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1275B1 - 직업능력평가를 위한 다차원 양손 협응 작업표본 검사 기구 - Google Patents

직업능력평가를 위한 다차원 양손 협응 작업표본 검사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1275B1
KR100931275B1 KR1020090072082A KR20090072082A KR100931275B1 KR 100931275 B1 KR100931275 B1 KR 100931275B1 KR 1020090072082 A KR1020090072082 A KR 1020090072082A KR 20090072082 A KR20090072082 A KR 20090072082A KR 100931275 B1 KR100931275 B1 KR 100931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hole
coupling
dimensional
ha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2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욱
장기연
임승건
김지연
김경일
Original Assignee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filed Critical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Priority to KR1020090072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12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1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12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4Determining motor ski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ntist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직업능력평가를 위한 다차원 양손 협응 작업표본 검사 기구는 원통 또는 다각기둥 형태로 형성된 제1몸체 및 상기 제1몸체의 상부와 일체로 연결되며, 제1몸체의 외경 보다 작은 원통 형태의 제2몸체부로 구성된 중심몸체부, 개방구가 형성되어,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관 형태이며, 상면에 상기 개방구보다 직경이 작은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심몸체부의 제2몸체부와 결합하는 결합몸체부 및 적어도 하나이상의 결합공이 형성된 평판으로 구성되며, 결합공에 상기 결합몸체부의 돌출부가 결합되는 평판 형태의 결합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양손, 협응,직업, 검사, 기구

Description

직업능력평가를 위한 다차원 양손 협응 작업표본 검사 기구 {Multidimensional bilateral hand coordination work sample tester for vocational ability evaluation}
본 발명은 직업능력평가를 위한 다차원 양손 협응 작업표본 검사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히는 다차원의 양손 협응 검사 기구를 구성하여, 개인별 양손과 양팔을 동시에 사용하는 대근육 사용에 따른 작업 수행 능력을 정확히 평가하고, 적합한 직업 영역을 찾아주기 위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직업능력평가는 개인의 적성, 신체적 기능, 흥미, 기질 등의 직업 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말하며, 개인별 특히 장애인에게 적합한 직업계획 수립 및 방향 결정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직업능력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작업 현장이나 훈련현장에서 사용되는 재료나 도구, 기구를 사용하여 실제 직무 혹은 모의 직무를 실행하도록 하여 개개인의 직업 적성, 근로자 특성 직업 흥미 등 직업적 수행능력을 파악하고 예측하는 작업표본검사라 하며, 상기 작업표본검사의 하위 검사에 양손 기능을 검사하는 검사도구를 이용하여, 손기능을 종합적으로 측정하여 직업능력을 예측할 수 있는 검사 방법이 있다.
또한 손 기능은 한손의 기능도 중요하지만 양손협응 및 눈과 손의 협응능력을 중요시하게 된다.
현재 양손 협응 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작업표본검사도구로는 퍼듀펙보드(purdue pegboard)와 이동용 직업능력 평가시스템(Mobile Vacation Evaluation : MVE) 중 하위검사인 양팔협응 검사, 재능평가프로그램(Talent Assessment Program : TAP)의 1번인 기계, 구조적 시각화작업표본검사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대부분의 작업표본검사도구들은 외국에서 개발되어 국내 직업 활동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해석 규준 자체에도 장애인 표본이 드물어, 국내에서 구직 장애인을 대상으로 작업수행능력을 예측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직업능력평가를 위한 다차원 양손 협응 작업표본 검사 기구의 목적은 검사 기구의 각 구성의 결합 및 체결 작업을 통해, 개인별 특히 장애인의 양손 및 양팔의 협응 능력 및 입체구조물을 완성하는 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나아가 평가된 손 기능에 적합한 직업영역을 찾아 주는데 있다.
다른 목적은, 몸체를 형성된 관통구에 체결부재를 삽입하는 동작으로, 양손의 협응 및 다양한 크기의 사물조작 능력을 판단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위치 및 방향으로 체결부재를 체결하는 동작으로, 단순회전 및 회전 방향 사물조작 능력을 판단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몸체에 형성된 관통구를 연결하는 동작으로, 양손의 협응 및 사물조작 능력을 판단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양손을 이용하여 결합판을 체결하는 동작으로, 양손 및 양팔의 협응 및 대근육 사용 능력을 판단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몸체의 결합부위에 형성된 결합부재를 조작하는 동작으로, 몸체 결합의 정확도 능력을 판단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직업능력평가를 위한 다차원 양손 협응 작업표본 검사 기구는 원통 또는 다각기둥 형태로 형성된 제1몸체 및 상기 제1몸체의 상부와 일체로 연결되며, 제1몸체의 외경 보다 작은 원통 형태의 제2몸체부로 구성된 중심몸체부, 개방구가 형성되어,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관 형태이며, 상면에 상기 개방구보다 직경이 작은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심몸체부의 제2몸체부와 결합하는 결합몸체부 및 적어도 하나이상의 결합공이 형성된 평판으로 구성되며, 결합공에 상기 결합몸체부의 돌출부가 결합되는 평판 형태의 결합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직업능력평가를 위한 다차원 양손 협응 작업표본 검사 기구는 검사기구의 각 구성의 결합 및 체결 작업을 통해, 개인별 특히 장애인 등의 양손 및 양팔의 협응 능력 및 입체구조물을 완성하는 능 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평가된 손 기능에 적합한 직업영역을 찾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몸체를 형성된 관통구에 체결부재를 삽입하는 동작 평가가 가능함으로써, 양손의 협응 및 다양한 크기의 사물조작 능력을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위치 및 방향으로 체결부재를 체결하는 동작 평가가 가능함으로써, 단순회전 및 회전 방향 사물조작 능력을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몸체에 형성된 관통구를 연결하는 동작 평가가 가능함으로써, 양손의 협응 및 사물조작 능력을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양손을 이용하여 결합판을 체결하는 동작 평가가 가능함으로써, 양손 및 양팔의 협응 및 대근육 사용 능력을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몸체의 결합부위에 형성된 결합부재를 조작하는 동작평가가 가능함으로써, 몸체 결합의 정확도 능력을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실제 작업장에서 이용하는 부품의 형태와 유사한 검사 기구를 구성함으로써, 종합적이고, 객관적인 직업 능력 평가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애인 및 비장애인 등 다양한 검사 대상자의 유형별 평가 결과를 통계 작업하여, 기준 평가치를 도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준 평가치에 따라 객관적으로 직업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직업능력평가를 위한 다차원 양손 협응 작업표본 검사 기구 를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업능력평가를 위한 다차원 양손 협응 작업표본 검사 기구의 일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크게 중심몸체부(10), 결합몸체부(20), 제1볼트(30), 제2볼트(35), 제1너트(40), 제2너트(45), 제3너트(50) 및 결합판(60)으로 구성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판(60)을 제외한 모든 구성은 4개로 구성되었다.
상기 중심몸체부(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태로 구성된 제1몸체부 및 상기 제1몸체부(11)의 상부와 일체로 연결된 원통 형태의 제2몸체부(15)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몸체부(11)는 원통 형태로 구성하였지만 다각기둥의 형태로도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몸체부(11)는 제1몸체부(11)의 양측벽을 관통하는 제1관통구(13)가 형성된다.
상기 제2몸체부(15)는 상기 제1몸체부(11)의 외경보다 작은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제2몸체부(15)는 제2몸체부(15)의 양측벽을 관통하는 제2관통구(17)가 형성된다.
상기 제1관통구(13)와 제2관통구(17)의 크기는 동일하게 형성할 수도 있지만 다양한 크기의 사물조작능력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제1관통구(13)와 제2관통구(17) 의 크기를 상이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몸체부(15)에는 상기 제2관통구(17)가 형성된 외벽에 상기 제2관통구(17)를 수직으로 지나는 가이드홈(19)이 더 형성된다.
상기 결합몸체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원통 형태로 구성되며, 결합몸체부(20)의 내부 중앙은 개방구(25)에 의해 상하가 개방되어 전체적으로 원형 관 형태이며, 결합몸체부(20)의 상부에는 원형 링 형태의 돌출부(28)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28)의 내주면에는 다른 체결부제와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개방구(25)의 내부직경은 상기 개방구(25)의 내부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개방구(25)는 하부보다 상부의 내부직경이 작게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결합몸체부(20)의 저면도이며, 상기 개방구(29)의 내부 직경은 상기 제2몸체부(15)의 외부직경보다 크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개방구(25)의 길이는 제2몸체부(15)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몸체부(20)는 양측벽을 관통하는 제3관통구(23)가 더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며, 상기 결합몸체부(20)와 중심몸체부(10)의 제2몸체부(15)와 결합 시, 상기 제2몸체부(15)에 형성된 제2관통구(17)와 연결되어야 하므로, 상기 제3관통 구(23)는 상기 결합몸체부(20)와 중심몸체부(10)의 결합 시, 제2관통구(17)와 동일선상에 동일한 크기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몸체부(20)의 내측벽에 형성된 제3관통구(23)의 상부 또는 하부에 가이드돌기(29)가 더 형성되어, 상기 결합몸체부(20)와 중심몸체부(10)가 결합 시, 상기 제2관통구(17)와 제3관통구(23)의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상기 중심몸체부(10)와 결합몸체부(20)의 분리사시도이며, 상기 제2몸체부(15)가 상기 결합몸체부(20)의 개방구(25)에 삽입된다.
상기 중심몸체부(10)와 결합몸체부(20)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기 위해 상기 제2몸체부(15)의 직경(D1)은 개방구(25)의 직경(D2)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2몸체부(15)의 외벽에 형성된 가이드홈(29)과 상기 결합몸체부(20)의 내벽에 형성된 가이드돌기(29)가 서로 결합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몸체부(15)가 결합몸체부(20)에 완전하게 삽입될 경우, 상기 제2관통구(17)와 제3관통구(23)가 연결되어, 하나의 관 형태로 개방된다.
상기 중심몸체부(10)과 결합몸체부(20)를 결합시키는 동작으로, 비교적 큰 물품의 취급을 위한 손기능 요소 즉, 원통 잡기(cylindrical grasp), 눈 및 손의 협응(eye-hand coordination), 양손협응(bilateral hand coordination) 등을 평가할 수 있다.
[도 6]은 상기 중심몸체부(10)와 결합몸체부(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관통구(13)에 제1볼트(30) 및 제1너트(40)를 체결하고, 상기 제2관통구(17) 및 제3관통구(23)에 제2볼트(35) 및 제2너트(45)를 체결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상기 제1체결부재(30, 40) 및 제2체결부재(35, 45)의 체결 동작으로 비교적 작은 물품의 취급을 위한 손재능 요소 즉, 세손가락 집기(3 jaw pinch), 손끝잡기(pincer grasp), 눈 및 손의 협응, 양손 협응, 사물 조작능력, 단순 회전 등을 평가할 수 있다.
[도 7]은 상기 중심몸체부(10) 및 결합몸체부(20)에 상기 제1체결부재(30, 40) 및 제2체결부재(35, 45)가 체결된 상태의 기구 4개를 상기 결합판(60)에 결합시키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판(60)은 4개의 결합공(63)이 형성된 금속재질의 판 형태로 구성되었다.
상기 결합판(60)의 결합공(63)은 상기 결합몸체부(20)의 돌출부(28)가 삽입되는 곳으로, 상기 돌출부(28)의 외주변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결합판(60)에 두 개 이상의 결합공(63) 형성 시, 각 결합공(63)은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판(60)을 조립하는 동작으로 비교적 큰 물품의 취급을 위한 손기능 요소 즉, 어깨의 협응된 움직임(shoulder movement), 주먹잡기(power grasp), 손 및 눈의 협응, 양손 협응 등을 평가 할 수 있다.
[도 8]은 상기 결합판(60)의 결합공(63) 상부로 돌출된 결합몸체부(20)의 돌출부(28)에 제3너트(50)를 체결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제3너트(50)는 전체적으로 원형 판의 형태로 구성되며, 하부 중심에 볼트 결합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28)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3볼트(50)와의 체결이 용이하다.
상기 제3볼트(50)의 체결 동작으로, 비교적 작은 물품의 취급을 위한 손재능 기능 요소 , 즉, 원통잡기, 원판잡기(plate grasp), 사물 조작능력(in-hand manipulation), 단순회전(simple rotation), 눈 및 손의 협응, 양손 협응을 평가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차원 양손 협응 검사 기구를 이용하여, 장애인 및 비장애인 등 다양한 검사 대상자의 유형별 평가 결과를 통계 작업하여, 기준 평가치를 도출할 수 있다.
각 구성의 결합 및 체결 동작의 정확성 및 소요시간 등을 측정하고, 이를 기준 평가치에 적용하여 평가함으로써, 개인별 특히 장애인 등의 양손 및 양팔의 협응 능력 및 입체구조물을 완성하는 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나아가 평가된 손 기능에 적합한 직업영역을 찾아 줄 수 있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기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장애인 직업능력평가를 위한 다차원 양손 협응 작업표본 검사 기구로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업능력평가를 위한 다차원 양손 협응 작업표본 검사 기구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직업능력평가를 위한 다차원 양손 협응 작업표본 검사 기구의 중심몸체부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직업능력평가를 위한 다차원 양손 협응 작업표본 검사 기구의 결합몸체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직업능력평가를 위한 다차원 양손 협응 작업표본 검사 기구의 저면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직업능력평가를 위한 다차원 양손 협응 작업표본 검사 기구의 각 구성의 결합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직업능력평가를 위한 다차원 양손 협응 작업표본 검사 기구를 완성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중심몸체부 11 : 제1몸체
13 : 제1관통구 15 : 제2몸체
17 : 제2관통구 20 : 결합몸체부
23 : 제3관통구 25 : 개방구
28 : 돌출구 29 : 가이드돌기
30 : 제1볼트 35 : 제2볼트
40 : 제1너트 45 : 제2너트
50 : 제3볼트 60 : 결합판
63 : 결합공

Claims (7)

  1. 원통 또는 다각기둥 형태로 형성된 제1몸체(11) 및 상기 제1몸체(11)의 상부와 일체로 연결되며, 제1몸체(11)의 외경 보다 작은 원통 형태의 제2몸체부(15)로 구성된 중심몸체부(10);
    개방구(25)가 형성되어,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관 형태이며, 상면에 상기 개방구(25)보다 직경이 작은 돌출부(28)를 포함하고, 상기 중심몸체부의 제2몸체부(15)와 결합하는 결합몸체부(20) 및
    적어도 하나이상의 결합공(63)이 형성된 평판으로 구성되며, 결합공(63)에 상기 결합몸체부(20)의 돌출부(28)가 결합되는 평판 형태의 결합판(6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업능력평가를 위한 다차원 양손 협응 작업표본 검사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몸체부(10)는 제1몸체(11)의 양측을 관통하는 제1관통구(13) 및
    상기 중심몸체부(10)는 제2몸체(15)의 양측을 관통하는 제2관통구(17)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업능력평가를 위한 다차원 양손 협응 작업표본 검사 기구 .
  3. 제2항에 있어서,
    결합몸체부(20)의 측벽에는 중심몸체부(10)와 결합몸체부(20)가 결합 시, 중심몸체부의 제2관통구(17)와 동일선상에 제3관통구(23)를 더 형성하여, 제2관통구(17)와 제3관통구(23)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업능력평가를 위한 다차원 양손 협응 작업표본 검사 기구 .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관통구가 형성된 결합몸체부(20)의 내벽과 제2관통구가 형성된 중심몸체부(10)의 외벽에 제2관통구(17) 및 제3관통구(23)의 정확한 결합 위치를 유도하는 가이드부(19, 29)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업능력평가를 위한 다차원 양손 협응 작업표본 검사 기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관통구(13)를 체결하는 제1볼트(30) 및 제1너트(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업능력평가를 위한 다차원 양손 협응 작업표본 검사 기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관통구(17) 및 제3관통구(23)를 체결하는 제2볼트(35) 및 제2너트(4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업능력평가를 위한 다차원 양손 협응 작업표본 검사 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몸체부(20)와 결합판(60)의 체결 시, 결합판(60)의 결합공(63)을 통해 돌출된 결합몸체부(20)의 돌출부(28)와 결합되는 원판 형태의 제3볼트(5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업능력평가를 위한 다차원 양손 협응 작업표본 검사 기구.
KR1020090072082A 2009-08-05 2009-08-05 직업능력평가를 위한 다차원 양손 협응 작업표본 검사 기구 KR1009312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082A KR100931275B1 (ko) 2009-08-05 2009-08-05 직업능력평가를 위한 다차원 양손 협응 작업표본 검사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082A KR100931275B1 (ko) 2009-08-05 2009-08-05 직업능력평가를 위한 다차원 양손 협응 작업표본 검사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1275B1 true KR100931275B1 (ko) 2009-12-11

Family

ID=41684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2082A KR100931275B1 (ko) 2009-08-05 2009-08-05 직업능력평가를 위한 다차원 양손 협응 작업표본 검사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127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41893A (zh) * 2013-03-03 2013-06-12 孙智寿 一种松针饮料及其制备方法
KR20180092597A (ko) 2017-02-10 2018-08-20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눈-손 협응력 검사기
KR102356791B1 (ko) 2020-10-05 2022-02-07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눈-발 협응력 평가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1806A (en) 1982-09-10 1985-09-17 Jewish Employment And Vocational Service Multiple aptitude testing device
JPS642006A (en) * 1987-06-24 1989-01-06 Idemitsu Kosan Co Ltd Plastic optical transmission fiber
US4807986A (en) 1987-10-13 1989-02-28 Wasserman Jacob S Vision testing and/or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806024B1 (ko) 2006-08-23 2008-02-26 김현진 원격재활 무선 작업 치료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1806A (en) 1982-09-10 1985-09-17 Jewish Employment And Vocational Service Multiple aptitude testing device
JPS642006A (en) * 1987-06-24 1989-01-06 Idemitsu Kosan Co Ltd Plastic optical transmission fiber
US4807986A (en) 1987-10-13 1989-02-28 Wasserman Jacob S Vision testing and/or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806024B1 (ko) 2006-08-23 2008-02-26 김현진 원격재활 무선 작업 치료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 1(2006)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41893A (zh) * 2013-03-03 2013-06-12 孙智寿 一种松针饮料及其制备方法
KR20180092597A (ko) 2017-02-10 2018-08-20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눈-손 협응력 검사기
KR102356791B1 (ko) 2020-10-05 2022-02-07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눈-발 협응력 평가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ing et al. Assessing content validity and content equivalence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ÇETİN et al. The Effects of Social Constructivist Approach on the Learnersâ Problem Solving and Metacognitive Levels
Kontorovich et al. Indicators of creativity in mathematical problem posing: How indicative are they
Hermita et al. Metacognition toward academic self-efficacy among Indonesian private university scholarship students
KR100931275B1 (ko) 직업능력평가를 위한 다차원 양손 협응 작업표본 검사 기구
Kolawole Comparative study of instructional supervisory roles of secondary school principals and inspector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Lagos State, Nigeria
Elangovan et al. A modular, accessible, affordable dexterity test for evaluating the grasping and manipulation capabilities of robotic grippers and hands
Cambra‐Fierro et al. Students' self‐evaluation and reflection (part 2): an empirical study
Elangovan et al. An accessible, open-source dexterity test: evaluating the grasping and dexterous manipulation capabilities of humans and robots
KR100931274B1 (ko) 직업능력평가를 위한 손기능 작업표본 검사 기구
Wahyuni et al. Development of project assessment instruments to assess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skills on a project-based learning
Singh et al. An application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based approach and current developments towards ergonomic risk assessment in the construction sector-a systematic review
Smith et al. Evaluating Student Capability to Inspect Welding Quality Using a GRRS Technique
Singh et al. Apps to measure motor skills of vocational workers
Okwori et al. Evaluation of practical skills possessed by woodwork graduates of technical colleges in Niger State, Nigeria
Marcial et al. Usb-Based Learning Management System And Its User Acceptance Among Filipino Students.
Hill An experimental verification of the eigensystem realization algorithm for vibration parameter identification
Jubaedah et al. Competency-based Assessment Model on Job Performance in Housekeeping Department Apprenticeship
Danielson et al. A statics skills inventory
Lutfauziah et al. ASSESSMENT OF PROBLEM-SOLVING SKILLS IN THE TOPIC OF ENVIRONMENT: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Fukutani et al. Development of a Workpiece Evaluation Support Mechanism for Students
Yesudhas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The community action model in Social Work education
Samsonova Self-assessment of professional competencies by students for tutor support of students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 in the conditions of inclusive educationter
Yao et al. Investigating Two Variables in a Manual Dexterity Test to Provide Suggestions for Workers in General Industries
Awe et al. Quality Assurance of Vocational Education Trade/Entrepreneurship Subjects in Public Secondary Schools in Amuwo Odofin Local Government Area in Lagos State, Niger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