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6791B1 - 눈-발 협응력 평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눈-발 협응력 평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6791B1
KR102356791B1 KR1020200128051A KR20200128051A KR102356791B1 KR 102356791 B1 KR102356791 B1 KR 102356791B1 KR 1020200128051 A KR1020200128051 A KR 1020200128051A KR 20200128051 A KR20200128051 A KR 20200128051A KR 102356791 B1 KR102356791 B1 KR 102356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
user
footrest
foot coordination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8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영
신시우
남윤영
김현우
림차리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28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67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4Determining motor sk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36Measuring load distribution, e.g. podologic studies
    • A61B5/1038Measuring plantar pressure during ga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Gait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2Testing reaction ti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3/00Evaluating a particular growth phase or type of persons or animals
    • A61B2503/08Elder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5/00Evaluating, monitoring or diagnosing in the context of a particular type of medical care
    • A61B2505/09Rehabilitation or 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눈-발 협응력 평가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사용자의 눈-발 협응력 평가를 위해 미리 설정된 기본모드, 높낮이 변화모드, 장애물변화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실행하는 눈-발 협응력 평가 장치는, 사용자의 발판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및 평형 감각이 저하된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일측에 구비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발판부; 및 상기 발판부에 감지되는 사용자에 의한 압력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눈-발 협응력을 평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눈-발 협응력 평가 장치 및 방법{A EYE-FOOT COORDINATION SKILL EVALUATION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눈-발 협응력 평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눈과 발의 협응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훈련을 가능하게 하는 눈-발 협응력 평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협응력이란 근육, 신경기관, 운동기관 등의 움직임의 사호조정 능력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머리, 어깨, 입, 팔, 손가락 등을 시각적 탐사와 연결하여 움직이는 신체적 조절능력을 의미한다. 특히, 눈-발 협응은 발을 사용하여 조작하는 활동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눈의 기능과 발을 연결하여 서로 협응하도록 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때, 노인 등과 같이 인지 능력이 저하된 사람의 경우 눈과 발의 협응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협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면 노인과 같은 사용자는 훈련을 통해 인지 능력을 향상시켜 결과적으로 협응력을 높일 수 있으므로 삶의 질이 높아질 수 있다.
이처럼, 눈과 발의 협응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국내외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접근이 쉽지 않고 비용 또한 고가이다.
따라서, 보다 보편적이고 사용자 입장에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협응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장치)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31275호(2019.12.11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눈과 발의 협응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눈-발 협응력 평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사용자의 눈-발 협응력 평가를 위해 미리 설정된 기본모드, 높낮이 변화모드, 장애물변화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실행하는 눈-발 협응력 평가 장치는, 사용자의 발판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및 평형 감각이 저하된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일측에 구비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발판부; 및 상기 발판부에 불이 들어온 시점에서 사용자가 발판부를 밟기 전까지의 시간적 간격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눈-발 협응력을 평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발판부의 변화 여부에 따라 미리 설정된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실행되고, 상기 제어부는, 기본모드의 실행시, 발판에 빛이 들어오는 경우 빛이 켜진 시점부터 사용자가 해당 발판을 밟기까지 걸린 시간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눈-발 협응력 평가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판부의 변화 여부에 따라 미리 설정된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실행되고, 상기 제어부는, 높낮이 변화모드 실행시, 상기 발판부에 불이 들어온 시점에서 사용자가 발판부를 밟기 전까지의 시간적 간격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눈-발 협응력을 평가하며, 눈-발 협응 평가가 진행되는 동안 상기 발판부가 상승하거나 상승하지 않음으로써 균형의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기본모드와 높낮이 변화모드 수행의 변화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눈-발 협응력 평가 결과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판부의 변화 여부에 따라 미리 설정된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실행되고, 상기 제어부는, 장애물 변화모드 실행시, 상기 발판부에 불이 들어온 시점에서 사용자가 발판부를 밟기 전까지의 시간적 간격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눈-발 협응력을 평가하며, 눈-발 협응 평가가 진행되는 동안 상기 발판부 앞과 양 옆으로 장애물이 상승함으로써 발디딤의 난이도를 높일 수 있으며, 기본모드와 장애물 변화모드 수행의 변화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눈-발 협응력 평가 결과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인지 능력 테스트를 위한 정보를 출력하는 모니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판부에 불이 들어온 시점에서 사용자가 발판부를 밟기 전까지의 시간적 간격 정보와 상기 모니터부에 출력되는 사용자의 인지 부하 상태를 유발할 수 있는 인지 능력 테스트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눈-발 협응력을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사용자의 발판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및 평형 감각이 저하된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일측에 구비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발판부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눈-발 협응력 평가를 위해 미리 설정된 기본모드, 높낮이 변화모드, 장애물변화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실행하는 눈-발 협응력 평가 장치에서의 눈-발 협응력 평가 방법은, 제어부가, 발판부에 불이 들어온 시점에서 사용자가 발판부를 밟기 전까지의 시간적 간격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눈-발 협응력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의 눈-발 협응력을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발판부의 변화 여부에 따라 미리 설정된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실행되고, 상기 제어부는, 기본모드의 실행시, 발판에 빛이 들어오는 경우 빛이 켜진 시점부터 사용자가 해당 발판을 밟기까지 걸린 시간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눈-발 협응력 평가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의 눈-발 협응력을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발판부의 변화 여부에 따라 미리 설정된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실행되고, 상기 제어부는, 높낮이 변화모드 실행시, 상기 발판부에 불이 들어온 시점에서 사용자가 발판부를 밟기 전까지의 시간적 간격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눈-발 협응력을 평가하며, 눈-발 협응 평가가 진행되는 동안 상기 발판부가 상승하거나 상승하지 않음으로써 균형의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기본모드와 높낮이 변화모드 수행의 변화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눈-발 협응력 평가 결과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용자의 눈-발 협응력을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발판부의 변화 여부에 따라 미리 설정된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실행되고, 상기 제어부는, 장애물 변화모드 실행시, 상기 발판부에 불이 들어온 시점에서 사용자가 발판부를 밟기 전까지의 시간적 간격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눈-발 협응력을 평가하며, 눈-발 협응 평가가 진행되는 동안 상기 발판부 앞과 양 옆으로 장애물이 상승함으로써 발디딤의 난이도를 높일 수 있으며, 기본모드와 장애물 변화모드 수행의 변화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눈-발 협응력 평가 결과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모니터부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인지 능력 테스트를 위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눈-발 협응력을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발판부에 불이 들어온 시점에서 사용자가 발판부를 밟기 전까지의 시간적 간격 정보와 상기 모니터부에 출력되는 사용자의 인지 부하 상태를 유발할 수 있는 인지 능력 테스트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눈-발 협응력을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시각적 인지 부하의 유무, 발판의 상승 및 하강, 장애물의 유무와 같은 다양한 상황에서 눈-발 협응력을 포괄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다른 노인 낙상 위험도 평가 혹은 동적 균형 검사와 맥락을 함께 하며, 일상생활에서 아무런 자극 없이 발을 딛는 상황, 무언가를 보고 있는 상황에서 발을 딛는 상황, 울퉁불퉁한 지면을 밟는 상황, 문턱을 넘어 발을 딛는 행동을 모방한 것으로, 기존의 균형 평가보다 생체학적 타당도가 높은 이점이 있다.
또한, 협응력의 평가를 수행하는 사용자가 동작 수행시 정보가 출력되는 화면만을 응시하여 평가를 수행할 수 있어 협응력 측정을 보다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들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눈-발 협응력 평가 장치의 개략적인 기능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부에 표시되는 출력 정보의 일 예,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발판부를 포함하는 평가 장치의 일 예,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판부의 일 예,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눈-발 협응력 평가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눈-발 협응력 평가 장치의 개략적인 기능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부에 표시되는 출력 정보의 일 예,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발판부를 포함하는 평가 장치의 일 예,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판부의 일 예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눈-발 협응력 평가 장치는 모니터부(110), 발판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모니터부(110)는 사용자가 눈-발 협응력 평가를 위해 발판부(120)를 딛고 섰을 때, 사용자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모니터부(110)는 눈-발 협응력 평가를 위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인지 능력 테스트를 위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사용자가 발판부(120)를 밟아 협응력 평가를 수행하는 도중에 모니터부(110)를 통해 인지 부하를 요구하는 시각적 정보를 출력하고, 인지 능력 테스트를 수행하여 협응력 평가의 보다 효율적인 수행을 유도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발판부(120)를 밟아 협응력 평가를 수행하는 도중에 모니터부(110)를 통해 인지 부하를 요구하는 정보를 출력하여 수행의 난이도 상승을 유도할 수 있다. 이때, 모니터부(110)를 통해 출력되는 인지 능력 테스트는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인지적인 부담을 제공할 수 있는 계산 테스트일 수 있다. 예컨데, 계산 테스트는 “996-7=?”등과 같은 것일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협응력 평가를 수행하는 도중에 모니터부(110)를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이 인지적인 부담을 가중시킬 수 있는 인지 능력 테스트를 수행하여 이인지 부하 상황에서 눈-발 협응력 평가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모니터부(110)에 출력되는 사용자의 인지 능력 테스트를 위한 정보는 시각적 정보와 내재적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시각적 정보는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의 색상 정보이고, 내재적 정보는 눈-발 협응력 평가를 위해 모니터부(110)를 통해 출력되는 문자의 의미 정보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부(110)에는 파란색이라는 문자의 의미 정보를 담은 인지 능력 테스트를 위한 정보가 출력되되, 문자의 색상은 빨간색으로 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출력되는 정보의 시각적 정보와 내면적 정보를 다르게 출력하여 사용자의 눈-발 협응력 평가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모니터부(110)는 출력되는 정보의 표면적 정보와 내면적 정보를 다르게 출력하여 사용자의 눈-발 협응력 평가가 진행되는 동안 인지 부하의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인지 능력 테스트를 위한 정보의 출력시, 시각적 정보와 내면적 정보를 일치시켜 모니터부(110)에 출력할 수도 있다. 즉, 모니터부(110)는 협응력 평가를 위한 정보 다시 말해, 사용자의 인지 부하를 요구하는 정보를 출력하되, 시각적 정보와 내재적 정보가 일치 또는 불일치되도록 출력하여 사용자의 눈-발 협응력 평가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모니터부(110)는 협응력 평가를 위한 정보를 출력하되, 시각적 정보와 내재적 정보가 일치 또는 불일치되도록 출력하여 사용자의 눈-발 협응력 평가가 진행되는 동안 인지 부하의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모니터부(110)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게 상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부(110)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모니터부(110)는 평가가 시작되는 시점을 카운트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평가가 종료된 이후 계산된 눈-발 협응력 평가 결과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발판부(120)는 사용자의 발판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및 평형 감각이 저하된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일측에 구비된 손잡이(300)를 포함할 수 있다(도 3 참조). 발판부(120)는 하나 이상의 압력센서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발판부(120)에 올라서는 경우 사용자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발판부(120)는 압력센서를 통해 압력 분포에 대한 변화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균형 유지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발판부(120)는 압력센서가 구비된 바닥면과 수직되도록 봉 형태로 일측에 구비되는 손잡이(300)를 포함한다. 손잡이(300)는 평형 감각에 이상이 있는 사용자를 위한 것일 수 있다. 즉, 손잡이(300)는 평형 감각에 이상이 있는 사용자가 잡고 눈-발 협응력 평가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중심을 잡지 못하여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발판부(120)는 색을 방출하는 LED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눈-발 협응력 평가를 위한 수행 구성의 하나로써 상승 및/또는 하강이 가능한 움직임 발판(430)을 구비할 수도 있다. 보다 세부적으로, 발판부(120)는 반응발판(420)과 대기발판(41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눈-발 협응력 평가를 수행하는 사용자는 최초 대기발판(410)에 위치한 후, 모니터부(110)에 출력되는 인지 능력 테스트를 위한 정보에 따라, 반응발판(420)으로 위치를 이동함으로써 눈-발 협응력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발판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은 반응발판(420)과 대기발판(410)을 포함하되, 반응발판(420)과 대기발판(410)의 사이에는 상술한 상승 및/또는 하강이 가능한 움직임 발판(430)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승 및/또는 하강이 가능한 발판인 움직임 발판(430)은 접촉 센서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손-발 협응력 평가를 수행하는 경우 장애물과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모니터부(110)에 출력되는 협응력 평가를 위한 정보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인지 능력 테스트를 위한 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130)는 눈-발 협응력 평가 장치의 구성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발판부(120)에 불이 들어온 시점에서 사용자가 발판부(120)를 밟기 전까지의 시간적 간격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눈-발 협응력을 평가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술한 모니터부(110) 및 발판부(120)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눈-발 협응력을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발판부(120)에 감지되는 사용자에 의한 압력정보와 모니터부(110)에 출력되는 협응력 평가를 위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눈-발 협응력을 평가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발판부(120)에 감지되는 최초의 사용자에 의한 압력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눈-발 협응력을 평가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발판부(120)에 감지되는 최초의 사용자에 의한 압력정보와 모니터부(110)에 출력되는 협응력 평가를 위한 정보의 수행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의 동작 수행 정보를 비교하여 그 일치 여부에 따라 눈-발 협응력 평가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발판부(120)에 두 발을 지지하여 올라선 경우, 제어부(130)는 발판부(120)의 압력을 감지하여 사용자가 두 발로 발판부(120)를 딛고 서 있음을 확인한다. 이후, 제어부(130)는 발판부(120)의 불이 켜진 시간과 발판에 압력이 가해진 시간을 비교하여 그 시간적 간격의 길이를 판단함으로써 눈-발 협응력 평가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모니터부(110)에 ”불이 들어온 발판을 밟으세요.” 또는 “화면에 표시된 색상에 대응하는 발판부(120)의 LED를 클릭하세요” 등과 같은 문구가 표시되는 경우, 이에 대응되는 동작을 발판부(120)를 통해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모니터부(110)를 통해 출력되는 정보와 발판부(120)의 압력정보를 비교하여 그 일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눈-발 협응력 평가 결과를 산출할 수도 있다. 예컨대, 모니터부(110)에 “발판에서 왼발을 떼고 3초간 정지하세요” 또는 “화면에 표시된 색상에 대응하는 발판부(120)의 LED를 클릭하세요” 등과 같은 문구가 표시되는 경우, 이에 대응되는 동작을 발판부(120)를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모니터부(110)에 출력되는 정보와 발판부(120)를 통해 수행되는 동작 정보를 확인(압력센서를 통해 감지할 수 있음)하여 그 일치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발판부(120)에 감지되는 사용자에 의한 압력정보와 모니터부(110)에 출력되는 인지 능력 테스트를 위한 정보를 기초로 정확성 및/또는 신속성에 대한 사용자의 눈-발 협응력을 평가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어부(130)는 발판부(120)에 감지되는 사용자에 의한 압력정보와 모니터부(110)에 출력되는 협응력 평가를 위한 정보의 일치 여부를 기초로 결과를 산출함으로써 정확성에 대한 사용자의 눈-발 협응력을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상술한 두 정보(모니터부(110)를 통해 출력되는 정보 및 발판부(120)에 감지되는 압력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발판부(120)에 감지되는 사용자에 의한 압력정보가 상기 모니터에 출력되는 협응력 평가를 위한 정보와 일치하는 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산출하여 신속성에 대한 사용자의 눈-발 협응력을 평가할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정확성에 대한 사용자의 눈-발 협응력 평가 결과 및 신속성에 대한 사용자의 눈-발 협응력 평가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눈-발 협응력 평가 결과를 산출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모니터부(110)를 통해 출력되는 시각적 정보와 내재적 정보의 일치 및/또는 불일치에 따른 출력 정보와 발판부(120)에 입력되는 압력정보(사용자의 동작 수행 정보)를 비교하여 눈-발 협응력 평가 결과를 산출할 수도 있다. 예컨대, 모니터부(110)에 표시되는 시각적 정보(예컨대, 표시된 글자의 색상 정보)는 빨간색인데 내재적 정보가 파란색(예컨대, 표시된 글자의 의미 정보)인 경우, 사용자는 발판의 미리 설정된 발판 영역을 자신의 인지 능력에 기초하여 발을 이용해 터치할 수 있다. 예컨대, 시각적 정보와 내재적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엔 왼쪽의 미리 설정된 발판을 누르고, 불일치하는 경우엔 오른쪽의 발판을 누를 수 있다. 이때, 내재적 정보와 시각적 정보의 일치 및/또는 불일치에 따라 선택되어야 하는 발판은 사전에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눈-발 협응력 평가의 수행 전에 이러한 설정 사항은 사용자에게 미리 공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원발명에 따르면, 발판부(120)의 변화 여부에 따라 미리 설정된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실행될 수 있다. 이때, 본원발명에 따른 모드는 발판에 빛이 들어오는 경우 빛이 켜진 시점부터 사용자가 해당 발판을 밟기까지 걸린 시간을 측정하는 기본모드, 상승 및/또는 하강이 가능한 움직임 발판(430)의 높낮이 변화 발생에 따른 시간을 측정하는 높낮이 변화모드 및 장애물의 변화 여부를 감지하는 장애물 변화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발판부(120)의 변화 여부에 따라 상술한 모드 중 어느 하나가 실행될 수 있다. 한편, 기본모드의 실행시, 모니터부(110)에는 눈-발 협응력 평가 결과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자의 정신을 다른 곳으로 돌릴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즉, 기본모드의 실행시, 모니터부(110)에는 시각적 정보(예컨대, 표시된 글자의 색상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이때, 모니터부(110)에 표시되는 시각적 정보(예컨대, 표시된 글자의 색상 정보)는 빨간색인데 내재적 정보가 파란색(예컨대, 표시된 글자의 의미 정보)인 경우, 사용자는 발판의 미리 설정된 발판 영역을 자신의 인지 능력에 기초하여 발을 이용해 터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모니터부(110)는 기본 모드가 실행될 경우, 인지적 과제 수행을 위한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의 과제 수행 여부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발판부의 변화 여부에 따라 미리 설정된 모드 중 기본모드가 실행되는 경우 제어부는, 발판에 빛이 들어오는 경우 빛이 켜진 시점부터 사용자가 해당 발판을 밟기까지 걸린 시간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눈-발 협응력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발판부의 변화 여부에 따라 미리 설정된 모드 중 높낮이 변화모드가 실행되는 경우 제어부는, 발판부에 감지되는 사용자에 의한 압력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눈-발 협응력을 평가하며, 눈-발 협응 평가가 진행되는 동안 상기 발판부가 상승하거나 상승하지 않음으로써 균형의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기본모드와 높낮이 변화모드 수행의 변화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눈-발 협응력 평가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발판부의 변화 여부에 따라 미리 설정된 모드 중 장애물 변화모드가 실행되는 경우 제어부는, 발판부에 감지되는 사용자에 의한 압력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눈-발 협응력을 평가하며, 눈-발 협응 평가가 진행되는 동안 상기 발판부 앞과 양 옆으로 장애물이 상승함으로써 발디딤의 난이도를 높일 수 있으며, 기본모드와 장애물 변화모드 수행의 변화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눈-발 협응력 평가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보다 정확한 사용자의 눈-발 협응력 평가의 수행을 위해 사용자는 맨발인 상태로 발판을 밟게 하여, 보다 정확하게 압력 분포에 따른 변화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균형 유지의 지표로 삼을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모니터가 없더라도 발판부(420)를 이용하여 협응력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발판부(420) 중 어느 하나의 발판에 불이 들어와 해당 발판을 사용자가 밟을 경우, 발판에 불이 들어온 시간과 발판을 밟아 압력이 측정된 시간 사이의 차이를 측정하여 협응력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에 따르면 각 모드가 별개로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수행되는 기본모드에 반응발판의 높낮이가 변화하는 높낮이 변화모드 그리고, 발판부에 장애물이 생기는 장애물 모드가 포함되어 수행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기본모드를 수행하여 발판에 빛이 들어오는 경우 빛이 켜진 시점부터 사용자가 해당 발판을 밟아 압력이 측정되는 시간까지를 측정하여 협응력의 측정을 수행하는 도중에, 반응발판의 높낮이가 변화하거나 장애물이 생기는 등과 같은 높낮이 변화모드 및/또는 장애물 모드가 수행됨으로써 협응력 측정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눈-발 협응력 평가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모니터부(110)는 눈-발 협응력 평가를 위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인지 능력 테스트를 위한 정보를 출력한다(S510). 이때, 모니터부(110)에 출력되는 사용자의 인지 능력 테스트를 위한 정보는 시각적 정보와 내재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시각적 정보는 화면에 표시되는 문자의 색상 정보이고, 내재적 정보는 눈-발 협응력 평가를 위해 모니터부(110)를 통해 출력되는 문자의 의미 정보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30)는 발판부(120)에 감지되는 사용자에 의한 압력정보와 모니터부(110)에 출력되는 협응력 평가를 위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눈-발 협응력을 평가한다(S520). 제어부(130)는 발판부(120)에 감지되는 최초의 사용자에 의한 압력정보와 모니터부(110)에 출력되는 협응력 평가를 위한 정보의 수행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의 동작 수행 정보를 비교하여 그 일치 여부에 따라 눈-발 협응력 평가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발판부(120)에 감지되는 사용자에 의한 압력정보와 모니터부(110)에 출력되는 협응력 평가를 위한 정보를 기초로 정확성 및/또는 신속성에 대한 사용자의 눈-발 협응력을 평가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모니터부(110)를 통해 출력되는 시각적 정보와 내재적 정보의 일치 및/또는 불일치에 따른 출력 정보와 발판부(120)에 입력되는 압력정보(사용자의 동작 수행 정보)를 비교하여 눈-발 협응력 평가 결과를 산출할 수도 있다. 예컨대, 모니터부(110)에 표시되는 시각적 정보(예컨대, 표시된 글자의 색상 정보)는 빨간색인데 내재적 정보가 파란색(예컨대, 표시된 글자의 의미 정보)인 경우, 사용자는 발판의 미리 설정된 발판 영역을 자신의 인지 능력에 기초하여 발을 이용해 터치할 수 있다. 예컨대, 시각적 정보와 내재적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엔 왼쪽의 미리 설정된 발판을 누르고, 불일치하는 경우엔 오른쪽의 발판을 누를 수 있다. 이때, 내재적 정보와 시각적 정보의 일치 및/또는 불일치에 따라 선택되어야 하는 발판은 사전에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눈-발 협응력 평가의 수행 전에 이러한 설정 사항은 사용자에게 미리 공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눈-발 협응력을 평가한 장치는 사용자의 전방에 위치한 화면에 평가를 위한 정보를 출력하면, 사용자는 출력된 정보를 인지하여 발판에서 출력된 정보에 대응되는 동작(발판을 밝는 동작)을 취하게 된다. 이때, 반응 속도를 측정하여 눈-발의 협응력을 평가하게 되는데, 종래 기술에 따르면 발판의 배열 상태를 사전에 인지하지 못한 경우, 사용자는 화면의 정보를 확인한 후, 발판을 응시한 상태에서 동작을 수행해야 하므로, 정확한 측정(평가)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예컨대, 노인 등의 경우 화면에 표시된 글자에 기초하여 발판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모니터 정보 인지(1), 발판 응시(2), 발판 동작(3) 등의 절차에 따라 동작을 수행해야 하므로 정확한 측정에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본원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동작 수행시 발판을 응시하지 않고 손-발 협응력 평가를 위한 동작을 수행하므로 협응력에 대한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한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의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앱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10 : 모니터부
120 : 발판부
130 : 제어부
300 : 손잡이
410 : 대기발판
420 : 반응발판
430 : 움직임 발판

Claims (10)

  1. 사용자의 눈-발 협응력 평가를 위해 미리 설정된 기본모드, 높낮이 변화모드, 장애물변화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실행하는 눈-발 협응력 평가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발판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및 평형 감각이 저하된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일측에 구비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발판부; 및
    상기 발판부에 불이 들어온 시점에서 사용자가 발판부를 밟기 전까지의 시간적 간격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눈-발 협응력을 평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판부의 변화 여부에 따라 미리 설정된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실행되고,
    상기 제어부는, 장애물 변화모드 실행시, 상기 발판부에 불이 들어온 시점에서 사용자가 발판부를 밟기 전까지의 시간적 간격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눈-발 협응력을 평가하며, 눈-발 협응 평가가 진행되는 동안 상기 발판부 앞과 양 옆으로 장애물이 상승함으로써 발디딤의 난이도를 높일 수 있으며, 기본모드와 장애물 변화모드 수행의 변화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눈-발 협응력 평가 결과를 산출하는 눈-발 협응력 평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의 변화 여부에 따라 미리 설정된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실행되고,
    상기 제어부는, 기본모드의 실행시, 발판에 빛이 들어오는 경우 빛이 켜진 시점부터 사용자가 해당 발판을 밟기까지 걸린 시간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눈-발 협응력 평가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발 협응력 평가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의 변화 여부에 따라 미리 설정된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실행되고,
    상기 제어부는, 높낮이 변화모드 실행시, 상기 발판부에 불이 들어온 시점에서 사용자가 발판부를 밟기 전까지의 시간적 간격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눈-발 협응력을 평가하며, 눈-발 협응 평가가 진행되는 동안 상기 발판부가 상승하거나 상승하지 않음으로써 균형의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기본모드와 높낮이 변화모드 수행의 변화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눈-발 협응력 평가 결과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발 협응력 평가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인지 능력 테스트를 위한 정보를 출력하는 모니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판부에 불이 들어온 시점에서 사용자가 발판부를 밟기 전까지의 시간적 간격 정보와 상기 모니터부에 출력되는 사용자의 인지 부하 상태를 유발할 수 있는 인지 능력 테스트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눈-발 협응력을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발 협응력 평가 장치.
  6. 사용자의 발판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및 평형 감각이 저하된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일측에 구비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발판부를 포함하고, 사용자의 눈-발 협응력 평가를 위해 미리 설정된 기본모드, 높낮이 변화모드, 장애물변화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를 실행하는 눈-발 협응력 평가 장치에서의 눈-발 협응력 평가 방법에 있어서,
    제어부가, 발판부에 불이 들어온 시점에서 사용자가 발판부를 밟기 전까지의 시간적 간격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눈-발 협응력을 평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눈-발 협응력을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발판부의 변화 여부에 따라 미리 설정된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실행되고,
    상기 제어부는, 장애물 변화모드 실행시, 상기 발판부에 불이 들어온 시점에서 사용자가 발판부를 밟기 전까지의 시간적 간격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눈-발 협응력을 평가하며, 눈-발 협응 평가가 진행되는 동안 상기 발판부 앞과 양 옆으로 장애물이 상승함으로써 발디딤의 난이도를 높일 수 있으며, 기본모드와 장애물 변화모드 수행의 변화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눈-발 협응력 평가 결과를 산출하는 눈-발 협응력 평가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눈-발 협응력을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발판부의 변화 여부에 따라 미리 설정된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실행되고, 상기 제어부는, 기본모드의 실행시, 발판에 빛이 들어오는 경우 빛이 켜진 시점부터 사용자가 해당 발판을 밟기까지 걸린 시간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눈-발 협응력 평가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발 협응력 평가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눈-발 협응력을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발판부의 변화 여부에 따라 미리 설정된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실행되고,
    상기 제어부는, 높낮이 변화모드 실행시, 상기 발판부에 불이 들어온 시점에서 사용자가 발판부를 밟기 전까지의 시간적 간격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눈-발 협응력을 평가하며, 눈-발 협응 평가가 진행되는 동안 상기 발판부가 상승하거나 상승하지 않음으로써 균형의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기본모드와 높낮이 변화모드 수행의 변화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눈-발 협응력 평가 결과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발 협응력 평가 방법.
  9. 삭제
  10. 제 6 항에 있어서,
    모니터부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인지 능력 테스트를 위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눈-발 협응력을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발판부에 불이 들어온 시점에서 사용자가 발판부를 밟기 전까지의 시간적 간격 정보와 상기 모니터부에 출력되는 사용자의 인지 부하 상태를 유발할 수 있는 인지 능력 테스트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눈-발 협응력을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눈-발 협응력 평가 방법.

KR1020200128051A 2020-10-05 2020-10-05 눈-발 협응력 평가 장치 및 방법 KR102356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051A KR102356791B1 (ko) 2020-10-05 2020-10-05 눈-발 협응력 평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8051A KR102356791B1 (ko) 2020-10-05 2020-10-05 눈-발 협응력 평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6791B1 true KR102356791B1 (ko) 2022-02-07

Family

ID=80253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8051A KR102356791B1 (ko) 2020-10-05 2020-10-05 눈-발 협응력 평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679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275B1 (ko) 2009-08-05 2009-12-11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직업능력평가를 위한 다차원 양손 협응 작업표본 검사 기구
KR20180009472A (ko) * 2016-07-19 2018-01-29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자세균형 훈련 시스템
KR20200026420A (ko) * 2018-08-31 2020-03-11 (주)맨엔텔 재활훈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활훈련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1275B1 (ko) 2009-08-05 2009-12-11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직업능력평가를 위한 다차원 양손 협응 작업표본 검사 기구
KR20180009472A (ko) * 2016-07-19 2018-01-29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자세균형 훈련 시스템
KR20200026420A (ko) * 2018-08-31 2020-03-11 (주)맨엔텔 재활훈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재활훈련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32292B2 (ja) 歩行解析及び運動メニュー提案システム
JP5469230B2 (ja) リハビリテーション指導方法およびリハビリテーション指導システム
Solovey et al. Sensing cognitive multitasking for a brain-based adaptive user interface
CN104363948B (zh) 刺激呈现系统
US11407422B2 (en) Operation appropriateness determination system, method for determining operation appropriatenes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for determining operation appropriateness
US20150305656A1 (en) Motor Function Measurement Apparatus,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JP2016538923A (ja) コンピューター支援式理学療法用階段および歩行システム
US20190150796A1 (en) Walking state determination device, walking state determination system, walking state determin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2525394B1 (ko) 내비게이션 태스크들을 사용한 바이오마커들의 식별 및 내비게이션 태스크들을 사용한 치료들을 위한 플랫폼
KR102356791B1 (ko) 눈-발 협응력 평가 장치 및 방법
KR20200081684A (ko) 스마트 인솔을 이용한 신체의 좌우 밸런스 측정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102425053B1 (ko) 보행 데이터 기반 운동 추천 시스템 및 방법
CN109224397B (zh) 一种用于测量身体素质的系统及其使用方法
KR102014530B1 (ko) 낙상 방지용 보행 매트
US10932696B2 (en) Determining a measure of the physical fitness of a subject
KR102147595B1 (ko) 활동형 균형보더를 이용한 균형 운동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92845A (ko) 움직임 정보에 기초한 심폐 기능 지표 측정기
KR102312032B1 (ko) 게이미피케이션 및 스케몬 성장 곡선을 적용한 아동 건강 및 운동체력 측정 및 분석 시스템
KR102314513B1 (ko) Vr 기반의 치매 예방을 위한 복합인지 운동 장치 및 방법
JP5024697B2 (ja) 歩行訓練装置及び歩行訓練装置の制御方法
CN109222898B (zh) 一体化体质检测的系统
KR20210145931A (ko) 피트니스 센터 내 운동 지도 서비스 및 시스템
KR101950598B1 (ko) 센서를 이용한 운동 보조 시스템 및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JP2021137421A (ja) 情報出力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7847791A (zh) 指导适合性判定装置、指导适合性判定系统、指导适合性判定方法、指导适合性判定程序、以及记录有所述程序的记录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