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0959B1 - 손가락형 산소포화도 측정기용 가드 - Google Patents

손가락형 산소포화도 측정기용 가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0959B1
KR102320959B1 KR1020200168098A KR20200168098A KR102320959B1 KR 102320959 B1 KR102320959 B1 KR 102320959B1 KR 1020200168098 A KR1020200168098 A KR 1020200168098A KR 20200168098 A KR20200168098 A KR 20200168098A KR 102320959 B1 KR102320959 B1 KR 102320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splint
oxygen saturation
guard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8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민
김승준
이준혁
Original Assignee
정현민
김승준
이준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민, 김승준, 이준혁 filed Critical 정현민
Priority to KR1020200168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9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 A61B5/14551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optical sensors, e.g. spectral photometrical oximeters for measuring blood gases
    • A61B5/1455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5Hand
    • A61B5/6826F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5Supports or holders, e.g., articulated 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0Means for positioning the patient in relation to the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 A61B5/702Posture restrai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피측정자의 손가락을 집게형태의 센서부에 의해 압박하여 산소포화도를 측정하기 위한, 손가락형 산소포화도 측정기용 가드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형 산소포화도 측정기용 가드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센서부 사이에 손가락이 삽입되는 피측정자의 산소포화도를 측정하는 손가락형 산소포화도 측정기에 적용되고,
상기 안착부 일 외측면에 장착되는 바디;
상기 바디에 연장형성되고, 상기 피측정자의 측정하지않는 임의의 손가락을 감싸 지지하여 상기 안착부와 센서부 사이에 삽입된 손가락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링 형태의 탄성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형 산소포화도 측정기용 가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손가락형 산소포화도 측정기용 가드{a guard for searching of pulse oximeter}
본 명세서는 산소포화도 측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피측정자의 손가락을 집게형태의 센서부에 삽입시켜 산소포화도를 측정하기 위한 손가락형 산소포화도 측정기용 가드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인 산소포화도 측정기는 센서를 이용하여 환자의 손가락, 발가락, 또는 귀의 혈류상태를 체크하고 이를 통해 측정된 산소포화도(체내 혈액속 적혈구의헤모글로빈에 결합된 산소의 양을 의미)를 표시하는 장치이다. 즉 산소포화도 측정기는 비침습적 방법으로 동맥혈액의 산소포화도를 측정하는 기구이다.
전술한 산소포화도 측정기는 맥박 산소포화도 측정기로서, 광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광량이 박동성 동맥혈관의 팽창과 수축에 따른 불포화혈색소와 포화혈색소간의 감각비(sensitive fraction)에 의해서 좌우되는 성질을 이용하여 동맥혈액의 산소포화도를 측정하게 된다.
도면에는 미 도시 되었으나, 종래의 핑거(finger)형 산소포화도 측정기는 피측정자의 손가락을 집게 형태의 센서부에 삽입시킴에 따라 측정된 산소포화도값이 신호케이블을 통해 모니터 장치에 전송되므로 센서의 검출신호를 처리하게 된다.
이 경우 손가락이 센서부로부터 쉽게 이탈되므로 테이프를 이용하여 센서부를 감아 손가락을 압박한 상태에서 측정하게 되므로 불편함을 감수해야 된다.
이로 인해, 측정기를 손가락에 고정시키는 작업이 번잡하여 테이핑을 기피한 상태에서 측정하게될 경우, 피검출자의 무의식적이거나 의식적인 동작으로 인해 손가락이 움직여 모션 잡음이 발생될 수 있어 측정된 산소농도 데이터값의 품질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978907호에 산소포화도 측정기가 등록공고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집게형태의 센서부에 삽입되는 피측정자의 손가락에 의해 산소포화도를 측정할 경우, 링형태의 가드에 의해 손가락 움직임을 최소화하여 모션잡음을 방지하고, 가드(guard)에 손가락을 삽입시켜 측정시 압박으로 인해 느끼는 통증을 최소화하며, 다른 측정기에 대해 호환성을 갖도록 한, 손가락형 산소포화도 측정기용 가드와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센서부 사이에 손가락이 삽입되는 피측정자의 산소포화도를 측정하는 손가락형 산소포화도 측정기에 적용되고,
상기 안착부 일 외측면에 장착되는 바디;
상기 바디에 연장형성되고, 상기 피측정자의 측정하지않는 임의의 손가락을 감싸 지지하여 상기 안착부와 센서부 사이에 삽입된 손가락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링 형태의 탄성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형 산소포화도 측정기용 가드를 제공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센서부 사이에 손가락이 삽입되는 피측정자의 산소포화도를 측정하는 손가락형 산소포화도 측정기에 적용되고,
상기 안착부의 손가락 안착면에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로부터 임의길이만큼 돌출되는 부목대;
상기 부목대 외측단에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와 상기 센서부 사이에 삽입되는 손가락을 감싸 지지하도록 단부가 자유단 형태로 형성되는 링 형태의 탄성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형 산소포화도 측정기용 가드를 제공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형 산소포화도 측정기용 가드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집게형태의 센서부에 삽입되는 피측정자의 손가락에 의해 산소포화도를 측정할 경우, 링형태의 가드에 의해 손가락 움직임으로 인한 모션잡음을 방지함에 따라 측정 데이터값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고, 가드에 손가락을 삽입 및 이탈시 압박으로 인해 느끼는 통증을 최소화하여 편리성을 제공하며, 다른 측정기에 대해 호환성을 갖게 되므로 실용성을 갖게 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형 산소포화도 측정기용 가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손가락형 산소포화도 측정기에서, 가드가 측정기에 부착됨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손가락형 산소포화도 측정기용 가드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형 산소포화도 측정기용 가드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손가락형 산소포화도 측정기에서, 가드가 측정기에 부착됨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손가락형 산소포화도 측정기용 가드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도 4에 손가락형 산소포화도 측정기에서, 부목대의 변형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형 산소포화도 측정기용 가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형 산소포화도 측정기용 가드(B)는
피측정자(10)의 손가락이 안착되는 안착부(20)와, 안착부(20)에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센서부(30) 사이에 손가락(b)이 삽입되는 피측정자(10)의 산소포화도를 측정하는 손가락형 산소포화도 측정기(A)에 적용되고,
안착부(20) 일 외측면에 양면테이프 또는 체결부재(소위 '피이스'를 말함)에 의해 장착되는 바디(40);
바디(40)에 연장형성되고, 피측정자(10)의 측정하지않는 임의의 손가락(a)을 감싸 지지하여 안착부(20)와 센서부(30) 사이에 삽입된 손가락(b)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링 형태의 탄성편(5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탄성편(50)은 피측정자(10)의 손가락(a) 굵기에 대응되어 직경이 가변되도록 단부가 자유단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전술한 산소포화도 측정기(A)의 안착부(20)와 센서부(30) 사이에 피측정자(10)의 손가락(b)을 삽입시켜 산소포화도를 측정할 경우, 링 형태의 탄성편(50)의 단부가 자유단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측정대상의 손가락(a) 굵기에 따라 탄성편(50) 직경이 가변 조정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가드(B)(일 예로서, PP 또는 실리콘재가 사용될 수 있고, 이로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를 여러사람을 측정하는 산소포화도 측정기(A)에 적용할 수 있어 실용성 및 경제성을 갖게 된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형 산소포화도 측정기용 가드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전술한 산소포화도 측정기(A)의 안착부(20)와 센서부(30) 사이에 피측정자(10)의 손가락(b)을 삽입시켜 산소포화도를 측정할 경우, 안착부 일 외측면에 장착된 가드(B)에 의해 피측정자(10)의 측정하지않는 손가락(a)을 감싸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가드(B)에 의해 측정하지않는 손가락(a)을 감싸 안착부(20)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안착부(20)와 센서부(30) 사이에 삽입되는 손가락(b)에 의해 산소포화도를 측정할 경우, 손가락(b)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어 산소포화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 산소포화도 측정값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전술한 가드(B)의 바디(40)를 기존의 산소포화도 측정기의 안착부 일 외측면에 양면테이프 또는 체결부재(소위, '피이스'를 말함)에 의해 부착시켜 사용함에 따라, 기존의 산소포화도 측정기를 재활용할 수 있는 경제적인 이점을 갖게 됨은 물론이다.
이때, 전술한 안착부(20)와 센서부(30) 사이에 피측정자(10)의 손가락(b)을 삽입시켜 산소포화도를 측정하는 산소포화도 측정기(A)의 기술내용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구성 및 사용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형 산소포화도 측정기용 가드(B)는
피측정자(10)의 손가락이 안착되는 안착부(20)와, 안착부(20)에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센서부(30) 사이에 손가락(b)이 삽입되는 피측정자(10)의 산소포화도를 측정하는 손가락형 산소포화도 측정기(A)에 적용되고,
안착부(20)의 손가락(b) 안착면에 형성되고, 안착부(20)로부터 임의길이만큼 돌출되는 부목대(60);
부목대(60) 외측단에 형성되고, 안착부(20)와 센서부(30) 사이에 삽입되는 손가락(b)을 감싸 지지하고, 손가락(b) 굵기에 맞추어 직경을 가변 조정할 수 있도록 단부가 자유단 형태로 형성되는 링 형태의 탄성편(50)(일 예로서, PP 또는 실리콘재가 사용될 수 있고, 이로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형 산소포화도 측정기용 가드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전술한 부목대(60), 탄성편(50) 및 벨크로테이프(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가드(B)를 안착부(20)의 손가락 안착면에 미 도시된 양면테이프 또는 체결부재(소위 '피이스'를 말함)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피측정자(10)의 손가락(b)을 탄성편(50)을 통과시켜 부목대(60) 안쪽까지 깊숙히 삽입시킨다. 외측단이 자유단 형태로 형성된 링 형태의 탄성편(50)을 손가락(b) 굵기에 맞추어 조인 후, 탄성편(50) 외측면에 형성된 벨크로테이프(70)를 이용하여 손가락(b) 굵기에 맞도록 조여진 탄성편(50)을 고정시킨다.
따라서, 안착부(20)와 센서부(30) 사이에 손가락(b)을 삽입시킨 상태에서 산소포화도를 측정할 경우 탄성편(50) 및 벨크로테이프(70)에 의해 부목대(60)에 고정된 손가락(b)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전술한 안착부(20)와 센서부(30) 사이에 피측정자(10)의 손가락(b)을 삽입시켜 산소포화도를 측정하는 산소포화도 측정기(A)의 기술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산소포화도 측정기(A)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이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도 4,5,6에서와 같이, 전술한 탄성편(50) 외측면에 형성되고, 탄성편(50)에 삽입되는 손가락을 고정하여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벨크로테이프(7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전술한 안착부(20)와 센서부(30) 사이에 피측정자(10)의 손가락(b)을 삽입시켜 산소포화도를 측정할 경우, 링 형태의 탄성편(50)에 의해 측정대상의 손가락(b)을 감싸 지지하되, 탄성편(50)에 형성된 벨크로테이프(70)에 의해 손가락(b)을 견고하게 고정함에 따라 손가락(b)이 유동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a,b)에서와 같이, 전술한 부목대(60)에 안착되는 손가락(b) 슬라이딩을 방지하고, 가압으로 인한 지압효과를 갖도록 부목대(60)의 손가락(b) 안착면에 엠보싱부(80) 또는 요홈(9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손가락(b)과 부목대(60)의 손가락(b) 안착면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손가락(b)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편(50)에 의해 감싸지는 손가락(b) 굵기에 맞추어 벨크로테이프(70)에 의해 탄성편(50)을 압착시킬 경우, 부목대(60)의 손가락(b) 안착면에 형성된 엠보싱부(80) 또는 요홈(90)에 의해 손가락(b)을 가압하여 지압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7(d)에서와 같이, 전술한 부목대(60)에 안착되는 손가락을 고정하는 지지력을 높일 수 있도록 링 형태의 탄성편(50)이 임의길이를 갖는 부목대(60)의 안쪽 및 바깥쪽에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전술한 안착부(20)와 센서부(30) 사이에 피측정자(10)의 손가락(b)을 삽입시켜 산소포화도를 측정할 경우, 탄성편(50)이 임의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부목대(60)의 안쪽 및 바깥쪽에 복수개 형성됨에 따라 피측정자가 수술환자, 또는 중환자일 경우 부목대(60)에 손가락(b)을 단단하게 고정하여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c)에서와 같이, 전술한 부목대(60)는
부목대(60)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안착부(20)에 장착되는 제1부목대(60a)와, 제1부목대(60a) 외측단에 제1부목대(60a)의 두께보다 두껍게 2단 형태로 연장형성되는 제2부목대(60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전술한 안착부(20)와 센서부(30) 사이에 피측정자(10)의 손가락(b)을 삽입시켜 산소포화도를 측정할 경우, 손가락(b)을 지지하는 부목대(60)가 두께가 상이한 2단 형태의 제1,2부목대(60a,60b)로 이루어짐에 따라 부목대(60)의 내구성 증대로 인해 가드(B)의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전술한 부목대(60)는
안착부(20)와 별개로 형성되어 안착부(20)의 손가락 안착면에 미 도시된 양면테이프 또는 체결부재에 의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전술한 가드(B)를 기존의 산소포화도 측정기에 부착시켜 재활용할 수 있어 경제적인 이점을 갖게 됨은 물론이다.
여기에서,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피측정자
20; 안착부
30; 센서부
40; 바디
50; 탄성편
60; 부목대
60a; 제1부목대
60b; 제2부목대
70; 벨크로테이프
80; 엠보싱부
90; 요홈
A; 산소포화도 측정기
B; 가드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회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센서부 사이에 손가락이 삽입되는 피측정자의 산소포화도를 측정하는 손가락형 산소포화도 측정기에 적용되고,
    상기 안착부의 손가락 안착면에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로부터 임의길이만큼 돌출되는 부목대;
    상기 부목대 외측단에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와 상기 센서부 사이에 삽입되는 손가락을 감싸 지지하도록 단부가 자유단 형태로 형성되는 링 형태의 탄성편;을 구비하는 손가락형 산소포화도 측정기용 가드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탄성편에 삽입되는 손가락을 고정하여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벨크로테이프;
    상기 부목대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손가락 슬라이딩이동을 방지하고, 가압으로 인한 지압효과를 갖도록 상기 부목대의 손가락 안착면에 형성되는 엠보싱부 또는 요홈;
    상기 부목대는 상기 안착부와 별개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부의 손가락 안착면에 양면테이프 또는 체결부재에 의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형 산소포화도 측정기용 가드.
  4. 삭제
  5. 삭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목대에 안착되는 손가락을 고정하는 지지력을 높일 수 있도록 링 형태의 탄성편이 임의길이를 갖는 상기 부목대의 안쪽 및 바깥쪽에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형 산소포화도 측정기용 가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목대는
    상기 부목대의 강도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안착부에 장착되는 제1부목대와, 상기 제1부목대 외측단에 상기 제1부목대의 두께보다 두껍게 2단 형태로 연장형성되는 제2부목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형 산소포화도 측정기용 가드.




  8. 삭제
KR1020200168098A 2020-12-04 2020-12-04 손가락형 산소포화도 측정기용 가드 KR102320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098A KR102320959B1 (ko) 2020-12-04 2020-12-04 손가락형 산소포화도 측정기용 가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8098A KR102320959B1 (ko) 2020-12-04 2020-12-04 손가락형 산소포화도 측정기용 가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0959B1 true KR102320959B1 (ko) 2021-11-03

Family

ID=78505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8098A KR102320959B1 (ko) 2020-12-04 2020-12-04 손가락형 산소포화도 측정기용 가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09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69246A (zh) * 2023-05-24 2023-06-23 深圳市中医院 一种互联网远程仿生脉诊仪器及应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8663A (ja) * 2005-04-08 2006-10-26 Sharp Corp 指輪型生体信号測定装置
KR20090095829A (ko) * 2008-03-06 2009-09-10 (주)참케어 산소포화도 측정기
KR20110041897A (ko) * 2009-10-16 2011-04-22 (주)참케어 산소포화도 센서유닛 및 이를 갖는 산소포화도 측정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8663A (ja) * 2005-04-08 2006-10-26 Sharp Corp 指輪型生体信号測定装置
KR20090095829A (ko) * 2008-03-06 2009-09-10 (주)참케어 산소포화도 측정기
KR20110041897A (ko) * 2009-10-16 2011-04-22 (주)참케어 산소포화도 센서유닛 및 이를 갖는 산소포화도 측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69246A (zh) * 2023-05-24 2023-06-23 深圳市中医院 一种互联网远程仿生脉诊仪器及应用方法
CN116269246B (zh) * 2023-05-24 2023-07-25 深圳市中医院 一种互联网远程仿生脉诊仪器及应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7487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ssessing vascular health
RU2511278C2 (ru) Бесконтактное наблюдение дыхания у пациента и оптический датчик для измерения методом фотоплетизмографии
US5452717A (en) Finger-cot probe
JP4858638B2 (ja) 生体情報測定装置
US8301215B2 (en) Biosignal measurement apparatus
US6385821B1 (en) Apparatus for securing an oximeter probe to a patient
US5337744A (en) Low noise finger cot probe
EP1217941B1 (en) An optical device for non-invasive measurement of blood-related signals utilizing a finger holder
US6699199B2 (en) Photoplethysmograph signal-to-noise line enhancement
EP1534115B1 (en) Body surface probe, apparatus and method for non-invasively detecting medical conditions
JP3940150B2 (ja) カフレス電子血圧計
US7742794B2 (en) Probe adapted to be used with pulse oximeter
US7463796B2 (en) Waveguide and optical motion sensor using optical power modulation
US7899509B2 (en) Forehead sensor placement
US8412297B2 (en) Forehead sensor placement
JP5626659B2 (ja) 監視する目的の血圧を継続的に測定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20090088611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continuous and mobile measurement of various bio-parameters in the external auditory canal
US20030171662A1 (en) Non-adhesive flexible electro-optical sensor for fingertip trans-illumination
US20050261598A1 (en) Patch sensor system for measuring vital signs
FR2587610A1 (fr) Appareil et procede de controle de la pression sanguine
JP2007524482A (ja) 張力インジケーターを備えるヘッドバンド
Kumar et al. Fiber Bragg grating-based pulse monitoring device for real-time non-invasive blood pressure measurement—A feasibility study
KR102320959B1 (ko) 손가락형 산소포화도 측정기용 가드
Mendelson et al. Skin reflectance pulse oximetry: In vivo measurements from the forearm and calf
US20200187789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ssessing vascular heal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