납되는 숟가락의 길이에 따라 덮개(220)의 장착 방향을 달리하는 2가지의 사용 상태를 갖는다.
먼저, 보조 수납부(200)에 수납되는 숟가락의 길이가 비교적 짧을 경우의 수납상태에 대하여 설명하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수납부(200)에 수납되는 숟가락의 길이가 비교적 짧을 경우에는 보조 수납부(200)의 덮개(220)의 수납면(221)이 하측을 향하도록 하여 보조 수납부 본체(210)에 결합되어 사용된다.
즉, 덮개(220)와 본체(210)의 체결상태는 덮개(220)의 상부 장착부(224)가 본체(210)의 장착부(212)에 삽입되고, 덮개(220)의 리브(223)에 형성된 걸림턱(226)이 본체(210)의 장착부(212)에 지지되어 결합된다.
이때, 덮개(220)의 수납면(221)은 본체(2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본체(210)의 장착부(212)보다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덮개(220)의 수납면(221)에 형성된 삽입홀(222)의 위치와 본체(210)의 내측면에 하면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짧아지게 된다.
그리고 보조 수납부(200)에 수납되는 숟가락의 길이가 비교적 길 경우의 수납 상태를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 수납부(200)에 수납되는 숟가락의 길이가 비교적 길 경우에는 보조 수납부(200)의 덮개(220)가 덮개(220)의 수납면(221)이 상측을 향하도록 하여 보조 수납부 본체(210)에 결합하여 사용된다.
즉, 덮개(220)와 본체(210)의 체결상태는 덮개(220)의 하부 장착부(225)가 본체(210)의 장착부(212)에 삽입되고, 덮개(220)의 리브(223)에 형성된 걸림턱(226)이 본체(210)의 장착부(212)에 지지되어 결합된다.
이때, 덮개(220)의 수납면(221)은 본체(210)의 외측측에 위치하며, 본체(210)의 장착부(212)보다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덮개(220)의 수납면(221)에 형성된 삽입홀(222)의 위치와 본체(210)의 내측면에 하면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멀어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보조 수납부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식기 세척기의 구조 및 작동은 상술한 제 1실시예를 참고하여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먼저,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보조 수납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보조 수납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보조 수납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보조 수납부(200a)는 식기 세척기(100)의 제 1수납부(150) 또는 제 2수납부(150)에 안착되는 함체 형상의 본체(210a)와, 본체(210a)의 상면에 결합되며 본체(210a)에 수납되는 식기의 수납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덮개(220a)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210a)는 상면이 개방되는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 단면에 덮개(220a)가 안착되는 안착부(212a)가 형성된다. 여기서, 안착부(212a)는 후술할 덮개(220a)의 외측 장착부(223a)가 삽입되어 장착되거나, 후술할 덮개(220a)의 내측 장착부(225a)에 삽입된다. 따라서, 안착부(212a)의 외측면은 덮개(220a)의 내측 장착부(225a)에 대응되며, 안착부(212a)의 내측면은 덮개(220a)의 외측 장착부(223a)에 대응된다.
한편, 본체(210a)의 각 측면에는 식기 세척기(100)의 세척수과 공급되거나 식기의 세척수가 배수되기 위한 다수의 연통홀(216a)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유입된 세척수가 배수되기 위한 다수의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된다. 여기서, 본체(210a)의 측면에 형성되는 연통홀(216a) 및 본체(210a)의 하면에 형성되는 관통홀은 상술한 제 1실시예의 설명을 참고하여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 덮개(220a)는 하면이 개방되는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덮개(220a)를 관통하여 거치되는 숟가락의 길이에 따라 덮개(220a)의 상면이 노출되거나 덮개(220a)의 하면이 노출되도록 선택적으로 본체(210a)의 상부에 형성되는 안착부(212a)에 장착된다.
이러한 덮개(220a)는 식기가 삽입되어 거치되는 다수의 삽입홀(222a)이 형성되는 수납면(221a)과, 수납면(221a)의 외주면에서 수납면(221a)의 일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외측 장착부(223a)와, 외측 장착부(223a)에서 확장되어 연장되고 본체(210a)의 안착부(212a)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내측 장착부(225a)가 형성되는 확장부(224a)가 형성된다.
여기서, 수납면(221a)에 형성되는 다수의 삽입홀(222a)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크기로 형성되며, 각각의 삽입홀(222a)에는 하나 이상의 식기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수납면(221a) 및 수납면에 형성되는 삽입홀(222a)은 상술한 제 1실시예의 설명을 참고하여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확장부(224a)의 내측에 형성되는 내측 장착부(225a)의 경우 본체(210a)의 안착부(212a) 외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측 장착부(223a)의 경우 본체(210a)의 안착부(212a)의 내측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2실시에에 따른 보조 수납부(200a)의 경우 수납되는 식기의 길이가 비교적 길 경우에는 덮개(220a)의 수납면(221a)이 상측을 향하는 상태에서 덮개(220a)의 확장부(224a) 내측에 형성되는 내측 장착부(225a)에 본체(210a)의 안착부(212a)가 삽입되는 상태로 결합된다. 따라서 식기가 삽입되어 거치되는 덮개(220a)의 수납면(221a)과 본체(210a)의 하면의 간격이 멀어지게 되어 비교적 길이가 긴 식기가 덮개(220a)의 수납면(221a) 삽입홀(222a)에 올바르게 삽입되어 거치된다.
그리고, 식기의 길이가 비교적 짧은 경우에는 덮개(220a)의 수납면(221a)이 하측을 향하는 상태에서 덮개(220a)의 외측 장착부(223a)가 본체(210a)의 안착부(212a) 내측에 삽입되는 상태로 결합된다. 따라서 식기가 삽입되어 거치되는 덮개(220a)의 수납면(221a)과 본체(210a)의 하면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어 비교적 길이가 짧은 식기가 덮개(220a)의 수납면(221a) 삽입홀(222a)에 올바르게 삽입되어 거치된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보조 수납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보조 수납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보조 수납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보조 수납부는 식기 세척기(100)의 제 1수납부(150) 또는 제 2수납부(150)에 안착되는 함체 형상의 본체(210b)와, 본체(210b)의 상면에 결합되며 본체(210b)에 수납되는 식기의 수납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덮개(220)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210b)는 상면이 개방되는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에 내측으로 덮개(220b)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확장부(213b)가 형성된다. 여기서, 확장부(213b)는 후술할 덮개(220b)의 상부 장착부(224b)가 삽입되어 장착되거나, 덮개(220b)의 하부 장착부(225b)가 삽입된다. 따라서, 확장부(213b)의 내측면은 덮개(220b)의 상부 장착부(224b) 및 하부 장착부(225b)의 형상에 대응된다. 한편, 확장부(213b)의 내측 하부에는 삽입되는 덮개(220b)의 상부 장착부(224b) 또는 하부 장착부(225b)를 지지하기 위한 안착단턱(214b)이 형성되며, 안착단턱(214b)에 의해 덮개의 삽입이 제한된다.
한편, 본체(210b)의 각 측면에는 식기 세척기(100)의 세척수과 공급되거나 식기의 세척수가 배수되기 위한 다수의 연통홀(216b)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유입된 세척수가 배수되기 위한 다수의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된다. 여기서, 본체(210b)의 측면에 형성되는 연통홀(216b) 및 본체(210b)의 하면에 형성되는 관통홀은 상술한 제 1실시예의 설명을 참고하여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 덮개(220b)는 하면이 개방되는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덮개(220b)를 관통하여 거치되는 숟가락의 길이에 따라 덮개(220b)의 상면이 노출되거나 덮개(220b)의 하면이 노출되도록 선택적으로 본체(210b)의 상부에 형성되는 안착단턱(214b)에 장착된다.
이러한 덮개(220b)는 식기가 삽입되어 거치되는 다수의 삽입홀(222b)이 형성되는 수납면(221b)과, 수납면(221b)의 외주면에서 수납면(221b)의 일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부 장착부(224b) 및 하부 장착부(225b)를 형성하는 리브(223b)가 형성된다.
여기서, 리브(223b)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장착부(224b)와, 리브(223b)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장착부(225b)는 동일한 외주면을 갖으며, 상부 장착부(224b) 및 하부 장착부(225b)는 본체(210b)의 확장부(213b)의 내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수납면(221b)에 형성되는 다수의 삽입홀(222b)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크기로 형성되며, 각각의 삽입홀(222b)에는 하나 이상의 식기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수납면(221b) 및 수납면에 형성되는 삽입홀(222b)은 상술한 제 1실시예의 설명을 참고하여 이해하여야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3실시에에 따른 보조 수납부(200b)의 경우 수납되는 식기의 길이가 비교적 길 경우에는 덮개(220b)의 수납면(221b)이 상측을 향하는 상태에서 덮개(220b)의 하부 장착부(225b)가 본체(210b)의 확장부(213b)에 삽입되어 하부 장착부(225b)의 단부가 안착단턱(214b)에 지지된다. 따라서 식기가 삽입되어 거치되는 덮개(220b)의 수납면(221b)과 본체(210b)의 하면의 간격이 멀어지게 되어 비교적 길이가 긴 식기가 덮개(220b)의 수납면(221b) 삽입홀(222b)에 올바르게 삽입되어 거치된다.
그리고, 식기의 길이가 비교적 짧은 경우에는 덮개(220b)의 수납면(221b)이 하측을 향하는 상태에서 덮개(220b)의 상부 장착부(224b)가 본체의 확장부(213b)에 삽입되어 상부 장착부(224b)의 단부(또는 수납면(221b)의 외주부)가 안착단턱(214b)에 지지된다. 따라서 식기가 삽입되어 거치되는 덮개(220b)의 수납면(221b)과 본체(210b)의 하면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어 비교적 길이가 짧은 식기가 덮개(220b)의 수납면(221b) 삽입홀(222b)에 올바르게 삽입되어 거치된다.
이하, 도 13 내지 도 1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보조 수납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보조 수납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14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보조 수납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보조 수납부는 식기 세척기(100)의 제 1수납부(150) 또는 제 2수납부(150)에 안착되는 함체 형상의 본체(210c)와, 본체(210c)의 상면에 결합되며 본체(210c)에 수납되는 식기의 수납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덮개(220c)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210c)는 상면이 개방되는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 단면에 덮개(220c)가 안착되는 안착단(218c)이 형성된다. 여기서, 안착단(218c) 후술할 덮개(220c)의 거치리브(224c)에 형성되는 상부 거치면(226c) 또는 하부 거치면(228c)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안착단(218c)의 내주면은 후술할 덮개(220c)의 리브(223c)가 삽입되도록 리브(223c)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본체(210c)의 각 측면에는 식기 세척기(100)의 세척수과 공급되거나 식기의 세척수가 배수되기 위한 다수의 연통홀(216c)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유입된 세척수가 배수되기 위한 다수의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된다. 여기서, 본체(210c)의 측면에 형성되는 연통홀(216c) 및 본체(210c)의 하면에 형성되는 관통홀은 상술한 제 1실시예의 설명을 참고하여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 덮개(220c)는 하면이 개방되는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덮개(220c)를 관통하여 거치되는 숟가락의 길이에 따라 덮개(220c)의 상면이 노출되거나 덮개(220c)의 하면이 노출되도록 선택적으로 본체(210c)의 상부에 형성되는 안착단(218c) 내측에 삽입된다.
이러한 덮개(220c)는 식기가 삽입되어 거치되는 다수의 삽입홀(222c)이 형성되는 수납면(221c)과, 수납면(221c)의 외주면에서 수납면(221c)의 일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리브(223c)와 리브(223c)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어 본체(210c)의 안착단(218c)에 거치되는 상부 거치면(226c) 및 하부 거치면(228c)이 형성되는 거치리브(224c)가 형성된다.
여기서, 리브(223c)는 상부 및 하부는 동일한 외주면을 갖으며, 상부 및 하부는 본체(210c)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본체(210c)의 내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수납면(221c)에 형성되는 다수의 삽입홀(222c)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크기로 형성되며, 각각의 삽입홀(222c)에는 하나 이상의 식기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수납면(221c) 및 수납면에 형성되는 삽입홀(222c)은 상술한 제 1실시예의 설명을 참고하여 이해하여야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4실시에에 따른 보조 수납부(200c)의 경우 수납되는 식기의 길이가 비교적 길 경우에는 덮개(220c)의 수납면(221c)이 상측을 향하는 상태에서 덮개(220c)의 리브(223c) 하부가 본체(210c)의 상부 내측에 삽입되고 거치리브(224c)의 하부 거치면(228c)이 안착단(218c)에 지지된다. 따라서 식기가 삽입되어 거치되는 덮개(220c)의 수납면(221c)과 본체(210c)의 하면의 간격이 멀어지게 되어 비교적 길이가 긴 식기가 덮개(220c)의 수납면(221c) 삽입홀(222c)에 올바르게 삽입되어 거치된다.
그리고, 식기의 길이가 비교적 짧은 경우에는 덮개(220c)의 수납면(221c)이 하측을 향하는 상태에서 덮개(220c)의 상부가 본체(210c)의 상부 내측에 삽입되고 거치리브(224c)의 상부 거치면(226c)이 안착단(218c)에 지지된다. 따라서 식기가 삽입되어 거치되는 덮개(220c)의 수납면(221c)과 본체(210c)의 하면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어 비교적 길이가 짧은 식기가 덮개(220c)의 수납면(221c) 삽입홀(222c)에 올바르게 삽입되어 거치된다.
이하, 도 16 내지 도 1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보조 수납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보조 수납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17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보조 수납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보조 수납부는 식기 세척기(100)의 제 1수납부(150) 또는 제 2수납부(150)에 안착되는 함체 형상의 본체(210d)와, 본체(210d)의 상면에 결합되며 본체(210d)에 수납되는 식기의 수납 깊이를 조절할 수 있는 덮개(220d)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210d)는 상면이 개방되는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주면 소정부에 덮개(220d)가 안착되는 안착리브(218d)가 형성된다. 여기서, 안착리브(218d)는 후술할 덮개(220d)에 형성되는 상부 장착단(224d) 또는 하부 장착단(225d)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체(210d)의 내주면은 후술할 덮개(220d)의 리브(223d)가 삽입되도록 리브(223d)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본체(210d)의 각 측면에는 식기 세척기(100)의 세척수과 공급되거나 식기의 세척수가 배수되기 위한 다수의 연통홀(216d)이 형성되고, 하면에는 유입된 세척수가 배수되기 위한 다수의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된다. 여기서, 본체(210d)의 측면에 형성되는 연통홀(216d) 및 본체(210d)의 하면에 형성되는 관통홀은 상술한 제 1실시예의 설명을 참고하여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 덮개(220d)는 하면이 개방되는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덮개(220d)를 관통하여 거치되는 숟가락의 길이에 따라 덮개(220d)의 상면이 노출되거나 덮개(220d)의 하면이 노출되도록 선택적으로 본체(210d)의 내측에 삽입되어 안착리브(218d)에 지지된다.
이러한 덮개(220d)는 식기가 삽입되어 거치되는 다수의 삽입홀(222d)이 형성되는 수납면(221d)과, 수납면(221d)의 외주면에서 수납면(221d)의 일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리브(223d)가 형성된다. 여기서 리브(223d)의 하측 단부는 하부 장착단(225d), 수납면(221d)의 외주면은 상부 장착단(224d)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수납면(221d)에 형성되는 다수의 삽입홀(222d)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크기로 형성되며, 각각의 삽입홀(222d)에는 하나 이상의 식기가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수납면(221d) 및 수납면에 형성되는 삽입홀(222d)은 상술한 제 1실시예의 설명을 참고하여 이해하여야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5실시에에 따른 보조 수납부(200d)의 경우 수납되는 식기의 길이가 비교적 길 경우에는 덮개(220d)의 수납면(221d)이 상측을 향하는 상태에서 덮개(220d)의 리브(223d) 하부가 본체(210d)의 상부 내측에 삽입되고 리브(223d)의 하부 장착단(225d)이 본체(210d)의 안착리브(218d)에 지지된다. 따라서 식기가 삽입되어 거치되는 덮개(220d)의 수납면(221d)과 본체(210d)의 하면의 간격이 멀어지게 되어 비교적 길이가 긴 식기가 덮개(220d)의 수납면(221d) 삽입홀(222d)에 올바르게 삽입되어 거치된다.
그리고, 식기의 길이가 비교적 짧은 경우에는 덮개(220d)의 수납면(221d)이 하측을 향하는 상태에서 덮개(220d)의 상부가 본체(210d)의 상부 내측에 삽입되고 덮개(220d)의 상부 장착단(224d)이 본체의 안착리브(218d)에 지지된다. 따라서 식기가 삽입되어 거치되는 덮개(220d)의 수납면(221d)과 본체(210d)의 하면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어 비교적 길이가 짧은 식기가 덮개(220d)의 수납면(221d) 삽입홀(222d)에 올바르게 삽입되어 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조 수납부(200, 200a, 200b, 200c, 200d)에 수납되는 숟가락의 경우 일정한 높이로 적재될 때 각 분사부(132, 133, 134)에서 분사되는 세척수가 일정하게 공급될 수 있어 세척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즉, 식기 세척기의 각 분사부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경우 일정한 위치로 공급되며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수납부(200, 200a, 200b, 200c, 200d)의 경우 보조 수납부(200, 200a, 200b, 200c, 200d)에 수납되는 식기의 길이에 따라 식기가 수납되는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세척 효율을 증대 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100: 세척기 120: 케이스
130: 세척조 140: 구동부
150: 제 1수납부 160: 제 2수납부
170: 제 3수납부 200: 보조 수납부
210: 본체 220: 덮개

Claims (15)

  1. 식기가 적재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식기가 수납되는 수납면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 상부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체결됨에 따라 상기 수납면의 높이가 가변되는 덮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수납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덮개의 수납면의 간격을 제한하는 장착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수납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덮개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덮개의 장착위치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수납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본체의 상부가 확장되어 상기 본체의 내측에 상기 덮개가 안착되는 안착단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수납부.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덮개가 안착되는 안착리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수납부.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덮개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에 상기 덮개가 장착될 때 상기 본체에 거치되어 상기 덮개의 장착 위치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수납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덮개에 하부가 확장되어 상기 본체의 상단부에 거치되는 확장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보조 수납부.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덮개의 외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본체에 거치되는 거치리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수납부.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다수의 연통홀이 형성되는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덮개는 상기 수납면에 식기가 삽입되어 거치되는 다수의 삽입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수납부.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부에 상기 덮개가 안착되는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는 외주면 상부에 상기 장착부에 결합되는 상부 장착부와, 외주면 하부에 상기 장착부에 결합되는 하부 장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수납부.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수납면의 외주면에서 연장되는 리브 및 상기 리브의 중앙부에서 연장 돌출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장착부는 상기 걸림턱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하부 장착부는 상기 걸림턱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수납부.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수납면에 대하여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수납부.
  13. 세척 공간을 형성하는 세척조와, 상기 세척조 내부에 인출가능하게 구비되며 식기가 수납되는 수납부과, 상기 수납부에 적재되는 보조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 및 상기 보조 수납부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분사부를 포함하는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보조 수납부는
    식기가 적재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함체 형상의 본체와, 상기 식기가 삽입되어 거치되는 수납면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 상부에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체결됨에 따라 상기 수납면의 높이가 가변되는 덮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덮개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본체와 상기 덮개의 수납면의 간격을 제한하는 장착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수납부.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면에 식기가 삽입되는 다수의 삽입홀이 형성되는 수납면이 구비되고, 상기 수납면 외주면 하부에 상기 본체에 정방향으로 장착되기 위한 하부 장착부 및 상기 수납면 외주면 상부에 상기 본체에 역방향으로 장착되기 위한 상부 장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KR1020150123558A 2015-09-01 2015-09-01 보조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KR201700270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558A KR20170027082A (ko) 2015-09-01 2015-09-01 보조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3558A KR20170027082A (ko) 2015-09-01 2015-09-01 보조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7082A true KR20170027082A (ko) 2017-03-09

Family

ID=58402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3558A KR20170027082A (ko) 2015-09-01 2015-09-01 보조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708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21641A (ko)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KR102360336B1 (ko) 식기 세척기의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KR20170021598A (ko)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JP2011078572A (ja) 食器洗浄機
JP6437418B2 (ja) 食洗機能付きシンク
KR101366287B1 (ko) 식기 수납체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JP2011078573A (ja) 食器洗浄機
JP4653349B2 (ja) 食器洗浄機
KR20170027082A (ko) 보조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JP5974284B2 (ja) 食器洗い機
JP2017176319A (ja) 食器洗い機
JP6064164B2 (ja) 食器洗い機
KR20170021599A (ko)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KR20170036393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KR20220001801U (ko) 싱크대의 개수대
JP2010252841A (ja) 食器洗浄機
KR20170021601A (ko) 보조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KR101366286B1 (ko) 식기 세척기
JP2011147631A (ja) 食器洗浄機
KR101240801B1 (ko) 수저류 수납 구조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
CN111184489A (zh) 餐具清洗机
KR200405509Y1 (ko) 손빨래 세탁대
KR20170037181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수납부 및 이를 이용한 식기 세척기
JP2005000226A (ja) 食器洗浄機の食器かご
JP2007282755A (ja) 食器洗い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