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9787B1 - 정수기 - Google Patents

정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9787B1
KR102359787B1 KR1020190162938A KR20190162938A KR102359787B1 KR 102359787 B1 KR102359787 B1 KR 102359787B1 KR 1020190162938 A KR1020190162938 A KR 1020190162938A KR 20190162938 A KR20190162938 A KR 20190162938A KR 102359787 B1 KR102359787 B1 KR 102359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heat insulating
pad
cas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2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2539A (ko
Inventor
여준기
정순기
전제욱
장문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2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9787B1/ko
Publication of KR20210072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2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67D1/0858Cooling arrangements using compress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F16L59/029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lay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28Constructional details
    • B67D2210/00031Housing
    • B67D2210/00044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커버와, 상면을 형성하는 탑커버와, 및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를 포함하여,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원수를 정수로 정화시키는 필터, 상기 필터를 통과한 정수를 냉각시키는 냉각수 탱크, 상기 냉각수 탱크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단열 케이스, 상기 프론트커버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냉각수 탱크를 통과한 물을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공급하는 출수노즐을 포함하되, 상기 단열 케이스의 상면의 상면을 형성하는 케이스 커버의 상면은 상기 탑 커버와 인접해서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 커버의 상면과 상기 탑커버 사이에는, 단열성 또는 가요성 또는 신축성 재질의 단열패드 또는 열전도성 재질의 확산패드가 구비된다.

Description

정수기{water purifier}
본 발명은 냉수를 생성하는 냉수유닛의 주변에서의 결로 발생을 예방하는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물을 걸러 불순물을 제거하는 기구로서 가정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가정용 정수기의 경우, 수도와 연결되어 수돗물에 함유된 부유물이나 유해성분등을 필터를 이용하여 제거하게 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원하는 만큼의 물을 정수하여 취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가정용 정수기는 정수는 물론 온수와 냉수의 취출이 가능한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그리고, 근래에는 크기가 작고 다양한 설치환경에 설치될 수 있는 정수기가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381803호에는 본체 유닛의 상단부에 물이 취출되는 출수부가 구비되고, 상기 출수부는 상기 본체 유닛으로부터 분리된 후 설정각도만큼 회전시킨 후 다시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정수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정수기는 본체의 위치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출수부를 분리 및 재결합하여 출수부의 위치를 설정된 위치로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띠라서, 정수기의 설치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설치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개시된 직수관 정수기의 경우, 냉수 출수를 위해 냉수 탱크가 하우징의 내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냉수출수 시, 정수가 실시간으로 냉각되면서 출수되는 방식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실시간으로 냉수를 생성 및 출수하는 방식의 경우, 출수되는 냉수 성능을 높이기 위해 냉수 탱크 내부 온도를 매우 낮게 설정한다.
하지만, 이로 인해서, 냉수 탱크를 감싸는 단열커버 외측의 온도 역시 낮아지게 되고, 외기와의 온도차에 의해 단열커버 외측에서 결로가 생기거나, 결로에 의해서, 단열커버의 외측에 곰팡이 등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냉각수 탱크를 감싸는 단열 케이스 및 케이스 커버의 단열성을 향상시켜, 냉각수 탱크에서 발생된 냉기가 외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보다 확실히 차단하고, 외기와 단열패드 및 케이스 커버의 온도차이를 줄여, 단열패드 및 케이스 커버의 표면에서 결로 발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인접해서 마주보게 배치된 케이스 커버와 탑 커버 사이에 형성된 유격을 제거하여, 외부에서 탑 커버와 케이스 커버 사이로 균이 유입되어 생장하는 문제, 유입된 균이 생장하면서, 탑 커버와 케이스 커버의 표면에 곰팡이 등이 생기는 문제 또한 해결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냉각수 탱크를 감싸는 단열 케이스 및 케이스 커버의 표면에서의 열전도를 실시하여, 일부 영역에서, 온도가 급격히 낮아지는 문제를 해결하여, 단열 케이스 및 케이스 커버의 주변 온도가 균일하게 조성되면서, 결과적으로 단열패드 및 케이스 커버의 표면에서 결로 발생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는,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커버와, 상면을 형성하는 탑커버와, 및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를 포함하여,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원수를 정수로 정화시키는 필터, 상기 필터를 통과한 정수를 냉각시키는 냉각수 탱크, 상기 냉각수 탱크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단열 케이스, 상기 프론트커버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냉각수 탱크를 통과한 물을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공급하는 출수노즐을 포함한다.
상기 단열 케이스의 상면을 형성하는 케이스 커버는 상기 탑 커버와 인접해서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 커버의 상면과 상기 탑커버 사이에는, 상기 탑 커버와 케이스 커버의 유격을 잡아주는 단열성 또는 가요성 또는 신축성 재질의 단열패드가 삽입될 수 수 있다.
상기 단열패드는 상하방향으로 적층하여, 복수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열패드는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단열패드는, 상기 케이스 커버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단열패드와, 상기 제1단열패드보다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단열패드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단열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패드는, 상기 케이스 커버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단열패드와, 상기 제1단열패드보다 저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단열패드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단열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패드의 상면에는, 열전도성 재질의 확산패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확산패드는 상기 탑커버의 저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확산패드는, 알루미늄을 포함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확산패드는, 상면이 매끄럽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확산패드는, 상면에 헤어라인이 가공되고, 상기 확산패드의 상면에는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 케이스는, 상측이 개방되어, 내부 공간에 상기 냉각수 탱크가 수용되고, 상기 케이스 커버는 상기 단열 케이스의 개방된 상측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냉각수 탱크의 내측에는 교반부재가 설치되고, 냉각수 탱크의 상측에는 탱크커버가 구비되며, 상기 교반부재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교반모터는 상기 탱크커버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케이스 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모터가 수용되는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에는 상기 모터를 커버하는 단열성 재질의 모터커버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각수 탱크의 내측에는 정수가 유동하는 냉수배관이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 커버의 상측에는 상기 냉구배관의 입구단과 출구단이 노출되며, 상기 입구단 및 출구단의 외면을 감싸는 단열성 재질의 제1보조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커버에는 상기 입구단과 출구단이 노출된 위치에 오목한 형상의 냉수 배관 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단 및 출구단과 상기 냉수 배관 안내부 사이에는 단열성 재질의 제2보조커버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열 케이스 또는 케이스 커버의 측면에는, 단열성 재질의 측면커버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단열 케이스 또는 케이스 커버의 측면에는,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관이 노출되고, 상기 냉매관의 외측을 감싸는 단열성 재질의 냉매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매커버 및 상기 단열 케이스를 커버하는 단열성 재질의 외측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패드의 두께는, 상기 케이스 커버의 상면과 상기 탑커버의 간격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 케이스의 상면을 형성하는 케이스 커버는 상기 탑 커버와 인접해서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단열 케이스의 상면과 상기 탑커버 사이에는, 상기 단열 케이스 및/또는 상기 탑커버와 접촉하면서, 상기 단열 케이스에서 발생한 열을 주변으로 확산시키거나, 상기 단열 케이스와 탑커버를 열교환시키는 확산패드가 구비된다.
상기 확산패드의 하측에는, 상기 확산패드가 평면을 유지하도록 강성을 갖는 단열성 재질의 단열패드가 부착되고, 상기 단열패드는 상기 확산패드와 상기 단열 케이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냉각수 탱크를 감싸는 단열 케이스 또는 케이스 커버에 단열패드를 추가하여, 냉각수 탱크의 냉기가 단열 케이스 또는 케이스 커버의 외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여, 외기와의 온도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외기와의 온도차가 줄면서, 단열 케이스 또는 케이스 커버의 외측 표면에서 결로가 생기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단열 케이스 또는 케이스 커버의 외측에 열전도성 재질의 확산패드를 구비하여, 케이스 커버 또는 케이스 커버의 외측에 부착된 단열패드의 열을 수평방향으로 열전도 시킴으로써 케이스 커버 또는 단열패드의 외측 표면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도 있다.
또한, 케이스 커버 또는 단열패드의 외측 표면의 온도가 균일해지면서, 온도가 급격히 낮아지는 영역이 제거되고, 이에 따라 외기와의 온도차가 줄면서, 케이스 커버 또는 단열패드의 외측 표면에서 결로가 생기지 않게 된다.
또한, 케이스 커버의 상단과 탑커버 사이의 유격을 줄이거나, 제거하여, 케이스 커버의 상단과 탑커버 사이에 형성되었던 공기 유동 통로를 차단함으로써 케이스 커버의 상단과 탑커버 사이의 습도가 올라가는 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케이스 커버와, 냉수배관의 입구단 및 출구단 사이 공간의 단열성능을 향상시켜, 결로현상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케이스 커버와 탑 커버 사이에 형성된 유격을 줄어들거나, 제거하여, 외부로부터, 탑 커버와 케이스 커버 사이로 균이 유입될 수 없고, 균이 유입된 경우라도 유입된 균이 생장하기 어려워, 탑 커버와 케이스 커버의 표면에 곰팡이가 생기지 않는 효과도 있다.
또한, 기존에 설치된 정수기의 냉수유닛에 곧바로 적용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출수노즐의 위치가 변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일부 영역을 발췌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냉수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냉수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냉수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냉수유닛의 일부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냉수유닛의 탱크커버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냉수유닛의 케이스 커버를 하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냉수유닛의 일부를 발췌하여 보인 종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및 추가 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에 첨부되는 도면은, 같은 발명 사상의 실시예이지만, 발명 사상이 훼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미세한 부분의 표현에 있어서는 도면별로 서로 다르게 표현될 수 있고, 도면에 따라서 특정 부분이 표시되지 않거나, 도면에 따라서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의 출수노즐의 위치가 변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전면에 수평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부(101)가 형성된 정수기 본체(100)와, 상기 개구부(101)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정수기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테이터(200)와, 상기 로테이터(200)의 상방에 이격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조작부(300)와, 상기 개구부(101)를 통해 상기 로테이터(200)와 고정되고,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상단이 상기 조작부(300)의 하단과 연결되는 고정커버(410)와, 상기 고정커버(410)에 접촉 지지되면서 승강하는 승강커버(420) 및 상기 승강커버(420)의 하단에 장착되는 출수노즐(430)로 이루어진 출수모듈(4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출수모듈(400)은 상기 로테이터(200)에 의해 정수기 본체(100)를 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승강커버(420) 및 출수노즐(430)은 로테이터(200)에 고정된 고정커버(410)를 기준으로 승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출수노즐(430)은 좌우방향으로 그 위치가 가변될 수 있고, 상하 방향으로도 그 위치가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300)는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조작부(300)의 선단은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출수모듈(400)의 상단과 결합된다.
이에 따라, 출수모듈(400)이 회전하면, 출수모듈(400)과 연결된 로테이터(200) 및 조작부(300)가 동시에 회전하는 구조를 갖는다.
일 예로, 상기 출수모듈(400)의 상단에는 중공을 형성하고, 그 내측면에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300)의 하단에는 상기 출수모듈(400)의 중공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형성하고, 상기 삽입부의 외측면에는 상기 돌출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삽입홈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부(300)의 하단에 형성된 삽입부가 출수모듈(400)의 상단에 형성된 중공에 끼워질 때, 돌출부가 삽입홈에 끼워지면서, 출수모듈(400)과 조작부(30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정수기 본체(100)는 하우징(110)과 필터(미도시)를 구비한다.
상기 정수기(1)의 외형은 하우징(11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은 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 커버(111)와 후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리어 커버(112), 하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13), 상면을 형성하는 탑 커버(114) 그리고 좌우 양측면을 형성하는 사이드 패널(115)로 구성된다. 상기 프론트 커버(111)와 리어 커버(112), 베이스(113)와 탑 커버(114) 그리고 한 쌍의 사이드 패널(115)은 서로 조립되어 상기 정수기(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113)와 탑커버(114)의 전단과 후단은 라운드 지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프론트커버(111)와 리어커버(112)는 상기 라운드지게 형성된 베이스(113) 및 탑커버(114)의 전단 및 후단과 대응하는 곡률을 갖도록 전방과 후방으로 각각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와부에서 유입된 원수를 정화시켜 배출하는 필터(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정수기 본체(100)의 전면에는 출수모듈(400)이 전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되고, 출수모듈(400)의 하단에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출수 노즐(430)을 통해 상기 필터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정수가 취출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필터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정수는 냉각 또는 가열 된후 냉수, 온수의 형태로 출수노즐(430)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론트 커버(111)는 어퍼 커버(111a)와 로어 커버(111b)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퍼 커버(111a)와 로어 커버(111b)는 수직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그 사이에 개구부(101)를 형성한다. 상기 개구부(101)는 정수기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로테이터(20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어커버(111b)에는 중심부에 상하방향으로 평면부(111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로어커버(111b)에 평면부(111c)가 형성된 경우, 로어커버(111b)전체가 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경우 대비, 사용자가 물을 취출할 때, 컵 등의 용기를 보다 깊이 넣을 수 있는 이점이 있고, 컵 등의 용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출수모듈(400)을 회전할 때, 평면부(111c)를 기준으로 중심을 맞출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참고로, 상기 출수모듈(400)이 양측으로 회전한 상태에서는, 평면의 사이드패널(115)에 의해 컵 등의 용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출수모듈(400)은 상기 로테이터(20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정수기(1)의 설치 상태 또는 설치 환경에 따라 원하는 각도로 상기 출수모듈(4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탑 커버(1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조작부(300)는 상기 출수모듈(400)과도 일체로 결합되어, 출수모듈(400)과 함께 회전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이때, 조작부(300)의 출수버튼(310)은 사용자가 출수버튼(310)을 누를 때 수직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출수모듈(400)의 상부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출수버튼(310)을 누를 때, 출수모듈(400)에 수직방향의 힘이 가해져,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출수모듈(400)이 임의로 회전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출수모듈(400)은 상기 로테이터(200)의 외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승강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출수모듈(400)의 회전 및 승강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일부 영역을 발췌하여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정수를 위한 필터(120)와 다수의 밸브(미도시)가 장착되는 필터 브라켓(130)이 구비된다.
상기 필터 브라켓(130)은 상기 베이스(113)와 결합되는 저면부(131)와, 상기 필터(120)가 수용되는 필터 수용부(132) 그리고, 상기 로테이터(200)가 장착되는 로테이터 장착부(13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면부(131)는 상기 베이스(113)의 선단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113)에 결합된다. 상기 저면부(131)의 결합에 의해 상기 필터 브라켓(130)의 장착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 수용부(132)의 바닥면 형상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필터 브라켓(130)은 상기 베이스(113)에 후크 방식으로 걸림 구속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113)의 하면에서 체결되는 스크류에 의해서도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수용부(13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필터(120)가 수용될 수 있도록 전방(도면상의 좌측)에서 후방(도면상의 우측)으로 함몰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필터 수용부(132)에는 복수의 필터(12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필터(120)는 공급되는 원수(수돗물)의 정화를 위한 것으로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필터가 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 수용부(132)에는 상기 필터(120)가 장착되는 필터 소켓(134)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 소켓(134)에는 정수된 물이 유동되기 위한 배관이 제공되며, 상기 배관은 다수의 밸브(미도시)들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원수는 상기 필터(120)를 차례로 통과한 후 급수를 위한 밸브(미도시)로 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필터 수용부(132)의 배면(도면상의 우측)에는 다수의 밸브(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밸브(미도시)들은 상기 필터(120)를 통과한 정수를 냉수 생성을 위한 냉각유닛(10) 또는 온수 생성을 위한 유도 가열 어셈블리(17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정수를 곧 바로 출수모듈(400)로 공급할 수도 있다.
상기 필터 수용부(132)의 상단에는 상기 로테이터(20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테이터 장착부(133)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테이터 장착부(133)는 로테이터 장착부(133)의 전방을 커버하는 프론트커버(111), 상세히는 로어 커버(111b)의 곡률과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테이터(200) 및 로테이터(200)에 연결된 출수모듈(400)의 상방에는 조작부(300)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113) 상면에는 압축기(141)와 응축기(142)가 구비된다. 드리고, 상기 압축기(141)와 응축기(142)의 사이에는 쿨링 팬(143)이 구비되어 상기 압축기(141)와 응축기(142)의 냉각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압축기(141)는 주파수를 가변하여 냉각 능력의 조절이 가능한 인버터 타입의 압축기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정수된 물의 냉각이 효율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소비 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142)는 상기 베이스(113)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리어 커버(112)에 형성되는 토출구(112a)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응축기(142)는 공간의 효율적인 이용과 동시에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플랫 튜브 타입의 냉매관이 다수회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응축기 브라켓(144)에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응축기 브라켓(144)에는 상기 응축기(142)가 고정되는 응축기 장착부(145)와, 냉수를 만들기 위한 냉각유닛(10)이 장착될 수 있는 탱크 장착부(146)가 형성된다. 상기 응축기 장착부(145)는 상기 응축기(142)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응축기(142)의 전체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의 공간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응축기 장착부(145)는 상기 쿨링 팬(143)과 토출구(112a)와 마주보는 부분이 각각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응축기(142)의 효과적인 냉각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탱크 장착부(146)는 상기 응축기 브라켓(144)의 상부 즉, 상기 응축기 장착부(145)의 상방에 형성된다. 상기 탱크 장착부(146)에는 상기 냉각유닛(10)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탱크 장착부(146)는 냉각유닛(10)을 고정한다.
상기 냉각유닛(10)은 정수를 냉각하여 냉수를 만들기 위한 것으로, 유입되는 정수와 열교환을 위한 냉각수가 채워진다. 그리고, 상기 냉각유닛(10) 내부에는 상기 냉각수의 냉각을 위한 증발기가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정수가 상기 냉각유닛 내부를 경유할 수 있도록 하여 정수를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필터 브라켓(130)의 일측에는 상기 냉각유닛(10)측으로 연장되는 서포트 플레이트(135)가 더 구비된다.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35)는 상기 압축기(141)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 브라켓(130)에서 상기 응축기 브라켓(144)까지 연장되어 히팅 및 컨트롤 모듈(160)이 장착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히팅 및 컨트롤 모듈(160)는 온수를 만들기 위한 유도 가열 어셈블리(170)와 상기 정수기(1)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어셈블리(18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170)와 컨트롤 어셈블리(180)는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모듈 상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된 상태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35)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170)는 정수된 물을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 유도 가열(IH:induction heating) 방식으로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170)는 온수 취출 조작시 즉각적이고 빠른 속도로 물을 가열할 수 있으며, 자기장의 출력을 제어하여 원하는 온도로 정수를 가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원하는 온도의 온수를 취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180)는 상기 정수기(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압축기(141)와, 쿨링 팬(143) 그리고 각종 밸브와 센서,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170) 등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180)는 기능별로 다수의 부분으로 나누어진 피시비들의 조합에 의해 모듈화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기(1)가 냉수와 정수만을 취출하는 구조에서는 상기 유도 가열 어셈블리(170)를 제어하기 위한 피시비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시비가 생략될 수 있다.
<냉각유닛>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냉수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각 유닛(10)은, 냉각수가 저장되는 냉각수 탱크(12)와, 상기 냉각수 탱크(12)의 외면을 감싸서 냉각수를 외부 공기로부터 단열시키는 단열 케이스(11)와, 상기 단열 케이스(11)의 하단에 장착되어 냉각수를 배출시키는 드레인 밸브(11a)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냉각 유닛(10)은, 상기 냉각수 탱크(12) 내부에 수용되며 내부에 음용수가 흐르는 냉수 배관(13)과, 상기 냉각수 탱크(12)의 내부에서 상기 냉수 배관(13)의 상측에 놓이는 구획 부재(16)와, 상기 구획 부재(16)의 상측에 놓이는 증발기(17)와, 상기 구획 부재(16)를 관통하여 상기 냉수 배관(13)의 내측에 놓이는 교반 부재(18)를 더 포함한다.
상기 구획 부재(16)는, 구획판(14)과, 상기 구획판(14)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통을 포함하는 통 형상의 구획통(15)을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구획판(14)은, 상기 냉각수 탱크(12)의 가로 방향으로 수평하게 놓여서, 상기 냉각수 탱크(12)의 내부 공간을 상기 증발기(17)가 놓이는 상측 공간과, 상기 냉수 배관(13)이 놓이는 하측 공간으로 구획한다.
그리고, 상기 구획판(14)에는 다수의 격자 리브가 형성되어, 상기 구획판(14) 상측의 냉수와 상기 구획판(14) 하측의 냉수가, 상기 교반 부재(18)의 작동에 의하여 순환 가능하도록 기능한다.
또한, 상기 증발기(17)는 상기 구획통(15)의 외측에서 상기 구획통(15)의 원주 방향으로 다수회 감기는 형태로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구획통(15)에는 다수의 격자 리브가 형성되어, 상기 증발기(17) 주위에 형성되는 얼음이 상기 냉수 배관(13)이 수용된 하측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교반 부재(18)는 상기 구획통(15)의 내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관통하여 상기 냉수 배관(13)의 내측에 놓인다. 상기 냉수 배관(1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파이럴 형태로 감겨서 소정 길이와 직경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 유닛(10)은, 상기 냉각수 탱크(12)의 개구된 상단을 덮는 탱크 커버(19)와, 상기 탱크 커버(19)의 상면에 안착되는 교반 모터(20)와, 상기 탱크 커버(19)의 상측에서 상기 단열 케이스(11)의 개방된 상단을 덮는 케이스 커버(21)를 더 포함한다.
즉, 상기 단열 케이스(11)는, 상측이 개방되어, 내부 공간에 상기 냉각수 탱크(12)가 수용되고, 상기 케이스 커버(21)는 상기 단열 케이스(11)의 개방된 상측을 커버한다.
상기 교반 모터(20)의 회전축은 상기 탱크 커버(19)의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냉각수 탱크(12) 내부로 연장되고, 상기 교반 부재(18)의 상단은 상기 교반 모터(20)의 회전축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커버(21)에는 상기 냉수 배관(13)의 입구단과 출구단을 안내하는 냉수 배관 안내부(21b)가 형성되고, 상기 급수 포트(19a)가 관통 수용되는 급수 포트 수용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냉각수 탱크(12)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가이드 홈(12a)이 하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가이드 홈(12a)은, 상기 구획판(14)의 외주면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구획판(14)의 장착을 가이드한다. 즉,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홈(12a)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구획판(14)은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홈(12a)의 하단부에 걸릴 때까지 하강하여, 상기 냉각수 탱크(12)의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는 지점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냉각수 탱크(12)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가이드 돌기(12b)가 돌출되어 하측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단열 케이스(11)의 내주면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12b)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11b)이 다수 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돌기들이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됨으로써, 냉각수 탱크(12)가 상기 단열 케이스(11)로 정확한 위치에 삽입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냉각수 탱크(12)가 단열 케이스(11) 내에서 흔들리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구획판(14)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기 교반 부재(18)는, 상기 교반 모터(20)의 모터축에 연결되는 축부(18a)와, 상기 축부(18a)의 하단에 형성되는 블레이드부(또는 임펠러부)(18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축부(18a)는, 블레이드부(18b)가 상기 구획통(15)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는 지점에 놓일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결로방지 구조>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냉수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냉수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냉수유닛의 일부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냉수유닛의 탱크커버를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냉수유닛의 케이스 커버를 하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냉수유닛의 일부를 발췌하여 보인 종단면도이다.
일반적인 직수타입의 정수기는, 실시간으로 냉수를 출수하기 위해 냉각수 탱크(12)를 구비하고, 냉수 성능을 높이기 위해 냉각수 탱크(12)는 내부 온도가 낮게 유지된다.
이로 인해, 냉각수 탱크(12)와 외부 공기의 온도차가 발생하고, 냉각수 탱크(12)의 주변에 결로가 발생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단열 케이스(11) 및 케이스 커버(21)가 냉각수 탱크(12) 및 탱크커버(19)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된다.
하지만, 일부 온도, 습도 조건에서는 단열 케이스(11) 또는 케이스 커버(21)의 외측 일부에 결로가 생기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경우, 단열 케이스(11) 또는 케이스 커버(21)의 외측의 결로가 생기지 않도록, 추가 단열구조를 적용한다.
특히, 본 발명의 경우, 탑 커버(114)가 개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 경우, 탑 커버(114)와 인접해서 배치된 케이스 커버(21)가 사용자의 터치 등의 원인으로, 오염되면서, 케이스 커버(21)에 균이 생장하고, 상기 케이스 커버(21)에 생긴 결로에 의해, 케이스 커버(21)의 외측 표면에 곰팡이가 생기는 문제가 발생할 우려도 있다.
(제1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단열 케이스(11)의 외측 또는 내측에 단열성을 갖는 단열패드(61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열 케이스(11)의 상측을 커버하는 상기 케이스 커버(21)는 상기 탑 커버(114)와 인접해서 마주보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 커버(21)의 상면과 상기 탑커버(114) 사이에는, 단열성 또는 가요성 또는 신축성 재질의 단열패드(610)가 삽입된다.
상기 단열패드(610)는 크게 두가지 기능을 한다.
첫째, 상기 단열패드(610)는 상기 케이스 커버(21)의 단열성을 향상시킨다. 이에 따라, 냉각수 탱크(12)에서 발생된 냉기가, 케이스 커버(21)를 통해, 케이스 커버(21)의 외측으로 전달되더라도, 단열패드(610)에 의해서, 2차로 냉기가 차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단열패드(610)의 구성으로, 냉각수 탱크(12)에서 발생된 냉기가 외부로 전달되지 않게 보다 확실히 차단될 수 있다. 그리고, 외기와 단열패드(610) 및 케이스 커버(21)의 온도차가 줄어들고, 단열패드(610) 및 케이스 커버(21)의 표면에서 결로가 생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기는 냉각 유닛(10)의 하측에는 압축기(141)와 응축기(142)가 구비된다.
그리고, 압축기(141)와 응축기(142)에서는 열이 발생한다. 그리고, 그 열은 하우징(11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전달된다. 즉, 하우징(110)의 상측의 공기는 따뜻한 온도를 갖는다.
반면, 케이스 커버(21)는 냉각수 탱크(12)에서 발생된 냉기의 영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차가워진다.
상기의 경우, 케이스 커버(21)는 차가운 상태이고, 케이스 커버(21)의 주변 공기는 따뜻한 상태이다. 이에 따라, 케이스 커버(21)에는 더욱 더 결로가 생기기 쉽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와 같이, 케이스 커버(21)의 외측에 단열패드(610)가 추가로 부착되면, 단열패드(610) 및 케이스 커버(21)의 온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해결되어, 결과적으로, 단열패드(610) 및 케이스 커버(21)의 표면에서 결로가 생기지 않게 된다.
참고로, 상기 단열패드(610)는 케이스 커버(21)의 일부 표면에만 부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단열패드(610)는 케이스 커버(21)에서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영역에 주로 부착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단열패드(610)는 케이스 커버(21)의 전체 표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둘째, 상기 단열패드(610)는 상기 탑 커버(114)와 케이스 커버(21)의 유격을 잡아주는 역할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열 케이스(11)의 상측을 커버하는 상기 케이스 커버(21)는 상기 탑 커버(114)와 인접해서 마주보게 배치된다.
그리고, 그 사이에는 공간이 마련된다.
또한, 점검 등의 목적으로, 탑 커버(114)가 분리되면, 케이스 커버(21)는 외부로 노출된다.
이와 같이, 케이스 커버(21)와 탑 커버(114)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그 공간이 일시적으로 외측으로 노출됨에 따라, 케이스 커버(21)의 상측은 오염되고, 각종 균이 생장할 수 있다. 그리고, 균이 생장하면서, 케이스 커버(21)의 외측에는 곰팡이가 생길 수 있다.
또한, 탑 커버(114)가 분리되지 않더라도, 케이스 커버(21)와 탑 커버(114) 사이에 공간을 통해, 외부 공기가 유동하면서, 케이스 커버(21)의 상측은 오염되고, 각종 균이 생장할 수 있다. 그리고, 균이 생장하면서, 케이스 커버(21)의 외측에는 곰팡이가 생길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와 같이, 케이스 커버(21)와 탑 커버(114) 사이에 단열패드(610)가 구비되면, 탑 커버(114)와 케이스 커버(21) 사이 공간을 단열 패드(610)가 채우면서, 탑 커버(114)와 케이스 커버(21)의 유격이 줄어들거나, 제거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탑 커버(114)와 케이스 커버(21) 사이로 균이 유입되어 생장하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유입된 균이 생장하면서, 탑 커버(114)와 케이스 커버(21)의 표면에 곰팡이가 생기는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즉, 케이스 커버(21)와 탑 커버(114) 사이에 단열패드(610)가 구비되면, 외부에서 균의 유입이 방지되는 것은 물론, 균이 유입된다 하더라고, 균이 생장할 수 없기 때문에, 탑 커버(114)와 케이스 커버(21)의 표면에 곰팡이가 생기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열패드(610)는 상하방향으로 적층하여, 복수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단열패드(610)가 복수개 구비되어, 적층된 경우 단열패드(610)의 단열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복수의 단열패드(610)는 각각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복수의 단열패드(610)는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설명에서, 상기 단열패드(610)는, 강도를 갖고, 단열성이 뛰어난 PE폼 또는 PU폼 등의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와 같이, 상기 복수의 단열패드(610)는, 상기 케이스 커버(21)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단열패드(611)와, 상기 제1단열패드(611)보다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단열패드(611)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단열패드(6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와 같이, 단열패드(610)가 복수개 구비되어, 적층된 경우, 상기 단열패드(610)는, 상기 케이스 커버(21)의 상측에 상측에 배치되는 제1단열패드(611)와, 상기 제1단열패드(611)보다 저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단열패드(611)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단열패드(6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단열패드(611)는, E폼 또는 PU폼 등의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단열패드(612)는 PET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패드(610)의 상면에는, 열전도성 재질의 확산패드(6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확산패드(62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탑커버(114)의 저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확산패드(62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확산패드(620)는 알루미늄(Al)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산패드(620)는,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이 매끄럽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확산패드(620)의 외측 표면이 매끄럽게 형성되고, 유지되면, 확산패드(620)의 외측에서, 세균의 생장이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곰팡이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확산패드(620)는 약 40㎛의 두께를 갖는 알루미늄 시트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확산패드(620)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고, 두께가 얇은 박판의 형태로 구비되면, 확산패드(620)는 쉽게 변형된다.
그리고, 확산패드(620)가 변형되면, 굴곡이 생기면서, 외관이 저하되고, 뿐만 아니라 균이 부착되고, 생장하기 유리하다.
따라서, 상기 확산패드(620)가 변형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경우, 확산패드(620)의 하측에 단열패드(610)가 부착된다.
일 예로, 상기 확산패드(620)의 하측에 는 제2단열패드(612)거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단열패드(610)의 구성으로, 확산패드(620)가 보강되고, 단열패드(610)는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단열패드(610)가 복수의 측으로 구비된 경우, 상기 확산패드(620)와 인접한 상측의 제2단열패드(612)는 저탄성, 고강도 단열재질로 구비되므로, 확산패드(620)의 형태가 평면으로 유지되기에 보다 유리하다.
상기와 같이, 제2단열패드(612)의 구성으로, 확산패드(620)가 평면을 유지하면, 외관이 향상되는 것은 물론, 균의 생장이 억제되어, 확산패드(620)의 표면에 곰팡이가 생기지 않게 예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산패드(620)는, 상면에 헤어라인(hair line)이 가공되고, 상기 확산패드(620)의 상면에는 코팅층(622)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단열패드(610)의 상측에 확산패드(620)가 구비되면, 단열패드(610) 또는 케이스 커버(21)의 표면의 온도가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즉, 상기 확산패드(620)가 열전도를 수행하여, 단열패드(610) 또는 케이스 커버(21)의 일부영역에서, 급격히 온도가 낮아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단열패드(610) 또는 케이스 커버(21)의 일부영역의 온도가 급격이 낮아지면서, 온도가 낮아진 위치에서, 결로가 생기는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확산패드(620)는 적어도 일부가 탑커버(114) 측과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확산패드(620)는 탑커버(114)와 열교환을 진행할 수도 있다.
이때, 탑커버(114)의 온기가 확산패드(620)를 통해서, 단열패드(610) 또는 케이스 커버(21) 측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단열패드(610) 또는 케이스 커버(21)의 냉기가 확산패드(620)를 통해서, 탑커버(114) 측으로 전달될 수도 있다.
이에 따르면, 단열패드(610) 또는 케이스 커버(21)의 국부 영역이 나머지 영역 대비, 더 낮은 온도로 냉각되면서, 결로가 발생하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열패드(610)의 저면에는, 접착층(611a)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접착층(611a)의 구성으로, 단열패드(610)는 케이스 커버(21)에 부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접착층(611a)은 양면 테이프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접착층(611a)은 본드 등의 접착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열패드(610)가 복수 구비된 경우, 제1단열패드(611)와 제2단열패드(612) 사이에는 접착층(612a)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접착층(612a)의 구성으로, 제1단열패드(611)와 제2단열패드(612)는 서로 부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접착층(612a)은 양면 테이프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접착층(612a)은 본드 등의 접착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단열패드(610)의 상면에는 접착층(612b)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접착층(612b)의 구성으로, 단열패드(610)는 확산패드(620)와 부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접착층(612b)은 양면 테이프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접착층(612b)은 본드 등의 접착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확산패드(620)는 열전도 테이프를 통해서, 케이스 커버(21)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에로, 상기 열전도 테이프(660)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열전도 테이프(660)는 일측이 확산패드(620)의 상면에 부착되고, 타측이 상기 단열패드(610)를 경유하여, 케이스 커버(21)의 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확산패드(620), 단열패드(610), 케이스 커버(21)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확산패드(620)의 열이 열전도 테이프(660)를 통해서, 주변으로 확산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냉각수 탱크(12)의 내측에는 교반 부재(18)가 설치되고, 냉각수 탱크(12)의 상측에는 탱크커버(19)가 구비되며, 상기 교반 부재(18)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교반 모터(20)는 상기 탱크커버(19)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케이스 커버(21)의 일측에는 상기 교반 모터(20)가 수용되는 홈부(211)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211)에는 상기 모터(20)를 커버하는 단열성 재질의 모터커버(630)가 구비된다.
이때, 냉각수 탱크(12)의 내측에 수용된 교반부재(18)는 차가운 상태이고, 교반모터(20) 역시, 교반부재(18)의 영향으로, 온도가 낮아질 수 밖에 없다.
그리고, 교반모터(20)의 온도가 낮아지면서, 교반모터(20)와 접촉하는 케이스 커버(21)의 주변 온도도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교반모터(20)와 접촉하는 일부 영역의 단열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경우, 교반모터(20)의 냉기가 케이스 커버(21)의 외측으로 전달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케이스 커버(21)의 홈부(211)에는 상기 모터(20)를 커버하는 단열성 재질의 모터커버(630)가 추가로 구비된다.
다른 예로, 상기 탱크 커버(19)는 항균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각수 탱크(12)의 내측에는 정수가 유동하는 냉수배관(13)이 설치되고, 상기 단열 케이스(11)의 상측에 구비된 케이스 커버(21)의 일측에는 상기 냉수배관(13)의 입구단(13a)과 출구단(13b)이 노출되며, 상기 입구단(13a)과 출구단(13b)의 외면을 감싸는 단열성 재질의 제1보조커버(6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 케이스(11)의 상측에 구비된 케이스 커버(21)의 일측에는 상기 입구단(13a)과 출구단(13b)이 노출된 위치에 냉수 배관 안내부(21b)가 형성되고, 상기 냉구배관(13)의 입구단(13a) 및 출구단(13b)과 상기 냉수 배관 안내부(21b) 사이에는 단열성 재질의 제2보조커버(65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수 배관 안내부(21b)는 케이스 커버(21)의 일측 모서리에 오목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 케이스(11)의 측면에는, 단열성 재질의 측면커버(660)가 부착된다.
또한, 상기 단열 케이스(11)의 측면에는,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관(22)이 노출되고, 상기 냉매관(22)의 외측을 감싸는 단열성 재질의 냉매커버(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매커버(23) 및 상기 단열 케이스(11)를 커버하는 단열성 재질의 외측커버(6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열패드(610)의 두께는, 상기 단열케이스(11)의 상면을 형성하는 케이스 커버(21)의 상면과 상기 탑커버(114)의 간격(G)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케이스 커버(21)와 상기 탑커버(114)의 사이에, 단열패드(610)를 끼우기 전, 단열패드(610)의 두께는 케이스 커버(21)의 상면과 상기 탑커버(114)의 간격(G)보다 크거나 같게 형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 커버(21)와 탑커버(114) 사이에, 단열패드(610)를 끼우면, 단열패드(610)가 케이스 커버(21)와 탑커버(114) 사이에서 압착되고, 케이스 커버(21)와 탑커버(114)의 유격이 제거되면서, 균의 유입 및 생장이 보다 확실히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단열패드(610)는 케이스 커버(21)와 탑커버(114)에 밀착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단열패드(610)와 탑커버(114) 사이에 구비된 확산패드(620)의 열전달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한 설명에서, 상기 단열패드(610)는, 강도를 갖고, 단열성이 뛰어난 PE폼 또는 PU폼 또는 PET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커버(630) 및 제1,2 보조커버(640,650)의 경우, 각각 교반모터(18), 냉수배관(13)의 입구단(13a)과 출구단(13b)과 밀착될 필요가 있으므로, 신축성을 갖고, 탄성 복원력을 갖는 고발포 EPDM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상기 단열 케이스(11)의 상측에 구비된 케이스 커버(21)의 상면과 상기 탑커버(114) 사이에는, 상기 단열 케이스(11) 및/또는 상기 탑커버(114)와 접촉하면서, 상기 단열 케이스(11)에서 발생한 열을 주변으로 확산시키거나, 상기 단열 케이스(11)와 탑커버(114)를 열교환시키는 확산패드(62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열 케이스(11)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기 케이스 커버(21)는 상기 탑 커버(114)와 인접해서 마주보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확산패드(620)는 상기 케이스 커버(21) 및/또는 탑 커버(114)와 접촉하거나,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확산패드(620)의 구성으로, 수평방향 열전도가 진행되면서, 확산패드(620)와 접촉하거나 인접하는 케이스 커버(21)의 수평방향의 온도차이가 줄어들고, 수평방향으로 온도가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확산패드(62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탑커버(114)의 저면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확산패드(62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확산패드(620)는 알루미늄(Al)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확산패드(620)가 구비되면, 상기 확산패드(620)가 열전도를 수행하여, 후술되는 단열패드(610) 또는 케이스 커버(21)의 일부영역에서, 급격히 온도가 낮아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단열패드(610) 또는 케이스 커버(21)의 일부영역의 온도가 급격이 낮아지면서, 온도가 낮아진 위치에서, 결로가 생기는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확산패드(620)는 적어도 일부가 탑커버(114) 측과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확산패드(620)는 탑커버(114)와 열교환을 진행할 수도 있다.
이때, 탑커버(114)의 온기가 확산패드(620)를 통해서, 단열패드(610) 또는 케이스 커버(21) 측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단열패드(610) 또는 케이스 커버(21)의 냉기가 확산패드(620)를 통해서, 탑커버(114) 측으로 전달될 수도 있다.
이에 따르면, 단열패드(610) 또는 케이스 커버(21)의 국부 영역이 나머지 영역 대비, 더 낮은 온도로 냉각되면서, 결로가 발생하는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산패드(620)의 하측에는, 상기 확산패드(620)가 평면을 유지하도록 강성을 갖는 단열성 재질의 단열패드(610)가 부착되고, 상기 단열패드(610)는 상기 단열 케이스(11)의 상측에 구비된 케이스 커버(21)의 상면과 상기 확산패드(62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확산패드(620)는,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이 매끄럽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확산패드(620)의 외측 표면이 매끄럽게 형성되고, 유지되면, 확산패드(620)의 외측에서, 세균의 생장이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곰팡이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확산패드(620)는 약 40㎛의 두께를 갖는 알루미늄 시트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확산패드(620)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고, 두께가 얇은 박판의 형태로 구비되면, 확산패드(620)는 쉽게 변형된다.
그리고, 확산패드(620)가 변형되면, 굴곡이 생기면서, 외관이 저하되고, 뿐만 아니라 균이 부착되고, 생장하기 유리하다.
따라서, 상기 확산패드(620)가 변형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경우, 확산패드(620)의 하측에 단열패드(610)가 부착된다.
그리고, 단열패드(610)의 구성으로, 확산패드(620)가 보강되고, 단열패드(610)는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단열패드(610)가 복수의 층으로 구비된 경우, 상기 확산패드(620)와 인접한 상측의 제2단열패드(612)는 저탄성, 고강도 단열재질로 구비되므로, 확산패드(620)의 형태가 평면으로 유지되기에 보다 유리하다.
상기와 같이, 제2단열패드(612)의 구성으로, 확산패드(620)가 평면을 유지하면, 외관이 향상되는 것은 물론, 균의 생장이 억제되어, 확산패드(620)의 표면에 곰팡이가 생기지 않게 예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확산패드(620)는, 상면에 헤어라인(hair line)이 가공되고, 상기 확산패드(620)의 상면에는 코팅층(62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단열패드(610)의 구성으로, 탑 커버(114)와 케이스 커버(21)의 유격이 제거되어, 곰팡이 포자 등의 유입이 방지될 수 있으며, 곰팡이의 생장이 억제될 수도 있다.
상기한 설명에서, 상기 단열패드(610)는, 강도를 갖고, 단열성이 뛰어난 PE폼 또는 PU폼 또는 PET등의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커버(630) 및 제1,2 보조커버(640,650)의 경우, 각각 교반모터(18), 냉수배관(13)의 입구단(13a)과 출구단(13b)과 밀착될 필요가 있으므로, 신축성을 갖고, 탄성 복원력을 갖는 고발포 EPDM으로 구비될 수 있다.
<트레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트레이'에 대해 설명한다.
다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트레이(900)는 상기 프론트 커버(111)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상기 베이스(113)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트레이(900)는 출수모듈(400)의 수직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9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113)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다. 상기 트레이(900)는 상기 출수노즐(430)에서 낙하되는 물이 저장될 수 있도록 출수노즐(430)의 수직 하방에 그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900)는 상기 베이스(113)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링(910)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900)는 회전링(910)에 의해 베이스(113)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3)는 상기 정수기(1)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13)는 둘레가 상방으로 연장되어 사이드 패널(115)과 프론트 커버(111)와 리어 커버(112)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3)의 전반부에는 상기 트레이(900)의 저면의 후반부에 형성된 회전링(910)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트레이(900)는 상기 회전링(910)에 의해 좌우 양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3) 상단의 전반부는 베이스(113) 상단의 후반부보다 더 낮게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13)의 전반부와 프론트 커버(111) 및 사이드패널(115)의 하단부 사이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개구부를 통해 트레이(900)가 좌우 측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113)의 전반부와 후반부 사이에 단차진 부분은 트레이(900)의 회전시 트레이(900)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로 작용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900)의 회전시 상기 트레이(900)의 양쪽 측면은 상기 스토퍼에 접하게 되고, 상기 트레이(900)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Claims (20)

  1.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커버와, 상면을 형성하는 탑커버와, 및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를 포함하여,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원수를 정수로 정화시키는 필터;
    상기 필터를 통과한 정수를 냉각시키는 냉각수 탱크;
    상기 냉각수 탱크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단열 케이스;
    상기 프론트커버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냉각수 탱크를 통과한 물을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공급하는 출수노즐을 포함하는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단열 케이스의 상면을 형성하는 케이스 커버의 상면은 상기 탑 커버와 인접해서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 커버의 상면과 상기 탑커버 사이에는, 상기 탑 커버와 케이스 커버의 유격을 잡아주는 단열성 또는 가요성 또는 신축성 재질의 단열패드가 삽입되는 정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패드는 상하방향으로 적층하여, 복수 구비되는 정수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패드는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정수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패드는,
    상기 단열 케이스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단열패드와,
    상기 제1단열패드보다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단열패드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단열패드를 포함하는 정수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패드는,
    상기 케이스 커버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단열패드와,
    상기 제1단열패드보다 저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단열패드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단열패드를 포함하는 정수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패드의 상면에는,
    열전도성 재질의 확산패드가 더 구비되는 정수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패드는 상기 탑커버의 저면과 접촉하는 정수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패드는, 알루미늄을 포함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정수기.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패드는, 상면이 매끄럽게 형성되는 정수기.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패드는, 상면에 헤어라인이 가공되고, 상기 확산패드의 상면에는 코팅층이 형성되는 정수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케이스는, 상측이 개방되어, 내부 공간에 상기 냉각수 탱크가 수용되고,
    상기 케이스 커버는, 상기 단열 케이스의 개방된 상측을 커버하는 정수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탱크의 내측에는 교반부재가 설치되고, 냉각수 탱크의 상측에는 탱크커버가 구비되며, 상기 교반부재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교반모터는 상기 탱크커버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케이스 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모터가 수용되는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홈부에는 상기 모터를 커버하는 단열성 재질의 모터커버가 구비되는 정수기.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탱크의 내측에는 정수가 유동하는 냉수배관이 설치되고, 상기 케이스 커버의 상측에는 상기 냉수배관의 입구단과 출구단이 노출되며,
    상기 입구단과 출구단의 외면을 감싸는 단열성 재질의 제1보조커버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케이스에는 상기 입구단과 출구단이 노출된 위치에 오목한 형태의 냉수 배관 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단 및 출구단과 상기 냉수 배관 안내부 사이에는 단열성 재질의 제2보조커버가 배치되는 정수기.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케이스의 측면에는, 단열성 재질의 측면커버가 부착되는 정수기.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케이스 또는 케이스 커버의 측면에는,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관이 노출되고,
    상기 냉매관의 외측을 감싸는 단열성 재질의 냉매커버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커버 및 상기 단열 케이스 또는 케이스 커버를 커버하는 단열성 재질의 외측커버를 더 포함하는 정수기.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패드의 두께는, 상기 케이스 커버의 상면과 상기 탑커버의 간격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된 정수기.
  19.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커버와, 상면을 형성하는 탑커버와, 및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를 포함하여,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원수를 정수로 정화시키는 필터;
    상기 필터를 통과한 정수를 냉각시키는 냉각수 탱크;
    상기 냉각수 탱크의 외측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단열 케이스;
    상기 프론트커버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냉각수 탱크를 통과한 물을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공급하는 출수노즐을 포함하는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단열 케이스의 상면을 형성하는 케이스 커버의 상면은 상기 탑 커버와 인접해서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 커버의 상면과 상기 탑커버 사이에는, 상기 케이스 커버 및/또는 상기 탑커버와 접촉하면서, 상기 케이스 커버에서 발생한 열을 주변으로 전달하거나, 상기 케이스 커버와 탑커버를 열교환시키는 확산패드가 구비되는 정수기.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패드의 하측에는, 상기 확산패드가 평면을 유지하도록 강성을 갖는 단열성 재질의 단열패드가 부착되고, 상기 단열패드는 상기 확산패드와 상기 케이스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정수기.
KR1020190162938A 2019-12-09 2019-12-09 정수기 KR102359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938A KR102359787B1 (ko) 2019-12-09 2019-12-09 정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938A KR102359787B1 (ko) 2019-12-09 2019-12-09 정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2539A KR20210072539A (ko) 2021-06-17
KR102359787B1 true KR102359787B1 (ko) 2022-02-09

Family

ID=76603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2938A KR102359787B1 (ko) 2019-12-09 2019-12-09 정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978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2097A (ja) 2001-12-27 2003-07-09 Hoshizaki Electric Co Ltd 冷飲料供給装置
US20110006080A1 (en) 2005-02-17 2011-01-13 David Naylor Fluid storage and dispensing system heating unit
CN206940409U (zh) 2017-06-29 2018-01-30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水箱组件和苏打水机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926Y1 (ko) * 2007-09-10 2009-09-10 유니온스틸 주식회사 헤어라인 칼라강판
RU2562947C2 (ru) * 2011-06-21 2015-09-10 Электролюкс Хоум Продактс Корпорейшн Н.В. Бытовой прибор, содержащий систему для розлива напитка, а также способ и фильтрующий картридж для розлива напитка
KR20160081453A (ko) * 2014-12-31 2016-07-08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휴대 단말기용 금속 외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09103A (ko) * 2018-03-16 2019-09-25 서영이앤티 주식회사 음료 냉각 장치
KR20190116835A (ko) * 2018-04-05 2019-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정수기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2097A (ja) 2001-12-27 2003-07-09 Hoshizaki Electric Co Ltd 冷飲料供給装置
US20110006080A1 (en) 2005-02-17 2011-01-13 David Naylor Fluid storage and dispensing system heating unit
CN206940409U (zh) 2017-06-29 2018-01-30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水箱组件和苏打水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2539A (ko) 202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76096B2 (ja) 給水装置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水の冷却及び浄水方法
CN107289731B (zh) 水分配器
EP2659203B1 (en) Cold water tank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EP2553360B1 (en) Cold water tank
CN109997713A (zh) 一种具有温控功能宠物饮水机
US20180016129A1 (en) Water purifier
US20180056217A1 (en) Cooling water stirrer and water purifier having the same
CN108928793B (zh) 苏打水机
JP2011094925A (ja) 貯湯タンクユニット
KR102359787B1 (ko) 정수기
CN104566585B (zh) 吸油烟机
KR20130014113A (ko) 전력공급장치의 냉각구조 및 이를 구비한 정수기
JP2011149579A (ja) 貯湯タンク
JP7433768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の室外機
US10088217B2 (en) Refrigeration device comprising a water tank
KR20130001910A (ko) 냉수제조장치
KR20110124858A (ko) 음료 냉각장치
KR102385295B1 (ko) 정수기
KR20190000817U (ko) 정수기의 냉수 공급 시스템
CN208769507U (zh) 净饮机
KR20220039411A (ko) 정수기
JP5441517B2 (ja) 冷却貯蔵庫
CN112006534A (zh) 蒸汽盒、锅盖及压力烹饪器具
CN214892090U (zh) 带制冷式接水盘的水加热机
KR20230033091A (ko) 와인 칠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