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5639B1 - 내부 신발용의 조임 신발끈 - Google Patents

내부 신발용의 조임 신발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5639B1
KR102355639B1 KR1020187033011A KR20187033011A KR102355639B1 KR 102355639 B1 KR102355639 B1 KR 102355639B1 KR 1020187033011 A KR1020187033011 A KR 1020187033011A KR 20187033011 A KR20187033011 A KR 20187033011A KR 102355639 B1 KR102355639 B1 KR 102355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tches
shoe
protrusion
laces
b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3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3501A (ko
Inventor
토마스 데라고
Original Assignee
니트로 스노우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트로 스노우보즈 filed Critical 니트로 스노우보즈
Publication of KR20180133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5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5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A43C7/08Clamps drawn tight by la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04Ski or like boots
    • A43B5/0401Snowboard boo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5/00Footwear for sporting purposes
    • A43B5/16Skating boo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7/00Holding-devices for l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0Quick-acting fastenings; Clamps holding in one direction only
    • F16G11/105Clamps holding in one direction only
    • F16G11/106Clamps holding in one direction only using a toothed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Braiding, Manufacturing Of Bobbin-Net Or Lace, And Manufacturing Of Nets By Kno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츠(2)의 신발(1, 7)용 조임 요소(22)에 관한 것으로, 상기 부츠(2)는 디스크 모양의 단일 또는 다중의 메인부(24)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부(24)는 상기 신발(1, 7)에 묶기 위한 베이스 사이드(26), 상기 베이스 사이드(26) 반대쪽에 있는 커버 사이드(26), 및 신발끈(12)의 각각의 끝단을 수용하고 안내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사이드(26)와 상기 커버 사이드(26) 사이의 케이싱 내로 주조되는 2개의 노치(38)를 포함하며, 그러한 노치(38)는 각각의 안내 방향(40)으로 끝단 면(face)들에서 열려 있다. 본 발명은 안내 방향(40)에서 볼 때, 신발끈(12)의 끝단 중 하나가 평행한 방식으로 나머지 것의 상부에서 움직이도록 신발끈(12)의 끝단이 안내될 수 있는 섹션을 각각의 노치(38)가 가지고, 이러한 노치(38)들은 대응하는 안내 방향(40)에 거슬러 마찰이 생기는 잠금 방식으로 상기 섹션들에서 신발끈(12)의 끝단을 붙잡게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부 신발용의 조임 신발끈
본 발명은 유효 청구항 1의 서문에 따른 조임(fastening) 요소와, 그러한 조임 요소를 갖는 겨울 부츠에 관한 것이다.
유효 청구항 1의 서문에 따른 조임 요소는 EP 0848917B2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러한 문서의 청구항 1에 따르면, 이러한 조임 요소에서의 노치(notch)들은 클램핑(clamping) 섹션에 각을 이루어 연결되는 슬라이딩 섹션(sliding section)을 포함한다. 이러한 조임 요소에서의 노치들은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움직이는 안내(guide) 방향에 거슬러 신발끈(shoelace)을 붙잡도록 설계된다.
슬라이딩 섹션에서 신발의 끈을 묶기 위해 안내되는 동안 양손으로 하나의 신발끈이 위쪽으로 먼저 당겨진다. 그런 다음 신발끈의 끝단(end)이 그것들을 돌림으로써 클램핑 섹션에서 잡아매지는데, 이 경우 양손이 요구된다. 하지만, 이는 내부 신발에서 사용될 때에는 적합하지 않는데, 이는 예컨대 스노우보드(snowboard) 상에서와 같이, 특히 신속한 고쳐 묶기(retying) 동안에는 양손으로 끈을 떼어놓기 위해 외부 신발 내부에 충분한 공간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한 손으로 신발끈을 팽팽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유효한 청구항 1의 서문에 따른 조임 요소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들에 의해 충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의 주제이다.
본 발명은 슬라이딩 섹션에서의 클램핑(clamping) 섹션이 돌려진다면, 노치들에서 배치된 신발끈의 2개의 끝단을 잡아당기는 것으로 한 손만으로 신발끈이 잡아 묶여질 수 있다는 생각에 근거를 두고 있다. 신발끈의 끝단들을 추가로 돌리는 것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이는 심지어 신발 또는 부츠를 신고 있는 사람이 스노우보드, 롤러스케이트 또는 비슷한 것 위에서 서 있는 경우에도 아무 때나 한 손으로 신발끈이 쉽게 다시 팽팽해질 수 있는 이유이다.
설명된 조임 요소는 외부 신발과 내부 신발 모두에서 사용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내부 신발에서 조임 요소를 사용하는 것은 그러한 내부 신발에서의 공간의 부족으로 인해 특히 효과적이다.
청구항 2에 따른 조임 요소는 신발끈에서의 마찰을 쉽게 증가시키고 그러한 방식으로 신발끈을 붙잡고 있을 수 있게 한다.
청구항 3에 따른 조임 요소는 붙들려 있을 때 노치들 내로 신발끈을 잡아당기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식으로, 신발끈이 우연히 풀어지고 노치들로부터 벗겨지는 것이 회피될 수 있다.
청구항 4에 따른 조임 요소는, 신발끈이 안내 방향에 거슬러 움직일 때 신발끈에서의 이 모양 돌기들(teeth)을 쐐기로 고정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식으로, 상기 조임 요소의 보유(retaining) 효과가 증가된다.
청구항 5에 따른 상이한 사이즈들은 개별 돌기들을 노치들에서의 상이한 기계적 요구 조건들에 대해 조정하게 설계된다.
청구항 6에 따른 조임 요소는 신발끈이 노치들로부터 우연히 벗겨지는 것을 방지한다.
시작시 더 큰 돌기들을 배치하는 것은 신발끈이 노치 내로 눌러질 때 가장 큰 레버리지(leverage)를 제공한다. 청구항 8에 따른 조임 요소는 플랜지(flange)에 의해 내부 신발에서 특히 손쉽게 조여질 수 있다.
전술한 조임 요소는 청구항 6에 따른 겨울 부츠의 내부 신발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성질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그것들이 달성되는 방식과 함께, 실시예들의 후속하는 설명과 관련하여 더 명확해지고, 이러한 후속하는 설명은 도면들과 관련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겨울 부츠의 외부 신발의 사시도.
도 2는 조임 요소가 있는 겨울 부츠의 내부 신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조임 요소를 도시하는 제1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조임 요소를 도시하는 제2 사시도.
도 5는 밑에서부터 본 도 2의 조임 요소.
도 6은 대안적인 조임 요소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밑에서부터 본 도 6의 조임 요소.
도면에서, 동일한 기술적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제공되고, 한번만 설명된다. 도면들은 순수하게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고, 특히 실제 기하학적 비율을 반영하지 않는다.
겨울 부츠(2)의 외부 신발(1)의 사시도를 보여주는 도 1을 참조한다.
외부 신발(1)은 부츠 솔(sole)(4)과 샤프트(6)를 포함하고, 이들은 설명될 움직이지 않는 내부 신발(7)을 둘러싸고 있다. 이러한 내부 신발(7)은 발(더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이 개구(10)를 거쳐 삽입될 수 있는 발 공간(foot room)(8)을 포함한다.
발 공간(8) 내로 삽입된 발은 이제 발 공간(8)에서 1개 또는 여러 개의 레이싱 구역(lacing zone)(참조 번호가 제공되지 않은)을 거쳐 외부 신발(1)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외부 신발(1)은 2개의 레이싱 구역을 가지고, 이 경우 하나의 신발끈(12)이 하나의 레이싱 구역만을 통과한다.
샤프트(6) 상의 2개의 사이드 섹션(side section)(14)은 텅(tongue)(16)에 의해 덮이는 레이싱 구역들을 거쳐 끈으로 묶일 수 있다. 상세한 설명에서 또한 설명될, 신발끈(12)을 안내하기 위한 루프(loop)(18)들은 사이드 섹션(14)들 상에서 조여진다. 본 실시예에서, 신발끈(12)은 열십자로 루프(18)들을 통과한다.
팽팽하게 된 신발끈(12)은 신발끈 묶기 후 클램핑 요소(20)에 클램프될 수 있다. 이러한 클램핑 요소(20)가 여기서는 중요하지 않기 때문에, 더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는다.
내부 신발(7)의 사시도를 보여주는 도 2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진다.
내부 신발은 외부 신발(1)과 동일한 필수적인 기술적 요소들을 가진다. 하지만, 그것은 오직 하나의 레이싱 구역과 따라서 오직 하나의 신발끈(12)을 가진다. 내부 신발(7)의 솔(4)과 샤프트(6)는 발 공간(8)을 꼭 맞게 둘러싼다. 간략하게 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내부 신발(7)의 개별적인 기술 요소들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외부 신발(1)과는 다르게, 클램핑 요소 대신에 내부 신발(7)은 도 3 내지 도 5에 상세히 설명될 조임 요소(22)를 가진다. 이러한 조임 요소(22)는 이 예에서는 솔기(seam)(21)와 같은 임의의 조임 요소를 가지고 내부 신발(7)에 부착될 수 있다. 도 3은 개구(8)로부터 부츠 솔(4)로 연장하는, 겨울 부츠(2) 상의 설치 방향(23)에서의 조임 요소를 보여준다.
조임 요소(22)는 베이스 사이드(base side)(26), 베이스 사이드(26) 반대쪽에 있는 커버 사이드(28), 및 베이스 사이드(26)와 커버 사이드(28) 사이에서 움직이는 케이싱(casing) 사이드(30)를 포함하는 디스크(disk) 모양의 메인부(main part)(24)를 가진다. 개별 사이드들(26 내지 30)은 편평해서는 안 되고, 또한 도면들에 도시된 것처럼 개구(8)에서 향하는 영역에서 케이싱 사이드(30)와 같이 몇몇 포인트들에서 예리하게 끝이 가늘어질 수 있다.
케이싱 사이드(30)는, 부츠 솔(4) 쪽으로 서로 접근하고 끝 부분(tip)(36)에서 만나는 제1 케이싱 사이드 섹션(32) 및 제2 케이싱 사이드 섹션(34)을 포함한다. 하지만 그러한 사이드들이 끝 부분(36)에서 만나는 것이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2개의 케이싱 사이드 섹션(32, 34)은 본 실시예가 그것 자체의 참조 기호 없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케이싱 사이드 섹션을 포함하도록, 전체 케이싱 사이드(30) 위에서 연장하지 않는다.
노치(38)는 내부 신발(7)의 신발끈(12)을 수용하기 위해 제1 케이싱 사이드 섹션(32)과 제2 케이싱 사이드 섹션(34) 각각에서 메인부(24) 내로 연장한다. 이들 노치(38)는 안내 방향(40)에 거슬러 신발끈(12)(도 3 내지 도 5에는 도시되지 않음)을 붙들고 있게 설계되고, 그로 인해 이러한 안내 방향(40)에 거슬리는 신발끈의 임의의 움직임을 방지한다. 신발끈(12)의 끝단은 진입 각도(39)를 가지고 조임 요소(22)의 끝 부분(36)에서 노치(38)로 들어가고 끝 부분(36) 반대쪽에서 빠져나오는 각도(41)를 가지고 노치(38)를 빠져나온다. EP0848917B2와는 반대로, 신발끈(12)의 양쪽 끝단이 반대로 끈 묶기를 위해 한 손으로 함께 붙들려 있게 되도록, 진입 각도(39)는 빠져나오는 각도(41) 이상이다.
이를 위해, 돌기들(42, 44)이 개별 노치(38)들에 배치되고, 이러한 노치들은 명료함을 위해 참조 기호가 제공되지 않은 노치(38)들의 한쪽 내로 연장한다. 돌기(42, 44)는 서로 평행하게 정렬되고 돌기 방향(46)으로 각각의 노치(38)에서의 일정한 각도, 특히 안내 방향(40)에 대해 둔각으로 움직인다. 2가지 다른 타입의 돌기들(42, 44)이 존재한다. 제1 돌기들(42)은 제2 돌기들(44)보다 작고, 안내 방향(40)에서 제2 돌기들(44) 다음에 배치된다. 또한, 제2 돌기들(44)은 전체 노치(38)에 대해서가 아니고 돌기 방향(46)에서 볼 때 그것의 외측에서만 돌기 방향(46)으로 움직인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신발끈(12)은 케이싱 사이드 섹션(32, 34)의 노치(38)에서 열십자로 삽입된다. 이러한 식으로, 끝 부분(36)은 레버리지(leverage) 포인트를 제공하고, 신발끈(12)의 끝단은 그것들을 잡아당김으로써 2개의 더 큰 제2 돌기들(44) 사이의 좁아짐(narrow)을 통해 눌러질 수 있다. 신발끈(12)은 안내 방향(40)에서 그것을 잡아당김으로써 팽팽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잡아당김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1 돌기들(42)은 안내 방향(40)으로 향하게 되고 배치된다.
잡아당기는 동안에 안내 방향(40)으로 움직이는 제1 돌기들(42)로 인해 노치(38)들로부터 신발끈(12)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더 큰 제2 돌기들(44)은 제한하는 것(limitation)의 역할을 한다. 일단 신발끈(12)이 팽팽해지고, 예를 들면 겨울 부츠(2)를 신는 사람의 움직임으로 인해 안내 방향(40)으로 긴장된 상태로 적재되면, 신발끈(12)은 제1 돌기들(42)의 배치로 인해 안내 방향(46)으로 노치(38)들의 내부 내로 끌어 당겨진다. 이러한 이유로, 더 큰 제2 돌기들(44)은 또한 노치들의 내부에서 중단된다. 조임 요소(22)에서의 신발끈(12)의 끈 묶임의 단단히 매짐 정도는 안내 방향(40)으로 신발끈(12)들을 잡아당김으로써 아무 때나 조정될 수 있다. 이는 아무 때나 한 손 만을 가지고 행해질 수 있다.
내부 신발(7)에 조임 요소(22)를 쉽게 부착시키기 위해, 플랜지 요소(48)가 구비된다. 이러한 플랜지 요소(48)에 의해, 조임 요소(22)는 재봉(sewing), 접착(gluing), 리베팅(riveting), 나사 조임(screwing)에 의해, 또는 임의의 다른 방식으로 내부 신발(7)에 조여질 수 있다.
클램핑 요소(20) 대신에, 조임 요소(22)는 또한 신발끈(12)을 조이기 위해 외부 신발(1)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6과 도 7은 여러 섹션(section)으로 이루어진 메인부(24)를 포함하는 조임 요소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보여준다. 이 경우, 신발끈(12)의 끝단은 열십자로 안내되지 않지만, 각각의 노치(38)에서 서로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떨어져 움직인다.

Claims (9)

  1. 디스크(disk) 모양의 단일 또는 다중의 메인부(main part)(24)를 포함하는 부츠(boot)(2)의 신발(1, 7)용 조임 요소(fastening element)(22)에 있어서,
    상기 메인부(24)는
    상기 신발(1, 7)에 묶기 위한 베이스측(base side)(26),
    상기 베이스측(26) 반대쪽에 있는 커버측(cover side)(28), 및
    신발끈(shoelace)(12)의 각각의 끝단(end)을 수용하고 안내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측(26)과 상기 커버측(28) 사이의 케이싱(casing) 내로 주조되는(moulded) 2개의 노치(notch)(38)들로서, 상기 노치(38)들에서 안내되는 상기 신발끈(12)의 끝단들은 부츠(2)의 끈을 묶기 위해 잡아당기는 방향(40)으로 잡아 당겨질 수 있는, 상기 2개의 노치들을 포함하고,
    상기 잡아당기는 방향(40)에서 볼 때, 상기 노치(38)들 각각은 상기 잡아당기는 방향(40)에서 볼 때, 상기 신발끈(12)의 끝단들이 빠져나오는 각도(40) 이상인 진입 각도(39)로 상기 노치(38)들에 들어가고 상기 신발끈(12)의 끝단들이 2개의 노치 섹션들을 빠져나오는 방식으로 서로 접근하게 움직이는 섹션(section)을 가지고,
    상기 노치(38)들은 대응하는 안내 방향(40)에 거슬러 마찰이 생기는 잠금 방식으로(in a frictionally locking manner) 상기 섹션들에서 상기 신발끈(12)의 끝단들을 붙잡게 설계되고,
    상기 섹션들에서의 노치(38)들은 각각의 노치(38)의 내측으로 연장하는 돌기(teeth)(42, 44)들로서, 복수의 제1 돌기(42)와 상기 잡아당기는 방향(40)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돌기(42)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돌기(42)보다 큰 제2 돌기(44)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기(42) 및 상기 제2 돌기(44)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상기 제1 돌기(42) 및 상기 제2 돌기(44)는 상기 잡아당기는 방향(40)에 대하여 각도(46)를 이루도록 하되 상기 잡아당기는 방향(40)의 아래로 갈수록 모여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돌기(42)의 돌출하는 높이는 상기 노치(38)의 내측으로 갈수록 증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츠의 신발용 조임 요소.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기(44)가 외측에서 각각의 노치(38)의 내측의 일부 위로 연장하는, 부츠의 신발용 조임 요소.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부(24)는 상기 신발(1, 7)에서 조이기 위한 플랜지 요소(flange element)(48)를 포함하는, 부츠의 신발용 조임 요소.
  9. 부츠(2)에 있어서,
    상기 부츠(2)는 외부 신발(1), 상기 외부 신발(1)에서 수용되는 내부 신발(7),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상기 내부 신발(7)의 끈 묶기를 위한 신발끈(12), 및 내부 신발(7)에 조여진 제1 항, 제6항 및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임 요소(22)를 포함하는, 부츠.
KR1020187033011A 2016-04-14 2017-04-06 내부 신발용의 조임 신발끈 KR1023556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106958.2 2016-04-14
DE102016106958.2A DE102016106958A1 (de) 2016-04-14 2016-04-14 Schnürsenkelsicherung für Innenschuh
PCT/EP2017/058304 WO2017178337A1 (de) 2016-04-14 2017-04-06 Schnürsenkelsicherung für innenschu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501A KR20180133501A (ko) 2018-12-14
KR102355639B1 true KR102355639B1 (ko) 2022-01-25

Family

ID=58489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3011A KR102355639B1 (ko) 2016-04-14 2017-04-06 내부 신발용의 조임 신발끈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959491B2 (ko)
EP (1) EP3442372B1 (ko)
JP (1) JP7132851B2 (ko)
KR (1) KR102355639B1 (ko)
CN (1) CN109068801B (ko)
AU (1) AU2017249349B2 (ko)
CA (1) CA3017427A1 (ko)
DE (1) DE102016106958A1 (ko)
ES (1) ES2924412T3 (ko)
WO (1) WO20171783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22188B1 (de) * 2019-02-18 2021-04-15 Franciszek Kucharko Jerzy Schuh, welcher mit einem Schnürsenkel ausgestattet ist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760525C2 (de) * 1967-06-16 1983-12-01 Bengtsson, Sigurd Walter, Göteborg Klemmvorrichtung, die auf zwei Schnüren verschiebbar angeordnet ist
US3574900A (en) * 1968-02-23 1971-04-13 Reginald John Emery Jamming cleat
US3845575A (en) * 1973-05-07 1974-11-05 O Boden Cord locking assembly
US3953144A (en) * 1974-02-04 1976-04-27 Boden Ogden W Cord lock with both sharp and dull teeth
US4102019A (en) * 1977-03-07 1978-07-25 Boden Ogden W Locking assemblies which maintain bow loops in cords
US4379358A (en) * 1981-07-30 1983-04-12 Itw-Ateco Gmbh Cord adjusters
MY100745A (en) * 1985-12-25 1991-02-14 Yoshida Kogyo Kk Cord tightening device.
US4665590A (en) * 1986-04-11 1987-05-19 Illinois Tool Works Inc. Cord retainer assembly
JPH0246731Y2 (ko) * 1986-06-02 1990-12-10
US4807333A (en) * 1987-12-03 1989-02-28 Boden Ogden W Cord lock with cord removal slot
US4919370A (en) * 1989-02-17 1990-04-24 Martin William B Cable fitting
JP3152269B2 (ja) * 1993-04-16 2001-04-03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紐締具
FR2706743B1 (ko) * 1993-06-21 1995-08-25 Salomon Sa
US5572770A (en) * 1995-08-18 1996-11-12 Boden; Robert O. Self locking cord lock
FR2757026B1 (fr) 1996-12-17 1999-02-26 Salomon Sa Ensemble bloqueur
US6185798B1 (en) * 1999-07-06 2001-02-13 Huy That Anh Ton Shoelace fastener
TW411263B (en) * 1999-11-30 2000-11-11 Taiwan Ind Fastener Corp Braid buckle
CN2435967Y (zh) * 2000-09-06 2001-06-27 黄刘淑满 雪靴
US6401309B1 (en) * 2001-02-22 2002-06-11 Formosa Saint Jose Corp. Fastening hook for elastic rope
FR2824452B1 (fr) * 2001-05-10 2003-08-15 Eider Crochet bloquer pour chaussures
DE10238025A1 (de) 2002-02-11 2003-08-21 Head Sport Ag Führungs- und Blockiervorrichtung für den Schnürsenkel eines Schuhs
US6889407B2 (en) * 2003-06-10 2005-05-10 K-2 Corporation Single finger pull cord lock release
ITPD20030229A1 (it) 2003-10-02 2005-04-03 Dolomite Spa Calzatura con allacciatura a stringhe
JP2006075179A (ja) 2004-08-10 2006-03-23 Kiyohito Kamata 靴紐固定具
US7818899B2 (en) 2005-01-05 2010-10-26 Red Wing Shoe Company, Inc. Footwear tensioning system
FR2896384B1 (fr) * 2006-01-25 2008-07-04 Salomon Sa Dispositif de blocage de brins souples
JP2007215845A (ja) * 2006-02-17 2007-08-30 Ryusyo Industrial Co Ltd ブーツの締め付け構造
DE202007018332U1 (de) 2007-01-17 2008-04-24 Deeluxe Sportartikel Handels Gmbh Stiefel, insbesondere Ski- oder Snowboardstiefel
CN101513291B (zh) * 2008-02-21 2012-07-18 刘兴棋 鞋带松紧控制装置及鞋子
US8371004B2 (en) * 2009-09-18 2013-02-12 Daniel A. Huber Universal lace/cord lock system
US20120073087A1 (en) * 2010-09-27 2012-03-29 Briganti Robert A Low friction cord lock
FR2985890B1 (fr) 2012-01-25 2015-06-19 Salomon Sas Element chaussant muni d'un dispositif de serrage ameliore
RU2611284C2 (ru) * 2012-12-14 2017-02-21 Ванс, Инк. Системы фиксации обуви
JP6662760B2 (ja) * 2016-12-06 2020-03-11 株式会社ニフコ コードロック
US10709205B2 (en) * 2017-03-13 2020-07-14 Xpand Inc. Shoe lace lock and system and method for lacing shoes
US10767730B2 (en) * 2017-06-05 2020-09-08 Spectrum Brands, Inc. Adjustable bungee fastener
JP6873873B2 (ja) * 2017-09-11 2021-05-19 株式会社ニフコ コードロック
US20190208866A1 (en) * 2018-01-11 2019-07-11 Dan Dietrich Cord locking cle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068801B (zh) 2021-08-24
AU2017249349B2 (en) 2022-02-03
DE102016106958A1 (de) 2017-10-19
CA3017427A1 (en) 2017-10-19
WO2017178337A1 (de) 2017-10-19
ES2924412T3 (es) 2022-10-06
KR20180133501A (ko) 2018-12-14
AU2017249349A1 (en) 2018-11-08
EP3442372A1 (de) 2019-02-20
US10959491B2 (en) 2021-03-30
JP2019511331A (ja) 2019-04-25
CN109068801A (zh) 2018-12-21
EP3442372B1 (de) 2022-05-04
JP7132851B2 (ja) 2022-09-07
US20190104807A1 (en) 2019-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4014B1 (ko) 신발
US8448353B2 (en) Boot in particular ski or snowboard boot
JP5913637B2 (ja) 靴、特に運動靴
KR100552073B1 (ko) 운동화 끈 조임 구조
KR100577955B1 (ko) 안내구/봉쇄구
US7908769B2 (en) Footwear with a lace fastening
FI89860C (fi) Sportsko, speciellt terraengskidsko
US8739373B1 (en) Shoelace clasp
US20080028641A1 (en) Snowboard boot
US5349764A (en) Shoe securement apparatus
US20070186447A1 (en) Inner Lacing Shoes
CN113729355A (zh)
KR20030025283A (ko) 신발, 특히 스포츠 신발
US20170245595A1 (en) Shoe lacing system
KR102355639B1 (ko) 내부 신발용의 조임 신발끈
KR20040077699A (ko) 신발
KR200467145Y1 (ko) 신발끈 조임장치를 갖는 신발
US20150059136A1 (en) Shoestring Lock
KR100765244B1 (ko) 신발끈 결속구
US5997051A (en) Shoelace tying system
JP2023050056A (ja) 靴紐ループを活用した着脱可能な靴紐締め具
US2015012838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ripping and tightening laces
KR20130002270U (ko) 결속의 용이성을 개선한 신발끈
KR102453511B1 (ko) 신발끈 루프를 활용한 탈부착이 가능한 신발끈 조임 장치
KR200184587Y1 (ko) 신발 끈을 신속하게 묶을 수 있는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