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8077B1 - 박공지붕용 및 평지붕 옥상 바닥용 미끄럼방지 필름접합 복합시트 - Google Patents

박공지붕용 및 평지붕 옥상 바닥용 미끄럼방지 필름접합 복합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8077B1
KR102358077B1 KR1020210082167A KR20210082167A KR102358077B1 KR 102358077 B1 KR102358077 B1 KR 102358077B1 KR 1020210082167 A KR1020210082167 A KR 1020210082167A KR 20210082167 A KR20210082167 A KR 20210082167A KR 102358077 B1 KR102358077 B1 KR 102358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roof
needle
composite sheet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2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기
박혜정
Original Assignee
박병기
박혜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기, 박혜정 filed Critical 박병기
Priority to KR1020210082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80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8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mechanically connected, e.g. by needling to another layer, e.g. of fibres, of pap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4Non-slip, anti-sl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측에 위치하는 하부 부직포(30), 하부 부직포(30)의 상면에 부착된 연질 필름(20), 및 연질 필름(20)의 상면에 부착된 상부 부직포(1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부직포(10)는, 서로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있고 상하로 정렬된 복수의 구멍을 가지며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니들펀칭장치의 상판(3)과 하판(4)의 사이에 배치되는 부직포를 상하로 정렬된 상기 복수의 구멍을 통해 니들펀칭장치의 니들펀칭부(1)에 구비된 니들(2)의 펀칭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끝이 뾰족한 침(2b)으로 펀칭하면서 상기 침(2b)의 측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복수의 비늘침(2a)에 의해 상기 부직포의 섬유사 중 일부를 상판(3)의 상면 위로 끌어 올린 상태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공지붕용 및 평지붕 옥상 바닥용 미끄럼방지 필름접합 복합시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박공지붕용 및 평지붕 옥상 바닥용 미끄럼방지 필름접합 복합시트{A nonslip film adhesion composite sheet for a gabled roof and for a flat roof top floor}
본 발명은 하측에 위치하는 하부 부직포(30), 하부 부직포(30)의 상면에 부착된 연질 필름(20), 및 연질 필름(20)의 상면에 부착된 상부 부직포(1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부직포(10)는, 서로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있고 상하로 정렬된 복수의 구멍을 가지며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니들펀칭장치의 상판(3)과 하판(4)의 사이에 배치되는 부직포를 상하로 정렬된 상기 복수의 구멍을 통해 니들펀칭장치의 니들펀칭부(1)에 구비된 니들(2)의 펀칭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끝이 뾰족한 침(2b)으로 펀칭하면서 상기 침(2b)의 측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복수의 비늘침(2a)에 의해 상기 부직포의 섬유사 중 일부를 상판(3)의 상면 위로 끌어 올린 상태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공지붕용 및 평지붕 옥상 바닥용 미끄럼방지 필름접합 복합시트에 관한 것이다.
지붕의 종류 중 박공지붕은 보의 좌우에 2개의 장방형 경사면을 붙인 것과 같은 모양의 경사진 지붕을 일컫는 것으로 최근에는 단독주택은 물론, 빌라, 연립주택, 아파트 등의 건축물 지붕에도 적용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박공지붕에 사용되는 지붕 잇기 자재는 기와, 금속기와, 아스팔트 싱글 등이 있으며, 이 중 기와는 장시간의 수명을 제공하는 반면, 형상과 무늬의 제약이 있다는 단점이 있고, 금속 기와와, 아스팔트 싱글은 다양한 형상과 무늬, 가볍다는 장점이 있으나, 수명이 짧고, 본연의 색상이 태양에 의해 탈색 및 변색 된다는 단점이 있지만 최근에는 아스팔트 싱글을 이용하여 박공지붕을 시공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금속 기와와, 아스팔트 싱글은 신축공사 후 채 10년의 수명을 장담하기 어려우며, 지붕 끝단이 누수로 인해 접착력이 저하됨과 동시에 약해진 접착력으로 인해 지붕 끝단의 지붕 잇기 자재가 너덜거리는 등 외관상으로 보기 흉하여 깔끔한 외관을 제공해주지 못했다.
뿐만 아니라, 박공지붕은 구조적으로 경사지게 지붕이 형성되기 때문에 보수 공사를 위해 작업자가 지붕에 올라갈 때는 표면이 미끄러워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었다.
위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10-1233635(2013.02.08.)에서는 "금속 기와와, 아스팔트 싱글을 지붕 잇기 자재로 하여 신축공사 및 보수공사를 한 박공지붕의 표면을 그라인더로 면 갈기 한 다음 깨끗하게 청소를 하는 표면처리단계(S100); 상기 표면처리가 된 박공지붕의 표면에 에폭시 또는 우레탄 성분의 하도 액을 도포하는 하도 액 도포단계(S200); 상기 하도 액이 도포 된 박공지붕의 표면을 자연건조시키는 자연건조단계(S300); 상기 자연건조 후 우레탄 수지 30 내지 80중량%와, 합성제올라이트 1 내지 10 중량%와, 파라핀왁스 3 내지 20 중량%와, 유황 5 내지 30 중량%와, 자수정 1 내지 10 중량%와, 분산제 1 내지 2중량%와, 소포제 0.1 내지 0.3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수액을 도포하는 1차 방수액 도포단계(S400); 상기 1차 방수액이 도포 된 박공지붕의 표면을 자연건조시키는 자연건조단계(S500); 상기 자연건조 후 우레탄 수지 30 내지 80중량%와, 합성제올라이트 1 내지 10 중량%와, 파라핀왁스 3 내지 20 중량%와, 유황 5 내지 30 중량%와, 자수정 1 내지 10 중량%와, 분산제 1 내지 2중량%와, 소포제 0.1 내지 0.3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수액을 도포하는 2차 방수액 도포단계(S600); 상기 2차 방수액이 도포되어 건조되지 않은 상태의 박공지붕 표면에 알갱이 구조를 갖는 규사 또는 모래 중 어느 하나를 도포하는 알갱이 도포단계(S700); 상기 알갱이가 도포 된 박공지붕의 표면을 자연건조시키는 자연건조단계(S800); 상기 자연건조 후 박공지붕의 표면에 코팅층을 형성시키기 위한 코팅액 도포단계(S900); 상기 코팅액이 도포 된 박공지붕의 표면을 자연건조시키는 자연건조단계(S10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기와 및 아스팔트 싱글이 지붕 잇기 재료로 이루어진 박공지붕의 방수 시공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위 종래의 등록특허 제10-1233635호의 박공지붕의 방수 시공방법에서는 위에서 보듯이 상기 2차 방수액이 도포되어 건조되지 않은 상태의 박공지붕 표면에 알갱이 구조를 갖는 규사 또는 모래 중 어느 하나가 도포되어 코팅액으로 코팅되어 있는데, 박공지붕의 방수 시공을 위하여 작업자가 박공지붕 위에 올라가 박공지붕을 밟게 되면 상기 규사 또는 모래가 박공지붕으로부터 분리되어 떨어져 나가게 되고 이후 박공지붕의 규사나 모래가 떨어져 나간 부분을 통해 빗물 등이 침투할 우려가 있어 방수에 대한 하자 발생의 원인이 된다.
또한, 상기 작업자의 미끄러짐 문제는 박공지붕뿐만 아니라 평지붕의 옥상 바닥에서도 마찬가지로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등록특허 제10-1233635(2013.02.08.)
본 발명에 의한 박공지붕용 및 평지붕 옥상 바닥용 미끄럼방지 필름접합 복합시트는 다음 사항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박공지붕이나 평지붕 옥상 바닥에 대한 방수 시공을 하였을 때에 작업자가 박공지붕이나 평지붕 옥상 바닥에서 미끄러지지 않게 하면서도 방수에 대한 하자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박공지붕용 및 평지붕 옥상 바닥용 미끄럼방지 필름접합 복합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박공지붕용 및 평지붕 옥상 바닥용 미끄럼방지 필름접합 복합시트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하측에 위치하는 하부 부직포(30), 하부 부직포(30)의 상면에 부착된 연질 필름(20), 및 연질 필름(20)의 상면에 부착된 상부 부직포(1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부직포(10)는, 서로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있고 상하로 정렬된 복수의 구멍을 가지며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니들펀칭장치의 상판(3)과 하판(4)의 사이에 배치되는 부직포를 상하로 정렬된 상기 복수의 구멍을 통해 니들펀칭장치의 니들펀칭부(1)에 구비된 니들(2)의 펀칭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끝이 뾰족한 침(2b)으로 펀칭하면서 상기 침(2b)의 측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복수의 비늘침(2a)에 의해 상기 부직포의 섬유사 중 일부를 상판(3)의 상면 위로 끌어 올린 상태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부직포(10) 및 하부 부직포(30)의 섬유사는 장섬유사와 단섬유사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섬유사에서 장섬유사가 차지하는 비중이 더 높아질수록 상기 부직포 상면의 거친 정도는 더 높아지고, 상기 섬유사에서 단섬유사가 차지하는 비중이 더 높아질수록 상기 부직포 상면의 거친 정도는 더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박공지붕용 및 평지붕 옥상 바닥용 미끄럼방지 필름접합 복합시트는 상기 해결수단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첫째, 박공지붕이나 평지붕 옥상 바닥에 대한 방수 시공을 하였을 때에 작업자가 박공지붕이나 평지붕 옥상 바닥에서 미끄러지지 않게 하면서도 방수에 대한 하자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박공지붕용 및 평지붕 옥상 바닥용 미끄럼방지 필름접합 복합시트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박공지붕용 및 평지붕 옥상 바닥용 미끄럼방지 필름접합 복합시트를 이용한 지붕 방수공법에서 사용되는 미끄럼방지 필름접합 복합시트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 부직포를 니들펀칭장치의 니들펀칭부에 구비된 니들의 침으로 펀칭하면서 상기 부직포의 섬유사 중 일부를 상판의 상면 위로 끌어 올리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상부 부직포의 섬유사가 위로 끌어 올려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1의 상부 부직포의 섬유사가 니들펀칭장치의 니들펀칭부에 구비된 니들의 침에 의해 복수의 위치에서 펀칭되어 상기 침이 구비된 복수의 비늘침에 의해 위로 끌어 올려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도 1의 미끄럼방지 필름접합 복합시트의 구성요소별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4의 구성요소들이 결합된 미끄럼방지 필름접합 복합시트의 단면도.
도 6은 박공지붕용 및 평지붕 옥상 바닥용 미끄럼방지 필름접합 복합시트를 이용한 지붕 방수공법에서 사용되는 미끄럼방지 필름접합 복합시트가 주택의 박공지붕에 시공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A부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박공지붕용 및 평지붕 옥상 바닥용 미끄럼방지 필름접합 복합시트를 이용한 지붕 방수공법에서 사용되는 미끄럼방지 필름접합 복합시트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 부직포를 니들펀칭장치의 니들펀칭부에 구비된 니들의 침으로 펀칭하면서 상기 부직포의 섬유사 중 일부를 상판의 상면 위로 끌어 올리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상부 부직포의 섬유사가 위로 끌어 올려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상부 부직포의 섬유사가 니들펀칭장치의 니들펀칭부에 구비된 니들의 침에 의해 복수의 위치에서 펀칭되어 상기 침이 구비된 복수의 비늘침에 의해 위로 끌어 올려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미끄럼방지 필름접합 복합시트의 구성요소별 분리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구성요소들이 결합된 미끄럼방지 필름접합 복합시트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박공지붕용 및 평지붕 옥상 바닥용 미끄럼방지 필름접합 복합시트를 이용한 지붕 방수공법에서 사용되는 미끄럼방지 필름접합 복합시트가 주택의 박공지붕에 시공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6의 A부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박공지붕용 및 평지붕 옥상 바닥용 미끄럼방지 필름접합 복합시트(40')는 하측에 위치하는 하부 부직포(30), 하부 부직포(30)의 상면에 부착된 연질 필름(20), 및 연질 필름(20)의 상면에 부착된 상부 부직포(10)를 포함하는데, 평지붕 옥상 바닥이나 박공지붕에 대하여 바닥청소 후 프라이머층(61), 제1 방수층(62)을 차례대로 도포 및 건조한 후 박공지붕용 및 평지붕 옥상 바닥용 미끄럼방지 필름접합 복합시트(40')를 부착하고, 이어서 제2 방수층(63), 1차 상도층(64), 및 탑 코팅층(66)을 도포 및 건조하였을 때, 상기 상부 부직포(10)와 하부 부직포(30)는 기온에 따라서 수축 및 팽창하는 것을 견디도록 하여 미끄럼방지 필름접합 복합시트(40)의 크랙 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단열의 효과를 갖는다.
상기 하부 부직포(30)는 일반적인 부직포로서 이 하부 부직포(30)에 프라이머액이 도포 및 자연건조되어 프라이머층(6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질 필름(20)은 상부 부직포(10)가 손상되었을 때 2차적으로 방수 기능을 하게 된다. 그리고, 연질 필름(20)은 상부 부직포(10)에 방수제가 머무르게 하는 기능도 하게 된다. 즉, 만약, 상기 연질 필름(20)이 없다면 상기 방수제는 하부 부직포(30)를 통해서 흡수되어 프라이머층(61)의 표면을 따라 측방으로 흘러서 주택(50)의 박공지붕(60)의 측면에 형성된 균열을 통해서 실내로 누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질 필름(20)은 상기 방수제의 누수를 예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질 필름(20)은 쉽게 휘어지기 때문에 박공지붕(60)의 돌출된 부분 등 불규칙한 형상에도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질 필름(20)은 일례로서 핫멜트로 제조된 웹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등으로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질 필름(20)은 상면 또는 하면 내지는 상면과 하면에 알루미늄막(A)이 증착된 알루미늄 증착 필름(제품명; 이축연신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 필름)일 수도 있다. 일례로서, 상기 알루미늄 증착 필름은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와 실리카가 혼합된 필름에 알루미늄막(A)이 증착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서 이미 공지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알루미늄막으로 인해서 열을 반사하는 기능을 가지게 되어 여름에는 일광을 차단하여 실내 온도가 상승하는 현상을 방지하고 겨울철에는 실내의 온도가 외부로 방열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 부직포의 섬유사는 장섬유사와 단섬유사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부 부직포(10) 및 하부 부직포(30)는 2.0∼3.2㎜ 두께 및 350∼420g/㎡ 의 밀도로 형성되게 함으로써 통상 방수용으로 제직되는 부직포 밀도 보다 저밀도로 제직되게 구현하였다. 상기 상부 부직포(10) 및 하부 부직포(30)의 두께가 2.0㎜ 미만 및 밀도가 350g/㎡ 미만이면 상부 부직포(10) 및 하부 부직포(30)를 구성하는 부직포의 장섬유사와 단섬유사 중 하나 이상의 섬유사 사이의 엉킴상태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간극(또는 공간)이 커지게되므로 방수액 함침 후의 인장력이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생기게 되고, 상부 부직포(10) 및 하부 부직포(30)의 두께가 3.2㎜ 초과 및 밀도가 420g/㎡ 초과하면 부직포의 장섬유사와 단섬유사 중 하나 이상의 섬유사 사이의 엉킴상태가 조밀해지고 간극(또는 공간)이 좁아지게 되므로 방수액이 바닥부까지 침투되기 어려운 단점이 생기게 된다.
상기 상부 부직포(10) 및 하부 부직포(30)를 비교적 저밀도로 제직하도록 하고, 상기 상부 부직포(10), 연질 필름(20) 및 하부 부직포(30)가 상호간에 차례로 면접촉된 상태에서 일체로 결속되도록 구현하였다. 이때 상부 부직포(10) 및 하부 부직포(30)는 방수액의 인장력 유지를 위해 통상 사용되는 단일 부직포층 보다 1/3∼1/2 정도로 얇게 구성하여 상부 부직포(10), 연질 필름(20), 및 하부 부직포(30)가 일체로 결속된 전체의 두께가 기존 단일 부직포층의 두께와 동일하게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부직포(10)는 메쉬(20)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상기 미끄럼방지 필름접합 복합시트(40')의 상부에 위치하는 부직포, 즉 연질 필름(20)의 상면에 부착된 상부 부직포(10)는, 서로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있고 상하로 정렬된 복수의 구멍을 가지며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니들펀칭장치의 상판(3)과 하판(4)의 사이에 배치되는 부직포를 상하로 정렬된 상기 복수의 구멍을 통해 니들펀칭장치의 니들펀칭부(1)에 구비된 니들(2)의 펀칭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끝이 뾰족한 침(2b)으로 펀칭하면서 상기 침(2b)의 측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복수의 비늘침(2a)에 의해 상기 부직포의 섬유사 중 일부를 상판(3)의 상면 위로 끌어 올린 상태로 제조되며, 상기 제조된 부직포는 상면에 상기 방수제, 1차 상도제 및 탑 코팅액이 차례로 도포되었을 때 상면이 거칠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조된 부직포는 상면에 상기 방수제, 1차 상도제 및 탑 코팅액이 차례로 도포되었을 때 부직포 상면이 거칠게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박공지붕용 및 평지붕 옥상 바닥용 미끄럼방지 필름접합 복합시트가 시공된 박공지붕(60)이나 평지붕의 옥상 바닥에 작업자가 올라가 발로 밟으면서 이동할 때에 미끄러짐이 방지된다.
또한, 상판(3)의 상면 위로 끌어 올려진 부직포의 섬유사 중 상기 일부는, 거친 상면을 형성하도록, 측방으로 이송되어 상판(3)과 하판(4)이 있는 곳에서 벗어난 상기 부직포의 상면측으로 열가압수단에 의해 열처리되면서 가압된다. 이와 같이 상판(3)의 상면 위로 끌려 올라간 부직포의 섬유사 중 상기 일부는 측방으로 이송되어 상판(3)과 하판(4)이 있는 곳에서 벗어난 상기 부직포의 상면측으로 열가압수단에 의해 열처리되면서 가압되었을 때 상기 일부가 상기 부직포의 상면에 눌러붙게 되거나 또는 상기 부직포의 상면에 수평하게 인접 또는 근접하게 휘어져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부직포 상면에 상기 방수제, 1차 상도제 및 탑 코팅액이 차례로 도포되었을 때 부직포 상면은 거칠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열가압수단은 열 롤러인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른 형태의 열가압수단(예, 열가압 압착기)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상부 부직포(10) 및 하부 부직포(30)의 섬유사는 장섬유사와 단섬유사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상기 부직포 상면의 거친 정도는 상기 섬유사를 구성하는 단섬유사와 장섬유사 중 하나 이상의 섬유사에서 단섬유사와 장섬유사가 차지하는 비율에 따라 좌우된다. 즉 상기 섬유사에서 장섬유사가 차지하는 비중이 더 높아질수록 상기 부직포 상면의 거친 정도는 더 높아지고, 상기 섬유사에서 단섬유사가 차지하는 비중이 더 높아질수록 상기 부직포 상면의 거친 정도는 더 낮아진다. 따라서, 박공지붕(60)의 경사면의 경사각도에 따라 미끄러짐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경사각도에 맞추어 상기 섬유사에서 장섬유사와 단섬유사가 차지하는 비율을 조절하여 상부 부직포(10) 상면의 거친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부직포(10)에서 상기 미끄럼방지 필름접합 복합시트(40')의 일측방으로 연장된 부분인 가스벤트부(미도시)가 구성된다. 상기 박공지붕(60)에 포함된 수분이 여름철 고온의 기온에 의해서 수증기가 될 경우, 방수 기능을 가지지 않는 프라이머층(61)을 통과한 후 제1 방수층(62)을 거치고 다시 상기 가스벤트부를 거쳐서 배기된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들을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 : 니들펑칭장치 2 : 니들
2a : 침 2b : 비늘침
3 : 상판 4 : 하판
10 : 상부 부직포 20 : 연질 필름
30 : 하부 부직포 40' : 미끄럼방지 필름접합 복합시트
50 : 주택 61 : 프라이머층
62 : 제1 방수층 63 : 제2 방수층
64 : 1차 상도층 66 : 탑 코팅층

Claims (3)

  1. 하측에 위치하는 하부 부직포(30), 하부 부직포(30)의 상면에 부착된 연질 필름(20), 및 연질 필름(20)의 상면에 부착된 상부 부직포(1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부직포(10)는, 서로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있고 상하로 정렬된 복수의 구멍을 가지며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니들펀칭장치의 상판(3)과 하판(4)의 사이에 배치되는 부직포를 상하로 정렬된 상기 복수의 구멍을 통해 니들펀칭장치의 니들펀칭부(1)에 구비된 니들(2)의 펀칭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끝이 뾰족한 침(2b)으로 펀칭하면서 상기 침(2b)의 측상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복수의 비늘침(2a)에 의해 상기 부직포의 섬유사 중 일부를 상판(3)의 상면 위로 끌어 올린 상태로 제조되며,
    상부 부직포(10) 및 하부 부직포(30)는 2.0∼3.2㎜ 두께 및 350∼420g/㎡ 의 밀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공지붕용 및 평지붕 옥상 바닥용 미끄럼방지 필름접합 복합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부직포(10) 및 하부 부직포(30)의 섬유사는 장섬유사와 단섬유사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공지붕용 및 평지붕 옥상 바닥용 미끄럼방지 필름접합 복합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사에서 장섬유사가 차지하는 비중이 더 높아질수록 상기 부직포 상면의 거친 정도는 더 높아지고, 상기 섬유사에서 단섬유사가 차지하는 비중이 더 높아질수록 상기 부직포 상면의 거친 정도는 더 낮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공지붕용 및 평지붕 옥상 바닥용 미끄럼방지 필름접합 복합시트.
KR1020210082167A 2021-06-24 2021-06-24 박공지붕용 및 평지붕 옥상 바닥용 미끄럼방지 필름접합 복합시트 KR102358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167A KR102358077B1 (ko) 2021-06-24 2021-06-24 박공지붕용 및 평지붕 옥상 바닥용 미끄럼방지 필름접합 복합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167A KR102358077B1 (ko) 2021-06-24 2021-06-24 박공지붕용 및 평지붕 옥상 바닥용 미끄럼방지 필름접합 복합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8077B1 true KR102358077B1 (ko) 2022-02-08

Family

ID=80252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167A KR102358077B1 (ko) 2021-06-24 2021-06-24 박공지붕용 및 평지붕 옥상 바닥용 미끄럼방지 필름접합 복합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8077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3659A (ja) * 1991-12-18 1993-06-29 Toyo Kutsushiyon Kk 不織布の製造方法及びパンチング装置
JPH10304909A (ja) * 1997-03-05 1998-11-17 Unitika Ltd 面ファスナー用雌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0066312A (ko) * 2002-02-02 2003-08-09 주식회사 부일건화 통기성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통기성 방수구조
JP2007106068A (ja) * 2005-10-17 2007-04-26 Reitec Kk 防滑性樹脂塗膜と塗膜形成法
KR20100129987A (ko) * 2009-06-02 2010-12-10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스펀본드 니들펀칭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1116811B1 (ko) * 2011-06-20 2012-02-28 (주)삼성건업 방수 시트,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및 그 방수 구조
KR101233635B1 (ko) 2012-09-21 2013-02-15 (주)칠칠공사 금속기와 및 아스팔트 싱글이 지붕 잇기 재료로 이루어진 박공 지붕의 방수 시공방법
KR20140124103A (ko) * 2013-04-16 2014-10-24 주식회사 익성 니들 펀치법에 의한 비통기성 플라스틱 수지 필름을 이용한 기체투과성 차량용 흡차음재 제조방법
JP2015036494A (ja) * 2013-08-13 2015-02-23 ガムスター株式会社 自己粘着性屋根下葺防水材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3659A (ja) * 1991-12-18 1993-06-29 Toyo Kutsushiyon Kk 不織布の製造方法及びパンチング装置
JPH10304909A (ja) * 1997-03-05 1998-11-17 Unitika Ltd 面ファスナー用雌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0066312A (ko) * 2002-02-02 2003-08-09 주식회사 부일건화 통기성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통기성 방수구조
JP2007106068A (ja) * 2005-10-17 2007-04-26 Reitec Kk 防滑性樹脂塗膜と塗膜形成法
KR20100129987A (ko) * 2009-06-02 2010-12-10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스펀본드 니들펀칭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1116811B1 (ko) * 2011-06-20 2012-02-28 (주)삼성건업 방수 시트,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및 그 방수 구조
KR101233635B1 (ko) 2012-09-21 2013-02-15 (주)칠칠공사 금속기와 및 아스팔트 싱글이 지붕 잇기 재료로 이루어진 박공 지붕의 방수 시공방법
KR20140124103A (ko) * 2013-04-16 2014-10-24 주식회사 익성 니들 펀치법에 의한 비통기성 플라스틱 수지 필름을 이용한 기체투과성 차량용 흡차음재 제조방법
JP2015036494A (ja) * 2013-08-13 2015-02-23 ガムスター株式会社 自己粘着性屋根下葺防水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6028B2 (en) Nonwoven polymeric fiber mat composites and method
US3387420A (en) Ventilating covering element for built-up roofing
US5137764A (en) Floor structure incorporating a vapor and gas barrier
CA2576771C (en) Methods of providing water protection to roof structures and roof structures formed by the same
US6804922B1 (en) Integral composite building material and uses therefor
CA2264166C (en) Roof having improved base sheet
US9314994B2 (en) Pedestaled roof underlayment
US9428916B2 (en) Mesh vent with varying density or integral moisture barrier
US4803111A (en) Membrane roofing system
KR20140013737A (ko) 탈락방지 및 방수 지붕슁글의 구조 및 그 보수방법
US20180355617A1 (en) Slip resistant non-woven sheet material for roof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58077B1 (ko) 박공지붕용 및 평지붕 옥상 바닥용 미끄럼방지 필름접합 복합시트
CA1229993A (en) Construction barrier board
US20210108417A1 (en) Integrated roof system with engineered wood
EP2743074B1 (en) Under tile sheet for waterproofing roofs of buildings having anti-slip properties
JP4639080B2 (ja) 止水性屋根下葺材
KR102438555B1 (ko) 미끄럼방지 복합시트를 이용한 박공지붕 및 평지붕 옥상 바닥의 방수공법
KR102333389B1 (ko) 박공지붕용 및 평지붕 옥상 바닥용 미끄럼방지 수용성 복합시트
CA2910526A1 (en) Slip resistant sheet material for roof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10009798A (ko) 옥외 콘크리트 표면 방수구조
US20210285216A1 (en) Integrated ventilation and flashing in integrated roof system with engineered wood
WO1999040271A1 (en) Easy-to-apply roofing underlayment
CA3023751A1 (en) Embossed slip resistant sheet material for roofing
US20230010965A1 (en) Integrated roof system with integrated driplap edge
EP3851603A1 (en) Insulation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