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9775B1 - 온도센서를 이용한 화재발생위치 결정방법 - Google Patents

온도센서를 이용한 화재발생위치 결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9775B1
KR102359775B1 KR1020200030656A KR20200030656A KR102359775B1 KR 102359775 B1 KR102359775 B1 KR 102359775B1 KR 1020200030656 A KR1020200030656 A KR 1020200030656A KR 20200030656 A KR20200030656 A KR 20200030656A KR 102359775 B1 KR102359775 B1 KR 102359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temperature sensor
location
time
occur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0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5212A (ko
Inventor
조범준
김현철
Original Assignee
케이아이티밸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아이티밸리(주) filed Critical 케이아이티밸리(주)
Priority to KR1020200030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9775B1/ko
Publication of KR20210115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52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05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for forest fires, e.g. detecting fires spread over a large or outdoors are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Abstract

본 발명은,
3개 이상인 복수의 온도센서가 각기 배치된 설정된 지역의 지도정보와 상기 설정된 지역에서 각 예상 화재발생위치에서의 대피경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20)를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20)를 액세스하는 화재발생 위치 분석부(30)가 상기 복수의 온도센서로부터 설정된 온도 이상을 감지함에 따른 화재발생 감지정보를 받아(S10) 화재발생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화재발생을 첫 번째로 감지한 첫 번째 온도센서(sensor1)가 배치된 위치를 잠정 화재발생위치로 정하고 화재발생을 첫 번째로 감지한 시각을 잠정 화재발생 시각으로 정하는 단계(S20);
화재발생을 두 번째로 감지한 두 번째 온도센서(sensor2)의 화재발생 감지시각과 상기 첫 번째 온도센서(sensor1)의 화재발생 감지시각 사이의 시각 차이(시간)에 열에너지 확산속도를 곱하여 상기 두 번째 온도센서(sensor2)에서 제1 화재발생위치까지의 제1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S30);
화재발생을 세 번째로 감지한 세 번째 온도센서(sensor3)의 화재발생 감지시각과 상기 첫 번째 온도센서(sensor1)의 화재발생 감지시각 사이의 시각 차이에 열에너지 확산속도를 곱하여 상기 세 번째 온도센서(sensor3)에서 제2 화재발생위치까지의 제2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S40); 및
상기 두 번째 온도센서(sensor2)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1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제1 원을 그리고 상기 세 번째 온도센서(sensor3)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2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제2 원을 그려서 상기 제1 원과 상기 제2 원의 교차점 중 상기 첫 번째 온도센서(sensor1)와 가까운 교차점을 화재발생위치로 결정하는 단계(S5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온도센서를 이용한 화재발생위치 결정방법{Decision method of fire location using temperature sensors}
본 발명은 온도센서를 이용한 화재발생위치 결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은 광범위하기 때문에 산불과 같은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기 위해서는 화재발생위치를 정확하게 알아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설정된 지역에 각기 배치된 복수의 온도센서로부터 설정된 온도 이상을 감지함에 따른 화재발생 감지정보를 받아 화재발생을 첫 번째로 감지한 첫 번째 온도센서를 1차적으로 화재발생위치로 결정하고 동일한 이벤트에 대하여 첫 번째 온도센서 외에 다른 온도센서가 화재발생을 감지하면 그때의 시각과 첫 번째로 화재발생을 감지한 시각의 차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접근법으로 화재발생위치를 결정하도록 함으로써 설정된 지역에서 화재발생위치의 결정을 정확하게 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 정보 :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46866호(공개일자 2012년05월11일) "화재감지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 및 위치검지기"
이와 같은 "화재감지기의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 및 위치검지기"는 화재발생에 따라 동작하는 화재감지기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설정된 지역에 각기 배치된 복수의 온도센서로부터 설정된 온도 이상을 감지함에 따른 화재발생 감지정보를 받아 화재발생을 첫 번째로 감지한 첫 번째 온도센서를 1차적으로 화재발생위치로 결정하고 동일한 이벤트에 대하여 첫 번째 온도센서 외에 다른 온도센서가 화재발생을 감지하면 그때의 시각과 첫 번째로 화재발생을 감지한 시각의 차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접근법으로 화재발생위치를 결정하도록 하지는 못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설정된 지역에 각기 배치된 복수의 온도센서로부터 설정된 온도 이상을 감지함에 따른 화재발생 감지정보를 받아 화재발생을 첫 번째로 감지한 첫 번째 온도센서를 1차적으로 화재발생위치로 결정하고 동일한 이벤트에 대하여 첫 번째 온도센서 외에 다른 온도센서가 화재발생을 감지하면 그때의 시각과 첫 번째로 화재발생을 감지한 시각의 차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접근법으로 화재발생위치를 결정하도록 하는 온도센서를 이용한 화재발생위치 결정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3개 이상인 복수의 온도센서가 각기 배치된 설정된 지역의 지도정보와 상기 설정된 지역에서 각 예상 화재발생위치에서의 대피경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20)를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20)를 액세스(access)하는 화재발생 위치 분석부(30)가 상기 복수의 온도센서로부터 설정된 온도 이상을 감지함에 따른 화재발생 감지정보를 받아(S10) 화재발생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화재발생을 첫 번째로 감지한 첫 번째 온도센서(sensor1)가 배치된 위치를 잠정 화재발생위치로 정하고 화재발생을 첫 번째로 감지한 시각을 잠정 화재발생 시각으로 정하는 단계(S20);
화재발생을 두 번째로 감지한 두 번째 온도센서(sensor2)의 화재발생 감지시각과 상기 첫 번째 온도센서(sensor1)의 화재발생 감지시각 사이의 시각 차이(시간)에 열에너지 확산속도를 곱하여 상기 두 번째 온도센서(sensor2)에서 제1 화재발생위치까지의 제1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S30);
화재발생을 세 번째로 감지한 세 번째 온도센서(sensor3)의 화재발생 감지시각과 상기 첫 번째 온도센서(sensor1)의 화재발생 감지시각 사이의 시각 차이에 열에너지 확산속도를 곱하여 상기 세 번째 온도센서(sensor3)에서 제2 화재발생위치까지의 제2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S40); 및
상기 두 번째 온도센서(sensor2)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1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제1 원을 그리고 상기 세 번째 온도센서(sensor3)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2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제2 원을 그려서 상기 제1 원과 상기 제2 원의 교차점 중 상기 첫 번째 온도센서(sensor1)와 가까운 교차점을 화재발생위치로 결정하는 단계(S5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온도센서는 비접촉식 온도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20)가 저장하고 있는 정보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설정된 지역에 각기 배치된 복수의 온도센서로부터 설정된 온도 이상을 감지함에 따른 화재발생 감지정보를 받아 화재발생을 첫 번째로 감지한 첫 번째 온도센서를 1차적으로 화재발생위치로 결정하고 동일한 이벤트에 대하여 첫 번째 온도센서 외에 다른 온도센서가 화재발생을 감지하면 그때의 시각과 첫 번째로 화재발생을 감지한 시각의 차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접근법으로 화재발생위치를 결정하도록 하기 때문에 설정된 지역에서 화재발생위치의 결정이 정확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센서를 이용한 화재발생위치 결정방법을 수행하는 기능블록도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센서를 이용한 화재발생위치 결정방법의 일 실시 예를 단계별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센서를 이용한 화재발생위치 결정방법에서 화재발생위치를 결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도센서를 이용한 화재발생위치 결정방법을 수행하는 기능블록도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온도센서 정보 수집부(10), 데이터베이스(20), 화재발생 위치 분석부(30), 화재정보 생성부(40) 및 화재정보 전송부(5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센서를 이용한 화재발생위치 결정방법의 일 실시 예를 단계별로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센서를 이용한 화재발생위치 결정방법에서 화재발생위치를 결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있어서, 먼저 도 1의 온도센서 정보 수집부(10)는 설정된 지역에 배치된 3개 이상인 복수의 온도센서로부터 제공되는 설정된 온도 이상을 감지함에 따른 화재발생 감지정보를 수집한다.
데이터베이스(20)는 3개 이상인 복수의 온도센서가 각기 배치된 설정된 지역의 지도정보와 설정된 지역에서 각 예상 화재발생위치에서의 대피경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이때 복수의 온도센서는 비접촉식 온도센서인 것이 바람직하고 데이터베이스(20)가 저장하고 있는 정보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되는 것이 좋다.
화재발생 위치 분석부(30)는 데이터베이스(20)를 액세스한다.
화재발생 위치 분석부(30)는 온도센서 정보 수집부(10)로부터 설정된 온도 이상을 감지함에 따른 화재발생 감지정보를 받아(도 2의 S10) 화재발생을 첫 번째로 감지한 첫 번째 온도센서(sensor1)가 배치된 위치를 잠정 화재발생위치로 정하고 화재발생을 첫 번째로 감지한 시각을 잠정 화재발생 시각으로 정한다(S20).
화재발생 위치 분석부(30)는 화재발생을 두 번째로 감지한 두 번째 온도센서(sensor2)의 화재발생 감지시각과 첫 번째 온도센서(sensor1)의 화재발생 감지시각 사이의 시각 차이(시간)에 열에너지 확산속도를 곱하여 두 번째 온도센서(sensor2)에서 제1 화재발생위치까지의 제1 거리를 계산한다(S30). 예로, 도 3과 같이 열에너지 확산속도를 1m/s로 하고 시각 차이를 3s로 하면 제1 거리는 3m이다.
화재발생 위치 분석부(30)는 화재발생을 세 번째로 감지한 세 번째 온도센서(sensor3)의 화재발생 감지시각과 첫 번째 온도센서(sensor1)의 화재발생 감지시각 사이의 시각 차이에 열에너지 확산속도를 곱하여 세 번째 온도센서(sensor3)에서 제2 화재발생위치까지의 제2 거리를 계산한다(S40). 예로, 도 4와 같이 열에너지 확산속도를 1m/s로 하고 시각 차이를 4s로 하면 제2 거리는 4m이다.
화재발생 위치 분석부(30)는 두 번째 온도센서(sensor2)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제1 거리인 3m를 반경으로 하는 제1 원을 그리고 세 번째 온도센서(sensor3)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제2 거리인 4m를 반경으로 하는 제2 원을 그려서 제1 원과 제2 원의 교차점 중 첫 번째 온도센서(sensor1)와 가까운 교차점을 화재발생위치로 결정한다(S50).
화재정보 생성부(40)는 화재발생 위치 분석부(30)로부터 제공되는 화재발생위치와 데이터베이스(20)에 저장된 정보를 병합하여 화재정보를 생성한다.
화재정보 전송부(50)는 화재정보 생성부(40)로부터 제공되는 화재정보를 받아 유관 기관 및/또는 서비스 대상으로 전송하여 받아 유관 기관 및/또는 서비스 대상에서 화재발생위치를 알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설정된 지역에 각기 배치된 복수의 온도센서로부터 설정된 온도 이상을 감지함에 따른 화재발생 감지정보를 받아 화재발생을 첫 번째로 감지한 첫 번째 온도센서를 1차적으로 화재발생위치로 결정하고 동일한 이벤트에 대하여 첫 번째 온도센서 외에 다른 온도센서가 화재발생을 감지하면 그때의 시각과 첫 번째로 화재발생을 감지한 시각의 차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접근법으로 화재발생위치를 결정하도록 하기 때문에 설정된 지역에서 화재발생위치의 결정이 정확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 온도센서 정보 수집부
20 : 데이터베이스
30 : 화재발생 위치 분석부
40 : 화재정보 생성부
50 : 화재정보 전송부

Claims (3)

  1. 3개 이상인 복수의 온도센서가 각기 배치된 설정된 지역의 지도정보와 상기 설정된 지역에서 각 예상 화재발생위치에서의 대피경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20)를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20)를 액세스하는 화재발생 위치 분석부(30)가 상기 복수의 온도센서로부터 설정된 온도 이상을 감지함에 따른 화재발생 감지정보를 받아(S10) 화재발생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으로서,
    화재발생을 첫 번째로 감지한 첫 번째 온도센서(sensor1)가 배치된 위치를 잠정 화재발생위치로 정하고 화재발생을 첫 번째로 감지한 시각을 잠정 화재발생 시각으로 정하는 단계(S20);
    화재발생을 두 번째로 감지한 두 번째 온도센서(sensor2)의 화재발생 감지시각과 상기 첫 번째 온도센서(sensor1)의 화재발생 감지시각 사이의 시각 차이(시간)에 열에너지 확산속도를 곱하여 상기 두 번째 온도센서(sensor2)에서 제1 화재발생위치까지의 제1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S30);
    화재발생을 세 번째로 감지한 세 번째 온도센서(sensor3)의 화재발생 감지시각과 상기 첫 번째 온도센서(sensor1)의 화재발생 감지시각 사이의 시각 차이에 열에너지 확산속도를 곱하여 상기 세 번째 온도센서(sensor3)에서 제2 화재발생위치까지의 제2 거리를 계산하는 단계(S40); 및
    상기 두 번째 온도센서(sensor2)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1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제1 원을 그리고 상기 세 번째 온도센서(sensor3)의 위치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2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제2 원을 그려서 상기 제1 원과 상기 제2 원의 교차점 중 상기 첫 번째 온도센서(sensor1)와 가까운 교차점을 화재발생위치로 결정하는 단계(S5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센서를 이용한 화재발생위치 결정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온도센서는 비접촉식 온도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센서를 이용한 화재발생위치 결정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20)가 저장하고 있는 정보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센서를 이용한 화재발생위치 결정방법.
KR1020200030656A 2020-03-12 2020-03-12 온도센서를 이용한 화재발생위치 결정방법 KR102359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656A KR102359775B1 (ko) 2020-03-12 2020-03-12 온도센서를 이용한 화재발생위치 결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656A KR102359775B1 (ko) 2020-03-12 2020-03-12 온도센서를 이용한 화재발생위치 결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212A KR20210115212A (ko) 2021-09-27
KR102359775B1 true KR102359775B1 (ko) 2022-02-08

Family

ID=77925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0656A KR102359775B1 (ko) 2020-03-12 2020-03-12 온도센서를 이용한 화재발생위치 결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977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6187A (ja) 2005-07-19 2007-02-01 Ohbayashi Corp 複数のセンサノードを用いて監視を行う火災監視システム
JP2007509390A (ja) 2003-10-20 2007-04-12 ヴァグナー・アラーム−ウント・ジッヒェルングスジェステーメ・ゲーエムベーハー 火災を検出して特定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1568231B1 (ko) 2014-09-30 2015-11-11 유정무 화재검출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634306B1 (ko) 2013-05-16 2016-06-30 앤하이브 주식회사 재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1884A (ko) * 2016-01-05 2017-07-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내 경로 안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09390A (ja) 2003-10-20 2007-04-12 ヴァグナー・アラーム−ウント・ジッヒェルングスジェステーメ・ゲーエムベーハー 火災を検出して特定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007026187A (ja) 2005-07-19 2007-02-01 Ohbayashi Corp 複数のセンサノードを用いて監視を行う火災監視システム
KR101634306B1 (ko) 2013-05-16 2016-06-30 앤하이브 주식회사 재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568231B1 (ko) 2014-09-30 2015-11-11 유정무 화재검출기 및 이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212A (ko) 202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377536B (zh) 一种消防应急疏散方法及系统
KR102124097B1 (ko) 실시간 연기 및 화염 감지에 기반한 스마트 피난로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80168826A1 (en) Method and system for gas leak detection and localization
KR102124067B1 (ko) 사물인터넷 센서를 이용한 연기확산과 피난로 예측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884404B2 (en) Method of predicting plant data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140145824A (ko) 사용자 단말의 맵매칭 방법
Svyd et al. Fusion of airspace surveillance systems data
RU2015145026A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локализации отказов при определении углового пространственного положения воздушного судна
CN102324064A (zh) 基于传感带的动态火灾风险评估方法与系统
JPH07178524A (ja) 連続鋳造におけるブレークアウト予知システム
KR102359775B1 (ko) 온도센서를 이용한 화재발생위치 결정방법
US9030963B2 (en) Analyzing a network topology
KR20180069237A (ko) 이동 객체 탐지 시스템 및 방법
JP4257305B2 (ja) 遠隔振動監視装置
CN103400466A (zh) 基于并行温度测量的地铁站火灾探测及火灾功率预测方法
KR102013745B1 (ko) 방사선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사선 작업자 안전 관리 방법
JP6826970B2 (ja) 漏洩位置推定装置及び漏洩位置推定方法
KR20160112357A (ko) 사물인식 센서와 연동되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물리좌표 연산을 활용한 사용자 위치 추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설물 내에서의 비상대피경로 안내 및 정보전달 시스템
KR102457492B1 (ko)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재난 발생 감지 및 분석 시스템
CN107679632A (zh) 一种运维管理方法及装置
CN104359810B (zh) 一种远程无线pm2.5浓度检测装置
JPH09259186A (ja) 管網状態把握システム
JP3780476B2 (ja) 光ファイバ温度計測装置および熱媒体漏洩検出装置
KR101487262B1 (ko) 대기오염 측정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N111263302B (zh) 一种基于5g边缘计算网络的危险区域审计方法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