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6635B1 - 스마트패드를 이용하여 iot 기반으로 출입 보안, 건물 상태 등에 대한 통합 관리를 수행하는 빌딩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패드를 이용하여 iot 기반으로 출입 보안, 건물 상태 등에 대한 통합 관리를 수행하는 빌딩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56635B1 KR102356635B1 KR1020210058029A KR20210058029A KR102356635B1 KR 102356635 B1 KR102356635 B1 KR 102356635B1 KR 1020210058029 A KR1020210058029 A KR 1020210058029A KR 20210058029 A KR20210058029 A KR 20210058029A KR 102356635 B1 KR102356635 B1 KR 1023566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ilding
- terminal
- management unit
- room
- manag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1
- 238000012384 transportation and delivery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15654 memory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611 regression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442 weekl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473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0144 Completed suicid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49 cleanli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 G06Q50/30—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10/00—Economic sectors
- G16Y10/80—Homes; Building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20/0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 G16Y20/3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relating to resources, e.g. consumed power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30/00—Voting or election arrangemen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ultimedia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스마트패드를 이용하여 IOT 기반으로 출입 보안, 건물 상태 등에 대한 통합 관리를 수행하는 빌딩 관리 시스템은, 건물을 관리할 수 있도록 건물 내 관리실 내 또는 건물 주출입구에 설치된 관리자 단말; 벽에 탈착이 가능하고, 상기 건물 내 각 호실 내부에 위치한 다수의 IoT(Internet of Things) 장치들이 연결된 홈 네트워크와 외부 인터넷망에 무선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IoT 장치들을 제어하고, 상기 각 호실마다 설치되는 거주자 단말; 상기 거주자 단말, 상기 각 호실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가스 계량기, 전력 계량기 및 수도 계량기와 연결되며, 상기 각 호실의 출입구 일측 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각 호실에서 사용된 에너지 사용량을 표시하는 거주지 외부 단말; 및 상기 관리자 단말 및 상기 거주자 단말과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관리자 단말과 상기 거주자 단말을 중계하는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관리자 단말은, 건물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건물 관리부는, 상기 건물의 현재 상태를 관리하는 건물 상태 관리부; 상기 건물의 가스 계량 상태를 관리하는 가스 계량 관리부; 상기 건물의 전력 계량 상태를 관리하는 전력 계량 관리부; 상기 건물의 수도 계량 상태를 관리하는 수도 계량 관리부; 상기 건물 내에서 입주자들 사이에 이루어지는 투표 또는 메시지를 관리하는 투표 및 메시지 관리부; 상기 건물의 하자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하자 관리부; 및 상기 건물 내에 배송된 배송물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배송물 관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물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빌딩 통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패드를 이용하여 IOT 기반으로 출입 보안, 건물 상태 등에 대한 통합 관리를 수행하는 빌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설된 아파트들은 기본적으로 각 세대의 벽체에 설치된 월패드(wall-pad)를 가지고 있어, 월패드에서 세대 내의 각 방에 설치된 조명을 차단하는 등 기초적인 장비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세대 내 사용자는 월패드를 통하여 경비실 또는 다른 층의 다른 세대와 통화할 수도 있다.
다만, 사용자들 사이의 상호작용이나 사용자가 다른 기기를 사용하는 방식도 기존에는 존재하지 않던 스마트폰(smartphone) 또는 인공지능 스피커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설계부터 건설까지 짧게 잡아도 수 년이 소요되는 아파트의 특성 상, 건설이 완료된 시점에 아파트에 설치되어 있는 설비들은 이미 최근 기술에 비해 뒤쳐진 것인 경우가 많고, 월패드의 경우에도 이는 마찬가지로, 실제 아파트에 거주하는 거주민들에 의한 월패드의 사용 빈도는 그다지 높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세대수가 작은 아파트나 집합 건물은 상술한 설비들도 갖추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우리나라의 경우 전체 에너지 소비량 중 30%를 건물에서 차지하고 있고, 국가적 차원에서 전력사용량을 줄이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으며 건물 에너지를 보다 전략적으로 관리하고 줄이는 것이 점차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또한, 입주자가 건물 관리자의 업무를 명확히 이해하지 못하거나 경시함에 따라 발생하는 이른바 갑질 행위 또는 업무상 횡령이나 자살 등으로 인한 사회적 문제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마트패드를 이용하여 IOT 기반으로 출입 보안, 건물 상태 등에 대한 통합 관리를 수행하는 빌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각 호실에서의 에너지 사용량을 줄이기 위한 건물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스마트패드를 이용하여 IOT 기반으로 출입 보안, 건물 상태 등에 대한 통합 관리를 수행하는 빌딩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스마트패드를 이용하여 IOT 기반으로 출입 보안, 건물 상태 등에 대한 통합 관리를 수행하는 빌딩 관리 시스템은, 건물을 관리할 수 있도록 건물 내 관리실 내 또는 건물 주출입구에 설치된 관리자 단말; 벽에 탈착이 가능하고, 상기 건물 내 각 호실 내부에 위치한 다수의 IoT(Internet of Things) 장치들이 연결된 홈 네트워크와 외부 인터넷망에 무선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IoT 장치들을 제어하고, 상기 각 호실마다 설치되는 거주자 단말; 상기 거주자 단말, 상기 각 호실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가스 계량기, 전력 계량기 및 수도 계량기와 연결되며, 상기 각 호실의 출입구 일측 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각 호실에서 사용된 에너지 사용량을 표시하는 거주지 외부 단말; 및 상기 관리자 단말 및 상기 거주자 단말과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관리자 단말과 상기 거주자 단말을 중계하는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IoT 장치들은, 무선으로 상기 거주자 단말의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전력 공급을 차단 또는 유지하는 IoT 콘센트, 상기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온 또는 오프되는 IoT 조명기기들, 상기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각 호실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스마트 냉난방 장치, 상기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상기 각 호실의 출입문을 개폐하는 스마트 출입 장치, 및 상기 각 호실 내부의 온도, 조도, 습도, 출입문의 개폐 여부, 가스 누출 여부, 화재 발생 여부, 및 미세먼지 량을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자 단말은, 상기 건물 내 방범, 공과금, 주차, 및 관리 직원 업무를 관리하는 건물 관리부; 상기 건물 내 공실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공실 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부동산 중개부; 상기 건물 주변의 토지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토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토지 관리부; 상기 건물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한 상업 시설들의 업종 정보, 교통 정보, 및 도로 정보를 상기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주변 부동산 정보 관리부; 및 상기 건물과 다른 건물의 관리자 단말들과 상기 서버를 통해 통신함으로써 온라인 커뮤니티를 생성하는 건물 관리 커뮤니티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물 관리부는, 상기 건물 내에 설치된 방범 장치들을 제어하는 방범 장치 제어부; 상기 건물의 관리비를 포함하는 공과금을 관리하는 공과금 관리부; 상기 건물 내부로 출입하는 차량들의 주차를 관리하는 주차 관리부; 상기 건물을 관리하는 관리 직원의 업무를 관리하는 관리 직원 업무 관리부; 상기 건물의 입주자들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입주자 관리부; 상기 건물의 현재 상태를 관리하는 건물 상태 관리부; 상기 건물의 가스 계량 상태를 관리하는 가스 계량 관리부; 상기 건물의 전력 계량 상태를 관리하는 전력 계량 관리부; 상기 건물의 수도 계량 상태를 관리하는 수도 계량 관리부; 상기 건물 내에서 입주자들 사이에 이루어지는 투표 또는 메시지를 관리하는 투표 및 메시지 관리부; 상기 건물의 하자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하자 관리부; 및 상기 건물 내에 배송된 배송물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배송물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주자 단말은, 상기 가스 계량기, 상기 전력 계량기 및 상기 수도 계량기를 이용하여 계측된 가스 사용량, 전력 사용량, 및 수도 사용량을 저장하는 계량기 관리부; 상기 스마트 냉난방 장치를 제어하는 냉난방 제어부;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관리자 단말에서 산출한 상기 각 호실의 공과금 내역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공과금 관리부; 상기 복수의 센서들을 제어하는 센서 제어부; 상기 건물의 주차장에 설치된 번호판 인식기와 연동하여 상기 각 호실에 등록된 차량의 주차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감지된 차량과 인접한 CCTV를 통해 촬영된 주차 영상을 표시하는 차량 관리부;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투표 항목을 표시하고, 상기 투표 항목에 대한 입력 및 소정의 메시지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을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투표 및 메시지 입력부; 및 상기 서버를 통해 상기 관리자 단말로부터 공지 사항을 수신하고, 수신된 공지 사항을 표시하는 공지사항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난방 제어부는, 상기 스마트 냉난방 장치의 t+1 시각(t는 임의의 시각)에서 에너지 사용량을 상기 t+1 시각에서의 최대 냉방 에너지 요구량, 최소 냉방 에너지 요구량, 및 t 시각과 t-1 시각에서의 거주자의 만족도를 기초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건물 관리 시스템은, 건물 외부에서 상기 관리자 단말에 접속되고, 상기 관리자 단말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관리자 휴대 단말; 및 건물 외부에서 상기 거주자 단말에 접속되고, 상기 거주자 단말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거주자 휴대 단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패드를 이용하여 IOT 기반으로 출입 보안, 건물 상태 등에 대한 통합 관리를 수행하는 빌딩 관리 시스템을 통해 범죄가 예방되고, 에너지 사용량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스마트패드를 이용하여 IOT 기반으로 출입 보안, 건물 상태 등에 대한 통합 관리를 수행하는 빌딩 관리 시스템을 통해 일자리를 추가로 창출함과 동시에 건물의 관리자와 거주자들 사이의 분쟁을 줄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자 단말의 기능부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건물 관리부를 구체화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관리 시스템에서 거주자 단말의 기능부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냉난방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주자 휴대 단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주지 외부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2에 따른 건물 경영부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도 2에 따른 공실 관리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도 2에 따른 비즈니스 모델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자 단말의 기능부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건물 관리부를 구체화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관리 시스템에서 거주자 단말의 기능부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냉난방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주자 휴대 단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주지 외부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2에 따른 건물 경영부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도 2에 따른 공실 관리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은 도 2에 따른 비즈니스 모델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를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건물 관리 시스템(1)은 사용자(사용자는 후술하는 거주자, 관리자, 사업자 등을 포함할 수 있음)로 하여금 아파트(오피스텔)를 관리하거나, 상가를 관리하거나, 토지를 관리(해당 건물이 속하는 토지를 관리하는 것을 포함)하거나, 주변 부동산 정보(예를 들어, 상권)를 분석하고 관리하거나, 건물의 공실을 관리하거나, 또는 건물주와 건물의 공실을 이용할 수 있는 사업자 간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건물 관리 시스템(1)은 관리자 단말(11), 관리자 휴대 단말(12), 거주자 단말(21), 거주자 휴대 단말(22), 거주지 외부 단말(23), 사업자 휴대 단말(51), 서버(30) 및 통신 네트워크(40)를 포함한다.
관리자 단말(11), 관리자 휴대 단말(12), 거주자 단말(21), 거주지 외부 단말(23), 거주자 휴대 단말(22) 및 사업자 휴대 단말(51)은 본 발명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임의의 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관리자 단말(11), 관리자 휴대 단말(12), 거주자 단말(21), 거주지 외부 단말(23), 거주자 휴대 단말(22) 및 사업자 휴대 단말(51)은 각각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프로세서, 컨트롤러, 집적 회로, 프로그램 가능한 논리 회로, 또는 그 밖에 데이터베이스와 신호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밖에 하나 이상의 메모리, 송신기와 수신기, 디스플레이, 및 여러가지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정된 알고리즘을 통하여 데이터 연산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컴퓨터 프로그램과, 이를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구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거주자"는 주택의 거주자(자가 거주자 및 임차인 포함) 및 상가에 입점한 사업주를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관리자"는 본 건물 관리 시스템(1)의 관리자로서 건물주, 부동산(건물) 관리 사업자 또는 이들로 부터 관리를 위임받은 관리자(예, 관리사무실 직원 또는 경비실 직원)를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사업자"는 사업을 영위하는 자를 의미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11)은, 서버(30)와 통신하여 각 호실(20)에 각각 설치된 거주자 단말(21)로부터 데이터를 수신받고, 수신받은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기초로 건물의 관리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11)은, 건물 내 관리실(10) 내에 설치되거나 건물 주출입구에 설치되어 관리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관리자 단말(11)은 탈착이 가능한 스마트 패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관리자 휴대 단말(12)은, 관리자 단말(11)과 동일한 통신 네트워크(40)를 통해 서버(30)에 연결되고, 서버(30)를 통해 관리자 단말(11)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관리자 휴대 단말(12)은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11)이 설치된 장소 이외에서도 동일한 건물 관리 업무를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서버(30)는, 관리자 단말(11) 및 거주자 단말(21)과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관리자 단말(11)과 거주자 단말(21)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11), 관리자 휴대 단말(12), 거주자 단말(21), 거주지 외부 단말(23), 거주자 휴대 단말(22) 및 사업자 휴대 단말(51)은 각각 인터넷 서비스, 전자 메일 서비스, 데이터 전송 서비스와 같은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팅 자원에 액세스 가능한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40)를 통하여 온라인 자원에 액세스하는 사용자 특유의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는 본 발명의 온라인 콘텐츠 투자 방법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그 밖의 정보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11), 관리자 휴대 단말(12), 거주자 단말(21), 거주지 외부 단말(23), 거주자 휴대 단말(22), 사업자 휴대 단말(51) 및 서버(30)는 각각 프로세서와 관련된 메모리를 포함하는 임의의 디바이스 또는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운영 체제를 구동할 수 있고, 명령어, 소프트웨어 코드, 실행파일(executable), 애플리케이션, 앱 등으로 알려져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기타, 또는 이들의 조합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거나 보유할 수 있고, 텍스트, 데이터베이스, 그래픽, 오디오, 비디오, 이들의 조합, 및 기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매체 또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라고 지칭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플래시 드라이브,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CDROM), DVD(Digital Video Disc) 등과 같은 광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11), 관리자 휴대 단말(12), 거주자 단말(21), 거주지 외부 단말(23), 거주자 휴대 단말(22), 사업자 휴대 단말(51) 및 서버(30)는 이러한 메모리와 함께 복수의 하드 디스크, 네트워크 접속 저장소(network attached storage), 또는 별도의 저장소 네트워크(storage network)를 포함하는 파일 저장소(file store)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자 단말(11)은 이동 통신 디바이스(무선 디바이스를 포함함), 워크 스테이션, 데스크톱 컴퓨터, 랩톱 컴퓨터, 팜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PDA(portable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 키오스크, 또는 이들의 조합들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 휴대 단말(12), 거주자 휴대 단말(22) 및 사업자 휴대 단말(51)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무선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 휴대 단말(12)은 통신 네트워크(40)를 통해 관리자 단말(11)에 접속할 수 있다. 관리자 휴대 단말(12)은 관리자 단말(11)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거주자 휴대 단말(22)은 통신 네트워크(40)를 통해 거주자 단말(21)(또는 홈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거주자 휴대 단말(22)은 거주자 단말(21)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관리자 휴대 단말(12)이 관리자 단말(11)에 접속하여 관리 단말(11)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지만, 서버(30)에 접속되어 관리자 단말(11)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관리자 휴대 단말(12)과 마찬가지로, 거주자 휴대 단말(22)은, 거주자 단말(21)에 접속하여 거주자 단말(21)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지만, 서버(30)에 접속되어 거주자 단말(21)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사업자 휴대 단말(51)은 통신 네트워크(40)를 통해 서버(30)에 접속할 수 있다.
집합주거시설 또는 집합상가시설의 각 호실(20)에는 홈네트워크(home network)가 구축되어 있을 수 있다. 거주자 단말(21)은 각 호실(20) 내부에 설치된 IoT 장치들을 서로 무선으로 연결한 홈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거주자 단말(21)은 집합주거시설 또는 집합상가시설의 각 호실(20)에 설치된 단말기에서 그 하위 장치로 전달되는 신호를 캡처(capture)하고 분석, 저장하고, 재정의, 재사용함으로써 추가 장비 없이 간단히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을 기반으로 한 시스템을 구성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거주자 단말(21)은 집합주거시설 또는 집합상가시설의 각 호실(2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홈네트워크는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GSM(Global System for Mobile Network),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LTE Advanced, IEEE802.16m, WirelessMAN-Advanced, HSPA+,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Mobile WiMAX (IEEE 802.16e), UMB (formerly EV-DO Rev. C), Flash-OFDM, iBurst and MBWA (IEEE 802.20) systems, HIPERMAN, Beam-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및 초음파 활용 통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법에 의해 각 호실(20) 내부에 위치한 각종 IoT(Internet of Things) 장치들(예를 들어, 인공지능 스피커, 공유기, 스마트폰, 스마트 TV, 각종 스마트 가전기기 등)과 거주자 단말(21)이 서로 통신하는 통신 네트워크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거주자 단말(21)은 스마트 패드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스마트 패드는 인터폰으로 기능하고 벽에 탈착이 가능한 월패드(wall pad)일 수 있으며, 무선으로 홈네트워크 및 외부 인터넷망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거주자 단말(21)은 거주지 외부 단말(23)과 통신하여 거주지 외부 단말(23)에 획득하거나 표시하는 에너지 사용량을 수신할 수 있다.
거주지 외부 단말(23)은 이동 통신 디바이스(무선 디바이스를 포함함), 워크 스테이션, 데스크톱 컴퓨터, 랩톱 컴퓨터, 팜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PDA(portable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 키오스크, 또는 이들의 조합들을 포함할 수 있다. 거주지 외부 단말(23)은 각 호실(20)의 외부(예를 들면 아파트 복도)에 위치할 수 있다. 거주지 외부 단말(23)은 거주자 이외에도 외부인이 쉽게 접근하는 것이 가능하고, 경우에 따라 외부인이 조작 가능할 수 있다.
거주자 외부 단말(23)은, 각 호실(20)마다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거주자 단말(21)과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해 통신할 수 있다. 또한, 거주자 외부 단말(23)은, 각 호실(20)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가스 계량기, 전력 계량기 및 수도 계량기와 연결되며, 상기 각 호실의 출입구 일측 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각 호실에서 사용된 에너지 사용량을 표시할 수 있다.통신 네트워크(40)에는 관리자 단말(11), 관리자 휴대 단말(12), 거주자 단말(21), 거주자 휴대 단말(22), 사업자 휴대 단말(51), 및 서버(30)가 접속되어 있을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40)는 유선 또는 무선일 수 있고, 서버(30), 라우터, 스위치, 무선 수신기 및 송신기 등은 물론, 전기 전도성 케이블 또는 광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40)는 앞서 홈네트워크에서 예로서 설명한 하나 이상의 통신 방법에 의한 통신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30)에는 통신 네트워크(40)를 통해 관리자 단말(11), 거주자 단말(21) 및 사업자 휴대 단말(51)이 접속되어 있을 수 있다. 서버(30)는 관리자 단말(11), 거주자 단말(21) 또는 사업자 휴대 단말(51)로부터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이를 통해 연산을 수행하고, 연산의 결과를 다시 관리자 단말(11), 거주자 단말(21) 또는 사업자 휴대 단말(51)로 송신할 수 있다. 서버(30)는 관리자 단말(11), 거주자 단말(21) 및 사업자 휴대 단말(51)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관리 시스템에서 관리자 단말의 기능부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11)을 통해 건물 관리 시스템(1)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관리자 단말(11)은 건물 관리부(111), 건물 경영부(112), 공실 관리부(113), 비즈니스 모델부(114), 부동산 중개부(115), 토지 관리부(116), 주변 부동산 정보 관리부(117), 건물주 네트워크 관리부(118) 및/또는 보안 접속부(119)를 포함할 수 있다. 건물 관리부(111), 건물 경영부(112), 공실 관리부(113), 비즈니스 모델부(114)에 대한 설명은 각각 도 3, 도 8, 도 9 및 도 10에서 후술된다. 도 2에 도시된 관리자 단말(11)의 구성요소들은 관리자 단말(11)에서 구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부동산 중개부(115)는, 건물 내 공실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공실 정보를 관리자에 제공할 수 있다. 건물 내 공실 정보는, 거주자 단말(21) 또는 거주지 외부 단말(23)로부터 수신되어 서버(30)에 수집된 각 호실(20)의 정보 및 관리자 단말(11)의 사용자(또는 관리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토지 관리부(116)는, 건물 주변 토지에 관한 정보를 생성 및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지 관리부(116)는, 해당 건물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 유휴 부지에 대해 분석하고, 부지 개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토지 관리부(116)는 해당 건물이 속한 토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주변 부동산 정보 관리부(117)는, 해당 건물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 위치한 상업 시설들의 업종 정보, 교통 정보, 도로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건물 관리 커뮤니티 생성부(118)는, 다른 건물의 관리자 단말들과 서버(30)를 통해 통신함으로써 온라인 커뮤니티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건물 관리 커뮤니티 생성부(118)는 여러 건물들의 관리자들 사이의 온라인 커뮤니티를 생성하고, 온라인 커뮤니티를 관리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관리자 단말(11)은 특정 권한이 부여된 자에게 한정하여 서버(30)로의 접속을 허용하는 보안 접속부(119)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관리자 단말(11)은 거주자 및 외부 사업자가 소정의 권한을 부여받지 않고는 서버(30)에 액세스하는 것이 불가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따른 건물 관리부를 구체화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건물 관리부(111)는, 건물 내에 설치된 각종 방범 장치들을 제어하는 방범 장치 제어부(111a), 건물의 관리비를 포함하는 공과금을 관리하는 공과금 관리부(111b), 건물 내부로 출입하는 차량들의 주차를 관리하는 주차 관리부(111c), 관리 직원의 업무를 관리하는 관리 직원 업무 관리부(111d), 건물의 입주자들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입주자 관리부(111f), 건물의 현재 상태를 관리하는 건물 상태 관리부(111g), 건물 전체(건물의 공용 공간 및 각 호실)의 가스 계량 상태를 관리하는 가스 계량 관리부(111h), 건물 전체의 전력 계량 상태를 관리하는 전력 계량 관리부(111i), 건물 전체의 수도 계량 상태를 관리하는 수도 계량 관리부(111j), 건물 내에서 입주자들 사이에 이루어지는 투표 또는 메시지를 관리하는 투표 및 메시지 관리부(111k), 건물의 하자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하자 관리부(111l), 및 건물 내에 배송된 배송물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배송물 관리부(111m)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범 장치 제어부(111a)는, 건물 내부에 설치된 CCTV, 모션 인식 센서, 전등, 비상벨, 및 출입 보안 장치(예를 들어, 출입문 개폐를 위한 지문이나 비밀번호를 이용한 잠금장치) 등을 포함하는 방범 장치들을 제어(온/오프 제어 등)하고, 방범 장치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기초로 건물에 출입한 내부인, 외부인 및 관리 직원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범 장치 제어부(111a)는, CCTV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분석하고, 영상 내에 포함된 얼굴 인식 등을 수행하거나, 출입 보안 장치로부터 인식된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내부인, 외부인, 및 관리 직원을 인식할 수 있다.
공과금 관리부(111b)는, 건물 내 공용 시설 및 각 호실(20)의 공과금을 산출하고, 각 호실(20) 별 공과금을 서버(3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30)는, 수신된 각 호실(20)별 공과금을 각 호실(20) 내에 설치된 거주자 단말(21)에 전송할 수 있다. 공과금 산출을 위해 공과금 관리부(111b)는, 가스 계량 관리부(111h), 전력 계량 관리부(111i), 수도 계량 관리부(111j)로부터 공용 시설 및 각 호실(20)의 가스, 전력, 수도 등에 대한 사용량을 획득할 수 있다. 공과금 관리부(111b)는, 실시간으로 공과금의 납부 현황을 판단하고, 월간, 년간 공과금의 납부 현황을 판단하고, 판단된 납부 현황을 관리자 단말(11)에 저장할 수 있다.
주차 관리부(111c)는, 각 호실(20) 별 등록 차량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하고, 건물 내부로 출입하는 차량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 관리부(111c)는, 건물 내의 주차장 출입구에 설치된 번호판 인식기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주차장으로 출입하는 차량의 차량 번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차량 번호를 저장할 수 있다.
직원 업무 관리부(111d)는, 건물 내에서 근무하는 관리사무소 직원, 경비 직원, 또는 미화 직원 등의 인적사항을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하거나, 관리사무소 직원, 경비 직원, 또는 미화 직원 등이 관리자 단말(11)을 통해 입력한 업무 일지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입주자 관리부(111f)는, 각 호실(20) 별 입주자의 인적사항을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할 수 있다.
건물 상태 관리부(111g)는, 건물 대장, 토지 대장, 각 호실(20) 별 위치, 엘리베이터, 비상 계단 등 건물 시설에 관한 노후 정도, 보수 시기, 현재 상태 등을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할 수 있다.
가스 계량 관리부(111h)는, 각 호실(20) 및 공용 시설의 실시간 가스 사용량, 일별, 주간, 월간, 년간 사용량을 서버(3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전력 계량 관리부(111i)는, 각 호실(20) 별 및 공용 부분의 실시간 전력 사용량, 일별, 주간, 월간, 년간 사용량을 서버(3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수도 계량 관리부(111j)는, 각 호실(20) 별 및 공용 부분의 실시간 수도 사용량, 일별, 주간, 월간, 년간 사용량을 서버(3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투표 및 메시지 관리부(111k)는, 거주자 단말(21)을 통해 거주자가 입력한 메시지와 투표 정보를 서버(30)를 통해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투표 및 메시지 관리부(111k)는, 관리자로부터 입력된 투표 항목을 거주자 단말(21)에 전송하고, 거주자 단말(21)로부터 투표 항목에 따른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투표 및 메시지 관리부(111k)는, 다수의 거주자 단말(21)로부터 투표 항목에 따른 입력을 수집하여 거주자들 전체의 투표율 또는 총 투표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투표율 또는 총 투표수를 서버(30)를 통해 거주자 단말(21)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투표 및 메시지 관리부(111k)는, 각 호실(20)의 거주자가 입력한 메시지와 투표 정보 등을 관리할 수 있다.
하자 관리부(111l)는, 각 호실(20) 및 공용 부분의 하자 접수 및 하자 수선 현황, 과거 하자 내역 등을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아 저장하거나, 거주자 단말(21)을 통해 거주자가 입력한 결과를 서버(30)를 통해 전달받아 저장할 수 있다.
배송물 관리부(111m)는, 외부에서 각 호실(20)로 배송된 물품에 관한 정보를 관리자로부터 입력받고, 입력받은 물품에 관한 정보(또는 물품 수령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서버(30)를 통해 거주자 단말(21)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관리자 단말(11)의 상술한 기능부들은 관리자 단말(11)과 통신 네트워크(40)를 통해 연결된 관리자 휴대 단말(12)에 의해 실행되거나 관리자 휴대 단말(12)에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원격지에서 관리자로부터 관리자 휴대 단말(12)에 입력을 받으면, 관리자 휴대 단말(12)은 관리자로부터 받은 입력을 관리자 단말(11)에 전송하고, 관리자 단말(11)은 수신된 입력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고, 수행 결과를 관리자 휴대 단말(12)에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관리 시스템에서 거주자 단말의 기능부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거주자는 거주자 단말(21)을 통해 홈네트워크에 연결된 IoT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 각 호실(20)에는 IoT 장치들이 홈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장치들은, 무선으로 거주자 단말(21)의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전력 공급을 차단 또는 유지하는 IoT 콘센트, 무선으로 거주자 단말(21)의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온 또는 오프되는 IoT 조명기기들, 무선으로 거주자 단말(21)의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각 호실(20)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스마트 냉난방 장치(예를 들어, 스마트 에어컨, 스마트 온풍기, 스마트 보일러 등), 무선으로 거주자 단말(21)의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각 호실(20)의 출입문(또는 현관문)을 개폐하는 스마트 출입 장치, 및 각 호실(20) 내부의 온도, 조도, 습도, 출입문의 개폐 여부, 가스 누출 여부, 화재 발생 여부, 미세먼지 량 등을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거주자 단말(21)은, 계량기 관리부(201), 냉난방 제어부(202), 콘센트 제어부(203), 출입 제어부(204), 공과금 관리부(205), 조명 제어부(206), 센서 제어부(207), 엘리베이터 제어부(208), 차량 관리부(209), 투표 및 메시지 입력부(210), 및/또는 공지사항 표시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계량기 관리부(201)는, 각 호실(20)마다 설치된 가스 계량기(301), 전력 계량기(302), 및 수도 계량기(303)을 이용하여 계측된 가스 사용량, 전력 사용량 및 수도 사용량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량기 관리부(201)는, 가스 사용량, 전력 사용량, 및 수도 사용량 등을 거주지 외부 단말(23)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계량기 관리부(201)는, 실시간, 일간, 주간, 월간 및 년간 가스, 전력, 수도 사용량을 산출하고 저장할 수 있다. 계량기 관리부(201)는, 계측된 가스 사용량, 전력 사용량 및 수도 사용량과 실시간, 일간 등의 기간별 산출된 사용량을 서버(30)를 통해 관리자 단말(11)에 전송할 수 있다.
냉난방 제어부(202)는, 각 호실(20) 내부에 위치한 스마트 냉난방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냉난방 제어부(202)는, 실내 온도를 예측하고, 예측된 실내 온도에 기초하여 스마트 냉난방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냉난방 제어부(202)의 세부 동작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콘센트 제어부(203)는, 각 호실(20)에 설치된 IoT 콘센트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센트 제어부(203)는, IoT 콘센트의 전력 공급 또는 차단을 제어할 수 있다.
출입 제어부(204)는, 각 호실(20) 및 공용시설의 출입구에 설치된 스마트 출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출입 장치는, 건물의 주출입문 및 각 호실(20)의 출입문(또는 현관문)에 설치된 CCTV, 지문이나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카드 또는 비밀번호를 인증하여 출입문의 개폐를 결정하는 스마트 도어락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출입 제어부(204)는, 스마트 출입 장치를 제어하여 각 호실(20) 및 공용시설의 출입문을 개폐하거나, 스마트 출입 장치를 통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거주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출입 제어부(204)는, 각 호실(20)의 내외부에 설치된 방범 경고 장치들의 동작을 활성화(activation) 또는 비활성화할 수도 있다.
공과금 관리부(205)는, 서버(30)를 통해 관리자 단말(11)에서 산출한 각 호실(20)의 공과금 내역을 수신하고, 수신된 공과금 내역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공과금 관리부(205)는, 공과금 납부 여부를 서버(30)를 통해 관리자 단말(11)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조명 제어부(206)는, IoT 조명 기기들을 제어하여 각 호실(20) 내부의 조명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조명 제어부(206)는, 센서 제어부(207)를 통해 수신된 각 호실(20) 내부의 조도에 기초하여 IoT 조명 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다.
센서 제어부(207)는, 각 호실(20)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제어부(207)는,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센싱된 각 호실(20) 내부의 조도, 온도, 습도, 출입문의 개폐 여부, 가스 누출 여부, 화재 발생 여부, 미세먼지 량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센서 제어부(207)는, 센싱된 정보들을 거주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제어부(208)는, 각 호실(20)과 인접한 엘리베이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엘리베이터 제어부(208)는, 센서 제어부(207)를 통해 출입문의 개폐 여부와 내부 조도를 확인하고, 확인된 개폐 여부와 내부 조도에 따라(예를 들어, 출입문이 열린 후 다시 닫히고 내부 조도가 매우 낮아진 경우) 각 호실(20)과 인접한 엘리베이터를 동작시킬 수 있다.
차량 관리부(209)는, 주차장에 설치된 번호판 인식기와 연동하여 각 호실(20)에 등록된 차량의 주차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감지된 차량과 인접한 CCTV를 통해 촬영된 주차 차량의 영상을 거주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투표 및 메시지 입력부(210)는, 서버(30)를 통해 관리자 단말(11)로부터 수신한 투표 항목(예를 들어, 동의, 비동의, 선택안함 등을 표시하는 동영상이나 이미지)을 거주자에게 표시하고, 거주자로부터 투표 항목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고, 투표 항목에 대한 입력을 서버(30)를 통해 관리자 단말(11)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투표 및 메시지 입력부(210)은, 관리자 단말(11)로부터 투표 항목에 대한 건물 전체 거주자들의 투표율(또는 총 투표 수)을 수신하고, 수신된 투표율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 투표 항목을 거주자에게 재표시하거나, 투표 항목의 승인 여부를 거주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값은 미리 입력되거나 서버(30)를 통해 수신되는 값으로서, 법률의 규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값은 50% 및 75% 중 하나 일 수 있다. 또한, 투표 및 메시지 입력부(210)는, 거주자로부터 특정 메시지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특정 메시지를 서버(30)를 통해 관리자 단말(11)로 전송할 수 있다.
공지사항 표시부(211)는, 서버(30)를 통해 관리자 단말(11)로부터 공지사항을 수신하고, 수신된 공지사항 내역들을 거주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거주자 단말(21)은, 웨어러블 장치로부터 착용자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수신된 건강 상태를 거주자에게 표시하거나, 수신된 건강 상태에 대응하는 냉난방 제어값을 결정하여 냉난방 제어부(202)에 전달하거나, 건강 상태에 대응하는 조도값을 결정하여 조명 제어부(206)에 전달하는 건강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는 거주자가 착용하는 장치로서, 미리 거주자 단말(21)에 등록(registration) 또는 페어링(pairing)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따른 냉난방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냉난방 제어부(202)는, 각 호실(20)마다 설치된 스마트 냉난방 장치(400)를 제어할 수 있다. 각 호실(20)은 복수의 공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공간은 3개의 방들(501, 502, 503), 거실(504), 주방(505) 및 현관(506)을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냉난방 장치(400)는, 각 호실(20) 내부의 실내 온도에 영향을 미치는 열적요소(외부온도, 인체열, 기기발열, 조명발열)들을 해결하기 위해 차갑거나 따뜻한 공기를 발생시키거나, 벽면 및 바닥면에 열을 발생시키는 등의 방법으로 각 호실(20)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난방 제어부(202)는, 열적 요소에 의한 열량값과 스마트 냉난방 장치(400)가 발생시킨 공기의 열량값의 차이가 0이 되도록 하여 실내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각 공간의 온도는 둘러싼 구조체의 열용량과 외피의 단열성능을 기반으로 실내외 온도차와 공급되는 스마트 냉난방 장치(400)의 에너지로 결정된다. 실내 온도변화를 예측하기 위해 기상 조건, 공급풍량 등의 독립 변수로 데이터 기반 모델을 만들고 이를 통해 독립변수의 변화에 따른 실내 변화를 아래의 수학식 1의 모델을 통해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 는 t+1 시간에서 실내 예측 온도이고, 는 t 시간에서 실내 온도이고, 는 0 내지 t 시간 동안 평균 실내 온도이고, 는 설정 온도에 따른 t+1 시간에서 냉난방 에너지 요구량이고, 는 t 시간에서 설정 온도에 따른 냉난방 에너지 요구량을 나타낸다. 는 회귀 분석을 통해 수정된 파라미터를 나타낸다.
또한, t+1 시간에서의 냉난방 양을 결정하기 위해, 현재 t 시간에서의 최대, 최소 설정온도변화에 따라 t+1 시간에서의 최대, 최소 냉방에너지 요구량을 아래의 수학식 2를 통해 예측할 수 있다.
냉난방 제어부(202)는, 현재 및 과거의 실내 온도에 대한 거주자의 만족도를 고려하여, 만족도 대비 에너지 이익을 최대로 하는 방향으로 냉난방에 필요한 에너지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주자의 만족도는 스마트 냉난방 장치(400)의 온도를 제어하는 횟수나 빈도를 통해 연산 되거나, 거주자 단말(21)이 거주자에게 만족도에 관한 수치를 입력하도록 유도하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될 수 있다.
냉난방 제어부(202)는, 아래의 수학식 3을 통해, t 시간에서의 거주자의 만족도 및 t-1 시간에서의 거주자의 만족도를 고려하여 t+1 시간에서의 거주자의 만족도를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 는 t+1 시간에서의 거주자의 예측 만족도이고, 는 t시간에서 에너지 를 사용했을 때 거주자의 만족도이고, 는 t-1시간에서 에너지 를 사용했을 때 거주자의 만족도에 해당한다. 는 회귀 분석을 통해 수정된 파라미터를 나타낸다.
냉난방 제어부(202)는, t+1 시간에서의 에너지 사용량을 아래의 수학식 4를 통해 결정할 수 있다.
냉난방 제어부(202)는, t+1 시간에서의 에너지 사용량에 대해 각 공간의 면적에 비례하도록 분할하여 스마트 냉난방 장치(400)을 가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주자 휴대 단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거주자 휴대 단말(22)은 통신 네트워크(40)를 통해 거주자 단말(21)과 통신할 수 있다. 거주자는 거주자 휴대 단말(22)을 이용하여 거주자 단말(21)에 접속함으로써, 거주자 단말(21)에 연결된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거주자 휴대 단말(22)은 거주자 단말(21)과 통신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또는 경우에 따라 거주자 단말(21)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거주자 휴대 단말(22)은, 공지 사항을 거주자에게 표시하거나, 공과금(또는 관리비)를 거주자에게 표시할 수 있고, 실시간으로 계량기들(301~303)에서 계측된 가스, 전력, 수도 사용량 등을 거주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거주자 휴대 단말(22)은, 거주자의 입력을 수신받고, 수신된 입력에 상응하는 제어명령을 생성하여 각 호실(20) 내부에 설치된 각종 IoT 장치들에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주자 휴대 단말(22)은, 각 호실(20) 내부에 설치된 조명의 동작, 에어컨이나 보일러의 동작, 현관문이나 창문의 개폐, 엘리베이터의 동작 등을 지시하는 제어 명령을 IoT 장치들에 각각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거주자 휴대 단말(22)은 거주자 단말(21)을 통해 상술한 제어 명령을 IoT 장치들에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주지 외부 단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거주지 외부 단말(23)은 무선 또는 유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거주자 단말(21)에 연결되고, 각 호실(20)마다 개별적으로 설치된 가스 계량기(301), 전력 계량기(302), 및 수도 계량기(303)와 연결될 수 있다. 거주지 외부 단말(23)은 각 호실(20)의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주지 외부 단말(23)은, 각 호실(20)의 출입구 일측 벽면에 각각 설치될 수 있고, 각 호실(20)에서 사용된 에너지 사용량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주지 외부 단말(23)은 각 호실(20)의 가스 사용량을 계측하는 가스 계량기(301)로부터 가스 사용량을 수신하고, 각 호실(20)의 전력 사용량을 계측하는 전력 계량기(302)로부터 전력 사용량을 수신하고, 각 호실(20)의 수도 사용량을 계측하는 수도 계량기(303)로부터 수도 사용량을 수신할 수 있다. 거주지 외부 단말(23)은 가스 계량기(301), 수도 계량기(302), 전력 계량기(303) 중 적어도 하나와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거주지 외부 단말(23)은 수신된 가스 사용량, 전력 사용량, 수도 사용량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거주지 외부 단말(23)은 수신된 가스 사용량, 전력 사용량, 및 수도 사용량을 거주자 단말(21)에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거주자 이외의 관리자 및 외부인은 각 호실(20)에 방문하지 않더라도 비대면으로 각 호실(20)의 외부에 위치한 거주지 외부 단말(23)을 통해 각 호실(20)의 가스 사용량, 전력 사용량, 수도 사용량을 쉽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각 호실(20)에 외부인이 직접 방문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불편과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른 실시예로, 거주지 외부 단말(23)은 거주자 단말(21)에만 연결되고, 가스 계량기(301), 전력 계량기(302), 및 수도 계량기(303)는 거주자 단말(21)에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가스 사용량, 전력 사용량, 수도 사용량 등은 거주자 단말(21)을 통해 거주지 외부 단말(23)에 전송될 수 있다.
도 8은 도 2에 따른 건물 경영부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건물 경영부(112)는, 관리자에게 건물 경영에 관한 경영 관리 컨설팅을 제공할 수 있다. 건물 경영부(112)는, 분야별 관리, 관리 영향도를 기반으로 경영 관리 컨설팅을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야별 관리의 항목에는, 지출 관리, 시설 관리, 환경 위생 관리 및 경비보안 및 안전 관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영향도의 항목에는 양질의 사무행정 서비스 창출 및 제공, 사무자동화 견인, 건물관리비 경제화, 공공시설 사용의 편리성, 실내 공간의 쾌적화, 실내 보건위생환경, 청결성, 안정성 및 사건 사고 예방을 포함할 수 있다.
건물 경영부(112)는, 분야별 관리, 관리 영향도 및 건물사용 만족도를 아래의 수학식 5에 따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는 분야별 관리의 특정 i항목에 대한 관리 수준, 는 관리 영향도의 특정 j항목에 대한 관리 수준, 는 i항목 및 j항목에 대한 만족도를 나타낸다. , 는 회귀 분석을 통해 수정된 파라미터를 나타낸다.
건물 경영부(112)는, 수학식 5에 따라 산출된 항목별 만족도들을 합산하여 아래의 수학식 6에 따른 경영 관리 컨설팅 기초 데이터를 산출하고, 산출된 경영 관리 컨설팅 기초 데이터를 관리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건물 경영부(112)가 경영 관리 컨설팅 기초 데이터를 산출하여 관리자에게 표시하므로, 관리자는 경영 관리 컨설팅 기초 데이터를 기반으로 건물 경영을 관리할 수 있어 경영 관리 컨설팅을 제공받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도 2에 따른 공실 관리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공실 관리부(113)는, 건물 내 공실에 입주하고자 하는 사업주와 건물주를 서로 매칭한 결과를 서버(3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매칭 결과를 관리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버(30)는 건물주 데이터와 사업주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면, 건물주 데이터는 건물 정보, 건물 내 공실 정보, 보증금/임대료 정보, 상권 분석 정보, 유동 인구 정보, 수익 모델 정보, 베스트 업종 모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업주 데이터는 업종 정보, 필요 면적 정보, 필요 설비 정보, 보증금/임대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30)는 건물주 데이터와 사업주 데이터를 기반으로 건물주와 사업주를 매칭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서버(30)는 건물주 데이터를 구성하는 평가 값들을 이와 대응하는 대응되는 사업주를 구성하는 평가 값들의 차이 값을 생성하고, 생성된 차이 값을 기반으로 각 항목별 가중치들을 곱하여 합산하는 방법으로 스코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30)는, 스코어링 결과를 기초로 건물주와 사업주를 매칭하고, 매칭 결과를 공실 관리부(113)에 전송할 수 있다.
공실 관리부(113)는, 매칭 결과를 수신하고, 수신된 매칭 결과에 따라 건물주에게 공실과 매칭되는 사업주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사업자는 사업자 휴대 단말(51)을 통해 서버(30)에 접속하여, 사업주 데이터를 입력하고 매칭 결과를 서버(3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10은 도 2에 따른 비즈니스 모델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비즈니스 모델부(114)는, 상권을 분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비즈니스 모델부(114)는, 건물을 중심으로 하는 방위(방향)를 결정(S110)하고, 교통발생원을 결정(S120)하고, 소비자의 유동 가능성을 결정(S130)하고, 업종형태를 파악(S140)하고, 상권 유형을 결정(S150)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즈니스 모델부(114)는, 해당 건물을 기준으로 방위(방향)를 결정할 수 있다(S110). 이를 위해, 비즈니스 모델부(114)는 미리 해당 건물을 중심으로 하는 지도 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방위를 결정할 수 있다. 비즈니스 모델부(114)는, 방위(방향)를 기준으로 교통발생원을 결정할 수 있다(S120). 예를 들어, 교통발생원은 해당 지역의 차량 통행량, 대중교통 거점 등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으며, 차량 통행량, 대중교통 거점 등은 관리자로부터 입력받거나 외부의 공개된 교통 관제 서버 등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여기서, 는 해당 건물의 면적, 은 i 구역에서 j 구역까지 제품 소비에 사용되는 시간의 제곱(제품마다 사용자로부터 미리 입력될 수 있음), n은 i 구역에서 j 구역까지 해당 업종의 상점 개수(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음),는 시간 변수(이동에 소요되는 시간을 지시하는 변수로 교통 발생원에 대응하는 값으로 미리 결정될 수 있음), 는 범위 변수(업종에 관계없이 범위 내에 있는 상점들의 개수 또는 밀집도), 는 수식과 실제 유동량 사이의 오차를 고려하여 수학식 7에 따른 모델링 결과를 실제 유동량에 일치하도록 수정된 파라미터(수학식 7에 따른 유동 가능성과 실제 소비자 유동량을 비교하여 실험적으로 결정)에 해당한다.
비즈니스 모델부(114)는, 유동 가능성에 대응하는 업종형태를 결정하고(S140), 결정된 업종 형태와 관련된 상권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S150). 이때, 유동 가능성과 대응하는 업종 형태는 미리 관리자로부터 데이터 테이블로서 입력받을 수 있다.
비즈니스 모델부(114)는, 상술한 방법을 통해 건물 내 상가들에 적합한 업종 형태와 상가 유형을 결정하고, 결정된 상가 유형을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1: 건물 관리 시스템 11: 관리자 단말
12: 관리자 휴대 단말 20: 각 호실
21: 거주자 단말 23: 거주지 외부 단말
30: 서버 40: 통신 네트워크
51: 사업자 휴대 단말
12: 관리자 휴대 단말 20: 각 호실
21: 거주자 단말 23: 거주지 외부 단말
30: 서버 40: 통신 네트워크
51: 사업자 휴대 단말
Claims (1)
- 스마트패드를 이용하여 IOT 기반으로 출입 보안, 건물 상태 등에 대한 통합 관리를 수행하는 빌딩 관리 시스템으로,
건물을 관리할 수 있도록 건물 내 관리실 내 또는 건물 주출입구에 설치된 관리자 단말;
벽에 탈착이 가능하고, 상기 건물 내 각 호실 내부에 위치한 다수의 IoT(Internet of Things) 장치들이 연결된 홈 네트워크와 외부 인터넷망에 무선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IoT 장치들을 제어하고, 상기 각 호실마다 설치되는 거주자 단말;
상기 거주자 단말, 상기 각 호실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가스 계량기, 전력 계량기 및 수도 계량기와 연결되며, 상기 각 호실의 출입구 일측 벽면에 설치되어 상기 각 호실에서 사용된 에너지 사용량을 표시하는 거주지 외부 단말; 및
상기 관리자 단말 및 상기 거주자 단말과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관리자 단말과 상기 거주자 단말을 중계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은,
상기 건물 내 방범, 공과금, 주차, 및 관리 직원 업무를 관리하는 건물 관리부;
상기 건물 내 공실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공실 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부동산 중개부;
상기 건물 주변의 토지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토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토지 관리부;
상기 건물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한 상업 시설들의 업종 정보, 교통 정보, 및 도로 정보를 상기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주변 부동산 정보 관리부; 및
상기 건물과 다른 건물의 관리자 단말들과 상기 서버를 통해 통신함으로써 온라인 커뮤니티를 생성하는 건물 관리 커뮤니티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건물 관리부는,
상기 건물 내부에 설치된 방범 장치들을 제어하고, 상기 건물에 출입한 내부인, 외부인 및 관리 직원을 인식하는 방범 장치 제어부;
상기 건물의 현재 상태를 관리하는 건물 상태 관리부;
상기 건물의 가스 계량 상태를 관리하는 가스 계량 관리부;
상기 건물의 전력 계량 상태를 관리하는 전력 계량 관리부;
상기 건물의 수도 계량 상태를 관리하는 수도 계량 관리부;
상기 건물 내에서 입주자들 사이에 이루어지는 투표 또는 메시지를 관리하는 투표 및 메시지 관리부;
상기 건물의 하자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하자 관리부; 및
상기 건물 내에 배송된 배송물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배송물 관리부를 포함하는, 빌딩 관리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58029A KR102356635B1 (ko) | 2020-10-15 | 2021-05-04 | 스마트패드를 이용하여 iot 기반으로 출입 보안, 건물 상태 등에 대한 통합 관리를 수행하는 빌딩 관리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33326A KR102250855B1 (ko) | 2020-10-15 | 2020-10-15 | Iot 기반의 빌딩 통합 관리 시스템 |
KR1020210058029A KR102356635B1 (ko) | 2020-10-15 | 2021-05-04 | 스마트패드를 이용하여 iot 기반으로 출입 보안, 건물 상태 등에 대한 통합 관리를 수행하는 빌딩 관리 시스템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33326A Division KR102250855B1 (ko) | 2020-10-15 | 2020-10-15 | Iot 기반의 빌딩 통합 관리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56635B1 true KR102356635B1 (ko) | 2022-02-08 |
Family
ID=7591510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33326A KR102250855B1 (ko) | 2020-10-15 | 2020-10-15 | Iot 기반의 빌딩 통합 관리 시스템 |
KR1020210058025A KR102356627B1 (ko) | 2020-10-15 | 2021-05-04 | Iot 기반으로 방범, 공과금, 주차, 직원, 입주자 등에 대한 통합 관리를 수행하는 빌딩 관리 시스템 |
KR1020210058029A KR102356635B1 (ko) | 2020-10-15 | 2021-05-04 | 스마트패드를 이용하여 iot 기반으로 출입 보안, 건물 상태 등에 대한 통합 관리를 수행하는 빌딩 관리 시스템 |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33326A KR102250855B1 (ko) | 2020-10-15 | 2020-10-15 | Iot 기반의 빌딩 통합 관리 시스템 |
KR1020210058025A KR102356627B1 (ko) | 2020-10-15 | 2021-05-04 | Iot 기반으로 방범, 공과금, 주차, 직원, 입주자 등에 대한 통합 관리를 수행하는 빌딩 관리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3) | KR10225085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23739B1 (ko) * | 2024-03-25 | 2024-10-30 | 에이치디씨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 모바일 홈패드에 의하여 단지의 입주자들에게 생활편의 및 광고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82168B1 (ko) * | 2021-05-27 | 2022-04-11 | (주)다온시앤디 | 지능형 건물 관리 시스템 |
KR102671501B1 (ko) * | 2023-09-22 | 2024-06-04 | 주식회사 구일일보안시스템 | 아파트 통합 관리 시스템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117603A (ko) * | 2005-05-13 | 2006-11-17 | 티씨에스코리아 (주) | 무선망을 이용한 방문자 관리 시스템 |
KR20090106005A (ko) * | 2008-04-04 | 2009-10-08 | (주)세솔 | 에너지 사용요금 표시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사용요금표시시스템 |
KR20100086380A (ko) * | 2009-01-22 | 2010-07-30 | 한국전력공사 | 에너지 통합 관리 시스템 |
-
2020
- 2020-10-15 KR KR1020200133326A patent/KR10225085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
- 2021-05-04 KR KR1020210058025A patent/KR10235662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1-05-04 KR KR1020210058029A patent/KR10235663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117603A (ko) * | 2005-05-13 | 2006-11-17 | 티씨에스코리아 (주) | 무선망을 이용한 방문자 관리 시스템 |
KR20090106005A (ko) * | 2008-04-04 | 2009-10-08 | (주)세솔 | 에너지 사용요금 표시단말기 및 이를 포함하는 사용요금표시시스템 |
KR20100086380A (ko) * | 2009-01-22 | 2010-07-30 | 한국전력공사 | 에너지 통합 관리 시스템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23739B1 (ko) * | 2024-03-25 | 2024-10-30 | 에이치디씨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 모바일 홈패드에 의하여 단지의 입주자들에게 생활편의 및 광고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50855B1 (ko) | 2021-05-11 |
KR102356627B1 (ko) | 2022-02-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854026B2 (en) | System and method for premise management | |
CN109416550B (zh) | 用户控制装置和多功能家庭控制系统 | |
US11798399B2 (en) | Property scene adjustments | |
US10147308B2 (en) | Method and system for consolidating events across sensors | |
US11145016B1 (en) | Unattended smart property showing | |
US20190354220A1 (en) | Transparent display control device | |
US8874497B2 (en) |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environmental conditions of different entities | |
US11714392B2 (en) | Multi-site building management system | |
US20140297001A1 (en) | System and method for adaptive automated resource management and conservation | |
KR102356635B1 (ko) | 스마트패드를 이용하여 iot 기반으로 출입 보안, 건물 상태 등에 대한 통합 관리를 수행하는 빌딩 관리 시스템 | |
CN107787469A (zh) | 具有控制系统中枢和远程传感器的多功能家庭控制系统 | |
KR20130035577A (ko) | 상황 인지 기반의 건물 에너지 소비 최적화를 지원하는 시스템 및 방법 | |
WO2016109144A1 (en) | Situationally aware alarm | |
US20120290137A1 (en) | System for controlling environmental conditions of a building | |
US11436682B2 (en) | Property damage risk evaluation | |
CN106408485A (zh) | 安全智能社区家庭系统 | |
KR20200027686A (ko) | Ict 기반의 시설물 통합 관리 시스템의 처리 방법 | |
CN111383375A (zh) | 酒店客房的电力控制方法及电力控制系统、酒店管理系统 | |
KR102133571B1 (ko) |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 | |
KR102724308B1 (ko) | 모드 전환이 가능한 세대단말기를 포함하는 스마트홈 시스템을 이용한 인증 방법 | |
KR102596356B1 (ko) | 지능형 홈 네트워크 시스템 | |
US20230268766A1 (en) | Smart energy platforms and methods for a property | |
JP2017208985A (ja) | 機器制御装置、機器制御方法および機器制御プログラ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