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8007B1 - Column - roof pin joint technique of free-form concrete structures - Google Patents

Column - roof pin joint technique of free-form concrete structur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8007B1
KR102358007B1 KR1020200076729A KR20200076729A KR102358007B1 KR 102358007 B1 KR102358007 B1 KR 102358007B1 KR 1020200076729 A KR1020200076729 A KR 1020200076729A KR 20200076729 A KR20200076729 A KR 20200076729A KR 102358007 B1 KR102358007 B1 KR 102358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ypical
concrete
formwork
amorphous
plat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67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58234A (en
Inventor
천가인
장지우
배재훈
주영규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76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8007B1/en
Publication of KR20210158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82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8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0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04B1/21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2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 E04C3/293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 E04C3/29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 i.e. composite structures the materials being steel and concrete of concrete combined with a girder-like structure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정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접합구조 및 접합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면이 설계된 비정형면으로 형성된 제1비정형 부재 거푸집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관 모듈; 상기 제1비정형 부재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상기 제1비정형 부재 거푸집을 탈형하여 제조되는 제1비정형 콘크리트 부재; 제2비정형 부재 거푸집의 접합부 측에 매설되며 일면이 노출되는 내부 플레이트 유닛; 상기 제2비정형 부재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상기 제2비정형 부재 거푸집을 탈형하여 제조되는 지2비정형 콘크리트 부재; 및 상기 내부 플레이트 유닛 일면에 결합되며 돌출단이 형성된 하부플레이트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 유닛의 돌출단을 상기 관 모듈에 삽입시키고, 핀 부재를 통해 상기 제1비정형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제2비정형 콘크리트 부재를 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접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nding structure and bonding method of an atypical concrete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pe modul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a first amorphous member formwork formed of an atypical surface for which an inner surface is designed; a first atypical concrete member manufactured by pouring and curing concrete on the first atypical member formwork and demolding the first atypical member formwork; an inner plate unit embedded in the joint side of the second amorphous member formwork and having one surface exposed; 2nd atypical concrete member manufactured by pouring and curing concrete on the second atypical member formwork and demolding the second atypical member formwork; and a lower plate unit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inner plate unit and having a protruding end, wherein the protruding end of the lower plate unit is inserted into the tube module, and the first amorphous concrete member and the second through a pin member It relates to a bonding structure of an atypical concret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bonding of the atypical concrete member.

Description

비정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접합구조 및 접합방법{Column - roof pin joint technique of free-form concrete structures}Joint structure and joining method of atypical concrete structures {Column - roof pin joint technique of free-form concrete structures}

본 발명은 비정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접합구조 및 접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부재생산형 시공방식에서 발생 가능한 접합부 하자 등의 문제점을 핀 접합을 활용해 개선함과 더불어 구조안전성을 높이는 접합 방법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nding structure and bonding method of an atypical concrete structure. More specifically, it relates to a bonding method that improves structural safety while improving problems such as joint defects that may occur in the existing member production type construction method using pin bonding.

핀 접합 기법은 부재를 볼트와 같은 연결 부재로 결합시키는 접합 기법으로, 부재와 부재의 접합점이 회전하도록 하는 접합 기법이다.The pin joining technique is a joining technique that joins a member with a connecting member such as a bolt.

비정형 구조물은 기존의 정형화된 구조물과 달리 자연스러운 유선형으로 이뤄진 기하학적 구조물로, 단순 생활공간을 넘어서 랜드 마크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미적인 아름다움이 강조된 구조물이다.An atypical structure is a geometric structure with a natural streamline shape, unlike the existing standardized structure, and it is a structure emphasizing aesthetic beauty that can function as a landmark beyond a simple living space.

비정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기술로는 적층형과 부재생산형으로 구분되며, 적층형 시공기술은 3D프린팅 기술 등을 적용하여 노즐에서 분사된 재료를 층으로 쌓아나가는 공법인, 반면 부재생산형은 현장 또는 공장에서 부재를 생산하고, 생산된 부재를 PC 부재처럼 운반, 조립하는 시공방법이다. The construction technology of atypical concrete structures is divided into laminated type and member production type. The laminated type construction technology is a construction method in which the material sprayed from the nozzle is stacked layer by layer by applying 3D printing technology, etc., whereas the member production type is a construction method that uses materials sprayed from the nozzles by applying 3D printing technology. It is a construction method that produces and assembles the produced members like PC members.

그 중 부재생산형 시공방법은 자유 곡면으로 된 각 파트 부재들을 조립하여 비교적 자유로운 비정형 형상을 구현할 수 있는 반면, 생산과정이 복잡하며 접합부 하자 등의 기존 PC 부재와 유사한 문제점을 가진다. Among them, the member production type construction method can implement a relatively free atypical shape by assembling each part member with a free-form surface, while the production process is complicated and has similar problems to the existing PC members such as joint defects.

또한, 비정형 콘크리트 구조물은 비정형이라는 특성으로 정형된 구조물에 비해 부재 접합에 있어 어려움이 많아 구조안정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진다. In addition, the atypical concrete structure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secure structural stability due to the difficulty in joining members compared to the structured structure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being atypical.

일본 등록특허 제4266463호Japanese Patent No. 426646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47845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547845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649747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649747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34071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334071

비정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지붕 부재의 형상은 비정형이라는 특성상 형성이 불규칙하여 기둥 부재와의 접합에 어려움이 발생하며, 또한, 기둥의 수직성과 수평성이 지켜지지 않는 비정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특성으로 인해 구조적 거동을 예측하기에 어려운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비정형 콘크리트 기둥과 지붕의 접합에 있어, 하부면의 형성이 불규칙한 비정형 콘크리트 지붕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핀 접합을 활용해 안정적인 접합을 구현할 수 있고, 사람의 활용을 전제로 한 구조물로서 구조적 안정성이 중요한 요소가 되며, 정형 구조물과 비교하여 비정형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확보하기 어려운 비정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조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비정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접합구조 및 접합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shape of the roof member of the atypical concrete structure is irregular due to the nature of the irregular shape, which causes difficulties in bonding with the column member. Also, the structural behavior is predicted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atypical concrete structure in which the verticality and horizontality of the column are not observed. As devis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d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onding of the atypical concrete pillar and the roof, pin bonding is used so that the lower surface can respond to the irregular amorphous concrete roof. As a structure that can implement stable bonding and is premised on human use, structural stability is an important facto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joint structure and a joining method of a concrete structure.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are clearly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can be understood

본 발명의 제1목적은, 비정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접합부 연결구조에 있어서, 내부면이 설계된 비정형면으로 형성된 제1비정형 부재 거푸집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관 모듈; 상기 제1비정형 부재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상기 제1비정형 부재 거푸집을 탈형하여 제조되는 제1비정형 콘크리트 부재; 제2비정형 부재 거푸집의 접합부 측에 매설되며 일면이 노출되는 내부 플레이트 유닛; 상기 제2비정형 부재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상기 제2비정형 부재 거푸집을 탈형하여 제조되는 지2비정형 콘크리트 부재; 및 상기 내부 플레이트 유닛 일면에 결합되며 돌출단이 형성된 하부플레이트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 유닛의 돌출단을 상기 관 모듈에 삽입시키고, 핀 부재를 통해 상기 제1비정형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제2비정형 콘크리트 부재를 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접합구조로서 달성될 수 있다.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joint connection structure of the amorphous concrete structure, the pipe modul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atypical member formwork formed with an atypical surface for which the inner surface is designed; a first atypical concrete member manufactured by pouring and curing concrete on the first atypical member formwork and demolding the first atypical member formwork; an inner plate unit embedded in the joint side of the second amorphous member formwork and having one surface exposed; 2nd atypical concrete member manufactured by pouring and curing concrete on the second atypical member formwork and demolding the second atypical member formwork; and a lower plate unit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inner plate unit and having a protruding end, wherein the protruding end of the lower plate unit is inserted into the tube module, and the first amorphous concrete member and the second through a pin member It can be achieved as a bonding structure of an atypical concret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bonding of the atypical concrete member.

그리고 상기 관 모듈은, 핀 결합홀이 형성된 각관 부재와, 일단면이 상기 각관 부재의 핀 결합홀이 형성된 위치 주위에 결합되고 타단면이 상기 비정형면에 부합되며 상기 제1비정형 콘크리트 부재에 노출되는 한 쌍의 실린더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nd the tube module, the square tube member having a pin coupling hole formed therein, one end surface is coupled around the position where the pin coupling hole of the square tube member is formed, and the other end face matches the irregular surface and is exposed to the first amorphous concrete member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air of cylinder members.

또한 돌출단에는 핀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 부재를 통해 상기 핀 부재를 상기 핀 결합홀과 상기 핀 삽입홀에 연결하여 상기 제1비정형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제2비정형 콘크리트 부재를 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a pin insertion hole is formed at the protruding end, and the pin member is connected to the pin coupling hole and the pin insertion hole through the cylinder member to join the first amorphous concrete member and the second amorphous concrete member can be done with

그리고 상기 내부 플레이트 유닛은 일면이 노출되는 내부플레이트와, 상기 내부 플레이트 타면에 연결되며 상기 제2비정형 콘크리트부재에 매설되는 복수의 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nd the inner plate unit may include an inner plate having one surface exposed, and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connect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inner plate and embedded in the second amorphous concrete member.

또한 상기 하부 플레이트 유닛은, 타면이 상기 내부플레이트의 일면과 용접 결합되는 하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핀 삽입홀이 형성되는 돌출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wer plate unit may include a lower plate, the other surface of which is welded to one surface of the inner plate, and a protruding end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urface of the lower plate and at which the pin insertion hole is formed.

그리고 상기 접합부 사이공간에 코킹충전되는 코킹충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nd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aulking filling part to be filled with caulking in the space between the joint parts.

또한 상기 제1비정형 콘크리트 부재는 비정형 콘크리트 기둥부재이고, 상기 제2비정형 콘크리트 부재는 비정형 콘크리트 지붕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atypical concrete member may be an atypical concrete pillar member, and the second atypical concrete member may be an atypical concrete roof member.

본 발명의 제2목적은 비정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접합부 연결방법에 있어서, 각관모듈을 제작하는 제1단계; 제1비정형 부재 거푸집 내부 공간에 상기 각관모듈을 삽입하여 위치시키는 제2단계; 상기 제1비정형 부재 거푸집으로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한 후, 상기 제1비정형 부재 거푸집을 탈형하여 제1비정형 콘크리트 부재를 제작하는 제3단계; 접합부에 내부플레이트 유닛이 매립된 제2비정형 콘크리트 부재에서, 상기 내부플레이트 유닛의 노출면에 핀 삽입홀이 형성된 돌출단을 갖는 하부플레이트를 결합하는 제4단계; 및 상기 돌출단을 상기 각관모듈에 삽입시키고, 핀 부재를 통해 상기 제1비정형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제2비정형 콘크리트 부재를 접합시키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접합방법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connecting a junction of an atypical concrete structure, comprising: a first step of manufacturing a square tube module; a second step of inserting and positioning the square tube module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atypical member formwork; a third step of casting and curing concrete using the first atypical member formwork, then demolding the first atypical member formwork to produce a first atypical concrete member; a fourth step of coupling a lower plate having a protruding end having a pin insertion hole formed on an exposed surface of the inner plate unit in a second amorphous concrete member in which the inner plate unit is embedded in the joint portion; and a fifth step of inserting the protruding end into the square tube module and joining the first amorphous concrete member and the second atypical concrete member through a pin member. can be achieved.

그리고 상기 제1단계는, 핀 결합홀이 형성된 각관 부재를 제작하고, 타단면 각각이 제1비정형 콘크리트 부재의 비정형면에 부합되는 한 쌍의 실린더 부재를 제작한 후, 상기 실린더 부재 일단면을 상기 각관 부재의 핀 결합홀이 형성된 위치 주위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nd the first step is to manufacture a square pipe member having a pin coupling hole, and after manufacturing a pair of cylinder members each having the other end surface matching the irregular surface of the first amorphous concrete member, the one end surface of the cylinder member is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upled around the position where the pin coupling hole of the square tube member is formed.

또한 상기 제5단계는, 상기 실린더 부재를 통해 상기 핀 부재를 상기 핀 결합홀과 상기 핀 삽입홀에 연결하여 상기 제1비정형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제2비정형 콘크리트 부재를 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fth step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morphous concrete member and the second atypical concrete member are joined to each other by connecting the pin member to the pin coupling hole and the pin insertion hole through the cylinder member. .

그리고 상기 제4단계 전에, 제2비정형 부재 거푸집의 접합부 측에, 일면이 노출되는 내부플레이트와 상기 내부 플레이트 타면에 연결되는 복수의 철근을 갖는 내부 플레이트 유닛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2비정형 부재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고 상기 제2비정형 부재 거푸집을 탈형하여 제2비정형 콘크리트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nd before the fourth step, on the side of the junction of the second amorphous member formwork, installing an inner plate unit having an inner plate having one surface exposed and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connect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inner plate; Pouring and curing concrete in the second amorphous member formwork and demolding the second atypical member formwork may include the step of manufacturing a second atypical concrete member.

또한 상기 제5단계 후에, 상기 제1비정형 콘크리트부재와 상기 제2비정형 콘크리트 부재 사이공간에 코킹충전부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after the fifth step,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forming a caulking filling part in the space between the first atypical concrete member and the second atypical concrete member.

그리고 상기 제1비정형 콘크리트 부재는 비정형 콘크리트 기둥부재이고, 상기 제2비정형 콘크리트 부재는 비정형 콘크리트 지붕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nd the first atypical concrete member may be an atypical concrete pillar member, and the second atypical concrete member may be an atypical concrete roof member.

비정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지붕 부재의 형상은 비정형이라는 특성상 형성이 불규칙하여 기둥 부재와의 접합에 어려움이 발생하며, 또한, 기둥의 수직성과 수평성이 지켜지지 않는 비정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특성으로 인해 구조적 거동을 예측하기에 어려운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정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접합구조 및 접합방법에 따르면, 비정형 콘크리트 기둥과 지붕의 접합에 있어, 하부면의 형성이 불규칙한 비정형 콘크리트 지붕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핀 접합을 활용해 안정적인 접합을 구현할 수 있고, 사람의 활용을 전제로 한 구조물로서 구조적 안정성이 중요한 요소가 되며, 정형 구조물과 비교하여 비정형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확보하기 어려운 비정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조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The shape of the roof member of the atypical concrete structure is irregular due to the nature of the irregular shape, which causes difficulties in bonding with the column member. Also, the structural behavior is predicted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atypical concrete structure in which the verticality and horizontality of the column are not observed. According to the bonding structure and bonding method of an atypical concret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vised to solve a conventional problem difficult to do, in the bonding of an atypical concrete column and a roof, the formation of the lower surface is irregular A stable joint can be realized by using pin joints to cope with a concrete roof, and structural stability becomes an important factor as a structure premised on human use. It has the effect of securing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structure.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able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비정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일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정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접합방법의 흐름도,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둥부재 거푸집의 사시도,
도 3b는 도 3a에서 기둥부재 거푸집 내부 공간에 관 모듈을 삽입한 상태의 사시도,
도 3c는 도 3c에서 콘크리트 타설 후, 거푸집을 탈영한 상태의 비정형 콘크리트 기둥부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 모듈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 부재와 관 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 부재의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 부재의 정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 부재가 결합된 관 모듈의 부분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정형 콘크리트 기둥부재의 부분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정형 콘크리트 지붕부재의 사시도,
도 10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붕부재 거푸집의 접합부에 내부 플레이트 유닛을 설치한 상태의 정면도,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 플레이트 유닛의 사시도,
도 11a는 도 10a에서 콘크리트 타설 후, 하부플레이트 유닛을 용접한 상태의 접합부 정면도,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 플레이트 유닛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a에서 하부플레이트 유닛의 돌출단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조된 비정형 콘크리트 기둥 부재의 상부로 삽입시키고, 핀을 접합시킨 상태의 정면도,
도 13은 도 12에서 하부 플레이트 유닛과, 비정형 콘크리트 기둥부재의 상면 사이를 코킹 충전항 상태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e present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gether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to the matters described in those drawing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1 is a perspective view according to an example of an atypical concrete structure;
2 is a flowchart of a bonding method of an amorphous concret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lumn member form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b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pipe module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olumn member formwork in Figure 3a;
3c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typical concrete column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form is deserted after the concrete is poured in FIG. 3c;
4 is a front view of a tub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ylinder member and a tube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ylinder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b is a front view of a cylinder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and 7B are partial perspective views of a tube module to which a cylinder member is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n amorphous concrete column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morphous concrete roof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a is a front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inner plate unit is installed at the joint of the roof member formwor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B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ner plat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a is a front view of the joint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plate unit is welded after the concrete is poured in FIG. 10a;
11B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wer plat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front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protruding end of the lower plate unit is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amorphous concrete column member manufact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1a, and a pin is attached;
1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caulking filling port between the lower plate uni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amorphous concrete column member in FIG. 12 .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The above objects,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as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preferred embodiments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may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In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formed on the other component or a third component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In addition,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of the components is exaggerated for effective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content.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and/or plan views, which are ideal illustrative view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thicknesses of film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for effective description of technical content. Accordingly, the shape of the illustrative drawing may be modified due to manufacturing technology and/or tolerance. Therefor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 shown, but also include changes in the form generat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example, the region shown at a right angle may be rounded or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Accordingly, the region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have properties, and the shapes of the illustrated regions in the drawings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specific shape of the region of the device and not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illustrated herein also include complementary embodiments thereof.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the terms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In describing the specific embodiments below, various specific contents have been prepared to more specifically describe the invention and help understanding. However, a reader having enough knowledge in this field to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ognize that it can be used without these various specific details. In some cases, it is mentioned in advance that parts that are commonly known and not largely related to the invention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avoid confusion without any reas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정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접합구조 및 접합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bonding structure and a bonding method of an amorphous concret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은 제1비정형 콘크리트 부재와, 제2비정형 콘크리트 부재 간의 접합부의 연결구조, 접합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제1비정형 콘크리트 부재는 비정형 콘크리트 기둥부재, 제1비정형 콘크리트 부재는 비정형 콘크리트 지붕부재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 대해 도시된 [도면]과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의해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아니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 structure and a joining method of a joint between a first atypical concrete member and a second atypical concrete member. The description will be based on the roof member.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by the [drawings] and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shown for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정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접합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2 shows a flow chart of the bonding method of the amorphous concrete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정형 콘크리트 기둥부재(10)의 제작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First,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morphous concrete column memb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둥부재 거푸집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3b는 도 3a에서 기둥부재 거푸집 내부 공간에 관 모듈을 삽입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3c는 도 3c에서 콘크리트 타설 후, 거푸집을 탈영한 상태의 비정형 콘크리트 기둥부재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3a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column member form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ipe module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olumn member formwork in Figure 3a. In addition, Figure 3c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amorphous concrete column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form is deserted after the concrete is poured in Figure 3c.

먼저, 각관 부재(31)와 한 쌍의 실린더 부재(33)를 제조한 후(S11), 이를 결합하여 각관모듈(30)을 제작한다(S12). First, a square tube member 31 and a pair of cylinder members 33 are manufactured (S11), and then the square tube module 30 is manufactured by combining them (S1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관 모듈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 부재와 관 부재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 부재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 부재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 부재가 결합된 관 모듈의 부분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 4 shows a front view of the square tub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ylinder member and the tube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is a perspective view of a cylinder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B is a front view of the cylinder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and 7B are partial perspective views of a tube module to which a cylinder member is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관 모듈(30)은 핀 결합홀(32)이 형성된 각관 부재(31)와, 각관 부재(31) 상단 양면 각각에 용접 결합되는 한 쌍의 실린더 부재(33)를 포함한다. The square tube module 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quare tube member 31 having a pin coupling hole 32 formed therein, and a pair of cylinder members 33 welded to each of the upper surfaces of the square tube member 31 . do.

실린더 부재(33)의 일단면은 각관 부재(31)의 핀 결합홀(32)이 형성된 위치 주위에 용접, 결합되고 타단면은 비정형면에 부합되는 단면을 가지며 제작되는 비정형 콘크리트 기둥부재에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One end surface of the cylinder member 33 is welded and coupled around the position where the pin coupling hole 32 of the square tube member 31 is formed, and the other end surface has a cross section that matches the irregular surface and is exposed to the manufactured atypical concrete column member. is composed

그리고,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정형 콘크리트 기둥부재(10)를 제작하기 위한 기둥부재 거푸집(20)을 제작한다(S13). 이러한 기둥부재 거푸집(20)은 EPS(expanded poly stylene)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내부면(21)은 설계된 비정형면을 가지게 된다. And, as shown in FIG. 3A, a column member formwork 20 for manufacturing the atypical concrete column member 10 is manufactured (S13). The column member formwork 20 may be made of expanded poly stylene (EPS), and the inner surface 21 has a designed atypical surface.

그리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정형 기둥부재 거푸집(20)의 내부공간(22)에 제작된 각관 모듈(30)을 삽입, 위치시키게 된다(S14). And as shown in Figure 3b, the manufactured square tube module 3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22 of the atypical column member formwork 20 (S14).

그리고,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한 후(S15). 거푸집(20)을 탈형하여 비정형 콘크리트 기둥부재(10)를 제작하게 된다(S16).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정형 콘크리트 기둥부재의 부분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And, after pouring and curing the concrete (S15). By demolding the formwork 20, the amorphous concrete column member 10 is manufactured (S16). 8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n amorphous concrete column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정형 콘크리트 지붕부재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9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typical concrete roof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정형 콘크리트 지붕부재(40) 제작을 위해 먼저, 내부플레이트 유닛(60)과 하부플레이트 유닛(70)을 제작하게 된다(S21). In order to manufacture the amorphous concrete roof member 4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inner plate unit 60 and the lower plate unit 70 are manufactured (S21).

그리고 비정형 지붕부재 거푸집(50)을 제작한 후(S23), 접합부(2) 각각에 대하여 제작된 내부플레이트 유닛(60)을 매립, 설치한다(S23). And after the atypical roof member formwork 50 is manufactured (S23), the manufactured inner plate unit 60 for each of the joint portions 2 is embedded and installed (S23).

도 10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붕부재 거푸집의 접합부에 내부 플레이트 유닛을 설치한 상태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 플레이트 유닛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다. 10A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inner plate unit is installed at a joint portion of a roof member form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10b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ner plat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 플레이트 유닛(60)은 하부면이 노출되는 내부플레이트(61)와, 이러한 내부 플레이트(61) 상면에 연결되며 후에 비정형 콘크리트 지붕부재(40)에 매설되게 되는 복수의 철근(62)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s 10a and 10b, the inner plate unit 6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inner plate 61, the lower surface of which is exposed, and the inner plate 61, the upper surface and then amorphous concrete It can be see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62 to be embedded in the roof member 40 .

이러한 내부플레이트 유닛(60)이 매설된 상태로 거푸집(50) 내로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한 후, 거푸집(50)을 탈형하게 된다(S24). Concrete is poured into the formwork 50 in a state in which the inner plate unit 60 is embedded, and after curing, the formwork 50 is demolded (S24).

그리고 내부플레이트(61)의 노출면인 하부면에 하부플레이트 유닛(70)을 모살 용접하여 결합하게 된다(S25). 도 11a는 도 10a에서 콘크리트 타설 후, 하부플레이트 유닛을 용접한 상태의 접합부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 플레이트 유닛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Then, the lower plate unit 70 is jointly welded to the lower surface that is the exposed surface of the inner plate 61 (S25). Figure 11a shows a front view of the joint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plate unit is welded after the concrete is poured in Figure 10a. And Figure 11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plate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플레이트 유닛(70)은, 상면이 내부플레이트(61)의 하면과 모살 용접 결합되는 하부플레이트(71)와 이러한 하부플레이트(71)의 하면 중앙에 돌출 형성되며 핀 삽입홀(73)이 형성되는 돌출단(72)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알 수 있다. 11a and 11b, the lower plate unit 70,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71 and the lower plate 71 jointed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inner plate 61, and the lower plate 71 protrudes from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It can be seen that it is formed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protruding end 72 where the pin insertion hole 73 is formed.

그리고 하부 플레이트 유닛(70)의 돌출단(72)을 기둥부재(10)의 각관모듈(30) 내에 삽입시키고(S30), 핀 부재(3)를 통해 비정형 콘크리트 기둥부재(10)와 비정형 콘크리트 지붕부재(40)를 접합, 결합시키게 된다(40). And the protruding end 72 of the lower plate unit 70 is inserted into the square tube module 30 of the column member 10 (S30), and the amorphous concrete column member 10 and the amorphous concrete roof through the pin member 3 The member 40 is joined and coupled ( 40 ).

도 12는 도 11a에서 하부플레이트 유닛의 돌출단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조된 비정형 콘크리트 기둥 부재의 상부로 삽입시키고, 핀 부재를 접합시킨 상태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12 is a front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protruding end of the lower plate unit is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amorphous concrete column member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1A, and the pin member is joined.

즉, 각관모듈(30)의 실린더 부재(33)를 통해 핀 부재(3)를 핀 결합홀(32)과 핀 삽입홀(73)에 연결하여 비정형 콘크리트 기둥부재(10)와 비정형 콘크리트 지붕부재(40)를 핀 접합시키게 된다. That is, by connecting the pin member 3 to the pin coupling hole 32 and the pin insertion hole 73 through the cylinder member 33 of the square tube module 30, the atypical concrete pillar member 10 and the atypical concrete roof member ( 40) is pinned.

그리고 비정형 콘크리트 기둥부재(10)와 비정형 콘크리트 지붕부재(40) 사이공간에 코킹 충전을 진행하여 코킹충전부(80)를 형성시켜 마무리하게 된다(S50). 도 13은 도 12에서 하부 플레이트 유닛과, 비정형 콘크리트 기둥부재의 상면 사이를 코킹 충전항 상태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Then, caulking is carried out in the space between the atypical concrete pillar member 10 and the atypical concrete roof member 40 to form the caulking filling part 80 to finish (S50). 1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caulking filling port between the lower plate unit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amorphous concrete column member in FIG. 12 .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apparatus and method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not limitedly applicable, but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is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1:비정형 콘크리트 구조물
2:접합부
3:핀 부재
10:비정형 콘크리트 기둥부재
20:기둥부재 거푸집
21:내부면
22:내부공간
30:관 모듈
31:관 부재
32:핀 결합홀
33:실린더 부재
40:비정형 콘크리트 지붕부재
50:지붕부재 거푸집
60:내부플레이트 유닛
61:내부플레이트
62:철근
70:하부플레이트 유닛
71:하부플레이트
72:돌출단
73:핀 삽입홀
80:코킹 충전부
1: Atypical concrete structure
2: Joint
3: Pin absence
10: atypical concrete column member
20: Column member formwork
21: inner side
22: inner space
30: tube module
31: tube member
32: pin coupling hole
33: cylinder member
40: atypical concrete roof member
50: roof member formwork
60: inner plate unit
61: inner plate
62: rebar
70: lower plate unit
71: lower plate
72: protrusion
73: pin insertion hole
80: caulking charging part

Claims (13)

비정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접합부 연결구조에 있어서,
내부면이 설계된 비정형면으로 형성된 제1비정형 부재 거푸집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관 모듈;
상기 제1비정형 부재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상기 제1비정형 부재 거푸집을 탈형하여 제조되는 제1비정형 콘크리트 부재;
제2비정형 부재 거푸집의 접합부 측에 매설되며 일면이 노출되는 내부 플레이트 유닛;
상기 제2비정형 부재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상기 제2비정형 부재 거푸집을 탈형하여 제조되는 지2비정형 콘크리트 부재; 및
상기 내부 플레이트 유닛 일면에 결합되며 돌출단이 형성된 하부플레이트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 유닛의 돌출단을 상기 관 모듈에 삽입시키고, 핀 부재를 통해 상기 제1비정형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제2비정형 콘크리트 부재를 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접합구조.
In the joint connection structure of the atypical concrete structure,
a tube modul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atypical member formwork formed with an atypical surface for which the inner surface is designed;
a first atypical concrete member manufactured by pouring and curing concrete on the first atypical member formwork and demolding the first atypical member formwork;
an inner plate unit embedded in the joint side of the second amorphous member formwork and having one surface exposed;
2nd amorphous concrete member manufactured by pouring and curing concrete on the second atypical member formwork and demolding the second atypical member formwork; and
Including; a lower plate unit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inner plate unit and having a protruding end;
The protruding end of the lower plate unit is inserted into the tube module, and the first amorphous concrete member and the second atypical concrete member are joined to each other through a pin memb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 모듈은, 핀 결합홀이 형성된 각관 부재와, 일단면이 상기 각관 부재의 핀 결합홀이 형성된 위치 주위에 결합되고 타단면이 상기 비정형면에 부합되며 상기 제1비정형 콘크리트 부재에 노출되는 한 쌍의 실린더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접합구조.
The method of claim 1,
As long as the tube module is coupled to a square tube member having a pin coupling hole, one end surface is coupled around a position where the pin coupling hole of the square tube member is formed, and the other end surface matches the irregular surface and is exposed to the first atypical concrete member A joint structure of an atypical concrete structure comprising a pair of cylinder members.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단에는 핀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실린더 부재를 통해 상기 핀 부재를 상기 핀 결합홀과 상기 핀 삽입홀에 연결하여 상기 제1비정형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제2비정형 콘크리트 부재를 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접합구조.
3. The method of claim 2,
A pin insertion hole is formed at the protruding end, and the pin member is connected to the pin coupling hole and the pin insertion hole through the cylinder member to join the first atypical concrete member and the second atypical concrete member A joint structure of atypical concrete structures with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플레이트 유닛은 일면이 노출되는 내부플레이트와, 상기 내부 플레이트 타면에 연결되며 상기 제2비정형 콘크리트부재에 매설되는 복수의 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접합구조.
4. The method of claim 3,
The inner plate unit has an inner plate having one surface exposed, and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connect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inner plate and embedded in the second amorphous concrete member.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 유닛은, 타면이 상기 내부플레이트의 일면과 용접 결합되는 하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핀 삽입홀이 형성되는 돌출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접합구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lower plate unit is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urface of the lower plat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is welded to one surface of the inner plate, and the pin insertion hole is formed. structure.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 사이공간에 코킹충전되는 코킹충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접합구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joint structure of an atypical concret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aulking filling part filled with caulking in the space between the joint part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비정형 콘크리트 부재는 비정형 콘크리트 기둥부재이고, 상기 제2비정형 콘크리트 부재는 비정형 콘크리트 지붕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접합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typical concrete member is an atypical concrete column member, and the second atypical concrete member is an atypical concrete roof member.
비정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접합부 연결방법에 있어서,
각관모듈을 제작하는 제1단계;
제1비정형 부재 거푸집 내부 공간에 상기 각관모듈을 삽입하여 위치시키는 제2단계;
상기 제1비정형 부재 거푸집으로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한 후, 상기 제1비정형 부재 거푸집을 탈형하여 제1비정형 콘크리트 부재를 제작하는 제3단계;
접합부에 내부플레이트 유닛이 매립된 제2비정형 콘크리트 부재에서, 상기 내부플레이트 유닛의 노출면에 핀 삽입홀이 형성된 돌출단을 갖는 하부플레이트를 결합하는 제4단계; 및
상기 돌출단을 상기 각관모듈에 삽입시키고, 핀 부재를 통해 상기 제1비정형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제2비정형 콘크리트 부재를 접합시키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접합방법.
In the joint connection method of an atypical concrete structure,
A first step of manufacturing a square tube module;
a second step of inserting and positioning the square tube module in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atypical member formwork;
a third step of casting and curing concrete using the first atypical member formwork, then demolding the first atypical member formwork to produce a first atypical concrete member;
a fourth step of coupling a lower plate having a protruding end having a pin insertion hole formed on an exposed surface of the inner plate unit in a second amorphous concrete member in which the inner plate unit is embedded in the joint; and
and a fifth step of inserting the protruding end into the square tube module and joining the first atypical concrete member and the second atypical concrete member through a pin member.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핀 결합홀이 형성된 각관 부재를 제작하고, 타단면 각각이 제1비정형 콘크리트 부재의 비정형면에 부합되는 한 쌍의 실린더 부재를 제작한 후, 상기 실린더 부재 일단면을 상기 각관 부재의 핀 결합홀이 형성된 위치 주위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접합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step is
After manufacturing a square tube member having a pin coupling hole, and manufacturing a pair of cylinder members each having the other end surface matching the atypical surface of the first atypical concrete member, one end of the cylinder member is connected to the pin coupling hole of the square tube member A bonding method of atypical concrete structures, characterized in that bonding around the formed position.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는,
상기 실린더 부재를 통해 상기 핀 부재를 상기 핀 결합홀과 상기 핀 삽입홀에 연결하여 상기 제1비정형 콘크리트 부재와 상기 제2비정형 콘크리트 부재를 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접합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fifth step is
The bonding method of an atypical concret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by connecting the pin member to the pin coupling hole and the pin insertion hole through the cylinder member to join the first amorphous concrete member and the second amorphous concrete member.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 전에,
제2비정형 부재 거푸집의 접합부 측에, 일면이 노출되는 내부플레이트와 상기 내부 플레이트 타면에 연결되는 복수의 철근을 갖는 내부 플레이트 유닛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2비정형 부재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고 상기 제2비정형 부재 거푸집을 탈형하여 제2비정형 콘크리트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접합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Before the fourth step,
Installing an inner plate unit having an inner plate having one surface exposed and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connect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inner plate on the junction side of the second amorphous member formwork;
Pouring and curing concrete in the second amorphous member formwork, and demolding the second amorphous member formwork to manufacture a second atypical concrete member.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 후에, 상기 제1비정형 콘크리트부재와 상기 제2비정형 콘크리트 부재 사이공간에 코킹충전부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접합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After the fifth step, the bonding method of the atypical concrete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forming a caulking filling in the space between the first atypical concrete member and the second atypical concrete member.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비정형 콘크리트 부재는 비정형 콘크리트 기둥부재이고, 상기 제2비정형 콘크리트 부재는 비정형 콘크리트 지붕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접합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atypical concrete member is an atypical concrete column member, and the second atypical concrete member is an atypical concrete roof member.


KR1020200076729A 2020-06-23 2020-06-23 Column - roof pin joint technique of free-form concrete structures KR1023580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729A KR102358007B1 (en) 2020-06-23 2020-06-23 Column - roof pin joint technique of free-form concrete structur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729A KR102358007B1 (en) 2020-06-23 2020-06-23 Column - roof pin joint technique of free-form concrete structur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8234A KR20210158234A (en) 2021-12-30
KR102358007B1 true KR102358007B1 (en) 2022-02-04

Family

ID=79178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6729A KR102358007B1 (en) 2020-06-23 2020-06-23 Column - roof pin joint technique of free-form concrete structur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8007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7403B1 (en) 2015-08-18 2016-12-16 주식회사 힐 엔지니어링 Connection structure of precast concrete column
KR101778999B1 (en) 2016-10-05 2017-09-18 주식회사 퓨쳐캐스트 A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rchitectural 3 Dimensional Shape
KR101916158B1 (en) 2018-04-23 2018-11-08 황대운 Concrete slab and insulation integral type bolt insert plate for installation of ceiling facilities and it's construction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66463B2 (en) 1999-11-15 2009-05-20 株式会社奥村組 Frame structure and building using the same
KR101334071B1 (en) 2012-08-29 2013-11-28 (주)케이에이치하우징솔루션스 The needless filling structure in the junction of pc beam and vertical member
KR101649747B1 (en) 2014-01-23 2016-08-19 김용상 A steel form assembly for atypical concrete structures
KR101547845B1 (en) 2014-05-13 2015-08-31 (주) 에센스 The precast concrete Korean-style house structure
KR101738246B1 (en) * 2015-07-13 2017-05-2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Manufacturing method of structure with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using 3d prin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7403B1 (en) 2015-08-18 2016-12-16 주식회사 힐 엔지니어링 Connection structure of precast concrete column
KR101778999B1 (en) 2016-10-05 2017-09-18 주식회사 퓨쳐캐스트 A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rchitectural 3 Dimensional Shape
KR101916158B1 (en) 2018-04-23 2018-11-08 황대운 Concrete slab and insulation integral type bolt insert plate for installation of ceiling facilities and it's construc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8234A (en) 2021-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307745A1 (en) Block and connector system
KR20140136111A (en) The precast concrete wall structure for a building
JP3272839B2 (en) Jig for joining
US20030084632A1 (en) Panel forming system and components
JP2009097223A (en) Method of filling grout into mechanical joint, pc member connection method, beam-column connection portion construction method, beam-column joint portion construction method, floor member and pc wall member connection method, pc member connection structure, beam-column connection structure, beam-column joint portion structure, and floor and wall connection structure
KR20080057552A (en) Connection method of pre-cast concrete filled steel tube and structure with the same
KR102358007B1 (en) Column - roof pin joint technique of free-form concrete structures
JP5213249B2 (en) Pile head structure of precast concrete pile and pile head formation method
CN208981527U (en) Assembly concrete connection structure
KR101125472B1 (en) Clamp for connecting pannels and connect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2313849B1 (en) Fabrication method for 3D concrete printing on inclined concrete members
JP2018178365A (en) Reinforcement joint coupler
JP2003082770A (en) Unit construction method
KR20140058076A (en) Construction method for connecting new and old concrete
US20150033660A1 (en) Interlocking masonry unit
JP2625159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formwork assembly for concrete structure and formwork assembly
JP2004082571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recast concrete structural component
JP2998621B2 (en) Formwork also serves as spacer for PC column joint
JPH0510535U (en) Waste embeddable concrete block
CN209817222U (en) Connection node of coincide floor and wall body
KR20130126101A (en) The concrete pillar structure and the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200423396Y1 (en) Mold-from structure for a building wall
JP3170464U (en) Additional pillar frame
JPH10205032A (en) Wall construction and execution method thereof
JP2007023567A (en) Connection structure of precast concrete beam members, and connection method for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