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8236B1 - 탈취기능 및 항균기능을 가지는 접착 패치 패널액자 - Google Patents
탈취기능 및 항균기능을 가지는 접착 패치 패널액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58236B1 KR102358236B1 KR1020200151918A KR20200151918A KR102358236B1 KR 102358236 B1 KR102358236 B1 KR 102358236B1 KR 1020200151918 A KR1020200151918 A KR 1020200151918A KR 20200151918 A KR20200151918 A KR 20200151918A KR 102358236 B1 KR102358236 B1 KR 1023582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ating groove
- seated
- body module
- groove
- se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5—Interconnected frames; Frame assemblies; Frames for two or more pictur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6—Halogen-containing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2—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46—Clay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접착시트를 포함하는, 탈취기능 및 항균기능을 가지는 접착 패치 패널액자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탈취기능 및 항균기능을 가지는 접착 패치 패널액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탈취 및 항균 기능을 가진 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실내를 아름답게 장식함과 동시에, 실내 공기 중에 함유되어 있는 냄새를 제거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실내공기를 항균할 수 있는 탈취기능 및 항균기능을 가지는 접착 패치 패널액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의 사진, 예술품, 미적 감각을 표출할 수 있는 물품은 유명 갤러리에 국한되지 않고, 가정, 실내, 회사 내부에서 다양한 소재를 사용하여 연출되고 있다. 이러한 물품은 액자에 담겨 벽에 걸려질 수 있고, 혹은 패널유닛등에 그려지거나 프린트 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된다.
그런데, 종래의 액자나 패널은 실내를 단순하게 장식하는 기능만 있을 뿐, 실내고기를 정화시키는 기능, 예를 들면 실내 공기에 함유되어 있는 냄새를 흡수해서 제거하는 탈취 또는 실내 공기를 항균하는 기능 등을 가지고 있지 못하여 실내공기를 정화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액자나 패널은 캔버스천 또는 시트 등을 팽팽하게 잡아당기듯이 프레임에 고정하는 작업이 요구되어서, 별도의 캔버스천 등을 이용하여 그림 또는 사진을 프린팅 한 이후, 프린팅된 캔버스천을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작업이 매우 어렵고, 캔버스천 또는 시트 등을 팽팽하게 유지시키는 지그 장치 등이 없을 경우, 캔버스천 또는 시트를 직접 프레임에 연결하기는 거의 불가능할 정도로 매우 어렵고, 품질 저하의 단점이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배경기술에 기재된 내용들은 단지 본 발명의 배경기술을 이해시키기 위해서 작성된 것이므로, 이 기술의 당업자에게 이미 알려진 공지기술 외의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탈취 및 항균 기능을 가진 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실내를 아름답게 장식함과 동시에, 실내 공기 중에 함유되어 있는 냄새를 제거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실내공기를 항균할 수 있는 탈취기능 및 항균기능을 가지는 접착 패치 패널액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기능 및 항균기능을 가지는 접착 패치 패널 액자는, 접착시트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착시트가 부착되는 액자패널부; 및 상기 액자패널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액자패널부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시트는, SiO2/Na2O의 몰비(mole)비가 3.1 ~ 3.4인 액상 규산소듐 27 ~ 39중량%, 이온 교환수 7 ~ 13중량%, 광물질 섬유 0.7 ~ 1.3중량%, 산화아연 4 ~ 7중량%, 150 ~ 500mesh로 이루어진 활성화 규조토 13 ~ 20중량%, 제오라이트 7 ~ 13중량%, 생광석 7 ~ 13중량%, 크기가 10nm인 아나타제형 나노급 이산화티탄 1 ~ 2중량%, 염산10% 수용액 3 ~ 7중량%, 인산10% 수용액 3 ~ 7중량%, 명반10% 수용액 0.7 ~ 2중량%, 무기 항균제 0.3 ~ 0.7중량%, 고흡수성 수지(SAP : super absorbent polymer) 2 ~ 3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프레스 또는 몰드를 이용하여 일정한 크기로 재단하여 사각판 형태로 제작되며, 천연 광물질 재료를 적용한 다기능 무독성 내부 장치용 친환경 패널상기 액자패널부는, 부착 또는 분리 가능한 이형지; 및 상기 이형지가 대면할 평면에 접착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평면의 반대쪽 저면에 패턴 홈부가 형성된 본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모듈이 상기 패턴 홈부를 따라서 접힘에 따라 ㄷ자 단면의 측벽부가 패널유닛의 테두리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모듈은, 상기 패턴 홈부를 경계로 상기 저면에 배치된 복수개의 섹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섹션부는, 상기 본체모듈의 중심을 기준으로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중앙섹션부; 상기 중앙섹션부의 2개의 장변에 연접하도록 배치되어 좌,우 쌍을 이루고, 상기 장변에 대응한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의 제 1 벽섹션부; 상기 중앙섹션부의 2개의 단변에 연접하도록 배치되어 상,하 쌍을 이루고, 상기 단변에 대응한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의 제 2 벽섹션부; 상기 제 1 벽섹션부의 외측변과, 상기 제 2 벽섹션부의 외측변에 각각 연접하도록 배치되고, 평행사변형으로 형성된 끝단섹션부; 및 상기 제 1 벽섹션부와 상기 제 2 벽섹션부 사이의 코너에 연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본체모듈을 접기 전에 상기 패턴 홈부를 경계로 제거되는 삼각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형지가 상기 본체모듈의 상기 접착층으로부터 제거된 후, 상기 접착층에 상기 접착시트가 부착되고, 상기 접착시트는, 상기 본체모듈과의 접착 이후 제거되는 상기 삼각부로 인하여 상기 삼각부에 대응하는 면적만큼 노출된 코너접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너접힘부는 상기 본체모듈을 접을 때 형성된 코너부를 통해 패널유닛의 내측 공간 쪽으로 마감처리되고, 상기 지지대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지면 또는 지지체의 상측에 안착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직각이 되도록 만나 상기 제1 플레이트와 “+” 형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지면 또는 지지체의 상측에 안착되는 제2 플레이트; 상기 액자패널부의 하측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측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안착홈; 및 상기 액자패널부의 하측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안착홈;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제1 안착홈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제1 안착홈에 안착된 상기 액자패널부를 체결하기 위한 제1 체결부; 및 상기 제2 안착홈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제2 안착홈에 안착된 상기 액자패널부를 체결하기 위한 제2 체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제1 안착홈의 상부 일측 벽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안착홈을 개구부의 절반을 덮으며, 상기 액자패널부가 상기 제1 안착홈으로 안착됨에 따라 단부가 하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1 안착홈의 개구부를 개방시켜 주는 제1 커버; 상기 제1 커버와 대향하며 상기 제1 안착홈의 상부 다른 일측 벽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커버에 의하여 덮이지 아니한 개구부의 나머지 절반을 덮으며, 상기 액자패널부가 상기 제1 안착홈으로 안착됨에 따라 단부가 하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1 안착홈의 개구부를 개방시켜 주는 제2 커버;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안착홈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팽창되는 팽창 파우치; 상기 팽창 파우치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측에 상기 제1 보드가 안착되면 하강하여 상기 팽창 파우치를 눌러 주는 안착 플레이트; 상기 팽창 파우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팽창 파우치가 좌우 방향으로 팽창함에 따라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공급하는 제1 실린더; 상기 팽창 파우치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팽창 파우치가 좌우 방향으로 팽창함에 따라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공급하는 제2 실린더; 상기 제1 안착홈의 일측 벽체에 형성되는 제1 설치홈에 안착되며, 상기 제1 실린더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전달받아 팽창되어 상기 제1 커버를 상기 제1 안착홈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액자패널부 방향으로 밀착시켜 주는 제1 밀착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안착홈의 다른 일측 벽체에 형성되는 제2 설치홈에 안착되며, 상기 제2 실린더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전달받아 팽창되어 상기 제2 커버를 상기 제1 안착홈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액자패널부 방향으로 밀착시켜 주는 제2 밀착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탈취 및 항균 기능을 가진 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실내를 아름답게 장식함과 동시에, 실내 공기 중에 함유되어 있는 냄새를 제거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실내공기를 항균할 수 있는 탈취기능 및 항균기능을 수행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기능 및 항균기능을 가지는 접착 패치 패널액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자패널부의 본체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체모듈의 저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탈취기능 및 항균기능을 가지는 접착 패치 패널액자의 제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0의 제1 체결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자패널부의 본체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체모듈의 저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탈취기능 및 항균기능을 가지는 접착 패치 패널액자의 제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0의 제1 체결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취기능 및 항균기능을 가지는 접착 패치 패널액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자패널부의 본체모듈의 평면도이다.
액자패널부(20)는 이형지(100)를 본체모듈(200)으로부터 제거하고, 이후 나타나는 본체모듈(200)의 접착층(210)에 접착시트(10)을 별도로 붙히거나(mounting) 또는 접착에 의해 결합(assembling)시키고, 그리고 패널유닛형상으로 접을 때, 접은 부위만을 접착제로 고정함으로써, 접착제 사용을 최소화하여 만든 제품일 수 있다. 여기서, 접착시트(10)은 별도로 준비한 인쇄물, 사진, 그림, 포스터, 인테리어 아트 물품, 유화, 패브릭 패턴 물품, 일러스트 디자인 시트 등이 될 수 있고, 붙일 수 있는 대상이라 면 특정 물품으로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서, 판, 보드 등과 같이 통상적으로 쉽게 접기 어려운 소재를 이용함으로써, 일반적인 종이 소재에 비해 내구성이 뛰어나고, 틀 또는 프레임과 같은 일체형 골격 구조를 가지면서도 상대적으로 가볍고 경제적으로제작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한다. 즉, 제 1 실시예는 이형지(100)를 본체모듈(200)에서 분리시킬 수 있는 타입으로서, 시트 형태의 접착시트(10)을 본체모듈(200)에 접착시킨 이후, 접어서 패널유닛구조물을 만들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접착시트(10)는 적어도 일 영역에 친환경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친환경 조성물은 실험용 어트리션밀(Attrition mill)에 액상 규산소듐 27 ~ 39중량%, 이온교환수 7 ~ 13중량%, 광물질 섬유 0.7 ~ 1.3중량%를 투입하여 100 ~ 150RPM으로 30 ~ 60분 동안 교반한 후, 산화아연 4 ~ 7중량%를 투입하여 교반하고, 활성화 규조토 13 ~ 20중량%를 3 ~ 5회로 나누어서 투입하여 60 ~ 90분 동안 교반하여 입도계(Mill gauge)로 분산 상태를 확인한 후, 제오라이트 7 ~ 13중량%, 생광석 7 ~ 13중량%를 3 ~ 5회로 나누어서 투입하고 크기가 10nm인 아나타제형 나노급 이산화티탄 1 ~ 2중량%를 투입하여 60 ~ 90분 동안 교반하여 페이스트 상의 균일한 혼합물을 제조하고, 별도의 적하용 보조탱크에 혼합 교반한 염산10% 수용액 3 ~ 7중량%, 인산10% 수용액 3 ~ 7중량%, 명반10% 수용액 0.7 ~ 2중량%를 60 ~ 90분 동안 적하한 후 무기 항균제0.3 ~ 0.7중량%, 고흡수성 수지 2 ~ 3중량%를 투입 후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액상 규산소듐은 흔히 물유리로 통칭되는 것으로 수용액상으로 무독성이고 상대적으로 다른 접착제 및 코팅제의 원료에 비하여 매우 저가이며, 불연성으로 접착제나 코팅제로 응용할 경우 매우 유용한 물질로서 건조되면서 단단하고 견고하게 밀착된 무기질 결합이나 도막을 형성하게 되어 각종 접착제, 바인더 및 증량제, 건축용 천장 및 벽 내외장용 섬유소물질 등의 접착제, 세제 및 응집제, 고내열 코팅제 혹은 용접봉 코팅제용 세라믹 또는 분말 상 바인더, 석재 코팅제 및 마감재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액상 규산소듐(Silicate)은 수분증발에 의한 건조경화와 화학적 경화에 의해 견고한 도막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건조 경화방식은 수분증발에 따라 액상 규산소듐이 점진적으로 점착을 띠게 되고 점도가 증대되어 경화되는 것으로, SiO2/Na2O의 몰비가 비교적 높은 3.32 ~ 3.35의 액상 규산소듐은 몰비가 낮은 것보다 건조 경화에 바람직한데, 몰비가 비교적 높은 액상 규산소듐은 초기 지촉건조까지의 시간이 단축되어 소량의 수분 증발로도 거의 물과 같은 저점도 상태로부터 준 고체상태까지 전환 가능하나, 몰비가 낮은 액상 규산소듐은 높은 알칼리성을 띠고 있어 물과 친화성이 높아 수분의 증발이 서서히 이루어지게 되며 원하는 경화상태를 얻기 위하여 고온에서의 가열이 필요하게 되거나 또는 너무 높은 점도를 나타내어 다른 물질과의 혼합이 어렵고 유동성이 결여되어 실제 적용이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액상 규산소듐의 SiO2/Na2O의 몰비(mole)비는 3.1 ~ 3.4인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액상 규산소듐은 적당한 점도로 조성중에 포함되어 있는 공극(孔隙)이 많은 상기의 기능성 광물질 섬유의 혼합 적용 시 상대적으로 과도한 점도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액상 규산소듐은 임계치를 초과하여 혼합할 경우 경화시간이 길어지면서 강도가 높아져 제조과정 또는 제조 후 약간의 충격에도 쉽게 파괴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고, 이와 반대로, 임계치 미만으로 혼합되면 다른 성분(특히 광물질 섬유)과의 결합력이 약해져 제조과정 또는 제조 후 부스러지는 현상과 더불어 분진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미분말화 된 산화아연(ZnO)은 내수성 보강제로서 규산소듐과 쉽게 친화하여 도막의 경도를 향상시키고, 특히,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쉽게 포집하여 도막이 빨리 건조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즉,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액상 규산소듐의 치명적인 단점인 내수성을 보강함과 동시에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건조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산화아연은 임계치 미만으로 혼합할 경우 액상 규산소듐의 Na이온이 용출되면서 수분에 의하여 조직의 치밀성과 강도가 저하되며, 임계치를 초과하여 혼합할 경우에는 그 이상의 효과증진이 발생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액상 규산소듐과 같은 무기질 바인더와 각종 기능성 광물질의 균일한 혼합 및 분산과 더불어 균열방지 및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물질로서 인체에 무해한 광물질 섬유를 사용한다. 이러한, 광물질 섬유는 미네랄울이라고도 하며, 천연적으로 얻어지는 석면이나 과학적으로 만들어진 인공암면, 글라스울(유리솜) 등이 이에 포함되며, 식물섬유, 합성섬유와 같이 사용되는 섬유의 일종이다. 본 발명에서 광물질 섬유는 Lapinus 702K2-Roxul 1000(Lapinus社, 네덜란드)를 이용하며, 이때에, 평균 사이즈는 4,000㎛이다.
상기와 같은 광물질 섬유는 강도보강, 균열방지, 수축저감, 후막효과 및 패널 제조시 처짐, 휨방지 및 제조공정에서의 레오로지효과 및 작업시간을 개선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활성화 규조토는 광물질 조성물질로서 단세포 조류(藻類)인 규조의 규산질유해(硅酸質遺骸)가 바다나 호수 바닥에 쌓여서 생성된 퇴적물로 90% 이상이 비정질의 실리카 (SiO2)로 되어 있어, 물리화학적으로 안정한 무기질이며, 표면에 무수히 작은 기공들이 존재함은 물론 표면적을 극대화하여 가볍고, 흡습성과 단열성이 뛰어나 소성 단열재로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규조토는 공기 중의 유해물질의 흡착, 여과의 역할이 가능하여 실내 공기 중에 있는 불순물을 걸러 주며, 음이온과 원적외선의 방출로 신체 내부 깊숙히 작용하여 인체의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하여 준다. 특히, 음이온은 각종 오염으로 급증한 주변의 양이온을 흡착, 중화시킨다. 규조토의 대량의 기공성 구조는 다습할 경우에는 습기를 흡수하고 건조할 경우에는 발산을 하여, 사람이 수면을 취하는 동안 수분의 흡수와 발산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숙면을 취하게 하고, 전자파 및 각종 오염물질을 흡수하여 사람의 신체를 유해 전자파로부터 보호한다.
본 발명에서의 활성화 규조토는 150 ~ 500mesh 사이의 것을 이용하는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25mesh인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활성 규조토를 150mesh미만의 제품을 이용할 경우에는 조직이 치밀하지 못한 동시에 표면에 부분적으로 뭉침현상과 더불어 표면이 평활하게 형성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고, 500mesh를 초과한 제품을 이용할 경우에는 전체적인 점도가 너무 높아져서 가공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 활성화 규조토는 임계치 미만으로 혼합할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전자파 및 각종 오염물질을 흡수할 수 있는 기능을 기대할 수 없고,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점도가 너무 높아지는 문제점과 더불어 활성 규조토 이외의 다른 광물질을 더 적용하기 어렵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제오라이트 7 ~ 13중량%가 혼합된다. 제오라이트(Zeolite)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 결정체를 기본 구조로 내부에 갖고 있는 미세한 공극(孔隙)은 결정격자(Crystal Lattice) 의하여 정해지며 공극의 크기가 매우 균일하다. 제올라이트의 균일한 미세공극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분자들을 흡착할 수 있는데 이러한 분자체(Moulecular Sieve)효과라고 한다. 무수 제오라이트는 극성 분자에 대하여 흡착성이 강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어지는 제오라이트는 Na-4A형 제오라이트이며 흡착성이 강한 특성을 나타낸다. 제오라이트는 시중의 실리카겔이나 활성알루미나와 같은 흡수제와는 달리 기공분포가 매우 균일하여 특정크기의 분자에 대해 선택적 흡착이 가능하고, 특히, 물 분자에 대하여 탁월한 선택적 흡수 능력을 발휘한다.
이러한 제오라이트의 높은 평형흡수력은 -60℃이하의 이슬점을 요구하는 대부분의 수분흡착 용도에서 광범위하게 적용된다. 또한, 상기 제오라이트는 기타 다른 건조/흡수 시스템에 비해 낮은 상대습도 및 고온에서도 상대적으로 우수한 흡수력을 나타냄과 동시에 Si와 Al을 주 성분으로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고온에서도 흡수력이 뛰어남은 물론, 상대습도의 변화에 따른 흡수력 변화가 적어 국내와 같이 계절별 습도의 변화가 큰 환경에 매우 적합하다. 제오라이트는 양이온의 치환정도와 Al/Si의 비에 따라 공유되는 산소 수에 의하여 제오라이트의 Pore Size(공극의 크기)가 결정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오라이트 7 ~ 13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하는데, 7중량%미만을 참가하였을 경우 암모니아 및 포름알데히드 탈취실험시 2시간 경과 후 탈취율이 70%이하로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13중량%를 초과하였을 경우에는 점도가 높아져 적절한 작업성 확보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다른 기능성 광물의 추가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다음으로, 생광석은 견운모 계열로서 국내 다수의 인증기관이 원적외선 방사율을 측정하는 온도인 35 ~ 40℃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인 25℃에서 NASA에서 밝힌 생체세포 활성화 효과를 갖는 4 ~ 16㎛대의 원적외선 파장을 방사하는 물질이다. 특히, 생체 분자운동에너지인 9.36㎛인 원적외선 파장을 중심으로 8 ~ 12㎛대의 원적외선 파장을 강하게 방사하는 물질이다. 상기 8 ~ 12㎛대의 원적외선 파장은 피부세포 속 40mm 깊이로 투과되어 생체세포를 활성화시켜 모세혈관 확장 및 혈액순환 촉진효과를 높여 면역기능을 강화하는 것으로 국내의 다양한 임상실험에서 검증된 바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원적외선 파장을 방사시킬 수 있도록 혼합하며, 이러한, 생광석은 150 ~ 500mesh인 것을 이용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25mesh인 것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생광석은 전체 중량 대비 7 ~ 13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만약 상기 임계치의 하한치인 7중량%미만으로 혼합할 경우 원적외선 파장 방사에 따른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에는 다른 광물질 성분의 초과하였을 경우에는 점도가 높아져 적절한 작업성 확보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다른 기능성 광물의 추가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다음으로, 아나타제형 나노급 이산화티탄은 광촉매 기능을 위해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광촉매는 빛에너지를 받아 촉매작용이 일어나는 물질을 총칭한다. 광촉매가 자외선 영역 중 약 400nm 파장 이하의 빛을 흡수하면, 전자가 가전도대(Valence band)에서 전도대(Conduction band)로 여기되면서 가전도대에 양의 정공이 형성된다. 여기된 전자와 정공은 강한 산화/환원 능력을 갖고 있어 공기 중의 산소, 물 등과 반응하여 광촉매의 표면에 슈퍼옥사이드 음이온, 수산라디칼 등을 생성한다. 특히 수산라디칼(OH?)은 높은 산화, 환원 전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NOx, SOx,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및 각종 악취물질을 무해한 화합물로 분해하므로 공기/대기 정화 및 오/폐수 전처리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병원균을 산화시켜 살균하는 특성과 친수성이 강한 표면을 형성하여 광촉매를 코팅한 표면에 물이 맺히지 않고 흘러내리며 김이 서리지 않는 성질 등으로 환경정화, 도로, 주택설비시공, 건축물자재, 가전, 자동차, 농업용품, 일용품, 간판과 의료용품 등 응용가능한 분야가 무궁무진하다. 상기와 같은 광촉매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에는 ZnO, CdS, WO3, TiO2 등이 알려져 있으며, 이 중에서도 이산화티탄이 물리/화학적으로 안정하고 광활성이 우수하여 광촉매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산화티탄은 루틸형(Rutile), 부르카이트형(brookite) 및 아나타제형(Anatase)의 3가지 결정구조가 알려져 있으며 아나타제형 결정이 광촉매 활성이 가장 뛰어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또한 입자의 크기가 작고 응집 상태가 잘 제어되어 비표면적이 넓을수록 광촉매 활성이 뛰어나다. 즉, 본 발명에서의 아나타제형 나노급 이산화티탄은 내곰팡이성, 유해가스 분해를 위한 제오라이트 및 기타 기능성 광물질과 혼합되었을 때에, 광촉매 반응을 통해 다른 조성물들의 반응을 촉진할 수 있도록 작용함과 동시에 탈취기능 부여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음으로, 명반을 10%로 희석한 명반10% 수용액은 액상 규산소듐과 반응하여 불용성의 규산알루미늄을 생성하여 불용화 반응을 촉진시키며, 불용성의 접착제 전체에 균일한 불용화 반응을 촉시켜 불용성의 접착제 전체에 균일한 불용화 반응이 일어나 접합강도를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도록 작용한다.
또한, 염산 및 인산을 10%로 희석시킨 염산10% 수용액과 인산10% 수용액은 소듐염과의 반응시 급속한 결정화를 지연시키도록 작용하여 접착제의 제조과정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특히, 불용성과 접착강도를 증진시켜 접착제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염산 및 인산을 10%로 희석시킨 수용액을 60 ~ 90분 동안 적하(滴[0085] 下, Dropping Method)하여 투입함으로써 원활한 제조공정과 더불어 양질의 최종물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 중에서 명반, 염산 및 인산 수용액보다 선행 적용되는 산화아연, 활성화 규조토의 첨가로 수분에 안정화되어 있는 상태의 혼합물에 명반, 염산 및 인산 수용액을 첨가하는 것은 코팅제 및 접착제에 적용
하는 것과는 달리 상대적으로 상당한 두께의 내장패널 제조 시 패널 내부까지 수분에 대한 안정성 및 접합강도를 증진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명반 수용액은 명반 수용액을 혼합하기 이전의 다른 조성물을 혼합하여 형성된 페이스트 상태의 혼합액 중 액상 규산소듐과 반응하여 일부 규산알루미늄을 생성하여 수불용성과 접합강도를 증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어 내수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명반10% 수용액, 염산 10% 수용액, 인산10% 수용액은 임계치 미만일 경우에는 상술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조 후 저장 안정성에 제약이 따른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항균제 0.3 ~ 0.7중량%가 혼합된다. 항균 작용은 미생물의 발육저해 작용인 정균작용(Bacteriostatic, fungistatic)과 미생물 사멸작용인 살균작용(bactericidal, fungicidal)으로 구분한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언급하는 "항균"은 미생물을 근본적으로 사멸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살균"과는 다른 개념으로, 미생물의 번식이 억제되거나 생성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살균은 일시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반면 항균은 지속적인 효과를 지니고 있어야 한다. 또한 "곰팡이"는 포자로 증식하고 균체가 사상(絲狀)으로 나타나는 것을 총칭하는 것으로 항균과 다르게 "내 곰팡이“로 별도 구분 사용한다. 항균제는 [표 3]에서와 같이 재료에 따라 유기계와 무기계로 크게 분류되며, 유기계는 천연계 합성품이 있으며, 천연제품은 차, 대나무, 와사비 등에서 추출한 고농도 성분으로 구성되어 가장 안정하지만 항균 특성의 수명이 극히 짧고 내열성이 없어 사용이 극히 제한적이다.
더욱이, 유기계 항균제의 인체에 대한 안정성이 문제되면서 유기계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무기계 항균제가 주목받고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제오라이트로 이루어진 무기담체(擔體, carrier)에 은, 구리, 아연 등과 같이 항균성이 뛰어난 금속이온을 치환시킨 것을 적용하였다. 이러한 무기항균제는 미세한 공극을 갖는 3차원의 골격구조를 지니기 때문에 비표면적이 크고 내열성이 우수하여 제조 과정상 일정온도로 가열하는 과정이 있는 내장 페널 등의 제조에 적합하다. 이러한 무기계 항균제는 종래의 유기계 항균제와 비교하여 내열성이 높고 휘발, 분해 등을 일으키지 않는 등 안정성이 높기 때문에 넓은 용도로 응용할 수 있으며, 항균효과는 활성 산소이온에 의해 발현되기 때문에 약제의용출에 의한 즉효성은 없지만 지속성이 길고 내성균을 발생시키지 않는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 고흡수성 수지의 기존의 흡수 기능을 갖는 규조토, 제오라이트와 같은 조성이 이미 적용되기 때문에 흡수 기능을 강화시키기 위한 투입량은 2 ~ 3중량%가 적합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규산염계 무기질바인더 및 천연 광물질 재료를 적용한 무독성 친환경 패널의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페이스트상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탈취 및 항균기능을 가지는 접착시트(10)를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작된 상기 패널용 조성물을 가열장치가 장착되어 있는 몰드에 투입한 후, 가열 가능한 프레스로 가열 압착하여 사각판체를 제작하여 접착시트(10)를 제작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형지(100)는 본체모듈(200)에 대하여 부착 또는 분리 가능한 것으로서, 흰색의 종이, 문양을 갖는 시트지, 또는 모눈종이 형태의 지물로서, 접착층(210)에 대하여 점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형지(100)를 본체모듈(200)의 접착층(210)으로부터 제거시킨 후, 상기 접착층(210)에 부착되는 접착시트(1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이형지(100)만을 갖는 타입이거나, 이형지(100)를 제거한 후 접착시트(10)이 본체모듈(200)에 부착되어 있는 타입일 수 있다.
본체모듈(200)은 이형지(100)가 대면할 평면에 접착층(210)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평면의 반대쪽 저면에 패턴 홈부(220)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패턴 홈부(220)는 커터 장치를 통해 가공된 것으로서, 패널유닛의 사이즈 또는 규격별 접는 패턴에 대응하게 미리 정한 폭과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어서, 본체모듈(200)이 접혀져서 패널유닛의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게 디자인 될 수 있다. 즉, 하기에 상세히 설명할 바와 같이, 본체모듈(200)은 8각형 평면 형상과, 상기 8각형 평면 형상의 저면에서 패널유닛의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게 디자인되고, 중앙섹션부를 기준으로 중앙섹션부의 코너쪽 삼각부를 제거한 후 중앙섹션부의 4변 각각에서 연속적으로 연결된 벽섹션부 및 끝단섹션부를 접을 수 있도록 디자인된 패턴 홈부를 포함하여서, 중앙섹션부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두꺼운 측벽부가 일체형으로 중앙섹션부의 4변에 형성된 것과 같은 패널유닛의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본체모듈(200)은 패턴 홈부(220)를 따라서 접힘에 따라서, 단면의 측벽부(230)를 패널유닛(300)의 4개의 테두리에 형성시킬 수 있다. 본체모듈(200)의 두께(T1)는 일반적인 A4 용지의 두께보다는 두껍고, 통상적인 박스 포장용 골판지 정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만일, 본체모듈(200)이 접혀서 패널유닛(300)이 될 때, 패널유닛(300)의 두께, 즉 ㄷ자 단면의 측벽부(230)의 두께는 패널유닛(300)의 중앙 영역을 제외하고, 본체모듈(200)의 두께(T1)(도 1 참조)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ㄷ자 단면의 측벽부(230)는 패널유닛(300)의 테두리를 따라 패널유닛(300)의 두께(T2)에 대응한 크기로 형성되는 반면, 패널유닛(300)의 중앙 영역의 두께는 본체모듈(200)의 두께(T1)에 비해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패널유닛(300)은 구조적으로 강하면서도 중량이 가벼운 제품으로 완성될 수 있다. 또한, 접힘과 재단을 용이하게 하고, 불사용 부위의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본체모듈(200) 및 이형지(100)는 8각형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체모듈의 저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형지(100)는 이형필름층(102)을 통해서 접착층(210)에 결합된다. 접착층(210)은 상기 본체모듈의 상기 평면에 도포되는 고분자 폴리머 접착제이거나, 상기 평면에 부착되는 양면 접착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패턴 홈부(220)는 본체모듈(200)을 접기 위한 기준위치가 되거나, 상기 본체모듈(200)의 일부분을 제거하기 위한 기준위치가 된다. 패턴 홈부(220)는 V자 홈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패턴 홈부(220)는 일반적으로 엠디에프(MDF)를 다루는 공장에서 사용되는 끌형태의 공구 또는 커터를 이용하여서, ㄷ자 단면의 측벽부(230)를 패널유닛의 테두리에 일체형으로 접어 형성시킬 수 있는 패턴 형상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V자 홈단면 형상은 상광하협 단면과 같이 홈폭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듯이, 대략 내각 90°를 이루고 있 다. 다만, 이러한 각도 수치는 특정 수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접힘 고정용 접착제의 두께를 고려하여 내각 90°보다 크게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접힘 고정용 접착제를 감안하여서, V자 홈단면 형상의 양측 경사면이 만나는 부위에는 유격 공간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각도 수치를 포함한 V자 홈단면 형상은 직각으로 접히거나, 또는 기설정된 곡률을 가지고 절곡 또는 파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패턴 홈부(220)의 형상, 각도, 크기, 및 간격 등을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연결부(221)는 패턴 홈부(220)에서 접힘 또는 파단이 이루어지는 접이선(222,223)에 해당하는 부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패턴 홈부(220)의 연결부(221)의 두께(T3)는 패턴 홈부(220)를 기준으로 본체부(100)를 1회 접었을 때, 패턴 홈부(220)의 접이선(222)(도 3에서 점선 표시)을 기준으로 파단이 이루어지지 않고 안전하게 접힐 수 있을 정도로 정해질 수 있다. 패턴 홈부(220)의 접이선(222)에는 고정용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이때, 패턴 홈부(220)의 연결부(221)의 두께(T3)는 패턴 홈부(220)를 기준으로 접었던 본체부(100)를 다시 원래 위치로 복원, 2회 이상 접었을 때, 패턴 홈부(220)의 다른 접이선(223)(도 3에서 실선 표시)을 기준으로 파단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정도로 정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파단이 이루어지는 접이선(223)에는 고정용 접착제가 도포되지 않기 때문에, 불필요한 접착제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접이선(222,223)을 포함한 패턴 홈부(220)를 가공시, 절곡이 이루어지는 곳과 파단이 이루어 지는 곳을 구별하지 않고, 연결부(221)의 두께(T3)를 모두 동일하게 함으로써, 패턴 홈부(220)의 제작 시간 및 가공비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본체모듈(200)은 피비(PB; PARTICLE BOARD), 엠디에프(MDF; MEDIUM DENSITH FIBERBOARD), 에이치디에프(HDF; HIGH DENSITH FIBERBOARD), 하드폼 패널, 합판 및 목재 집성판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체모듈(200)은 도 3에 도시된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거나 서로 교차하고 있는 패턴 홈부(220)를 경계로 본체모듈(200)의 저면에 배치된 복수개의 섹션부(240)를 포함한다. 즉, 섹션부(240)는 패턴 홈부(22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돌출된 부위로서, 패턴 홈부(220)를 통해 개별적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러한 섹션부(240)는 본체모듈(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중앙섹션부(241)와, 상기 중앙섹션부(241)의 2개의 장변에 연접하도록 배치되어 좌,우 쌍을 이루고, 상기 장변에 대응한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의 제 1 벽섹션부(242,243)를 포함한다.
또한, 섹션부(240)는 상기 중앙섹션부(241)의 2개의 단변에 연접하도록 배치되어 상,하 쌍을 이루고, 상기 단변에 대응한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의 제 2 벽섹션부(244,245)를 포함한다.
또한, 섹션부(240)는 제 1 벽섹션부(242,243)의 외측변과, 상기 제 2 벽섹션부(244,245)의 외측변에 각각 연접하도록 배치되고, 평행사변형으로 형성된 끝단섹션부(246,247,248,249)를 포함한다.
또한, 섹션부(240)는 제 1 벽섹션부(242,243)와 상기 제 2 섹션부(244,245) 사이의 코너에 연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본체모듈(200)을 접기 전에 상기 패턴 홈부(220)를 경계로 제거되는 총 4개의 삼각부(240a)를 포함한다. 각 삼각부(240a)는 파단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접이선(223)을 통해서 본체모듈(2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삼각부(240a)만 분리되고, 삼각부(240a)에 대면하고 있던 접착시트는 그대로 남게 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은 탈취기능 및 항균기능을 가지는 접착 패치 패널액자의 제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형지(100)는 본체모듈(200)의 접착층(210)으로부터 자업자에 의해 분리되며, 도 5를 참조하면, 이형지(100)는 본체모듈(200)의 접착층(210)으로부터 자업자에 의해 분리된다. 사진, 코팅 사진, 그림, 인테리어 아트 물품 등과 같이 시트 형태의 접착시트(10)은 본체모듈(200)의 접착층(210) 위에 부착된다. 이때, 접착시트(10)의 테두리 등과 같이 일부분(11)은 본체모듈(200)의 형상에 맞게 재단되어 제거될 수 있다. 이후, 본체모듈(200)의 저면이 표출될 수 있도록, 접착시트(10)이 부착된 본체모듈(200)은 뒤집어져서 도 6과 같이 본체모듈(200)으로부터 제거되는 삼각부(240a)로 인하여, 접착시트(10)은 상기 삼각섹션 부(240a)에 대응하는 면적만큼 노출된 코너접힘부(12)를 더 포함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접착시트(10)과 결합된 본체모듈(200)은 도 7의 위쪽 단계에서 아래쪽 단계와 같이, 차례로 접히게 됨으로써, 패널유닛(300)의 4개의 테두리, 즉 중앙섹션부(241)의 4개의 테두리 부위에 ㄷ자 단면의 측벽부(230)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패턴 홈부(220)에 개재되어 접힘 부위(예: V자 홈단면 형상의 내측 경사면끼리 대면하는 부위)를 고정시키는 접힘 구조 유지 혹은 고정용 접착제(260,261)를 더 포함한다.
접착제(260,261)는 중앙섹션부(241)와 상기 제 1 벽섹션부(242,243) 사이의 패턴 홈부와, 상기 중앙섹션부(241)와 상기 제 2 벽섹션부(244,245) 사이의 패턴 홈부와, 상기 끝단섹션부(246,247,248,249)와 상기 제 1 벽섹션부(242,243)와 사이의 패턴 홈부와, 상기 끝단섹션부(246,247,248,249)와 상기 제 2 벽섹션부(244,245) 사이의 패턴 홈부에 도포된다. 여기서, 접착제(260,261)는 접착필름, 고분자 폴리머 접착제, 순간접착제, 목재용 접착제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본체모듈(200)의 해당 섹션부, 즉 제 1 벽섹션부(242,243), 제 2 벽섹션부(244,245) 및 끝단섹션부(246,247,248,249)가 패턴 홈부(220)의 접이선(222)을 기준으로 접히는 경우에는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자연스럽게 같이 움직일 수 있는 코너접힘부(12)가 마감처리접이선(13)을 기준으로 접혀지고, 이와 동시에 패널유닛(300)이 만들어진다.
이때, 본체모듈(200)의 끝단섹션부(246,247,248,249)와 제 1 벽섹션부(242,243) 및 제 2 벽섹션부(244,245)를 접을 때 벤딩포스가 접착시트(10)에 발생된다. 즉, 접착시트(10)는 본체모듈(200)이 접히는 바깥쪽 위치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팽팽하게 당겨지는 장력, 즉 벤딩포스를 받게 된다. 이에 따라서, 접착시트(10)는 패널유닛(300)의 코너에 팽팽하게 밀착될 수 있다. 도 8은 액자패널부의 저면쪽 사시도이다. 접혀진 코너접힘부(12)는 본체모듈(200)을 접을 때 형성된 코너부(250)를 통해 패널유닛(300)의 내측 공간(C) 쪽으로 끼여 있거나 삽입되듯이 마감처리될 수 있다.
또한, ㄷ자 단면의 측벽부(230)는 패널유닛(300)의 4개의 테두리, 즉 중앙섹션부(241)의 테두리를 기반으로 직립되게 접혀진 제 1 벽섹션부(243)와, 제 1 벽섹션부(243)를 기준으로 상기 중앙섹션부(241)에 대하여 평행을 이루도록 접혀진 끝단섹션부(246)로 이루진다. 이에 따라서, 내측 공간(C)은 패널유닛(300)에서 측벽부(230)로 둘러싸인 형태로 형성되어서, 기존의 패널유닛제품에 비하여 본 발명의 패널유닛(300)의 중량을 상대적 저감시킬 수 있으면서, 측벽부(230)에 의해 패널유닛(300)의 구조적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부착대상물(10)은 패널유닛(300)의 평면뿐만 아니라, 패널유닛(300)의 측면, 즉 측벽부(230)의 외측면 및, 끝단섹션부(246)에 해당하는 패널유닛(300)의 저면까지 표출될 수 있다. 이런 연유로, 패널유닛(300)은 고품질 및 고품격의 제품 구성을 갖게 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지지대(500)는, 제1 플레이트(510), 제2 플레이트(520), 제1 안착홈(530), 제2 안착홈(540), 제1 체결부(550) 및 제2 체결부(560)를 포함한다.
제1 플레이트(510)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지면 또는 구조물체에 안착된다. 여기서 구조물체는 책상, 테이블 등 본 발명의 액자패널부가 설치될 수 있는 다양한 지지물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520)는, 제1 플레이트(510)와 직각이 되도록 만나 제1 플레이트(510)와 "+" 형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지면 또는 구조물체의 상측에 안착된다.
제1 안착홈(530)은, 접착시트(10)를 포함하는 액자패널부(20)의 하측이 안착될 수 있도록 제1 플레이트(510)의 상측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2 안착홈(540)은, 액자패널부(20)의 하측이 안착될 수 있도록 제2 플레이트(520)의 상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액자패널부(2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제1 안착홈(530) 또는 제2 안착홈(54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체결부(550)는, 제1 안착홈(530)을 따라 설치되어 제1 안착홈(530)에 안착된 액자패널부(20)를 체결한다.
제2 체결부(560)는, 제2 안착홈(540)을 따라 설치되어 제2 안착홈(540)에 안착된 액자패널부(20)를 체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지지대(500)는, 각 안착홈(530, 540)에 안착되는 액자패널부(20)를 체결하여 지지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탈취기능 및 항균기능을 가지는 접착 패치 패널 액자(1)를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도 10의 제1 체결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1 체결부(550)는, 제1 커버(551), 제2 커버(552), 팽창 파우치(553), 안착 플레이트(554), 제1 실린더(555), 제2 실린더(556), 제1 밀착 플레이트(557) 및 제2 밀착 플레이트(558)를 포함한다.
제1 커버(551)는, 제1 안착홈(530)의 상부 일측 벽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1 안착홈(530)을 개구부의 절반을 덮으며, 액자패널부(20)가 제1 안착홈(530)으로 안착됨에 따라 단부가 하측으로 회동되어 제1 안착홈(530)의 개구부를 개방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커버(551)는, 회동 플레이트(5511) 및 탄성 플레이트(5512)를 포함할 수 있다.
회동 플레이트(5511)는, 제1 안착홈(530)의 상부 일측 벽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탄성 플레이트(5512)는, 회동 플레이트(5511)의 상측에 설치되며, 액자패널부(20)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제1 밀착 플레이트(557)가 회동 플레이트(5511)를 밀어줌에 따라 액자패널부(20)와 밀착된다.
제2 커버(552)는, 제1 커버(551)와 대향하며 제1 안착홈(530)의 상부 다른 일측 벽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1 커버(551)에 의하여 덮이지 아니한 개구부의 나머지 절반을 덮으며, 액자패널부(20)가 제1 안착홈(530)으로 안착됨에 따라 단부가 하측으로 회동되어 제1 안착홈(530)의 개구부를 개방시켜 준다.
여기서, 제2 커버(552)는, 상술한 제1 커버(551)의 회동 플레이트(5511) 및 탄성 플레이트(5512)의 구성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팽창 파우치(553)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제1 안착홈(530)의 하측에 설치되며, 액자패널부(20)가 하강함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져 좌우 방향으로 팽창하여 제1 실린더(555) 및 제2 실린더(556)를 압축시켜 준다.
안착 플레이트(554)는, 팽창 파우치(553)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측에 액자패널부(20)가 안착되면 하강하여 팽창 파우치(553)를 눌러 준다.
제1 실린더(555)는, 팽창 파우치(553)의 일측에 설치되어 팽창 파우치(553)가 좌우 방향으로 팽창함에 따라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제1 밀착 플레이트(557)로 공급한다.
제2 실린더(556)는, 팽창 파우치(553)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어 팽창 파우치(553)가 좌우 방향으로 팽창함에 따라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제2 밀착 플레이트(558)로 공급한다.
제1 밀착 플레이트(557)는, 제1 안착홈(530)의 일측 벽체에 형성되는 제1 설치홈에 안착되며, 제1 실린더(555)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전달받아 팽창되어 제1 커버(551)를 제1 안착홈(530)에 안착되어 있는 액자패널부(20) 방향으로 밀착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밀착 플레이트(557)는, 제1 실린더(555)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전달받아 팽창되는 팽창부(5571)를 내측에 구비할 수 있다.
제2 밀착 플레이트(558)는, 제1 안착홈(530)의 다른 일측 벽체에 형성되는 제2 설치홈에 안착되며, 제2 실린더(556)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전달받아 팽창되어 제2 커버(552)를 제1 안착홈(530)에 안착되어 있는 액자패널부(20) 방향으로 밀착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밀착 플레이트(558)는, 제2 실린더(556)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전달받아 팽창되는 팽창부(5581)를 내측에 구비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접착시트
100 : 이형지
200 : 본체모듈
210 : 접착층
220 : 패턴 홈부
230 : 측벽부
240 : 섹션부
240a : 삼각부
250,251,252 : 코너부
260,261 : 접착제
300 : 패널유닛
400 : 패브릭부
500: 지지대
100 : 이형지
200 : 본체모듈
210 : 접착층
220 : 패턴 홈부
230 : 측벽부
240 : 섹션부
240a : 삼각부
250,251,252 : 코너부
260,261 : 접착제
300 : 패널유닛
400 : 패브릭부
500: 지지대
Claims (2)
- 접착시트를 포함하는, 탈취기능 및 항균기능을 가지고,
상기 접착시트가 부착되는 액자패널부; 및 상기 액자패널부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액자패널부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시트는,
SiO2/Na2O의 몰비(mole)비가 3.1 ~ 3.4인 액상 규산소듐 27 ~ 39중량%, 이온 교환수 7 ~ 13중량%, 광물질 섬유 0.7 ~ 1.3중량%, 산화아연 4 ~ 7중량%, 150 ~ 500mesh로 이루어진 활성화 규조토 13 ~ 20중량%, 제오라이트 7 ~ 13중량%, 생광석 7 ~ 13중량%, 크기가 10nm인 아나타제형 나노급 이산화티탄 1 ~ 2중량%, 염산10% 수용액 3 ~ 7중량%, 인산10% 수용액 3 ~ 7중량%, 명반10% 수용액 0.7 ~ 2중량%, 무기 항균제 0.3 ~ 0.7중량%, 고흡수성 수지(SAP : super absorbent polymer) 2 ~ 3중량%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프레스 또는 몰드를 이용하여 일정한 크기로 재단하여 사각판 형태로 제작되며,
천연 광물질 재료를 적용한 다기능 무독성 내부 장치용 친환경 패널상기 액자패널부는, 부착 또는 분리 가능한 이형지; 및 상기 이형지가 대면할 평면에 접착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평면의 반대쪽 저면에 패턴 홈부가 형성된 본체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모듈이 상기 패턴 홈부를 따라서 접힘에 따라 ㄷ자 단면의 측벽부가 패널유닛의 테두리에 형성되고,
상기 본체모듈은, 상기 패턴 홈부를 경계로 상기 저면에 배치된 복수개의 섹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섹션부는, 상기 본체모듈의 중심을 기준으로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중앙섹션부; 상기 중앙섹션부의 2개의 장변에 연접하도록 배치되어 좌,우 쌍을 이루고, 상기 장변에 대응한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의 제 1 벽섹션부; 상기 중앙섹션부의 2개의 단변에 연접하도록 배치되어 상,하 쌍을 이루고, 상기 단변에 대응한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의 제 2 벽섹션부; 상기 제 1 벽섹션부의 외측변과, 상기 제 2 벽섹션부의 외측변에 각각 연접하도록 배치되고, 평행사변형으로 형성된 끝단섹션부; 및 상기 제 1 벽섹션부와 상기 제 2 벽섹션부 사이의 코너에 연접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본체모듈을 접기 전에 상기 패턴 홈부를 경계로 제거되는 삼각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형지가 상기 본체모듈의 상기 접착층으로부터 제거된 후, 상기 접착층에 상기 접착시트가 부착되고,
상기 접착시트는, 상기 본체모듈과의 접착 이후 제거되는 상기 삼각부로 인하여 상기 삼각부에 대응하는 면적만큼 노출된 코너접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코너접힘부는 상기 본체모듈을 접을 때 형성된 코너부를 통해 패널유닛의 내측 공간 쪽으로 마감처리되고,
상기 지지대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지면 또는 구조물체의 상측에 안착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직각이 되도록 만나 상기 제1 플레이트와 “+” 형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지면 또는 구조물체의 상측에 안착되는 제2 플레이트; 상기 액자패널부의 하측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측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안착홈; 및 상기 액자패널부의 하측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안착홈;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제1 안착홈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제1 안착홈에 안착된 상기 액자패널부를 체결하기 위한 제1 체결부; 및 상기 제2 안착홈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제2 안착홈에 안착된 상기 액자패널부를 체결하기 위한 제2 체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제1 안착홈의 상부 일측 벽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안착홈을 개구부의 절반을 덮으며, 상기 액자패널부가 상기 제1 안착홈으로 안착됨에 따라 단부가 하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1 안착홈의 개구부를 개방시켜 주는 제1 커버;
상기 제1 커버와 대향하며 상기 제1 안착홈의 상부 다른 일측 벽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커버에 의하여 덮이지 아니한 개구부의 나머지 절반을 덮으며, 상기 액자패널부가 상기 제1 안착홈으로 안착됨에 따라 단부가 하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1 안착홈의 개구부를 개방시켜 주는 제2 커버;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안착홈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짐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팽창되는 팽창 파우치;
상기 팽창 파우치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측에 상기 제1 보드가 안착되면 하강하여 상기 팽창 파우치를 눌러 주는 안착 플레이트;
상기 팽창 파우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팽창 파우치가 좌우 방향으로 팽창함에 따라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공급하는 제1 실린더;
상기 팽창 파우치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팽창 파우치가 좌우 방향으로 팽창함에 따라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공급하는 제2 실린더;
상기 제1 안착홈의 일측 벽체에 형성되는 제1 설치홈에 안착되며, 상기 제1 실린더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전달받아 팽창되어 상기 제1 커버를 상기 제1 안착홈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액자패널부 방향으로 밀착시켜 주는 제1 밀착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안착홈의 다른 일측 벽체에 형성되는 제2 설치홈에 안착되며, 상기 제2 실린더로부터 공급되는 유체를 전달받아 팽창되어 상기 제2 커버를 상기 제1 안착홈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액자패널부 방향으로 밀착시켜 주는 제2 밀착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접착 패치 패널액자.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1918A KR102358236B1 (ko) | 2020-11-13 | 2020-11-13 | 탈취기능 및 항균기능을 가지는 접착 패치 패널액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51918A KR102358236B1 (ko) | 2020-11-13 | 2020-11-13 | 탈취기능 및 항균기능을 가지는 접착 패치 패널액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58236B1 true KR102358236B1 (ko) | 2022-02-07 |
Family
ID=80253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51918A KR102358236B1 (ko) | 2020-11-13 | 2020-11-13 | 탈취기능 및 항균기능을 가지는 접착 패치 패널액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58236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83306A (ko) * | 1997-05-13 | 1998-12-05 | 이원복 | 바이오세라믹스가 혼합된 위생 접착제 및 그 제조방법 |
KR200374793Y1 (ko) | 2004-10-29 | 2005-02-03 | 김경주 | 탈취/탈습기능을 가진 액자 |
KR101552833B1 (ko) * | 2014-07-08 | 2015-09-15 | 주식회사 코리아몰딩 | 접이식 캔버스 패널 |
-
2020
- 2020-11-13 KR KR1020200151918A patent/KR10235823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83306A (ko) * | 1997-05-13 | 1998-12-05 | 이원복 | 바이오세라믹스가 혼합된 위생 접착제 및 그 제조방법 |
KR200374793Y1 (ko) | 2004-10-29 | 2005-02-03 | 김경주 | 탈취/탈습기능을 가진 액자 |
KR101552833B1 (ko) * | 2014-07-08 | 2015-09-15 | 주식회사 코리아몰딩 | 접이식 캔버스 패널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08438B1 (ko) | 친환경 기능성 도배풀 조성물 | |
KR101313009B1 (ko) | 친환경 유해물질 차단 조성물 | |
JP2006200834A (ja) | 吸放湿性フィルタおよび加湿装置 | |
KR101280316B1 (ko) | 유해물질의 흡착, 분해, 차단 및 탈취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070116393A (ko) | 시멘트가 함유되지 않은 몰탈 조성물 | |
KR101224006B1 (ko) | 의자 및 책상 부재용 다기능 합성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180110740A (ko) | 친환경 머드 페인트 및 그 제조방법 | |
KR101168010B1 (ko) | 규산염계 무기질바인더 및 천연 광물질 재료를 적용한 다기능 무독성 내부 장치용 친환경 패널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패널과 그 제조방법 | |
KR20170013603A (ko) | 규산염계 무기질 바인더 및 천연 광물질 재료를 적용한 다기능 내부 장식용 친환경 보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보드의 제조 방법 | |
KR102358236B1 (ko) | 탈취기능 및 항균기능을 가지는 접착 패치 패널액자 | |
KR20160061723A (ko) | 기능성 항균 벽지 및 벽 마감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CN206128523U (zh) | 一种可净化空气的天花板 | |
KR100858351B1 (ko) | 친환경 및 기능성 수성 도료 조성물 | |
CN108160028A (zh) | 一种含Meen海洋因子的活性空气净化颗粒 | |
ES2294847T3 (es) | Material estratificado desinfectante y antibacteriano a base de particulas leñosas. | |
CN201019346Y (zh) | 一种防霉榻榻米 | |
KR101516518B1 (ko) | 친환경 의료용 실내마감재 | |
KR100738487B1 (ko) | 광촉매 제올라이트 필터 및 그 제조방법 | |
JP2004076494A (ja) | 環境改善機能を有する建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WO2003001008A1 (fr) | Panneau mural capable de produire des ions negatifs, reposant sur l'utilisation de cendre volcanique naturelle | |
JP4526271B2 (ja) | 吸収性物品 | |
JP2004065889A (ja) | 多機能消臭剤 | |
KR200418067Y1 (ko) | 기능성 지류 | |
KR20160123692A (ko) | 복합기능성을 가지는 친환경 기능성 세라믹 타일 제조방법 | |
JP2004188165A (ja) | 機能性部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