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0196B1 - 다용도 시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다용도 시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0196B1
KR102360196B1 KR1020190136122A KR20190136122A KR102360196B1 KR 102360196 B1 KR102360196 B1 KR 102360196B1 KR 1020190136122 A KR1020190136122 A KR 1020190136122A KR 20190136122 A KR20190136122 A KR 20190136122A KR 102360196 B1 KR102360196 B1 KR 102360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esin
sheet composition
rubber
polyolefin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6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1183A (ko
Inventor
지영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친환경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친환경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친환경테크
Priority to KR1020190136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0196B1/ko
Publication of KR20210051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1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1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8L9/02Copolymers with acrylonitri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8L9/06Copolymers with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08K2003/265Calcium, strontium or barium carbon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용도에 사용 적용되는 시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무용품, 산업용 완충재, 수지 케이스, 가방, 가구, 생활용품 등 다용도로 적용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폴리올레핀(Ployolefin) 수지를 기본으로 하고 고무성분, 무기 안료 및 친환경 물질을 적정 비율로 혼합하여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켜 폴리올레핀(Ployolefin) 수지의 한계를 보완하여 내구성이 우수하고 연성, 경량성, 융착성 및 성형성을 증진시킨 다용도 시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폴리올레핀 수지 40 ~ 60중량%, 고무34 ~ 42중량% 및 무기 안료 3 ~ 8중량%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 3~10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고무는 NBR(Acrylonitrile Butadiene Rubber)이며,
상기 무기 안료는 산화티타늄, 수산화알루미늄, 벤토나이트(bentonite), 황산바륨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안료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용융지수(230℃, 2.16kg)가 3.0 ~ 15.0 g/10분으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다용도 시트 조성물과,
상기 조성물은 활제, 분산제 및 특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다용도 시트 조성물과,
상기 시트는 사무용품, 산업용 완충재 및 수지 케이스, 가방, 가구, 생활용품에 적용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용도 시트 조성물과,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에틸렌(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XLPE)중 어느하나로 한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시트 조성물"을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시트 조성물은 연성, 경량성, 융착성 및 성형성이 증진되는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다양한 포장 또는 장식용 시트, 특히, 사무용 바인더 및 수지 케이스를 포함하여 기타 가방, 가구, 생활용품 등 다양한 제품에 적용 사용하여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폴리올레핀(Ployolefin) 수지의 단점인 충격강도, 연성, 신율 등을 극복하기 위해 고무 및 무기 안료를 포함함으로서 PVC 대체로 매우 유용하고, 특히 다이옥신이나 기타 환경유해물질의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가소제 혼입이 필요없고 이산화탄소의 발생을 감소하고 경량화된 장점이 있는 친환경적인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다용도 시트 조성물{Multipurpose Sheet Composition}
본 발명은 다양한 용도에 사용 적용되는 시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무용품, 산업용 완충재, 수지 케이스, 가방, 가구, 생활용품 등 다용도로 적용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폴리올레핀(Ployolefin) 수지를 기본으로 하고 고무성분, 무기 안료 및 친환경 물질을 적정 비율로 혼합하여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켜 폴리올레핀(Ployolefin) 수지의 한계를 보완하여 내구성이 우수하고 연성, 경량성, 융착성 및 성형성을 증진시킨 다용도 시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기존 시트용 소재로는 대부분 폴리염화비닐(PVC) 소재가 이용되는데, 이는 물성 및 성형성이 우수하나, 염화비닐 수지에 가소제를 함침하여 가소성을 부여하기 때문에, 소각 시 다이옥신과 같은 유독 가스가 발생하여 인체 및 환경에 유해한 문제가 항상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체 재료로서 프로필렌계 수지를 이용한 시트가 제시되고 있다. 프로필렌계 수지는 내열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내약품성 및 전기절연성 등이 우수하며 무독성으로 플라스틱 필름 및 시트 등의 용도로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 프로필렌계 수지는 고유의 점착 특성으로 인해 캘린더 방식 가공시 롤 표면에 붙는 현상이 발생하며, 특히 시트용 가소화 폴리 염화 비닐 성형체와 같이 연성을 부여할 경우 점착이 더욱 심해져 성형이 어렵고 성형 제품의 표면 및 외관 품질도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캘린더 방식 성형을 위한 가공 안정성과 표면 품질이 우수한 제품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지금까지 캘린더 가공이 가능하도록 개발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중에는 성형성이 우수한 제품이 있으나 이러한 수지는 가소화 폴리 염화 비닐과 같은 연성이 없고 내열성이 낮거나, 성형 안정성 확보를 위해 수지 조성물에 제한을 두고 있으며, 이로 인해 표면 품질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표면 품질 향상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원재료 변경이나 생산 속도 조절 등이 필요하게 되며 원재료 변경시 고가의 원재료를 첨가하거나 생산 속도 조절에 따른 생산성 저하로 원가상승이 수반하게 된다. 따라서 기본 프로필렌계 수지를 바탕으로 캘린더 성형성이 우수하고 외관 품질이 양호한 수지 조성물의 개발은 캘린더 성형 데코시트 생산 및 관련 산업에 매우 중요하다. 종래, 데코시트용 소재로 사용되고 있는 가소화 폴리 염화 비닐 소재는 물성 및 성형성이 우수하나, 환경문제 발생의 여지가 있는 화학 제품을 사용해야 하고 이에 대한 대체 재료로 부각되고 있는 폴리올레핀 수지는 캘린더 성형이 어렵고 외관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특허출원 제10-2000-0052800호 한국 특허출원 제10-2014-0021754호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폴리올레핀(Ployolefin) 수지, 고무 및 무기 안료와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적정 비율로 포함하고, 폴리올레핀(Ployolefin) 수지의 용융점도를 조절하여 연성, 경량성, 융착성 및 성형성이 증진된 다용도 시트 조성물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폴리올레핀 수지 40 ~ 60중량%, 고무34 ~ 42중량% 및 무기 안료 3 ~ 8중량%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 3~10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고무는 NBR(Acrylonitrile Butadiene Rubber)이며,
상기 무기 안료는 산화티타늄, 수산화알루미늄, 벤토나이트(bentonite), 황산바륨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안료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용융지수(230℃, 2.16kg)가 3.0 ~ 15.0 g/10분으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다용도 시트 조성물과,
삭제
삭제
상기 시트는 사무용품, 산업용 완충재 및 수지 케이스, 가방, 가구, 생활용품중 어느 하나에 적용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용도 시트 조성물과,
삭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에틸렌(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XLPE)중 어느하나로 한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시트 조성물"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시트 조성물은 연성, 경량성, 융착성 및 성형성이 증진되는 장점을 갖는다. 따라서 다양한 포장 또는 장식용 시트, 특히, 사무용 바인더 및 수지 케이스를 포함하여 기타 가방, 가구, 생활용품 등 다양한 제품에 적용 사용하여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동절기 폴리올레핀 소재의 단점인 저온 충격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였고,
또한, 폴리올레핀(Ployolefin) 수지의 단점인 충격강도, 연성, 신율 등을 극복하기 위해 고무 및 무기 안료를 포함함으로서 PVC 대체로 매우 유용하고, 특히 다이옥신이나 기타 환경유해물질의 발생되지 아니하도록 가소제 혼입이 필요없고 낮은 밀도의 물질로 이산화탄소의 발생을 감소하고 경량화된 장점이 있는 친환경적인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시트 조성물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시트 조성물은 폴리올레핀 수지 40 ~ 60중량%, 고무34 ~ 42중량% 및 무기 안료 3 ~ 8중량%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 3~30 중량% 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용융지수(230℃, 2.16kg)가 3.0 ~ 15.0 g/10분이고, 상기 고무는 SBR(Styrene Butadiene Rubber), NBR(Acrylonitrile Butadiene Rubber) 및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중 선택한 것을 포함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폴리올레핀은 모노머로서 간단한 올레핀(일반식 CnH2n을 갖는 알켄으로도 불림)으로부터 중합되어 제조된 폴리머의 유형으로서, 이중결합을 1개 이상 가지고 있는 사슬 또는 고리형 불포화 탄화수소의 종합체를 뜻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의 폴리올레핀은 에틸렌 모노머을 중합시켜 만든 것이다.
폴리올레핀은 밀도에 따라 다른 특성을 보이기 때문에 밀도를 기준으로 제품을 구분한다. 대체로 밀도가 낮으면 액체나 고무와 같은 탄성(Elasticity)을 가지며 밀도가 높은 경우 가소성(Plasticity)를 가지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의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에틸렌(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XLPE)중 어느 하나로 한정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삭제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올레핀(Ployolefin) 수지는 용융지수(230℃, 2.16kg)가 3.0 ~ 15.0 g/10분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 5g/10분이다. 이러한 용융지수 범위에서 적절한 시트의 연성 및 가공 성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폴리올레핀(Ployolefin) 수지의 밀도는 0.850~0.950 g/cm3 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레핀(Ployolefin)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50,000 ~ 500,000 g/mol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레핀(Ployolefin) 수지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40 ~ 58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0 ~ 70중량%이다. 이러한 함량 범위에서 적정 수준의 연성,성형성, 인장 특성 및 기계적 강도를 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무는 시트의 연성을 높여주고, 융착성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무 성분으로는 SBR(Styrene Butadiene Rubber), BR(Butadiene Rubber), IIR(Isoprene Rubber), CR(Chloroprene Rubber), NBR(Acrylonitrile Butadiene Rubber) 및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SBR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SBR 및 NBR을 1:1 내지 2:1로 혼합한 것이다. SBR 및 NBR 블렌드물을 사용하는 경우, 특히 시트 성형성 및 융착성 증진효과가 뛰어나다.
상기 고무 성분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32 ~ 42중량%로 함유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0 ~ 50중량%이다. 이러한 함량범위에서 시트의 연성 특성 향상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서 상기 무기 안료는 시트에 착색성을 부여하고, 시트의 표면 경도를 향상시키고, 은폐력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상기 무기 안료로는 산화티타늄, 산화알루미늄, 산화아연, 산화철, 산화크롬, 산화코발트, 황화아연, 수산화알루미늄, 카올린, 탈크, 벤토나이트(bentonite), 새틴화이트(satin white), 탄산칼슘, 황산칼슘, 황산바륨, 울트라마린(ultramarine), 비스무스 바나데이트(Bismuth Vanadate)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무기안료는 입자크기가 0.5 내지 100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 이다. 이러한 입자크기 범위에서 주재료인 폴리올레핀(Ployolefin) 수지와의 분산성이 저하되지 않아, 적절한 인장 특성 및 내충격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무기안료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3 ~ 8중량%로 함유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 ~ 7중량%이다. 이러한 함량범위에서 시트의 은폐력 및 표면경도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더욱 다양한 색상 발현을 위해, 당업계에 공지된 유기 안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유기 안료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5 ~ 10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외에 활제, 열안정제 및 기타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타 첨가제로는 산화방지제, 자외선안정제, 대전방지제, 난연제, 항균제 등이 있다.
상기 활제로는 상기 활제는 원유를 정제하여 얻어지는 파라핀 왁스, 폴리올레핀 왁스, 폴리프로필렌 왁스 등의 탄화수소계 활제; 스테라마이드, 올레아미이드, 에루카마이드 등의 지방산 아미드계 활제; 부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롤 모노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린 모노 올레이트 (Glycerine MonoOleate),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및 몬탄산을 반응시킨 몬탄계 왁스 등의 에스테르계 활제; 스테아린산 계통의 금속염계 활제; 스테아린산, 라우릴산 등의 지방산계 활제; 또는 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등의 알코올계 활제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 가능하다. 특히, 폴리올레핀계 왁스 중 중합법으로 제조된 폴리에틸렌 왁스나 메탈로센 기술로 중합된 폴리프로필렌 왁스, 몬탄산을 반응시켜 제조한 폴리올레핀(Ployolefin)왁스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중합법으로 제조된 폴리에틸렌 왁스와 몬탄계 폴리올레핀(Ployolefin)왁스의 혼합하여 사용한다.
상기 열안정제는 페놀계 산화방지제, HALS (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계 산화방지제 또는 아민계 산화 방지제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페놀계 산화방지제로서, 그 예로서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터트-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Tetrakis[methylene-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methane), 트리스(3,4-디-터트-부틸-4-히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Tris(3,4-di-tert-butyl-4-hydroxybenzyl)isocyanurate), 1,3,5-트리메틸 2,4,6-트리스(3,5-디-터트-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 (1,3,5-trimrthyl 2,4,6-tris(3,5-di-tert-butyl-4-hydroxybenzl) benzene), 1,1,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터트-부틸-페놀)부탄 (1,1,3-tris(2-methyl-4-hydroxy-5-tert-butyl-phenol)butane)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기타 첨가제는 금속불활성화제, 인계 또는 유황계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금속불활성화제, 인계 산화방지제 및 유황계 산화방지제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이 밖에도, 상기 기타 첨가제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산화방지제, 중화제, 핵제, 대전방지제, 슬립제 등이다. 또한, 이들을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정 함량범위 내에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Ployolefin)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의 각 성분들을 원하는 순서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하여 혼합할 수 있는데, 통상 상기 각 성분들과 기타 첨가제를 필요한 양으로 첨가하여, 니더, 롤, 반바리 믹서 등의 혼련기와 1축 또는 2축 압출기 등을 사용하여 혼련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반바리 믹서, 싱글스크류 압출기, 트윈스크류 압출기, 다륜스크류 압출기 등의 일반적인 용융 혼련기를 이용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혼련은 170~250℃의 온도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캘린더 성형 가공성이 우수하고,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제품의 외관 품질 및 내열성과 인쇄성, 접착성이 양호하며, 연성 특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기존 가소화 폴리 염화 비닐 소재를 사용하는 캘린더 설비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품질을 갖는 시트로 성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은 특히 가구 및 건축 내외장재, 가전용 표면소재, 점착형 인테리어 필름, 샤시 렙핑 등의 데코시트 재료로 유용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의 필름 성형에 사용되는 캘린더 성형 장치로서는 직렬형, L형, 반대 L형, Z형 등 당업계에 공지된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성형 조건으로서, 수지 온도는 170~300℃, 바람직하게는 180~260℃이고, 롤 온도는 120~300℃, 바람직하게는 140~240℃이다.
[ 실시예 ]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삭제
실시예 1~2, 비교예 1~2. 폴리올레핀(Ployolefin) 시트 제조
시트 조성물의 각 구성성분이 본 발명의 조성 범위에 포함되도록 하여 실시예 1~2의 필름을 제조하고, 본 발명의 조성 범위에서 벗어나도록 조절하여 비교예 1~2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구체적 제조방법은 하기와 같다.
하기 표 1의 조성을 갖도록 각 성분을 조절하고 각각의 함량으로 혼합하여 블렌드물을 얻었다. 이 블렌드물을 T-DIES 압출기에 메인 호퍼(hopper)에 투입하였다. 이때 실린더 온도는 고무 성분이 열에 약하기 때문에 혼련 가능한 최소 온도인 170~220℃로 맞추고, 압출량 50kg/시간, 스크류 회전수 250 rpm 조건에서 혼련하였으며, 고온 압출 혼련 시 고무 성분의 열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압출기 온도를 최대한 낮추어 200℃에서 압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0.1mm 두께의 시트를 제조하였다.
* 구성 성분
(1) 폴리올레핀(Ployolefin) 수지 : 한화토탈 사의 용융지수(MI) = 4.5g/10분인 폴리올레핀(Ployolefin) 수지 제품을 사용하였다.
(2) 고무성분 : Engage 사의 SBR, NBR을 1:1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3) 무기안료 : 평균 입경이 5.4 ㎛인 이산화티타늄(TiO2)를 사용하였다.
(4) 기타 첨가제 : 산화방지제 - IRGANOX 1010, 활제 - 스테아린산 아연(송원산업), 안정제 - 4,4'-티오-비스(6-t-부틸-3-메틸페놀)(YOSHITOMI SR)
(단위 : 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폴리올레핀(Ployolefin) 55 60 75 65
고무 25 26 3.5 28
무기안료 5 7 8 -
시험예. 시트의 물성 측정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된 시트의 물성을 측정하였다(표 2).
각 물성에 대한 측정 기준은 하기와 같다.
* 용융지수 : ASTM D1238에 의거하여 230℃, 2.16kg에서 측정
* 인장신율 : ASTM D638에 의거하여 측정
* 굴곡 탄성율 : ASTM D790에 의거하여 측정
* 성형성 : 시트 성형품의 두께 균일성 및 표면상태(매끈한 정도)를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우수 ○ 양호 △보통 × 불량)
* 융착성 : 시트 두 장을 겹친 후, 고주파 융착처리한 후, 시트의 접착 정도, 고주파에 의한 시트 표면의 굴곡 형성 정도를 기준으로 판단하였다. (◎ 우수 ○ 양호 △보통 × 불량)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용융지수 3.2 5.2 3.0 5.0
인장신율(%) 380 300 200 250
굴곡탄성율(kg/cm2) 10,000 11,000 8,000 7,500
성형성
융착성 ×
그 결과, 상기 표 2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조성 범위에 포함되는 실시예 1~2의 시트가 비교예 1~2의 시트에 비해 연성, 탄성률, 성형성 및 융착성이 모두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Claims (6)

  1. 폴리올레핀 수지 40 ~ 60중량%, 고무34 ~ 42중량% 및 무기 안료 3 ~ 8중량% 및 폴리프로필렌 수지 3~10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고무는 NBR(Acrylonitrile Butadiene Rubber)이며,
    상기 무기 안료는 산화티타늄, 수산화알루미늄, 벤토나이트(bentonite), 황산바륨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안료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용융지수(230℃, 2.16kg)가 3.0 ~ 15.0 g/10분으로 이루어진 것을 포함하는 다용도 시트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사무용품, 산업용 완충재 및 수지 케이스, 가방, 가구, 생활용품중 어느 하나에 적용 사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용도 시트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에틸렌(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XLPE)중 어느하나로 한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시트 조성물.
KR1020190136122A 2019-10-30 2019-10-30 다용도 시트 조성물 KR102360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122A KR102360196B1 (ko) 2019-10-30 2019-10-30 다용도 시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6122A KR102360196B1 (ko) 2019-10-30 2019-10-30 다용도 시트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183A KR20210051183A (ko) 2021-05-10
KR102360196B1 true KR102360196B1 (ko) 2022-02-08

Family

ID=75917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6122A KR102360196B1 (ko) 2019-10-30 2019-10-30 다용도 시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019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88020A (ja) * 2012-10-02 2014-05-15 Sumitomo Bakelite Co Ltd 物品および積層体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736244T2 (de) 1996-10-25 2007-05-31 Biogen Idec Ma Inc., Cambridge Lösliche lymphotoxin-beta rezeptoren, anti-lymphotoxin-antikörper und anti-lymphotoxin ligand antikörper als therapeutische wirkstoffe zur behandlung von immunologischen krankheiten
KR101389323B1 (ko) 2012-08-09 2014-04-29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광경화성수지를 이용한 위상격자 하이브리드 렌즈, 광경화성수지를 이용한 위상격자 하이브리드 렌즈 제조방법
KR101470127B1 (ko) * 2013-02-27 2014-1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88020A (ja) * 2012-10-02 2014-05-15 Sumitomo Bakelite Co Ltd 物品および積層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1183A (ko) 2021-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8536B2 (e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with anti-scratch characteristics
CN105209529B (zh) 包含基于丙烯的弹性体的发泡组合物,由其制得的制品及其制备方法
US10844207B2 (en)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having advanced vibration isolation and thermal resistance, and molded article manufactured therefrom
US20120252917A1 (en) Polymer compositions, methods of making the same, and articles prepared from the same
US8232339B2 (en) Production of molded fibrous basic magnesium sulfate filler-containing olefin polymer composition products
KR102242987B1 (ko) 디스플레이와 터치센싱이 가능한 tpo 시트
CN111925624A (zh) 一种耐高低温柔软隔音材料及其制备方法
CN107805346A (zh) 一种具有柔性触感的聚丙烯材料
KR102360196B1 (ko) 다용도 시트 조성물
US11384225B2 (en) TPO sheet allowing display and touch sensing
KR101091958B1 (ko) 포장 또는 장식용 시트 조성물
US8470920B2 (en) Polyolefin composition for an interior sheet/film
KR20130048426A (ko) 난연성, 내열성 및 성형성이 우수한 비할로겐계 난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2003183488A (ja) ポリ乳酸系樹脂組成物
JP4736587B2 (ja) 複合体製造用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及び複合体
KR102207972B1 (ko) 논슬립성이 우수한 필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논슬립 필름
KR100691464B1 (ko) 데코시트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190076451A (ko) 산화생분해성 필름용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통기성의 산화생분해성 필름
CN110734622A (zh) 一种低油超高流动性tpe
JP6892185B1 (ja) 無機物質粉末充填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KR100466384B1 (ko) 충격흡수용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KR100493573B1 (ko) 캘린더가 가능한 데코시트용 폴리에틸렌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폴리에틸렌 필름 및 시이트의 제조방법
KR102631525B1 (ko) 섬유 질감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JP7367508B2 (ja) 多層ブロー容器
KR102607279B1 (ko) 고분자 수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및 고분자 연신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320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1231

Effective date: 20210722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