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5506B1 - Mcc 유닛용 드로어 - Google Patents

Mcc 유닛용 드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5506B1
KR102355506B1 KR1020200076449A KR20200076449A KR102355506B1 KR 102355506 B1 KR102355506 B1 KR 102355506B1 KR 1020200076449 A KR1020200076449 A KR 1020200076449A KR 20200076449 A KR20200076449 A KR 20200076449A KR 102355506 B1 KR102355506 B1 KR 102355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losure
drawer
connector
wire
neut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6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8102A (ko
Inventor
김동희
Original Assignee
김동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희 filed Critical 김동희
Priority to KR1020200076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5506B1/ko
Publication of KR20210158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8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5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5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73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drawer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02B1/21Bus-bar arrangements for rack-mounted devices with withdrawable un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2Mounting of devices therein
    • H02B1/34Racks
    • H02B1/36Racks with withdrawable un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ynamo-electric motors
    • H02H7/0822Integrated protection, motor control centres

Abstract

본 발명은 외함의 열반 및 설치 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MCC 유닛용 드로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외함의 후부에 설치된 1차측 수직 부스바 중 전력선과 접속되는 1차측 커넥터를 장착하기 위해 상기 1차측 수직 부스바 중 전력선과 대향하는 후면패널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전력선 커넥터 장착구멍, 상기 1차측 수직 부스바 중 중성선(N상)과 접속되는 1차측 커넥터 장착용 구멍으로 사용하기 위해 상기 1차측 수직 부스바 중 중성선과 대향하는 후면패널에 구멍 뚫을 수 있도록 형성된 중성선 커넥터 녹아웃, 상기 외함의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 중 전면 양쪽 프레임과 대향하는 양쪽 측면패널에 일정한 깊이로 형성된 절입선 및 상기 외함의 열반 시 상기 측면패널 부분이 상기 외함에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외함의 전면 양쪽 프레임 중 다른 외함과 볼팅 작업을 위한 부분을 가로막지 않도록 상기 절입선을 따라 상기 측면패널의 앞쪽 가장자리를 젖혀서 눌러 접은 헤밍부를 포함하는 MCC 유닛용 드로어를 개시한다.

Description

MCC 유닛용 드로어{DRAWER FOR UNIT OF MOTOR CONTROL CENTER CABINET}
본 발명은 MCC 유닛용 드로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기 제어반을 구성하는 외함의 열반 및 설치 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아울러 3상 3선식 접속 구조에서 3상 4선식 접속 구조로 손쉽게 확장 변경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2가지 종류의 커넥터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동기 제어반 유닛용 드로어에 관한 것이다.
모터 컨트롤 센터(MCC: Motor Control Center)는 플랜트, 공장, 빌딩, 병원, 공동주택 등 각종 산업설비에 적용하여 전동기와 관련 부하장치를 개폐 및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으로, 변압기에서 공급되는 저압의 전기를 전동기 등과 같은 각 부하로 배분 및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감시 및 차단하는 등의 다양한 제어 기능 및 역할을 한다.
이러한 모터 컨트롤 센터는 유지보수 및 점검이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전압강하 및 전류 트랜스포머, 개폐기, 릴레이, 분기차단기, EOCR(electronic over current relay), 퓨즈, 타이머 등과 같은 각종 제어기기를 한군데 조합한 여러 개의 부하용 MCC 유닛(unit)을 하나의 외함(cabinet) 내에 다층으로 구획하여 집합하고, 그 각각의 유닛을 인입 및 인출 등 위치 조작이 가능한 서랍식 구조가 주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모터 컨트롤 센터는 표준화 및 규격화가 어려운 관계 및 특성상 전력수요 및 사양에 적합하게 설계하고, 이를 열반(列盤) 작업을 통해 일렬 또는 여러 열로 줄을 맞추어서 연결하여 필요한 규모로 증설하고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모터 컨트롤 센터의 일례로, 특허문헌 1에 모터 컨트롤 센터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을 위한 1차측 커넥터(110), 전원출력을 위한 2차측 잭(120), 신호전달을 위한 3차측 잭(130) 등이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MCC 유닛(100)과, 수직 부스바(210), 플러그(220) 등이 설치되어 있는 외함(200)을 포함하고 있어, MCC 유닛(100)을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전원공급을 위한 1차측 커넥터(110)가 수직 부스바(210)와 분리되고, 2차측 잭(120)과 플러그(220)도 동시에 분리되면서 외함(200)의 전방으로 인출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모터 컨트롤 센터의 열반 작업은 외함(200)을 호이스트나 크레인과 같은 운반용 기계를 이용하여 각기 구축 위치로 순서대로 이동시킨 후 서로 간의 설치 높낮이 및 열을 맞추고, 각 외함(200)의 기본 프레임(골격)을 맞닿게 한 상태에서 여러 개의 볼트와 너트로 조여서 연결하는데, 이때 MCC 유닛(100)을 구성하는 드로어(케이스)가 기본 프레임을 가로막아 볼트와 너트의 체결을 방해하므로 드로어를 일일이 빼낸 상태에서 인접하는 다른 외함(200)과 연결한 후 다시 드로어를 끼워넣고 있으며, 이로 인해 설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한번 설치하면 그 위치를 변경 혹은 재배치하거나 다른 모터 컨트롤 센터로 교체하기가 매우 불편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모터 컨트롤 센터 유닛용 드로어는 각 유닛에 돌발 사고가 발생하여도 타 유닛으로 파급되는 일이 없도록 금속판으로 격리되어 있는 구조인 데다 전동기의 다양한 요구 용량에 관계없이 획일적인 구조를 가지므로 설치 운전 중 부하 증설 및 변경으로 인해 개조 작업이 필요할 때 용량에 맞춰 모두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테면, 3개의 1차측 수직 부스바(Busbar)에 접속되는, 즉 3상 3선식 접속 플러그(Plug)나 클립(Clip) 구조의 1차측 커넥터를 가지는 드로어는 4개의 1차측 수직 부스바에 접속시키는 구조로 변경할 때 사용할 수 없어 3상 4선식 접속 플러그나 클립 구조의 1차측 커넥터를 가지는 드로어로 교체해야 함은 물론 드로어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많은 제어기기 구성품을 일일이 분리 및 해체하여 새로운 드로어에 재조립해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다.
또한, 드로어에 내장되는 차단기는 대개 부하 연결을 위해 취부되는 플러그(plug) 구조의 1차측 커넥터와 전선으로 연결되는데, 전선이 드로어 내부에서 차단기와 1차측 커넥터를 직접 연결하는 타입과, 1차측 커넥터에 연결된 전선을 드로어 외부에서 내부로 통과시켜 차단기와 연결하는 타입으로 이루어져 있어 2가지 종류의 드로어 중 해당 방식에 맞는 구조 및 형태를 선택해서 사용해야 하므로 범용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한계가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히며, 아울러 종래기술에서의 도면 부호는 본 발명에서의 도면 부호와 상호 무관한 것이다.
KR10-0961776 B1(2010.05.28) KR10-2016-0148541 A(2016.12.26) KR10-1808511 B1(2017.12.07) KR10-1830669 B1(2018.02.13) JP2011-151912 A(2011.8.4)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함과 동시에 기존의 MCC 유닛용 드로어 기술이 지닌 기술적 한계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려는 발상에서, 외함의 열반 및 설치 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아울러 3상 3선식 접속 구조에서 3상 4선식 접속 구조로 손쉽게 확장 변경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2가지 종류의 커넥터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사용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MCC 유닛용 드로어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외함의 열반 및 설치 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MCC 유닛용 드로어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부하 증설 및 변경 시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MCC 유닛용 드로어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커넥터의 전선 배치 구조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MCC 유닛용 드로어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착상을 구체화하면서 특정의 기술적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은, 내부에 각종 제어기기를 탑재하여 외함(cabinet) 내에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장치되고, 상기 외함의 후부에 설치된 1차측 수직 부스바와 접속 또는 접속 해제를 위한 1차측 커넥터가 탑재된 MCC 유닛용 드로어에 있어서, 상기 1차측 수직 부스바 중 전력선(R, T, S상)과 접속되는 전력선 커넥터를 장착하기 위해 상기 1차측 수직 부스바 중 전력선과 대향하는 후면패널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전력선 커넥터 장착구멍, 상기 1차측 수직 부스바 중 중성선(N상)과 접속되는 중성선 커넥터 장착용 구멍으로 사용하기 위해 상기 1차측 수직 부스바 중 중성선과 대향하는 후면패널에 상기 전력선 커넥터 장착구멍 중 가장 안쪽 부분에 위치하는 전력선 커넥터 장착구멍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 형성되고, 선택적으로 나중에 구멍 뚫을 수 있도록 형성된 중성선 커넥터 녹아웃, 상기 외함의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 중 전면 양쪽 프레임과 대향하는 양쪽 측면패널에 일정한 깊이로 형성된 절입선 및 상기 외함의 열반 시 상기 측면패널 부분이 상기 외함에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외함의 전면 양쪽 프레임 중 다른 외함과 볼팅 작업을 위한 부분을 가로막지 않도록 상기 절입선을 따라 상기 측면패널의 앞쪽 가장자리를 젖혀서 눌러 접은 헤밍부를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CC 유닛용 드로어를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전동기 제어반의 열반 작업을 위해 외함의 프레임(골격)을 볼트와 너트로 조여서 연결할 때 그 볼팅 작업이 이루어지는 부분을 측면패널이 가로막지 않아 외함의 열반 및 설치 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동기 제어반의 부하 증설 및 변경 작업 시 3상 3선식 접속 구조에서 3상 4선식 접속 구조로 손쉽게 확장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은, 상기 드로어 외부에서 상기 전력선 커넥터 및 상기 중성선 커넥터와 내부의 차단기를 연결하는 전선이 통과하도록 상기 후면패널에 형성되고, 선택적으로 나중에 구멍 뚫을 수 있도록 형성된 전선 녹아웃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1차측 커넥터의 종류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으로, 상기 중성선 커넥터 녹아웃은, 상기 후면패널을 녹아웃 프레스로 펀칭 가공하여 중성선 커넥터 장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중성선 커넥터 장착구멍을 막는 장착구멍 막음판이 상기 중성선 커넥터 장착구멍의 테두리 일부분과 제1연결살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1연결살은 상기 장착구멍 막음판을 도구로 가격(타격)하는 외력을 가할 시 파단되면서 상기 장착구멍 막음판이 상기 중성선 커넥터 장착구멍에서 분리되며, 상기 전선 녹아웃은, 상기 후면패널을 녹아웃 프레스로 펀칭 가공하여 전선 통과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전선 통과구멍을 막는 통과구멍 막음판이 상기 전선 통과구멍의 테두리 일부분과 제2연결살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2연결살은 상기 통과구멍 막음판을 도구로 가격(타격)하는 외력을 가할 시 파단되면서 상기 통과구멍 막음판이 상기 전선 통과구멍에서 분리되며, 상기 프레임은 채널의 가장자리를 다시 접은 단면 형상을 갖는 립 홈형강(lip channel steel)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절입선은, 상기 측면패널이 상기 외함에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의 립(lip) 바깥쪽 가장자리 위치보다 더 깊게 파이도록 상기 측면패널을 펀칭 가공하여 형성되며, 상기 헤밍부는, 상기 측면패널의 가장자리를 헤밍 가공하여 상기 프레임의 립(lip) 안쪽 가장자리 위치보다 더 안쪽에 형성하되, 상기 절입선을 따라 상기 프레임의 폭에 맞추어 접는 폭을 조절하거나 사용자의 필요 및 선택에 따라 접는 폭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범용성 및 활용성을 극대화하며, 그에 따른 경제성을 제고하는 새로운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특유한 해결 수단이 기초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실시 예(embodiment)에 따르면, 전동기 제어반의 열반 작업을 위해 외함의 프레임(골격)을 볼트와 너트로 조여서 연결할 때 그 볼팅 작업이 이루어지는 부분을 측면패널이 가로막지 않아 종래와 달리 볼트와 너트의 체결을 방해하는 불편함이 없기 때문에 외함의 열반 및 설치 작업이 간편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동기 제어반의 부하 증설 및 변경 작업 시 3상 3선식 접속 구조에서 3상 4선식 접속 구조로 손쉽게 확장 또는 변경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2가지 종류의 1차측 커넥터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하나의 물품으로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을 겸용하여 동시에 사용 및 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유용성 및 활용성을 극대화하며, 그에 따른 경제성을 제고하는 등 사용상의 편익을 증대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모터 컨트롤 센터의 MCC 유닛을 외함에 인입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모터 컨트롤 센터의 MCC 유닛을 외함에서 인출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CC 유닛용 드로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CC 유닛용 드로어를 외함에 인입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CC 유닛용 드로어 및 외함의 프레임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CC 유닛용 드로어에서 중성선 커넥터 녹아웃과, 전선 녹아웃을 제거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설시하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이외에도 "부" 및 "유닛"의 용어에 대한 의미는 시스템에서 목적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어느 일정한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 또는 역할을 하는 모듈 형태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 등을 통한 수단이나 독립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디바이스 또는 어셈블리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전후, 좌우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거나 지칭하고,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폭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명명하거나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 제2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 있고, 또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CC 유닛용 드로어(10)는, 내부에 각종 제어기기를 탑재하여 외함(20) 내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각종 제어기기가 설치되는 설치면을 갖는 후면패널(12)이 형성되어 있고, 이 후면패널(12)의 양쪽 단부에는 측면패널(15)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후면패널(12)에는 외함(20)의 후부에 설치된 1차측 수직 부스바(24)와 접속 또는 접속 해제를 위한 1차측 커넥터(11)가 장착되어 있다.
즉, 후면패널(12)의 1차측 수직 부스바(24) 중 3개의 전력선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1차측 수직 부스바(24) 중 전력선(R, T, S상)과 접속되는 3개의 전력선 커넥터(11a)를 장착하기 위한 전력선 커넥터 장착구멍(13)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면패널(12)의 1차측 수직 부스바(24) 중 중성선과 대향하는 위치에는 1차측 수직 부스바(24) 중 중성선(N상)과 접속되는 1개의 중성선 커넥터(11b)를 선택적으로 장착하기 위해 중성선 커넥터 녹아웃(14)이 나중에 구멍 뚫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중성선 커넥터 녹아웃(14)은 중성선 커넥터(11b) 장착용 구멍으로 사용하기 위한 사각형 모양의 중성선 커넥터 장착구멍(14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성선 커넥터 장착구멍(14a)은 전력선 커넥터 장착구멍(13) 중 가장 안쪽 부분에 위치하는 전력선 커넥터 장착구멍(13)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중성선 커넥터 장착구멍(14a)은 후면패널(12)을 녹아웃 프레스로 펀칭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고, 아울러 중성선 커넥터 장착구멍(14a)을 막는 장착구멍 막음판(14b)이 그 중성선 커넥터 장착구멍(14a)의 테두리 일부분에 제1연결살(14c)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즉, 제1연결살(14c)은 장착구멍 막음판(14b)에 망치 등의 도구로 가격(타격)하는 외력을 가할 시 자연스럽게 파단되면서 장착구멍 막음판(14b)이 중성선 커넥터 장착구멍(14a)에서 쉽게 떨어지고, 이로 인해 후면패널(12)에 1차측 수직 부스바(24) 중 중성선(N상)과 접속되는 1개의 중성선 커넥터(11b)를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그리고 측면패널(15)에는 헤밍부(17)를 수월하고 안정적으로 형성하기 위한 절입선(16)이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절입선(16)은 외함(20)의 골격을 이루는 사방의 프레임들 중 전면 양쪽 프레임(21)과 대향하는 양쪽 측면패널(15)에 마치 슬릿(slit)의 좁은 틈처럼 길게 갈라진 형상으로 일부분이 파여 있다.
여기서 절입선(16)은 측면패널(15)이 외함(20)에 인입된 상태에서 프레임(21)의 립(22) 바깥쪽 가장자리 위치보다 더 깊게 파이도록 측면패널(15)을 펀칭 가공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함(20)을 구성하는 프레임(21)은 채널의 가장자리를 다시 접은 단면 형상을 갖는 립 홈형강(lip channel steel)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측면패널(15)에는 절입선(16)을 따라 그 앞쪽 가장자리를 젖혀서 눌러 접은 헤밍부(17)가 형성되어 있다.
즉, 헤밍부(17)는 외함(20)의 열반 시 측면패널(15)의 앞쪽 가장자리 부분이 외함(20)에 인입된 상태에서 외함을 구성하는 전면 양쪽 프레임(11) 중 다른 외함과 볼팅 작업을 위한 부분을 가로막지 않도록 함은 물론 측면패널(15)의 날카로운 가장자리로 인해 작업자가 다치는 등 재해가 발생하는 일이 없도록 안쪽으로 부드럽게 180도로 접어서 끝부분이 유연한 곡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헤밍부(17)는 측면패널(15)의 앞쪽 가장자리를 헤밍 가공하여 프레임의 립(22) 안쪽 가장자리 위치보다 더 안쪽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아울러 절입선(16)을 따라 외함(20)의 프레임(21) 폭에 맞추어 접는 폭을 조절하거나 사용자의 필요 및 선택에 따라 접는 폭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CC 유닛용 드로어(10)는 금속 판재(판금)를 여러 종류의 프레스 장비를 이용하여 일정한 크기로 전단(Shearing) 및 미리 정해진 형상으로 블랭킹(Blanking) 한 후, 트리밍(Trimming), 피어싱(Piercing), 벤딩(Bending) 따위의 성형 과정을 통해 후면패널(12)과 측면패널(15) 등을 1차적으로 만들 수 있고, 이를 용접(Welding), 볼팅(Bolting) 등의 조립 과정을 통해 완성할 수 있다.
또한, 금속 판재로는 내식성과 내열성 및 미려한 외관을 가지도록 알루미늄과 아연을 합금한 갈바륨 철판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CC 유닛용 드로어(10)는 전동기 제어반의 열반 작업을 위해 외함의 프레임(21)을 볼트와 너트로 조여서 연결할 때 그 볼팅 작업이 이루어지는 부분을 측면패널(15)이 가로막지 않아 볼트와 너트의 체결을 방해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부하 증설 및 변경 시 중성선 커넥터 녹아웃(14)을 제거함으로써 3상 3선식 접속 구조에서 3상 4선식 접속 구조로 손쉽게 확장하여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MCC 유닛용 드로어(10)는, 그 후면패널(12)에 외부에서 전력선 커넥터(11a) 및 중성선 커넥터(11b)와 내부의 차단기를 연결하는 전선이 선택적으로 통과하도록 하는 전선 녹아웃(18)이 나중에 구멍 뚫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전선 녹아웃(18)은 외부에서 전력선 커넥터(11a) 및 중성선 커넥터(11b)와 내부의 차단기를 연결하는 전선 통과용 구멍으로 사용하기 위한 원형 모양의 전선 통과구멍(18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선 통과구멍(18a)은 전력선 커넥터 장착구멍(13)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전선 통과구멍(18a)은 후면패널(12)을 녹아웃 프레스로 펀칭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고, 아울러 전선 통과구멍(18a)을 막는 통과구멍 막음판(18b)이 그 전선 통과구멍(18a)의 테두리 일부분에 제2연결살(18c)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즉, 제2연결살(18c)은 통과구멍 막음판(18b)에 망치 등의 도구로 가격(타격)하는 외력을 가할 시 자연스럽게 파단되면서 통과구멍 막음판(18b)이 전선 통과구멍(18a)에서 쉽게 분리되며, 이로 인해 후면패널(12)을 통해 외부의 전선을 내부로 끌어와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드로어(10)의 내부에 탑재되는 차단기와 연결하는 전선이 드로어(10)의 내부에서 직접 연결되는 방식이나 드로어(10)의 외부에서 우회하여 들어와 연결되는 방식 등 1차측 커넥터(11)의 종류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MCC 유닛용 드로어(10)와 관련한 구성요소 중 상술한 실시 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작용효과를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반복적이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embodiment)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드로어 11: 1차측 커넥터
12: 후면패널 13: 전력선 커넥터 장착구멍
14: 중성선 커넥터 녹아웃 14a: 중성선 커넥터 장착구멍
14b: 장착구멍 막음판 14c: 제1연결살
15: 측면패널 16: 절입선
17: 헤밍부 18: 전선 녹아웃
18a: 전선 통과구멍 18b: 통과구멍 막음판
18c: 제2연결살 20: 외함
21: 프레임 22: 립(lip)
23: 관통구멍 24: 1차측 수직 부스바

Claims (3)

  1. 내부에 각종 제어기기를 탑재하여 외함(cabinet) 내에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장치되고, 상기 외함의 후부에 설치된 1차측 수직 부스바와 접속 또는 접속 해제를 위한 1차측 커넥터가 탑재된 MCC 유닛용 드로어에 있어서,
    상기 1차측 수직 부스바 중 전력선(R, T, S상)과 접속되는 전력선 커넥터를 장착하기 위해 상기 1차측 수직 부스바 중 전력선과 대향하는 후면패널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전력선 커넥터 장착구멍;
    상기 1차측 수직 부스바 중 중성선(N상)과 접속되는 중성선 커넥터 장착용 구멍으로 사용하기 위해 상기 1차측 수직 부스바 중 중성선과 대향하는 후면패널에 상기 전력선 커넥터 장착구멍 중 가장 안쪽 부분에 위치하는 전력선 커넥터 장착구멍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떨어져 형성되고, 선택적으로 나중에 구멍 뚫을 수 있도록 형성된 중성선 커넥터 녹아웃;
    상기 외함의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 중 전면 양쪽 프레임과 대향하는 양쪽 측면패널에 일정한 깊이로 형성된 절입선; 및
    상기 외함의 열반 시 상기 측면패널의 앞쪽 가장자리 부분이 상기 외함에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외함의 전면 양쪽 프레임 중 다른 외함과 볼팅 작업을 위한 부분을 가로막지 않도록 상기 절입선을 따라 상기 측면패널의 앞쪽 가장자리를 젖혀서 눌러 접은 헤밍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절입선은, 상기 측면패널이 상기 외함에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의 립(lip) 바깥쪽 가장자리 위치보다 더 깊게 파이도록 상기 측면패널을 펀칭 가공하여 형성되며,
    상기 헤밍부는, 상기 측면패널의 가장자리를 헤밍 가공하여 상기 프레임의 립(lip) 안쪽 가장자리 위치보다 더 안쪽에 형성하되, 상기 절입선을 따라 상기 프레임의 폭에 맞추어 접는 폭을 조절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MCC 유닛용 드로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어 외부에서 상기 전력선 커넥터 및 상기 중성선 커넥터와 내부의 차단기를 연결하는 전선이 통과하도록 상기 후면패널에 형성되고, 선택적으로 나중에 구멍 뚫을 수 있도록 형성된 전선 녹아웃;
    을 더 포함하는 MCC 유닛용 드로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성선 커넥터 녹아웃은, 상기 후면패널을 녹아웃 프레스로 펀칭 가공하여 중성선 커넥터 장착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중성선 커넥터 장착구멍을 막는 장착구멍 막음판이 상기 중성선 커넥터 장착구멍의 테두리 일부분에 제1연결살에 의해 부착되고, 상기 제1연결살은 상기 장착구멍 막음판에 도구로 가격(타격)하는 외력을 가할 시 파단되면서 상기 장착구멍 막음판이 상기 중성선 커넥터 장착구멍에서 분리되며,
    상기 전선 녹아웃은, 상기 후면패널을 녹아웃 프레스로 펀칭 가공하여 전선 통과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전선 통과구멍을 막는 통과구멍 막음판이 상기 전선 통과구멍의 테두리 일부분에 제2연결살에 의해 부착되고, 상기 제2연결살은 상기 통과구멍 막음판에 도구로 가격(타격)하는 외력을 가할 시 파단되면서 상기 통과구멍 막음판이 상기 전선 통과구멍에서 분리되며,
    상기 프레임은 채널의 가장자리를 다시 접은 단면 형상을 갖는 립 홈형강(lip channel steel)으로 이루어진 MCC 유닛용 드로어.
KR1020200076449A 2020-06-23 2020-06-23 Mcc 유닛용 드로어 KR102355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449A KR102355506B1 (ko) 2020-06-23 2020-06-23 Mcc 유닛용 드로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449A KR102355506B1 (ko) 2020-06-23 2020-06-23 Mcc 유닛용 드로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8102A KR20210158102A (ko) 2021-12-30
KR102355506B1 true KR102355506B1 (ko) 2022-01-25

Family

ID=79178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6449A KR102355506B1 (ko) 2020-06-23 2020-06-23 Mcc 유닛용 드로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55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2052B1 (ko) * 2022-06-15 2023-01-26 조현민 수납함 및 그것을 포함하는 mcc 유닛세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35566A (ja) * 2011-04-28 2012-11-29 Mirai Ind Co Ltd 金属製配線ボックスのノックアウト構造
JP2016010244A (ja) * 2014-06-25 2016-01-18 三菱電機株式会社 コントロールセンタ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0324Y1 (ko) * 1981-08-18 1988-03-10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콘트롤 센터
KR100961776B1 (ko) * 2008-05-02 2010-06-07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모터 컨트롤 센터
JP5466960B2 (ja) 2010-01-20 2014-04-09 三菱電機株式会社 モータコントロールセンタ用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モータコントロールセンタ
ES2937694T3 (es) 2014-03-28 2023-03-30 Francisquini Melquisedec Dispositivo de seguridad para bloquear y accionar conectores eléctricos dispuestos en un cajón extraíble MCC
KR101830669B1 (ko) 2016-10-25 2018-02-2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모터 컨트롤 센터 유닛
KR101808511B1 (ko) 2017-08-23 2018-01-18 주식회사 엔피산업전기 인입·인출이 가능한 고용량 차단기 서랍 유니트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35566A (ja) * 2011-04-28 2012-11-29 Mirai Ind Co Ltd 金属製配線ボックスのノックアウト構造
JP2016010244A (ja) * 2014-06-25 2016-01-18 三菱電機株式会社 コントロールセン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8102A (ko) 2021-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84249A (en) Electrical distribution panel with quick change electrical outlets
US10466284B2 (en) Window for bottom access to an electrical meter center
CN109904812B (zh) 一种安全型母线槽数字系统
KR102355506B1 (ko) Mcc 유닛용 드로어
CN204481353U (zh) 10kV一体化智能相控开关柜
KR102432763B1 (ko) 부스바 분기 장치
CN210779976U (zh) 一种低压开关柜母线夹
CN211151081U (zh) 一种方便布线的电气柜
CN205159799U (zh) 紧凑型通用配电箱模块
CN203085994U (zh) 一种低压抽出式开关柜
KR200395590Y1 (ko) 저압 배전반용 부스바접속부재
JP4582691B2 (ja) 配電盤
CN202817492U (zh) 一种新型的电气控制柜接线板
CN212380763U (zh) 一种低压成套开关柜
DE102021111396B4 (de) Adapter für einen Sammelschienenträger
CN210723711U (zh) 开关柜垂直通道盖板
CN212033432U (zh) 一种箱变内低压柜用母线桥结构
CN215185112U (zh) 开关柜用挡板及开关柜
CN213546837U (zh) 一种水平母线集中布置的双面柜
CN212085553U (zh) 一种便于布线的低压开关柜
CN211701480U (zh) 扩建夹具以及包含其的消弧线圈成套接地装置柜
CN214379386U (zh) 一种低压开关柜搭接件
CN103378562A (zh) 低压抽出式成套开关装置及其安装方法
CN201690125U (zh) 一种低压电气设备柜母排搭接处的防护装置
CN210957280U (zh) 一种配线柜用可活动排线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