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8864B1 - 기능성 의류 - Google Patents

기능성 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8864B1
KR102358864B1 KR1020210056455A KR20210056455A KR102358864B1 KR 102358864 B1 KR102358864 B1 KR 102358864B1 KR 1020210056455 A KR1020210056455 A KR 1020210056455A KR 20210056455 A KR20210056455 A KR 20210056455A KR 102358864 B1 KR102358864 B1 KR 102358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wearer
elastic
fabric
elastic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6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호준
Original Assignee
윤호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호준 filed Critical 윤호준
Priority to KR1020210056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8864B1/ko
Priority to KR1020220012877A priority patent/KR1025682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8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43Le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8Arm or han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8Elas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 A61F13/08Elastic stockings; for contracting aneur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ingers, hands, or arms; Finger-stalls; Nail-pro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238Wound bandages characterised by way of knitting or weav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28Wound bandages applying of mechanical pressure; passive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365Plasters use
    • A61F2013/00489Plasters use for bracing or strapping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1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elast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의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팔을 감싸는 제1 압박부; 및 하의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다리를 감싸는 제2 압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압박부는 착용자의 사지 말단에 가까워질수록 직물밀도가 높아져 압박의 정도가 높아지는 제1 내지 제3 직물층을 포함하는 기능성 의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능성 의류는 특징적인 직조구조에 따라 착용자의 다리 또는 팔의 외측에서 안쪽으로 탄성력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착용자에게 필요한 탄성력을 비대칭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직물밀도를 조절하여 착용자의 근육에 점진적 압박을 제공함에 따라 혈류량을 개선하고, 근육의 젖산 방출량을 감소시켜 근피로를 줄이고 운동 수행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의류 {FUNCTIONAL CLOTHES}
본 발명은 상의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팔을 감싸는 제1 압박부; 및 하의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다리를 감싸는 제2 압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압박부는 착용자의 사지 말단에 가까워질수록 직물밀도가 높아져 압박의 정도가 높아지는 제1 내지 제3 직물층을 포함하는 기능성 의류에 관한 것이다.
운동 후 발생하는 근육의 피로는 반복된 근수축으로 인한 힘이나 토크 생산능력이 일시적으로 소실되는 것을 말하며, 이러한 근피로의 효과적인 제거는 운동 후 근육통 혹은 근경련을 줄일 수 있고, 직업 운동선수의 경우는 경기 지연에 따른 근피로의 효과적인 해소와 근력을 회복시키는데 상당한 도움을 준다 (Sports Med. 13: 99-107, 1992). 단기간 폭발적인 운동 후 일어나는 피로의 주원인은 에너지 고갈과 젖산의 축적 때문이며, 이를 통해 근력이 감소하고, 균형능력 등이 저하되기도 한다. 따라서, 근육과 혈액 내의 피로산물 내지 젖산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들은 운동선수들의 운동 능력을 향상시키고 부상을 예방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렇듯, 운동 능력의 향상 및 운동 후 회복을 위하여 다양한 운동 장비 또는 요법들이 발전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해당 근육 피부에 신축성 테이프를 부착시킴으로써 근육의 긴장도를 억제 또는 촉진시키는 테이핑 요법 등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 테이핑 요법은 혼자 시행하기 어려우며, 익숙해질 때까지 비교적 시간이 오래 걸리고, 운동을 할 때 마다 매번 시행하기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근육을 압박하는 효과를 나타내는 기존의 기능성 의류의 경우, 슬리브 또는 토시 등의 형태를 가져 입고 벗기가 불편하거나, 착용 부위에 대한 압박의 정도가 동일하여 혈류 개선 등이 효과적이지 않다는 한계가 존재하였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특징적인 직조 구조에 따라 상체 및 하체의 착용 부위 별로 직물밀도가 상이하여 착용자의 근육에 점진적 압박을 제공할 수 있는 기능성 의류를 개발하고, 착용감이 우수하면서 착용 시 근육의 피로도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위 별로 직물밀도가 상이하여 착용자의 근육에 점진적 압박을 제공할 수 있는 기능성 의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서로 다른 직물밀도를 갖는 복수의 직물층이 연결되어 형성되고, 착용자의 다리 또는 팔을 감싸는 적어도 하나의 압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직물층 각각은 착용자의 다리 또는 팔 둘레를 따라 감겨지게 배치되는 제1 탄성사; 상기 제1 탄성사에 감겨지는 제2 탄성사; 및 상기 제1 탄성사에 감겨지는 천연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탄성사는 상기 제1 탄성사를 기준으로 착용자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천연사는 상기 제1 탄성사를 기준으로 착용자의 내측에 배치되어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며, 상기 제1 탄성사에 상기 제2 탄성사가 감긴 방향과 상기 제1 탄성사에 상기 천연사가 감긴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는 기능성 의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천연사는 면(cotton), 마(linen), 모(wool), 견(silk)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면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탄성사는 합성 섬유사로는 텐셀(TENCELL) 섬유사, 레이온 섬유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섬유사, 폴리에틸렌 섬유사, 폴리프로필렌 섬유사, 탄소 섬유사, 붕소 섬유사 등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사는 스판덱스(폴리우레탄) 섬유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스판덱스 섬유는 커버사(coved yarn) 가공 또는 코어 방적사(core-spun yarn) 가공사 또는 베어사(bare yarn)로써 가공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기능성 의류는 전체 의류에 사용되는 섬유 중 면의 함량이 30 내지 50%(w/w)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30% 이상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탄성사에 감겨진 상기 제2 탄성사의 목 부분에 감겨져 상기 제2 탄성사를 고정하는 제1 꼬임사; 및 상기 제1 탄성사에 감겨진 상기 천연사의 목 부분에 감겨져 상기 천연사를 고정하는 제2 꼬임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꼬임사 및 상기 제2 꼬임사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꼬임사가 당겨져 탄성력을 제공하는 방향과 상기 제2 꼬임사가 당겨져 탄성력을 제공하는 방향이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착용자의 다리 또는 팔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감겨지게 배치된 상기 천연사, 상기 제1 탄성사, 및 상기 제2 탄성사를 수평레이어라 하고, 상기 제1 꼬임사는 상측에 적층된 수평레이어에 연결되고, 상기 제2 꼬임사는 하측에 적층된 수평레이어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의류는 착용자의 상체에 착용되는 상의; 및 착용자의 하체에 착용되는 하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박부는 상기 상의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팔을 감싸는 제1 압박부; 및 상기 하의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다리를 감싸는 제2 압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압박부 및 상기 제2 압박부 각각은 착용자의 사지 말단 측에서 착용자의 몸통 측으로 순서대로 배열되는 제1 내지 제3 직물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직물층의 직물밀도를 100%할 때, 상기 제2 직물층의 직물밀도는 70%, 및 상기 제3 직물층의 직물밀도는 4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의류는 손목 또는 발목에서 어깨 또는 무릎 측으로 갈수록 직물의 밀도가 저감되므로, 손목 또는 발목에서 어깨 또는 무릎 측으로 갈수록 근육에 가해지는 압력이 점진적 또는 단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구 체적으로, 상기 제1 직물층은 근육에 대하여 18 내지 22mmHg의 압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2 직물층은 12 내지 16mmHg의 압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3 직물층은 5 내지 10mmHg의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직물층은 21mmHg의 압력, 제2 직물층은 15mmHg의 압력, 및 제3 직물층은 8mmHg의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기능성 의류는 상체 및 하체의 착용 부위에 따라 압력을 점진적으로 제공하여 착용자의 혈류량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의류는 착용자 근육의 젖산 방출량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용어 "젖산(lactic acid 또는 lactate)"이란, 근육 세포에서 해당작용으로 세포 에너지원인 포도당이 분해될 때 생산 및 분비되는 물질로서 체내에 축적되면 조직 세포와 혈액을 산성화시켜 운동 피로를 유발하고 운동 수행력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체내의 젖산을 감소 또는 제거하는 것이 운동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구현예에서는, 본 발명의 기능성 의류의 착용 여부에 따른 체내 젖산 수치를 비교 분석한 결과, 시험자 10인 모두에서 젖산 수치가 현저히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즉, 본 발명의 기능성 의류는 점진적 압박을 제공하여 운동으로 유발된 근피로도를 감소시키며, 그에 따라 운동능력의 향상 및 부상 예방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의는 착용자의 등 또는 어깨를 대각선 방향 또는 좌우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띠 형상을 가지고, 내측중심 방향으로 신축력을 제공하는 신축성 재료로 형성되는 자세교정 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세교정 밴드가 착용자의 등을 대각선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띠 형상을 가질 경우, 등허리를 곧게 펴주는 교정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자세교정 밴드가 착용자의 어깨를 가로지르는 띠 형상을 가질 경우, 착용자의 어깨를 곧게 펴주는 교정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의는 착용자의 내측 허벅지 및 사타구니를 커버하고, 상기 하의의 다른 부분보다 더 높은 통기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통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풍부를 포함하는 경우, 하의의 통풍이 용이하여 위생상 바람직하며, 습진 등의 질병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의류는 특징적인 직조 구조에 따라 착용자의 다리 또는 팔의 외측에서 안쪽으로 탄성력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착용자에게 필요한 탄성력을 비대칭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직물밀도를 조절하여 착용자의 근육에 점진적 압박을 제공함에 따라 혈류량을 개선하고, 근육의 젖산 방출량을 감소시켜 근피로를 줄이고 운동 수행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의류가 착용자에게 착용된 상태를 전면에서 보고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압박부의 직조구조가 도시된 평면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상의의 후면을 보고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의의 후면을 보고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하의의 후면을 보고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하의의 측면을 보고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기능성 의류 착용 여부에 따른 젖산 방출량의 차이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 "상단", "하단", "좌측", "우측"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의류가 착용자에게 착용된 상태를 전면에서 보고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압박부의 직조구조가 도시된 평면 예시도이다. 도 2는 다리 또는 팔에 압박부가 착용된 상태에서 다리 또는 팔의 연장방향과 수직하는 평면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도면일 수 있다.
도 1 내지 2를 참조할 때,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의류(1)(또는, "의류")는 상의(2)와 하의(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의(2)는 착용자의 몸통 및 양 팔을 감쌀 수 있다. 상의(2)의 팔 측 끝단은 대략 착용자의 손목과 인접하거나 손목을 덮을 수 있다.
하의(3)는 착용자의 허리, 엉덩이, 및 양 다리를 감쌀 수 있다. 하의(3)의 다리 측 끝단은 대략 착용자의 발목과 인접하거나 발목을 덮을 수 있다.
의류(1)는 착용자의 신체에 일정한 압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압박부(100,200,300,400)를 포함할 수 있다. 압박부(100,200,300,400)는 착용자의 다리 또는 팔에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류(1)는 왼다리에 압력을 제공하는 제1 압박부(100)와, 오른다리에 압력을 제공하는 제2 압박부(200)와, 왼팔에 압력을 제공하는 제3 압박부(300)와, 오른팔에 압력을 제공하는 제4 압박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압박부(100)와 제2 압박부(200)는 몸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에 대해 거울 대칭일 수 있고, 제3 압박부(300)와 제4 압박부(400)는 몸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에 대해 거울 대칭일 수 있다.
제1 압박부(100)와 제2 압박부(200)는 하의(3)에 배치 또는 형성될 수 있다. 제3 압박부(300)와 제4 압박부(400)는 상의(2)에 배치 또는 형성될 수 있다. 하의(3)가 제1,2 압박부(100,200)를 포함한다고 표현될 수 있고, 상의(2)가 제3,4 압박부(300,400)를 포함한다고 표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의(3)는 착용자의 허리부터 양 허벅지의 윗부분까지 연장되는 가랑이부(3a)와, 가랑이부(3a)의 하단에 각각 연결되는 제1,2 압박부(100,200)를 포함할 수 있다. 가랑이부(3a)의 하단부는 착용자의 양 허벅지에 대응되도록 양 갈래로 분기될 수 있고, 제1,2압박부(100,200)는 가랑이부(3a)의 분기된 양 갈래에 각각 하나씩 연결될 수 있다. 상의(2)는 착용자의 목 하부부터 허리까지 연장되고 양 어깨를 커버하는 몸통부(2a)와, 몸통부(2a)의 양 어깨 부분에 각각 연결되는 제3,4 압박부(300,4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의(3)는 착용자의 사타구니에 대응되게 가랑이부(3a)에 형성되고 하의(3)의 다른 부분(예: 가랑이부(3a) 및/또는 제1,2 압박부(100,200))보다 더 높은 통기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통풍부(3b)를 포함할 수 있다, 통풍부(3b)는 매쉬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주로 제1 압박부(100)와 제3 압박부(300)를 예로 들어 자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압박부(100)에 관한 설명은 제2 압박부(200)에 적용될 수 있고, 제3 압박부(300)에 대한 설명은 제4 압박부(400)에 적용될 수 있다.
제1 내지 4 압박부(100,200,300,400) 각각은 복수의 직물층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4 압박부(100,200,300,400) 각각은 슬리브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직물층 각각은 슬리브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내지 4 압박부(100,200,300,400) 각각은 제1 직물층(101,201,301,401), 제2 직물층(102,202,302,402), 및 제3 직물층(103,203,303,40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4 압박부(100,200,300,400) 각각은 제1 직물층(101,201,301,401), 제2 직물층(102,202,302,402), 및 제3 직물층(103,203,303,403)이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직물층(101,201,301,401)의 일단에 제2 직물층(102,202,302,402)이 연결될 수 있고, 제1 직물층(101,201,301,401)이 연결되는 제2 직물층(102,202,302,402)의 일단과 반대 측인 제2 직물층(102,202,302,402)의 타단에 제3 직물층(103,203,303,403)이 연결될 수 있다.
제1 압박부(100)에 있어서 제2 직물층(102)이 연결되는 제3 직물층(103)의 일단과 반대 측인 제3 직물층(103)의 타단이 가랑이부(3a)의 일단에 연결됨에 따라 제1 압박부(100)는 가랑이부(3a)와 연결될 수 있다. 제3 압박부(300)에 있어서 제2 직물층(302)이 연결되는 제3 직물층(303)의 일단과 반대 측인 제3 직물층(303)의 타단이 몸통부(2a)에 연결됨에 따라 제3 압박부(300)는 몸통부(2a)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압박부(100)의 제1 직물층(101)은 착용자의 발목과 인접하거나 발목을 덮을 수 있다. 제3 압박부(300)의 제1 직물층(301)은 착용자의 손목과 인접하거나 손목을 덮을 수 있다.
제1,2 압박부(100,200)에서 제1 직물층(101,201)은 발목으로부터 종아리 아래 부분까지의 다리를 감쌀 수 있고, 제2 직물층(102,202)은 종아리 아래 부분부터 정강이 부분까지의 다리를 감쌀 수 있고, 제3 직물층(103,203)은 정강이 상단부부터 무릎을 지나 허벅지 하단부까지의 다리를 감쌀 수 있다.
제3,4 압박부(300,400)에서 제1 직물층(301,401)은 손바닥과 전완근 사이 부분의 팔을 감쌀 수 있고, 제2 직물층(302,402)은 전완근과 팔꿈치 부분의 팔을 감쌀 수 있고, 제3 직물층(303,403)은 팔꿈치부터 겨드랑이 사이 부분의 팔을 감쌀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직물층이 신체의 어느 부분까지 감싸는지는 각 직물층의 길이에 따라 정해질 수 있으며, 각 직물층의 길이는 상술한 내용과는 다른 길이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제1 압박부(100)의 복수의 직물층(101,102,103)을 각각 제1 직물층(101), 제2 직물층(102), 제3 직물층(103)이라고 할 때, 제3 압박부(300)의 제1 직물층(301), 제2 직물층(302), 제3 직물층(303)은 각각 제4 직물층(301), 제5 직물층(302), 제6 직물층(303)이라고 지칭될 수도 있다. 이때, 제1 직물층(101)과 제4 직물층(301)은 구조적으로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고, 제2 직물층(102)과 제5 직물층(302)은 구조적으로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고, 제3 직물층(103)과 제6 직물층(303)은 구조적으로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제1 내지 4 압박부(100,200,300,400)는 동일한 직물구조로 연속해서 제작되되 제1 직물층(101,201,301,401)에서 제3 직물층(103,203,303,403)으로 갈수록 직물구조의 밀도를 저감시켜 착용자에게 제공되는 압력이 제1 직물층(101,201,301,401), 제2 직물층(102,202,302,402), 및 제3 직물층(103,203,303,403) 순으로 저감되게 할 수 있다. 즉, 제1 직물층(101,201,301,401), 제2 직물층(102,202,302,402), 및 제3 직물층(103,203,303,403)의 직물밀도 및/또는 탄력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3단계로 압박부(100,200,300,400)의 탄성을 구분하지만 본 실시예와 달리 더 세분화시키거나 점진적으로 탄성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제1,2 압박부(100,200)의 발목 측 일단에서 가랑이 측(또는 상측)으로 갈수록 탄성이 줄어들도록 직물의 밀도가 조절될 수 있다. 제3,4 압박부(300,400)의 손목 측 일단에서 착용자의 몸통 측(또는 내측)으로 갈수록 탄성이 줄어들도록 직물의 밀도가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1)의 압박부(100,200,300,400)를 구성하는 제1 내지 3 직물층(101~103,201~203,301~303,401~403) 각각은 착용자의 다리 또는 팔 둘레를 따라 감겨지게 배치되는 제1 탄성사(10)와, 제1 탄성사(10)를 기준으로 외측(착용자 바깥쪽)에 배치되고 제1 탄성사(10)에 감겨지는 제2 탄성사(20)와, 제1 탄성사(10)를 기준으로 내측(착용자 측)에 배치되어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되고 제1 탄성사(10)에 감겨지는 천연사(30)와, 제1 탄성사(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제1 탄성사(10)에 감겨진 제2 탄성사(20)의 목 부분에 감겨져 제2 탄성사(20)를 고정하는 제1 꼬임사(40)와, 제1 탄성사(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제1 탄성사(10)에 감겨진 천연사(30)의 목 부분에 감겨져 천연사(30)를 고정하는 제2 꼬임사(50)를 포함할 수 있다.
천연사(30)는 면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천연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천연사(30)는 면(cotton), 마(linen), 모(wool), 견(silk)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천연사(30)가 착용자의 피부와 직접 접촉될 수 있고, 제1 탄성사(10) 및 제2 탄성사(20)는 피부와의 접촉이 제한될 수 있다.
천연사(30)가 가장 안쪽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탄성사(20)가 가장 외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탄성사(10)가 천연사(30) 및 제2 탄성사(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천연사(30)가 가장 안쪽에 배치되어 피부에 접촉됨으로써 착용자의 피부트러블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1 압박부의 제1 탄성사(10), 제2 탄성사(20) 및 천연사(30)는 다리가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직선에 대략 수직하는 평면 상에 배열될 수 있다. 즉, 제1 압박부의 제1 탄성사(10), 제2 탄성사(20) 및 천연사(30)는 수평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3 압박부의 제1 탄성사(10), 제2 탄성사(20) 및 천연사(30)는 팔이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직선에 대략 수직하는 평면 상에 배열될 수 있다.
제1 탄성사(10), 제2 탄성사(20) 및 천연사(30)는 착용자의 다리 또는 팔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감기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압박부(100)의 제1 탄성사(10), 제2 탄성사(20) 및 천연사(30)는 착용자의 다리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감기게 배치될 수 있고, 제3 압박부(300)의 제1 탄성사(10), 제2 탄성사(20) 및 천연사(30)는 착용자의 팔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감기게 배치될 수 있다.
제1,3 압박부(100,300)를 구성하는 제1 탄성사(10), 제2 탄성사(20) 및 천연사(30)는 끊기지 않고 연속되게 배치되기 때문에 재봉이 요구되지 않는다. 즉, 어느 하나의 압박부(100,300)에 있어서 제1 내지 3 직물층(101~103,301~303)을 구성하는 제1 탄성사(10)는 일체이고, 제1 내지 3 직물층(101~103,301~303)을 구성하는 제2 탄성사(20)는 일체이고, 제1 내지 3 직물층(101~103,301~303)을 구성하는 천연사(30)는 일체일 수 있다.
제1 탄성사(10) 및 제2 탄성사(20)는 직조된 상태에서 착용자의 다리 또는 팔의 연장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심됨으로써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압박부(100,300)의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제1 탄성사(10), 제2 탄성사(20), 및 천연사(30)가 서로 이격되면서 늘어날 수 있다.
제1,2 탄성사(10,20) 및 천연사(30)의 길이방향으로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 제1 탄성사(10) 및 제2 탄성사(20)가 길이방향으로 늘어날 수 있고, 천연사(30)는 면이 갖는 약간의 탄성과 느슨하게 처진 길이에 따라 착용자 다리 또는 팔의 둘레 방향으로 늘어날 수 있다.
압박부(100,300)의 내외측을 기준으로 잘 늘어나지 않는 천연사(30)가 안쪽에 배치되고 잘 늘어나는 제1 탄성사(10) 및 제2 탄성사(20)가 바깥쪽에 배치되기 때문에, 제1 탄성사(10) 및 제2 탄성사(20)의 탄성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고, 천연사(30)의 연신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1 탄성사(10)는 접히거나 굴곡을 형성하지 않고 착용자의 다리를 나선형으로 감싸게 배치된다.
제2 탄성사(20)는 주기적으로 제1 탄성사(10)를 한 바퀴씩 감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와인딩(21,23)과, 와인딩(21,23)들을 연결하는 탄성연결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구분을 위해 복수 개의 와인딩을 제1 탄성와인딩(21) 및 제2 탄성와인딩(23)로 구별할 수 있고, 탄성연결부(22)가 제1 탄성와인딩(21) 및 제2 탄성와인딩(23)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탄성와인딩(21), 탄성연결부(22) 및 제2 탄성와인딩(23)은 1줄의 제2 탄성사(20)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제2 탄성사(20)는 제1 탄성사(1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반복적으로 감아서 제1 탄성와인딩(21), 탄성연결부(22) 및 제2 탄성와인딩(23)을 형성시킬 수 있다.
즉, 제1 탄성와인딩(21) 및 제2 탄성와인딩(23)은 같은 방향으로 제1 탄성사(10)를 감을 수 있다. 그래서, 제1 탄성와인딩(21) 및 제2 탄성와인딩(23)은 제1 탄성사(10)의 상측에 배치되는 부분과 제1 탄성사(10)의 하측에 배치되는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구분이 필요할 경우 제1 탄성사(1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 탄성와인딩(21)을 제1 어퍼와인딩(21a)이라 정의하고, 하측에 배치되는 제1 탄성 와인딩(21)을 제1 로어와인딩(21b)이라 정의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탄성사(1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탄성와인딩(23)을 제2 어퍼와인딩(23a)이라 정의하고, 하측에 배치되는 제2 탄성와인딩(23)을 제2 로어와인딩(23b)이라 정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연결부(22)는 제1 로어와인딩(21b)과 제2 어퍼와인딩(23a)을 연결할 수 있다. 이를 확장하면 탄성연결부(22)는 인접한 2개의 와인딩들에서 로어와인딩과 어퍼와인딩을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천연사(30)는 제2 탄성사(20)와 동일한 형태이되, 제1 탄성사(10)를 기준으로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천연사(30)는 제2 탄성사(20)가 제1 탄성사(10)에 감긴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제1 탄성사(10)에 감길 수 있다.
천연사(30)는 주기적으로 제1 탄성사(10)를 한 바퀴씩 감도록 배치된 복수개의 와인딩(31,33)과, 와인딩(31,33)들을 연결하는 비탄성연결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구분을 위해 복수개의 천연사 와인딩(31,33)을 제1 비탄성와인딩(31) 및 제2 비탄성와인딩(33)라 정의할 수 있고, 비탄성연결부(32)가 제1 비탄성 와인딩(31) 및 제2 비탄성와인딩(23)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비탄성와인딩(31), 비탄성연결부(32) 및 제2 비탄성와인딩(33)은 1줄의 천연사(30)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천연사(30)는 제1 탄성사(1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반복적으로 감아서 제1 비탄성와인딩(31), 비탄성연결부(32) 및 제2 비탄성와인딩(33)을 형성시킬 수 있다.
즉, 제1 비탄성와인딩(31) 및 제2 비탄성와인딩(33)은 같은 방향으로 천연사(30)를 감을 수 있다. 그래서, 제1 비탄성와인딩(31) 및 제2 비탄성와인딩(33)은 제1 탄성사(10)의 상측에 배치되는 부분과 제1 탄성사(10)의 하측에 배치되는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구분이 필요할 경우 제1 탄성사(1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1 비탄성와인딩(31)을 제1 어퍼와인딩(31a)이라 정의할 수 있고, 하측에 배치되는 제1 비탄성와인딩(31)을 제1 로어와인딩(31b)이라 정의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탄성사(1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 비탄성와인딩(33)을 제2 어퍼와인딩(33a)이라 정의할 수 있고, 하측에 배치되는 제2 비탄성와인 딩(33)을 제2 로어와인딩(33b)이라 정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비탄성연결부(32)는 제1 로어와인딩(31b)과 제2 어퍼와인딩(33a)을 연결할 수 있다. 이를 확장하면 비탄성연결부(32)는 인접한 2개의 와인딩들에서 로어와인딩과 어퍼와인딩을 연결할 수 있다.
제1 탄성와인딩(21) 및 제2 탄성와인딩(23)과, 제1 비탄성와인딩(31) 및 제2 비탄성와인딩(33)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탄성와인딩(21) 및 제2 탄성와인딩(23)과, 제1 비탄성와인딩(31) 및 제2 비탄성와인딩(33)은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비탄성와인딩(31), 제1 탄성와인딩(21), 제2 비탄성와인딩(33), 및 제2 탄성와인딩(23)은 지그재그 형태로 서로 맞물려 배치됨으로써 직물의 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착용자의 다리 또는 팔이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의 직물의 탄성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고, 착용자에게 압력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비탄성와인딩(31) 및 제2 비탄성와인딩(33) 사이에 제1 탄성와인딩(21)이 배치되고, 제1 탄성와인딩(21) 및 제2 탄성와인딩(23) 사이에 제1 비탄성와인딩(3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탄성와인딩(21)의 내측에 비탄성연결부(32)가 배치되어 제1 탄성와인딩(21)이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탄성와인딩(23)의 내측에도 비탄성연결부(32)가 배치되어 제1 탄성와인딩(21)이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제1 비탄성와인딩(31)의 외측에 탄성연결부(22)가 배치될 수 있고, 제2 비탄성와인딩(33)의 외측에도 탄성연결부(22)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탄성사(10)는 일렬로 배치되기 때문에, 단위면적당 제1 비탄성와인딩(31), 제1 탄성와인딩(21), 제2 비탄성와인딩(33), 및 제2 탄성와인딩(23)의 부피 또는 중량이 직물의 탄성량에 직접적으로 연관될 수 있다.
특히 단위면적당 제1 탄성와인딩(21), 탄성연결부(22), 및 제2 탄성와인딩(23)의 밀도를 변화시킴으로써 별도의 직물을 이어붙이지 않아도 직물의 탄력을 단계적 또는 점진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직물층(101,201,301,401)의 직물밀도를 100%라 할 때, 제3 직물층(103,203,303,403)의 직물밀도를 40%로 형성시키고, 그 중간부분의 직물밀도는 점진적 또는 단계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제1 직물층(101,201,301,401)과 제3 직물층(103,203,303,403)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직물층(102,202,302,402)은 직물밀도를 70%로 형성시킬 수 있다.
한편,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직물층(101,201,301,401), 제2 직물층(102,202,302,402), 및 제3 직물층(103,203,303,403) 중 적어도 하나 역시 그 직물밀도가 일정한 값으로 고정된 것이 아니고 착용자의 다리 또는 팔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직물밀도가 점차 변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2 압박부(100,200)에 있어서 제1 내지 3 직물층(101~103,201~203) 중 적어도 하나는 착용자의 발로부터 멀어질수록 직물밀도가 감소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1 직물층(101,201)의 최대 직물밀도를 100%라 할 때 제3 직물층(103,203)의 최소 직물밀도는 40%일 수 있다. 제3,4 압박부(300,400)에 있어서 제1 내지 3 직물층(301~303,401~403) 중 적어도 하나는 착용자의 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직물밀도가 감소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1 직물층(301,401)의 최대 직물밀도를 100%라 할 때 제3 직물층(301,401)의 최소 직물밀도는 40%일 수 있다.
직물밀도 100%일 때 18 내지 22mmHg의 압력을 제공할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21mmHg의 압력을 제공하도록 직조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1 직물층이 근육에 대하여 18 내지 22mmHg의 압력을 제공하고, 제2 직물층은 12 내지 16mmHg의 압력을 제공하며, 제3 직물층은 5 내지 10mmHg의 압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1 직물층이 근육에 대하여 21mmHg의 압력을 제공하고, 제2 직물층은 15mmHg의 압력을 제공하며, 제3 직물층은 8mmHg의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압력은 예시적인 것으로, 착용자의 연령 및 대상 스포츠 군의 특성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제1 직물층(101,201,301,401)에서 제1 탄성사(10), 제2 탄성사(20) 및 천연사(30)가 가장 촘촘하게 배열될 수 있고, 제3 직물층(103,203,303,403)에서 제1 탄성사(10), 제2 탄성사(20) 및 천연사(30)가 가장 성기게 배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압박부(100,200,300,400)는 1줄의 제1 탄성사(10)를 따라 제2 탄성사(20) 및 천연사(30)가 연속적으로 감겨 배치되기 때문에, 제2 탄성사(20) 및 천연사(30)의 직조 간격을 조절하여 탄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 탄성사(10), 제2 탄성사(20) 및 천연사(30)가 나선형으로 연속되게 배치되기 때문에, 봉제 등의 별도의 작업이 필요치 않는 장점이 있다.
나선형으로 배열된 제1 탄성사(10), 제2 탄성사(20) 및 천연사(30)를 수평레이어(70)라 정의한다. 수평레이어(70)는 실질적으로 연속된 형태이다. 수평레이어(70)는 다리 또는 팔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층층이 적층될 수 있고, 제1 꼬임사(40) 및 제2 꼬임사(50)가 수평레이어(70)를 수직방향으로 직조한다.
제1 꼬임사(40)는 제1 탄성사(10)에 감겨진 제2 탄성사(20)의 목 부분을 감아 고정시킬 수 있고, 제2 꼬임사(50)는 제1 탄성사(10)에 감겨진 천연사(30)의 목 부분을 감아 고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꼬임사(40)는 제1 탄성사(10)를 기준으로 외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꼬임사(50)는 제1 탄성사(10)를 기준으로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꼬임사(40)는 제2 탄성사(20)의 제1 어퍼와인딩(21a) 및 제1 로어와인딩(21b)을 감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꼬임사(40)는 제2 탄성사(20)의 제2 어퍼와인딩(23a) 및 제1 로어와인딩(23b)을 감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꼬임사(40)는 상측(달리 말하면, 다리가 연장되는 방향에 있어서 발에서 보다 먼 측, 또는 팔이 연장되는 방향에 있어서 손에서 보다 먼 측)에 배치된 수평레이어(70)의 천연사(30)의 목 부분을 감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꼬임사(50)는 천연사(30)의 제1 어퍼와인딩(31a) 및 제1 로어와인딩(31b)을 감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꼬임사(50)는 천연 사(30)의 제2 어퍼와인딩(33a) 및 제1 로어와인딩(33b)을 감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꼬임사(50)는 하측(달리 말하면, 다리가 연장되는 방향에 있어서 발에서 보다 가까운 측, 또는 팔이 연장되는 방향에 있어서 손에서 보다 가까운 측)에 배치된 수평레이어(70)의 천연사(30)의 목 부분을 감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꼬임사(40) 및 제2 꼬임사(50)는 착용자의 다리 또는 팔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적층된 수평레이어(70)들을 편직하여 연결시킬 수 있다.
제1 꼬임사(40) 및 제2 꼬임사(50)는 탄성재질의 합성수지일 수 있다. 압박부가 그 길이 방향으로 당겨질 때, 제1 꼬임사(40) 및 제2 꼬임사(50)가 재질의 탄성에 의해 늘어날 수 있다.
제1 꼬임사(40) 및 제2 꼬임사(50)는 제1 탄성사(10) 및 제2 탄성사(20) 보다 작은 탄성력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제1 꼬임사(40)는 비탄성와인딩(31,33)들 사이에 배치되고, 탄성와인딩(21,23)들의 목 부분을 올가미 형태로 감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꼬임사(40)가 목 부분을 올가미 형태로 동그랗게 감은 방향과 탄성와인딩들(21,23)들이 제1 탄성사(10)를 동그랗게 감은 방향이 같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꼬임사(50)는 탄성와인딩(21,23)들 사이에 배치되고, 탄성와인딩(31,33)들의 목 부분을 올가미 형태로 감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꼬임사(50)가 목 부분을 올가미 형태로 동그랗게 감은 방향과 비탄성와인딩들(31,33)들이 제1 탄성사(10)를 동그랗게 감은 방향이 같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상의의 후면을 보고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의의 후면을 보고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4를 참조할 때, 상의(2)는 착용자의 어깨 및 상체의 자세 교정을 위한 교정 밴드(110)를 포함할 수 있다. 교정 밴드(110)는 착용자의 등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교정 밴드(110)는 몸통부(2a)와는 별개물로 형성되는 구성일 수도 있고, 몸통부(2a)와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
교정 밴드(110)는 그 내측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신축력을 제공할 수 있고, 착용자의 척추를 기준으로 척추 양쪽의 등 근육들을 척추를 향하는 방향으로 당길 수 있으며, 착용자의 어깨 및 등이 펴지도록 하여 일상 생활 또는 운동 중 자세를 바르게 교정할 수 있다.
교정 밴드(110)는 제1 교정 밴드(111)와 제2 교정 밴드(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2 교정 밴드(111,112)는 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교정 밴드(111)는 착용자의 오른쪽 어깨에서 왼쪽 옆구리까지 대각선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2 교정 밴드(112)는 착용자의 왼쪽 어깨에서 오른쪽 옆구리까지 대각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교정 밴드(111)의 상단은 착용자의 오른쪽 어깨 부분의 몸통부(2a)에 박음질되어 고정될 수 있고, 하단은 착용자의 왼쪽 옆구리 부분의 몸통부(2a)에 박음질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2 교정 밴드(112)의 상단은 착용자의 왼쪽 어깨 부분의 몸통부(2a)에 박음질되어 고정될 수 있고, 하단은 착용자의 오른쪽 옆구리 부분의 몸통부(2a)에 박음질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1 교정 밴드(111)와 제2 교정 밴드(112)는 대략 착용자의 척추 부분에서 서로 교차되어 오버랩될 수 있고, 제1 교정 밴드(111)와 제2 교정 밴드(112)는 교차되어 오버랩된 부분에서 박음질 등의 결합 수단에 의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제1 교정 밴드(111)가 제2 교정 밴드(112)의 후방에 배치되어 오버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 교정 밴드(112)가 제1 교정 밴드(111)의 후방에 배치되어 오버랩될 수 있다.
제1,2 교정 밴드(111,112)는 신축성이 우수한 원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2 교정 밴드(111,112)는 상의(2)의 몸통부(2a)를 형성하는 원단보다 높은 탄성 및 신축성을 갖는 원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2 교정 밴드(111,112)는 몸통부(2a)와 동일한 원단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와 같이, 교정 밴드(110)는 양단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왼쪽 어깨 위치의 몸통부와 오른쪽 어깨 위치의 몸통부에 연결된다. 그에 따라, 상기 교정 밴드(110)는 왼쪽 및 오른쪽 어깨를 척추 내측으로 모아줄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하의의 후면을 보고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하의의 측면을 보고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6을 참조할 때, 하의(3)는 착용자의 힙(hip)을 지지하고 올려주도록 마련되는 힙업(hip up) 밴드(1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하의(3)는 착용자의 볼기고랑을 따라 연장되게 가랑이부(3a)에 형성되는 제1 재봉선(131)과, 착용자의 볼기사이틈새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게 가랑이부(3a)에 형성되는 제2 재봉선(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2 재봉선(131,132)은 복수의 스티치가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힙업 밴드(120)는 하단이 박음질 등에 의하여 제1 재봉선(131)에 고정되고 상단이 가랑이부(3a)의 상단(예: 허리 밴드(133))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1 힙업 밴드(121)와, 하단(또는 "외측단")이 박음질 등에 의하여 제1 힙업 밴드(121)에 고정되고 상단(또는 "내측단")이 제2 재봉선(132)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2 힙업 밴드(122)를 포함할 수 있다.
힙업 밴드(120)는 가랑이부(3a)와는 별개물로 형성되는 구성일 수도 있고, 가랑이부(3a)와 일체로 형성되는 구성일 수도 있다.
하의(3)는 가랑이부(3a)의 상단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허리에 걸리는 허리 밴드(133)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힙업 밴드(121)의 상단은 허리 밴드(133)에 고정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힙업 밴드(121)는 항문 부위를 중심으로 30˚ 이상 45˚이하의 각도로 기울어져 연장되고 상방으로 갈수록 그 사이가 점차 넓어지는 상광하협(上廣下狹) 형태를 이룰 수 있다.
한 쌍의 제1 힙업 밴드(121) 각각은 그 하단이 고정되는 착용자 허벅지 후면의 대략 중심을 출발하여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고, 상방으로 연장되면서 그 상단이 착용자 허리의 측부에 도달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 힙업 밴드(122) 각각은 대응되는 제1 힙업 밴드(121)에 대하여 대략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고, 상방으로 갈수록 서로 수렴할 수 있으며, 한 쌍의 제2 힙업 밴드(122)의 상단은 같은 위치에서 제2 재봉선(132)에 고정될 수 있다.
제1,2 힙업 밴드(121,122)는 신축성이 우수한 원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2 힙업 밴드(121,122)는 하의(3)의 가랑이부(3a)를 형성하는 원단보다 높은 탄성 및 신축성을 갖는 원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2 힙업 밴드(121,122)는 가랑이부(3a)와 동일한 원단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2 재봉선(131,132) 및 허리 밴드(133)는 가랑이부(3a)의 다른 부분 보다 신축성이 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2 재봉선(131,132) 및 허리 밴드(133)는 하의(3)의 가랑이부(3a)를 형성하는 원단보다 단단한 부분으로서 가랑이부(3a)를 형성하는 원단보다 낮은 탄성 및 신축성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힙업 밴드(121)는 상하단이 비교적 단단한 제1 재봉선(131)과 허리 밴드(133)에 고정되므로 힙을 효과적으로 상방으로 끌어올릴 수 있고, 제2 힙업 밴드(122)는 내측단이 비교적 단단한 제2 재봉선(132)에 고정되므로 외측단에 고정된 제1 힙업 밴드(121)를 제2 재봉선(132)이 위치되는 힙의 내측으로 당겨서 힙을 효과적으로 모아줄 수 있다.
실험예 1. 관능평가
본 발명 기능성 의류에 대한 실제 착용감 및 운동 능력에 대한 착용자의 느낌을 평가하기 위하여, 15 내지 70세의 16명의 남녀를 대상으로 관능평가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직업 및 취미 스포츠를 가진 시험자 16명에게 본 발명의 기능성 의류를 착용할 때의 느낌, 운동 중의 착용감, 운동 능력의 향상 여부, 및 근육 회복 정도에 대하여 설문을 진행하였다. 평점은 5점 평점법을 사용하였으며, 착용에 대한 만족감(편안함)이 높을수록, 운동능력 또는 근육 회복 효과가 향상될수록 높은 점수를 주도록 하였다.
  직업/연령 취미스포츠 착용 시 운동중 운동능력 근육회복
1 학생/23 줄넘기 4 4 4 4
2 학생/20 줄넘기 3 3 4 3
3 학생/21 줄넘기 5 5 5 4
4 학생/21 줄넘기 5 5 5 5
5 학생/23 줄넘기 5 5 5 5
6 학생/15 줄넘기 4 3 3 3
7 학생/23 줄넘기 4 4 4 4
8 학생/24 줄넘기 5 4 5 5
9 학생/23 줄넘기 4 4 4 4
10 학생/24 줄넘기 4 4 4 4
11 학생/21 줄넘기 3 4 3 4
12 교수/58 줄넘기 3 5 4 5
13 조리사/70 자전거 4 4 4 4
14 교수/60 골프 3 5 4 5
15 교수/49 축구 4 4 5 5
16 교수/58 골프 5 4 5 5
설문조사 결과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능성 의류를 착용하고 각자의 취미 스포츠를 수행한 경우, 착용 중, 착용 후, 또는 운동 중의 착용감이 보통에서 매우 편하다는 답변을 얻었으며, 특히, 운동 중의 착용감에 대하여 대다수가 매우 편하다고 답변한 바, 기능성 스포츠 의류로서 운동 중의 착용감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시험자의 과반수 이상이 운동 능력이 향상된다고 느꼈으며, 운동 이후의 근육 회복에 대한 느낌도 향상된다고 답변하였다. 아울러, 평가 전 근육통이 있었던 5번 시험자와 근육 부상 중인 8번 시험자의 경우에도 운동능력 및 근육회복 효과에 대하여 만족도가 높았으며, 하지정맥류 환자인 13번 시험자 또한 편안한 착용감 및 근육회복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기능성 의류는 착용감이 우수하면서 팔 및 다리에 점진적 압박을 제공함으로써 운동 수행 능력은 향상되고, 근육에 대한 피로도는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운동 후 젖산 수치 분석
본 발명 기능성 의류를 착용하고 운동을 수행한 경우, 근육에서 방출된 피로물질인 젖산(lactic acid)의 수치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나이 및 성별이 다양한 10인의 시험자가 본 발명의 기능성 의류를 착용 또는 미착용 하고, 동일한 조건에서 운동을 수행한 이후의 혈중 젖산 수치를 젖산분석기로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SCL healthcare).
  착용 미착용 방출량 차이
1 3.19 15.80 12.61
2 5.00 20.52 15.52
3 7.46 9.99 2.53
4 4.23 10.64 6.41
5 8.37 10.44 2.07
6 5.53 9.87 4.34
7 2.02 11.43 9.41
8 3.96 5.55 1.59
9 3.73 6.70 2.97
10 3.76 14.02 10.26
그 결과 상기 표 2 및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10인의 시험자 모두 본 발명의 기능성 의류를 착용한 경우, 미착용한 경우에 비하여 혈중 젖산 수치가 감소하였으며, 최소 1.59mmol/L에서 최대 15.52mmol/L까지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본 발명의 기능성 의류를 착용 시 근육에서 방출된 젖산 수치가 현저히 감소하는 바, 점진적 압박으로 인해 운동으로 유발된 근피로도가 상대적으로 감소하며, 그에 따라 운동능력의 향상 및 부상 예방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기능성 의류
2; 상의
3; 하의
100,200,300,400; 압박부
101,201,301,401; 제1 직물층
102,202,302,402; 제2 직물층
103,203,303,403; 제3 직물층
10; 제1 탄성사
20; 제2 탄성사
30; 천연사

Claims (7)

  1. 서로 다른 직물밀도를 갖는 복수의 직물층이 연결되어 형성되고, 착용자의 다리 또는 팔을 감싸는 적어도 하나의 압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직물층 각각은
    착용자의 다리 또는 팔 둘레를 따라 감겨지게 배치되는 제1 탄성사;
    상기 제1 탄성사에 감겨지는 제2 탄성사; 및
    상기 제1 탄성사에 감겨지는 천연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탄성사는 상기 제1 탄성사를 기준으로 착용자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천연사는 상기 제1 탄성사를 기준으로 착용자의 내측에 배치되어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되며,
    상기 제1 탄성사에 상기 제2 탄성사가 감긴 방향과 상기 제1 탄성사에 상기 천연사가 감긴 방향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는 기능성 의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사에 감겨진 상기 제2 탄성사의 목 부분에 감겨져 상기 제2 탄성사를 고정하는 제1 꼬임사; 및
    상기 제1 탄성사에 감겨진 상기 천연사의 목 부분에 감겨져 상기 천연사를 고정하는 제2 꼬임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꼬임사 및 상기 제2 꼬임사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꼬임사가 당겨져 탄성력을 제공하는 방향과 상기 제2 꼬임사가 당겨져 탄성력을 제공하는 방향이 서로 반대인 기능성 의류.
  3. 제2항에 있어서,
    착용자의 다리 또는 팔 둘레를 따라 나선형으로 감겨지게 배치된 상기 천연사, 상기 제1 탄성사, 및 상기 제2 탄성사를 수평레이어라 하고,
    상기 제1 꼬임사는 상측에 적층된 수평레이어에 연결되고, 상기 제2 꼬임사는 하측에 적층된 수평레이어에 연결되는 기능성 의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는
    착용자의 상체에 착용되는 상의; 및
    착용자의 하체에 착용되는 하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압박부는
    상기 상의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팔을 감싸는 제1 압박부; 및
    상기 하의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다리를 감싸는 제2 압박부;를 포함하는 기능성 의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박부 및 상기 제2 압박부 각각은
    착용자의 사지 말단 측에서 착용자의 몸통 측으로 순서대로 배열되는 제1 내지 3 직물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직물층의 직물밀도를 100%라 할 때, 상기 제2 직물층의 직물밀도는 70%, 및 상기 제3 직물층의 직물밀도는 40%인 것인, 기능성 의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직물층이 근육에 대하여 18 내지 22mmHg의 압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2 직물층은 12 내지 16mmHg의 압력을 제공하며, 상기 제3 직물층은 5 내지 10mmHg의 압력을 제공하는 것인, 기능성 의류.
  7. 삭제
KR1020210056455A 2021-04-30 2021-04-30 기능성 의류 KR102358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455A KR102358864B1 (ko) 2021-04-30 2021-04-30 기능성 의류
KR1020220012877A KR102568257B1 (ko) 2021-04-30 2022-01-28 점진적 압박형 기능성 의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455A KR102358864B1 (ko) 2021-04-30 2021-04-30 기능성 의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2877A Division KR102568257B1 (ko) 2021-04-30 2022-01-28 점진적 압박형 기능성 의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8864B1 true KR102358864B1 (ko) 2022-02-08

Family

ID=8025225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6455A KR102358864B1 (ko) 2021-04-30 2021-04-30 기능성 의류
KR1020220012877A KR102568257B1 (ko) 2021-04-30 2022-01-28 점진적 압박형 기능성 의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2877A KR102568257B1 (ko) 2021-04-30 2022-01-28 점진적 압박형 기능성 의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5886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565B1 (ko) * 2015-01-28 2015-08-06 화신섬유(주) 하지정맥류 치료용 4~4.5inch 압박 양말의 제직방법
JP3206234U (ja) * 2016-06-17 2016-09-08 アルケア株式会社 ストッキング
JP2017503547A (ja) * 2013-12-19 2017-02-02 ビーエスエヌ メディカル,インク. 編まれた圧迫衣類及び編まれた生地
KR20190040544A (ko) * 2017-10-11 2019-04-19 황보석영 근육회복을 도와주는 심리스 이너웨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6234B2 (ja) 1993-07-22 2001-09-10 チッソ株式会社 光学活性ポリエステルカーボネート樹脂
BRPI0417888A (pt) 2003-12-30 2007-04-27 Chang Min Jeong meia com compressão funciona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03547A (ja) * 2013-12-19 2017-02-02 ビーエスエヌ メディカル,インク. 編まれた圧迫衣類及び編まれた生地
KR101542565B1 (ko) * 2015-01-28 2015-08-06 화신섬유(주) 하지정맥류 치료용 4~4.5inch 압박 양말의 제직방법
JP3206234U (ja) * 2016-06-17 2016-09-08 アルケア株式会社 ストッキング
KR20190040544A (ko) * 2017-10-11 2019-04-19 황보석영 근육회복을 도와주는 심리스 이너웨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8257B1 (ko) 2023-08-18
KR20220149411A (ko) 2022-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97536B (zh) 筒状绷带
JP5785379B2 (ja) 医療用ストッキング
US10912341B2 (en) Knee supporter and garment
KR20110086796A (ko) 의류
US10864101B2 (en) Garment provided with joint supporter section, and knee supporter
WO2010082677A1 (ja) 医療用又はスポーツ用衣服
TW201637583A (zh) 小腿用支撐帶
KR101766644B1 (ko) 근육강화용 서포트 피복
JP6765691B1 (ja) 筒状包帯
WO2019051059A1 (en) COMPRESSION ELEMENT
JP2019173256A (ja) 姿勢回復治療用ブラジャー
JP3931144B2 (ja) タイツ
WO2010050539A1 (ja) 衣類
KR102358864B1 (ko) 기능성 의류
KR20110012027U (ko) 체형을 교정하는 의복
JP2010077574A (ja) 下肢用衣料
JP7486797B2 (ja) スポーツ用パンツ
JP6603057B2 (ja) インナー・ウェア
JP2005248389A (ja) 脚部を有する衣類
JP6115977B1 (ja) 筒状包帯
JP7542745B2 (ja) ボトム衣料
RU211569U1 (ru) Предмет одежды для нижней части тела
EP4273311A1 (en) Compression garment
RU119585U1 (ru) Адаптационная одежда для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й деятельности людей с ограниченными физическими возможностями
JP2023057792A (ja) 下半身用衣類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