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9455B1 - Radial type Tail Gate Switch and Wiper Device - Google Patents

Radial type Tail Gate Switch and Wiper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9455B1
KR102359455B1 KR1020170086486A KR20170086486A KR102359455B1 KR 102359455 B1 KR102359455 B1 KR 102359455B1 KR 1020170086486 A KR1020170086486 A KR 1020170086486A KR 20170086486 A KR20170086486 A KR 20170086486A KR 102359455 B1 KR102359455 B1 KR 102359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fixing member
terminal
wip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64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05596A (en
Inventor
김덕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6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9455B1/en
Publication of KR20190005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5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4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 B60S1/58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for rear windows
    • B60S1/583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for rear windows including wip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와이퍼 장치에 일체화된 래디얼 타입 테일 게이트 스위치(1)는 + 단자(10-1)와 요철(凹凸) 결합을 형성하는 내측 후크(12)를 갖춘 회전 부재(10), - 단자(20-1)와 요철(凹凸) 결합을 형성하는 외측 후크(22) 및 전원과 연결된 전원 커넥터(1-1)에 결합되는 클립(24)을 갖춘 고정부재(20), 상기 회전 부재(10)와 상기 고정부재(20) 사이에서 상기 회전 부재(10)의 회전으로 비틀려 탄성 변형되는 리턴 스프링(30), 상기 고정부재(20)를 관통해 상기 회전 부재(10)로 위치되는 회전 축(1-2)과 결합된 베어링(40)을 포함함으로써 와이퍼(100-1)를 동작시키는 와이퍼 모터(100-2)의 회전 축(1-2)과 동일 선상에 배열되어 와이퍼(100-1)로부터 노출되지 않고, 특히 회전 축(1-2)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조작됨으로써 와이퍼(100-1)에 수직방향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동작되지 않아 고압 세척시에도 오동작을 일으키지 않는 특징이 구현된다.The radial type tailgate switch (1) integrated in the wip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otating member (10) having an inner hook (12) forming a concave-convex engagement with a + terminal (10-1), a - terminal (20) A fixing member 20 having an outer hook 22 forming an uneven coupling with -1 and a clip 24 coupled to a power connector 1-1 connected to a power source 20, the rotating member 10 and A return spring 30 that is elastically deformed by twisting between the fixing members 20 by rotation of the rotation member 10 , a rotation shaft 1 passing through the fixing member 20 and positioned as the rotation member 10 . -2) by including the bearing 40 coupled with the wiper 100-1, which is arranged on the same line as the rotation shaft 1-2 of the wiper motor 100-2 for operating the wiper 100-1 and is separated from the wiper 100-1 It is not exposed and, in particular, is rotated around the rotation shaft 1-2 as the rotation center, so that it does not operate even when a vertical load is applied to the wiper 100-1.

Description

래디얼 타입 테일 게이트 스위치 및 와이퍼 장치{Radial type Tail Gate Switch and Wiper Device}Radial type Tail Gate Switch and Wiper Device

본 발명은 테일 게이트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전이 가능한 래디얼(RADIAL) 타입으로 이루어진 테일 게이트 스위치와 일체화된 와이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il gate switch,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per device integrated with a tail gate switch of a rotatable radial type.

일반적으로 택트 스위치(Tact Switch)는 버튼을 누르는 하중에 수직인 방향으로 접점을 구비한 회로기판을 설치하고, 내측면에 도전영역을 형성한 탄성재 커버에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동작 대상에 전류를 통전시켜주는 방식이다.In general, a tact switch installs a circuit board with contact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ad pressing a button, and makes it come into contact with an elastic material cover with a conductive area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o conduct current to the operation target. way of giving.

그러므로 택트 스위치는 차량에 적용되어 조작의 편리함을 제공하고, 이러한 예로서 차량의 테일 게이트에 적용된 택트 타입 테일 게이트 스위치가 있다. 특히 상기 택트 타입 테일 게이트 스위치는 리어 와이퍼와 함께 구성됨으로써 장착 편리성도 제공한다.Therefore, the tact switch is applied to a vehicle to provide convenience in operation, and an example of this is a tact type tailgate switch applied to a tailgate of a vehicle. In particular, the tact-type tailgate switch is configured together with a rear wiper to provide convenience in mounting.

일례로, 리어 와이퍼와 함께 구성된 택트 타입 테일 게이트 스위치는 리어 와이퍼 쪽에서 리어 와이퍼 축의 바디 측면에 배치된 테일 게이트 스위치를 가볍게 눌렀다 떼는 동작만으로 테일 게이트 잠금 장치가 조작되는 편리함을 제공한다.For example, the tact type tailgate switch configured together with the rear wiper provides the convenience of operating the tailgate locking device only by lightly pressing and releasing the tailgate switch disposed on the body side of the rear wiper shaft from the rear wiper side.

국내 공개특허공보 10-2012-0058134(2012년06월07일)Domestic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58134 (June 07, 2012)

하지만 상기 택트 타입 테일 게이트 스위치는 누름 방식 조작구조이면서 리어 와이퍼와 함께 구성됨으로써 하기와 같은 단점도 발생된다.However, the tact-type tailgate switch has a press-type operation structure and is configured together with a rear wiper, so that the following disadvantages also occur.

첫째, 테일 게이트의 의도치 않은 열림이다. 이는 테일 게이트 스위치가 리어 와이퍼 축의 바디에 연계되어 바디 측면에서 외부 노출됨에 따른 것으로 수압으로 택트 스위치가 쉽게 눌려지는 고압 세차 시 빈번히 발생된다. 둘째, 테일 게이트의 열림 불량이다. 이는 고압 세차 시 테일 게이트 스위치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스위치 작동 에포트(effort)가 높게 설정됨으로써 스위치를 쉽게 눌러줄 수 없음에 기인된다. 셋째, 테일 게이트의 차량 디자인 영향성이다. 이는 후면 번호판이 범퍼에 위치한 테일 게이트 디자인에서 테일 게이트 스위치에서 잠금 장치로 이어지는 스위치 구성을 어렵게 함에 기인된다.The first is the unintentional opening of the tailgate. This is because the tailgate switch is connected to the body of the rear wiper shaft and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side of the body. Second, the tailgate is defective.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switch operation effort is set high to prevent a malfunction of the tailgate switch during high-pressure car washing, so that the switch cannot be easily pressed. Third is the vehicle design influence of the tailgate.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rear license plate makes it difficult to configure the switch from the tailgate switch to the lock in the tailgate design where the bumper is located.

이에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와이퍼 모터에 연결된 와이퍼 축과 동일 선상에 배열됨으로써 와이퍼에서 노출되지 않고, 특히 와이퍼 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조작됨으로써 와이퍼에 수직방향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동작되지 않아 고압 세척시에도 오동작을 일으키지 않는 래디얼 타입 테일 게이트 스위치 및 와이퍼 장치의 제공에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oints is arranged on the same line as the wiper shaft connected to the wiper motor so that it is not exposed from the wip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adial type tailgate switch and a wiper device that do not cause malfunction even during cleaning.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테일 게이트 스위치는 + 단자를 갖춘 회전 부재와 - 단자를 갖춘 고정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회전 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결합 상태에서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으로 상기 + 단자와 상기 - 단자가 전기적 연결되고, 상기 전기적 연결은 전류를 통전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ail gate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rotating member having a + terminal and a fixing member having a - terminal, and when the rotating member is rotated in a state in which the rotating member and the fixing member are coupled, the The + terminal and the - terminal are electrically connected,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allows current to pass through.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 단자와 상기 - 단자는 상기 회전 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결합 상태에서 서로 마주 보는 위치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 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결합에 의해 상기 회전 부재로 가려진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 terminal and the - terminal are covered by the rotation member by the coupling of the rotation member and the fixing member in a state where they are spaced apart to face each other in the coupled state of the rotation member and the fixing member. .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회전 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는 요철(凹凸) 결합을 형성하는 후크로 결합되어 회전되고, 상기 후크는 상기 회전 부재의 내측 후크와 상기 고정 부재의 외측 후크로 구성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rotating member and the fixing member are rotated by being coupled to a hook forming an uneven coupling, and the hook is composed of an inner hook of the rotating member and an outer hook of the fixing member.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회전 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내장되되,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된 스프링 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으로 비틀려 탄성 변형되어 상기 회전 부재의 초기 위치 복원력을 상기 회전 부재에 가해주는 리턴 스프링, 상기 고정부재를 관통해 상기 회전 부재로 위치되는 회전 축과 결합되어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 축이 회전되도록 하는 베어링이 더 구비된다.As a preferred embodiment, it is built between the rotating member and the fixing member, is elastically deformed by twisting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in a state fitted in the spring groove formed in the fixing member to obtain the initial position restoring force of the rotating member A return spring applied to the , a bearing that passes through the fixing member and is coupled to a rotational shaft positioned as the rotational member to rotate the rotational shaft while being fixed to the fixing member is further provided.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와이퍼 장치는 + 단자와 요철(凹凸) 결합을 형성하는 내측 후크를 갖춘 회전 부재, - 단자와 요철(凹凸) 결합을 형성하는 외측 후크 및 클립을 갖춘 고정부재, 상기 회전 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서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으로 비틀려 탄성 변형되는 리턴 스프링, 상기 고정부재를 관통해 상기 회전 부재로 위치되는 회전 축과 결합된 베어링으로 구성된 테일 게이트 스위치; 와이퍼를 동작시키고, 상기 베어링에 압입 고정된 회전 축을 갖춘 와이퍼 모터;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wip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 rotating member having an inner hook for forming a concave-convex coupling with a + terminal, an outer hook and a clip for forming a concave-convex coupling with the - terminal a tailgate switch comprising a fixed member, a return spring elastically deformed by twisting between the rotating member and the rotating member with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and a bearing coupled to a rotating shaft passing through the fixed member and positioned as the rotating member; and a wiper motor operating the wiper and having a rotation shaft press-fitted and fixed to the bearing.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테일 게이트 스위치를 곡률을 갖는 윈도우 글라스에 결합시켜주는 밀착 플랜지가 구비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fix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close contact flange for coupling the tail gate switch to the window glass having a curvature.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베어링은 상기 회전 축의 회전과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을 독립적으로 형성시켜준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bearing independently forms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shaft and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의 결합 상태에서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으로 상기 + 단자와 상기 - 단자가 전기적 연결되고, 상기 전기적 연결은 전류를 통전시켜준다.In a preferred embodiment, in the rotating member, the + terminal and the - terminal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fixing member is coupled,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allows current to pass through.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와이퍼는 차량의 테일 게이트의 윈도우 글라스를 닦아 주는 리어 와이퍼로 적용되고, 상기 테일 게이트 스위치는 상기 윈도우 글라스의 안쪽에서 상기 고정부재의 상기 클립이 전원 커넥터와 결합되어 전원을 연결시켜 준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wiper is applied as a rear wiper for wiping the window glass of the tailgate of the vehicle, and the tailgate switch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by coupling the clip of the fixing member with the power connector from the inside of the window glass do it

이러한 본 발명의 와이퍼 장치는 래디얼 타입 테일 게이트 스위치를 적용함으로써 하기와 같은 작용 및 효과를 구현한다.The wip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the following operations and effects by applying a radial type tail gate switch.

첫째, 테일 게이트 스위치가 와이퍼로 감싸여 외부에 바로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보다 깔끔한 리어 와이퍼 디자인이 가능하다. 둘째, 테일 게이트 스위치가 회전 조작으로만 동작됨으로써 고압 세차 시 수압에 의해 발생되던 오작동이 해소된다. 셋째, 수압에 의한 테일 게이트 스위치의 오작동이 해소됨으로써 보다 약한 스위치 작동 에포트(effort)로 작동감 고급화가 구현된다. 넷째, 테일 게이트 스위치가 래디얼 타입으로 와이퍼 축과 동일선상에 배열됨으로써 테일 게이트 디자인에 대한 자유도가 향상된다.First, a cleaner rear wiper design is possible because the tailgate switch is wrapped with a wiper and not directly exposed to the outside. Second, since the tailgate switch is operated only by rotation, malfunctions caused by water pressure during high-pressure car washing are eliminated. Third, the malfunction of the tailgate switch due to water pressure is resolved, so that the operation feeling is improved with a weaker switch operation effort. Fourth, since the tailgate switch is radially arranged on the same line as the wiper shaft, the degree of freedom for the tailgate design is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래디얼 타입 테일 게이트 스위치의 분해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일 게이트 스위치의 +,- 단자 구성 예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래디얼 타입 테일 게이트 스위치의 조립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래디얼 타입 테일 게이트 스위치와 일체화된 와이퍼 장치가 차량의 리어 와이퍼로 적용된 예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래디얼 타입 테일 게이트 스위치가 리어 와이퍼와 독립적으로 동작되는 예이다.1 is an exploded configuration diagram of a radial type tail gate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ample of the + and - terminals of the tail gate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radial type tail gate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ample in which the wiper device integrated with the radial type tailgate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the rear wiper of the vehicle, and FIG. 5 is the radial type tailgate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independently of the rear wiper is an example of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 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illustrative drawings, and since these embodiments are example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It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테일 게이트 스위치(1)는 회전 부재(10), 고정부재(20), 리턴 스프링(30) 및 베어링(4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테일 게이트 스위치(1)는 회전 부재(10)가 전원 커넥터(1-1)에 연결된 고정부재(20)와 결합 상태에서 외부 조작으로 인한 회전 시 전류 통전이 이루어짐으로써 래디얼 타입 테일 게이트 스위치로 동작된다.Referring to FIG. 1 , the tail gate switch 1 includes a rotating member 10 , a fixing member 20 , a return spring 30 , and a bearing 40 . In particular, the tail gate switch 1 is a radial type tail gate switch because current is energized when the rotation member 10 is rotated due to an external operation in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 member 10 is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20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or 1-1. is operated with

일례로, 상기 회전 부재(10)와 상기 고정부재(20)는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스위치 버튼 역할을 함으로써 회전 부재(10)의 시계방향회전(또는 반시계방향회전)으로 테일 게이트 스위치(1)의 전원을 통전시키고 반면 반시계방향회전(또는 시계방향회전)으로 테일 게이트 스위치(1)의 전원을 차단시켜 준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 부재(10)에는 + 단자(10-1)가 구비되고, 상기 + 단자(10-1)는 + 단자 라인(10-2)으로 전원(예, 배터리)과 연결된다, 반면 상기 고정부재(20)는 - 단자(20-1)가 구비되고, 상기 - 단자(20-1)는 - 단자 라인(20-2)으로 전원(예, 배터리)과 연결된다, 특히 상기 고정부재(20)에는 클립(24)이 고정부재(20)의 저면부위에서 일체로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재(20)는 클립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전원(예, 배터리)에 연계된 전원 커넥터(1-1)가 결합된다. 특히 상기 전원 커넥터(1-1)는 차량의 와이퍼를 위한 전원 연결용 구성요소와 동일하다.For example, the rotating member 10 and the fixing member 20 serve as a switch button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clockwise rotation (or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10 is performed by the tail gate switch 1 . Turns on the power of the tailgate switch (1) and turns off the power of the tailgate switch (1) by rotating counterclockwise (or clockwise). To this end, the rotating member 10 is provided with a + terminal 10-1, and the + terminal 10-1 is connected to a power source (eg, a battery) through a + terminal line 10-2, whereas the The fixing member 20 is provided with a -terminal 20-1, and the -terminal 20-1 is connected to a power source (eg, a battery) through a -terminal line 20-2. In particular, the fixing member ( 20) is provided with a clip 24 integrally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20, and the fixing member 20 has a clip structure, so that the power connector (1-) connected to a power source (eg, a battery) 1) is combined. In particular, the power connector 1-1 is the same as a component for power connection for a vehicle wiper.

일례로, 상기 리턴 스프링(30)은 고정부재(20)와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 부재(10)의 내부 공간으로 수용되고, 상기 회전 부재(10)가 시계방향회전(또는 반시계방향회전)으로 회전 된 후 반시계방향회전(또는 시계방향회전)으로 복귀되도록 시계방향회전(또는 반시계방향회전)시 비틀려 탄성 변형된다. 특히 상기 리턴 스프링(30)은 원형의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코일 스프링 상단부는 회전 부재(10)의 내부 구조에 물려져 고정되는 반면 하단부는 고정부재(20)에 코일 스프링 몸통이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부재(20)의 내부 구조에 물려져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리턴 스프링(30)의 양쪽 단부의 물림 구조는 별도의 홈 적용 없이 회전 부재(10)와 고정부재(20)의 무른 재료(예, 플라스틱)의 재질 특성을 이용한 걸림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turn spring 30 is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rotating member 10 in a state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20, and the rotating member 10 rotat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fter being rotated, it is twisted and elastically deformed during clockwise rotation (or counterclockwise rotation) to return to counterclockwise rotation (or clockwise rotation). In particular, the return spring 30 is made of a circular coil spring, and the upper end of the coil spring is fixed by being bitten by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rotating member 10 , while the lower end is fixed in a state in which the coil spring body is inserted into the fixing member 20 . It is bitten and fixed to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member 20 . In this case, the engagement structure of both ends of the return spring 30 can be fixed in a latching manner using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a soft material (eg, plastic) of the rotating member 10 and the fixing member 20 without applying a separate groove. have.

일례로, 상기 베어링(40)은 볼(45)을 매개로 결합된 내측 파이프(41)와 외측 파이프(43)로 구성된다. 상기 내측 파이프(41)는 회전되는 외부 축(예, 와이퍼 모터 축)을 압입 고정하도록 압입 축홀(40-1)로 중공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측 파이프(43)는 그 내경으로 내측 파이프(41)를 결합한 상태에서 볼(45)을 매개로 결합된 내측 파이프(41)에 대해 상대 회전된다. 그러므로 상기 외측 파이프(43)는 고정부재(20)에 압입 고정되어 고정되면, 상기 내측 파이프(41)는 압입 고정된 외부 축의 회전으로 볼(45)을 매개로 외측 파이프(43)에 대해 상대 회전된다.For example, the bearing 40 is composed of an inner pipe 41 and an outer pipe 43 coupled via a ball 45 . The inner pipe 41 has a hollow pipe structure with a press-fit shaft hole 40-1 to press-fit and fix the rotating outer shaft (eg, the wiper motor shaft), and the outer pipe 43 has an inner diameter of the inner pipe ( 41) is rotated relative to the coupled inner pipe 41 via the ball 45 in the coupled state. Therefore, when the outer pipe 43 is press-fitted and fixed to the fixing member 20 , the inner pipe 41 rotates relative to the outer pipe 43 via the ball 45 with the rotation of the press-fitted outer shaft. do.

한편 도 2는 회전 부재(10)와 고정부재(20)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다.Meanwhile, FIG. 2 shows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rotating member 10 and the fixing member 20 .

도 2(가)의 회전 부재(10)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 부재(10)는 + 단자(10-1)가 내장된 원통형의 회전 바디(11)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회전 바디(11)는 결합 공간(17)으로 내부공간을 단방향 개방 구조로 형성하면서 결합 공간(17)의 막혀진 부위에 상부 축홀(19)을 뚫어 결합 공간(17)과 연통된다. 그러므로 상기 결합 공간(17)은 고정부재(20)와 함께 리턴 스프링(30)를 수용하고, 상기 상부 축홀(19)은 외부 축의 끝부가 고정부재(20)를 관통하여 위치된다. 이 경우 상기 리턴 스프링(30)은 결합 공간(17)에 삽입된 상태에서 리턴 스프링(30)의 상단부가 결합 공간(17)의 내부 구조에 물려져 고정된다. 특히 상기 회전 바디(11)는 결합 공간(17)의 내벽면으로 + 단자(10-1)를 고정하고, 상기 + 단자(10-1)에 연결된 + 단자 라인(10-2)이 결합 공간(17)에서 회전 바디(11)로 빠져나옴으로써 회전 부재(10)에서 외부로 인출된다.Referring to the rotating member 10 of FIG. 2A , the rotating member 10 is formed of a cylindrical rotating body 11 having a + terminal 10 - 1 built therein. In addition, the rotating body 11 communicates with the coupling space 17 by drilling an upper shaft hole 19 in the blocked portion of the coupling space 17 while forming the inner space as the coupling space 17 in a unidirectional open structure. Therefore, the coupling space 17 accommodates the return spring 30 together with the fixing member 20 , and the upper shaft hole 19 is positioned so that the end of the outer shaft passes through the fixing member 20 . In this case, in a state in which the return spring 3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space 17 , the upper end of the return spring 30 is engaged and fixed to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oupling space 17 . In particular, the rotating body 11 fixes the + terminal 10-1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oupling space 17, and the + terminal line 10-2 connected to the + terminal 10-1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space ( 17), it is drawn out from the rotating member 10 by exiting from the rotating body 11 .

이에 더해 상기 회전 부재(10)는 내측 후크(12)를 더 구비하고, 상기 내측 후크(12)는 회전 바디(11)의 결합 공간(17)으로 돌출됨으로써 결합 공간(17)을 회전 바디(11)의 축방향으로 단차진 구조로 형성하여 준다. 특히 상기 내측 후크(12)는 회전 바디(11)의 끝부위를 이루면서 결합 공간(17)보다 큰 직경으로 동심원을 이루도록 걸림 돌기(12b), 상기 걸림 돌기(12b)의 위쪽에서 회전 바디(11)의 내벽면에 파여진 걸림 홈(12a)으로 구성된다. 상기 걸림 홈(12a)은 원형을 이루어 결합 공간(17)과 동심원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 돌기(12b)는 끝부위가 좁아지도록 예각으로 경사진 단면 구조를 형성한다.In addition to this, the rotating member 10 further includes an inner hook 12 , and the inner hook 12 protrudes into the engaging space 17 of the rotating body 11 , thereby forming the engaging space 17 into the rotating body 11 . ) to form a stepped structure in the axial direction. In particular, the inner hook 12 forms an end portion of the rotating body 11 and forms a concentric circle with a larger diameter than the coupling space 17. The rotating body 11 from above the engaging protrusion 12b. Consists of a locking groove (12a) dug in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The locking groove 12a forms a circular shape to form a concentric circle with the coupling space 17, and the locking protrusion 12b forms a cross-sectional structure inclined at an acute angle so that the end portion is narrowed.

도 2(나)의 고정부재(20)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재(20)는 - 단자(20-1)가 내장된 원통형의 고정 바디(21)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정 바디(21)는 하부부위의 하부 축홀(28)과 상부부위의 상부 축홀(29)이 뚫린 베어링 수용 공간(27)으로 베어링(40)을 수용한 양방향 개방 구조의 내부공간으로 베어링 수용 공간(27)을 형성한다. 특히 상기 고정 바디(21)는 그 외주면으로 - 단자(20-1)를 고정하고, 상기 - 단자(20-1)에 연결된 - 단자 라인(20-2)이 고정 바디(21)에서 고정부재(20)의 외부로 인출된다.Referring to the fixing member 20 of FIG. 2 (B), the fixing member 20 is made of a cylindrical fixing body 21 in which the - terminal 20 - 1 is embedded. In addition, the fixed body 21 accommodates the bearing as an internal space of a bidirectional open structure that accommodates the bearing 40 as a bearing accommodating space 27 in which the lower shaft hole 28 of the lower part and the upper shaft hole 29 of the upper part are drilled. A space 27 is formed. In particular, the fixed body 21 has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erminal 20-1 that fixes the -terminal line 20-2 connected to the -terminal 20-1 on the fixed body 21 of the fixing member ( 20) is withdrawn.

이에 더해 상기 고정부재(20)는 외측 후크(22), 밀착 플랜지(23), 클립(24) 및 스프링 홈(26)을 더 구비한다.In addition, the fixing member 20 further includes an outer hook 22 , a close contact flange 23 , a clip 24 , and a spring groove 26 .

상기 외측 후크(22)는 고정 바디(21)의 하부끝부위로 형성되어 고정부재(20)와 일체화되고, 고정 바디(21)의 외측으로 동심원을 형성하는 걸림 돌기(22a)와 함께 걸림 돌기(22a)와 밀착 플랜지(23)사이에서 원형 홈을 이루는 걸림 홈(22b)으로 구성된다.The outer hook 22 is formed as a lower end portion of the fixed body 21 and is integrated with the fixing member 20, and is a locking projection together with the locking projection 22a forming a concentric circle on the outside of the fixing body 21 ( 22a) and a locking groove (22b) forming a circular groove between the contact flange (23).

상기 밀착 플랜지(23)는 외측 후크(22)의 아래쪽으로 형성되어 고정부재(20)와 일체화되고, 고정부재(20)의 종 방향을 따라 예각(K)으로 경사진 단면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완만한 곡률을 가진 부착체(예, 차량의 윈도우 글라스)의 결합 구멍에 대한 결합력을 높여주면서 들뜨지 않도록 위치를 잡아줄 수 있다.The close contact flange 23 is formed below the outer hook 22 to be integrated with the fixing member 20, and to form a sectional structure inclined at an acute angle K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ing member 20, so that the While increasing the bonding force to the bonding hole of an attachment having a curvature (eg, a window glass of a vehicle), it is possible to position it so as not to lift it.

상기 클립(24)은 밀착 플랜지(23)의 하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고정부재(20)와 일체화됨으로써 고정부재(20)를 전원 커넥터(1-1)와 결합시켜준다. 이를 위해 상기 클립(24)은 서로 간격을 둔 제1,2 클립(24a,24b)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2 클립(24a,24b)의 각각은 전원 커넥터(1-1)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홈 단면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clip 24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close contact flange 23 and is integrated with the fixing member 20 to couple the fixing member 20 to the power connector 1-1. To this end, the clip 24 is composed of first and second clips 24a and 24b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lips 24a and 24b is inserted into the power connector 1-1 and coupled thereto. It consists of a groove cross-section structure as much as possible.

상기 스프링 홈(26)은 고정 바디(21)의 폭 두께를 이용해 베어링 수용 공간(27)과 동심원을 이루도록 파여짐으로써 리턴 스프링(30)이 삽입되고, 리턴 스프링(30)은 삽입된 상태에서 리턴 스프링(30)의 하단부가 스프링 홈(26)의 내부 구조에 물려져 고정된다.The spring groove 26 is dug concentrically with the bearing accommodating space 27 using the width and thickness of the fixed body 21 so that the return spring 30 is inserted, and the return spring 30 returns in the inserted state. The lower end of the spring 30 is fixed to the inner structure of the spring groove 26 .

그러므로 테일 게이트 스위치(1)의 회전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후크는 회전 부재(10)의 내측 후크(12)와 고정 부재(10)는 외측 후크(22)로 구성되고, 내측 후크(12)와 외측 후크(22)는 요철(凹凸) 결합을 형성한다.Therefore, the hook enabling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tail gate switch 1 is composed of an inner hook 12 of the rotating member 10 and an outer hook 22 of the fixing member 10, and the inner hook 12 and the outer hook The hook 22 forms a concave-convex engagement.

도 3은 테일 게이트 스위치(1)를 구성하는 회전 부재(10), 고정부재(20), 리턴 스프링(30) 및 베어링(40)의 조립 단면을 나타낸다.FIG. 3 shows an assembly cross section of the rotating member 10 , the fixing member 20 , the return spring 30 , and the bearing 40 constituting the tail gate switch 1 .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부재(10)는 + 단자(10-1)가 내장된 회전 바디(11)로 - 단자(20-1)가 노출된 고정 바디(21)를 감싸 고정부재(20)와 결합되고 동시에 내측 후크(12)의 걸림 돌기(12b)가 외측 후크(22)의 걸림 홈(22b)으로 끼워지면서 외측 후크(22)의 걸림 돌기(22a)가 내측 후크(12)의 걸림 홈(12a)으로 끼워짐으로써 고정부재(20)에 대해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결합 상태를 형성한다.As shown, the rotating member 10 wraps around the fixed body 21 in which the + terminal 10-1 is built-in and the - terminal 20-1 is exposed to the fixed member 20 and At the same time, the engaging protrusion 12b of the inner hook 12 is fitted into the engaging groove 22b of the outer hook 22 while the engaging projection 22a of the outer hook 22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groove of the inner hook 12 ( 12a) to form a coupling state that is rotated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fixing member 20 .

또한 리턴 스프링(30)은 고정부재(20)의 스프링 홈(26)으로 끼워져 결합되고, 베어링(40)은 고정부재(20)의 베어링 수용 공간(27)에 외측 파이프(43)가 압입되어 고정됨과 더불어 내측 파이프(41)가 회전 축(1-2)에 압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압입되어 고정된다. 그러므로 상기 베어링(40)은 회전 축(1-2)의 회전 시 외측 파이프(43)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내측 파이프(41) 만 회전 축(1-2)과 함께 회전된다.In addition, the return spring 30 is fitted and coupled to the spring groove 26 of the fixing member 20 , and the bearing 40 is fixed by pressing the outer pipe 43 into the bearing receiving space 27 of the fixing member 20 . In addition, the inner pipe 41 is press-fitted and fixed by being press-fitted to the rotation shaft 1-2 and fixed. Therefore, in the bearing 40, only the inner pipe 41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tion shaft 1-2 while the outer pipe 43 is maintained in a fixed state when the rotation shaft 1-2 rotates.

더불어 고정부재(20)의 제1,2 클립(24a,24b)을 이용해 전원 커넥터(1-1)에 결합됨으로써 회전 부재(10)의 + 단자(10-1)에서 이어진 + 단자 라인(10-2)의 전원 연결 위치를 잡아주고 동시에 고정부재(20)의 - 단자(20-1)에서 이어진 - 단자 라인(20-2)의 접지(earth) 위치를 잡아준다.In addition, the + terminal line (10-) connected from the + terminal (10-1) of the rotating member (10) by being coupled to the power connector (1-1) using the first and second clips (24a, 24b) of the fixing member (20) 2) holds the power connection position and at the same time holds the earth position of the - terminal line 20-2 connected from the - terminal 20-1 of the fixing member 20.

특히 회전 부재(10)와 고정부재(20)의 조립 상태에서 + 단자(10-1)와 - 단자(20-1)는 서로 마주 보는 180도 위치를 형성함으로써 전류 차단 상태에서 회전 부재(10)가 고정부재(20)에 대해 180도의 시계방향(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통전 상태로 전환된다. 하지만 상기 + 단자(10-1)와 상기 - 단자(20-1)는 서로 마주 보는 위치는 90도로 형성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assembled state of the rotating member 10 and the fixing member 20, the + terminal 10-1 and the - terminal 20-1 form a 180 degree position facing each other to form the rotating member 10 in the current cut off state. is rotated in a clockwise direction (or counterclockwise) of 1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fixing member 20 to be switched to an energized state. However, the position where the + terminal 10 - 1 and the - terminal 20 - 1 face each other may be formed at 90 degrees.

한편 도 4와 도 5는 테일 게이트 스위치(1)와 일체화된 와이퍼 장치(100)가 적용된 차량(200)의 예를 나타낸다.Meanwhile, FIGS. 4 and 5 show an example of the vehicle 200 to which the tailgate switch 1 and the integrated wiper device 100 are applied.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와이퍼 장치(100)는 차량(200)의 테일 게이트(210)의 윈도우 글라스(window glass)(220)를 닦아 주는 와이퍼(100-1)와 윈도우 글라스(220)에 결합되어 와이퍼(100-1)에 결합된 테일 게이트 스위치(1)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와이퍼 장치(100)는 차량(200)의 여러 와이퍼 중 리어 와이퍼이다.Referring to FIG. 4 , the wiper device 100 is coupled to a wiper 100 - 1 for wiping a window glass 220 of a tailgate 210 of a vehicle 200 and a window glass 220 . and a tail gate switch 1 coupled to the wiper 100-1. Therefore, the wiper device 100 is a rear wiper among various wipers of the vehicle 200 .

구체적으로 상기 와이퍼(100-1)는 윈도우 글라스(220)의 바깥쪽으로 위치된 와이퍼 블레이드, 윈도우 글라스(220)의 안쪽에서 테일 게이트 스위치(1)를 관통한 회전축(1-2)에 연결된 와이퍼 모터(100-2)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와이퍼(100-1)는 와이퍼 스위치 조작에 따른 와이퍼 모터(100-2)의 회전을 회전축(1-2)으로 전달받고, 와이퍼 블레이드가 회전축(1-2)을 통해 회전됨으로써 윈도우 글라스(220)의 외부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닦아 준다.Specifically, the wiper 100-1 includes a wiper blade positioned outside the window glass 220, and a wiper motor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1-2 passing through the tailgate switch 1 from the inside of the window glass 220. It is composed of (100-2). Therefore, the wiper 100-1 receives the rotation of the wiper motor 100-2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wiper switch to the rotation shaft 1-2, and the wiper blade rotates through the rotation shaft 1-2, so that the window glass ( 220), wipe off the foreign substances on the outer surface.

구체적으로 상기 테일 게이트 스위치(1)는 회전 부재(10), 고정부재(20), 리턴 스프링(30) 및 베어링(40)으로 구성됨으로써 도 1 내지 도 3의 테일 게이트 스위치(1)와 동일한 구성요소이다. 그러므로 상기 테일 게이트 스위치(1)는 고정부재(20)의 경사진 밀착 플랜지(23)로 완만한 곡률을 갖는 윈도우 글라스(200)에 틈새 없이 밀착된 상태로 결합된다. 다만, 상기 고정부재(20)에 결합된 전원 커넥터(1-1)가 와이퍼 모터(100-2)에 전원을 공급하여 주도록 테일 게이트(210)에 구비된 구성요소이고, 상기 베어링(40)의 내측 파이프(41)에 압입 고정된 회전 축(1-2)은 와이퍼 모터(100-2)의 모터 축과 동일한 차이가 있다.Specifically, the tail gate switch 1 includes a rotating member 10, a fixing member 20, a return spring 30, and a bearing 40, and thus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tail gate switch 1 of FIGS. is an element Therefore, the tail gate switch 1 is coupled to the window glass 200 having a gentle curvature with the inclined contact flange 23 of the fixing member 20 in a state of close contact without a gap. However, the power connector 1-1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20 is a component provided in the tailgate 210 to supply power to the wiper motor 100-2, and The rotation shaft 1-2 press-fitted to the inner pipe 41 has the same difference as the motor shaft of the wiper motor 100-2.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테일 게이트 스위치(1)는 스탠바이모드(A)에서 동작모드(B)로 다시 동작모드(B)에서 스탠바이모드(C)로 조작된다.Referring to FIG. 5 , the tail gate switch 1 is operated from the standby mode (A) to the operation mode (B) and from the operation mode (B) to the standby mode (C).

상기 스탠바이모드(A)는 회전 부재(10)가 조작되지 않은 테일 게이트 스위치(1)의 초기 상태로서, 이 초기 상태는 + 단자(10-1)에 이어진 + 단자 라인(10-2)이 전원에 연결되고 - 단자(20-1)에 이어진 - 단자 라인(20-2)이 접지를 이룬 상태에서 회전 부재(10)의 + 단자(10-1)와 고정부재(20)의 - 단자(20-1)가 서로 180도 위치에서 마주 봄으로써 전원이 차단된다.The standby mode (A) is an initial state of the tail gate switch 1 in which the rotating member 10 is not operated. This initial state is when the + terminal line 10-2 connected to the + terminal 10-1 is powered. connected to the - terminal line 20-2 connected to the terminal 20-1 and the + terminal 10-1 of the rotating member 10 and the - terminal 20 of the fixing member 20 in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line 20-2 is grounded. -1) faces each other at 180 degrees to cut off the power.

상기 동작모드(B)는 회전 부재(10)가 시계방향으로 180도 조작된 테일 게이트 스위치(1)의 작동 상태로서, 이 작동 상태는 회전 부재(10)에 가해진 시계방향 조작력으로 회전 부재(10)가 리턴 스프링(30)을 비틀면서 180도 회전됨으로써 + 단자(10-1)가 고정부재(20)의 - 단자(20-1)쪽으로 위치 이동된다. 그 결과 리턴 스프링(30)은 탄성 변형 상태가 되고 동시에 + 단자(10-1)와 - 단자(20-1)의 연결로 전원이 통전상태로 되어 테일 게이트 스위치(1)에 전류가 공급되고, 테일 게이트 스위치(1)의 전류 공급은 테일 게이트(210)에 구비된 잠금장치를 해제하여 준다.The operation mode (B) is an operating state of the tailgate switch 1 in which the rotating member 10 is operated 180 degrees in a clockwise direction. ) is rotated 180 degrees while twisting the return spring 30 , so that the + terminal 10 - 1 is moved toward the - terminal 20 - 1 of the fixing member 20 . As a result, the return spring 30 is in an elastically deformed state, and at the same time, power is energized by connecting the + terminal 10-1 and the - terminal 20-1, and current is supplied to the tail gate switch 1, The supply of current to the tail gate switch 1 releases the locking device provided in the tail gate 210 .

상기 스탠바이모드(C)는 회전 부재(10)가 조작 후 복귀된 테일 게이트 스위치(1)의 자동 복귀 상태로서, 이 복귀 상태는 회전 부재(10)의 외력 해제로 회전 부재(10)에 리턴 스프링(30)의 탄성 복귀력 만 작용됨으로써 리턴 스프링(30)의 초기 상태 복귀로 회전 부재(1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회전 부재(10)의 초기 상태는 + 단자(10-1)와 - 단자(20-1)를 서로 180도 위치에서 마주보도록 함으로써 테일 게이트 스위치(1)의 전원이 차단된다.The standby mode (C) is an automatic return state of the tail gate switch 1 returned after the rotation member 10 is operated, and this return state is a return spring to the rotation member 10 by releasing the external force of the rotation member 10 As only the elastic return force of 30 is applied, the rotation member 10 is rotated counterclockwise to return to the initial state of the return spring 30, and the initial state of the rotation member 10 is + terminal 10-1 and - The power of the tail gate switch 1 is cut off by making the terminals 20-1 face each other at 180 degrees.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장치에 일체화된 래디얼 타입 테일 게이트 스위치(1)는 + 단자(10-1)와 요철(凹凸) 결합을 형성하는 내측 후크(12)를 갖춘 회전 부재(10), - 단자(20-1)와 요철(凹凸) 결합을 형성하는 외측 후크(22) 및 전원과 연결된 전원 커넥터(1-1)에 결합되는 클립(24)을 갖춘 고정부재(20), 상기 회전 부재(10)와 상기 고정부재(20) 사이에서 상기 회전 부재(10)의 회전으로 비틀려 탄성 변형되는 리턴 스프링(30), 상기 고정부재(20)를 관통해 상기 회전 부재(10)로 위치되는 회전 축(1-2)과 결합된 베어링(40)을 포함함으로써 와이퍼(100-1)를 동작시키는 와이퍼 모터(100-2)의 회전 축(1-2)과 동일 선상에 배열되어 와이퍼(100-1)로부터 노출되지 않고, 특히 회전 축(1-2)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조작됨으로써 와이퍼(100-1)에 수직방향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동작되지 않아 고압 세척시에도 오동작을 일으키지 않는다.As described above, the radial type tailgate switch 1 integrated in the wipe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rotating member ( 10), - a fixing member 20 having an outer hook 22 forming an uneven coupling with the terminal 20-1 and a clip 24 coupled to a power connector 1-1 connected to a power source; A return spring 30 that is elastically deformed by twisting between the rotation member 10 and the fixing member 20 by rotation of the rotation member 10, the rotation member 10 passing through the fixing member 20 It is arranged on the same line as the rotation shaft 1-2 of the wiper motor 100-2 that operates the wiper 100-1 by including the bearing 40 coupled with the rotation shaft 1-2 positioned as It is not exposed from the wiper 100-1, and in particular, it does not operate even when a vertical load is applied to the wiper 100-1 because it is rotated around the rotation shaft 1-2 as the rotation center, so it does not cause malfunction even during high-pressure washing. does not

1 : 테일 게이트 스위치
1-1 : 전원 커넥터 1-2 : 회전 축
10 : 회전 부재 10-1 : + 단자
10-2 : + 단자 라인 11 : 회전 바디
12 : 내측 후크 12a,22b : 걸림 홈
12b,22a : 걸림 돌기 17 : 결합 공간
19,29 : 상부 축홀
20 : 고정부재 20-1 : - 단자
20-2 : - 단자 라인 21 : 고정 바디
22 : 외측 후크 23 : 밀착 플랜지
24 : 클립 24a,24b : 제1,2 클립
26 : 스프링 홈 27 : 베어링 수용 공간
28 : 하부 축홀
30 : 리턴 스프링
40 : 베어링 40-1 : 압입 축홀
41 : 내측 파이프 43 : 외측 파이프
45 : 볼
100 : 와이퍼 장치 100-1 : 와이퍼
100-2 : 와이퍼 모터 200 : 차량
210 : 테일 게이트 220 : 윈도우 글라스(window glass)
1: Tailgate switch
1-1: power connector 1-2: rotation axis
10: rotation member 10-1: + terminal
10-2: + terminal line 11: rotating body
12: inner hook 12a, 22b: catch groove
12b, 22a: locking projection 17: bonding space
19,29: upper shaft hole
20: fixing member 20-1: - terminal
20-2: - terminal line 21: fixed body
22: outer hook 23: tight flange
24: clips 24a, 24b: first and second clips
26: spring groove 27: bearing accommodating space
28: lower shaft hole
30: return spring
40: bearing 40-1: press-fit shaft hole
41: inner pipe 43: outer pipe
45: ball
100: wiper device 100-1: wiper
100-2: wiper motor 200: vehicle
210: tailgate 220: window glass (window glass)

Claims (17)

+ 단자를 갖춘 회전 부재와 - 단자를 갖춘 고정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회전 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결합 상태에서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으로 상기 + 단자와 상기 - 단자가 전기적 연결되고, 상기 전기적 연결은 전류를 통전시켜주며;
상기 회전 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는 후크로 결합되어 회전되고, 상기 후크는 상기 회전 부재의 내측 후크와 상기 고정 부재의 외측 후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 게이트 스위치.
A rotating member equipped with a + terminal and a stationary member equipped with a - terminal are included;
The + terminal and the - terminal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rotating member and the fixing member are coupled,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allows current to pass through;
The rotating member and the fixing member are rotated by being coupled with a hook, and the hook is composed of an inner hook of the rotating member and an outer hook of the fixing member.
Tailgate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 단자와 상기 - 단자는 상기 회전 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결합에 의해 상기 회전 부재로 가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 게이트 스위치.
The tail gate switch of claim 1, wherein the + terminal and the - terminal are covered by the rotation member by coupling the rotation member and the fixing memb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결합 상태에서 상기 + 단자와 상기 - 단자는 서로 마주 보는 위치로 이격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 게이트 스위치.
The tail gate switch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 terminal and the - terminal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ace each other when the rotation member and the fixing member are coupled to each other.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측 후크와 상기 외측 후크는 요철(凹凸) 결합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 게이트 스위치.
The tailgate switch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ner hook and the outer hook form a concave-convex coupl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는 리턴 스프링이 내장되어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으로 비틀려 탄성 변형되고, 상기 탄성 변형은 상기 회전 부재의 초기 위치 복원력으로 상기 회전 부재에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 게이트 스위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return spring is embedded between the rotating member and the fixing member to be elastically deformed by twisting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member, and the elastic deformation is applied to the rotating member as an initial position restoring force of the rotating member. Featuring a tailgate switch.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리턴 스프링은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된 스프링 홈에 끼워져 상기 회전 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서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 게이트 스위치.
The tail gate switch of claim 6, wherein the return spring is inserted into a spring groove formed in the fixing member and is embedded between the rotating member and the fixing memb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고정부재를 관통해 상기 회전 부재로 위치되는 회전 축과 결합된 베어링이 내장되고, 상기 베어링은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된 상태에서 회전 축이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 게이트 스위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member has a built-in bearing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positioned as the rotation member passing through the fixing member, the bearing is fixed to the fixing member so that the rotation shaft rotates. tailgate switch with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고정부재의 종 방향으로 경사진 단면을 형성하는 밀착 플랜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 게이트 스위치.
The tail gate switch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ing member has a contact flange forming a cross section inclin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ing memb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는 클립이 구비되고, 상기 클립은 테일 게이트의 잠금장치를 동작시켜주는 전원과 연결된 전원 커넥터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 게이트 스위치.
The tailgate switch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clip, and the clip is coupled to a power connector connected to a power source for operating a locking device of the tailgate.
+ 단자와 요철(凹凸) 결합을 형성하는 내측 후크를 갖춘 회전 부재, - 단자와 요철(凹凸) 결합을 형성하는 외측 후크 및 클립을 갖춘 고정부재, 상기 회전 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서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으로 비틀려 탄성 변형되는 리턴 스프링, 상기 고정부재를 관통해 상기 회전 부재로 위치되는 회전 축과 결합된 베어링으로 구성된 테일 게이트 스위치;
와이퍼를 동작시키고, 상기 베어링에 압입 고정된 회전 축을 갖춘 와이퍼 모터;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 a rotating member having an inner hook for forming a concave-convex engagement with a terminal; a tailgate switch comprising a return spring elastically deformed by twisting with rotation of a bearing coupled to a rotation shaft passing through the fixing member and positioned as the rotation member;
a wiper motor operating the wiper and having a rotation shaft press-fitted to the bearing;
A wipe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cluded.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에는 상기 테일 게이트 스위치를 곡률을 갖는 윈도우 글라스에 결합시켜주는 밀착 플랜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The wiper device as set forth in claim 11 , wherein the fix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contact flange for coupling the tailgate switch to a window glass having a curvature.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은 상기 회전 축의 회전과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을 독립적으로 형성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The wiper device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bearing independently forms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shaft and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member.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의 결합 상태에서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으로 상기 + 단자와 상기 - 단자가 전기적 연결되고, 상기 전기적 연결은 전류를 통전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The wiper device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in the rotation member, the + terminal and the - terminal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rotation of the rotation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fixing member is coupled,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allows current to pass through.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의 회전 각도는 180도 이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The wiper device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rotation angle of the rotation member is within 180 degrees.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는 차량의 테일 게이트의 윈도우 글라스(window glass)를 닦아 주는 리어 와이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
The wiper device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the wiper is a rear wiper for wiping a window glass of a tailgate of a vehicle.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글라스의 안쪽에서 상기 고정부재의 상기 클립이 전원 커넥터와 결합되어 상기 테일 게이트 스위치가 전원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장치.The wiper device according to claim 16, wherein the clip of the fixing member is coupled to a power connector inside the window glass so that the tailgate switch is connected to a power source.
KR1020170086486A 2017-07-07 2017-07-07 Radial type Tail Gate Switch and Wiper Device KR1023594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486A KR102359455B1 (en) 2017-07-07 2017-07-07 Radial type Tail Gate Switch and Wipe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486A KR102359455B1 (en) 2017-07-07 2017-07-07 Radial type Tail Gate Switch and Wiper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596A KR20190005596A (en) 2019-01-16
KR102359455B1 true KR102359455B1 (en) 2022-02-08

Family

ID=65280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6486A KR102359455B1 (en) 2017-07-07 2017-07-07 Radial type Tail Gate Switch and Wiper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9455B1 (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454A (en) * 1995-06-16 1997-01-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Rotary switch and its manufacture
KR19980026005A (en) * 1996-10-07 1998-07-15 배순훈 Rotary switch for monitor
KR19980034795U (en) * 1996-12-11 1998-09-15 조희재 Rotary switch
US6109672A (en) * 1998-10-09 2000-08-29 Valeo Electrical Systems, Inc. Combination window release and wiper system and method
KR20120058134A (en) 2010-11-29 2012-06-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Tact swi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596A (en) 2019-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83694B1 (en) Wiper motor for driving wiper
JP5384101B2 (en) Electric appliances operated by batteries
JP4048503B2 (en) Panel mounting type electrical connector
JP2010182676A (en) Rotary push switch
KR102359455B1 (en) Radial type Tail Gate Switch and Wiper Device
JPH0378986A (en) Electric connector, and assembly including electric connector and accompanying contact
JP2006067694A (en) Actuator device
JPH0922757A (en) Power supply socket for vehicle
WO2012111619A1 (en) Lever type connector
KR101040141B1 (en) Motor Actuator
JP2020098773A (en) Snap operation switch and assembling method of the same
KR100668717B1 (en) A rotary switch formed with center hole
JP4215695B2 (en) Actuator device
KR102052978B1 (en) Car washer nozzle assembly structure
JP2006256492A (en) Roll connector
JP2013192344A (en) Housing for indoor illumination lamp for automobile and its electric wire holder
JP3403603B2 (en) Combination switch
JP7379786B2 (en) Brushed DC mot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4358342B2 (en) Column switch with rotary connector
JP2001270446A (en) Steering roll connector
JP2019009876A (en) Motor device
KR100336538B1 (en) Brush assembly for a wiper motor
KR20180069320A (en) Matching structure of steering column and clock spring
KR101858390B1 (en) Mounting Bush Of Gear Box For Steering System
KR100573568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automobi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