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8741B1 - 치매환자의 기억을 기반으로 하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치매환자 치료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치매환자의 기억을 기반으로 하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치매환자 치료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8741B1
KR102358741B1 KR1020190132772A KR20190132772A KR102358741B1 KR 102358741 B1 KR102358741 B1 KR 102358741B1 KR 1020190132772 A KR1020190132772 A KR 1020190132772A KR 20190132772 A KR20190132772 A KR 20190132772A KR 102358741 B1 KR102358741 B1 KR 102358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mentia
information
patient
patients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2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8740A (ko
Inventor
이운봉
최은주
마해왕
Original Assignee
(주) 지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지일 filed Critical (주) 지일
Priority to KR1020190132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8741B1/ko
Publication of KR20210048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8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8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0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nervous system
    • A61B5/4076Diagnosing or monitoring particular conditions of the nervous system
    • A61B5/4088Diagnosing of monitoring cognitive diseases, e.g. Alzheimer, prion diseases or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44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 A61M2021/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images, e.g. video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61M2205/3584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using modem, internet or bluetoo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02User interfaces, e.g. screens or keyboards
    • A61M2205/507Head Mounted Displays [HM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with memories providing a history of measured variating parameters of apparatus or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08Other bio-electrical signals
    • A61M2230/10Electroencephalographic sign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syc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Neur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eurosurg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hysiology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매환자의 기억을 기반으로 하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치매환자 치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고향, 학력, 성별, 나이, 출신학교, 출생년도를 포함하는 치매환자의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치매환자정보 입력부(110), 치매환자의 정보, 치매환자에 제공한 미디어 정보 및 치매환자에게 미디어 제공시 치매환자로부터 측정되는 뇌파를 포함하는 정보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얻어진 치료효과에 대한 치매 치료정보가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어 있는 DB(120), HMD(131)를 구비하고, DB(120)로부터 치매환자정보 입력부(110)의 치매환자정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미디어정보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치매 치료정보를 읽어와 치매환자에게 제공하는 VR(130), 치매환자에게 치매 치료정보가 제공되는 동안 치매환자의 뇌파를 측정하는 뇌파 측정부(140) 및 치매환자의 정보, 치매환자에 제공한 미디어 정보 및 치매환자에게 미디어 제공되는 치매환자로부터 측정되는 뇌파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치매환자의 치료효과를 구하는 빅데이터 분석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치매환자의 기억을 기반으로 하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치매환자 치료 장치 및 방법{A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dementia patients through big data analysis based on the memory of dementia patients}
본 발명은 치매환자의 기억을 기반으로 하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치매환자 치료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매환자가 정상적이었을 때 즐겼던 음악, 영화, 드라마, 거주했던 지역의 풍경 사진, 연애인이나 스포츠 선수 사진 및 경기장면 등과 같은 치매환자의 기억정보들을 분석하여 치매치료에 유익한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조합하여 치매환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치매환자의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는 치매환자의 기억을 기반으로 하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치매환자 치료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매(dementia)는 정상적인 노화와는 구분해야 할 병적인 현상이며 그 원인에 따라 알츠하이머성 치매(Alzheimer's disease), 혈관성 치매(vasculardementia), 기타 알콜 중독, 외상, 파킨슨병의 후유증으로 오는 치매로 구별된다.
이중,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발병기전은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으나, 신경독성단백질인 베타-아밀로이드(β-amyloid protein)의 독성이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 물질은 아밀로이드 전구단백질(APP:amyloid precursor protein)의 잘못된 대사로 인해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APP의 정상 대사물은 신경세포보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최근 유전공학적 방법을 이용한 연구결과에서는 베타아밀로이드(β-amyloid)등의 독성 단백질이 세포와 혈관에 쌓여 신경세포에 독성을 미침으로써 결과적으로 뇌기능에 장애가 초래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현재까지 치매 치료를 위한 약물치료는 아세틸콜린 전구체를 투여하거나 아세틸콜린의 분해를 저해하는 약물을 투여하여 뇌의 아세틸콜린 농도를 높여주는 치료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대표적인 약물로는 타크린 (tacrine), 도네페질 (donepezil), 리바스티그민 (rivastigmine), 갈란타민 (galantamine) 등이 있다.
다만, 기존의 치매 치료제는 주로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억제 효과만을 가지고 있을 뿐, 베타-아밀로이드의 형성 억제 또는 이미 형성된 베타-아밀로이드 응집체의 분해 기능은 없었다.
따라서, 치매의 근원적 치료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미 베타-아밀로이드 응집체가 형성된 치매 환자에게는 아무런 효과를 발휘할 수 없다.
뿐만 아니라, 여러 화학 물질들을 포함하는 현존하는 치매치료제들은 구역, 구토, 어지러움, 설사, 신경계 이상 등의 부작용이 빈발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종래에는 화학 물질이 아닌 음악 등에 의한 치매 치료방법이 제시되고 있는바, 음악을 통한 치매 치료방법의 효능에 대한 다양한 임상 결과가 학계에 보고되고 있다.
특허 제10-1882300호(2018. 07. 25. 등록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치매환자와 관련된 음악을 포함하는 각종 기억정보를 기초로 하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얻어진 정보를 이용하여 치매환자의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는 치매환자의 기억을 기반으로 하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치매환자 치료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은, 고향, 학력, 성별, 나이, 출신학교, 출생년도를 포함하는 치매환자의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치매환자정보 입력부; 치매환자의 정보, 치매환자에 제공한 미디어 정보 및 치매환자에게 미디어 제공시 치매환자로부터 측정되는 뇌파를 포함하는 정보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얻어진 치료효과에 대한 치매 치료정보가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어 있는 DB; HMD(Head Mounted Display)를 구비하고, 상기 DB로부터 상기 치매환자정보 입력부의 치매환자정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미디어정보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치매 치료정보를 읽어와 치매환자에게 제공하는 VR(Virtual Reality); 치매환자에게 치매 치료정보가 제공되는 동안 치매환자의 뇌파를 측정하는 뇌파 측정부; 및 치매환자의 정보, 치매환자에 제공한 미디어 정보 및 치매환자에게 미디어 정보가 제공되는 동안 치매환자로부터 측정되는 뇌파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치매환자의 치료효과를 구하는 빅데이터 분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치매환자의 기억을 기반으로 하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치매환자 치료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 의하면, 상기 치매환자정보 입력부의 치매환자 개인정보는 치매환자의 사진, 치매환자의 가족사진을 포함하는 치매환자의 개인적인 미디어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뇌파 측정부는 치매환자 뇌의 각 부위에서 뇌파를 측정하는 복수의 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DB와 상기 VR, 상기 뇌파 측정부와 상기 빅 데이터 분석부는 각각 블루투수 모듈과 같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무선 송수신모듈이 구비되거나 유선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각종 미디어 정보를 입력하는 미디어정보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빅 데이터 분석부는 상기 미디어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각종 미디어 정보를 상기 DB에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치매환자 치료시 치매환자에 대응해서 치매 치료정보에 조합시 하나 이상의 미디어정보로 포함시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미디어정보 입력부의 미디어정보는 년도, 혹은 시대별로 구분된음악, 영화, 드라마, 특정 지역의 자연 다큐영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향, 학력, 성별, 나이, 출신학교, 출생년도를 포함하는 치매환자의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제1 단계; 치매환자의 정보, 치매환자에 제공한 미디어 정보 및 치매환자에게 미디어 제공시 치매환자로부터 측정되는 뇌파를 포함하는 정보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얻어진 치료효과에 대한 치매 치료정보가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제2 단계; DB로부터 치매환자정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미디어정보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치매 치료정보를 읽어와 치매환자에게 제공하는 제3 단계; 치매환자에게 치매 치료정보가 제공되는 동안 치매환자의 뇌파를 측정하는 제4 단계; 및 치매환자의 정보, 치매환자에 제공한 미디어 정보 및 치매환자에게 치매 치료정보가 제공되는 치매환자로부터 측정되는 뇌파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치매환자의 치료효과를 구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치매환자의 기억을 기반으로 하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치매환자 치료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 의하면, 상기 치매환자 개인정보는 치매환자의 사진, 치매환자의 가족사진을 포함하는 치매환자의 개인적인 미디어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치매환자의 뇌파는 치매환자 뇌의 각 부위에서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치매 치료정보 및 상기 뇌파는 유선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송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각종 미디어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각종 미디어 정보는 상기 DB에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치매환자 치료시 치매환자에 대응해서 치매 치료정보에 조합시 하나 이상의 미디어정보로 포함시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 미디어정보는, 년도, 혹은 시대별로 구분된음악, 영화, 드라마, 특정 지역의 자연 다큐영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치매환자가 정상적이었을 때 즐겼던 음악, 영화, 드라마, 거주했던 지역의 풍경 사진, 연애인이나 스포츠 선수 사진 및 경기장면 등과 같은 치매환자의 기억정보들을 분석하여 치매치료에 유익한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하나의 치매 치료정보로 조합하여 치매환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치매환자의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치매환자의 기억을 기반으로 하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치매환자 치료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치매환자 치료 장치에 의한 빅 데이터 분석을 통해 치매 치료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1의 치매 환자 치료장치에 의해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의 치매 치료 정보를 이용하여 치매환자를 치료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치매환자의 기억을 기반으로 하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치매환자 치료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치매환자의 기억을 기반으로 하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치매환자 치료 장치는, 고향, 학력, 성별, 나이, 출신학교, 출생년도를 포함하는 치매환자의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치매환자정보 입력부(110), 치매환자의 정보, 치매환자에게 제공할 미디어 정보 및 치매환자에게 미디어 제공시 치매환자로부터 측정되는 뇌파를 포함하는 정보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얻어진 치료효과에 대한 치매 치료정보가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어 있는 DB(120), HMD(Head Mounted Display)(131)를 구비하고, DB(120)로부터 치매환자정보 입력부(110)의 치매환자정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미디어정보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치매 치료정보를 읽어와 치매환자에게 제공하는 VR(Virtual Reality)(130), 치매환자에게 치매 치료정보가 제공되는 동안 치매환자의 뇌파를 측정하는 뇌파 측정부(140) 및 치매환자의 정보, 치매환자에 제공한 미디어 정보 및 치매환자에게 미디어 제공되는 치매환자로부터 측정되는 뇌파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치매환자의 치료효과를 구하는 빅데이터 분석부(150)로 구성된다.
위 실시예에서, 치매환자정보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치매환자의 개인정보는 치매환자가 정상일 때의 치매환자의 사진, 치매환자의 가족사진을 포함해서 치매환자의 즐거웠던 과거를 회상(기억)할 수 있는 치매환자의 각종 개인적인 미디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위 실시예에서, 뇌파 측정부(140)는 치매환자 뇌의 각 부위에서 뇌파를 측정하는 복수의 센서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치료환자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얻어진 치매 치료정보, 또는 임의로 조합합 치매 치료정보를 시청하는 중에 치매 환자의 반응, 즉 치료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위 실시예에서, 치매환자가 착용한 VR(2), 즉, DB(120)와 VR(130), 뇌파 측정부(140)와 빅 데이터 분석부(15)는 각각 블루투수 모듈과 같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무선 송수신모듈이 구비되거나 유선으로 접속됨으로써, VR(130)에 치매 치료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뿐더러 치매 환자를 반응, 즉 뇌파를 무선 또는 무선으로 측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시예는, 누구나 접할 수 있는 통상의 각종 미디어 정보를 입력하는 미디어정보 입력부(160)를 포함하고, 빅 데이터 분석부(150)는 미디어정보 입력부(160)를 통해 입력되는 각종 미디어 정보를 DB(120)에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되, 치매환자 치료시 치매환자에 대응해서 치매 치료정보에 조합시 하나 이상의 미디어정보로 포함시켜 치매환자에게 제공한 후 뇌파를 분석하여 치료효과를 분석하고, 이 과정에서의 치매환자정보, 미디어정보, 뇌파를 분석한 치료정보 등을 함께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함으로써, 다른 치매환자의 치료에 활용할 수 있다.
위 실시예에서, 미디어정보 입력부(160)를 통해 입력되는 미디어정보는 치매환자가 정상적일 때 보거나 들었을, 음악, 영화, 드라마, 특정 지역의 자연 다큐영상 등으로서, 계절별, 년도별 및 시대별로 구분해서 입력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치매환자의 치료 과정을 시각적/청각적으로 보여주는 표시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치매환자를 치료하는 의사나 보호자 등이 치매환자의 치료과정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치매환자 치료 장치에 의한 빅 데이터 분석을 통해 치매 치료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2에 의하면, 치매환자 혹은 치매환자의 가족 등으로부터 취득된 치매환자의 고향, 학력, 성별, 나이, 출신학교, 출생년도를 포함하는 개인정보가 치매환자정보 입력부(110)를 통해 빅 데이터 분석부(150)에 입력된다(S11).
이때 치매환자의 개인정보는 치매환자의 사진, 치매환자의 가족사진을 포함하는 치매환자의 개인적인 미디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치매환자의 개인정보가 입력되면, 빅 데이터 분석부(150)는 치매환자의 개인정보에 대응하는, 사전에 입력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는 치매환자에게 제공하여 치료효과를 본 사전에 미디어정보 입력부(160)를 통해 입력된 미디어 정보를 조합하여 치매환자 치료를 위한 치매 치료정보를 구성하게 된다(S12).
이때 미디어정보는 사전에 입력되어 DB(120)에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는 년도 혹은 시대별로 구분된 음악, 영화, 드라마, 특정 지역의 자연 다큐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미디어 정보는 위에서 설명한 것 이외에도 치매환자의 치료에 유용하다고 판단되는 동식물, 자연경관, 연예인, 스포츠맨, 기타 각종 공연 등과 같이 시청이 가능한 모든 사진이나 영상, 음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빅 데이터 분석부(150)에 의해 조합된 치매환자에 맞는 맞춤형 치매 치료정보는 VR(130)의 HMD(131)를 통해 치매환자에게 제공된다(S13).
이때 VR(130)이 다른 구성들과 치매 치료정보나 뇌파를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경우, 치매환자의 자유로운 움직임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이렇게 치매환자에게 맞춤형 미디어 정보를 제공하는 동안, 뇌파 측정부(140)는 치매환자 뇌의 각기 다른 부위에 부착된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뇌파를 수집하여 빅 데이터 분석부(150)에 전송한다(S14).
위와 같이 뇌파 측정부(140)를 통해 치매환자의 뇌파를 수신한 빅 데이터 분석부(150)는 현재 치료중인 치매환자의 개인정보, 해당 치매환자에게 제공한 치매 치료 정보 및 치매환자에게 치매 치료정보를 제공되는 동안 치매환자로부터 측정되는 뇌파의 빅데이터 분석하여 치매환자의 치료효과를 구한다(S15).
그리고, 빅 데이터 분석부(150)는 현재 치료중인 치매환자의 개인정보, 해당 치매환자에게 제공한 미디어 정보 및 치매환자에게 미디어 제공되는 동안 치매환자로부터 측정되는 뇌파의 빅데이터 분석하여 치매환자의 치료효과 등을 DB(120)에 저장S16)함으로써, 다음 치매환자의 치료를 위한 빅데이터가 구축된다. 이때 치매치료를 담당하는 의사나 보호자는 표시부(170)를 통해 치매환자의 치료과정, 즉 치료효과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위에서 미디어 정보가 사전에 저장된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치매환자를 치료하는 과정에서 실시간으로 미디어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치매환자를 미디어 정보의 조합을 바꿔 가면서 치료한 치료효과를 모두 데이터베이스화할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특정 치매환자에 적합한 최적의 미디어 정보 조합만을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치매 환자 치료장치에 의해 구축된 데이터베이스의 치매 치료 정보를 이용하여 치매환자를 치료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 3에 의하면, 치매환자에게 미디어 정보를 제공하기에 앞서, 치매환자 혹은 치매환자의 가족 등으로부터 취득된 치매환자의 고향, 학력, 성별, 나이, 출신학교, 출생년도와 함께 치매환자 개인이나 가족 사진 등을 포함하는 개인정보가 치매환자정보 입력부(110)를 통해 빅 데이터 분석부(150)에 입력된다(S21).
이렇게 치매환자의 개인 또는 가족사진을 포함하는 개인정보가 입력되면, 빅 데이터 분석부(150)는 사전에 입력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는 치매환자에게 제공하여 치료효과를 본 사전에 미디어정보 입력부(160)를 통해 입력된 하나 이상의 미디어 정보를 조합하여 치매환자 치료를 위한 치매환자 맞춤형 치매 치료정보를 구성하게 된다(S22).
이때 미디어정보는 사전에 입력되어 DB(120)에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있는 년도 혹은 시대별로 구분된 음악, 영화, 드라마, 특정 지역의 자연 다큐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미디어 정보는 위에서 설명한 것 이외에도 치매환자의 치료에 유용하다고 판단되는 동식물, 자연경관, 연예인, 스포츠맨과 해당 경기, 기타 각종 공연 등과 같이 시청이 가능한 모든 사진이나 영상, 음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빅 데이터 분석부(150)에 의해 조합된 치매환자에 맞도록 최적화된 하나 이상의 미디어 정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맞춤형 치매 치료정보는 치매환자가 착용하고 있는 VR(130)의 HMD(131)를 통해 치매환자에게 제공된다(S23).
이때 VR(130)이 치매치료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이나 뇌파를 수집하는 구성과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경우, 행동을 자재하기 어려운 치매환자의 자유로운 움직임에도 원활한 치매 치료를 계속할 수 있다.
이렇게 치매환자에게 하나 이상의 미디어 정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맞춤형 치매 치료정보를 제공하는 동안, 뇌파 측정부(140)는 치매환자 뇌의 각기 다른 부위에 부착된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뇌파를 수집하여 빅 데이터 분석부(150)에 유선 또는 무선 전송한다(S24).
위와 같이 뇌파 측정부(140)를 통해 치매환자의 뇌파를 수신한 빅 데이터 분석부(150)는 현재 치료중인 치매환자의 개인정보, 해당 치매환자에게 제공한 하나 이상의 미디어 정보를 포함하는 치매 치료정보 및 치매환자에게 치매 치료정보를 제공되는 동안 치매환자로부터 측정되는 뇌파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치매환자의 치료효과를 진단(S25)하게 된다.
그리고, 빅 데이터 분석부(150)는 치매환자의 치료효과 등을 표시부(170)를 통해 표시함과 동시에 현재 치료중인 치매환자의 개인정보, 해당 치매환자에게 제공한 하나이상의 미디어 정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치매 치료정보 및 치매환자에게 치매 치료정보를 제공되는 동안 치매환자로부터 측정되는 뇌파의 빅데이터 분석하여 얻은 치매환자의 치료효과 등을 DB(120)에 저장(S26)하게 된다.
위에서 미디어 정보가 사전에 저장된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치매환자를 치료하는 과정에서 실시간으로 미디어 정보를 입력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치매 치료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과정과 해당 치매 치료정보를 기반으로 치매환자를 치료하는 과정은 치매 치료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초기 과정을 제외하면, 그의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 치매환자정보 입력부 120 : DB
130 : VR 131 : HMD
140 : 뇌파 측정부 150 : 빅 데이터 분석부
160 : 미디어정보 입력부 170 : 표시부

Claims (12)

  1. 고향, 학력, 성별, 나이, 출신학교, 출생년도를 포함하는 치매환자의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치매환자정보 입력부(110); 치매환자의 정보, 치매환자에게 제공할 미디어 정보 및 치매환자에게 미디어 제공시 치매환자로부터 측정되는 뇌파를 포함하는 정보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얻어진 치료효과에 대한 치매 치료정보가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어 있는 DB(120); HMD(Head Mounted Display)(131)를 구비하고, DB(120)로부터 치매환자정보 입력부(110)의 치매환자정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미디어정보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치매 치료정보를 읽어와 치매환자에게 제공하며,치매 치료정보를 제공하는 구성이나 뇌파를 수집하는 구성과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경우, 행동을 자재하기 어려운 치매환자의 자유로운 움직임에도 원활한 치매 치료를 계속하도록 하는 VR(Virtual Reality)(130);
    치매환자에게 치매 치료정보가 제공되는 동안 치매환자의 뇌파를 측정하며, 치매환자에게 하나 이상의 미디어 정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맞춤형 치매 치료정보를 제공하는 동안, 치매환자 뇌의 각기 다른 부위에 부착된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뇌파를 수집하여 빅 데이터 분석부(150)에 유선 또는 무선 전송하는 뇌파 측정부(140); 및 치매환자의 정보, 치매환자에 제공한 미디어 정보 및 치매환자에게 미디어 제공되는 치매환자로부터 측정되는 뇌파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치매환자의 치료효과를 구하기 위해,
    뇌파 측정부(140)를 통해 치매환자의 뇌파를 수신한 뒤, 현재 치료중인 치매환자의 개인정보, 해당 치매환자에게 제공한 하나 이상의 미디어 정보를 포함하는 치매 치료정보 및 치매환자에게 치매 치료정보를 제공되는 동안 치매환자로부터 측정되는 뇌파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치매환자의 치료효과를 진단하고,
    치매환자의 치료효과를 포함하여 표시부(170)를 통해 표시함과 동시에 현재 치료중인 치매환자의 개인정보, 해당 치매환자에게 제공한 하나이상의 미디어 정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치매 치료정보 및 치매환자에게 치매 치료정보를 제공되는 동안 치매환자로부터 측정되는 뇌파의 빅데이터 분석하여 얻은 치매환자의 치료효과를 DB(120)에 저장하는 빅데이터 분석부(150); 로 구성되는 치매환자의 기억을 기반으로 하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치매환자 치료 장치에 있어서,
    치매환자정보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치매환자의 개인정보는 치매환자가 정상일 때의 치매환자의 사진, 치매환자의 가족사진을 포함해서 치매환자의 즐거웠던 과거를 회상(기억)하는 치매환자의 각종 개인적인 미디어정보를 포함하며,
    뇌파 측정부(140)는,
    치매환자 뇌의 각 부위에서 뇌파를 측정하는 복수의 센서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치료환자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얻어진 치매 치료정보, 또는 임의로 조합합 치매 치료정보를 시청하는 중에 치매 환자의 반응, 즉 치료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DB(120)와 VR(130), 뇌파 측정부(140)와 빅 데이터 분석부(150)는 각각 블루투수 모듈과 같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무선 송수신모듈이 구비되거나 유선으로 접속됨으로써, VR(130)에 치매 치료정보를 제공할 뿐더러 치매 환자를 반응, 즉 뇌파를 무선 또는 무선으로 측정하며,
    누구나 접할 수 있는 통상의 각종 미디어 정보를 입력하는 미디어정보 입력부(160)를 포함하고, 빅 데이터 분석부(150)는 미디어정보 입력부(160)를 통해 입력되는 각종 미디어 정보를 DB(120)에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되, 치매환자 치료시 치매환자에 대응해서 치매 치료정보에 조합시 하나 이상의 미디어정보로 포함시켜 치매환자에게 제공한 후 뇌파를 분석하여 치료효과를 분석하고, 분석 과정에서의 치매환자정보, 미디어정보, 뇌파를 분석한 치료정보를 함께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함으로써, 다른 치매환자의 치료에 활용하며,
    미디어정보 입력부(160)를 통해 입력되는 미디어정보는 치매환자가 정상적인 경우 보거나 들은 음악, 영화, 드라마, 특정 지역의 자연 다큐영상을 포함함으로써, 계절별, 년도별 및 시대별로 구분해서 입력되며,
    치매환자의 치료 과정을 시각적/청각적으로 보여주는 표시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치매환자를 치료하는 의사나 보호자가 치매환자의 치료과정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환자의 기억을 기반으로 하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치매환자 치료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90132772A 2019-10-24 2019-10-24 치매환자의 기억을 기반으로 하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치매환자 치료 장치 및 방법 KR102358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772A KR102358741B1 (ko) 2019-10-24 2019-10-24 치매환자의 기억을 기반으로 하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치매환자 치료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772A KR102358741B1 (ko) 2019-10-24 2019-10-24 치매환자의 기억을 기반으로 하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치매환자 치료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740A KR20210048740A (ko) 2021-05-04
KR102358741B1 true KR102358741B1 (ko) 2022-02-07

Family

ID=75914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2772A KR102358741B1 (ko) 2019-10-24 2019-10-24 치매환자의 기억을 기반으로 하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치매환자 치료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87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3818A (ko) 2022-02-17 2023-08-24 용인예술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치매 예방을 위한 회상치료용 vr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8087A (ja) * 2000-12-18 2002-09-03 Nou Kinou Kenkyusho:Kk 脳活動自動判定方法及び装置
JP2017162442A (ja) * 2016-03-08 2017-09-14 長輝 山本 脳機能改善のための五感機能計測および訓練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033517B1 (ko) * 2019-05-17 2019-10-18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뇌파측정과 vr 컨텐츠를 기초로 한 시니어 훈련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8032A (ko) * 2013-12-30 2015-07-08 (주)가바플러스 치매 예방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882300B1 (ko) 2017-02-08 2018-07-25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빅데이터 기반 인공지능 방사선 치료계획 수립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8087A (ja) * 2000-12-18 2002-09-03 Nou Kinou Kenkyusho:Kk 脳活動自動判定方法及び装置
JP2017162442A (ja) * 2016-03-08 2017-09-14 長輝 山本 脳機能改善のための五感機能計測および訓練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033517B1 (ko) * 2019-05-17 2019-10-18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뇌파측정과 vr 컨텐츠를 기초로 한 시니어 훈련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3818A (ko) 2022-02-17 2023-08-24 용인예술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치매 예방을 위한 회상치료용 vr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740A (ko) 202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owd et al. Motivational components of client reactance
CN104138249A (zh) 活体活动检测方法、活体活动控制方法和涉及活体活动的信息的传送方法
KR102358741B1 (ko) 치매환자의 기억을 기반으로 하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치매환자 치료 장치 및 방법
O’Day et al. The turning and barrier course reveals gait parameters for detecting freezing of gait and measuring the efficacy of deep brain stimulation
Piper et al. The use and validation of the spatial navigation Memory Island test in primary school children
Song et al. Abnormal functional connectivity and effective connectivity between the default mode network and attention networks in patients with alcohol-use disorder
Rauchman et al. Mild-to-moderate traumatic brain injury: a review with focus on the visual system
Trojano et al. Relationships between constructional and visuospatial abilities in normal subjects and in focal brain-damaged patients
Pero et al. Rehabilitation of attention in two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by means of ‘attention process training’
Benveniste The brain’s waste-removal system
Lahuerta-Martín et al. Effectiveness of therapies based on mirror neuron system to treat gait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A systematic review
Pine et al.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pediatric anxiety
Coll-Martín et al. The ANTI-Vea-UGR platform: A free online resource to measure attentional networks (alertness, orienting, and executive control) functioning and executive/arousal vigilance
KR102401609B1 (ko) 인지강화훈련 게임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120094263A1 (en) Video games for training sensory and perceptual skills
Suenaga et al. The effects of an artificial garden on heart rate variability among healthy young Japanese adults
Wang et al. Representation of cardinal contour overlaps less with representation of nearby angles in cat visual cortex
CN102138144A (zh) 用于确定药物功效的方法和系统
KR102336900B1 (ko) 인공지능을 이용한 인지훈련 커리큘럼 구성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Stenbäck et al. Step detection accuracy and energy expenditure estimation at different speeds by three accelerometers in a controlled environment in overweight/obese subjects
Di Nota et al. Expert event segmentation of dance is genre-specific and primes verbal memory
KR102252076B1 (ko) 퍼즐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Villafaina et al. Heart rate variability in elite international ITF junior Davis cup tennis players
Belcher et al. Neurolaw
Nutt e-Inter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