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8193B1 -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용 암장치 - Google Patents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용 암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58193B1 KR102358193B1 KR1020140174425A KR20140174425A KR102358193B1 KR 102358193 B1 KR102358193 B1 KR 102358193B1 KR 1020140174425 A KR1020140174425 A KR 1020140174425A KR 20140174425 A KR20140174425 A KR 20140174425A KR 102358193 B1 KR102358193 B1 KR 1023581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rm
- pylon
- power transmission
- reinforcing
- ang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H02G7/205—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extending along a pol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30—Reactive power compensation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용 암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용 암장치는: 송전 철탑의 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단부측으로 갈수록 상향되는 형상을 가지며, 연장 각도가 변하는 보강굴곡부를 가지는 굴곡암부와, 굴곡암부와 연결되고, 송전 철탑의 둘레에 결합되는 철탑설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용 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선을 지지하는 암을 교체하는 것에 의해 전선을 지상으로부터 보다 이격시킬 수 있는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용 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방법에 관한 것이다.
시설물(건물, 도로 등)의 신설 등으로 인해 사람이 위치하게 되는 높이가 상향되면서, 송전 철탑에 설치된 전선과 지상간의 안전 이격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전선의 설치 높이를 상향시키는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통상 전선과 지상간의 이격 거리를 지상고(地上高)라고 하고, 전선이 지상으로부터 안전 이격 거리보다 낮게 위치되는 것을 저지상고(低地上高)라 한다.
송전 선로의 저지상고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철주를 설치하여 임시 송전 선로를 구성하고, 기설된 송전 철탑을 철거한 후 그 위치에 철탑을 신설하거나, 임시 송전 선로를 구성하는 과정 없이 기설된 송전 철탑과 근접한 위치에 송전 철탑을 신설하는 공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송전 철탑이 신설됨으로써 발생되는 지가하락 및 토지사용 제한 등으로 토지사용 협의가 어렵거나 고액보상 요구로 송전 선로 지상고 상향공사 사업이 장기화됨으로써 인력과 예산이 낭비되고 협의 기간동안 취약설비를 관리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기설된 송전 철탑의 중간부의 길이를 확장시켜, 즉 계탑(繼塔)하여 인상하는 공법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계탑 공법에 의하면 토지 소유주와 일시 토지사용 협의만 완료되면 설계측량, 도시계획시설결정, 대관인허가 절차 없이도 공사를 진행할 수 있어 공사기간 및 공사원가를 보다 단축, 절감시킬 수 있으나, 송전 철탑에 철탑인상용 장비를 설치하여 임시선로를 구성한 후 송전 철탑을 연장시키는 재료를 송전 철탑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 시킬 때, 2회선 중 1회선만 휴전하고, 편측 1회선은 송전 중인 상태에서 활부에 근접하여 이동할 경우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49240호(2014.04.25. 공개, 발명의 명칭: 철탑 인상 장비 설치용 기초 보강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송전 철탑의 암을 교체하는 간단한 공정에 의해 전선의 지상고를 인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용 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용 암장치는: 송전 철탑의 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단부측으로 갈수록 상향되는 형상을 가지며, 연장 각도가 변하는 보강굴곡부를 가지는 굴곡암부; 및 상기 굴곡암부와 연결되고, 상기 송전 철탑의 둘레에 결합되는 철탑설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굴곡암부는, 상기 철탑설치부와 연결되고, 제1각도로 연장되는 제1암부; 및 상기 보강굴곡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암부와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각도와 다른 제2각도로 연장되는 제2암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굴곡암부는, 단부에서 상기 철탑설치부와의 연결부측으로 갈수록 너비가 점차 확장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각도는, 수평선으로부터 양각의 각도를 가지고, 상기 제2각도는, 상기 제1각도보다 작은 양각의 각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철탑설치부는, 상기 굴곡암부와 연결되고, 상기 송전 철탑의 양측부에 고정되는 암연결부; 및 한 쌍의 상기 암연결부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송전 철탑의 전방부와 후방부에 고정되는 보강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연결부는, 상기 암연결부의 상부를 상호 연결하는 상부보강연결부; 및 상기 상부보강연결부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암연결부의 하부를 상호 연결하는 하부보강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송전 철탑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한 쌍의 상기 굴곡암부를 상호 연결하는 제1암처짐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굴곡암부와 상기 송전 철탑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굴곡암부의 중간부를 상기 송전 철탑과 연결하는 제2암처짐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굴곡암부는,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관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방법은: 기설치된 송전 철탑에서 암을 철거하는 기설암철거단계; 상기 암이 철거된 상태의 상기 송전 철탑에 상기 굴곡암부를 설치하는 굴곡암신설단계; 및 상기 굴곡암부의 단부에 전선을 연결하는 상향이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굴곡암신설단계는, 복수개의 상기 암이 설치되었던 위치에 복수개의 상기 굴곡암부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전선이 연결되는 암단부의 위치를 상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용 암장치에 의하면, 전선을 지지하는 굴곡암부를 철탑설치부를 이용해 송전 철탑상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송전 철탑의 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단부측으로 갈수록 상향되는 형상을 가지며, 연장 각도가 변하는 보강굴곡부를 가지는 굴곡암부에 의해 전선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방법에 의하면, 가철주를 설치, 철거하고, 송전 철탑을 신설하며, 철탑 부지를 추가로 확보하고 진입로를 개설하는 번거로운 과정과, 계탑 시 따르는 감전사고의 위험 없이, 송전 철탑에 기설치된 암을 철거하고 그 위치에 본 발명에 따른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용 암장치를 대체하여 설치하는 간단한 공정에 의해 전선의 지상고를 인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용 암장치가 송전 철탑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용 암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용 암장치를 설치함에 따른 전선의 지상고 상향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용 암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용 암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방법을 적용하기 이전의 송전 철탑 및 전선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방법 중 기설암철거단계를 거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방법 중 굴곡암신설단계를 거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방법 중 상향이선단계를 거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용 암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용 암장치를 설치함에 따른 전선의 지상고 상향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용 암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용 암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방법을 적용하기 이전의 송전 철탑 및 전선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방법 중 기설암철거단계를 거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방법 중 굴곡암신설단계를 거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방법 중 상향이선단계를 거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용 암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방법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용 암장치가 송전 철탑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용 암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용 암장치를 설치함에 따른 전선의 지상고 상향을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용 암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용 암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방법을 적용하기 이전의 송전 철탑 및 전선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방법 중 기설암철거단계를 거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방법 중 굴곡암신설단계를 거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방법 중 상향이선단계를 거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용 암장치(1)는 굴곡암부(10)와 철탑설치부(20)를 포함한다.
굴곡암부(10)는 공중에서 전선(4)을 지지하게 되는 부분이다. 굴곡암부(10)는 송전 철탑(2)의 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단부측으로 갈수록 상향되는 형상을 가진다. 전선(4)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암부(10)의 단부에 연결된다. 굴곡암부(10)는 상기와 같이 단부측으로 갈수록 상향되는 형상을 가지고 기존의 암(3)이 설치되었던 위치에 설치됨으로써, 전선(4)을 보다 높은 위치에서 지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전선(4)이 연결되는 굴곡암부(10), 암(3)의 단부를 암단부(T)라 한다. 여기서 암(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형 골재를 상호 연결하여 측방향으로 뾰족한 사각뿔 형상으로 형성한 일반적인 송전 철탑(2)의 암부를 의미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굴곡암부(10)는 제1암부(11), 보강굴곡부(13), 제2암부(12)가 연속하여 연결된 형상을 가진다.
제1암부(11)는 철탑설치부(20)와 연결되는 부분으로, 수평선으로부터 양각의각도를 가지는 제1각도(θ1)로 연장된다. 제2암부(12)는 보강굴곡부(13)를 사이에 두고 제1암부(11)와 연속하여 형성되고, 제1각도(θ1)와 다른 제2각도(θ2)로 연장된다.
보강굴곡부(13)는 서로 다른 각도로 연장되는 제1암부(11)와 제2암부(12)가 상호 연결되는 부분으로, 제1암부(11)와 제2암부(12)의 각도 차이로 인해 구부러진 형상을 가진다. 굴곡암부(10)는 연장 각도가 변하는, 즉 상측으로 또는 하측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는 보강굴곡부(13)를 가짐에 따라, 단순한 직선 형상을 가지는 경우와 비교해, 전선(4)으로 인해 가해지는 하향력에 대한 휨강성을 보다 증가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암부(12)의 연장 각도, 즉 제2각도(θ2)는 제1각도(θ1)보다 작은 양각의 각도를 가진다. 상기와 같이 제2각도(θ2)를 제1각도(θ1)보다 작은 양각의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함으로써, 굴곡암부(10)의 하부에 전선(4), 애자 등을 제1암부(11), 제2암부(12)와 간섭 없이 설치할 수 있는 중공의 설치공간부를 안정적으로 형성, 확보할 수 있다.
참고로, 제2각도(θ2)가 제1각도(θ1)보다 큰 양각의 각도를 가지는 경우, 굴곡암부(10)의 하부에 형성되는 공간부는, 암단부(T)와 근접한 부분의 횡방향 너비가 좁아 암단부(T)와 연결되는 전선(4), 애자 등이 제2암부(12)의 가장자리부에 간섭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암부(11)와 제2암부(12)의 각도는, 즉 제1각도(θ1)와 제2각도(θ2)는 상기와 같은 양각의 각도를 가진다면 특정하게 한정되지 않으며, 굴곡암부(10)의 소재와 형상, 길이, 설치 위치, 설치 환경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적용될 수 있다.
굴곡암부(10)는 단부에서 철탑설치부(20)와의 연결부측으로 갈수록 너비가 점차 확장되는 형상을 가진다. 이에 따라, 동일한 중량을 가지는 굴곡암부(10)를 그 연장 방향을 따라 일정한 너비로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해, 철탑설치부(20)와의 연결면적을 보다 확장시킬 수 있어 철탑설치부(20)와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고, 굴곡암부(10) 중 철탑설치부(20)와의 연결부에 전단력 및 휨응력으로 작용하게 되는 굴곡암부(10)의 단부의 중량을 보다 경량화시킬 수 있다.
또한, 굴곡암부(10)는 그 자중으로 인해 단부에서 철탑설치부(20)와의 연결부측으로 갈수록 지지해야 하는 하중이 증가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이 단부에서 철탑설치부(20)와의 연결부측으로 갈수록 너비가 점차 확장되는 형상을 가짐에 따라 자체 강성을 보다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굴곡암부(10)는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관체(管體, tube, pipe)로 이루어진다. 다른 표현으로, 굴곡암부(10)는 굴곡형 관형지지물(tubral steel pole)의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수직하중 뿐만 아니라 수평하중에 대해서도 그 강성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철탑설치부(20)는 굴곡암부(10)를 송전 철탑(2)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송전 철탑(2)의 둘레에 결합되는 부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탑설치부(20)는 암연결부(21)와 보강연결부(22)를 포함한다.
암연결부(21)는 굴곡암부(10)와 연결되는 부분으로, 굴곡암부(10)는 브라켓부재,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해 암연결부(21)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암연결부(21)를 포함하여 하중을 지지하는 골조를 이루는 모든 구성 요소는 강성을 가지는 금속재 골재로 이루어진다. 암연결부(21)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송전 철탑(2)의 양측부에 고정된다. 암연결부(21)로는 막대 형상의 부재를 상호 연결하거나, 판 형상의 부재를 적용할 수 있다.
암연결부(21)는 한 쌍의 굴곡암부(10)와 연결되는 좌, 우측 한 쌍이 구비되고, 보강연결부(22)는 송전 철탑(2)의 전방부와 후방부에서 이러한 한 쌍의 암연결부(21)를 상호 연결한다. 보강연결부(22)는 암연결부(21)에 송전 철탑(2)측으로 구속력을 작용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암연결부(21)는 보강연결부(22)에 의해 송전 철탑(2)상에 보다 견고하게 결속될 수 있다.
보강연결부(22)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그 양단부가 암연결부(21)와 연결되고,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그 중간부가 송전 철탑(2)의 전방부와 후방부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강연결부(22)는 상부보강연결부(23)와 하부보강연결부(24)를 포함한다. 상부보강연결부(23)는 암연결부(21)의 상부를 상호 연결한다. 하부보강연결부(24)는 상부보강연결부(23)의 하측에 설치되고, 암연결부(21)의 하부를 상호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개소에서 한 쌍의 암연결부(21)를 상호 연결함으로써, 보강연결부(22)에 의한 구속력을 암연결부(21)의 상부 또는 하부에 편중되지 않고, 암연결부(21) 전체에 균등하게 작용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용 암장치(1)는 굴곡암부(10), 철탑설치부(20), 제1암처짐보강부(30)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제1암처짐보강부(30)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고 송전 철탑(2)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한 쌍의 굴곡암부(10)를 상호 연결한다.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되는 한 쌍의 굴곡암부(10)는 송전 철탑(2)을 기준으로 하여 상호 대칭되게 설치된다. 한 쌍의 굴곡암부(10)의 동일한 지점에 제1암처짐보강부(30)의 양단부를 각각 고정시키면, 일측의 굴곡암부(10)에 작용하는 하향력은 타측의 굴곡암부(10)에는 상향력으로 작용하게 되고, 타측의 굴곡암부(10)에 작용하는 하향력은 일측의 굴곡암부(10)에 상향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제1암처짐보강부(30)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한 쌍의 굴곡암부(10)의 휨강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암처짐보강부(30)의 양단부를 한 쌍의 굴곡암부(10)와 연결하는 간단한 공정을 통해, 암단부(T)에 작용하는 하향력에 대한 굴곡암부(10)의 휨강성을 효율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굴곡부(13)의 둘레에 앵글취부부를 추가로 형성하면, 앵글취부부 중 보강굴곡부(13)의 둘레를 감싸는 보강부에 의해 보강굴곡부(13)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고, 앵글취부부 중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 보강재결합부에 의해 브라켓부재,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해 제1암처짐보강부(30)의 단부를 견고하고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용 암장치(1)는 굴곡암부(10), 철탑설치부(20), 제2암처짐보강부(40)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제2암처짐보강부(40)는 굴곡암부(10)와 암연결부(21)의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고, 굴곡암부(10)의 중간부를 암연결부(21)와 연결한다. 제2암처짐보강부(40)의 양단부는 브라켓부재,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굴곡암부(10), 암연결부(21)와 연결될 수 있다. 굴곡암부(10)는 제2암처짐보강부(40)에 의해 그 중간부가 송전 철탑(2)측으로 구속력을 받게 되고, 이에 따라 암단부(T)에 작용하는 하향력에 대한 휨강성이 보강된다.
제2암처짐보강부(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연결부(21)와 연결되는 일단부가 수평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복수개의 제2암처짐보강부(40)를 수평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하면, 특히 굴곡암부(10)에 작용하는 수평하중에 대한 강성을 보다 안정적으로 보강할 수 있다. 또한, 제2암처짐보강부(40)가 수평 방향으로의 너비를 확보하게 되어 작업자의 발판을 제공하는 기능도 하게 되므로, 작업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굴곡부(13)의 둘레에 앵글취부부를 추가로 형성하면, 앵글취부부 중 보강굴곡부(13)의 둘레를 감싸는 보강부에 의해 보강굴곡부(13)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고, 앵글취부부 중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 보강재결합부에 의해 브라켓부재,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해 제2암처짐보강부(40)의 단부를 견고하고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용 암장치(1)에 의하면, 기설암철거단계(S1), 굴곡암신설단계(S2), 상향이선단계(S3)를 포함하는 간단한 공정에 의해 송전 철탑(2)의 지상고를 인상시킬 수 있다.
기설암철거단계(S1)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설치된 송전 철탑(2)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3)을 철거한다. 굴곡암신설단계(S2)에서는 암(3)이 철거된 상태의 송전 철탑(2)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용 암장치(1)를 설치한다. 상향이선단계(S3)에서는 도 9에 도시돈 바와 같이 굴곡암부(10)의 단부에 전선(4)을 연결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전선(4)은 비활선 상태로 적절한 위치에 임시로 거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선(4)은 A상, B상, C상에 해당되는 3개의 전선이 상하 방향으로 제1이격거리(d1)를 두고 설치되고, 그 상측에 가공지선(overhead ground wire)이 제2이격거리(d2)를 두고 설치된다. 이때, 최하측에 위치되는 전선(4)은 지상과 h1에 해당되는 이격 거리를 가진다.
또한, 전선(4)의 지상고를 인상시킴에 있어서는, 단순히 최하측에 위치되는 전선(4)만을 상향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그 상측에 위치되는 복수개의 전선(4)을 동일한 거리만큼 함께 상향 이동시켜 제1이격거리(d1)와 제2이격거리(d2)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최하측에 위치되는 전선(4)과 지상간의 이격 거리(h1)가 전선(4)과 지상간의 안전 이격 거리보다 낮은 저지상고에 해당되는 경우, 기설암철거단계(S1), 굴곡암신설단계(S2), 상향이선단계(S3)를 포함하는 간단한 공정을 순차적으로 거쳐 전선(4)의 높이를 h2만큼 상승시킴으로써, 전선(4)과 지상간의 안전 이격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굴곡암신설단계(S2)에서 복수개의 암(3)이 설치되었던 위치 각각에 대응되게 본 발명에 따른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용 암장치(1)를 설치함으로써, 송전 철탑(2)의 상부 길이를 연장하는 별도의 작업을 거치지 않고도, 복수개의 전선(4)이 연결되는 암단부(T)의 각각의 위치를 제1이격거리(d1), 제2이격거리(d2)만큼 이격되게 유지하면서 전부 상향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방법을 적용함에 있어서, 전선(4)의 이선 등을 위해 굴곡암부(10)의 단부에 작업용 난간 등의 암 부속설비를 설치하는 과정을 추가로 거칠 수 있다. 이러한 암 부속설비 및 그 설치 공정에 대해서는 공지의 암 부속설비에 관한 내용을 따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용 암장치(1)에 의하면, 전선(4)을 지지하는 굴곡암부(10)를 철탑설치부(20)를 이용해 송전 철탑(2)상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송전 철탑(2)의 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단부측으로 갈수록 상향되는 형상을 가지며, 연장 각도가 변하는 보강굴곡부(13)를 가지는 굴곡암부(10)에 의해 전선(4)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방법에 의하면, 가철주를 설치, 철거하고, 송전 철탑(2)을 신설하며, 철탑 부지를 추가로 확보하고 진입로를 개설하는 번거로운 과정과, 계탑 시 따르는 감전사고의 위험 없이, 송전 철탑(2)에 기설치된 암(3)을 철거하고 그 위치에 본 발명에 따른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용 암장치(1)를 대체하여 설치하는 간단한 공정에 의해 전선(4)의 지상고를 인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용 암장치 2 : 송전 철탑
3 : 암 4 : 전선
10 : 굴곡암부 11 : 제1암부
12 : 제2암부 13 : 보강굴곡부
20 : 철탑설치부 21 : 암연결부
22 : 보강연결부 23 : 상부보강연결부
24 : 하부보강연결부 30 : 제1암처짐보강부
40 : 제2암처짐보강부 S1 : 기설암철거단계
S2 : 굴곡암신설단계 S3 : 상향이선단계
T : 암단부
3 : 암 4 : 전선
10 : 굴곡암부 11 : 제1암부
12 : 제2암부 13 : 보강굴곡부
20 : 철탑설치부 21 : 암연결부
22 : 보강연결부 23 : 상부보강연결부
24 : 하부보강연결부 30 : 제1암처짐보강부
40 : 제2암처짐보강부 S1 : 기설암철거단계
S2 : 굴곡암신설단계 S3 : 상향이선단계
T : 암단부
Claims (11)
- 송전 철탑의 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단부측으로 갈수록 상향되는 형상을 가지며, 연장 각도가 변하는 보강굴곡부를 가지되,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관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송전 철탑을 사이에 두고 상호 대칭되게 설치되는 한 쌍이 구비되는 굴곡암부;
상기 굴곡암부와 연결되고, 상기 송전 철탑의 둘레에 결합되는 철탑설치부;
한 쌍의 상기 굴곡암부 중 일측의 상기 굴곡암부에 작용하는 하향력이 타측의 상기 굴곡암부에 상향력으로 작용하게 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송전 철탑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굴곡암부에 양단부가 각각 고정되는 제1암처짐보강부; 및
상기 보강굴곡부의 둘레를 감싸는 보강부와, 상기 보강부에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암처짐보강부가 고정되는 보강재결합부가 구비되는 앵글취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용 암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암부는,
상기 철탑설치부와 연결되고, 제1각도로 연장되는 제1암부; 및
상기 보강굴곡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암부와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각도와 다른 제2각도로 연장되는 제2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용 암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암부는, 단부에서 상기 철탑설치부와의 연결부측으로 갈수록 너비가 점차 확장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용 암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각도는, 수평선으로부터 양각의 각도를 가지고,
상기 제2각도는, 상기 제1각도보다 작은 양각의 각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용 암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탑설치부는,
상기 굴곡암부와 연결되고, 상기 송전 철탑의 양측부에 고정되는 암연결부; 및
한 쌍의 상기 암연결부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송전 철탑의 전방부와 후방부에 고정되는 보강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용 암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연결부는,
상기 암연결부의 상부를 상호 연결하는 상부보강연결부; 및
상기 상부보강연결부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암연결부의 하부를 상호 연결하는 하부보강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용 암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74425A KR102358193B1 (ko) | 2014-12-05 | 2014-12-05 |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용 암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74425A KR102358193B1 (ko) | 2014-12-05 | 2014-12-05 |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용 암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69089A KR20160069089A (ko) | 2016-06-16 |
KR102358193B1 true KR102358193B1 (ko) | 2022-02-08 |
Family
ID=56354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74425A KR102358193B1 (ko) | 2014-12-05 | 2014-12-05 |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용 암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58193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87799Y1 (ko) * | 2005-02-23 | 2005-06-22 | 삼우플랜트(주) | 관형지지물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38631A (ko) * | 2012-09-21 | 2014-03-31 | 한국전력공사 | 송전철탑용 절연암 장치 |
-
2014
- 2014-12-05 KR KR1020140174425A patent/KR10235819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87799Y1 (ko) * | 2005-02-23 | 2005-06-22 | 삼우플랜트(주) | 관형지지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69089A (ko) | 2016-06-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56968B1 (ko) | 난간 주케이블을 이용한 난간 일체형 보도 현수교 및 그 시공 방법 | |
CN104912321B (zh) | 一种用于悬空结构的钢桁架模板支撑结构及其安装方法 | |
JP6180376B2 (ja) | 合成桁の床版取替工法における主桁仮受け方法と、合成桁の床版取替工法と、合成桁の床版取替工法における主桁仮受け構造 | |
KR20100009384U (ko) | 가이드레일이 구비된 에이치빔 연결클램프 | |
CN103243649B (zh) | 一种索鞍快速安装、定位的系统及方法 | |
KR101063846B1 (ko) | 교량의 캔틸레버부 시공용 거푸집 지지장치 및 거푸집 지지구조 | |
US10710856B2 (en) | Utility tower leveling apparatus and method | |
KR102358193B1 (ko) | 송전 철탑의 지상고 인상용 암장치 | |
CN103835238B (zh) | 一种高墩斜拉桥0号块无支架施工方法及施工中的结构 | |
KR102281205B1 (ko) | 익스텐션암 및, 이를 활용한 송전탑의 시공방법 | |
CN207705732U (zh) | 一种用于电缆沟的组合式电缆支架 | |
CN202252669U (zh) | 稳固安装架 | |
JP2020089192A (ja) | 仮支持柱、電柱建替支援装置及び電柱建替方法 | |
CN205857791U (zh) | 电线杆加高装置 | |
KR101043559B1 (ko) | 절연 폴과 완철 홀더를 이용한 전선 가이선이 없는 무정전 전주교체공법 | |
CN107327307A (zh) | 一种内模钢管支架整体滑移方法及结构 | |
CN106285029A (zh) | 电线杆加高装置及方法 | |
JP6408456B2 (ja) | クロージャ取付け装置、共同溝ボックスへのクロージャ支持部材取付け方法 | |
JP2005146772A (ja) | 屋根支持構造体ユニットおよび大空間屋根構造物並びにこれらの施工法 | |
CN211312125U (zh) | 一种人行道拓宽段整体通信管线保护装置 | |
JP6678091B2 (ja) | 設備吊下げ装置 | |
CN112096075B (zh) | 一种用于预制梁施工的安全防护方法 | |
JP5322708B2 (ja) | 電柱の移設方法 | |
CN219100302U (zh) | 一种稳定型钢构件房屋框架 | |
CN217840808U (zh) | 高空施工平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