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8609B1 - 비침습적 자궁경부 견인장치 - Google Patents

비침습적 자궁경부 견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8609B1
KR102358609B1 KR1020210115816A KR20210115816A KR102358609B1 KR 102358609 B1 KR102358609 B1 KR 102358609B1 KR 1020210115816 A KR1020210115816 A KR 1020210115816A KR 20210115816 A KR20210115816 A KR 20210115816A KR 102358609 B1 KR102358609 B1 KR 102358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sorption
traction device
unit
cervical traction
cervi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5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훈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to KR1020210115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86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8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42Gynaecological or obstetrical instruments or methods
    • A61B17/4241Instruments for manoeuvring or retracting the uterus, e.g. during laparoscop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53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pneumatically or hydraulically operated
    • A61B2017/0056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pneumatically or hydraulically operated creating a vacu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42Gynaecological or obstetrical instruments or methods
    • A61B2017/4216Operations on uterus, e.g. endometrium
    • A61B2017/4225Cervix uteri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시 인체 외부에 배치되며,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파지부, 파지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사용시 적어도 일부가 질관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삽입부 및 삽입부의 단부에 구비되며, 음압으로 자궁경부를 흡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빨판을 포함하는 흡착부를 포함하는 비침습적 자궁경부 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침습적 자궁경부 견인장치는 자궁경부의 손상을 방지하며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궁경부에 대한 흡착 부위를 조절하여 자궁경부 전면에 대한 관찰과 시술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비침습적 자궁경부 견인장치{Non-invasive uterine cervical traction device}
본 발명은 비침습적 자궁경부 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질관 내로 삽입하여 자궁경부의 일측을 흡착하고 견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질관을 통해 자궁으로 진입하여 시술 혹은 수술을 수행하는 경우 질관 및 자궁의 3차원적인 구조에 의해 자궁 내로의 진입이 어렵다. 따라서 자궁에 대한 시술을 수행할 때 자궁경부를 시술자 방향으로 견인하여 자궁의 방향을 조절하고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단계가 수행된다.
자궁경부를 견인하기 위한 도구로서 Tenaculum 이 개발되었으며, Tenaculum은 자궁내막생검, 자궁내피임기구 삽입 등 산부인과 시술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Tenaculum은 집게 형상으로 구성되며, 단부에 뾰족한 후크가 구비되어 자궁경부를 뚫고 들어가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Tenaculum과 관련하여 미국특허 US5,059,198 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Tenaculum은 침습적으로 자궁경부에 고정되므로 자궁경부의 손상으로 인한 출혈 및 통증이 발생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US5,059,198
본 발명은 종래의 자궁경부 견인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비침습적으로 자궁경부를 견인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사용시 인체 외부에 배치되며,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파지부, 파지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사용시 적어도 일부가 질관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삽입부 및 삽입부의 단부에 구비되며, 음압으로 자궁경부를 흡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빨판을 포함하는 흡착부를 포함하는 비침습적 자궁경부 견인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흡착부는 밀착되는 자궁경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변화할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빨판은, 흡착부가 질관 내에 삽입되었을 때 흡착부 중 자궁경부를 향하는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흡착부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빨판은 흡착부 각각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빨판 각각은,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이 개방된 흡착 돔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흡착 돔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압력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흡착 돔은, 흡착부가 자궁경부에 밀착될 때 적어도 일부가 변형되어 내부 공간의 체적이 감소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흡착 돔의 내면 중 일측에 연결되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돌기는 측면이 흡착 돔의 내면과 밀착되면서 흡착 돔 내측의 공간중 일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돌기는 구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돌기는, 내측에 작동 유체 수용공간이 정의되며, 작동 유체가 작동 유체 수용공간에 유입됨에 따라 팽창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적어도 일부가 삽입부 내에 배치되며, 일측이 빨판과 유체소통되도록 구성되는 작동 유체 채널을 더 포함하며, 파지부는 일측이 작동 유체 채널과 유체소통되도록 구성되는 흡인 작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흡인 작동부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작동 유체 수용공간에 유입되는 작동 유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파지부에 구비되며, 흡착부의 만곡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만곡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일측이 흡착부의 내측에 고정되며, 타측이 만곡 조절부와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며, 만곡 조절부를 조작하여 와이어를 잡아당기는 경우 흡착부의 만곡량이 증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침습적 자궁경부 견인장치는 자궁경부의 손상을 방지하며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궁경부에 대한 흡착 부위를 조절하여 자궁경부 전면에 대한 관찰과 시술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인 비침습적 자궁경부 견인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를 따라 절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흡착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확대사시도이다.
도 5는 빨판을 절개하여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6은 빨판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서 흡착부의 만곡량이 조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제1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인 비침습적 자궁경부 견인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2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4는 제2 실시예의 빨판과 흡착부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8은 제2 실시예의 빨판의 동작을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19는 빨판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침습적 자궁경부 견인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각각의 구성요소의 명칭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기능적 유사성 및 동일성이 있다면 변형된 실시예를 채용하더라도 균등한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요소에 부가된 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들 부호가 기재된 도면상의 도시 내용이 각각의 구성요소를 도면내의 범위로 한정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도면상의 구성을 일부 변형한 실시예가 채용되더라도 기능적 유사성 및 동일성이 있다면 균등한 구성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의 일반적인 기술자 수준에 비추어 보아, 당연히 포함되어야 할 구성요소로 인정되는 경우, 이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인 비침습적 자궁경부 견인장치(1)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인 비침습적 자궁경부 견인장치(1)의 사시도이며, 도 2는 제1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I-I'를 따라 절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인 비침습적 자궁경부 견인장치(1)는 일측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타측에 구비된 흡착부(300)가 조직을 흡착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조직이 견인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파지부(100)를 파지하고 흡착부(300)를 먼저 질관(V) 내측으로 진입시키며, 이후 흡착부(300)를 자궁경부(C)에 밀착시킨 후 견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자궁경부(C)에 밀착되는 흡착부(300)의 형상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흡착부는 자궁경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변화될 수 있도록 일측이 유연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제1 실시예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인 비침습적 자궁경부 견인장치(1)는 파지부(100), 삽입부(200) 및 흡착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파지부(100)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소정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파지부(100)에는 일측에 흡착부(300)의 만곡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만곡 조절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만곡 조절부(500)는 일측이 파지부(10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손가락 등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만곡 조절부(500)의 타측은 파지부(100) 내측에서 후술할 와이어(510)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와이어(510)를 잡아당길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만곡 조절부(500)는 최종적으로 와이어(510)를 잡아당기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본 실시예에서 만곡 조절부(500)는 레버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레버는 일측에 지지핀이 구비되어 파지부(100) 내에서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파지부의 일측에 노출된 레버의 위치를 조절하여 와이어(510)를 잡아당기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이러한 만곡 조절부(500)의 구성은 일 예일 뿐 와이어(510)를 잡아당길 수 있는 다양한 구성으로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만곡 조절부(500)는 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홀더는 사용자가 흡착부(300)의 만곡량을 조절한 뒤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홀더는 만곡 조절부(500)의 위치를 고정하는 락킹 메커니즘을 갖는 다양한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다.
삽입부(200)는 질관(V)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외경을 가지며, 소정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200)의 일측은 전술한 파지부(100)와 연결되며, 타측에는 흡착부(300)가 구비될 수 있다. 삽입부(200)는 흡착부(300)가 자궁경부(C)에 밀착되었을 때 파지부는 인체 외부에 배치될 수 있도록 연장된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 삽입부(200)의 내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공간이 마련되며, 후술할 와이어(5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흡착부(300)는 일측이 자궁경부(C)에 밀착되어 조직을 흡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흡착부(300)는 일측이 삽입부(200)의 단부와 연결되며, 타측에는 삽입부(200)가 질관(V) 내에 삽입되었을 때 자궁경부(C)를 향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빨판(400)이 구비될 수 있다.
흡착부(300)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서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흡착부(300)는 자궁경부(C)를 감쌀 수 있도록 곡선 경로를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서로 좌우 대칭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흡착부(300)는 삽입부(200)의 연장방향과 각도를 두어 기울어진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해부학적으로 자궁경부(C)가 노출된 방향은 질관(V)의 방향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삽입부(200)가 질관(V)을 따라 삽입되었을 때 자궁경부(C)의 둘레를 따라 흡착부(300)가 밀착될 수 있도록 적절한 각도를 두어 배치된다. 이때 의료진의 시야를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삽입부(200)가 질관(V)의 일측에 밀착된 상태에서 흡착부(300)가 자궁경부(C)의 둘레를 감쌀 수 있는 각도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자궁경부(C)를 견인하여 잡아당길 때 큰 힘이 필요하므로 구조적인 안정성을 이해 흡착부(300)는 삽입부(200)의 연장 방향과 90도 이내의 각도를 두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착부(300) 각각에는 와이어 채널(310)이 구비될 수 있다. 와이어 채널(310)에는 전술한 와이어(510)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와이어 채널(310)은 삽입부(200)의 연결지점으로부터 흡착부(300)의 단부에 인접한 지점까지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 채널(310) 중 흡착부(300)의 단부에 인접한 지점에는 와이어(510)의 리미터(520)가 고정될 수 있다. 리미터(520)를 제외한 와이어(510)는 와이어 채널(310) 내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만곡 조절부(500)를 조작하여 와이어(510)를 잡아당기는 경우 흡착부(300)는 곡률이 변화되면서 구부러질 수 있다. 따라서 개인차에 의한 자궁경부(C)의 크기가 다르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흡착부(300)의 만곡량을 조절하여 흡착할 수 있게 된다.
흡착부(300) 각각에는 복수의 빨판(400)이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흡착부(300)는 사용시 자궁경부(C)의 3차원적인 형상에 대응하여 일면이 경사진 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빨판(400)은 흡착부(300)의 경사진 면에 하나의 열 또는 복수의 열로 배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빨판(400)이 흡착부(400)에 2열로 배열된 구성을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각각의 빨판(400)은 외력에 따라 변형가능하게 구성되며, 흡착 돔(410) 내에 음압이 수동적으로 발생되어 흡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빨판(400)의 구성, 기능 및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도 2의 흡착부(300)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확대사시도이며, 도 5는 빨판(400)을 절개하여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각각의 빨판(400)은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며, 빨판(400)이 구비된 흡착부(300)의 외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빨판(400)은 상기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여 개구가 형성된 흡착 돔(410)을 포함할 수 있다. 흡착 돔(410) 중 자궁경부(C)와 밀착되는 단부는 원형 경로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흡착 돔(410)의 옆면은 도 5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압축력이 발생하는 경우 재질에 따라 푸아송 비(Poisson's ratio)에 의해 두께가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 두께의 증가는 내측의 공간의 감소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빨판(400)의 수직방향의 힘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흡착 돔(410) 내부의 압력에 의해 흡착력이 발생될 수 있다.
도 6은 빨판(400)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자궁경부(C)의 외면에는 액체(체액 또는 도포되는 액체)가 존재하며, 흡착 돔(410)의 단부는 액체를 사이에 두고 자궁경부(C)와 밀착된다.
도 6(b)를 참조하면, 흡착부(300)가 자궁경부(C)측으로 일정거리 밀착되는 경우 흡착 돔(410)이 도 6 상에서 자궁경부(C)를 향하는 방향으로 압축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흡착 돔(410)을 구성하는 재질의 푸아송 비에 따라 줄어드는 흡착 돔(410)의 높이에 대응하여 흡착 돔(410)의 측벽의 두께가 증가된다. 이때 흡착 돔(410)의 내부 공간이 줄어들게 되며 흡착 돔(410) 내부의 공기와 액체의 일부가 흡착 돔(410) 외부로 유출된다. 또한 흡착 돔(410)의 단부와 자궁경부(C)는 더욱 밀착되어 흡착 돔(410)과 자궁경부(C) 사이의 간격에서 유체의 유동이 사실상 정지될 수 있다.
이후 도 6(c)를 참조하면, 흡착부(300)에 의한 압축력이 제거되거나, 반대 방향으로 힘이 적용하는 경우 흡착 돔(410)의 측벽은 얇아지면서 내부 공간이 팽창한다. 흡착 돔(410) 내부의 내부 공간이 증가됨에 따라 이에 반비례하여 압력은 낮아지게 되고 결국 음압이 발생할 수 있다(여기서 '음압'이란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을 뜻함). 이때 흡착 돔(410)의 단부와 자궁경부(C) 사이에 액체의 유동이 사실상 정지되어 흡착 돔(410) 내부의 음압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흡착부(300)의 만곡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서 흡착부(300)의 만곡량이 조절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흡착부(300)와 만곡 조절부(500)의 대기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흡착부(300)의 탄성에 의해 일정한 곡률을 유지하며 대기하게 된다.
도 7(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만곡 조절부(500)를 조작하여 와이어(510)를 잡아당기게 되는 경우, 일 예로서 만곡 조절부(500)를 하나의 손가락으로 끌어당기게 되면, 만곡 조절부(500)의 일측에 연결된 와이어(510)를 잡아당기게 되고, 와이어(510)는 한 쌍의 만곡부를 동시에 구부리게 된다. 최종적으로 한 쌍의 만곡부에 의해 구성되는 전체적인 외경이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자궁경부(C)의 크기에 대응하여 흡착부(300)의 외경을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적절한 위치에서 자궁경부(C)와 빨판(400)을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인 비침습적 자궁경부 견인장치(1)의 사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 내지 도 11은 제1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인체의 앞쪽에서 자궁 및 질관(V)을 바라보는 개념이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비침습적 자궁경부 견인장치(1)를 흡착부(300)부터 자궁(U)을 향하여 질관(V) 내로 삽입하게 된다. 이때 흡착부(300)는 대기 상태에서 최대크기로 펼쳐진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이후 도 9를 참조하면, 의료진은 시야를 확보하면서 흡착부(300)를 자궁경부(C)에 인접시킨다. 이때 흡착부(300)가 이루는 내경은 자궁경부(C)의 외면보다 큰 상태로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이후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만곡 조절부(500)를 조작하여 흡착부(300)를 구부리게 된다. 흡착부(300)가 구부러지면서 자궁경부(C)에 밀착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흡착부(300)가 자궁경부(C)와 정렬된다. 또한 흡착부(300)가 구부러짐에 따라 빨판(400)에 힘이 가해지게 되므로 빨판(400)은 전술한 도 6(a), 도 6(b)의 상태를 거쳐 도 6(c)의 상태로 전환된다. 따라서 자궁경부(C)와 밀착된 빨판(400) 각각에 음압이 발생되어 흡착부(300)가 자궁경부(C)의 외면을 흡착할 수 있게 된다.
이후 도 11을 참조하면, 의료진이 파지부(100)를 견인하는 경우 흡착부(300)에 흡착된 자궁경부(C)가 함께 소정길이 견인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2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인 비침습적 자궁경부 견인장치(1)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는 중복기재를 피하기 위하여 그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인 비침습적 자궁경부 견인장치(1)의 사시도이며, 도 13은 제2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인 비침습적 자궁경부 견인장치(1)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달리 능동적으로 빨판(400)의 흡인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는 흡인 작동부(600) 및 작동 유체 채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흡인 작동부(6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빨판(400)의 음압 발생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흡인 작동부(600)는 트리거(610), 피스톤(630), 실린더(620) 및 스프링(6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트리거(610)는 파지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트리거(610)를 조작함에 따라 파지부 내에서 피스톤(630)을 밀어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피스톤(630)은 실린더(62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삽입길이에 따라 피스톤(630) 내부에 수용된 작동 유체의 유출양이 결정될 수 있다. 스프링(640)은 피스톤(630)과 실린더(620) 사이에 구비되어 트리거(610)에 의한 힘이 전달되지 않을 때 피스톤(630)을 실린더(620)로부터 이격시키도록 복원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트리거(610)를 조작하는 경우 피스톤(630)이 전진하면서 작동 유체를 유출시키고, 사용자가 트리거(610)를 조작하는 힘을 제거한 경우 피스톤(630)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면서 작동 유체가 실린더(620) 내부로 회수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트리거(61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락킹(locking)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요소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트리거(610)를 조작한 위치에서 락킹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위치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작동 유체 채널은 일측이 실린더(620)와 유체소통되며, 타측은 각각의 빨판(400)에 구비된 돌기(420)와 유체소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작동 유체 채널은 일 예로서 삽입부 내에 구비된 작동 유체 튜브(710)와 흡착부 내의 분지 채널(720)로 구성될 수 있다. 작동 유체 튜브(710)는 한 쌍의 흡착부(300) 각각에 작동 유체가 공급될 수 있도록 일측에서 분지될 수 있다. 따라서 실린더(620)로부터 공급된 작동 유체는 각각의 빨판(400)으로 유동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성은 일 예일 뿐 작동 유체 채널은 실린더로부터 각각의 빨판에 작동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으로 변형될 수 있다.
도 14는 제2 실시예의 빨판(400)과 흡착부(300)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서 빨판(400)은 흡착 돔(410)과 돌기(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흡착 돔(410)은 3차원적인 구조로 구성되며 항아리 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흡착 돔(410)의 측벽은 곡선 경로를 따라 구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한 부분이 내측으로 오목하게 구성될 수 있다. 흡착 돔(410)의 측벽은 단부로부터 소정길이로 구성되는 밀착부(411)가 구비될 수 있다. 밀착부(411)는 외력에 따라 변형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흡착 돔(410)의 측벽 중 다른 부분보다 얇게 구성되어 보다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밀착부(411)는 흡착 돔(410)이 높이 방향으로 가압되는 경우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자궁경부(C)와의 밀착면에서 보다 기밀하게 내부 공간의 밀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돌기(420)는 흡착 돔(410)의 천장, 즉 흡착 돔(410)의 내면 중 흡착부(300)에 최인접한 지점에 구비될 수 있다. 돌기(420)는 적어도 일부가 구형으로 구성되며, 상측에는 전술한 작동 유체 채널과 유체소통하도록 개구가 구비될 수 있다. 돌기(420)는 내측에 작동 유체 수용공간(421)이 구비될 수 있으며, 유체가 수용되는 경우 팽창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돌기(420)가 팽창하는 경우 돌기(420)의 외면 중 일부가 흡착 돔(410) 중 내측으로 오목한 측벽에 밀착되므로 흡착 돔(410) 내부의 공간중 일부가 분할되어 폐쇄될 수 있다. 한편 돌기(420)의 작동 유체 수용공간(421)으로부터 작동 유체가 유출되는 경우 돌기(420)는 자체 탄성에 의해 원래의 크기로 수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작동 유체의 고급에 따른 빨판(4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5 내지 도 18은 제2 실시예의 빨판(400)의 동작을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먼저 흡착부(300)가 자궁경부(C)에 밀착되면서 흡착 돔(410)의 밀착부(411)가 자궁경부(C)의 외면에 밀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자궁경부(C)의 외면에는 체액 또는 도포된 액체가 존재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하게 흡착부(300)를 자궁경부(C)에 밀착시키면, 빨판(400)에는 높이 방향의 힘이 작용하여 밀착부(411)가 변형되면서 자궁경부(C)의 외면과 밀착된다. 이때 흡착 돔 내의 압력이 높아지면서 수용되어 있던 액체 또는 기체의 일부가 밀착부(411)와 자궁경부(C) 사이의 공간으로 유출된다.
이후 도 1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흡인 작동부(600)를 조작하여 작동 유체를 돌기(420) 내의 작동 유체 수용공간(421)으로 유입시킨다. 사용자가 트리거(610)를 조작하면 작동유체가 돌기(420) 내로 유입되면서 돌기(420)가 팽창하게 된다. 이때 팽창된 돌기(420)의 외면은 흡착 홈의 내면 중 오목한 면과 밀착되면서 흡착 홈 내부의 공간 중 일부가 구분되어 밀폐된다.
이후 도 18을 참조하면, 돌기(420)가 팽창된 상태에서 흡착 돔(410)의 높이 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이 제거되면 밀착부(411)의 복원에 의해 내부 공간이 증가되면서 음압이 발생되어 흡착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후 전술한 도 11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파지부(100)를 이용하여 자궁경부(C)를 견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경우 복수의 빨판(400)에 적용된 음압을 손쉽게 해제할 수 있으므로, 비침습적 자궁경부 견인장치(1)를 제거할 때에 조직의 손상 및 환자의 고통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9는 빨판(400)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a) 및 도 19(b)를 참조하면, 빨판(400)은 흡착 돔(410) 및 돌기(420)를 포함할 수 있다. 빨판(400)은 수동형으로서 돌기(420)와 흡착 돔(410) 내면이 접촉되어 내부 공간을 밀폐할 수 있는 구성으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도 19(c)와 같이 돌기(420) 내부에 작동 유체가 유입되어 능동적으로 흡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되 흡착 돔(410) 및 밀착부(411)의 형태가 변형되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빨판(400)에 의해 작용하는 흡인력을 조절할 수 있는 압력 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작동 유체 채널의 일측은 흡착 돔(410) 내부와 유체소통될 수 있다. 또한 피스톤(630)의 작동방향은 전술한 제2 실시예의 흡인 작동부(600)의 작동방향과 반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의 트리거(610) 조작에 의해 피스톤(630)을 후퇴시키고, 각각의 흡착 돔(410) 내부의 공기를 빨아들어 음압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침습적 자궁경부 견인장치는 자궁경부의 손상을 방지하며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궁경부의 크기에 대한 대응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자궁경부에 대한 흡착 부위를 조절하여 자궁경부 전면에 대한 관찰과 시술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1: 비침습적 자궁경부 견인장치
V: 질관
U: 자궁
C: 자궁경부
100: 파지부
200: 삽입부
300: 흡착부
400: 빨판
410: 흡착 돔 411: 밀착부
420: 돌기 421: 작동 유체 수용공간
500: 만곡 조절부
510: 와이어 520: 리미터
600: 흡인 작동부
610: 트리거 620: 실린더
630: 피스톤 640: 스프링
710: 작동 유체 튜브 720: 분지 채널

Claims (15)

  1. 사용시 인체 외부에 배치되며,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파지부;
    상기 파지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사용시 적어도 일부가 질관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단부에 구비되며, 음압으로 자궁경부를 흡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빨판을 포함하는 흡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빨판 각각은, 내측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이 개방된 흡착 돔 및 상기 흡착 돔의 내면 중 일측에 연결되는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파지부에 구비되며 상기 흡착부의 만곡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만곡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비침습적 자궁경부 견인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는 밀착되는 자궁경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변화할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는 비침습적 자궁경부 견인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빨판은,
    상기 흡착부가 질관 내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흡착부 중 자궁경부를 향하는 일측에 구비되는 비침습적 자궁경부 견인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빨판은 상기 흡착부 각각에 구비되는 비침습적 자궁경부 견인장치.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돔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압력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비침습적 자궁경부 견인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돔은,
    상기 흡착부가 상기 자궁경부에 밀착될 때 적어도 일부가 변형되어 상기 내측 공간의 체적이 감소하도록 구성되는 비침습적 자궁경부 견인장치.
  8. 삭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측면이 상기 흡착 돔의 내면과 밀착되면서 상기 흡착 돔 내측의 공간중 일부를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비침습적 자궁경부 견인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구형으로 구성되는 비침습적 자궁경부 견인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내측에 작동 유체 수용공간이 정의되며,
    상기 작동 유체가 상기 작동 유체 수용공간에 유입됨에 따라 팽창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비침습적 자궁경부 견인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삽입부 내에 배치되며, 일측이 상기 빨판과 유체소통되도록 구성되는 작동 유체 채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파지부는 일측이 상기 작동 유체 채널과 유체소통되도록 구성되는 흡인 작동부를 더 포함하는 비침습적 자궁경부 견인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 작동부는,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작동 유체 수용공간에 유입되는 상기 작동 유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비침습적 자궁경부 견인장치.
  14. 제6 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흡착부의 내측에 고정되며, 타측이 상기 만곡 조절부와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며,
    상기 만곡 조절부를 조작하여 상기 와이어를 잡아당기는 경우 상기 흡착부의 만곡량이 증가되도록 구성되는 비침습적 자궁경부 견인장치.
  15. 삭제
KR1020210115816A 2021-08-31 2021-08-31 비침습적 자궁경부 견인장치 KR102358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816A KR102358609B1 (ko) 2021-08-31 2021-08-31 비침습적 자궁경부 견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5816A KR102358609B1 (ko) 2021-08-31 2021-08-31 비침습적 자궁경부 견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8609B1 true KR102358609B1 (ko) 2022-02-08

Family

ID=80251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5816A KR102358609B1 (ko) 2021-08-31 2021-08-31 비침습적 자궁경부 견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860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9198A (en) 1986-04-21 1991-10-22 Gimpelson Richard J Gynecological tenaculum
US20120283595A1 (en) * 2011-05-02 2012-11-08 Bc Ops, Llc Cervical tenaculum and methods of use
US20170325843A1 (en) * 2014-12-08 2017-11-16 Aspivix Sa Gynaecological module and apparatus
CN107635489A (zh) * 2015-05-14 2018-01-26 本森医疗公司 无创宫颈钳
KR20210048392A (ko) * 2019-10-23 2021-05-0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능동형 3차원 점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소프트 그리퍼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9198A (en) 1986-04-21 1991-10-22 Gimpelson Richard J Gynecological tenaculum
US20120283595A1 (en) * 2011-05-02 2012-11-08 Bc Ops, Llc Cervical tenaculum and methods of use
US20170325843A1 (en) * 2014-12-08 2017-11-16 Aspivix Sa Gynaecological module and apparatus
CN107635489A (zh) * 2015-05-14 2018-01-26 本森医疗公司 无创宫颈钳
KR20210048392A (ko) * 2019-10-23 2021-05-0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능동형 3차원 점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소프트 그리퍼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79748B1 (en) Hand-held fetal vacuum extractor having an integrated pump and handle
US5224947A (en) Soft, readily expandable vacuum bell assembly
JP2005507268A5 (ko)
US5562680A (en) Apparatus for assisting the performance of pelvic endoscopic procedures
US5368598A (en) Method of manipulating an uterus using a bendable manipulator
US5059198A (en) Gynecological tenaculum
EP1152700B1 (en) Maneuverable fetal vacuum extractor for use with malpresenting fetus
US20050085827A1 (en) Uterine manipulating device
US6332466B1 (en) Ovarian capsules and methods of surgical contraception by ovarian encapsulation
JP5990524B2 (ja) 器具または薬剤を体腔に挿入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JP4836949B2 (ja) 産科用吸引娩出器
JP2002543869A (ja) 外科用鉗子
US20120283595A1 (en) Cervical tenaculum and methods of use
US20070135819A1 (en) Transvaginal tube
KR102358609B1 (ko) 비침습적 자궁경부 견인장치
US5851177A (en) Otoscope and rhinoscope device
TW202012008A (zh) 真空式持鈎
CN211355799U (zh) 一种破胎膜工具
KR20230152402A (ko) 비침습적 조직 흡착 기구 및 이를 포함하는 비침습적 자궁경부 견인장치
CN208693399U (zh) 一种便携式一次性宫腔组织吸引管
CN109602535A (zh) 一种宫内膜片放置装置及其放置方法
US20240008899A1 (en) Handheld gynecological device
CN212415841U (zh) 胎盘夹取钳
CN214907893U (zh) 助产用负压固定器
CN213552227U (zh) 一种临床诊疗用人工破膜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