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8441B1 - 손목 착용형 맥파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손목 착용형 맥파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8441B1
KR102358441B1 KR1020210093239A KR20210093239A KR102358441B1 KR 102358441 B1 KR102358441 B1 KR 102358441B1 KR 1020210093239 A KR1020210093239 A KR 1020210093239A KR 20210093239 A KR20210093239 A KR 20210093239A KR 102358441 B1 KR102358441 B1 KR 102358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st
pulse wave
sensor
skin
fix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3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희정
권영상
Original Assignee
대요메디(주)
강희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요메디(주), 강희정 filed Critical 대요메디(주)
Priority to KR1020210093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84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8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108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from analysis of pulse wave characteris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4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y applying mechanical forces or stimuli
    • A61B5/005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y applying mechanical forces or stimuli by applying pressure, e.g. compression, indentation, palpation, grasping, gau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007Evaluating blood vessel condition, e.g. elasticity, compli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54Diagnosis based on concepts of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4Arm or wri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1Straps, bands or harnes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목 착용형 맥파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부면에 맥파를 감지할 수 있는 맥파 감지부가 돌출되게 위치된 맥파 센서 본체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어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맥파 센서 본체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에는 혈관이 통과되는 손목의 피부를 노출시키며 상기 맥파 감지부가 삽입되도록 개방된 피부 노출용 개방창이 구비되어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어 맥파를 감지하는 맥파 센서 본체부를 사용자의 손목에서 혈관의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켜 맥파 측정 시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이로써 환자의 혈관정보, 심장정보 그리고 한의학의 맥상 정보를 정확하게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손목 착용형 맥파 감지장치{WRIST WEARING TYPE PULSE WAVE DETECTING DEVICE}
본 발명은 손목 착용형 맥파 감지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맥파를 정확한 위치에서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로 측정할 수 있는 손목 착용형 맥파 감지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혈관 경직도(arterial stiffness)는 심혈관 기능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로서, 비관혈적으로 요골동맥에서 혈관 경직도를 측정할 수 있는 현존하는 방법으로는 수축기와 이완기의 요골동맥 직경 변화를 측정하는 에코트래킹(echotracking) 방법과 토노메트리(tonometry) 원리에 기반한 맥파 측정 방법의 두 가지가 있다.
에코트래킹 방법은 측정 해상도가 초음파 영상장비의 약 1/100 정도인 1μm의 해상도를 가지나 매우 고가로 현실적으로 임상에서 활용이 어려운 반면에 토노메트리 측정원리에 기반한 장비는 측정이 용이하고 상대적으로 측정 장비가 저렴하기 때문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 심혈관 진단 및 혈압 측정을 위한 기술 중 토노메트리 기법에 의한 진단기기의 개발과 상용화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토노메트리(tonometry) 맥파 분석 기기는 측정 대상이 되는 혈관부위에서 측정센서(통상 어레이 압력센서를 사용함.)를 혈관부위에 수직으로 접촉 후 해당 부위에 압력을 가하고, 이때 내부의 압력의 변화를 읽어내는 장비이다.
토노메트리(tonometry) 맥파 분석 기기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맥파 측정 센서가 측정대상 혈관의 위치를 정확하게 찾고, 해당 위치에 정밀하게 압력을 가하여 맥파 신호를 측정해야 한다.
통상적으로 맥파 분석 기기에서 맥파 측정 센서는 손목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위치되어 사용자의 맥파를 감지하기 때문에 측정 중 사용자의 움직임 등에 의해 측정 위치가 달라져 측정 정확도가 크게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특허로 한국특허등록 제1455269호 "박막형 압력 센서를 이용한 손목형 혈압측정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한국특허등록 제1455269호 "박막형 압력 센서를 이용한 손목형 혈압측정장치"는 밴드부를 통해 손목에 착용되어 혈압을 측정하는 구조가 제안된 바 있다.
한국특허등록 제1455269호 "박막형 압력 센서를 이용한 손목형 혈압측정장치"는 밴드부를 통해 손목에 착용되는 데 밴드에 의해 혈관위치가 가려지기 때문에 센서를 혈관의 위치 즉, 동맥에 정확하게 위치시키기 어렵고, 착용된 후에도 센서의 위치가 완전하게 고정되지 못해 손목의 움직임으로 인해 측정 위치가 변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등록 제1455269호 "박막형 압력 센서를 이용한 손목형 혈압측정장치"(2014.10.21.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맥파 측정 센서부를 사용자의 손목에서 혈관의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켜 맥파 측정 시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손목 착용형 맥파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맥파 측정 센서부를 사용자의 손목에서 혈관의 위치에서 견고하게 고정시켜 맥파를 정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손목 착용형 맥파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착용형 맥파 감지장치의 일 실시예는 하부면에 맥파를 감지할 수 있는 맥파 감지부가 돌출되게 위치된 맥파 센서 본체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어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맥파 센서 본체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에는 혈관이 통과되는 손목의 피부를 노출시키도록 개방된 피부 노출용 개방창이 구비되고, 상기 맥파 감지부는 상기 피부 노출용 개방창 내에 삽입되어 피부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착용형 맥파 감지장치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손목 중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 상기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를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시켜 고정하는 브라켓 고정용 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브라켓 고정용 밴드부는 하부면에 하부 접착층이 형성되어 손목에 상기 하부 접착층으로 접착되어 상기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를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시켜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브라켓 고정용 밴드부는 상기 피부 노출용 개방창을 노출시키기 위한 피부 노출용 개방부가 중앙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의 양 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의 양쪽에서 손목의 일부분을 각각 감싸 피부에 접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는 손목에서 손바닥 측 피부에 장착되고, 상기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에는 상기 피부 노출용 개방창으로 노출된 피부에서 확인되는 혈관의 위치를 지정하는 혈관 위치 표시부가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혈관 위치 표시부는 피부 노출용 개방창의 둘레 또는 내측면에서 서로 마주보는 위치로 표시되어 혈관과 일치되게 위치되는 제1표시부와 제2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는 일측에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고, 안쪽에 걸림돌기가 돌출된 제1탄성 결합편이 세워져 위치되고, 타측에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고, 안쪽에 걸림돌기가 돌출된 제2탄성 결합편이 세워져 위치되며, 상기 맥파 센서 본체부의 양 측면에는 각각 상기 제1탄성 결합편의 걸림돌기가 삽입되고, 상기 제2탄성 결합편의 걸림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걸림홈이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착용형 맥파 감지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에 장착되는 상기 맥파 센서 본체부의 결합 위치를 안내하고, 결합 위치에서 상기 맥파 센서 본체부를 고정시키는 센서 결합 위치 안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센서 결합 위치 안내부는 상기 맥파 센서 본체부의 하부면에 돌출되게 위치되는 복수의 위치 고정 돌기부 및 상기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의 상부면에 위치되며 복수의 상기 위치 고정 돌기부가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스토퍼 삽입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착용형 맥파 감지장치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손목에서 상기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가 착용되는 반대편에 위치되고 손목을 받쳐 지지하여 사용자의 손목 움직임을 제한하는 손목 받침대 및 상기 손목 받침대에 연결되고, 상기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에 결합된 상기 맥파 센서 본체부를 감싸 상기 맥파 센서 본체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센서 위치 고정용 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손목 받침대는 손목부분을 받쳐 지지하는 손목 받침부, 상기 손목 받침부의 일단부 측에서 상기 손목 받침부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 부분을 받치는 손 받침부 및 상기 손목 받침부의 타단부 측에서 상기 손목 받침부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아랫팔인 팔뚝을 지지하는 팔뚝 받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센서 위치 고정용 밴드부는 일단부 측이 상기 손목 받침대의 일측에 연결되고, 안쪽면 또는 바깥쪽 면에 숫벨크로 테이프가 구비되는 제1밴드부재 및 일단부 측이 손목 받침대의 타측에 연결되고, 바깥쪽면 또는 안쪽면에 암벨크로 테이프가 구비되며 상기 제1밴드부재와 겹쳐져 상기 맥파 센서 본체부를 감싸는 제2밴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맥파 센서 본체부의 상면에는 상기 센서 위치 고정용 밴드부가 사이로 통과되어 상기 센서 위치 고정용 밴드부의 양 측면을 지지하는 제1밴드 스토퍼부와 제2밴드 스토퍼부가 돌출되게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어 맥파를 감지하는 맥파 센서 본체부를 사용자의 손목에서 혈관의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켜 맥파 측정 시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이로써 환자의 혈관정보, 심장정보 그리고 한의학의 맥상 정보를 정확하게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맥파 센서 본체부를 사용자의 손목에서 혈관의 위치에서 견고하게 고정시켜 맥파를 정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측정할 수 있고, 측정 중 센서의 이동 없이 맥파를 측정할 수 있어 환자의 혈관정보, 심장정보 그리고 한의학의 맥상 정보를 더 정확하게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착용형 맥파 감지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착용형 맥파 감지장치의 일 실시예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는 예를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착용형 맥파 감지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착용형 맥파 감지장치의 일 실시예를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착용형 맥파 감지장치의 일시예는 하부면에 맥파를 감지할 수 있는 맥파 감지부(110)가 돌출되게 위치된 맥파 센서 본체부(100)를 포함한다.
맥파 센서 본체부(100)는 케이블을 통해 맥파 분석기(미도시)에 연결되어 감지된 사용자의 맥파를 맥파 분석기로 전달한다.
맥파 분석기는 토노메트리(tonometry) 맥파 분석 기기인 것을 일 예로 하고, 맥파 센서 본체부(100)에서 전달받은 사용자의 맥파 정보로 환자의 혈관정보, 심장정보 그리고 한의학의 맥상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맥파 분석기는 공지의 토노메트리(tonometry) 맥파 분석 기기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맥파 센서 본체부(100)는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어 고정되는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2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200)는 사용자의 손목에서 손바닥 측의 피부에 안착되어 고정된다.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200)는 혈관이 통과되는 손목의 피부를 노출시킬 수 있도록 개방된 피부 노출용 개방창(200a)이 구비된다.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200)에는 피부 노출용 개방창(200a)으로 노출된 피부에서 확인되는 혈관의 위치를 지정하는 혈관 위치 표시부(201)가 위치된다.
혈관 위치 표시부(201)는 피부 노출용 개방창(200a) 내에서 피부에서 확인되는 혈관의 위치를 맥파 감지부(110)가 가장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위치시킨다.
즉, 혈관 위치 표시부(201)는 피부 노출용 개방창(200a)의 둘레 또는 내측면에서 서로 마주보는 위치로 표시되는 제1표시부(201a)와 제2표시부(201b)를 포함하고, 피부 노출용 개방창(200a)으로 노출된 피부에서 확인되는 혈관이 제1표시부(201a)와 제2표시부(201b)를 지나가도록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200)를 손목의 피부 상에 고정시킨다.
제1표시부(201a)와 제2표시부(201b)는 각각 피부 노출용 개방창(200a)의 둘레에 서로 마주보게 위치되는 홈 형태를 가지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이외에도 화살표 표시 등 공지의 표시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제1표시부(201a)와 제2표시부(201b)는 피부 노출용 개방창(200a) 내에 위치되는 혈관이 통과되는 즉, 피부 노출용 개방창(200a) 내에서 확인되는 혈관 상에 위치되도록 표시된 부분으로 피부 노출용 개방창(200a) 내에서 시술자가 확인하는 혈관이 맥파 감지부(110)의 측정 부분과 정확하게 일치되도록 안내한다.
피부 노출용 개방창(200a)에는 맥파 센서 본체부(100)의 하부면에 돌출된 맥파 감지부(110)가 내부로 삽입된다.
맥파 센서 본체부(100)가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200)에 결합되면 맥파 센서 본체부(100)의 하부면은 센서 고정 브라켓부의 상부면에 안착되고, 맥파 감지부(110)는 피부 노출용 개방창(200a) 내로 삽입되어 하부면이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하게 된다.
또한,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200)는 사용자의 손목에서 손바닥 측의 피부에 밀착될 수 있도록 휘어져 형성되고, 맥파 센서 본체부(100)의 하부면은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200)의 상면에 밀착되어 안착될 수 있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착용형 맥파 감지장치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손목 중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200)를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시켜 고정하는 브라켓 고정용 밴드부(300)를 더 포함한다.
브라켓 고정용 밴드부(300)는 하부면에 하부 접착층(310)이 형성되어 손목에 하부 접착층(310)으로 접착되어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200)를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시키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브라켓 고정용 밴드부(300)는 상부면에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200)가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는 상부 접착층을 구비하고, 하부면에 손목의 피부에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는 하부 접착층(310)을 구비한다.
브라켓 고정용 밴드부(300)는 피부 노출용 개방창(200a)을 노출시키기 위한 피부 노출용 개방부(300a)가 구비된다.
브라켓 고정용 밴드부(300)의 상부면에는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200)의 하부면이 접착되어 고정되고, 브라켓 고정용 밴드부(300)의 하부면은 사용자의 손목 즉, 손바닥 측의 손목 피부에 접착되어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200)의 위치를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브라켓 고정용 밴드부(300)는 손목 둘레를 감싸 밴드 체결구에 의해 감싼 상태가 고정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밴드 체결구는 스냅 단추 또는 벨크로 테이프인 것을 일 예로 하며, 이외에도 밴드의 길이를 조절하면서 두개의 밴드를 연결하여 밴드의 조절된 길이를 고정할 수 있는 공지의 구조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브라켓 고정용 밴드부(300)가 손목 둘레를 감싸고 스냅 단추 또는 벨크로 테이프 등의 밴드 체결구로 손목 둘레를 감싼 상태를 고정하는 경우 맥파 측정 중 사용자의 손목 움직임에 의해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200)의 위치가 이동될 수도 있다.
반면에 브라켓 고정용 밴드부(300)가 하부 접착층(310)을 통해 손목의 피부에 부착된 경우 측정 중 사용자의 손목 움직임이 발생하더라도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200)의 장착 위치가 변경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즉, 브라켓 고정용 밴드부(300)는 손목의 피부에 접착되어 사용자의 손목 움직임에 관계없이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200)의 위치가 움직이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200)는 브라켓 고정용 밴드부(300)의 중앙 부분에서 브라켓 고정용 밴드부(300)의 상면부에 접착되되 피부 노출용 개방창(200a)이 피부 노출용 개방부(300a)와 일치되게 접착되며, 브라켓 고정용 밴드부(300)는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200)의 양 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200)의 양쪽에서 손목의 일부분을 감싸 접착됨으로써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200)의 위치를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또한,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200)는 브라켓 고정용 밴드부(300)가 손목의 피부에 접착되어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됨으로써 피부 노출용 개방창(200a)으로 노출된 피부에서 확인되는 혈관이 제1표시부(201a)와 제2표시부(201b)를 지나가도록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다.
즉, 브라켓 고정용 밴드부(300)는 사용자의 피부에 접착되어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므로 피부 노출용 개방창(200a)으로 노출된 피부에서 확인되는 혈관이 제1표시부(201a)와 제2표시부(201b)를 지나가도록 정확하게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20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200)는 일측에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고, 안쪽에 걸림돌기가 돌출된 제1탄성 결합편(210)이 세워져 위치되고, 타측에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고, 안쪽에 걸림돌기가 돌출된 제2탄성 결합편(220)이 세워져 위치된다.
그리고, 맥파 센서 본체부(100)의 양 측면에는 각각 제1탄성 결합편(210)의 걸림돌기가 삽입되고, 제2탄성 결합편(220)의 걸림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걸림홈(100a)이 위치된다.
맥파 센서 본체부(100)는 제1탄성 결합편(210)과 제2탄성 결합편(220)의 사이에서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200)로 결합되고,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200)의 상부면에 안착되면서 제1탄성 결합편(210)의 걸림돌기와 제1탄성 결합편(210)의 걸림돌기가 각각 양 측면에 위치된 걸림홈(100a)에 삽입되면서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200)에 결합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제1탄성 결합편(210)과 제2탄성 결합편(220)은 각각 탄성적으로 휘어지면서 맥파 센서 본체부(100)가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200)에 용이하게 결합되거나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착용형 맥파 감지장치의 일시예는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200)에 장착되는 맥파 센서 본체부(100)의 결합 위치를 안내하고, 결합 위치에서 맥파 센서 본체부(100)를 고정시키는 센서 결합 위치 안내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 결합 위치 안내부(400)는 맥파 센서 본체부(100)의 하부면에 돌출되게 위치되는 복수의 위치 고정 돌기부(410),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200)의 상부면에 위치되며 복수의 위치 고정 돌기부(410)가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스토퍼 삽입홈부(420)를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복수의 위치 고정 돌기부(410)는 맥파 센서 본체부(100)의 하부면이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200)의 상부면에 안착될 때 복수의 스토퍼 삽입홈부(420)에 각각 삽입되면서 맥파 감지부(110)가 피부 노출용 개방창(200a) 내에 삽입되고, 제1탄성 결합편(210)과 제2탄성 결합편(220)이 걸림홈(100a)에 삽입될 수 있도록 맥파 센서 본체부(100)의 결합위치를 안내하여 맥파 센서 본체부(100)가 정확한 결합 위치로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맥파 센서 본체부(100)가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200)의 상부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위치가 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맥파 센서 본체부(100)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200)에 결합된 정위치에서 맥파 센서 본체부(100)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착용형 맥파 감지장치의 일시예는 사용자의 손목에서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200)가 착용되는 반대편에 위치되고 손목을 받쳐 지지하여 사용자의 손목 움직임을 제한하는 손목 받침대(500), 손목 받침대(500)에 연결되고,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200)에 결합된 맥파 센서 본체부(100)를 감싸 맥파 센서 본체부(100)의 위치를 고정하는 센서 위치 고정용 밴드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위치 고정용 밴드부(600)는 벨크로 테이프를 포함하여 맥파 센서 본체부(100)를 감싸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부착됨으로써 맥파 센서 본체부(100)와 사용자의 손목을 감싼 위치로 고정될 수 있다.
더 상세하게 센서 위치 고정용 밴드부(600)는 일단부 측이 손목 받침대(500)의 일측에 연결되고, 안쪽면 또는 바깥쪽 면에 숫벨크로 테이프가 구비되는 제1밴드부재(610), 일단부 측이 손목 받침대(500)의 타측에 연결되고, 바깥쪽면 또는 안쪽면에 암벨크로 테이프가 구비되며 제1밴드부재(610)와 겹쳐져 맥파 센서 본체부(100)를 감싸는 제2밴드부재(620)를 포함할 수 있다.
손목 받침대(500)는 손목부분을 받쳐 지지하는 손목 받침부(510), 손목 받침부(510)의 일단부 측에서 손목 받침부(510)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 부분 즉, 손등을 받치는 손 받침부(520), 손목 받침부(510)의 타단부 측에서 손목 받침부(510)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아랫팔인 팔뚝을 지지하는 팔뚝 받침부(530)를 포함한다.
손목 받침대(500)는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200)가 착용되는 반대편에 위치되어 손목 받침부(510), 손 받침부(520), 팔뚝 받침부(530)를 통해 사용자의 손목, 손, 팔뚝을 동시에 받쳐 지지함으로써 맥파 측정 중 사용자의 손목 움직임을 제한하여 맥파 측정 중 손목의 움직임에 의한 맥파 변동을 최소화하고, 맥파 센서 본체부(100)가 안정적으로 맥파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센서 위치 고정용 밴드부(600)는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200)에 결합된 맥파 센서 본체부(100)를 감싸 손목 받침부(510)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될 수 있게 함은 물론 맥파 센서 본체부(100)의 위치를 더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손목 착용형 맥파 감지장치의 일 실시예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는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측정자 즉, 의사 또는 간호사 등을 포함하는 맥파 측정자는 손목의 손바닥 측 피부에서 혈관의 위치를 확인하고, 혈관이 피부 노출용 개방창(200a)이 통과하도록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200)를 손목의 피부 상에 안착시킨다.
이 때 사용자의 손목은 테이블 상에 올려진 손목 받침대(500)에 손등 측이 올려지고,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200)는 브라켓 고정용 밴드부(300)가 손목의 피부에 접착되면서 장착되고, 피부 노출용 개방창(200a)으로 노출된 피부에서 확인되는 혈관이 제1표시부(201a)와 제2표시부(201b)를 지나가도록 위치가 고정된다.
도 3을 참고하면, 손목 받침대(500) 상에 올려진 사용자의 손목에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200)가 접착되어 착용된 후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200)에 맥파 센서 본체부(100)를 결합시키고 센서 위치 고정용 밴드부(600), 즉, 제1밴드부재(610)와 제2밴드부재(620)로 맥파 센서 본체부(100)를 감싸 맥파 센서 본체부(100)의 위치를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이 때 맥파 센서 본체부(100)는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200)의 상부면에 안착되면서 제1탄성 결합편(210)의 걸림돌기와 제1탄성 결합편(210)의 걸림돌기가 각각 양 측면에 위치된 걸림홈(100a)에 삽입되면서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200)에 결합되고, 맥파 감지부(110)가 피부 노출용 개방창(200a) 내로 삽입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밀착되어 위치되게 된다.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맥파 센서 본체부(100)가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200)에 결합된 후 제1밴드부재(610)와 제2밴드부재(620)로 감싸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맥파를 정확한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감지하게 되며 감지된 맥파 신호를 맥파 분석기로 전달하여 환자의 혈관정보, 심장정보 그리고 한의학의 맥상 정보를 정확하게 분석하게 된다.
맥파 센서 본체부(100)의 상면에는 센서 위치 고정용 밴드부(600)가 사이로 통과되어 센서 위치 고정용 밴드부(600)의 양 측면을 지지하는 제1밴드 스토퍼부(101)와 제2밴드 스토퍼부(102)가 돌출되게 위치된다.
제1밴드 스토퍼부(101)와 제2밴드 스토퍼부(102)는 센서 위치 고정용 밴드부(600)의 양 측면을 지지하여 센서 위치 고정용 밴드부(600)의 위치를 고정하고 센서 위치 고정용 밴드부(600)가 맥파 센서 본체부(100)를 감싼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게 하고 맥파 센서 본체부(100)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어 맥파를 감지하는 맥파 센서 본체부(100)를 사용자의 손목에서 혈관의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시켜 맥파 측정 시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이로써 환자의 혈관정보, 심장정보 그리고 한의학의 맥상 정보를 정확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맥파 센서 본체부(100)를 사용자의 손목에서 혈관의 위치에서 견고하게 고정시켜 맥파를 정위치에서 안정적으로 측정할 수 있고, 측정 중 센서의 이동 없이 맥파를 측정할 수 있어 환자의 혈관정보, 심장정보 그리고 한의학의 맥상 정보를 더 정확하게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00 : 맥파 센서 본체부 100a : 걸림홈
110 : 맥파 감지부 200 :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
200a : 피부 노출용 개방창 201 : 혈관 위치 표시부
201a : 제1표시부 201b : 제2표시부
210 : 제1탄성 결합편 220 : 제2탄성 결합편
300 : 브라켓 고정용 밴드부 300a : 피부 노출용 개방부
310 : 하부 접착층 400 : 센서 결합 위치 안내부
410 : 위치 고정 돌기부 420 : 스토퍼 삽입홈부
500 : 손목 받침대 510 : 손목 받침부
520 : 손 받침부 530 : 팔뚝 받침부
600 : 센서 위치 고정용 밴드부 610 : 제1밴드부재
620 : 제2밴드부재

Claims (12)

  1. 하부면에 맥파를 감지할 수 있는 맥파 감지부가 돌출되게 위치된 맥파 센서 본체부; 및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어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맥파 센서 본체부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에는 혈관이 통과되는 손목의 피부를 노출시키도록 개방된 피부 노출용 개방창이 구비되고, 상기 맥파 감지부는 상기 피부 노출용 개방창 내에 삽입되어 피부에 접촉되며,
    상기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는 손목에서 손바닥 측 피부에 장착되고,
    상기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에는 상기 피부 노출용 개방창으로 노출된 피부에서 확인되는 혈관의 위치를 지정하는 혈관 위치 표시부가 위치되고,
    상기 혈관 위치 표시부는 피부 노출용 개방창의 둘레 또는 내측면에서 서로 마주보는 위치로 표시되어 혈관과 일치되게 위치되는 제1표시부와 제2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착용형 맥파 감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목 중 적어도 일부분을 감싸 상기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를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시켜 고정하는 브라켓 고정용 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착용형 맥파 감지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고정용 밴드부는 하부면에 하부 접착층이 형성되어 손목에 상기 하부 접착층으로 접착되어 상기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를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시켜 위치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착용형 맥파 감지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고정용 밴드부는 상기 피부 노출용 개방창을 노출시키기 위한 피부 노출용 개방부가 중앙부분에 구비되고, 상기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의 양 측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의 양쪽에서 손목의 일부분을 각각 감싸 피부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착용형 맥파 감지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는 일측에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고, 안쪽에 걸림돌기가 돌출된 제1탄성 결합편이 세워져 위치되고, 타측에 탄성적으로 휘어질 수 있고, 안쪽에 걸림돌기가 돌출된 제2탄성 결합편이 세워져 위치되며,
    상기 맥파 센서 본체부의 양 측면에는 각각 상기 제1탄성 결합편의 걸림돌기가 삽입되고, 상기 제2탄성 결합편의 걸림돌기가 삽입될 수 있는 걸림홈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착용형 맥파 감지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에 장착되는 상기 맥파 센서 본체부의 결합 위치를 안내하고, 결합 위치에서 상기 맥파 센서 본체부를 고정시키는 센서 결합 위치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착용형 맥파 감지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센서 결합 위치 안내부는,
    상기 맥파 센서 본체부의 하부면에 돌출되게 위치되는 복수의 위치 고정 돌기부; 및
    상기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의 상부면에 위치되며 복수의 상기 위치 고정 돌기부가 각각 삽입되는 복수의 스토퍼 삽입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착용형 맥파 감지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목에서 상기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가 착용되는 반대편에 위치되고 손목을 받쳐 지지하여 사용자의 손목 움직임을 제한하는 손목 받침대; 및
    상기 손목 받침대에 연결되고, 상기 센서 고정 브라켓트부에 결합된 상기 맥파 센서 본체부를 감싸 상기 맥파 센서 본체부의 위치를 고정하는 센서 위치 고정용 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착용형 맥파 감지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손목 받침대는 손목부분을 받쳐 지지하는 손목 받침부;
    상기 손목 받침부의 일단부 측에서 상기 손목 받침부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 부분을 받치는 손 받침부; 및
    상기 손목 받침부의 타단부 측에서 상기 손목 받침부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아랫팔인 팔뚝을 지지하는 팔뚝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착용형 맥파 감지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센서 위치 고정용 밴드부는,
    일단부 측이 상기 손목 받침대의 일측에 연결되고, 안쪽면 또는 바깥쪽 면에 숫벨크로 테이프가 구비되는 제1밴드부재; 및
    일단부 측이 손목 받침대의 타측에 연결되고, 바깥쪽면 또는 안쪽면에 암벨크로 테이프가 구비되며 상기 제1밴드부재와 겹쳐져 상기 맥파 센서 본체부를 감싸는 제2밴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착용형 맥파 감지장치.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맥파 센서 본체부의 상면에는 상기 센서 위치 고정용 밴드부가 사이로 통과되어 상기 센서 위치 고정용 밴드부의 양 측면을 지지하는 제1밴드 스토퍼부와 제2밴드 스토퍼부가 돌출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 착용형 맥파 감지장치.
KR1020210093239A 2021-07-16 2021-07-16 손목 착용형 맥파 감지장치 KR102358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239A KR102358441B1 (ko) 2021-07-16 2021-07-16 손목 착용형 맥파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239A KR102358441B1 (ko) 2021-07-16 2021-07-16 손목 착용형 맥파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8441B1 true KR102358441B1 (ko) 2022-02-08

Family

ID=80252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3239A KR102358441B1 (ko) 2021-07-16 2021-07-16 손목 착용형 맥파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84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68374A (zh) * 2022-03-29 2022-06-28 吉林大学 基于滚珠束缚腕部的护理呼吸科脉搏测量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1073A (ja) * 1992-03-17 1993-10-12 Nippon Colin Co Ltd 脈波検出プローブの装着装置
KR200442399Y1 (ko) * 2008-08-07 2008-11-10 주식회사 아이엠티메디칼 지혈대
KR101455269B1 (ko) 2013-04-18 2014-10-31 주식회사 비젼스케이프 박막형 압력 센서를 이용한 손목형 혈압측정장치
JP2019201984A (ja) * 2018-05-24 2019-11-28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測定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1073A (ja) * 1992-03-17 1993-10-12 Nippon Colin Co Ltd 脈波検出プローブの装着装置
KR200442399Y1 (ko) * 2008-08-07 2008-11-10 주식회사 아이엠티메디칼 지혈대
KR101455269B1 (ko) 2013-04-18 2014-10-31 주식회사 비젼스케이프 박막형 압력 센서를 이용한 손목형 혈압측정장치
JP2019201984A (ja) * 2018-05-24 2019-11-28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血圧測定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68374A (zh) * 2022-03-29 2022-06-28 吉林大学 基于滚珠束缚腕部的护理呼吸科脉搏测量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11278C2 (ru) Бесконтактное наблюдение дыхания у пациента и оптический датчик для измерения методом фотоплетизмографии
US20220395231A1 (en) Personal health data collection
US6445945B1 (en) Non-invasive detection of endothelial dysfunction by blood flow measurement in opposed limbs using tracer injection
US8301215B2 (en) Biosignal measurement apparatus
US7959575B2 (en) Blood rheology measuring apparatus
US5413101A (en) Pulse oximeter probe
Imai et al. The accuracy and performance of the A&D TM 2421, a new ambulatory blood pressure monitoring device based on the cuff-oscillometric method and the Korotkoff sound technique
JP4858638B2 (ja) 生体情報測定装置
US8660626B2 (en) System and method for mitigating interference in pulse oximetry
JP3575025B2 (ja) 脈波検出装置および拍動検出装置
US11147475B2 (en) Device for measuring the circumference of an object
RU2519629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ульсовой диагностики
US20060184051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non-invasively measuring hemodynamic parameters
US20050080345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non-invasively measuring hemodynamic parameters
US20070038050A1 (en) Device for use with reflective pulse oximetry
JP4214324B2 (ja) 生体組織の測定装置
KR102358441B1 (ko) 손목 착용형 맥파 감지장치
Kumar et al. Fiber Bragg grating-based pulse monitoring device for real-time non-invasive blood pressure measurement—A feasibility study
Katayama et al. Classification of pulse wave signal measured by FBG sensor for vascular age and arteriosclerosis estimation
JP2017184998A (ja) 脈波検出装置及び生体情報測定装置
US20050020928A1 (en) Non-invasive detection of endothelial dysfunction by blood flow measurement in opposed limbs
KR102320959B1 (ko) 손가락형 산소포화도 측정기용 가드
JPH04129527A (ja) 脈波測定機器
Matthews Pulse oximetry: SpO2 and SaO2
EP3248541B1 (en) Physiological monitor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