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3571B1 -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 - Google Patents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3571B1
KR102133571B1 KR1020180160008A KR20180160008A KR102133571B1 KR 102133571 B1 KR102133571 B1 KR 102133571B1 KR 1020180160008 A KR1020180160008 A KR 1020180160008A KR 20180160008 A KR20180160008 A KR 20180160008A KR 102133571 B1 KR102133571 B1 KR 102133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device
wireless smart
wireless
service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0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4289A (ko
Inventor
성원영
박민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허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허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허브
Priority to KR1020180160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3571B1/ko
Publication of KR20200074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4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7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switching on or off the equipment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은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 또는 집합건물에 기본적으로 설치되는 매립형 빌트인 전기기기에 사물인터넷 허브 솔루션을 탑재하여 입주민이 별도의 허브를 구매할 필요 없이 원격기기 제어, 무선경비서비스, 지능형관제서비스, 집합건물관리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다.

Description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Built-In PlugHub System}
본 발명은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 또는 집합건물에 기본적으로 설치되는 매립형 빌트인 전기기기에 사물인터넷 허브 솔루션을 탑재하여 입주민이 별도의 허브를 구매할 필요 없이 원격기기 제어, 무선경비서비스, 지능형관제서비스, 집합건물관리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다.
집안의 전자 기기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이를 사용할 수 있는 리모콘 역시 그에 비례해서 증가를 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전자기기는 TV나 DVD 플레이어를 포함해서 에어콘과 A/V 시스템 등을 모두 아우르는 것이다.
리모트 컨트롤러의 줄임말인 리모콘은 상당히 편리한 발명품이다. 특정 주파수를 적외선에 담아서 송신부와 수신부를 분리하여 각각의 전자 기기의 특정 또는 모든 기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이용자의 움직임을 최소로 해주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리모콘의 수가 하나씩 증가를 하게 되면 관리하는 것도 귀찮아지기 마련으로, 이로 인해 등장한 것이 통합 리모콘이다. 하나의 리모콘으로 여러가지 가전기기를 모두 제어할 수 있도록 해주는 편리한 물건이지만 이것 역시 한계가 있기는 마련이다. 한정된 버튼으로 다수의 전자기기에 포함된 모든 기능을 제어한다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필수적인 기능 만을 제어할 수 있을 뿐이고 나머지는 본체에서 직접 제어를 해야 한다. 이어서 등장한 2세대 통합 리모콘은 학습 기능이라는 것이 포함되어 있다. 학습 기능은 소스가 되는 리모콘의 적외선에 실린 주파수를 읽어서 복사하는 기능이다. 그러면 통합 리모콘에서 그것을 그대로 다시 적외선에 실어서 보내는 원리이다. 그리고 다시 한 번 진화해서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통합 리모콘이 등장하였다. 이 리모콘은 자체가 하나의 시스템으로, 별도의 운영체제를 탑재하고 터치 스크린까지 내장하고 있다.
통합 리모콘에 대한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23162호와 같이, 스마트기기와 무선 통신으로 접속되어 약정된 특정 코드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 어댑터 혹은 컴퓨터의 USB포트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고, 컴퓨터 단말기 혹은 인터넷 망과 접속되어 펌웨어 및 통합 리모콘 제어코드의 업그레이드를 제공하는 USB포트; 통합 리모콘 제어코드가 지정된 영역에 저장되는 메모리부; 상기 무선통신부에서 제공되는 약정된 특정 코드를 인식하여 제품모델별 제어코드를 매칭시킨 다음 IR신호로 송출시키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제어코드를 IR신호로 변환시켜 제어대상장치에 송출시키는 IR송신부;를 포함하는 무선중계장치가 개시되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와 같은 통합 리모콘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상가나 오피스텔, 아파트 등에 입주하면 다양한 스마트기기에서 사용하는 저전력 무선통신을 와이파이통신 등을 통해서 인터넷으로 전송하거나, 인터넷으로 이러한 제폼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중계하는 게이트웨이 허브장치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한다. 이러한 게이트웨이 허브장치의 경우, 기존의 무선 스마트 기기보다 오히려 더 높은 가격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23162호 (2016.05.16.)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선행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월패드와 같은 별도의 허브 게이트웨이가 필요 없이, 벽부 콘센트 외 허브 게이트웨이 기능을 하는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정 및 사무실/매장 내에 각종 가전기기와 방범 및 전기기기를 자동으로 제어하고 전기에너지를 절감하며 관리현황 정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국내의 건물규격과 전기인증 규격에 부합하면서 사물인터넷 기능을 지원하는 통신규격에도 모두 부합하는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은, 저전력 무선통신 기반의 무선스마트기기; 상기 무선스마트기기를 인터넷 상에서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중계하는 플러그허브; 사용자가 상기 무선스마트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거나 작동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마트폰; 및 상기 플러그허브와 상기 스마트폰 사이에 와이파이통신을 지원하는 공유기;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허브는, 무선스마트기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매립형 콘센트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무선스마트기기를 위한 허브 기능을 함께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허브는 상기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무선스마트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고, 사용자에게 전기료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무선스마트기기의 소비전력을 측정하며, 상기 무선스마트기기의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스마트기기는 개폐 또는 동작을 감지하는 스마트홈장비;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허브는 상기 스마트홈장비의 상태를 상기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무인경비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은 다수 개의 상기 무선스마트기기와 연동된 플러그허브와 무선연결 가능한 지능형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능형서버는, 머신러닝기법이나 사용자 입력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무선스마트기기를 통해 내외부환경을 파악한 후 상기 내외부환경에 따라 상기 무선스마트기기를 제어하는 지능형관제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은 다수 개의 플러그허브와 무선연결 가능한 외부클라우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외부클라우드는, 상기 다수 개의 플러그허브와 각각 연동된 상기 무선스마트기기를 일괄적으로 제어하거나 상기 무선스마트기기의 사용패턴을 분석하는 집합건물관리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은, 빌트인 전기기기에 허브기능이 내장되어 있어, 고가의 월패드나 허브 게이트웨이가 필요하지 않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은, 아파트나 빌딩 전체를 저렴하게 사물인터넷 관제 기술을 적용할 수 있어 에너지가 절감되며 기본적으로 입주민에게 방범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은, 저전력 무선통신 기반의 다른 제조사의 스마트 기기와도 손쉽게 연동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에 있어서 개인관리용 스마트폰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에 있어서 기업관리용 스마트폰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전력 무선통신 기반의 무선스마트기기(10), 상기 무선스마트기기(10)를 인터넷 상에서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중계하는 플러그허브(20), 사용자가 상기 무선스마트기기(10)를 원격으로 제어하거나 작동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마트폰(30) 및 상기 플러그허브(20)와 상기 스마트폰(30) 사이에 와이파이통신을 지원하는 공유기(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플러그허브(20)는, 상기 무선스마트기기(1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매립형 콘센트로 구성되며, 사용자가 상기 무선스마트기기(10)를 위한 허브 기능을 함께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신축단계에서는 사물인터넷 시스템을 도입하려면 게이트웨이 기능을 하는 월패드를 설치하거나, 허브 게이트웨이를 별도로 구비하여야 하는데, 상기 플러그허브는 이러한 허브 기능을 빌트인 전기기기에 내장하여,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소하도록 마련되었다.
상기 플러그허브는, 기본적으로 가전기기 등의 무선스마트기기에 대한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외에도 무선경비서비스, 지능형관제서비스, 집합건물관리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먼저, 상기 플러그허브(20)는 상기 스마트폰(30)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무선스마트기기(10)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무선스마트기기(10)는 에어컨, 공기청정기 등의 가전제품 뿐 아니라 무선 도어락, 무선 조명일 수 있으며, 또는 IR 리모콘을 상기 플러그허브(20)와 먼저 연결한 후 상기 IR 리모콘에 다수 개의 무선스마트기기를 연결한 형태일 수 있다. 즉, 상기 플러그허브(20)는 사물인터넷 서비스로써 무선통신 제품을 제어하는 허브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여 스마트폰 인터페이스인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러그허브(20)는 사용자에게 전기료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무선스마트기기(10)의 소비전력을 측정할 수 있는 에너지미터 기능이 구비된다. 즉, 상기 플러그허브(20)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된 모든 무선스마트기기(10)의 소비전력을 측정하여, 스마트폰 인터페이스인 전용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고 어플리케이션에서는 실시간 전기료 데이터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러그허브(20)는 릴레이 회로가 마련되어 상기 무선스마트기기(10)의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스마트폰(30)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무선스마트기기의 전원 온오프에 대한 스케쥴을 기설정하여 상기 스케쥴에 따라 각각의 무선스마트기기의 전원을 자동으로 온오프할 수 있으며, 특정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직접 차단하거나 켤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플러그허브(20)는 자체적으로 발열이나 화재를 감지하는 수단이 더 마련되어, 발열이나 화재가 감지되면 모든 무선스마트기기의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는, 온도센서가 내장되어 발열이나 누전 상태에 따른 조기 경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플러그허브(20)는 상기 무선스마트기기(10)로써 최근 무인경비서비스를 위한 도어 개폐 센서나 동작 감지 센서 등과 같은 개폐 또는 동작을 감지하는 스마트홈장비의 상태를 상기 스마트폰(30)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폐 센서의 경우 열림 감지 시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거나 전기기기를 제어할 수 있고, 경비 상태로 지정된 경우에는 문 열림 시 전등을 켜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 또한, 동작 감지 센서의 경우 동작 감지 시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거나 동작 감지 시 연동된 전기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러그허브(20)는 도어락 개폐를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상기 무선스마트기기(10)와 연동된 플러그허브(20)는 내외부환경에 따라 상기 무선스마트기기(10)를 제어하는 지능형관제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지능형서버(50);와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지능형서버(50)는, 머신러닝기법이나 사용자 입력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무선스마트기기(10)를 통해 내외부환경을 파악한 후 상기 내외부환경에 따라 상기 무선스마트기기(10)를 제어하는데, 이때 상술한 상기 플러그허브(10)의 기능들을 더 고도화시킬 수 있다. 즉, 무선통신이 가능한 센서를 통해 내외부환경을 파악하고, 이에 따라 무선스마트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기상청의 일출일몰 시간 서비스와 연동되어 해당 일출일몰 시간에 자동으로 스마트조명을 온오프할 수 있고, 기상청의 비 예보에 따라 현관의 스마트 전구의 색을 변화시켜 사용자에게 날씨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외출 모드 상태에서 스마트홈장비가 사람의 침입을 감지할 시 자동으로 전등이 켜지고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하며 119신고 또는 경비출동으로 연동되도록 서비스가 지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능형서버(50)를 포함하는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은 시중의 인공지능 스피커로 음성인식이 연동될 수 있고, 독거노인의 생활을 보조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은 가정과 같이 주거생활에 사용되는 개인관리용 서비스에 대해 서술하였다. 이는 모두 스마트폰(30)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와 통신할 수 있는데, 상기 스마트폰(30)의 인터페이스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은 매장이나 기업에 적용되어 기업관리용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선스마트기기(10)는 비콘으로 통신되는 결제시스템일 수 있고, 비콘 스캔 또는 발신 기능을 통해 용이한 결제를 지원하거나, VAN 서비스와 연동하여 위치정보를 통해 마케팅정보를 인근에 위치한 사람들에게 발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경비서비스와 관련하여, 고용주가 피고용인의 근태 및 출석을 관리할 수 있으며, 실내 위치 측위와 함께 상품의 도난 방지를 위한 모니터링을 지원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모두 스마트폰(30)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즉 매장이나 기업 관리자와 통신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스마트폰(30)의 인터페이스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플러그허브(20)와 무선연결 가능한 외부클라우드(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집합건물에 적용되는 것으로, 각 가정에 설치된 플러그허브(20)를 모두 관리할 수 있는 아파트 관리사무소나 각 사무실에 설치된 플러그허브(20)를 모두 관리할 수 있는 건물의 관리사무소와 같이 집합건물 관리에 유용한 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이다.
기본적으로, 상기 외부클라우드(60)는, 상기 다수 개의 플러그허브(20)와 각각 연동된 상기 무선스마트기기(10)를 일괄적으로 제어하거나 상기 무선스마트기기의 사용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부클라우드(60)는, 퇴근 이후 공공기관이나 사무실 내의 저기제품의 대기전력을 파악하고 자동으로 차단하여, 심야 에너지를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클라우드(60)는, 상술한 지능형서버(50)와 유사하게 머신러닝기법이 적용되어, 각 구역 별 전기에너지 사용량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에너지사용패턴을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은 대기전력 차단, 원격/지능형 전기 제어, 에너지 사용량/전기료 알림, 전기 누전 화재 예방 알림, 열림&동작 감지를 통한 방범 서비스를 기본적으로 제공하며, 무인경비 출동, API를 통한 타사 제품 연동, 근태 관리/부재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지능형 부가서비스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을 이용하여 지원할 수 있는 서비스별로 이용방법을 서술하기로 한다.
첫째, 입주민은 입주시 빌트인된 사물인터넷 무선스마트기기를, 본인 소유의 공유기(40)에 등록하고, 스마트폰(30)을 통해 센서기기 및 무선통신 기기를 등록하여, 다양한 무선스마트기기(10)를 원격제어할 수 있다.
둘째, 상기 플러그허브(20)나 무선조명 스위치를 상기 공유기(40)에 연결하여, 자체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거나 지능형서버(50)에 연동하여 원격으로 개폐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관제 서비스에 연동하여 유료출동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러그허브(20)는 자체 대기전력 차단 회로로 인터넷 연결 없이도 대기전력 차단 기능을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에 있어서 스마트폰(30)을 통해 규칙, 스케쥴 등을 설정할 수 있으며 온오프될 때마다 스마트폰(30)에 푸쉬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호텔/모텔/리조트에 적용되면, 창문에 마그네틱 비콘센서를 부착하여 창문이 장시간 열려있는 경우에는 냉난방기의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기능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30)을 이용하여 각 방의 여러 장비를 동시에 설정할 수 있으며, 룸 청소원이나 매니저의 스마트폰으로 각 방의 장치 작동상태를 점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넷째, 상기 플러그허브(20)의 허브 기능에 연동하여 열림감지센서와 동작센서가 활용되어, 시큐리티 모드 시 침입자를 탐지하면 푸쉬알림이나 출동서비스가 자동으로 신청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연기/화재/온도/습도와 같은 센서를 연동시킬 수 있으며, API플랫폼을 제공하여 유아 체온계, 스마트 도어락, 스마트 적외선 리모콘과 같은 블루투스 기반의 타사 제품과도 연동할 수 있는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다섯째,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을 제어하는 스마트폰 인터페이스에는 다수 개의 모드를 설정하고 변경될 수 있으며, 일부 등록된 시나리오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등록된 시나리오는 생활모드, 외출모드, 취침모드, 휴가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활모드에서는, 대기전략 차단, 원격 제어, 에너지사용량 모니터링과 함께 누전이나 발열감지를 실시간으로 활성화될 수 있으며 스케쥴에 따라 다수 개의 기기를 동시에 작동시키는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외출모드에서는, 생활모드 기능은 그대로 사용하는 데, 더 나아가서 도어센서나 동작센서를 이용한 무선경비서비스가 더 지원되며 복귀시 자동으로 조명이나 전자기기가 켜지도록 지능형 서비스가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취침모드에서는, 상기 외출모드와 동일하게 무선경비서비스가 지원되며, 전원 소등이나 타이머 후 전기 차단 기능으로 심야 에너지를 절감시키는 서비스가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휴가모드에서는, 무선경비서비스에 사용자에게 푸쉬알림을 제공하고, 경비출동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으며, 정해진 시간에 전원을 점등하고 소등하는 원격제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플러그허브(20)는 허브 기능이 매립형 전기기기인 콘센트로 서술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빌트인 콘센트 대신 매립형 전기조명스위치, 외장콘센트나 멀티탭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무선스마트기기
20 : 플러그허브
30 : 스마트폰
40 : 공유기
50 : 지능형서버
60 : 외부클라우드
100 : 단위별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

Claims (5)

  1. 저전력 무선통신 기반의 무선스마트기기;
    상기 무선스마트기기를 인터넷 상에서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중계하는 플러그허브;
    사용자가 상기 무선스마트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거나 작동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마트폰;
    상기 플러그허브와 상기 스마트폰 사이에 와이파이통신을 지원하는 공유기;
    다수 개의 상기 무선스마트기기와 연동된 상기 플러그허브와 무선연결 가능한 지능형서버; 및
    다수 개의 상기 플러그허브와 무선연결 가능한 외부클라우드; 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스마트기기는,
    도어센서, 동작센서, 스마트 조명, 창문에 부착된 마그네틱 비콘 센서, 비콘으로 통신되는 결제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허브는,
    발열이나 화재를 감지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센서가 발열이나 화재를 감지하면 상기 발열이나 화재 상태에 따라 조기 경보를 상기 스마트폰에 전송하거나 상기 무선스마트기기의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플러그허브는,
    상기 무선스마트기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매립형 콘센트로 구성되어, 상기 무선스마트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동시에 상기 무선스마트기기가 인터넷 상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허브 및 게이트웨이 기능을 함께 수행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스마트폰은,
    생활모드, 외출모드, 취침모드, 휴가모드를 포함하는 다수 개의 모드가 상기 인터페이스에 구비되고,
    상기 생활모드는 상기 무선스마트기기의 대기전력 차단, 원격 제어, 에너지 사용량 모니터링, 누전이나 발열감지 활성화를 포함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외출모드는 상기 생활모드 내 서비스와 함께 사용자의 외출 시 상기 도어센서 또는 동작센서로부터 문 열림 또는 동작이 감지되면 전등이 점등하고 상기 스마트폰에 알림을 전송하고 119신고 또는 경비출동으로 연동되도록 하는 무선경비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취침모드는 상기 외출모드 내 서비스와 함께 사용자의 취침 시 상기 무선스마트기기 전원을 소등하거나 타이머 후 전기 차단 기능으로 심야 에너지를 절감시키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휴가모드는 상기 외출모드 내 서비스와 함께 사용자의 휴가 시 정해진 시간에 상기 무선스마트기기가 점등 또는 소등되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지능형서버는,
    머신러닝기법이나 사용자 입력 프로그램에 의해, 무선통신이 가능한 센서를 포함하는 상기 무선스마트기기를 통해 창문과 현관문을 경계선으로 나눠진 내부환경 또는 외부환경을 파악한 후 상기 무선스마트기기를 제어하는 지능형관제서비스를 지원하고,
    상기 지능형관제서비스는,
    상기 지능형서버로부터 기상청의 일출일몰 시간 데이터가 제공되어 상기 스마트 조명이 일출을 파악한 후 소등하거나 일몰을 파악한 후 점등하고, 상기 지능형서버로부터 기상청의 날씨정보가 제공되어 상기 스마트 조명이 비가 오는 것을 파악한 후 조명의 색을 변경하고,
    상기 창문에 부착된 마그네틱 비콘 센서가 창문의 장시간 열려있는 상태를 파악한 후 상기 플러그허브와 연동된 냉난방기의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고,
    상기 비콘으로 통신되는 결제시스템이 비콘 스캔 또는 발신 기능을 통해 결제를 지원하거나, VAN 서비스와 연동하여 마케팅정보를 인근에 위치한 사람들에게 발신되도록 하고,
    상기 외부클라우드는,
    집합건물관리에 있어서, 다수 개의 상기 플러그허브와 각각 연동된 상기 무선스마트기기를 일괄적으로 제어하거나 상기 무선 스마트기기의 대기전력 또는 전기 사용량을 포함하는 사용패턴을 분석하는 집합건물관리서비스를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허브는 상기 스마트폰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무선스마트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고,
    사용자에게 전기료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무선스마트기기의 소비전력을 측정하며,
    상기 무선스마트기기의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160008A 2018-12-12 2018-12-12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 KR102133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008A KR102133571B1 (ko) 2018-12-12 2018-12-12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0008A KR102133571B1 (ko) 2018-12-12 2018-12-12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4289A KR20200074289A (ko) 2020-06-25
KR102133571B1 true KR102133571B1 (ko) 2020-07-14

Family

ID=71400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0008A KR102133571B1 (ko) 2018-12-12 2018-12-12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35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2352B1 (ko) * 2023-05-30 2024-01-05 박우석 디스플레이에 내장된 IoT 통합 리모컨 장치,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113B1 (ko) * 2005-03-02 2007-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도어락 제어방법
KR101623162B1 (ko) 2013-05-16 2016-05-20 주식회사 서비전자 통합 리모콘이 구비된 무선중계장치 및 그것의 운용방법
KR101611982B1 (ko) * 2014-04-25 2016-04-14 전자부품연구원 소비전력 분석 기반의 가전기기 대기전력 학습 방법
KR20160063666A (ko) * 2014-11-27 2016-06-07 (주)메이딧 스마트플러그 인증 및 등록 방법
KR20160072006A (ko) * 2015-09-04 2016-06-22 주식회사 서비전자 스마트 콘센트 시스템
KR101822538B1 (ko) * 2015-12-29 2018-01-26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원격 제어 기능을 가지는 매입형 콘센트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4289A (ko) 2020-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5893B2 (en) User friendly systems and devices facilitating water conservation in the smart home
US1083844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nergy device and system status
US10339773B2 (en) Home security system with automatic context-sensitive transition to different modes
US10102507B2 (en) Systems and methods to faciliate replacement of depleted batteries
US9747769B2 (en) Entry point opening sensor
AU2013204671B2 (en) Wireless Power, Light and Automation Control With Ambient Light and Proximity Detection
US20170039838A1 (en) Systems and methods of automated arming and disarming of a security system
CN107765565A (zh) 一种可自动启动的智能家居系统
JP2015532075A (ja) スマートセンサーを装備した家のためのデバイス、方法、および関連する情報処理
CN102117062A (zh) 智能家居系统
US11680423B2 (en) Electromechanical locking apparatu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same in a real property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US201303005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curity device and system status
CN108234238A (zh) 局域网中的调试和个性化设备
KR102133571B1 (ko) 빌트인 플러그허브 시스템
WO2021039658A1 (ja) 制御システム、警報システム、警報器、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209707921U (zh) 一种无线物联网智能家居控制系统
CN206991046U (zh) 一种智能家居系统
AU2015204325B2 (en) Method for Setting an Ambient Light Threshold in a Power Controller
KR20220120944A (ko) 모듈러 주택과 이동식 주택의 사물인터넷 스마트홈 시스템
Nagaraju Smart Home Using IOT Integrated with Cloud
DiBenedetto Home automation and power conservation using ZigBe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