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0153B1 - 배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 - Google Patents

배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0153B1
KR102360153B1 KR1020190069541A KR20190069541A KR102360153B1 KR 102360153 B1 KR102360153 B1 KR 102360153B1 KR 1020190069541 A KR1020190069541 A KR 1020190069541A KR 20190069541 A KR20190069541 A KR 20190069541A KR 102360153 B1 KR102360153 B1 KR 102360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support
exhaust
coupled
coupl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9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2367A (ko
Inventor
하춘욱
Original Assignee
(주)씨앤투스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앤투스성진 filed Critical (주)씨앤투스성진
Priority to KR1020190069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0153B1/ko
Publication of KR20200142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2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10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배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는, 마스크에 결합되며, 제1 개구가 형성된 받침부재; 받침부재에 결합되며, 제2 개구가 형성된 캡부재; 및 캡부재에 결합되고 받침부재의 제1 개구를 차단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며, 차단부재는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MASK HAVING EXHAUST VALVE}
본 발명은, 배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기막이 잘 열릴 수 있는 배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분진이나 각종 유해가스 등이 호흡기를 통해 인체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마스크가 사용한다. 마스크는 유독가스 배출이 심한 화학공장이나, 금속가루가 발생되는 금속제련 현장 등에서 작업자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며, 또한, 일상생활에서도 황사 마스크라고 불리는 마스크가 많이 사용된다. 여기서, 마스크에는 공기의 배출을 위한 배기밸브가 장착된 수 있다.
선행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제10-1650033호를 참조하면, 배기밸브에 구비된 흡배기막(22)은 원형(도 4a 참조)으로 형성된다. 하지만, 이와 같이 배기막이 원형으로 형성되면 실제 사용에서 배기막이 잘 열리지 않아 공기 배출이 원활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제10-1650033호(공고일자:2016년08월22일)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단부재가 잘 열릴 수 있는 배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마스크 본체와, 상기 마스크 본체에 결합된 배기밸브를 포함하는 배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배기밸브는, 마스크 본체에 결합되며, 제1 개구가 형성된 받침부재; 상기 받침부재에 결합되며, 제2 개구가 형성된 캡부재; 및 상기 캡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받침부재의 제1 개구를 차단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부재는 다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부재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결합홈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캡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캡부재의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돌기부; 및 상기 돌기부로부터 연장되며 플렉시블한 재질로 마련되고 탄성을 가지는 배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기막은, 상기 돌기부에 결합되는 제1 부; 및 상기 제1 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부와 상기 제1 부가 결합된 부분의 너비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부의 너비가 상기 돌기부의 너비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와 상기 제2 부 사이에 노치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홈은, 상기 돌기부의 결합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돌기부의 결합이 시작되는 외측으로부터 상기 돌기부의 결합이 완료되는 내측으로 갈수록 상기 결합홈의 단면의 폭이 감소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홈의 단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부가 상기 결합홈에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배기막은 상기 캡부재에 대해 기울어지게 상기 캡부재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범위의 경사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제1 개구가 형성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고 상기 돌기부가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어 상기 배기막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안착부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 제1 지지단부; 및 상기 안착부로부터 먼 위치에 형성된 제2 지지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지단부의 높이가 상기 제1 지지단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의 상기 돌기부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고 상기 차단부재의 상기 배기막이 상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될 때를 기준으로 상기 돌기부로부터 상기 배기막의 상기 제1 부를 지나 상기 제2 부까지 곡선 형상으로 휘어지도록, 상기 돌기부와 상기 제2 지지단부는 유사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단부는 상기 돌기부 및 상기 제2 지지단부 모두에 비해 작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지지단부와 상기 제2 지지단부 사이에 연결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단부와 상기 제2 지지단부를 직선으로 연결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의 미리 설정된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지지단부와 상기 제2 지지단부 중 적어도 하나와 직선으로 연결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연결부와 반대 방향으로 상기 제1 연결부의 미리 설정된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지지단부와 상기 제2 지지단부 중 적어도 하나와 직선으로 연결되는 제3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차단부재가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받침부재의 제1 개구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단부재의 돌기부가 캡부재의 결합홈에 결합되도록 마련되어 조립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에서 배기밸브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에서 배기밸브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에서 차단부재가 캡부재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모습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에서 차단부재가 캡부재에 결합되어 있는 모습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A-A'을 따라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에서 차단부재의 배기막이 받침부재의 제1 개구를 개방한 모습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결합' 또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부재와 다른 부재가 직접 결합되거나,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부재가 이음부재를 통해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결합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에서 배기밸브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에서 배기밸브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에서 차단부재가 캡부재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모습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에서 차단부재가 캡부재에 결합되어 있는 모습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의 A-A'을 따라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에서 차단부재의 배기막이 받침부재의 제1 개구를 개방한 모습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10)는, 마스크 본체(20)와, 마스크 본체(20)에 결합되는 배기밸브(30)를 포함한다. 마스크 본체(20)는 일반적인 마스크 본체(20)와 공통된다. 그리고, 배기밸브(30)는 마스크 본체(20)에 결합되어 마스크 본체(20) 내부의 공기를 마스크 본체(20)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이하, 배기밸브(30)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밸브(30)는, 받침부재(100)와, 캡부재(200)와, 차단부재(300)를 포함한다.
받침부재(100)는 마스크 본체(20)에 결합되며 제1 개구(111)가 형성된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받침부재(100)는 베이스부(110)와, 안착부(120)와, 지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10)에는 제1 개구(111)가 형성된다. 마스크 본체(20)에 유입된 공기는 제1 개구(111)를 통해 캡부재(200)측으로 이동하며, 캡부재(200)의 제2 개구(2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안착부(120)는 후술하는 차단부재(300)의 돌기부(31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제1 개구(111)로부터 이격되어 베이스부(110)에 결합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안착부(120)는 베이스부(110)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안착부(120)의 상측은 차단부재(300)의 돌기부(31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차단부재(300)의 돌기부(310)에 대응되는 형상, 예를 들어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30)는 안착부(120)로부터 이격되도록 베이스부(110)에 결합되어 배기막(320)을 지지한다. 즉, 차단부재(300)의 배기막(320)이 지지부(130)에 접촉되어 지지되면서 제1 개구(111)를 폐쇄할 수 있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지지부(130)는 제1 지지단부(131)와, 제2 지지단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단부(131)는 안착부(120)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고, 제2 지지단부(132)는 안착부(120)로부터 먼 위치에 형성되며, 제2 지지단부(132)의 높이가 제1 지지단부(131)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6에서와 같이, 차단부재(300)의 돌기부(310)가 안착부(120)에 안착되고, 차단부재(300)의 배기막(320)이 지지부(130)에 의해 지지될 때를 기준으로, 돌기부(310)로부터 배기막(320)의 제1 부(321)를 지나 제2 부(322)까지 곡선 형상으로 휘어지도록, 안착부(120)와 제2 지지단부(132)는 유사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제1 지지단부(131)는 안착부(120) 및 제2 지지단부(132) 모두에 비해 작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배기막(320)의 제1 부(321)와 제2 부(322)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즉, 안착부(120)와 제2 지지단부(132)는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도 있고, 또는 비슷한 높이를 가질 수도 있다. 그리고, 안착부(120)와 제2 지지단부(132) 사이에 위치한 제1 지지단부(131)는 안착부(120)보다 낮고, 또한 제2 지지단부(132)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차단부재(300)의 배기막(320)은 곡선 형상으로 휘어진 상태로 받침부재(100)의 지지부(130)에 접촉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차단부재(300)의 배기막(320)이 받침부재(100)의 제1 개구(111)를 폐쇄할 수 있다. 여기서, 배기막(320)은 탄성을 가지는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기막(320)은 실리콘 재질로 제작되어 실리콘 자체의 텐션에 의해 제1 개구(111)를 폐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 마스크의 배기밸브의 경우, 배기밸브에 구비된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가 결합될 때, 종래 배기밸브의 배기막에 자체 텐션 내지 탄성이 없으므로 상부 케이스에 형성된 리브들이 배기막에 접촉되어 배기막을 강제로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배기밸브의 배기막이 하부 케이스에 형성된 구멍을 완전히 막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경우, 배기밸브의 상부 케이스의 리브들에 배기막이 접촉되므로 배기막과 리브들의 접촉 부분에서 배기막에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밸브(30)의 배기막(32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탄성을 가지는 플렉시블한 재질, 예를 들어, 실리콘 재질로 제작되어 도 6에서와 같이 배기막(320) 자체의 텐션에 의해 제1 개구(111)가 폐쇄될 수 있으므로, 캡부재(200)가 받침부재(100)에 결합되는 경우 캡부재(200)가 강제로 배기막(320)을 가압하지 않더라도 배기막(320)이 제1 개구(111)를 충분히 폐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연결지지부(140)는 제1 지지단부(131)와 제2 지지단부(13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지지부(140)는 제1 연결부(141)와, 제2 연결부(142)와, 제3 연결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141)는 제1 개구(111)를 지나도록 제1 지지단부(131)와 제2 지지단부(132)를 직선으로 연결한다. 그리고, 제2 연결부(142)는 제1 연결부(141)의 미리 설정된 위치, 예를 들어, 도 3에서와 같이 제1 연결부(141)의 중심으로부터 임의의 길이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제1 지지단부(131) 또는 제2 지지단부(132)와 직선으로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제2 연결부(142)가 제1 연결부(141)와 제2 지지단부(132)를 연결하고 있지만, 제2 연결부(142)가 제1 연결부(141)와 제1 지지단부(131)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3 연결부(143)는 제1 연결부(141)의 미리 설정된 위치, 예를 들어, 도 3에서와 같이 제1 연결부(141)의 중심으로부터 임의의 길이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제1 지지단부(131) 또는 제2 지지단부(132)와 직선으로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도 3에서와 같이 제3 연결부(143)는 제2 연결부(142)가 제1 연결부(141)에 결합된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서 제1 연결부(141)에 결합될 수 있지만, 제3 연결부(143)는 제2 연결부(142)가 제1 연결부(141)에 결합된 위치와 다른 위치에서 제1 연결부(141)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 3에서는 제3 연결부(143)가 제1 연결부(141)와 제2 지지단부(132)를 연결하고 있지만, 제3 연결부(143)가 제1 연결부(141)와 제1 지지단부(131)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3 연결부(143)는 예를 들어, 제1 연결부(141)로부터 제1 연결부(141)를 기준으로 제2 연결부(142)와 반대 방향을 향해 제2 지지단부(132)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캡부재(200)는 받침부재(100)에 결합된다. 즉, 캡부재(200)가 받침부재(100)에 결합되고, 캡부재(200)가 결합된 받침부재(100)가 마스크 본체(20)에 결합된다. 여기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캡부재(200)에는 제2 개구(210)가 형성된다. 즉,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10)를 착용 후 숨을 들이쉬면 캡부재(200)의 제2 개구(210)를 통해 배기밸브(3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차단부재(300)의 배기막(320)을 가압하여 배기막(320)이 받침부재(100)의 제1 개구(111)를 폐쇄하는 작용을 한다. 물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배기막(320) 자체의 탄성에 의해 배기밸브(3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없더라도 배기막(320)이 받침부재(100)의 제1 개구(111)를 폐쇄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10)를 착용 후 숨을 내쉬면 공기가 받침부재(100)의 제1 개구(111)로 이동하면서 도 7에서와 같이 차단부재(300)의 배기막(320)이 제1 개구(111)를 개방하게 되며, 사용자가 내쉰 공기는 제1 개구(111)를 통해 캡부재(200)의 제2 개구(210)로 이동하며, 또한, 캡부재(200)의 제2 개구(210)를 통해 마스크 본체(20) 외부로 배출된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캡부재(200)에는 후술하는 차단부재(300)의 돌기부(310)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22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캡부재(200)의 제2 개구(210)는 결합홈(220)으로부터 이격되어 캡부재(200)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220)은, 돌기부(310)의 결합 위치를 기준으로 돌기부(310)의 결합이 시작되는 결합홈(220)의 외측으로부터 돌기부(310)의 결합이 완료되는 결합홈(220)의 내측으로 갈수록 결합홈(220)의 단면의 폭이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4를 기준으로 결합홈(220)의 하측으로부터 결합홈(220)의 상측으로 갈수록 결합홈(220)의 단면의 폭이 감소하게 형성될 수 있다.
차단부재(300)는 받침부재(100)의 안착부(120)에 안착되고 캡부재(200)의 결합홈(220)에 결합되며, 받침부재(100)의 제1 개구(111)를 차단하여 폐쇄한다. 여기서, 도 3을 참조하면, 차단부재(300)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차단부재(300)의 배기막(320)은 기본적으로 사각형의 얇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단부재(300)가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원형의 배기막(320)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비해 받침부재(100)의 제1 개구(111)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차단부재(300)는 돌기부(310)와 배기막(320)을 포함할 수 있다. 돌기부(310)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캡부재(200)의 결합홈(2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기부(310)가 캡부재(200)의 결합홈(220)에 끼워지는 방식, 즉 삽입되는 방식에 의해 결합홈(220)에 결합될 수 있으므로, 조립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도 4를 기준으로 결합홈(220)의 하측으로부터 결합홈(220)의 상측으로 갈수록 결합홈(220)의 단면의 폭이 감소하게 형성되는 경우, 돌기부(310)는 결합홈(220)에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홈(220)의 단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 즉, 도 4에서와 같이 돌기부(310) 역시 도 4를 기준으로 돌기부(310)의 하측으로부터 돌기부(310)의 상측으로 갈수록 돌기부(310)의 단면의 폭이 감소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홈(220)과 돌기부(310) 모두 도 4를 기준으로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의 폭이 감소하게 형성되면, 돌기부(310)가 결합홈(220)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돌기부(310)가 결합홈(220)에 단단하게 결합되어 쉽게 분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배기막(320)은 도 3에서와 같이, 돌기부(310)로부터 연장되며 플렉시블한 재질로 마련되어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배기막(320)은 얇은 막일 수 있으며, 받침부재(100)의 제1 개구(111)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기막(320)은 다각형, 예를 들어 기본적인 형상이 사각형일 수 있으며, 도 3에서와 같이, 노치부(323)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배기막(320)은 돌기부(310)에 결합되는 제1 부(321)와, 제1 부(321)로부터 연장되는 제2 부(3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을 참조하면, 돌기부(310)와 제1 부(321)가 결합된 부분의 너비를 기준으로, 제1 부(321)의 너비(a)가 돌기부(310)의 너비(b)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부(322)의 너비(c)는 돌기부(310)의 너비(b)와 유사한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도 3에서와 같이, 돌기부(310)와 제2 부(322) 사이에 노치부(32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노치부(323)에 의해 제1 부(321)에서 보다 용이하게 휘어질 수 있다. 즉, 배기막(320)에 의한 받침부재(100)의 제1 개구(111)의 개방 및 폐쇄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차단부재(300)의 돌기부(310)가 결합홈(220)에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배기막(320)은 캡부재(200)에 대해 기울어지게 캡부재(200)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범위의 경사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서는 미리 설정된 범위의 각도(θ)만큼의 경사를 가진다. 이와 같이, 배기막(320)이 캡부재(200)에 대해 경사를 가지도록 구성되면, 받침부재(100)가 캡부재(200)에 결합될 때 도 6에서와 같이, 차단부재(300)의 돌기부(310)는 받침부재(100)의 안착부(120)에 안착되고, 차단부재(300)의 배기막(320)은 받침부재(100)의 지지부(130)에 접촉되어 지지되면서 자연스럽게 휘어진다. 즉, 배기막(320)의 탄성에 의해, 배기막(320)이 지지부(130)에 지지된 상태에서 제1 개구(111)측으로 탄성 변형되려고 하므로, 배기막(320)에 의해 받침부재(100)의 제1 개구(111)가 완전히 폐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130)의 제1 지지단부(131)가 안착부(120)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고, 지지부(130)의 제2 지지단부(132)는 안착부(120)로부터 먼 위치에 형성되며, 제1 지지단부(131)가 안착부(120) 및 제2 지지단부(132) 모두에 비해 작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므로, 배기막(320)이 탄성을 가진채 자연스럽게 휘어지도록 지지부(130)에 접촉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서와 같이, 배기밸브(30)가 마스크 본체(20)에 결합된다. 여기서, 배기밸브(30)는 도 6에서와 같이 차단부재(300)의 돌기부(310)의 상측이 캡부재(200)의 결합홈(220)에 결합되고, 차단부재(300)의 돌기부(310)의 하측이 받침부재(100)의 안착부(120)에 안착되어 있으며, 배기막(320)이 탄성을 가진채 휘어진 상태로 받침부재(100)의 지지부(130)에 접촉되어 지지되면서 받침부재(100)의 제1 개구(111)를 차단하여 폐쇄한다.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10)를 착용한 상태에서 숨을 들이쉬면 마스크 본체(20)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고 배기막(320)에 의해 폐쇄된 제1 개구(111)를 통해서는 공기가 유입되지 않으므로, 공기의 먼지 등이 마스크 본체(20)에 의해 걸러질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숨을 내쉬면 사용자로부터 유출되는 공기가 받침부재(100)의 제1 개구(111)를 통해 배기막(320)을 밀어내면서 제1 개구(111)를 통과하도록 이동하며, 캡부재(200)에 형성된 제2 개구(210)를 통해 마스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대기 중의 먼지 등의 이물질은 마스크 본체(20)를 통해 걸러지면서도 마스크 본체(20) 내부의 공기는 배기밸브(30)를 통해 마스크 본체(20)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10)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내용과 공통되는 내용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전술한 일 실시예와 비교시 차단부재(300)가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일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일 실시예에서는 차단부재(300)의 돌기부(310)가 캡부재(200)의 결합홈(220)에 결합되는 구조이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돌기부(310)가 전술한 일 실시예의 돌기부(310)와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받침부재(100)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돌기부(310)가 받침부재(100)의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배기막(320)은 받침부재(100)의 제1 개구(111)를 폐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배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 20 : 마스크 본체
30 : 배기밸브 100 : 받침부재
110 : 베이스부 111 : 제1 개구
120 : 안착부 130 : 지지부
131 : 제1 지지단부 132 : 제2 지지단부
140 : 연결지지부 141 : 제1 연결부
142 : 제2 연결부 143 : 제3 연결부
200 : 캡부재 210 : 제2 개구
220 : 결합홈 300 : 차단부재
310 : 돌기부 320 : 배기막
321 : 제1 부 322 : 제2 부
323 : 노치부

Claims (10)

  1. 마스크 본체와, 상기 마스크 본체에 결합된 배기밸브를 포함하는 배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배기밸브는,
    마스크 본체에 결합되며, 제1 개구가 형성된 받침부재;
    상기 받침부재에 결합되며, 제2 개구가 형성된 캡부재; 및
    상기 캡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받침부재의 제1 개구를 차단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부재는 다각형으로 마련되고,
    상기 캡부재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개구는 상기 결합홈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캡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캡부재의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돌기부; 및
    상기 돌기부로부터 연장되며 플렉시블한 재질로 마련되고 탄성을 가지는 배기막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홈은, 상기 결합홈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결합홈의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결합홈의 단면의 폭이 감소하도록, 상기 돌기부의 결합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돌기부의 결합이 시작되는 결합홈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돌기부의 결합이 완료되는 결합홈의 내측으로 갈수록 상기 결합홈의 단면의 폭이 감소하게 형성되며,
    상기 돌기부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홈의 단면의 형상에 대응되게 상기 돌기부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돌기부의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돌기부의 단면의 폭이 감소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막은,
    상기 돌기부에 결합되는 제1 부; 및
    상기 제1 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기부와 상기 제1 부가 결합된 부분의 너비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부의 너비가 상기 돌기부의 너비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와 상기 제2 부 사이에 노치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가 상기 결합홈에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배기막은 상기 캡부재에 대해 기울어지게 상기 캡부재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범위의 경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제1 개구가 형성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고 상기 돌기부가 안착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어 상기 배기막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안착부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 제1 지지단부; 및
    상기 안착부로부터 먼 위치에 형성된 제2 지지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지지단부의 높이가 상기 제1 지지단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막은,
    상기 돌기부에 결합되는 제1 부; 및
    상기 제1 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부를 포함하며,
    상기 차단부재의 상기 돌기부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고 상기 차단부재의 상기 배기막이 상기 지지부에 의해 지지될 때를 기준으로 상기 돌기부로부터 상기 배기막의 상기 제1 부를 지나 상기 제2 부까지 곡선 형상으로 휘어지도록, 상기 안착부와 상기 제2 지지단부는 유사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단부는 상기 안착부 및 상기 제2 지지단부 모두에 비해 작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단부와 상기 제2 지지단부 사이에 연결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단부와 상기 제2 지지단부를 직선으로 연결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의 미리 설정된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지지단부와 상기 제2 지지단부 중 적어도 하나와 직선으로 연결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1 연결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연결부와 반대 방향으로 상기 제1 연결부의 미리 설정된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지지단부와 상기 제2 지지단부 중 적어도 하나와 직선으로 연결되는 제3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
KR1020190069541A 2019-06-12 2019-06-12 배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 KR102360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541A KR102360153B1 (ko) 2019-06-12 2019-06-12 배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541A KR102360153B1 (ko) 2019-06-12 2019-06-12 배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367A KR20200142367A (ko) 2020-12-22
KR102360153B1 true KR102360153B1 (ko) 2022-02-08

Family

ID=74086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9541A KR102360153B1 (ko) 2019-06-12 2019-06-12 배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01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697A1 (ko) 2020-10-29 2022-05-0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S-o계 고리형 화합물을 함유하는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황 이차전지
KR102501150B1 (ko) * 2022-05-26 2023-02-17 김형준 마스크 밸브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74682A1 (en) * 2013-04-28 2016-03-17 Mahesh KUDAV Butterfly Type Exhalation Valve
KR200480574Y1 (ko) * 2015-12-17 2016-06-09 도부라이프텍주식회사 호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0033B1 (ko) 2015-07-28 2016-08-22 주식회사 장정 배기밸브가 구비된 일회용 마스크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일회용 마스크
WO2018052874A1 (en) * 2016-09-16 2018-03-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xhalation valve and respirator including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74682A1 (en) * 2013-04-28 2016-03-17 Mahesh KUDAV Butterfly Type Exhalation Valve
KR200480574Y1 (ko) * 2015-12-17 2016-06-09 도부라이프텍주식회사 호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367A (ko) 202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6949Y1 (ko) 배기밸브 및 이를 구비한 마스크
JP4078299B2 (ja) 呼吸装置弁
KR100912233B1 (ko) 마스크
KR102360153B1 (ko) 배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
US8910663B2 (en) Uni-directional valve, filtering face mask
RU2649827C1 (ru) Респиратор с плавающим эластомерным рукавом
US7131440B2 (en) Inhalation therapy apparatus having a valve for limiting the inspiration flow
ES2292748T3 (es) Valvula de respirador.
US4838262A (en) Exhalation valve
US9095800B2 (en) Low profile frame for a filter incorporating a negative pressure check mechanism
US3990439A (en) Protective breathing apparatus and valve therefor
NZ242663A (en) Aerosol inhalation device having diaphragm which flexes at central and peripheral regions to provide flow and non-flow valving in opposite flow directions in respective regions
CN111182938A (zh) 用于呼吸装置的多瓣阀
JP2007529254A5 (ko)
KR20180132088A (ko) 다중 챔버 호흡기 밀봉 장치 및 방법
WO2009066833A1 (en) Respiratory unit for gas masks and self-locking/unlocking device for respirator cartridge mounted to the same
KR200480574Y1 (ko) 호기밸브가 구비된 마스크
US7770581B2 (en) Breathing mask
KR20180129862A (ko) 호흡기 적합성 검사 밀봉 장치 및 방법
BR112016027248B1 (pt) Máscara respiratória
US20040040562A1 (en) Mask and spherically configured valve
KR102180942B1 (ko) 원터치식 대기호흡장치를 갖춘 마스크
KR200177395Y1 (ko) 방독면의 흡기밸브
KR102565309B1 (ko) 마스크 탈부착용 호흡기
KR200142443Y1 (ko) 방독면용 흡기막의 개방간격 유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