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5894B1 - 원형 주 모선부 연결 분전반 유닛, 이를 포함한 분전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한 분전반 - Google Patents

원형 주 모선부 연결 분전반 유닛, 이를 포함한 분전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한 분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5894B1
KR102355894B1 KR1020210086856A KR20210086856A KR102355894B1 KR 102355894 B1 KR102355894 B1 KR 102355894B1 KR 1020210086856 A KR1020210086856 A KR 1020210086856A KR 20210086856 A KR20210086856 A KR 20210086856A KR 102355894 B1 KR102355894 B1 KR 102355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busbars
main
bus bar
distribution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6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엽
Original Assignee
한영이엘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영이엘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영이엘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6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5894B1/ko
Priority to KR1020220008932A priority patent/KR102527372B1/ko
Priority to KR1020220008933A priority patent/KR1025273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5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5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02B1/207Cross-bar layo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05Laminated bus-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 유닛에 있어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수평 방향으로 나열되며,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복수의 주 모선부; 및 상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직 방향으로 나열되되, 상기 복수의 주 모선부와 연결되는 복수의 분기 모선부; 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분기 모선부 각각은, 상호 대향하는 제1 및 제2 분기 모선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분기 모선 각각은, 상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부; 상기 판상부의 일단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절곡된 접속 클립 단자부; 를 포함하되, 상기 분기 모선부는, 상기 제1 및 제2 분기 모선의 접속 클립 단자부가 상호 대향하도록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주 모선부는, 상기 제1 및 제2 분기 모선의 접속 클립 단자부들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분기 모선부와 체결될 수 있다.

Description

원형 주 모선부 연결 분전반 유닛, 이를 포함한 분전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한 분전반{Circular main busbar connection distribution board unit, distribution board assembly including the same, and distribution board including the same}
본 명세서는 원형 주 모선부 연결 분전반 유닛, 이를 포함한 분전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한 분전반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분전반은 베이스패널에 주차단기와 분기 차단기 및 누전 차단기 등의 각종 차단기가 설치되고 그 차단기들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장치에 해당하며, 건물 등의 옥내 배선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배분하여 옥내의 각 요소로 재공급함과 동시에 전력 공급을 개폐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
이때, 분전반에는 각각의 차단기들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분배하기 위한 다수개의 모선부가 설치되어 있는데, 모선부는 일측이 주차단기의 출력 단자에 연결되어 전력을 유도하는 주 모선부와, 주 모선부에 연결되어 분배받은 전력을 각각의 분기 차단기 및 누전 차단기에 공급하는 분기 모선부로 구성되며, 분기 모선부에는 주 모선부에 접속하여 전력을 분배받기 위한 연결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분전반의 경우, 주 모선부와 분기 모선부가 상호 볼트 체결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분기 모선부를 주 모선부로부터 분리하려면, 반드시 고정 볼트를 해제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초래되었다. 이에 따라 분전반의 보수 작업 또는 분기 모선부의 교체 작업에 번거로움 및 과도한 시간 낭비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주 모선부에 직접 나선공을 형성하고, 분기 모선부를 통해 볼트를 체결하여 연결하는 방식도 실시되고 있지만, 이는 모선부간 연결이 하나의 볼트에만 의존하게 됨으로써, 고정력이 약할 뿐만 아니라 전류의 소통이 원활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명세서에서는 구조적으로 주 모선부가 분기 모선부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상호 결합/체결되는 분전반 구조를 제안하여, 주 모선부 및 분기 모선부의 볼트 체결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함이 목적이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제안되는 분전반 구조는 원형(또는 원통형, 원기둥형, 환봉형 등)의 주 모선부를 갖는 분전반을 대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 유닛에 있어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수평 방향으로 나열되며,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복수의 주 모선부; 및 상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직 방향으로 나열되되, 상기 복수의 주 모선부와 연결되는 복수의 분기 모선부; 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분기 모선부 각각은, 상호 대향하는 제1 및 제2 분기 모선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분기 모선 각각은, 상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부; 상기 판상부의 일단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절곡된 접속 클립 단자부; 를 포함하되, 상기 분기 모선부는, 상기 제1 및 제2 분기 모선의 접속 클립 단자부가 상호 대향하도록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주 모선부는, 상기 제1 및 제2 분기 모선의 접속 클립 단자부들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분기 모선부와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통전 성능이 좋은 원형 주 모선부가 구비된 분전반에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 모선부와 분기 모선부는 상호 볼트 체결이 아닌, 탄성력을 기반으로 하여 구조적으로 체결되기 때문에, 전문가가 아닌 초보자도 쉽게 분전반을 조립 및 해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 결과, 분전반의 보수 작업 및 분기 모선부의 교체 작업의 번거로움 및 과도한 시간 낭비문제가 해결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전반 유닛을 별도/사전 준비 작업을 할 수 있어 생산성으로 인한 원가 절감, 인건비 절감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호 체결된 주 모선부 및 분기 모선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호 체결된 주 모선부 및 분기 모선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기 모선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케이스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케이스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주 모선부, 분기 모선부 및 하부 케이스의 조립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 유닛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 유닛의 부분 조립 단면도를 각각 예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 유닛의 전체 조립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 유닛의 전체 조립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 조립체의 전체 조립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 조립체의 전체 조립 사시도이다.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이하 설명하는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의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는 '및' 또는 '또는'으로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예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 방법 또는 동작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을 이루는 각 과정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과정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호 체결된 주 모선부 및 분기 모선부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호 체결된 주 모선부 및 분기 모선부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서 제안되는 분전반은, 복수의 주 모선부(100) 및 복수의 분기 모선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주 모선부(100)는 R상 주 모선부(100-1), S상 주 모선부(100-2), T상 주 모선부(100-3), N상 주 모선부(100-4)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주 모선부(100) 각각은 원형(또는, 원통형, 원기둥형, 환봉형 등)일 수 있으며, 이러한 원형 형상으로 인해, 분기 모선부(110)와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게 되어 전기 전도 효율이 향상된다는 효과가 발생한다. 각각의 주 모선부(100)는 수직(또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되, 복수의 주 모선부들(100)은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또는 수직) 방향으로 나열/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분기 모선부(110)는 복수의 주 모선부(100)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분기 모선부(110)는 제1 내지 제4 분기 모선부(110-1~110-4)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도면들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1 분기 모선부(110-1)는 N상 주 모선부(100-4)와, 제2 분기 모선부(110-2)는 S상 주 모선부(100-2)와, 제3 분기 모선부(110-3)는 N상 주 모선부(100-4)와, 제4 분기 모선부(110-4)는 R상 주 모선부(100-1)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분전반 제조 목적 및 사용 용도 등에 따라, 주 모선부(100) 및 분기 모선부(110)는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만, 하나의 분기 모선부(110)는, 하나의 주 모선부(100)와 연결됨을 전제로 하며, 다른 분기 모선부(110)와 연결된 주 모선부(특히, N상 주 모선부(100-4))와도 중복으로 연결될 수 있다(즉, 하나의 주 모선부(예를 들어, N상 주 모선부(100-4))는 복수의 분기 모선부(110)와도 연결 가능).
이러한 복수의 주 모선부(100)와 복수의 분기 모선부(110)는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주 모선부(100)의 형상학적 특징을 기반으로 볼트 체결 없이 분기 모선부(110)와 구조적으로 연결/체결되는 방식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분기 모선부(110)의 구체적인 구조는 도 3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기 모선부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분기 모선부(110)는 크게 제1 및 제2 분기 모선(310, 3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호 대향하는 제1 및 제2 분기 모선(310, 320)이 상호 볼트 체결됨으로써 분기 모선부를 구성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분기 모선(310, 320) 각각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부(310-1, 320-1) 및 판상부(310-1, 320-1)의 일단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1차) 절곡된 접속 클립 단자부(310-2, 320-2)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 클립 단자부(310-2, 320-2)는, 제1 연장부(310-2a, 320-2a), 곡선부(310-2b, 320-2b) 및 제2 연장부(310-2c, 320-2c)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연장부(310-2a, 320-2a)는, 판상부(310-1, 320-1)의 일단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직선 연장된 부분에 해당할 수 있다. 곡선부(310-2b, 320-2b)는, 제1 연장부(310-2a, 320-2a)의 일단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곡선 연장되어,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반원형의 단면을 가진 부분에 해당할 수 있다. 제2 연장부(310-2c, 320-2c)는 곡선부(310-2b, 320-2b)의 일단으로부터 하측 및 외측 방향으로 사선 연장된 부분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분기 모선(310, 320)은, 반원형의 곡선부들(310-2b, 320-2b)이 결합되어 원형 단면을 형성하도록 제1 연장부들(310-2a, 320-2a)이 상호 접촉된 후, 제1 연장부들(310-2a, 320-2a)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 체결공에 볼트(340)가 체결됨으로써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분기 모선부(110)를 형성할 수 있다.
주 모선부는 이렇듯 상호 결합된 제1 및 제2 분기 모선(310, 320)의 접속 클립 단자부들(310-2, 320-2) 사이에 끼워짐/삽입됨으로써 분기 모선부(110)와 체결될 수 있다. 특히, 주 모선부를 분기 모선부(110)의 제2 연장부들(310-2c, 320-2c) 사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분기 모선부(110)에 대하여 하측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는 경우, 분기 모선부(110)의 탄성력에 의해 제2 연장부들(310-2c, 320-2c)의 사이가 순간적으로 벌어짐에 따라 주 모선부가 곡선부들(310-2b, 320-2b) 사이로 삽입되어 주 모선부 및 분기 모선부(110)가 상호 체결될 수 있다. 즉, 주 모선부의 배열에 맞춰 주 모선부의 상측에 분기 모선부(110)를 위치시킨 후 하측 방향으로 외력을 가함으로써 쉽게 주 모선부와 분기 모선부(110)가 상호 체결/연결될 수 있다. 이때, 외측 방향으로 경사진 제2 연장부들(310-2c, 320-2c)로 인해, 주 모선부가 분기 모선부(110) 내로 삽입되는/끼워지는 방향이 가이드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주 모선부가 보다 쉽게 접속 클립 단자부들(310-2, 320-2) 사이로 삽입될/끼워질 수 있다. 같은 맥락으로, 분기 모선부(110)에 대하여 상측 방향의 외력을 가함으로써 분기 모선부(110)와 주 모선부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이렇듯 분기 모선부가 주 모선부를 파지하는 형태의 체결 방식으로 인해, 주 모선부와 분기 모선부(110)를 연결하는 데 별도의 볼트 체결이 불필요하므로, 본 발명은 보수/교체 작업 등에 볼트를 일일이 해제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된다는 효과가 발생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때, 전문가가 아닌 초보자라 할지라도 쉽게 분전반의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하여, 조립/보수/교체에 들어가는 비용이 적게 소모된다는 효과가 발생한다.
제1 및 제2 모선부(310, 320)의 결합으로 인해 원형 단면을 형성하는 곡선부들은, 곡선부들(310-2b, 320-2b) 사이로 삽입된 주 모선부와의 접촉 면적이 최대화될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상호 결합된 곡선부들(310-2b, 320-2b)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은 주 모선부의 단면과 동일한 크기 및 형상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으며, 곡선부들(310-2b, 320-2b) 사이로 삽입된 주 모선부와 최대 면적으로 접촉되어 통전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적 특징을 기반으로, 제1 및 제2 분기 모선(310, 320)이 볼트 체결되는 경우, 곡선부들(310-2b, 320-2b) 사이의 최장 간격은 주 모선부의 단면 지름 이하의 길이로 결정되며, 지름 길이가 작을수록 주 모선부와 분기 모선부(110)간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2 연장부들(310-2c, 320-2c) 사이의 최소 간격은 주 모선부의 단면 지름 미만인 길이로 결정될 수 있다.
판상부(310-1, 320-1)의 길이는 제1 및 제2 분기 모선부(310, 320)별로 서로 상이할 수 있으며, 판상부(310-1, 320-1)의 타단에는 분기 차단기(미도시)와의 접속을 위한 볼트 체결공(310-3, 320-3)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인 분기 차단기와의 접속 구조에 대해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케이스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 케이스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주 모선부, 분기 모선부 및 하부 케이스의 조립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제안되는 분전반 유닛은, 앞서 상술한 복수의 주 모선부, 복수의 분기 모선부와 이들을 수용/수납하는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의 결합/조립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부 케이스(400)는 복수의 주 모선부 및 복수의 분기 모선부를 수용하고, 하부 케이스와 착탈 가능하게 조립/결합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400) 내부에는 주 모선부 및 분기 모선부를 수용함과 동시에 이들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음각으로 형성된 부품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주 모선부들이 상부 케이스를 관통할 수 있도록 복수의 주 모선부들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관통홀(410-1~410-4)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부 케이스(400)는 크게 제1 및 제2 상부 케이스(본 도면에는 제2 상부 케이스만 도시)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상부 케이스가 수용 대상 부품들을 중심으로 양측에서 대향하여 결합/조립됨으로써 부품들을 수용한 상부 케이스(400)가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상부 케이스는 볼트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400)의 결합 구조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후술한다.
제1 및 제2 상부 케이스 결합을 보다 견고하고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1 및 제2 상부 케이스의 양 측부에는 음각으로 형성된 체결 가이드부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상부 케이스의 체결 가이드부에 체결부(440-1, 440-2)가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제1 및 제2 상부 케이스가 견고하게 결합/조립될 수 있다. 도 4에는, 상하측에 각각 하나씩 총 2개의 체결 가이드부가 양 측부에 형성된 제2 상부 케이스를 예시하였으며, 2개의 체결 가이드부에 2개의 체결부(440-1, 440-2)가 각각 삽입됨으로써 제1 및 제2 상부 케이스가 안정적으로/견고하게 상호 결합/조립될 수 있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하부 케이스(500)에는 플레이트부(520)에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수평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주 모선부 지지부들(510-1~510-4)이 형성/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주 모선부 지지부들(510-1~510-4)은 복수의 주 모선부(100-1~100-4)와 체결된 복수의 분기 모선부(110-1~110-4) 각각의 제2 연장부들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복수의 주 모선부들(100-1~100-4)을 일대일 지지함과 동시에, 복수의 주 모선부들(100-1~100-4)이 복수의 분기 모선부들(110-1~110-4)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주 모선부 지지부들(510-1~510-4)의 너비는, 제2 연장부들 사이의 최소 간격은 이하의 길이로 설정될 수 있으며, 최소 간격이 줄어들수록 제2 연장부들과 주 모선부 지지부들(510-1~510-4) 사이의 결합력은 상승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주 모선부(100)는 분기 모선부(110)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1 및 제2 분기 모선 사이의 결합력이 약해지더라도 주 모선부 지지부(510)에 의해 주 모선부(100)와 분기 모선부(110) 간의 접촉/결합/체결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그 결과, 주 모선부(100) 및 분기 모선부(110)간의 통전 성능 역시 안정적으로 유지/확보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 유닛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 유닛의 부분 조립 단면도를 각각 예시한다.
본 도면들에서 주 모선부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외되었다.
도 7 및 8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상부 케이스(400-1, 400-2)는 수용/수납 대상 부품을 중심으로 양측에서 대향 결합할 수 있으며, 수용/수납 대상 부품(즉, 주 모선부(미도시) 및 분기 모선부(110-1))은 상부 케이스(400)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 공간에 수용되어 제1 및 제2 상부 케이스(400-1, 400-2)의 결합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상부 케이스(400-1, 400-2)는, 양 측부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 가이드부에 체결부(440-1, 440-2)가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견고하게 결합/조립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500)는 주 모선부 지지부들이 각 주 모선부를 지지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 후 상부 케이스(400)와 결합됨으로써 하나의 분전반 유닛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상부 케이스, 하부 케이스는 각 상(R상, S상, T상, N상) 분기 모선부별로 마련될 수 있어 케이스 조립/크기/설계 자유도가 높다. 예를 들어, 분전반 유닛의 케이스는, R상 주 모선부와 연결된 R상 분기 모선부를 커버하기 위한 제1 및 제2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와, S상 주 모선부와 연결된 S상 분기 모선부를 커버하기 위한 제1 및 제2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와, T상 주 모선부와 연결된 T상 분기 모선부를 커버하기 위한 제1 및 제2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와, N상 주 모선부와 연결된 N상 분기 모선부를 커버하기 위한 제1 및 제2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로 구분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렇게 각 분기 모선부별로 마련된 케이스들은 상호 조립/체결(예를 들어, 볼트 체결)되어 분전반 유닛의 전체 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주모선부는 이렇게 형성된 전체 케이스를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의 결합/조립 실시예는 도 7 내지 12에 도시한 바와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 유닛의 전체 조립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 유닛의 전체 조립 사시도이다.
도 9 및 10을 참조하면, 분전반 유닛(900)에 있어서, 분기 모선부의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볼트 체결공(310-3, 320-3)은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도록 조립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볼트 체결공(310-3, 320-3)은 분전반 유닛(900) 양단에 설치/배치되는 분기 차단기(미도시)와 접속되기 위한 접속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접속 구조는 도 11 및 12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후술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 조립체의 전체 조립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전반 조립체의 전체 조립 사시도이다.
도 11 및 12를 참조하면, 복수의 분기 차단기(1110-1, 1110-2)가 분전반 유닛(900)의 양단부에 각각 체결/접속되어 분전반 조립체(1120)를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분기 차단기(1110-1, 1110-2) 각각은, 분전반 유닛(900)과 체결/접속/연결되기 위한 분기 차단기 접점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분기 차단기 접점부는 분전반 유닛(900)의 접점부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분기 차단기 접점부에는 분전반 유닛(900)과의 볼트 체결을 위한 제1 볼트 체결공이 마련되어 있는 플레이트부에 해당할 수 있으며, 분전반 유닛(900)의 접점부는 분기 차단기(1110-1, 1110-2)와의 볼트 체결을 위한 제2 볼트 체결공(310-3, 320-3)이 마련되어 있는 판상부의 타단에 해당할 수 있다.
분기 차단기(1110-1, 1110-2)와 분전반 유닛(900)은, 본 도면들에 예시한 바와 같이, 분전반 유닛(900)의 접점부가 분기 차단기 접점부 상에 적층된 후, 상호 겹쳐진 제1 및 제2 볼트 체결공에 볼트가 체결됨으로써 상호 체결될 수 있다.
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분전반 조립체에 주 차단기가 연결됨으로써 분전반을 형성/구성할 수 있다. 분전반 조립체는 주 차단기의 2차 측에 연결되어 주 차단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분전반 조립체의 주 모선부들(즉, R상 주 모선부, S상 주 모선부, T상 주 모선부 및 N상 주 모선부)이 주 차단기의 주 모선부들(즉, R상 주 모선부, S상 주 모선부, T상 주 모선부 및 N상 주 모선부)과 상호 접속/연결됨으로써 주 차단기와 연결될 수 있다.
분전반에 분전반 조립체가 복수개 설치되는 경우, 각 분전반 조립체의 주 모선부끼리(특히, 동일한 상을 갖는 주 모선부끼리) 상호 연결/체결됨으로써 복수의 분전반 조립체가 연결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술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3)

  1. 분전반 유닛에 있어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수평 방향으로 나열되며,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복수의 주 모선부;
    상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수직 방향으로 나열되되, 상기 복수의 주 모선부와 연결되는 복수의 분기 모선부;
    상기 복수의 주 모선부를 지지하는 하부 케이스; 및
    상기 복수의 주 모선부 및 상기 복수의 분기 모선부를 수용하고, 상기 하부 케이스와 조립되는, 상부 케이스; 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분기 모선부 각각은, 상호 대향하는 제1 및 제2 분기 모선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분기 모선 각각은,
    상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부; 및
    상기 판상부의 일단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절곡된 접속 클립 단자부; 를 포함하되,
    상기 분기 모선부는, 상기 제1 및 제2 분기 모선의 접속 클립 단자부가 상호 대향하도록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주 모선부는, 상기 제1 및 제2 분기 모선의 접속 클립 단자부들 사이에 전체가 끼워짐으로써 상기 분기 모선부 내측으로 전체가 수용되어 상기 분기 모선부와 체결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 내부에는,
    상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복수의 주 모선부들이 상기 상부 케이스를 관통하기 위한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분기 모선부들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분기 모선부들 형상의 음각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 케이스는,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수평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의 주 모선부 지지부; 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주 모선부 지지부는, 상기 복수의 주 모선부와 체결된 상기 복수의 분기 모선부 각각의 제2 연장부들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분기 모선부 내측에 전체 수용된 상기 복수의 주 모선부를 일대일 고정 및 지지하고,
    상기 상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는, 각 분기 모선부별로 마련되어, 상호 볼트 체결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 간에는, 각 상부 케이스의 양 측부에 음각으로 형성된 체결 가이드부에 체결부가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서 상호 결합되는, 분전반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클립 단자부는,
    상기 판상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하측 방향으로 직선 연장되고, 볼트 체결공이 마련된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하측 방향으로 곡선 연장되어,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곡선부; 및
    상기 곡선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하측 및 외측 방향으로 사선 연장되는, 제2 연장부; 를 포함하는, 분전반 유닛.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분기 모선은,
    상기 제1 및 제2 분기 모선의 제1 연장부들이 상호 접촉된 후, 볼트 체결공들에 볼트가 체결됨으로써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분기 모선부를 형성하는, 분전반 유닛.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분기 모선이 볼트 체결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분기 모선의 곡선부들 사이의 최장 간격은 주 모선부의 단면 지름 이하로 결정되며,
    상기 제1 및 제2 분기 모선의 제2 연장부들 사이의 최소 간격은 상기 주 모선부의 단면 지름 미만으로 결정되는, 분전반 유닛.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분전반 조립체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분전반 유닛; 및
    상기 분전반 유닛의 양단부에 각각 체결되는 복수의 분기 차단기;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분기 차단기 각각은, 분기 차단기 접점부를 구비하며,
    상기 분기 차단기 접점부는 상기 분전반 유닛의 접점부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분전반 조립체.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 차단기 접점부는 볼트 체결을 위한 제1 볼트 체결공이 마련되어 있는 플레이트부에 해당하며,
    상기 분전반 유닛의 접점부는 상기 볼트 체결을 위한 제2 볼트 체결공이 마련되어 있는 상기 판상부의 타단에 해당하는, 분전반 조립체.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분전반 유닛의 접점부가 상기 분기 차단기 접점부 상에 적층된 후, 상기 제1 및 제2 볼트 체결공에 볼트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분기 차단기 접점부와 상기 분전반 유닛의 접점부가 체결되는, 분전반 조립체.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분전반에 있어서,
    주 차단기; 및
    상기 주 차단기의 2차 측에 연결되어 상기 주 차단기 측으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9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분전반 조립체; 를 포함하는, 분전반.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전반에 상기 분전반 조립체가 복수개 설치되는 경우, 각 분전반 조립체의 주 모선부가 상호 체결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분전반 조립체가 연결되는, 분전반.
KR1020210086856A 2021-07-02 2021-07-02 원형 주 모선부 연결 분전반 유닛, 이를 포함한 분전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한 분전반 KR102355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856A KR102355894B1 (ko) 2021-07-02 2021-07-02 원형 주 모선부 연결 분전반 유닛, 이를 포함한 분전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한 분전반
KR1020220008932A KR102527372B1 (ko) 2021-07-02 2022-01-21 분전반 조립체
KR1020220008933A KR102527373B1 (ko) 2021-07-02 2022-01-21 분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6856A KR102355894B1 (ko) 2021-07-02 2021-07-02 원형 주 모선부 연결 분전반 유닛, 이를 포함한 분전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한 분전반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8933A Division KR102527373B1 (ko) 2021-07-02 2022-01-21 분전반
KR1020220008932A Division KR102527372B1 (ko) 2021-07-02 2022-01-21 분전반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5894B1 true KR102355894B1 (ko) 2022-02-08

Family

ID=8025206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6856A KR102355894B1 (ko) 2021-07-02 2021-07-02 원형 주 모선부 연결 분전반 유닛, 이를 포함한 분전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한 분전반
KR1020220008932A KR102527372B1 (ko) 2021-07-02 2022-01-21 분전반 조립체
KR1020220008933A KR102527373B1 (ko) 2021-07-02 2022-01-21 분전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8932A KR102527372B1 (ko) 2021-07-02 2022-01-21 분전반 조립체
KR1020220008933A KR102527373B1 (ko) 2021-07-02 2022-01-21 분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35589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8819A (ko) * 2005-09-23 2005-10-12 (주)제일피앤피 분전반
KR20080001803U (ko) * 2006-12-11 2008-06-16 한국전기공업협동조합 버스바용 절연 지지대
KR100996857B1 (ko) * 2010-01-12 2010-11-26 한석주 배선용 차단기의 직결 장착대 및 이를 구비한 배전반
KR20200063518A (ko) * 2018-11-28 2020-06-05 이진혁 원터치 결합형 버스바 키트
KR20210081719A (ko) * 2019-12-24 2021-07-02 주식회사 엘파워 분전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846B1 (ko) * 2009-03-18 2009-09-14 (주)동신이에이 분전반
KR100988056B1 (ko) * 2009-09-08 2010-10-18 태인전력시스템(주) 규격 부스바 연결 구조
KR102010870B1 (ko) * 2018-12-28 2019-08-14 (주)미래기술 이엔지 교차배열 버스바 연결용 버스바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8819A (ko) * 2005-09-23 2005-10-12 (주)제일피앤피 분전반
KR20080001803U (ko) * 2006-12-11 2008-06-16 한국전기공업협동조합 버스바용 절연 지지대
KR100996857B1 (ko) * 2010-01-12 2010-11-26 한석주 배선용 차단기의 직결 장착대 및 이를 구비한 배전반
KR20200063518A (ko) * 2018-11-28 2020-06-05 이진혁 원터치 결합형 버스바 키트
KR20210081719A (ko) * 2019-12-24 2021-07-02 주식회사 엘파워 분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7372B1 (ko) 2023-04-28
KR20230006377A (ko) 2023-01-10
KR102527373B1 (ko) 2023-04-28
KR20230006376A (ko) 202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4253B1 (ko) 배전선로 내 애자의 위치 변경이 용이한 단일형 내장 완철조립체.
US6575777B2 (en) Partition wiring system
KR100780456B1 (ko) 전기 배선용 커넥터
JP2016525782A (ja) 外部に設定される特定のバスシステムのソケット構造用の接触要素
AU2019308280A1 (en) Improved outlet connection schema for a PDU
JP2005522849A (ja) 照明装置の機械的および電気的接続のための連結器
KR102355894B1 (ko) 원형 주 모선부 연결 분전반 유닛, 이를 포함한 분전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한 분전반
KR20080003842U (ko) 배전반
KR100981271B1 (ko) 분전반용 차단기 받침대
GB2505084A (en) Rail mounted cable management for a cabinet
US5035636A (en) Disc stack connector
KR101993454B1 (ko) 처짐을 방지하고 확장성을 높인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KR100594908B1 (ko) 분,배전반용 꽂음식 자선부스바
KR20120045704A (ko) 조립식 분전반
KR102295147B1 (ko) 절연 모듈 및 너트 캐리어를 구비한 분전반
BG62585B1 (bg) Щепселен съединител за телекомуникационната и информационнататехника
KR102024669B1 (ko) 가공배전을 위한 애자활용 고정기구
CN110912043A (zh) 一种电缆槽及其配电单元
CN214590423U (zh) 一种用于电力电气的线缆辅助固定装置
CN111030000A (zh) 一种电线电缆布线用固线器
CN211958259U (zh) 一种环形配电盘
CN105870378A (zh) 电池卡板及电池
CN110808516A (zh) 一种滑触线的拼接结构及其滑触线
KR102045756B1 (ko) 안정적 전력 배전을 위한 가공배전용 분기기구
KR102045755B1 (ko) 가공배전라인 고정을 위한 스트랍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