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5309B1 - 마스크 탈부착용 호흡기 - Google Patents

마스크 탈부착용 호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5309B1
KR102565309B1 KR1020210068735A KR20210068735A KR102565309B1 KR 102565309 B1 KR102565309 B1 KR 102565309B1 KR 1020210068735 A KR1020210068735 A KR 1020210068735A KR 20210068735 A KR20210068735 A KR 20210068735A KR 102565309 B1 KR102565309 B1 KR 102565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variable filter
filter unit
user
body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8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0731A (ko
Inventor
윤흥수
Original Assignee
윤흥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흥수 filed Critical 윤흥수
Priority to KR1020210068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5309B1/ko
Publication of KR20220160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0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10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탈부착용 호흡기에 따르면,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하는 마스크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마스크와 상기 사용자의 코와 입 사이에 공간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전면부, 제1측면부, 후면부 및 제2측면부가 둘러싸여 내부에 공기 유로가 형성된 바디모듈; 및 상기 후면부에 형성된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공기 유로에 구비되되, 들숨일 때 상기 공기 유로를 차단하여 공기를 필터링하고, 날숨일 때 상기 공기 유로를 개방시켜 공기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가변 필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마스크 탈부착용 호흡기 {Mask Tube}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마스크 탈부착용 호흡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스크 착용시 마스크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위치되어 날숨 시 공기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게 하는 마스크 탈부착용 호흡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분진이나 각종 유해가스 등이 인체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다양한 형태의 마스크를 착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마스크는 수회 반복 사용한 것이 있는 반면,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된 일회용 있다.
종래의 일회용 마스크(이하, '마스크'라 함)는 섬유재나 부직포로 된 시트지를 재봉이나 열융착에 의해 제작된다.
마스크는 들숨 시 외부의 공기를 필터링하여 내부로 유입시키고, 날숨 시 비말 등을 차단하여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때, 마스크의 끝단은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어, 들숨 후 날숨 시, 일회용 마스크의 내부와 외부 압력이 달라, 공기의 일부는 필터링되지 못하고 끝단이 들춰져 생긴 틈을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틈이 코 부분에 발생함에 따라, 안경을 착용한 사용자는 입김에 의한 김서림으로 마스크 착용에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보 제10-2018-0058549호(2018.06.01.)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보 제10-2017-0031457호(2017.03.21.)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보 제10-2016-0084714호(2016.07.14.) 대한민국 등록특허 공보 제10-2106987호(2020.05.06.)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 유로가 들숨 시에는 차단되어 필터링하고, 날숨 시에는 개방되어 공기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으며, 마스크의 끝단의 틈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방지하여 김서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호흡이 용이하도록 하는 마스크 탈부착용 호흡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마스크와 바디모듈이 고정클립부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턱을 움직여도 마스크와 바디모듈이 일체화되어 바디모듈이 안면에 밀착되어 고정될 뿐만 아니라, 원활하게 재착용이 가능한 마스크 탈부착용 호흡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탈부착용 호흡기에 따르면,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하는 마스크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마스크와 상기 사용자의 코와 입 사이에 공간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전면부, 제1측면부, 후면부 및 제2측면부가 둘러싸여 내부에 공기 유로가 형성된 바디모듈; 및 상기 후면부에 형성된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공기 유로에 구비되되, 들숨일 때 상기 공기 유로를 차단하여 공기를 필터링하고, 날숨일 때 상기 공기 유로를 개방시켜 공기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가변 필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변 필터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후면부의 외측면에 안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입술 아랫부분과 밀착되는 안착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변 필터부는, 하부 일측면이 상기 전면부의 내측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 사이에 형성된 공기 유로의 상하폭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공기 유로에 날숨 방향으로 제1각도로 경사지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디모듈은, 상기 가변 필터부의 타측면과 마주하게 상기 공기 유로에 돌출형성되고, 날숨 시, 상기 가변 필터부의 하부가 상기 전면부와 이격되며 공기 유로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가변 필터부가 제2각도로 경사지게 가변 필터부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바디모듈은, 상기 가변 필터부의 일측면과 마주하게 상기 공기 유로에 돌출형성되고, 들숨 시, 상기 가변 필터부의 하부 일측면이 상기 전면부의 내측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가변 필터부가 제1각도로 경사지게 가변 필터부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마스크의 외측에서 상기 마스크의 내측에 구비된 상기 바디모듈에 결합되어, 상기 바디모듈과 마스크를 고정시키는 고정클립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측면부와 제2측면부의 외측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클립부는, 상기 전면부에 마주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양단에 돌출되어 상기 고정홈에 착탈되는 착탈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마스크 사용 시 날숨 배출을 용이하도록 하는 마스크용 호흡기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마스크와 상기 사용자의 코와 입 사이에 공간을 형성시키는 바디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모듈은 전면부, 제1측면부, 후면부 및 제2측면부가 둘러싸여 내부에 공기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부는, 마스크 착용 시 상기 바디모듈이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도록 상부가 사용자의 입술 아래에 접촉되고, 중간부가 사용자의 안면방향으로 절곡형성되어 사용자의 턱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는, 공기 유로가 들숨 시에는 차단되어 필터링하고, 날숨 시에는 개방되어 공기가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으며, 마스크의 끝단의 틈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방지하여 김서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며, 호흡이 용이하도록 하는 마스크 탈부착용 호흡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마스크와 바디모듈이 고정클립부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턱을 움직여도 마스크와 바디모듈이 일체화되어 바디모듈이 안면에 밀착되어 고정될 뿐만 아니라, 원활하게 재착용이 가능한 마스크 탈부착용 호흡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탈부착용 호흡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디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후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후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면부와 후면부의 라운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면부의 결합홈과 가이드라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탈부착용 호흡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탈부착용 호흡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A-A'를 나타내되, 마스크 착용 후, 들숨 시의 가변 필터부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A-A'를 나타내되, 마스크 착용 후, 날숨 시의 가변 필터부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마스크 탈부착용 호흡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탈부착용 호흡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바디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후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후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면부와 후면부의 라운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터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측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측면부의 결합홈과 가이드라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탈부착용 호흡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탈부착용 호흡기는 마스크 사용 시 날숨 배출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을 참조하면, 마스크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마스크와 상기 사용자의 코와 입부근 사이에 공간을 형성시키는 바디모듈(100) 및 상기 바디모듈(100) 내부에 결합되어 날숨 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들숨 시 외부 공기의 유입을 필터링 또는 차단하는 필터모듈(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모듈(100)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면부(110), 제1측면부(120), 후면부(130) 및 제2측면부(140)가 둘러싸여 내부에 공기 유로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로는 날숨 시 외부로 원활한 공기 배출을 위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전면부(110)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전면유닛(111) 및 제2전면유닛(1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전면유닛(111)은 마스크 착용 시 상기 바디모듈(100)이 마스크의 내면의 중앙부에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전면유닛(111)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U'형으로 일부가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사용자가 들숨 시 마스크를 통해 필터링된 공기의 유동이 상기 제1전면유닛(111)에 의해 저해되는 것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전면유닛(112)은 상기 제1전면유닛(111)의 하단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안면 방향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전면유닛(112)의 하단은 도 4,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형의 라운드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사용자가 고개를 숙이는 경우 상기 바디모듈(100)이 사용자의 목에 간섭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한편, 상기 전면부(110)는 사용자가 들숨 시 마스크 필터를 지지하는 지지유닛(1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유닛(113)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1전면유닛(111)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바디모듈(100)이 사용자의 안면에 고정 시 상기 지지유닛(113)은 사용자의 안면과 이격되어 사용자의 안면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유닛(113)은 상기 바디모듈(100)이 사용자의 안면에 고정 시 사용자의 안면 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각도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전면부(110)는 마스크 착용 시 상기 바디모듈(100)을 상기 마스크 내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5는 이러한 지지수단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이를 참고하면,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전면부(110) 소정의 위치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유닛(114)이 마스크 내면과 접촉되어 상기 바디모듈(100)을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수단은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후면부(130)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후면유닛(131), 제2후면유닛(132) 및 제3후면유닛(13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후면유닛(131)은 마스크 착용 시 상기 바디모듈(100)이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도록 사용자의 입술 아래 턱선에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제1후면유닛(131)의 상단은 사용자의 아랫입술의 굴곡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안면 반대방향쪽으로 굴곡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대화를 하거나 입술을 움직이는 경우에 상기 바디모듈(100)이 사용자의 아랫입술에 간섭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한편 상기 제1후면유닛(131)은 사용자의 입술 아래 턱선에 접촉되는 부분에 탄성소재의 완충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사용자의 턱선과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바디모듈(100)이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될 수 있어 다양한 사람들에 적용가능하고, 착용 시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후면유닛(132)은 상기 제1후면유닛(131)의 하단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안면 방향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턱과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후면유닛(132) 또한, 사용자의 턱과 접촉되는 부분에 전술한 바와 같은 탄성소재의 완충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다양한 사람들에 적용가능하고, 착용 시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후면유닛(133)은 상기 제2후면유닛(132)의 하단에 결합되며 사용자의 안면 방향쪽으로 더욱 경사지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턱 아래를 감싸주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3후면유닛(133)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의 목선의 굴곡에 대응하는 굴곡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3후면유닛(133)의 하단의 곡률은 상기 제3후면유닛(133)의 상단의 곡률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후면유닛(133)의 하단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형의 라운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고개를 숙이거나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바디모듈(100)이 사용자의 목에 간섭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한편, 상기 제3후면유닛(133)의 접촉 부분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탄성소재의 완충부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필터모듈(200)은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막대유닛(210) 및 필터유닛(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막대유닛(210)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바디모듈(100)의 공기 유로 하부 부근에 상기 제1측면부(120)와 상기 제2측면부(140)에 결합되며, 상기 필터유닛(220)은 상기 막대유닛(210)에 결합되어 외부에서 상기 공기 유로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 또는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막대유닛(210)의 양단부는 상기 제1측면부(120)와 상기 제2측면부(140)에 힌지결합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들숨 시 상기 막대유닛(210)에 결합된 필터유닛(220)도 함께 회전되어 상기 공기 유로가 닫히고, 날숨 시 상기 막대유닛(210)에 결합된 필터유닛(220)도 함께 회전되어 상기 공기 유로가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유닛(220)은 도 9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멜트블로운 필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9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메쉬타입의 필터를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필터모듈(200)은 상기 바디모듈(100)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면, 상기 제1측면부(120)와 상기 제2측면부(140) 중 어느 한 부는 상기 막대유닛(210)의 일단부가 끼움결합되는 결합홀을 구비하고, 나머지 한 부는 상기 막대유닛(210)의 타단부가 끼움결합되는 결합홀과 함께 외부에서측면부 단면을 따라 상기 결합홀까지 형성된 가이드라인을 구비하되, 상기 가이드라인의 폭은 상기 결합홀 보다 직경이 작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막대유닛(210)은 소정의 각도 내에서만 회전이 가능하도록 회전조절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필터모듈(200)의 필터링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이러한 회전조절부재는 상기 막대유닛(210)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결합되어 상기 막대유닛(210)이 소정의 각도로 회전할 경우 상기 가이드라인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막대유닛(210)이 소정의 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탈부착용 호흡기는, 마스크 착용 시 들숨과 날숨을 분리하면서 편안한 호흡이 가능하고, 체온에 의해 데워진 날숨의 원활한 배출로 인해 안면부의 온도상승을 방지하며, 가벼운 운동 시에도 원활한 산소 공급이 가능하며, 마스크와 별도로 구성되어 세척을 통해 반복사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탈부착용 호흡기의 또 다른 실시예는, 바디모듈, 가변 필터부 및 안착부재를 포함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탈부착용 호흡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탈부착용 호흡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A-A'를 나타내되, 마스크 착용 후, 들숨 시의 가변 필터부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A-A'를 나타내되, 마스크 착용 후, 날숨 시의 가변 필터부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바디모듈은,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하는 마스크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마스크와 상기 사용자의 코와 입 사이에 공간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디모듈(100)은, 전면부(110), 제1측면부(120), 후면부(130) 및 제2측면부(140)를 포함한다.
전면부(110)는, 마스크의 내측면에 마주하고, 후면부(130)는 사용자의 안면과 마주하며, 제1측면부(120)와 제2측면부(140)는 전면부(110)와 후면부(130)를 연결한다.
또한, 후면부(130)는, 후술할 가변 필터부(300)가 삽입되는 삽입공(134)이 형성된다. 이때, 삽입공(134)은 제1측면부(120)와 제2측면부(140)를 연결하는 가로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외의 바디모듈(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한다.
가변 필터부(300)는, 후면부(130)에 형성된 삽입공(134)에 삽입되어 공기 유로(101)에 구비된다.
즉, 가변 필터부(300)는, 들숨일 때 공기 유로(101)를 차단하여 공기를 필터링하고, 날숨일 때 공기 유로(101)를 개방시켜 공기 배출이 용이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가변 필터부(300)는 공기 유로(101)에 구비됨에 따라, 사용자가 숨을 들이 쉬면, 공기 유로(10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고 유입 공기에 의해 공기 유로(101)를 차단할 수 있다. 반대로, 가변 필터부(300)는 사용자가 숨을 내쉬면, 공기 배출에 의해 공기 유로(101)를 개방시키며, 공기 배출이 용이하도록 한다.
그리고, 가변 필터부(300)는, 마스크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으면 충분하므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가변 필터부(300)는, 하부 일측면이 전면부(110)의 내측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전면부(110)와 후면부(130) 사이에 형성된 공기 유로(101)의 상하폭보다 길게 형성되고, 공기 유로(101)에 날숨 방향으로 제1각도로 경사지게 구비된다.
이는, 가변 필터부(300)의 들숨 시, 공기 유로(101)를 차단하기 위함인 동시에, 가변 필터부(300)가 들숨 방향으로 젖혀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더불어, 가변 필터부(300)의 가로 길이도 공기 유로(101)의 좌우폭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양측이 제1측면부(120)와 제2측면부(140)의 내측면에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바디모듈(100)은, 가변 필터부(300)의 타측면과 마주하게 공기 유로(101)에 돌출형성된 제1지지부재(150)를 더 포함한다.
제1지지부재(150)는, 날숨 시, 가변 필터부(300)의 하부가 전면부(110)와 이격되며 공기 유로(101)가 개방된 상태에서 가변 필터부(300)가 제2각도로 경사지게 가변 필터부(300)의 타측면을 지지한다.
이는, 날숨 시, 가변 필터부(300)가 젖혀져 후면부(130)의 내측면까지 경사지지 않도록 하여, 날숨 후 들숨 시, 빠르게 공기 유로(101)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바디모듈(100)은, 가변 필터부(300)의 일측면과 마주하게 공기 유로(101)에 돌출형성된 제2지지부재(160)를 더 포함한다.
이때, 제2지지부재(160)는, 상단과 하단이 전면부, 후면부를 각각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전면부 또는 후면부에 돌출되어 가변 필터부(300)의 일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2지지부재(160)는, 들숨 시, 가변 필터부(300)의 하부 일측면이 전면부(110)의 내측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가변 필터부(300)가 제1각도로 경사지게 가변 필터부(300)의 일측면을 지지한다.
즉, 제2지지부재(160)는 들숨 시 공기 유로(101)의 개방이 이루어지지 않게 가변 필터부(300)가 들숨 방향으로 젖혀지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공기 유로(101)를 차단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안착부재(400)는, 가변 필터부(300)의 상부에 구비되고, 후면부(130)의 외측면에 안착되어 사용자의 입술 아랫부분과 밀착된다.
여기서, 후면부(130)는 사용자의 안면 즉, 입술 아랫부분에 밀착되는데, 마스크의 사용자 호흡에 의한 입김으로 습기가 맺히게 된다. 이 습기에 의해 입술 아랫부분에 물기가 발생하고 이 물기로 착용감에 불쾌함을 줄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물기를 닦아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따라, 안착부재(400)는, 후면부(130)의 외측면에 안착되어 후면부(130) 대신 사용자 안면에 밀착됨으로써, 습기에 의한 불쾌감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안착부재(400)는 가변 필터부(3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안착부재(400)와 가변 필터부(300)를 동시에 교체하여 쾌적한 착용을 할 수 있다.
그리고, 후면부(130)는, 안착부재(400)가 안착될 때, 고정될 수 있도록 돌기유닛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안착부재(400)는, 후면부(130)를 전체적으로 덮을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 탈부착용 호흡기는, 고정클립부(500)를 더 포함한다.
고정클립부(500)는, 마스크의 외측에서 마스크의 내측에 구비된 바디모듈(100)에 결합되어, 바디모듈(100)과 마스크를 고정시킨다.
바디모듈(100)은 마스크의 내부에 구비되는데, 사용자가 턱을 움직이는 동작에 의해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이때, 고정클립부(500)가 마스크와 바디모듈(100)을 일체화시킴으로써, 마스크가 이동되었을 때 용이하게 재착용 또는 위치조정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클립부(500)는, 연결부재(510)와 착탈부재(520)를 포함한다.
먼저, 제1측면부(120)와 제2측면부(140)의 외측에는, 고정홈(102)이 각각 형성된다.
연결부재(510)는, 전면부(110)에 마주하는 바형태로 형성된다.
착탈부재(520)는, 연결부재(510)의 양단에 돌출되어 고정홈(102)에 착탈된다.
이때, 착탈부재(520)는 이격거리가 제1측면부(120)와 제2측면부(140) 사이의 폭보다 같거나 짧게 형성되어 제1측면부(120)와 제2측면부(140)를 압착하며 바디모듈(100)에 억지끼움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변형 및 개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1000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탈부착용 호흡기
100 : 바디모듈 101 : 공기 유로
102 : 고정홈 110 : 전면부
111 : 제1전면유닛 112 : 제2전면유닛
113 : 지지유닛 114 : 돌기유닛
120 : 제1측면부 130 : 후면부
131 : 제1후면유닛 132 : 제2후면유닛
133 : 제3후면유닛 134 : 삽입공
140 : 제2측면부 150 : 제1지지부재
160 : 제2지지부재 200 : 필터모듈
210 : 막대유닛 220 : 필터유닛
300 : 가변 필터부 400 : 안착부재
500 : 고정클립부 510 : 연결부재
520 : 착탈부재

Claims (8)

  1. 사용자의 안면에 착용하는 마스크와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마스크와 상기 사용자의 코와 입 사이에 공간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전면부, 제1측면부, 후면부 및 제2측면부가 둘러싸여 내부에 공기 유로가 형성된 바디모듈; 및
    상기 후면부에 형성된 삽입공에 삽입되어 상기 공기 유로에 구비되되, 들숨일 때 상기 공기 유로를 차단하여 공기를 필터링하고, 날숨일 때 상기 공기 유로를 개방시켜 공기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가변 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 필터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후면부의 외측면에 안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입술 아랫부분과 밀착되는 안착부재;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 탈부착용 호흡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필터부는, 하부 일측면이 상기 전면부의 내측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 사이에 형성된 공기 유로의 상하폭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공기 유로에 날숨 방향으로 제1각도로 경사지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탈부착용 호흡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모듈은, 상기 가변 필터부의 타측면과 마주하게 상기 공기 유로에 돌출형성되고, 날숨 시, 상기 가변 필터부의 하부가 상기 전면부와 이격되며 공기 유로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가변 필터부가 제2각도로 경사지게 가변 필터부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 탈부착용 호흡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모듈은, 상기 가변 필터부의 일측면과 마주하게 상기 공기 유로에 돌출형성되고, 들숨 시, 상기 가변 필터부의 하부 일측면이 상기 전면부의 내측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가변 필터부가 제1각도로 경사지게 가변 필터부의 타측면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 탈부착용 호흡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의 외측에서 상기 마스크의 내측에 구비된 상기 바디모듈에 결합되어, 상기 바디모듈과 마스크를 고정시키는 고정클립부;를 더 포함하는 마스크 탈부착용 호흡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부와 제2측면부의 외측에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클립부는, 상기 전면부에 마주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양단에 돌출되어 상기 고정홈에 착탈되는 착탈부재를 포함하는 마스크 탈부착용 호흡기.
  8. 삭제
KR1020210068735A 2021-05-28 2021-05-28 마스크 탈부착용 호흡기 KR102565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735A KR102565309B1 (ko) 2021-05-28 2021-05-28 마스크 탈부착용 호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8735A KR102565309B1 (ko) 2021-05-28 2021-05-28 마스크 탈부착용 호흡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731A KR20220160731A (ko) 2022-12-06
KR102565309B1 true KR102565309B1 (ko) 2023-08-08

Family

ID=84407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8735A KR102565309B1 (ko) 2021-05-28 2021-05-28 마스크 탈부착용 호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530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6987B1 (ko) * 2020-01-07 2020-05-06 박종석 플랩이 구비된 마스크
KR102193162B1 (ko) * 2020-07-03 2020-12-18 김순라 마스크용 김서림방지 및 호흡이 편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785B1 (ko) * 2008-11-04 2011-04-14 김선수 조임튜브가 구비된 산소호흡기
KR101703408B1 (ko) 2015-01-06 2017-02-08 주식회사 나루씨이엠 마스크의 호흡용 프레임
KR101810603B1 (ko) 2015-09-11 2017-12-22 김성응 고글 마스크
KR101873120B1 (ko) 2016-11-24 2018-07-02 주식회사 나루씨이엠 호흡구가 형성되는 마스크
KR20200143173A (ko) * 2019-06-15 2020-12-23 임완수 마스크용 배기밸브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6987B1 (ko) * 2020-01-07 2020-05-06 박종석 플랩이 구비된 마스크
KR102193162B1 (ko) * 2020-07-03 2020-12-18 김순라 마스크용 김서림방지 및 호흡이 편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731A (ko) 202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3162B1 (ko) 마스크용 김서림방지 및 호흡이 편한 장치
KR102471392B1 (ko) 기능성 마스크
KR101710046B1 (ko) 안경 김서림 방지기능을 갖는 마스크
KR101951239B1 (ko)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 고글
KR101083435B1 (ko) 김서림방지마스크
KR102069369B1 (ko) 다기능 마스크
KR102565309B1 (ko) 마스크 탈부착용 호흡기
KR102281143B1 (ko) 사용자의 안면 전체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안면마스크
KR200495691Y1 (ko) 미세 먼지 차단용 전면 마스크
KR20220025620A (ko) 통기량이 확대되는 투명 마스크 장치
KR102120473B1 (ko) 미세먼지 차단용 호흡장치
KR102265308B1 (ko) 기능성 코편을 갖는 마스크
KR102219597B1 (ko) 호흡 개선용 마스크
KR102185275B1 (ko) 마스크용 호흡기
KR102460789B1 (ko) 마스크
KR20210009832A (ko) 흡기와 호기 분리형 마스크
KR102388801B1 (ko) 공기정화 마스크
KR20210003367A (ko) 미세 먼지용 마스크
KR102649979B1 (ko) 코받침형 마스크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KR102606694B1 (ko) 김 서림 방지 구조 기반의 호흡 개선 및 입 냄새 방지용 평면구조 접이식 마스크 프레임 및 이를 구비한 마스크
KR102613647B1 (ko) 김서림 방지용 보안경
KR200497810Y1 (ko) 비강 호흡 유도형 마스크
KR102620332B1 (ko) 밴드형 코 호흡장치
US20230371624A1 (en) Protective face mask
KR102418619B1 (ko) 호흡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